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840B1 - 3 피스 캔체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3 피스 캔체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840B1
KR101645840B1 KR1020147031723A KR20147031723A KR101645840B1 KR 101645840 B1 KR101645840 B1 KR 101645840B1 KR 1020147031723 A KR1020147031723 A KR 1020147031723A KR 20147031723 A KR20147031723 A KR 20147031723A KR 101645840 B1 KR101645840 B1 KR 101645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steel sheet
strength
rolling
mp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1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4375A (ko
Inventor
마사키 타다
카츠미 코지마
히로키 나카마루
요이치 토비야마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71168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64584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04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8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42Details of metal wal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2/00Non-ferrous alloys containing at least 5% by weight but less than 50% by weight of oxides, carbides, borides, nitrides, silicides or other metal compounds, e.g. oxynitrides, sulfides, whether added as such or formed in sit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shape
    • B65D7/0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shape of curved cross-section, e.g. cans of circular or elliptical cross-s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73Final recrystallisation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특히 고강도의 3 피스 캔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질량%로, C:0.020% 이상 0.100% 이하, Si:0.10% 이하, Mn:0.10% 이상 0.80% 이하, P:0.001% 이상 0.100% 이하, S:0.001% 이상 0.020% 이하, Al:0.005% 이상 0.100% 이하, N:0.0130% 이상 0.0200% 이하를 함유하고, 잔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항복 강도가 440㎫ 이상, 전 연신율이 12% 이상인 강판을 캔체의 진원도가 0.34㎜ 이하가 되도록 성형한 캔 몸통부를 갖는 3 피스 캔체.

Description

3 피스 캔체 및 그 제조 방법{THREE-PIECE CAN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고강도의 3 피스 캔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캔용 강판은, 캔 비용 저감(경량화), 환경 보호에의 대응으로부터 판 두께의 박육화(薄肉化)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캔 제조 소재로서의 강판은 판 두께에 대응한 강도가 필요하게 되어, 얇게 함에 따른 캔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약 440㎫ 이상의 항복 강도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판 두께의 저감에 수반해서 캔 강도의 저하가 우려되어, 그 대응책에 대해 이미 몇 가지 연구 개발이 행해져 왔다. 강판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C를 0.08질량% 이상 첨가하여, 강판의 강도를 확보하는 것과, 냉간 압연하고 소둔(燒鈍)한 후에 2회째의 냉간 압연을 행해서, 가공 경화에 의해 강판 강도를 상승시킨 것(DR강판(double reduced steel sheet)) 등이 있었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문제를 안고 있다. C량이 0.08질량% 이상으로 높아지면 연속 주조의 응고시에 아포정(亞包晶) 영역의 성분 영역이 되기 때문에 포정 반응에 기인하는 슬래브 균열이 발생한다. 또한, DR강판의 경우, 강판의 강도는 상승한다. 그러나 동시에 가공 경화에 따른 연신율의 저하를 초래하여, 플랜지 가공시의 균열의 발생 원인이 된다. 또, 음료 캔, 음식 캔의 뚜껑으로서는, EOE(Easy Open End)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EOE(캔 뚜껑)를 제조할 때에는, 탭을 장착하기 위한 리벳을 스트레칭 가공 및 드로우잉 가공에 의해 성형할 필요가 있고, 이 가공에 요구되는 재료의 연성은, 인장 시험에서의 약 12%의 전(全) 연신율에 상당하다.
또한, 캔 몸통에 뚜껑 및 바닥을 장착하여 3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3 피스 음료 캔의 몸통 재료는, 통 모양으로 성형된 후, 뚜껑과 바닥을 덮기 위해 양단에 플랜지 가공을 행하기 때문에, 동일하게 캔 몸통 단부에도 약 12%의 전 연신율이 요구된다.
종래 사용되어 왔던 DR강판은, 가공 경화에 의해 강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그러나 동시에 가공 경화에 의해 전 연신율이 저하하여 가공성이 떨어지는 과제가 있었다.
또, 강판이, 표면 처리 공정을 거쳐, 캔용 강판으로 출하된 후, 또, 도장, 슬릿 공정, 롤 폼에 의한 가공을 받은 후, 용접기로 용접된다. 그 후, 용접부의 보수 도장에 의한 가열을 받고, 네크·플랜지 가공, 바닥 뚜껑 장착, 내면 도장과 도장 소부(燒付) 공정을 거쳐 제품이 된다. 또, 내용물이 충전되고 나서 상부 뚜껑이 장착된 후, 레토르트 처리에서의 가열 살균을 받는다. 이 레토르트 살균을 행했을 때 내부가 음압(陰壓)인 캔에 대해, 레토르트 증기에 의한 외압에 저항하는 캔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외압보다 캔체 강도가 낮은 경우는 캔 표면부에 오목한 곳이 발생하는 결함이 생긴다. 최근, 환경을 배려한 캔 경량화를 실현하기 위해 캔용 소재는 박육화하고 있으며, 캔체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DR재를 비롯한 고강도재가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두께가 얇은 고강도재를 사용함으로써 형상 동결성이 저하하여, 롤 포밍 가공 후에 원통 형상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C:0.01∼0.10wt%, Mn:0.1∼1.0wt%를 함유하고, 또 영률 E가 17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원통부의 진원도가 달라지기 어렵고, 형상 유지성이 뛰어난 캔용 강판과 그 제조 방법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mass%로, C:0.04% 초과 0.08% 이하, Si:0.02% 이하, Mn:1.0% 이하, P:0.04% 이하, S:0.05% 이하, Al:0.1% 이하, N:0.005∼0.02% 이하를 함유하고, 또, 강판 속에 고용하는 C 및 고용 N의 합계가, 50ppm≤고용 C+고용 N≤200ppm, 또 강판 속의 고용 C가 50ppm 이하이고 또, 강판 속의 고용 N이 50ppm 이상인 범위로 이루어지며, 잔부(殘部)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 성형성이 뛰어난 고강도 용접 캔용 박강판(薄鋼板) 및 그 제조 방법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3663918호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4276388호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모두 이하에 나타내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강판에서는 영률을 저하시키기 위해, 열연 마무리 압연에서 변태점 이하에서의 압연을 할 필요가 있어, 압연 하중이 상승하기 때문에 제조가 곤란하다. 또한, 폭 방향의 재질 균일성이 현저히 저하한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강판에서는, 강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1차 냉간 압연 및 소둔 후에 높은 압하율로 2차 냉간 압연을 할 필요가 있어, 비용 증가가 불가피하다. 또, DR강판에서는, 소둔 후에 2차 냉간 압연을 행하는 것에 의해 전 연신율이 저하하여, 코일의 폭 방향과 길이 방향의 모든 부위에서 전 연신율 12% 이상을 확보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3 피스 캔 몸통 재료로 적합한, 항복 강도가 440㎫ 이상, 전 연신율이 12% 이상인 강판을, 캔 성형 후의 캔체의 진원도가 0.34㎜ 이하가 되도록 진원에 가까운 원통 형상으로 하기 위한 가공성이 뛰어난 3 피스 캔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행하여 아래와 같은 식견을 얻었다.
(1) 적절한 양의 N을 첨가하여 강도를 부여하면서, 재결정 온도 이상에서 소둔 후에 급냉시키는 것에 의해, 과포화된 C, N을 확보하여 강도와 연신율을 확보한다.
(2) 고N강(高N鋼)을 사용하며, 또 C, N에 의한 변형 시효 경화를 이용함으로써, 롤 포밍 시는, 항복 강도가 낮고 용이하게 진원도가 양호한 원통 형상으로 할 수 있고, 롤 포밍 후에 용접부 보수 도장이나 캔 내면 도장에서의 소부 처리를 받음으로써 변형 시효 경화에 의해 강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3) (2)를 받아, 소재의 롤 포밍성도 양호하기 때문에, 용접 시의 게이트 조정이 행하기 쉽고 진원도가 뛰어난 캔체를 제조할 수 있다.
(4) 캔의 진원도를 규정하는 것에 의해, 레토르트(가압 가열) 살균 처리에서의 외압을 받았을 때에 진원도가 나쁜 부분에 압력이 집중하는 것에 따른 캔의 오목한 곳을 회피할 수 있다.
또, 변형 시효 경화는, 강판 속의 고용(固溶) C, N량을 증가시켜, 조질(調質) 압연 등으로 변형이 도입되는 것에 의해, 전위(轉位)가 생겨 응력장(應力場)이 발생하고, C, N원자가 전위 주변에 모여 전위를 고착시킴으로써 강도를 상승시키는 경화 방법이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식견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요지는 이하와 같다.
[1] 질량%로, C:0.020% 이상 0.100% 이하, Si:0.10% 이하, Mn:0.10% 이상 0.80% 이하, P:0.001% 이상 0.100% 이하, S:0.001% 이상 0.020% 이하, Al:0.005% 이상 0.100% 이하, N:0.0130% 이상 0.0200% 이하를 함유하고, 잔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항복 강도가 440㎫ 이상, 전 연신율이 12% 이상인 강판을 캔체의 진원도가 0.34㎜ 이하가 되도록 성형한 캔 몸통부를 갖는 3 피스 캔체.
[2] 질량%로, C:0.020% 이상 0.100% 이하, Si:0.10% 이하, Mn:0.10% 이상 0.80% 이하, P:0.001% 이상 0.100% 이하, S:0.001% 이상 0.020% 이하, Al:0.005% 이상 0.100% 이하, N:0.0130% 이상 0.0200% 이하를 함유하고, 잔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항복 강도가 440㎫ 이상, 전 연신율이 12% 이상인 강판을 캔체의 진원도가 0.34㎜ 이하가 되도록 캔 몸통부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피스 캔체의 제조 방법.
또, 본 명세서에서, 강의 성분을 나타내는 %는, 모두 질량%이다. 또한, 본 발명의 캔용 강판에서, 고강도란 항복 강도 440㎫ 이상, 고가공성이란 전 연신율 12% 이상을 말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공성이 뛰어난 3 피스 캔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 강 성분 조성의 각 원소의 함유량 단위는 모두 「질량%」로, 이하, 특별히 밝히지 않는 한 단지 「%」로 나타낸다.
본 발명의 3 피스 캔체는, 소정의 성분을 갖고, 항복 강도가 440㎫ 이상, 전 연신율이 12% 이상인 강판을 캔체의 진원도가 0.34㎜ 이하가 되도록 성형한 캔 몸통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러한 강판은, 0.0130% 이상 0.0200% 이하의 N을 함유하는 강을 사용하여, 열간 압연 후의 권취(卷取) 온도 및 조질 압연율, 및 소둔 온도, 냉각 속도를 적정한 조건으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소둔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강판의 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캔의 가공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캔용 강판의 성분 조성에 대해 설명한다.
C:0.020% 이상 0.100% 이하
본 발명의 캔용 강판에서는, N량을 높임으로써 고강도를 확보하는 한편, C량을 높게 함으로써 고강도를 발휘한다. C량이 0.020% 미만이면, 강판의 박육화에 따른 현저한 경제 효과를 얻기 위해 필요한 항복 강도 440㎫가 얻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C량의 하한은 0.020%로 한다. 한편, C량이 0.100%를 넘으면 C량이 아포정 영역이 되어 과잉으로 경질이 되며, 주조 시의 열간 연성이 저하해서, 슬래브 균열 등이 발생하기 쉬워져, 가공성을 확보한 채 얇은 강판을 제조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C량의 상한은 0.100%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020% 이상 0.080% 이하이다.
Si:0.10% 이하
Si량이 0.10%를 넘으면, 표면 처리성의 저하, 내식성의 열화 등과 같은 문제를 불러 일으키므로, 상한은 0.10%로 한다. 한편, 0.003% 미만으로 하려면 정련 비용이 과대해지기 때문에, 하한은 0.003%가 바람직하다.
Mn:0.10% 이상 0.80% 이하
Mn은, S에 의한 열연(熱延) 중의 적열 취성(赤熱脆性)을 방지하고, 결정립을 미세화하는 작용을 가지므로, 바람직한 재질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원소이다. 또, 박육화한 재료로 캔 강도를 만족시키려면 재료의 고강도화가 필요하다. 이 고강도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Mn량의 하한은 0.10%로 한다. 한편, Mn을 다량으로 지나치게 첨가하면, 내식성이 열화하고, 또한 강판이 과잉으로 경질화하므로, 상한은 0.80%로 한다.
P:0.001% 이상 0.100% 이하
P는, 강을 경질화시켜, 가공성을 악화시킴과 동시에, 내식성도 악화시키는 유해한 원소이다. 그 때문에, 상한은 0.100%로 한다. 한편, P를 0.001% 미만으로 하려면 탈인 비용이 과대해진다. 따라서, 하한은 0.001%로 한다.
S:0.001% 이상 0.020% 이하
S는, 강 속에 개재물로서 존재하며, 연성의 저하, 내식성의 열화를 초래하는 해로운 원소이다. 그 때문에, 상한은 0.020%로 한다. 한편, S를 0.001% 미만으로 하려면 탈황 비용이 과대해진다. 따라서, 하한은 0.001%로 한다.
Al:0.005% 이상 0.100% 이하
Al은, 제강 시의 탈산제로서 필요한 원소이다. 첨가량이 적으면, 탈산이 불충분해져, 개재물이 증가하고, 가공성이 열화한다. 따라서, 하한이 0.005%이면 충분히 탈산이 행해진다. 한편, 함유량이 0.100%를 넘으면, 알루미나 클러스터 등에 기인하는 표면 결함의 발생 빈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Al량의 상한은 0.100%로 한다.
N:0.0130% 이상 0.0200% 이하
N은 다량으로 첨가하면, 주조 시의 N기포가 슬래브 표층에 트래핑되기 때문에, 블로우 홀이 증가하고, 표면 결함이 발생하여 표면 품질이 저하하는 경향이 되며, 열간 연성이 열화하여, 연속 주조에서 슬래브의 균열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한은 0.0200%로 한다. 또한, 강판 강도 유지의 관점에서, N량의 하한은 0.0130%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0150% 이상 0.0180% 이하이다. N량을 0.0180% 이하로 함으로써 표면 품질의 저하 및 열간 연성의 열화가 특히 억제되며, N량을 0.0150% 이상으로 함으로써 강판 강도의 유지가 특히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바람직하다.
또, 잔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캔용 강판의 기계적 성질에 대해 설명한다.
항복 강도는 440㎫ 이상으로 한다. 항복 강도가 440㎫ 미만이면, 캔 제조 소재로서의 강판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현저한 경제 효과가 얻어질 만큼 강판을 얇게 할 수 없다. 따라서, 항복 강도는 440㎫ 이상으로 한다.
전 연신율은 12% 이상으로 한다. 전 연신율이 12% 미만이면, 3 피스 캔의 플랜지 가공 시에 균열을 발생시킨다. 또한, EOE(캔 뚜껑)에 적용한 경우에도, 리벳 가공 시에 균열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전 연신율은 12% 이상으로 한다.
또, 상기 인장 강도 및 상기 전 연신율은 「JIS Z 2241」에 나타나는 금속 재료 인장 시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캔체의 진원도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캔체의 진원도는 0.34㎜ 이하로 한다. 캔체의 진원도를 0.34㎜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캔체 강도를 레토르트 살균 종료 후에 외압에 의해 캔체가 찌부러지지 않는 0.147㎫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캔체의 진원도는, (1) 캔 몸통 가공에서의 롤 폼 성형 시의 응력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한 형상 제어와, N량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한 캔 몸통 가공 후의 스프링 백량의 제어, 및 (2) 용접 시에 캔의 형상을 유지하여 캔을 내보내는 게이트 롤러와 캔 몸통과의 클리어런스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캔체의 진원도는, 「JIS B 062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원형 형체(캔 몸통)를 2개의 동심인 기하학적 원 사이에 두었을 때, 동심인 두 원의 간격이 최소가 되는 경우의, 두 원의 반경 차로 구할 수 있으며, 캔 몸통의 둘레 방향(캔의 몸통부 단면)의 진원도를 캔체의 진원도로 한다.
또, 캔체의 진원도는 「JIS B 7451」에 규정된 진원도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JIS B 0621」 및 「JIS B 0021」에 나타나는 진원도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진원도 측정에는 상부 뚜껑, 바닥 뚜껑을 장착한 캔체를 사용하여, 캔 몸통의 높이 방향의 중앙부를 원주 방향으로 측정했다. 또한, 스프링 백의 시험법은 「JIS G 3303」에 나타나 있는 방법으로 행하며, 평가 지표로서 스프링 백 각도 θ(°)를 사용했다.
본 발명에서, 고N강을 사용하고, 또 C, N에 의한 변형 시효 경화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강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즉, C, N을 본 발명의 성분 범위로 하여 고용 C, N량을 증가시킴과 아울러, 조질 압연 등에 의해 변형이 도입되면, 전위가 생겨 응력장이 발생하고, C, N원자가 전위 주변에 모여 전위를 고착해서 강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3 피스 캔체에 사용하는 강판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3 피스 캔체에 사용하는 강판은, 연속 주조에 의해 제조된 상기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강 슬래브를 사용한다. 이 강 슬래브의 열간 압연을 행한 후에 620℃ 미만의 온도로 권취하고, 이어서, 85% 초과의 1차 냉간 압연율로 1차 냉간 압연을 행한다. 균열(均熱) 온도 620℃ 이상 780℃ 이하로 소둔 후에 냉각 속도 80℃/초 이상 300℃/초 이하로 냉각을 행하고, 이어서, 5% 미만의 압연율로 조질 압연을 행함으로써 제조한다. 또, 소둔 시에는 재결정 온도 이상으로 소둔을 행하여, 재결정을 완료한다.
열간 압연 후의 권취 온도:620℃ 미만
열간 압연 후의 권취 온도가 620℃ 이상이면, 항복 강도 상승을 위해 확보한 고용 N이, AlN으로 재석출(再析出)하여, 항복 강도 저하를 불러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열간 압연 후의 권취 온도는 620℃ 미만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590℃ 이하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60℃ 이하이다.
1차 냉간 압연율:85% 초과
1차 냉간 압연율이 낮은 경우, 최종적으로 매우 얇은 강판을 얻기 위해 열간 압연의 압연율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열간 압연율을 크게 하는 것은 열연재를 얇게 함으로써, 냉각이 촉진되어, 마무리 온도를 확보하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상과 같은 이유로 인해, 1차 냉간 압연율은 85% 초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92% 이하이다.
소둔
소둔 시에는 재결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한다. 조업 효율 및 박강판 소둔 중의 파단 방지의 관점에서 균열 온도는 620∼78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목표 항복 강도 440㎫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가열 후에 냉각 속도 80℃/초 이상 300℃/초 이하에서의 급속 냉각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과포화 C, N을 확보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80℃/초 이상 130℃/초 이하이다. 또, 냉각에는 가스 제트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조질 압연율:5% 이하
조질 압연율은 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질 압연율을 5% 초과로 하면, 조질 압연 밀의 하중이 증대하고, 가공 부하가 과대해진다. 또한, 강판의 슬립이나 점핑 현상이 발생하기 쉬워져, 조질 압연을 행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조질 압연율은 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3.5% 이하이다.
조질 압연 이후는, 표면 처리 등의 공정을 통상의 방법대로 행하여, 캔용 강판으로서 마무리한다.
본 발명의 3 피스 캔체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상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캔용 강판을, 도금, 라미네이트 등과 같은 표면 처리를 행하고, 필요에 따라 인쇄, 도장을 행한다. 이어서, 얻어진 소재를 소정의 사이즈로 절단하여 직사각형 블랭크로 한다. 또, 이후, 직사각형 블랭크를 롤 포밍한 후에 단부를 접합하는 방법으로 캔 몸통을 제조할 수 있다. 얻어진 캔 몸통에 뚜껑 및 바닥을 장착하여 3 피스 캔체로 한다.
실시예 1
표 1에 나타내는 성분 조성을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을 실제 기계인 전로에서 용제하여, 연속 주조법에 의해 강판 슬래브를 얻었다. 얻어진 강판 슬래브를 1250℃로 재가열한 후, 표 2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열간 압연, 1차 냉간 압연, 연속 소둔, 조질 압연을 실시했다. 열간 압연의 마무리 압연 온도는 890℃로 하고, 압연 후에는 산세(酸洗)를 실시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강판에 Sn도금을 양면에 연속적으로 실시하여, 편면(片面) Sn부착량 2.8g/㎡의 양철을 얻었다.
Figure 112014108790385-pct00001
Figure 112014108790385-pct00002
Figure 112014108790385-pct00003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도금 강판(양철)에 대해, 210℃, 10분의 도장 소부 상당의 열처리를 행한 후, 인장 시험을 행했다. 인장 시험은, JIS 5호 사이즈의 인장 시험편을 사용하여, 인장 속도 10㎜/min으로 항복 강도 및 전 연신율을 측정했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캔 강도를 측정했다. 캔 강도는, 항복 강도와 진원도의 영향을 받는다. 캔 강도의 측정은, 판 두께 0.185㎜의 샘플을 캔 몸통 직경 63㎜의 캔으로 성형한 후, 캔을 챔버 내에 장입하고, 챔버 내부에 압축 공기를 도입하여, 캔 몸통이 변형했을 때의 압력을 측정했다. 내부 압력이 0.147㎫이어도 캔 몸통이 변형하지 않았을 때를 ◎, 내부 압력이 0.137㎫ 이상 0.147㎫ 미만에서 캔 뚜껑이 변형했을 때를 ○, 0.137㎫ 미만에서 캔 뚜껑이 변형했을 때를 x로 했다.
가공성 평가는, 눈으로 관찰하여, 롤 포밍 후에 캔 몸통부에 캔의 높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꺾은 선이 생기는 좌굴이 없는 경우를 ○, 있는 경우를 x로 했다.
진원도 평가는, (주)도쿄세이미츠의 론컴 50A-310을 사용하여 「JIS B 0621」 및 「JIS B 0021」에 나타나는 방법으로 측정된 수치를 이용하였다.
스프링 백 각도 θ(°) 평가는, 「JIS G 3303」에 나타나 있는 방법으로 행하여, 105°미만을 합격으로 했다.
시험 결과를 표 2, 표 3에 나타낸다. 표 1∼3으로부터 발명예인 No. 6∼10, No. 12∼16은, 양호한 가공을 달성하고 있으며, 3 피스 캔체로서의 강도가 뛰어나다. 특히, 발명예 No. 10은, 진원도가 0.21㎜로 작기 때문에, 캔 강도가 뛰어나다.
한편, 비교예는, 캔 강도 또는 가공성이 떨어져 있다. 비교예 No. 1, 3, 11, 17은, 진원도가 0.35㎜로 너무 크기 때문에, 캔 강도가 떨어져 있다. 비교예 No. 1은, C함유량이 너무 적기 때문에, 항복 강도가 부족하다. 또한, 비교예 No. 2는, C함유량이 너무 많기 때문에, 조질 압연에 의해 연성이 손상되어, 전 연신율이 부족하다. 비교예 No. 3은, Mn함유량이 너무 적기 때문에, 항복 강도가 부족하다. 비교예 No. 4는, Mn함유량이 너무 많기 때문에, 조질 압연에 의해 연성이 손상되어, 전 연신율이 부족하다. 또한, 비교예 No. 5는, N함유량이 너무 적기 때문에, 항복 강도가 부족하다. 비교예 No. 11은, 권취 온도가 너무 높기 때문에, 결정립이 조대화(粗大化)하여 강도가 부족하다.
본원 발명의 3 피스 캔체는, 캔 강도가 뛰어나며, 캔 강도가 필요한 여러 가지 용도에 이용 가능하다. 또한, 이 재료는, 뚜껑, 바닥, EOE나 2 피스 캔 몸통에도 사용할 수 있다.

Claims (2)

  1. 질량%로, C:0.020% 이상 0.100% 이하, Si:0.003% 이상 0.10% 이하, Mn:0.10% 이상 0.80% 이하, P:0.001% 이상 0.100% 이하, S:0.001% 이상 0.020% 이하, Al:0.005% 이상 0.100% 이하, N:0.0130% 이상 0.0200% 이하를 함유하고, 잔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210℃, 10분의 열처리를 한 후의 항복 강도가 440㎫ 이상 490MPa 이하, 전 연신율이 12% 이상인 강판을 캔체의 진원도가 0.34㎜ 이하가 되도록 성형한 캔 몸통부를 갖는 3 피스 캔체.
  2. 질량%로, C:0.020% 이상 0.100% 이하, Si:0.003% 이상 0.10% 이하, Mn:0.10% 이상 0.80% 이하, P:0.001% 이상 0.100% 이하, S:0.001% 이상 0.020% 이하, Al:0.005% 이상 0.100% 이하, N:0.0130% 이상 0.0200% 이하를 함유하고, 잔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210℃, 10분의 열처리를 한 후의 항복 강도가 440㎫ 이상 490MPa 이하, 전 연신율이 12% 이상인 강판을 캔체의 진원도가 0.34㎜ 이하가 되도록 캔 몸통부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피스 캔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강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강 슬래브를 열간 압연하여, 열연 강판을 제조하고,
    상기 열연 강판을 620℃ 미만의 온도에서 권취하고,
    이어서, 85%를 초과하는 1차 냉간 압연율로 1차 냉간 압연하여, 냉연 강판을 제조하고,
    상기 냉연 강판을 620℃ 이상 660℃ 이하의 균열 온도에서 소둔하고,
    이어서, 80℃/sec 이상이며 300℃/sec 이하의 냉각 속도로 냉각하고,
    이어서, 5% 이하의 압연율로 조질 압연하는,
    3 피스 캔체의 제조 방법.
KR1020147031723A 2012-06-06 2013-06-03 3 피스 캔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6458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28739 2012-06-06
JP2012128739 2012-06-06
PCT/JP2013/003481 WO2013183274A1 (ja) 2012-06-06 2013-06-03 3ピース缶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375A KR20150004375A (ko) 2015-01-12
KR101645840B1 true KR101645840B1 (ko) 2016-08-04

Family

ID=49711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1723A KR101645840B1 (ko) 2012-06-06 2013-06-03 3 피스 캔체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669961B2 (ko)
EP (1) EP2860124B2 (ko)
JP (1) JP5854134B2 (ko)
KR (1) KR101645840B1 (ko)
CN (1) CN104334460A (ko)
IN (1) IN2014MN02290A (ko)
MY (1) MY170304A (ko)
TW (1) TWI493053B (ko)
WO (1) WO20131832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38103B (zh) * 2014-04-15 2016-05-11 河北钢铁股份有限公司唐山分公司 两片罐用马口铁mrt-3基板及其生产方法
DE102014112286A1 (de) * 2014-08-27 2016-03-03 Thyssenkrupp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ufgestickten Verpackungsstahls
US20180112295A1 (en) * 2015-03-31 2018-04-26 Jfe Steel Corporation Steel sheet for can lid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s amended)
JP6028884B1 (ja) * 2015-03-31 2016-11-2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缶用鋼板及び缶用鋼板の製造方法
JP6191807B1 (ja) * 2016-02-29 2017-09-0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缶用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040329A (zh) * 2019-05-13 2019-07-23 福建德通金属容器股份有限公司 多边形几何结构罐身的三片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4399A (ja) 2001-04-03 2002-10-09 Nippon Steel Corp フランジ成形性に優れた高強度溶接缶用薄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174055A (ja) 1999-08-04 2009-08-06 Jfe Steel Corp 高強度極薄冷延鋼板用母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263788A (ja) * 2008-04-03 2009-11-12 Jfe Steel Corp 高強度缶用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8212A (ja) 1983-12-14 1985-07-09 Nippon Steel Corp 温間強度特性のすぐれたイ−ジ−オ−プン缶用鋼板の製造法
JP3593235B2 (ja) 1997-02-26 2004-11-2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成形性に優れた高強度な極薄溶接缶用鋼板の製造方法
JP3663918B2 (ja) 1998-07-02 2005-06-2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形状維持性に優れる缶用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11129B2 (ja) 1999-03-31 2009-01-2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速溶接性に優れた缶用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FR2795743B1 (fr) 1999-07-01 2001-08-03 Lorraine Laminage Tole d'acier a basse teneur en aluminium pour emballage
FR2795744B1 (fr) 1999-07-01 2001-08-03 Lorraine Laminage Tole d'acier a basse teneur en aluminium pour emballage
JP3565131B2 (ja) 2000-03-30 2004-09-1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ロールフォーミング性に優れた3ピース缶用鋼板
JP3879440B2 (ja) * 2001-06-07 2007-02-1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冷延鋼板の製造方法
TW200827460A (en) * 2006-08-11 2008-07-01 Nippon Steel Corp DR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851158B1 (ko) * 2006-12-27 2008-08-08 주식회사 포스코 충돌특성이 우수한 고망간형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4235247B1 (ja) 2007-09-10 2009-03-1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製缶用高強度薄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4055A (ja) 1999-08-04 2009-08-06 Jfe Steel Corp 高強度極薄冷延鋼板用母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294399A (ja) 2001-04-03 2002-10-09 Nippon Steel Corp フランジ成形性に優れた高強度溶接缶用薄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263788A (ja) * 2008-04-03 2009-11-12 Jfe Steel Corp 高強度缶用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36635A1 (en) 2015-05-21
WO2013183274A1 (ja) 2013-12-12
KR20150004375A (ko) 2015-01-12
EP2860124B1 (en) 2016-12-28
IN2014MN02290A (ko) 2015-08-07
JP5854134B2 (ja) 2016-02-09
EP2860124A1 (en) 2015-04-15
TW201404897A (zh) 2014-02-01
US9669961B2 (en) 2017-06-06
TWI493053B (zh) 2015-07-21
EP2860124A4 (en) 2015-08-19
CN104334460A (zh) 2015-02-04
EP2860124B2 (en) 2020-03-18
JPWO2013183274A1 (ja) 2016-01-28
MY170304A (en)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5840B1 (ko) 3 피스 캔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30334A (ko) 캔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994914B1 (ko) 캔용 강판 및 캔용 강판의 제조 방법
US20130045128A1 (en) Tin mill black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853325B2 (ja) ドラム缶用薄肉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10091795A (ko) 캔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4779737B2 (ja) 極薄缶用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極薄缶用鋼板
AU2017227455B2 (en) Steel Sheet for Ca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5350737A (ja) 強い缶体強度と良好なプレス加工性を備えた缶用薄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677914B2 (ja) 軟質缶用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75517A (ko) 용접강도가 우수한 고망간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JP5463720B2 (ja) 缶用鋼板用冷延鋼板と缶用鋼板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S63134645A (ja) 伸びフランジ成形性の優れたdi缶用鋼板
JP6421772B2 (ja) 缶用鋼板の製造方法
KR102587650B1 (ko) 캔용 강판 및 그의 제조 방법
JP5803510B2 (ja) 高強度高加工性缶用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