KR101646832B1 - 뽕잎 표고버섯 차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뽕잎 표고버섯 차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6832B1
KR101646832B1 KR1020140068090A KR20140068090A KR101646832B1 KR 101646832 B1 KR101646832 B1 KR 101646832B1 KR 1020140068090 A KR1020140068090 A KR 1020140068090A KR 20140068090 A KR20140068090 A KR 20140068090A KR 101646832 B1 KR101646832 B1 KR 101646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mulberry leaf
tea
shiitake
mulber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8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0429A (ko
Inventor
이순덕
Original Assignee
이순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덕 filed Critical 이순덕
Priority to KR1020140068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832B1/ko
Publication of KR20150140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0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고버섯, 뽕잎 및 한련초를 포함하는 뽕잎 표고버섯 차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표고버섯, 뽕잎 및 한련초를 각각 건조하는 단계, 상기 표고버섯, 뽕잎 및 한련초를 가열용기에서 각각 덖는 단계, 및 상기 표고버섯, 뽕잎 및 한련초를 0.5mm 내지 3mm의 평균입경을 갖도록 세절한 후, 중량비가 14~18: 2~4: 1가 되도록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뽕잎 표고버섯 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뽕잎 표고버섯 차는 표고버섯의 영양성분 및 효능을 보유하면서도 표고버섯의 특유 향을 순화시켜 대중이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뽕잎 표고버섯 차 및 그 제조방법{Mulberry Leaves and Shiitake Mushrooms Tea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고버섯의 영양성분 및 효능을 보유하면서도 표고버섯의 특유 향을 순화시켜 대중이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는 뽕잎 표고버섯 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고버섯(Shiitake mushrooms)은 담자균류 주름버섯목 느타리과에 속하는 버섯으로, 주로 참나무, 밤나무 또는 서어나무 등의 활엽수 마른 나무에 서식한다.
표고버섯에는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뿐만 아니라 칼슘, 칼륨, 인, 셀레늄, 철분 등의 미네랄, B1, B2 등의 비타민,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영양적 가치가 높다. 또한, 프로비타민 D인 에르고스테롤(ergosterol), 심혈관계 질환과 당뇨병에 효과적인 에리타데닌(erithadenine), 탄수화물·지방·단백질의 대사와 세포호흡·당분해에 작용하는 니아신(niacin) 등의 기능성 성분이 있어 식용 외에 약재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영양학적 및 기능적으로 우수한 표고버섯은 고유의 특별한 향미와 감칠맛이 있어 산업적으로 조미료(한국특허등록번호제10-1210571호), 음료(한국특허등록번호제10-1155411호), 정과(한국특허등록번호제10-1239279호) 등의 제품으로 개발 및 판매되고 있으며, 각종 장류, 장아찌, 김치 등에서 첨가재료로 활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표고버섯이 갖는 독특한 향미는 음료, 차 등의 제품에 적용할 경우 대중의 기호를 만족시키는데 어려운 요소로 여겨지기도 한다. 특히 표고버섯의 건조 및 숙성 과정을 통한 차 제조시 건조단계에서 그 향미가 더욱 강해지기 때문에 대중화를 위해서는 이를 순화시킬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를 반영하듯 표고버섯을 주재료로 개발된 차 제품은 많지 않다. 다만, 한국특허등록번호제10-1200713호(발명의 명칭: 표고버섯 차 및 이의 제조방법)에는 표고버섯에 곰취를 부재료로 혼합해 표고버섯의 향과 맛을 오랫동안 보존하고 기호도를 향상시킨 차를 소개하고 있는데, 표고버섯의 강한 향을 선호하는 특정 소비자층을 대상으로는 그 만족도를 높일 수는 있으나 대중의 전반적인 기호를 만족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표고버섯 차의 독특한 향 및 맛에 관여하는 구아닐산 성분이 치아 또는 잇몸에 장기간 남아 차 음용 후의 뒷맛이 개운하지 않고 다량 음용시 구취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상기 특허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표고버섯이 가지고 있는 영양학적 및 기능적 성분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으면서도, 표고버섯만의 강한 향을 순화하고 음용 후 구취 발생 등의 문제점이 없는 표고버섯 차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하였다. 그 결과 주재료인 표고버섯에 특정 부재료를 첨가하면서 그 혼합비율, 세절크기 등을 조절하고, 제조과정 조건을 특정할 경우 원하는 물성 및 효능을 지닌 표고버섯 차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에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영양학적 및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면서도 표고버섯의 독특한 향을 순화하여 대중이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는 뽕잎 표고버섯 차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뽕잎 표고버섯 차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건조과정, 덖음과정, 세절과정, 혼합과정의 특정 조건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가 본 발명을 구현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표고버섯 및 뽕잎을 포함하는 뽕잎 표고버섯 차를 제공하며,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르면 한련초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표고버섯, 뽕잎 및 한련초는 중량비 기준 14~18: 2~4: 1이고,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표고버섯, 뽕잎 및 한련초는 0.5mm 내지 3mm의 평균입경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표고버섯, 뽕잎 및 한련초를 각각 건조하는 단계, 상기 표고버섯, 뽕잎 및 한련초를 가열용기에서 각각 덖는 단계, 및 상기 덖은 표고버섯, 뽕잎 및 한련초를 세절한 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뽕잎 표고버섯 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여기서 표고버섯, 뽕잎 및 한련초는 0.5mm 내지 3mm의 평균입경을 갖도록 세절한 후, 중량비가 14~18: 2~4: 1이 되도록 혼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건조단계에서의 표고버섯은 양건과정을 거치고, 상기 뽕잎 및 한련초는 음건과정을 거치며,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덖는 단계는 90 내지 110℃의 가열용기에서 80 내지 120분간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뽕잎 표고버섯 차 제조방법은 덖는 단계 후 세절 단계 전 덖은 표고버섯, 뽕잎 및 한련초를 식히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덖는 단계 및 식히는 단계는 3회 내지 5회 반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뽕잎 표고버섯 차는 표고버섯, 뽕잎, 한련초가 지닌 영양적, 기능성 성분을 차 제품을 통해 용이한 방법으로 지속적으로 섭취할 수 있어 해당 재료의 효능이 이를 음용하는 개인에게 발휘될 확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고버섯이 갖는 강한 향이 뽕잎을 통해 순화되고, 표고버섯의 구아닌산 성분에 의한 독특한 향미 잔존 및 구취문제가 향련초를 통해 개선됨으로써 대중의 기호도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된 차는 덖음 과정을 통해 저장성이 향상되면서도 차에 적합한 향미를 제공할 수 있어 상품의 가치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건조, 덖음, 세절 및 혼합 단계를 통해 얻어진 뽕잎 표고버섯 차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뽕잎 표고버섯 차를 티백에 포장한 제품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뽕잎 표고버섯 차 및 그 제조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표고버섯 및 뽕잎을 포함하는 뽕잎 표고버섯 차를 제공하며, 한련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 ‘뽕잎 표고버섯 차’는 표고버섯, 뽕잎 등의 식물재료를 건조, 덖음, 세절 및 혼합과정을 통해 얻어진 고형상태의 혼합물 또는 조성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달리 표현하지 않는 한 식물재료의 주요 성분이 뜨거운 물에 우려진 액상물질을 표현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차 재료로 사용한 뽕잎은 쐐기풀목에 해당하는 뽕나무(Morus alba L.)로부터 얻은 잎을 의미하는 것으로 약 10cm 길이의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 모양 형태를 지니면서 당뇨병, 고혈압·동맥경화, 중금속배출, 에이즈 및 각종 암을 예방할 수 있는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련초(Eclipta prostrata L.)는 국화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서 온몸에 짧은 털이 나 있으며, 지혈, 탈모, 체력 개선, 치주질환 개선, 자궁암 등의 암 예방에 효능이 있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표고버섯, 뽕잎 및 한련초는 식품의약품안정처에서 식용가능한 식품 원재료로 분류하고 있어, 차 제품으로 활용하는데 법제도 상의 문제가 전혀 없는 식물재료이다.
본 발명의 뽕잎 표고버섯 차는 주재료인 표고버섯과 부재료인 뽕잎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뽕잎은 표고버섯이 갖는 고유의 독특한 향 또는 감칠맛을 순화하기 위해 넣어주는 재료로 표고버섯과 뽕잎은 중량비 기준으로 3~9: 1로 혼합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뽕잎 기준 표고버섯이 3배 미만일 경우 표고버섯의 독특한 향이 차에 우려지지 않게 되며 9배를 초과할 경우 그 향이 너무 강해 뽕잎을 통한 순화작용이 미비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표고버섯의 주재료에 부재료로 뽕잎과 한련초를 함께 넣어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한련초는 본 발명자가 표고버섯을 차의 재료로 사용할 경우 표고버섯이 갖는 다소 덥덥하고 비린 향미가 음용 후 입안에 잔존 및 지속 되어 뒷맛이 개운하지않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재료를 찾는 노력 과정에서 입냄새 제거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다양한 식물체 중에서 선택된 것이다. 이에 한련초 대신 입냄새 제거에 효능이 있는 녹차, 회향, 매화열매, 범부채, 페퍼민트 등의 식물체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잇몸의 염증, 지열 등에 효과가 있는 것을 알려진 한련초를 사용할 경우 표고버섯의 독특한 향미가 잔존하는 것을 개선 시키면서도 차 음용시 전체적 기호도 면에서도 가장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표고버섯, 뽕잎에 한련초를 함께 첨가할 경우 그 함량은 중량비 기준 14~18: 2~4: 1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한련초를 기준으로 표고버섯 및 뽕잎이 정해진 수치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표고버섯 고유의 향미가 저감될 수 있고 전체적인 기호도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으며, 정해진 수치를 초과하게 되면 한련초가 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뽕잎 표고버섯 차는 다른 차 재료와 같이 세절 과정을 거치되, 전체적인 기호도를 위해서 표고버섯, 뽕잎 및 한련초는 0.5mm 내지 3mm의 평균입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평균입경’은 각 세절 재료의 가장 긴 길이의 평균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표고버섯, 뽕잎 및 한련초의 평균입경이 0.5mm 미만인 경우 건조, 덖음 과정에서 재료의 고유 향이 증발되기 쉽고 보존기간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3mm를 초과할 경우 물에 용출되는 속도가 느려진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각 재료의 평균입경은 차이를 둘 수 있는데 이는 각 재료가 갖는 표면 재질의 차이로 인해 향의 휘발 정도 및 개별 재료 성분의 용출 속도상에서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에 표고버섯의 경우 1mm 내지 3mm의 평균입경을 갖도록 하고, 뽕잎 및 한련초는 0.5mm 내지 1.5mm의 평균입경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표고버섯, 뽕잎 및 한련초를 각각 건조하는 단계, 상기 표고버섯, 뽕잎 및 한련초를 가열용기에서 각각 덖는 단계 및 상기 표고버섯, 뽕잎 및 한련초를 0.5mm 내지 3mm의 평균입경을 갖도록 세절한 후, 중량비가 14~18: 2~4: 1가 되도록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뽕잎 표고버섯 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각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품질이 좋은 표고버섯, 뽕잎, 한련초를 채취하여 선별해야 하는데, 표고버섯은 크기가 균일하고 갓이 완전히 벌어지지 않고 탄력이 있으며 물기가 많지 않으면서도 줄기가 짧고 색상이 선명한 것을 차의 재료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뽕잎 및 한련초는 연하고 깨끗한 것을 사용한다.
다음 각 재료의 이물질을 제거해야 하는데, 특히 표고버섯의 경우 이물질 제거 과정에서 갓 안쪽이 손상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이물질이 제거된 각 재료는 수분함량이 5 내지 10중량%가 될 때까지 건조하는데 이때 건조과정을 통해 각 재료의 향미가 점차 증가하게 되며, 특히 표고버섯의 경우 독특한 감칠맛을 내는 구아닐산이 많아져 풍미가 증가한다. 본 발명의 건조단계는 각 재료마다 건조조건을 달리 정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며, 표고버섯의 경우 양건과정을 거치되, 뽕잎 및 한련초는 음건과정을 거치는 것이 각 재료가 갖는 유용성분의 파괴를 방지하거나 유용한 성분을 생성시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서 표고버섯에 양건과정을 거치는 것은 표고버섯에 함유된 에르고스테롤이 자외선의 작용으로 비타민 D2로 변하여 칼슘대사 및 칼슘성분흡수를 도와주는 효능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표고버섯을 건조할 경우 UV 등을 이용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도 비타민 D2를 다량 확보할 수 있고 4계절 균일한 제품을 대량 확보하는 측면에서 고려할 수 있다.
건조과정을 거친 각 재료는 차의 풍미를 보다 향상시키고 살청 효과에 따른 각 재료의 보존기간을 늘리기 위해 90 내지 110℃의 가열용기에서 40분 내지 80분간 덖는 과정을 거친다. 여기서 덖는 가열온도 및 시간은 표고버섯 차의 기호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만약 상기 온도에서 덖는 시간이 40분 미만일 경우 표고버섯 등의 재료에서 구수한 향미가 나지 않고 살청효과가 적어 저장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아울러 80분을 초과할 경우 각 재료의 고유 향이 휘발 되거나 덖음 과정에서 재료가 탈 가능성이 크다.
덖음과정은 가마솥 등의 가열용기 또는 별도의 덖음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각 재료는 따로 덖는 작업을 실시하되, 덖을 때는 균일하게 덖어질 수 있도록 골고루 저어준다. 이때 덖음기가 원형 드럼 형태인 경우에는 드럼이 회전하면서 내부에서 덖어지는 재료를 뒤섞이게 되므로 별도로 저어주는 작업이 필요 없다.
덖는 과정을 거친 후에는 각 재료를 혼합 및 세절하는 작업을 거치며,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경우 덖는 단계 후 세절 단계 전 덖은 표고버섯, 뽕잎 및 한련초를 식히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덖는 단계 및 식히는 단계는 3회 내지 5회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덖음 및 식히는 단계의 반복 횟수가 많은 경우 덖는 과정의 시간은 상대적으로 줄이는 것이 재료가 타는 것을 방지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예컨대 5회 반복할 경우 덖음 시간은 40분 근처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뽕잎 표고버섯 차의 제조방법에 따라 얻어진 차 재료는 도 2처럼 티백에 포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뜨거운 물 100 내지 200㎖에 티백을 넣고 2 내지 3분간 우려낸 후 음용하면 부드럽고 은은한 맛과 향의 뽕잎 표고버섯 차를 느낄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4: 뽕잎 표고버섯 차의 제조
김제의 한 송이농장에서 갓이 완전히 벌어지지 않고 탄력이 있으며 색상이 선명한 표고버섯을 채취하였고, 재배시장에서는 연하고 깨끗한 뽕잎 및 한련초를 각 5kg씩 구입하였다. 또한, 구입한 재료는 깨끗한 물에 씻어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그 다음 표고버섯은 햇볕이 잘 드는 장소에서 1주일간 건조하고, 뽕잎 및 한련초는 그늘진 장소에서 10일간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7 내지 10 중량%가 되도록 하였다.
그 후 건조된 각 재료를 덖음기(모델명: GFC-890, 다공기공(주))를 이용하여 100℃에서 60분간 덖음을 진행하였다. 덖은 각 재료는 세절기(모델명: KTLM-30, 코리아메디(주))를 이용하여 세절하였다. 이 후 각 재료를 혼합한 후, 1.2g씩 티백에 담아 포장하였다. 각 실시예에서 사용한 재료종류, 세절크기, 혼합비율은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112014052894872-pat00001
비교예 1-4: 표고버섯 차의 제조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건조과정, 덖음과정, 세절과정 및 혼합과정을 통해 표고버섯 차를 제조하되 비교예 1에서는 표고버섯만을 사용하였고, 비교예 2-4는 표고버섯에 뽕잎을 첨가하되 그 함량 및 평균입경을 달리하였다. 또한, 비교예 5-6에서는 표고버섯 및 뽕잎에 한련초 대신 다른 식물재료를 첨가하였다. 비교예 7-9는 표고버섯 및 뽕잎에 한련초를 첨가하되 그 함량 및 평균입경을 달리하였다. 각 비교예에서 사용한 재료종류, 세절크기, 혼합비율은 표 2와 같다.
[표 2]
Figure 112014052894872-pat00002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9의 표고버섯 차 티백을 뜨거운 물 150㎖에 넣고 3분간 2차례 우려낸 후 2번째 우려낸 차를 훈련된 관능검사요원 20명을 대상으로 관능평가를 하였다. 평가항목은 음용시 표고버섯의 독특한 향에 의한 음용시 기호도와 음용 후 표고버섯 향미의 지속 및 잔존에 따른 음용 후 만족도에 대하여 가장좋다를 7점, 가장 나쁘다를 1점으로 하는 7점 기호 척도법(Stone & Sidel. Stone evaluation practices. Academic press Inc., New York, USA. p45. 1995)에 따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표 3과 같다.
[표 3]
Figure 112014052894872-pat00003
상기 표 3을 살펴보면,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을 통해 표고버섯만을 이용한 것보다 뽕잎을 첨가할 경우 표고버섯의 답답하고 비린 특유의 향을 순화시켜 응용시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는 비교예 2-4와 비교를 통해 표고버섯 및 뽕잎의 함량비와 세절크기도 음용시 기호도에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0은 한국특허등록번호제10-1200713호의 권리자가 해당 특허를 기초로 판매한 제품을 실험을 위해 구입한 후 관능평가한 것으로 해당 제품은 곰취를 부재료로 사용하고 있다. 비교예 10과 실시예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서 뽕잎을 부재료로 이용할 경우 음용시 기호도가 보다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2 및 실시예 3-4를 통해서도 한련초를 이용하면 음용 후 만족도가 개선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비교예 5-6과 비교해 살펴보면 한련초는 입냄새에 효능이 있는 다른 식물재료보다 효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7-9와 비교해서도 한련초의 함량 및 세절크기 등도 음용 후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표고버섯, 뽕잎 및 한련초를 중량비 기준 14~18: 2~4: 1로 포함하고,
    상기 표고버섯, 뽕잎 및 한련초는 표고버섯, 뽕잎 및 한련초를 각각 건조하는 단계; 상기 표고버섯, 뽕잎 및 한련초를 가열용기에서 각각 덖는 단계; 및 상기 표고버섯, 뽕잎 및 한련초를 0.5mm 내지 3mm의 평균입경을 갖도록 세절한 후, 중량비가 14~18: 2~4: 1가 되도록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며,
    상기 건조단계에서의 표고버섯은 양건과정을 거치고, 상기 뽕잎 및 한련초는 음건과정을 거치며,
    상기 표고버섯은 양지에서 1주일간 건조하고, 상기 뽕잎 및 한련초는 그늘진 장소에서 10일간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7-10 중량%가 되도록 하고,
    상기 덖는 단계는 90 내지 110℃의 가열용기에서 40분 내지 80분간 이루어지며,
    상기 덖는 단계 후 세절 단계 전 상기 덖은 표고버섯, 뽕잎 및 한련초를 식히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덖는 단계 및 식히는 단계는 3 내지 5회 반복하는
    뽕잎 표고버섯 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표고버섯, 뽕잎 및 한련초를 각각 건조하는 단계;
    상기 표고버섯, 뽕잎 및 한련초를 가열용기에서 각각 덖는 단계; 및
    상기 표고버섯, 뽕잎 및 한련초를 0.5mm 내지 3mm의 평균입경을 갖도록 세절한 후, 중량비가 14~18: 2~4: 1가 되도록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단계에서의 표고버섯은 양건과정을 거치고, 상기 뽕잎 및 한련초는 음건과정을 거치며,
    상기 표고버섯은 양지에서 1주일간 건조하고, 상기 뽕잎 및 한련초는 그늘진 장소에서 10일간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7-10 중량%가 되도록 하고,
    상기 덖는 단계는 90 내지 110℃의 가열용기에서 40분 내지 80분간 이루어지며,
    상기 덖는 단계 후 세절 단계 전 상기 덖은 표고버섯, 뽕잎 및 한련초를 식히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덖는 단계 및 식히는 단계는 3 내지 5회 반복하는 뽕잎 표고버섯 차의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40068090A 2014-06-05 2014-06-05 뽕잎 표고버섯 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646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090A KR101646832B1 (ko) 2014-06-05 2014-06-05 뽕잎 표고버섯 차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090A KR101646832B1 (ko) 2014-06-05 2014-06-05 뽕잎 표고버섯 차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429A KR20150140429A (ko) 2015-12-16
KR101646832B1 true KR101646832B1 (ko) 2016-08-09

Family

ID=55080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8090A KR101646832B1 (ko) 2014-06-05 2014-06-05 뽕잎 표고버섯 차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68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713B1 (ko) * 2010-11-29 2012-11-13 강원친환경 영농조합법인 표고버섯 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04988B1 (ko) * 2012-05-02 2012-11-26 최유정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진 차의 제다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713B1 (ko) * 2010-11-29 2012-11-13 강원친환경 영농조합법인 표고버섯 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04988B1 (ko) * 2012-05-02 2012-11-26 최유정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진 차의 제다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aum 블로그(전라북도 농식품 및 아이디어 가공제품 콘테스트에 출품한 제품 중 _‘채중선품’이라는 전통차에 관한 발명. 2012.09.1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429A (ko) 201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39639A (zh) 一种琥珀乌龙茶的制作方法
KR20150014799A (ko) 레몬밤 분말이 첨가된 떡갈비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100714845B1 (ko) 조미김용 기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조미김의 제조방법
KR101526124B1 (ko) 앤초비 간장소스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앤초비 간장소스
KR20170136710A (ko) 간장초절임 깻잎장아찌의 제조방법
KR101449993B1 (ko) 배즙 부산물을 이용한 배 티백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즙 부산물을 이용한 배 티백차
KR101401646B1 (ko) 기능성 국수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기능성 국수
KR101646832B1 (ko) 뽕잎 표고버섯 차 및 그 제조방법
JP4439928B2 (ja) 大麦若葉粉末の製造方法
JP4572263B1 (ja) 岩山椒葉青唐辛子香辛料とその製造方法
KR100920494B1 (ko) 복분자 열매와 잎을 이용한 복분자차의 제조방법
JP4339911B2 (ja) 大根及びカボチャの成分を含有するエキスの製造方法とそのエキスを用いた顆粒及び錠剤の製造方法
KR100451998B1 (ko) 양념소스의 제조방법
JP2009183262A (ja) シークヮーサー葉粉末入り緑色唐辛子末
JP2002051754A (ja) ハーブティーの製造方法
WO2008015774A1 (fr) Assaisonnement liquide
CN103393197A (zh) 大蒜保健饮料及制备方法
CN104543916A (zh) 一种用于豆瓣辣椒调味使用的香料
CN104187867A (zh) 一种酒醉白米虾及其制备方法
KR20200100257A (ko) 비파 블렌딩 차의 제조방법
CN1219465C (zh) 大蒜饮料及制备方法
KR101585498B1 (ko) 순대 및 순대 제조방법
JP2006101732A (ja) 桑葉茶とその製造方法
KR101425960B1 (ko) 고구마순 김치 제조방법
KR100971426B1 (ko) 콩녹두전용 반죽 조성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