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140B1 -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140B1
KR101643140B1 KR1020100063623A KR20100063623A KR101643140B1 KR 101643140 B1 KR101643140 B1 KR 101643140B1 KR 1020100063623 A KR1020100063623 A KR 1020100063623A KR 20100063623 A KR20100063623 A KR 20100063623A KR 101643140 B1 KR101643140 B1 KR 101643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image forming
power supply
un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3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1081A (ko
Inventor
송석호
유시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0176232.6A priority Critical patent/EP2302467B1/en
Priority to US12/882,317 priority patent/US8346107B2/en
Publication of KR20110031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081A/ko
Priority to US13/707,012 priority patent/US911064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0Means for acting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ailure or interruption, e.g. power-supply fluctu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4Resett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8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 G06F3/1221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with regard to power consum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원 온-오프를 위한 사용자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스위치부와;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조작신호에 따라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주제어부와; 상기 사용자조작신호 및 상기 전원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주제어부에 동작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스위칭부와; 전원 오프 시 상기 전원제어신호가 변동되는 경우, 상기 주제어부에 대한 상기 동작전원의 공급 차단이 유지되도록 상기 전원스위칭부를 제어하는 보조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보다 적은 비용, 높은 신뢰성 및 편의성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전원 온-오프가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원 온-오프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프린터, 복합기, 팩스 등의 화상형성장치는, 전원 오프 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기계적인 전원스위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원을 온-오프하였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기계적인 전원스위치를 대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및 사용성이 향상되는 소프트 방식의 전원스위치를 구비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마이컴이 구비된 제어회로 혹은, 이산(discrete) 회로 등을 이용하여 전원 오프 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였다. 그런데, 마이컴이 구비된 제어 회로는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제품의 단가가 높아져 문제가 된다. 이에 비하여, 이산회로는 가격은 싸나, 전원 오프 시 동작전원의 드랍 지연(drop delay)으로 인해 전원이 다시 온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팩스 기능을 구비하는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정전 후 전원 자동 복구 기능이 없어, 정전 후 전원이 복귀되더라도 오프 상태를 벗어날 수 없기 때문에, 팩스 수신이 불가능한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적은 비용, 높은 신뢰성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전원 온-오프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목적은, 정전이 되더라도 전원 복귀 후 팩스 수신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원 온-오프를 위한 사용자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스위치부와;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조작신호에 따라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주제어부와; 상기 사용자조작신호 및 상기 전원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주제어부에 동작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스위칭부와; 전원 오프 시 상기 전원제어신호가 변동되는 경우, 상기 주제어부에 대한 상기 동작전원의 공급 차단이 유지되도록 상기 전원스위칭부를 제어하는 보조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동작전원의 레벨에 따라 상기 주제어부를 리셋시키는 리셋부와; 상기 보조제어부는, 전원 오프 시 상기 주제어부가 리셋되는 경우, 상기 주제어부에 대한 상기 동작전원의 공급 차단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어부는, 전원 온 시 상기 주제어부가 리셋되는 경우, 상기 주제어부에 대한 상기 동작전원의 공급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어부는, 상기 전원제어신호와, 상기 주제어부를 리셋시키기 위한 리셋신호를 논리 연산하는 논리게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외부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주제어부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스위칭부를 제어하는 동작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부에 제2동작전원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스위칭을 수행하는 제2전원스위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부의 온-오프를 위한 제2전원제어신호를 더 출력하고, 상기 제2전원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부에 제2동작전원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스위칭을 수행하는 제2전원스위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어부는, 전원 온 상태에서 상기 리셋신호가 변동되는 때, 상기 주제어부에 상기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스위칭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원 온-오프를 위한 사용자조작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조작신호에 따라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조작신호 및 상기 전원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대한 동작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와; 전원 오프 시 상기 전원제어신호가 변동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 대한 상기 동작전원의 공급 차단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동작전원의 레벨에 따라 상기 제어부를 리셋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지하는 단계는, 전원 오프 시 상기 제어부가 리셋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 대한 상기 동작전원의 공급 차단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은, 전원 온 시 상기 제어부가 리셋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 대한 상기 동작전원의 공급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은, 전원 오프 상태에서 외부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전원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부에 제2동작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화상형성부의 온-오프를 위한 제2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2전원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부에 제2동작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은, 전원 온 상태에서 상기 리셋신호가 변동되는 때, 상기 주제어부에 상기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적은 비용, 높은 신뢰성 및 편의성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원 온-오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정전이 되더라도 전원 복귀 후 팩스 수신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원제어회로부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며,
도 3은 제4입력전원이 인가되는 때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셋신호를 도시하는 파형도이며,
도 4는 제4입력전원이 차단되는 때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셋신호를 도시하는 파형도이며,
도 5는 전원 온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전원제어회로부의 여러 지점에서의 신호의 레벨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며,
도 6은 전원 오프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전원제어회로부의 여러 지점에서의 신호의 레벨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원제어회로부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의 제1입력전원과, 리셋신호의 파형의 일례를 도시하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보조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하며,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보조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1)는, 프린터, 팩스, 복합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등의 프린팅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2)와, 키패드 등을 통해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 받기 위한 패널부(3)와, 화상형성장치(1)의 동작상태 등을 표시하는 LCD와 같은 표시부(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는, 다른 구성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주제어부(5)와, 주제어부(5)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ROM, 플래시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의 프로그램 메모리(6)와, 프로그램 메모리(6)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주제어부(5)의 실행을 위하여 일시 로드되는 RAM과 같은 휘발성의 메인메모리(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제어부(5)는 CPU와, 입출력 제어부(I/O controller) 등이 구비된 ASIC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는, 전화번호, 사용자 ID 등 백업용 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한 백업메모리(8)와, 백업메모리(8)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BA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화상형성장치(1)는, 용지 등의 프린팅매체 상의 화상을 스캔할 수 있는 CCD 혹은 CIS 소자를 구비하는 스캐닝부(9)와, 스캐닝부(9)에 의해 출력되는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FE(10, Analog Front End)와, AFE(1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에 대하여 화상처리를 수행하는 화상처리부(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화상형성장치(1)는, PSTN 망과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LIU(12, Line Interface Unit)와, LIU(12)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에 대하여 변조 혹은 복조를 수행하는 모뎀부(1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는, 주제어부(5) 등에 대한 동작전원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제어회로부(15)를 더 포함한다. 도 1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주제어부(5) 등에 대한 동작전원의 공급 경로의 도시는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원제어회로부(15)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원제어회로부(15)는, 사용자스위치부(16)와, 전원스위칭부(17)와, 리셋부(18)와, 보조제어부(19)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스위치부(16)는 화상형성장치(1)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 받는다. 사용자스위치부(16)는 도 1에 도시된 패널부(3)에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스위치부(16)는 소프트 방식의 스위치(SW)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스위치(SW)는 사용자가 스위치(SW)를 누르는 경우에 닫히고, 스위치(SW)로부터 손을 떼면 열린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사용자스위치부(1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SW)의 일단에 연결된 저항(R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SW)에는 저항(R4)을 통해 제1입력전원(Vin1)이 인가되며, 스위치(SW)의 타단은 접지된다.
제1입력전원(Vin1)은 화상형성장치(1)에 상용 AC전원과 같은 외부전원이 연결되어 있다면 항상 공급되는 전원이며, 그 레벨은 약 5V일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는 제1입력전원(Vin1)의 공급을 위하여, SMPS와 같은 전원공급부(도시 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스위치부(16)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스위치(SW)의 상태에 따라 사용자조작신호(Vs)를 출력한다. 사용자조작신호(Vs)는 주제어부(5)에 전달되며, 스위치(SW)가 열린 경우에는 High, 닫힌 경우에는 Low가 출력된다.
전원스위칭부(17)는 상기한 사용자스위치부(16)에 공급되는 전원과 동등한 제1입력전원(Vin1)을 입력받아, 제1입력전원(Vin1)이 다른 구성에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스위칭을 수행한다. 전원스위칭부(17)의 제1입력전원(Vin1)은 제1출력전원(Vout1)으로 출력된다.
전원스위칭부(17)는 제1스위칭부(FET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스위칭부(FET1)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로 구현될 수 있는데, 그 드레인 및 소오스는 제1입력전원(Vin1) 및 제1출력전원(Vout1)에 각각 연결된다. 제1스위칭부(FET1)의 게이트(Vf 참조)는 저항(R1)을 통해 제1입력전원(Vin1)과 연결된다. 제1스위칭부(FET1)가 열린 상태이면 제1출력전원(Vout1)은 출력되지 않으며(실질적으로 0[V]), 제1스위칭부(FET1)가 닫힌 상태이면, 제1출력전원(Vout1)은 제1입력전원(Vin1)과 거의 동등한 레벨의 전압이 출력된다.
제1스위칭부(FET1)는, 게이트전압(Vf)에 따라 그 개폐가 제어된다. 제1스위칭부(FET1)는 n채널의 FET일 수 있다. 즉, 제1스위칭부(FET1)의 게이트전압(Vf)이 High이면 열린 상태, Low이면 닫힌 상태가 된다. 제1스위칭부(FET1)의 게이트(Vf 참조)는 저항(R2)를 통해 사용자스위치부(16)의 스위치(SW)에 연결된다. 또한, 제1스위칭부(FET1)의 게이트(Vf 참조)는 저항(R3)을 통해 제1트랜지스터(T1)의 컬렉터(Vt 참조)에도 연결된다. 따라서, 제1스위칭부(FET1)의 게이트전압(Vf)은 사용자스위치부(16)의 사용자조작신호(Vs) 및 제1트랜지스터(T1)의 컬렉터전압(Vt)에 의해 결정된다. 즉, 제1스위칭부(FET1)의 게이트전압(Vf)은, 사용자조작신호(Vs) 및 컬렉터전압(Vt) 중 적어도 하나가 Low이면 Low, 이들 모두가 High이면 High가 된다.
한편, 제1트랜지스터(T1)의 이미터는 접지된다. 제1트랜지스터(T1)의 컬렉터전압(Vt)은, 제1트랜지스터(T1)가 열리면 저항(R1) 및 저항(R3)를 통한 제1입력전원(Vin1)의 영향에 의해 High가 되고, 제1트랜지스터(T1)가 닫히면 접지와 연결되어 low가 된다. 제1트랜지스터(T1)의 베이스는 저항(R5), 제1다이오드(D1) 및 보조제어부(19)를 통해 주제어부(5)와 연결된다. 주제어부(5)는 사용자스위치부(16)의 사용자조작신호(Vs)에 따라 제1트랜지스터(T1)를 제어하기 위한 전원제어신호(VsVc)를 출력한다. 만일, 사용자조작신호(Vs)가 Low인 경우, 즉 사용자 조작에 의해 스위치(SW)가 닫히면, 주제어부(5)는, 전원 오프 시에는 (전원을 켜기 위해 스위치(SW)가 닫히면) High, 전원 온 시에는 (전원을 끄기 위해 스위치(SW)가 닫히면) Low인 전원제어신호(VsVc)를 출력한다. 제1트랜지스터(T1)는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일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제1트랜지스터(T1)는, 주제어부(5)의 전원제어신호(VsVc)가 High이면 닫히고, 주제어부(5)의 전원제어신호(VsVc)가 Low이면 열린다. 다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 오프 시 주제어부(5)의 전원제어신호(VsVc)가 Low에서 High로 전환되는 경우에도, 제1트랜지스터(T1)는 개방이 유지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후술한다.
주제어부(5)는 제3입력전원(Vin3)을 입력 받아 동작을 수행한다. 제3입력전원(Vin3)은 전원스위칭부(17)의 제1출력전원(Vout1)과 연결된다. 즉, 제1스위칭부(FET1)가 닫혀 제1출력전원(Vout1)이 출력되면, 제3입력전원(Vin3)은 제1입력전원(Vin1)과 동등한 레벨의 전압이 된다.
전원제어회로부(15)는 주제어부(5)를 리셋시키기 위한 리셋부(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주제어부(5)는 CPU 등을 포함한 ASIC으로 구현되는데, 주제어부(5)가 온 또는 오프되는 때, 즉, 제3입력전원(Vin3)이 인가되거나, 차단되는 경우, 주제어부(5)를 리셋시켜, 초기화를 수행하도록 한다. 리셋부(18)는 리셋신호(Vr)를 출력하고, 주제어부(5)는 리셋신호(Vr)에 따라 초기화 동작을 수행한다. 리셋부(18)는 제4입력전원(Vin4)을 입력 받아, 제4입력전원(Vin4)의 레벨에 따라 리셋신호(Vr)를 출력한다. 제4입력전원(Vin4)은 제1출력전원(Vout1)에 직접 연결되어 주제어부(5)에 인가되는 전원과 동일한 레벨의 전압일 수도 있고, 혹은 다른 실시예로서, 전압 레벨을 변환하는 전원변환수단(도시 안됨)을 경유하여 제1출력전원(Vout1)에 연결되어, 주제어부(5)에 인가되는 전원보다 소정레벨 낮은 전압(예컨대, 3.3[V])일 수도 있다.
도 3은 제4입력전원(Vin4)이 인가되는 때의 리셋부(18)에 의해 출력되는 리셋신호(Vr)를 도시하는 파형도이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스위칭부(FET1)가 닫혀 제4입력전원(Vin4)이 인가되기 시작하면, 제4입력전원(Vin4)은 회로의 특성 상 서서히 증가하여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정상레벨(예컨대, 5[V] 혹은 3.3[V])에 도달하게 된다. 리셋부(18)는 제4입력전원(Vin4)이 소정 임계레벨이 이른 때로부터 소정 유지시간이 경과한 후에 리셋신호(Vr)를 Low에서 High로 전환한다. 본 실시예의 임계레벨은 제4입력전원(Vin4)의 정상레벨보다 소정치 낮은 레벨로서, 예컨대 3[V]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유지시간은, 제4입력전원(Vin4)이 정상레벨이 도달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으로서, 예컨대 약 50 내지 200[msec]일 수 있다. 리셋신호(Vr)가 Low에서 High로 전환하면, 그 때부터 주제어부(5)는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여 정상동작을 개시한다. 제3입력전원(Vin3)도 제4입력전원(Vin4)과 마찬가지의 특성을 가지므로, 이에 의해, 주제어부(5)에 충분한 레벨의 전원이 공급된 후에 주제어부(5)가 동작하게 함으로써, 주제어부(5)의 동작의 안정화를 기할 수 있다.
도 4는 제4입력전원(Vin4)이 차단되는 때의 리셋부(18)에 의해 출력되는 리셋신호(Vr)를 도시하는 파형도이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스위칭부(FET1)가 열려, 인가되던 제4입력전원(Vin4)이 차단되기 시작하면, 제4입력전원(Vin4)은 회로의 특성 상 정상레벨에서 서서히 감소하여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0[V]에 도달하게 된다. 리셋부(18)는, 제4입력전원(Vin4)의 레벨이 하강하여 소정 임계레벨에 이른 때, 리셋신호(Vr)를 High에서 Low로 전환한다. 제4입력전원(Vin4)이 차단되는 경우의 임계레벨도 제4입력전원(Vin4)이 인가되는 경우의 임계레벨과 동일할 수 있다. 리셋신호(Vr)가 High에서 Low로 전환되면, 주제어부(5)는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여 동작을 마무리하고, 오프 상태로 진입한다. 이에 의해, 주제어부(5)에 공급되는 전원의 레벨이 소정 임계레벨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주제어부(5)가 수행하던 동작을 마무리하도록 함으로써, 주제어부(5)의 동작의 안정화를 기할 수 있다.
주제어부(5)는 리셋신호(Vr)에 따라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High인 전원제어신호(Vc)를 출력한다. 주제어부(5)는,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원을 오프의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스위치부(16)의 사용자조작신호(Vs)의 Low에 대응하여, 제1트랜지스터(T1) 및 제1스위칭부(FET1)가 개방되도록 Low인 전원제어신호(Vc)를 출력한다. 그런데, 이 때 리셋신호(Vr)가 LowHigh에서 HighLow로 되면, 주제어부(5)는 전원제어신호(Vc)를 Low에서 High로 전환하게 된다.
보조제어부(19)는, 주제어부(5)와, 제1트랜지스터(T1) 사이에 마련되어, 전원 오프 시 주제어부(5)의 전원제어신호(Vc)가 변동되더라도, 주제어부(5)에 동작전원(Vin3 참조)이 다시 공급되지 않도록 제1트랜지스터(T1) 및 제1스위칭부(FET1)의 개방을 유지한다. 본 실시예의 보조제어부(19)는, AND 게이트로 구현될 수 있으며, 주제어부(5)의 전원제어신호(Vc)와, 리셋부(18)의 리셋신호(Vr)를 AND 연산하여 그 결과 신호(Vg)를 출력한다. 즉, 파워 오프 시, 리셋신호(Vr)의 전환에 의해 주제어부(5)의 전원제어신호(Vc)가 Low에서 High로 전환되더라도, 리셋신호(Vr)가 Low가 되기 때문에, 이들의 AND 연산 결과인 Low의 신호(Vg)가 출력됨으로써, 제1트랜지스터(T1) 및 제1스위칭부(FET1)의 개방이 유지된다. 이에 따라, 파워 오프 시, 리셋신호(Vr)로 인하여 주제어부(5)에 동작전원(Vin3 참조)이 다시 공급되는 것이 방지되어, 동작 신뢰성이 향상된다.
이하, 도 5 및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전원 온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회로의 여러 지점에서의 신호의 레벨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여기에서, 화상형성장치(1)는 오프 상태로서, 스위치(SW)가 개방되어 사용자조작신호(Vs)는 High, 제1트랜지스터(T1)가 개방되어 컬렉터전압(Vt)은 High이며, 따라서 게이트전압(Vf)가 High가 되어 제1스위칭부(FET1)는 개방되므로, 제1출력전원(Vout1)으로 제1입력전원(Vin1)과 동등한 레벨의 전압이 출력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전원 온을 위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스위치(SW)가 닫히면, 사용자조작신호(Vs)가 Low로 전환되어, 이에 따라 게이트전압(Vf)이 Low가 되어 제1스위칭부(FET1)가 닫히므로, 제1출력전원(Vout1)으로 제1입력전원(Vin1)과 동등한 레벨의 전압이 출력된다. 이에 따라, 주제어부(5)에 제3입력전원(Vin3)이 인가되며, 이 때 디폴트로서 주제어부(5)는 High인 전원제어신호(Vc)를 출력한다. 또한, 리셋부(18)에도 제4입력전원(Vin4)이 인가되며, 리셋부(18)는, 제4입력전원(Vin4)이 소정 임계레벨에 도달한 후 소정 유지시간이 경과하는 때, 리셋신호(Vr)를 Low에서 High로 전환한다. 이에 따라, 주제어부(5)는 리셋신호(Vr)의 전환에 대응하여 초기화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보조제어부(19)는 주제어부(5)의 전원제어신호(Vc) 및 리셋부(18)의 리셋신호(Vr)가 모두 High로 되면, 출력신호(Vg)를 Low에서 High로 전환한다. 출력신호(Vg)가 High로 전환되면, 제1트랜지스터(T1)는 개방(오프) 상태에서 닫힌(온) 상태로 변화하며, 이에 따라 제1트랜지스터(T1)의 컬렉터전압(Vt)은 High에서 Low로 전환된다. 그 결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스위치(SW)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바뀌더라도(사용자조작신호(Vs)가 Low에서 High로 전환되더라도), Low인 컬렉터전압(Vt)에 의해 게이트전압(Vf)이 Low로 유지되어 제1스위칭부(FET1)가 계속하여 온 상태(닫힌 상태)가 된다. 따라서, 주제어부(5)에 제3입력전원(Vin3)의 인가가 유지된다.
도 6은 전원 오프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회로의 여러 지점에서의 신호의 레벨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여기에서, 화상형성장치(1)는 온 상태로서, 스위치(SW)는 개방되어 사용자조작신호(Vs)가 High, 제1트랜지스터(T1)는 닫혀 컬렉터전압(Vt)은 Low이며, 따라서 게이트전압(Vf)가 Low가 되어 제1스위칭부(FET1)는 닫히므로, 제1출력전원(Vout1)으로 제1입력전원(Vin1)과 동등한 레벨의 전압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전원 오프를 위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스위치(SW)가 닫혀 사용자조작신호(Vs)가 Low로 된 후, 소정 시간 경과 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스위치(SW)가 다시 열리게 되어 사용자조작신호(Vs)가 High로 전환되면, 주제어부(5)는 파워 오프를 위해 전원제어신호(Vc)를 High에서 Low로 전환한다. 이 때, 아직 제4입력전원(Vin4)의 레벨의 변화는 없으므로, 리셋부(18)의 리셋신호(Vr)는 여전히 High이다. 이에 따라, 보조제어부(19)는 Low인 전원제어신호(Vc)와, High인 리셋신호(Vr)의 AND 연산 결과에 따라 출력신호(Vg)를 High에서 Low로 전환한다. 이에 따라, 제1트랜지스터(T1)가 열려 컬렉터전압(Vt)은 High가 되며, 그 결과 게이트전압(Vf)가 High가 되어 제1스위칭부(FET1)가 열리므로, 제1출력전원(Vout1)으로 제1입력전원(Vin1)과 동등한 레벨의 전압이 출력되지 않는다.
제1출력전원(Vout1)이 차단되기 시작하여 소정 시간 경과한 후 제4입력전원(Vin4)의 레벨이 소정 임계레벨까지 떨어지면, 리셋부(18)는 리셋신호(Vr)를 High에서 Low로 전환한다. 이 때, 리셋신호(Vr)의 전환에 따라 주제어부(5)의 전원제어신호(Vc)도 Low에서 High로 변동된다. 보조제어부(19)는, 주제어부(5)의 전원제어신호(Vc)가 변동되더라도, High인 전원제어신호(Vc)와, Low인 리셋신호(Vr)의 AND 연산 결과에 따라 Low인 출력신호(Vg)를 계속 유지한다. 그 결과, 제1트랜지스터(T1) 및 제1스위칭부(FET1)의 개방도 계속 유지되므로, 파워 오프 시 주제어부(5)에 동작전원이 다시 공급되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전원제어회로부(15)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외부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주제어부(5)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동작개시부(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동작개시부(20)는, 제3트랜지스터(T3)와, 캐패시터(C)를 포함한다. 제3트랜지스터(T3)의 컬렉터는 저항(R2)를 통해 제1스위칭부(FET1)의 게이트(Vf)와 연결되고, 이미터는 접지된다. 제3트랜지스터(T3)의 베이스(Va)는 저항(R8)을 통해 캐패시터(C)의 일단에 연결된다. 캐패시터(C)의 타단은 제1입력전원(Vin1)에 연결된다. 제3트랜지스터(T3)는 npn형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예컨대, 정전의 경우, 제1입력전원(Vin1)에는 정상레벨의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상황을 고려한다. 즉, 제3트랜지스터(T3)는 개방, 제3트랜지스터(T3)의 컬렉터 전위는 High, 제1스위칭부(FET1)의 게이트전압(Vf)은 High이어서, 제1스위칭부(FET1)가 개방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기가 다시 들어오는 경우, 제1입력전원(Vin1)은 순간적으로 캐패시터(C)를 통해 제3트랜지스터(T3)의 베이스(Va)에 전달된다. 이 때 베이스(Va)의 전위는 High가 되어 제3트랜지스터(T3)가 닫히게 되고, 제3트랜지스터(T3)의 컬렉터 전위(사용자조작신호(Vs)의 전위와 동일)는 접지되어 Low가 된다. 그 결과, 제1스위칭부(FET1)의 게이트전압(Vf)이 Low가 되어 제1스위칭부(FET1)가 닫혀 제1출력전원(Vout1)으로서 동작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사용자조작신호(Vs)도 Low가 되므로, 이에 따라 주제어부(5)는 상기한 바와 같은 파워 온 시의 동작을 수행한다.
이 후, 캐패시터(C)가 충전되면 제1입력전원(Vin1)이 더 이상 제3트랜지스터(T3)의 베이스(Va)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베이스(Va)의 전위는 Low가 되어 제3트랜지스터(T3)가 열리게 되고, 제3트랜지스터(T3)의 컬렉터 전위는 사용자조작신호(Vs)에 불필요한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또한, 전원제어회로부(15)는,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부(2)에 동작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2스위칭부(FET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스위칭부(FET2)는 n채널의 FET로 구현될 수 있으며, 드레인은 제2입력전원(Vin2)에, 소오스는 제2출력전원(Vout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입력전원(Vin2)은 상술한 전원공급부로부터 항시 공급받을 수 있는 전원으로서, 제1입력전원(Vin1)보다 높은 레벨의 전압(예컨대, 약 24[V])일 수 있다. 제2출력전원(Vout2)은 화상형성부(2)의 동작전원입력단(도시 안됨)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스위칭부(FET2)는 제2전원스위칭부의 일례이다.
전원제어회로부(15)는, 제2스위칭부(FET2)의 게이트에 연결되는 컬렉터(Vb)를 가지는 npn형의 제2트랜지스터(T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트랜지스터(T2)의 이미터는 접지되며, 베이스는 저항(R6)을 통해 보조제어부(19)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출력신호(Vg)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전원 온 시, 보조제어부(19)의 출력신호(Vg)가 High이면, 제2트랜지스터(T2)가 닫히고, 제2트랜지스터(T2)의 컬렉터 및 제2스위칭부(FET2)의 게이트의 전위(Vb)가 Low가 되어, 제2스위칭부(FET2)가 닫히므로, 제2출력전원(Vout2)으로서 제2입력전원(Vin2)과 동등한 레벨의 전압이 출력된다.
반면, 전원 오프 시, 보조제어부(19)의 출력신호(Vg)가 Low이면, 제2트랜지스터(T2)가 개방되고, 제2트랜지스터(T2)의 컬렉터 및 제2스위칭부(FET2)의 게이트의 전위(Vb)가 High가 되어, 제2스위칭부(FET2)가 열리므로, 제2출력전원(Vout2)으로서 제2입력전원(Vin2)과 동등한 레벨의 전압이 출력되지 않는다.
도 7은 전원제어회로부(15a)의 다른 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트랜지스터(T2)의 베이스는 보조제어부(19)의 출력단(Vg)에 연결되지 않고, 저항(R10 및 R11)을 통해 주제어부(5)의 제2전원제어신호의 출력단(Vc2)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주제어부(5)는 전원 온 시에는 High, 전원 오프 시에는 Low의 제2전원제어신호(Vc2)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제2트랜지스터(T2) 및 제2스위칭부(FET2)가 동작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전원 오프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위치(SW)를 누르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스위치(SW)의 온에 대응하는 사용자조작신호(Vs)가 출력된다(801). 이어, 사용자조작신호(Vs)에 따라 제1스위칭부(FET1)이 닫혀 주제어부(5)에 제3입력전원(Vin3)이 공급된다(802). 전원 온 상태에서, 주제어부(5)는 사용자조작신호(Vs)를 감지하여, 전원 오프에 대응하는 사용자조작신호(Vs)가 출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803). 만일, 전원 오프에 대응하는 사용자조작신호(Vs)가 출력되지 않으면, 동작 802가 계속 수행된다.
반면, 동작 803에서, 전원 오프에 대응하는 사용자조작신호(Vs)가 출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주제어부(5)는 이에 대응하여 전원 오프를 위한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한다(804). 이어, 전원 오프를 위한 전원제어신호에 의해 제1스위칭부(FET1)이 개방되어, 주제어부(5)로의 제3입력전원(Vin3)의 공급이 차단된다(805). 다음으로, 리셋신호(Vr) 등으로 인하여, 주제어부(5)의 전원 오프를 위한 전원제어신호가 변동되는 경우에도, 보조제어부(19)는 제1스위칭부(FET1)의 개방을 유지시켜, 주제어부(5)에 대한 제3입력전원(Vin3)의 공급 차단이 유지되도록 한다(806).
이하, 도 9 내지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도 1 내지 8을 참조하여 설명한 화상형성장치(1)의 제1입력전원(Vin1)과, 리셋신호(Vr)의 파형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제1입력전원(Vin1)의 파형은, 정전 방전(ElectroStatic Discharge) 등과 같은 원인에 의하여 제1입력전원(Vin1)이 순간적이고, 급격하게 변화하는 경우(도 9의 부호 "A" 참조)를 나타낸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입력전원(Vin1)은 소정 레벨을 유지하다가 "A"로 표시된 부분에서 갑자기 레벨이 소정 저하되었다가, 곧 다시 정상적인 레벨로 복귀한다. 제1입력전원(Vin1)의 변화는 실질적으로 제1출력전원(Vout1) 및 제4입력전원(Vin4)에 그대로 영향을 미친다. 이에 대응하여, 도 9에 도시된 리셋신호(Vr)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4입력전원(Vin4)이 레벨이 하강하여 소정 임계레벨에 이른 때, High에서 Low로 떨어진다(도 9의 부호 "B" 참조).
이와 같은 제1입력전원(Vin1)의 변화는, 화상형성장치(1)가 전원 온되어 정상적으로 동작 중인 경우에 발생하고, 또한, 화상형성장치(1)의 보조제어부(19)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AND 게이트로 구현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제1입력전원(Vin1)의 변화로 인해 리셋신호(Vr)가 High인 상태에서 Low로 전환되면, 보조제어부(19)의 두 입력 중 하나가 Low가 되는 것이므로 그 출력(Vg)은 High에서 Low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제1트랜지스터(T1) 및 제1스위칭부(FET1)는 턴오프되므로, 정상레벨의 제1출력전원(Vout1)이 출력되지 않아서, 화상형성장치(1)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없게 된다. 다시 말하면, 소정 원인으로 제1입력전원(Vin1)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경우, 비록 제1입력전원(Vin1)은 어느 정도의 시간 경과 후에 정상레벨로 다시 돌아온다고 하더라도, 리셋신호(Vr)의 하강으로 인해 화상형성장치(1)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10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의 보조제어부(19a)의 구성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보조제어부(19a)는, 도 1 내지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보조제어부(19)를 대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보조제어부(19a)와 관련된 화상형성장치(1)의 다른 구성은 도 10에는 도시되지는 않으나, 특별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도 1 내지 8을 참조하여 설명한 화상형성장치(1)의 구성과 동일 내지는 유사한 것으로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보조제어부(19a)는 주제어부(5)와, 제1트랜지스터(T1) 사이에 마련되어, 전원제어신호(Vc) 및 리셋신호(Vr)를 입력받아, 출력신호(Vg)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보조제어부(19a)도, 도 1 내지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보조제어부(19)와 마찬가지로, 전원 오프 시 주제어부(5)의 전원제어신호(Vc)가 변동되더라도, 주제어부(5)에 동작전원(Vin3 참조)이 다시 공급되지 않도록 제1트랜지스터(T1) 및 제1스위칭부(FET1)의 개방을 유지한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보조제어부(19a)도,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전원을 끄는 경우에는, 어떠한 요인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의 전원이 다시 켜지지 않고 정상적으로 꺼지도록 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의한 보조제어부(19a)는, 화상형성장치(1)의 정상적인 동작 중에, 사용자의 전원 오프 의도가 아닌, 정전 방전 등과 같은 원인에 의하여 제1입력전원(Vin1)이 순간적이고 급격하게 변화하여, 리셋신호(Vr)가 하강하더라도, 화상형성장치(1)가 꺼지지 않고 계속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보조제어부(19a)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쌍의 FET(191 및 192, 193 및 194, 195 및 196, 197 및 198)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의 참조부호 "D" 및 "S"는 각각, 보조제어부(19a)의 각 FET(191 및 192, 193 및 194, 195 및 196, 197 및 198)의 드레인 및 소오스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Vin5는 제5입력전원으로서, 도 1 내지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4입력전원(Vin5)과 동등한 레벨 및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보조제어부(19a)는, 이른바 "D-래치(D-Latch)"이라 불리는 알려진 회로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보조제어부(19a)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먼저, 리셋신호(Vr) 및 전원제어신호(Vc)가 모두 Low인 상태를 가정한다. 이 상태는 화상형성장치(1)의 전원이 꺼진 경우에 해당한다. 이 때, 보조제어부(19a)의 출력(Vg)은 Low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t1" 시점에서 사용자가 전원을 켜면(스위치(SW)가 닫히면), 도 1 내지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전원제어신호(Vc)는 Low에서 High로 전환된다. 이에 대응하여, 리셋신호(Vr)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소정 시간 경과 후 Low에서 High로 전환된다. 전원제어신호(Vc) 및 리셋신호(Vr)가 모두 High로 되면, 보조제어부(19a)의 출력(Vg)은 Low에서 High로 전환된다. 이 때, 제1트랜지스터(T1) 및 제1스위칭부(FET1)는 턴온되어 정상적인 레벨의 제1출력전원(Vout1)이 출력되고, 화상형성장치(1)는 정상적인 동작을 하게 된다.
화상형성장치(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중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t2"의 시점에서 어떤 원인에 의해 제1입력전원(Vin1)이 순간적이고 급격하게 변화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이 경우, 전원제어신호(Vc)는 제1입력전원(Vin1)의 변화의 영향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High에서 Low로 전환하였다가, 다시 High인 정상레벨로 복귀될 수 있다. 이 때, 리셋신호(Vr)는 아직 제4입력전원(Vin4)이 소정 임계레벨까지 떨어지지 않은 동안에는 High를 계속 유지하며, 그 결과, 보조제어부(19a)의 출력(Vg)은 전원제어신호(Vc)의 변화를 따라서 순간적으로 High에서 Low로 전환하였다가, 다시 High인 정상레벨로 복귀된다. 이 경우, 제1트랜지스터(T1) 및 제1스위칭부(FET1)가 순간적으로 턴오프될 수는 있으나, 곧바로 정상적인 턴온 상태로 복귀하며, 그러한 턴오프시간은 매우 짧아서 화상형성장치(1)의 동작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어, 제4입력전원(Vin4)이 소정 임계레벨까지 떨어지면, 리셋신호(Vr)는 High에서 Low로 전환된다. 그러나, 보조제어부(19a)는, 리셋신호(Vr)가 Low임에도 불구하고, 전원제어신호(Vc)가 High라면, 그 출력(Vg)이 이전 상태인 High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도 11의 부호 "C" 참조). 따라서, 보조제어부(19a)의 출력(Vg)이 High를 계속 유지하므로, 제1트랜지스터(T1) 및 제1스위칭부(FET1)의 턴온 상태에는 변화가 없게 되고, 화상형성장치(1)는 계속하여 정상적으로 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 화상형성장치
2: 화상형성부
3: 패널부
4: 표시부
5: 주제어부
6: 프로그램메모리
7: 메인메모리
8: 백업메모리
9: 스캐닝부
10: AFE
11: 화상처리부
12: LIU
13: 모뎀부
15: 전원제어회로부

Claims (15)

  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원 온-오프를 위한 사용자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스위치부와;
    상기 화상형성부로의 동작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주제어부와;
    상기 화상형성부로의 동작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스위칭하는 전원스위칭부와;
    상기 화상형성부로 동작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원 오프를 위한 사용자조작신호가 출력되어 상기 전원제어신호의 상태가 변동되면, 상기 화상형성부로 동작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전원제어신호의 상태 변동 후 상기 사용자조작신호의 출력에 대응하지 않고 상기 전원제어신호의 상태가 다시 변동되더라도, 상기 화상형성부로의 동작 전원 공급의 차단이 유지되도록 상기 전원스위칭부를 제어하는 보조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전원의 레벨에 따라 상기 주제어부를 리셋시키기 위한 리셋신호를 출력하는 리셋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부로의 동작 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리셋부의 리셋에 의해 상기 전원제어신호의 상태가 변동되더라도, 상기 화상형성부에 대한 상기 동작 전원의 공급의 차단이 유지되도록 상기 전원스위칭부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제어부는, 상기 전원제어신호와 상기 리셋신호를 논리 연산하는 논리게이트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부로 동작 전원의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외부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화상형성부로 동작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스위칭부를 제어하는 동작개시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6. 삭제
  7. 삭제
  8.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형성부로의 동작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원 온-오프를 위한 사용자조작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조작신호에 따라 전원제어신호를 상기 화상형성부로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형성부로 동작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원 오프를 위한 사용자조작신호가 출력되어 상기 전원제어신호의 상태가 변동되면, 상기 화상형성부로 동작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전원제어신호의 상태 변동 후 상기 사용자조작신호의 출력에 대응하지 않고 상기 전원제어신호의 상태가 다시 변동되더라도, 상기 화상형성부로의 동작 전원 공급의 차단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전원의 레벨에 따라 상기 제어부를 리셋시키기 위한 리셋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의 차단을 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부로의 동작 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리셋신호에 의해 상기 전원제어신호의 상태가 변동되더라도, 상기 화상형성부에 대한 상기 동작 전원의 공급 차단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부로 동작 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외부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화상형성부에 상기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00063623A 2009-09-18 2010-07-01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43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176232.6A EP2302467B1 (en) 2009-09-18 2010-09-10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2/882,317 US8346107B2 (en) 2009-09-18 2010-09-15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3/707,012 US9110645B2 (en) 2009-09-18 2012-12-06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ower to main controller based upon power-on/off state signal and reset signal for resetting the main cont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519 2009-09-18
KR20090088519 2009-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081A KR20110031081A (ko) 2011-03-24
KR101643140B1 true KR101643140B1 (ko) 2016-07-28

Family

ID=43936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3623A KR101643140B1 (ko) 2009-09-18 2010-07-01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10645B2 (ko)
KR (1) KR1016431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402A (ko) * 2016-10-14 2018-04-24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독취장치 및 스캔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1029A (ja) * 1999-11-30 2001-06-12 Canon Inc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憶媒体
JP2007503055A (ja) 2003-08-19 2007-02-15 インテル・コーポレーション Ac電力無しでのパワーボタン及びデバイス起動イベント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3408A (en) * 1977-08-29 1979-11-06 Xerox Corporation Demand publishing royalty accounting system for an electrostatic copier
JP3406925B2 (ja) * 1993-09-17 2003-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電源制御装置
EP1447736A1 (fr) * 2003-02-06 2004-08-18 STMicroelectronics Microprocesseur comprenant des modes de fonctionnement à faible consommation électrique
JP3958720B2 (ja) * 2003-07-22 2007-08-1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クロック制御回路とクロック制御方法
KR20050050222A (ko) * 2003-11-25 2005-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관리 기능을 갖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장치
EP1596270A1 (en) * 2004-05-10 2005-11-16 Dialog Semiconductor GmbH Micro-controller controlled power management chip
US20060125904A1 (en) 2004-12-15 2006-06-15 Kabushiki Kaisha Toshiba Safety circuit for image forming apparatus
TWI351818B (en) * 2005-01-11 2011-11-01 Altera Corp Power management of components having clock proces
JP4665846B2 (ja) * 2006-06-21 2011-04-06 株式会社デンソー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及び電子制御装置
US7661004B2 (en) * 2006-10-30 2010-02-09 Research In Motion Limited Automatic power-up portable electronic device based on time-dependent event
JP2008172914A (ja) 2007-01-11 2008-07-24 Canon Inc 電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064995B2 (ja) * 2007-12-20 2012-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29930B1 (ko) * 2010-01-27 2015-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16792A (ko) 2010-08-17 2012-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1029A (ja) * 1999-11-30 2001-06-12 Canon Inc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憶媒体
JP2007503055A (ja) 2003-08-19 2007-02-15 インテル・コーポレーション Ac電力無しでのパワーボタン及びデバイス起動イベント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97434A1 (en) 2013-04-18
KR20110031081A (ko) 2011-03-24
US20140258737A9 (en) 2014-09-11
US9110645B2 (en) 201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0130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power supply device that switch between on-state and off-state
US7663267B2 (en) Voltage controller for use in electronic appliance using a plurality of power sources and method thereof
JP2010148234A (ja) 残留電荷放電回路および電源用半導体装置
JP6613908B2 (ja) 給電制御装置
US2012013419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302467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43140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22473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239600B2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lying power to multiple voltage islands using a single supply source (SSS)
US7391343B2 (en) Input device
US20050110787A1 (en) Display apparatus with power saving capability
JP2010176356A (ja) 電子機器
EP1199635A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mory cartridge system with error detection
JP4069813B2 (ja)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JP2005289204A (ja) 給電制御装置
US775051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866510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8187871A (ja) 電源装置
JP2010125752A (ja) プリンタ
JP2007336744A (ja) 電源回路および電源供給装置
JPH09102751A (ja) 音声ミュート回路
KR0137425Y1 (ko) 절전형 마이크장치
JP2003204591A (ja) 音声制御回路
JP2010109962A (ja) 画像処理装置
JPH07222080A (ja) 電源スイッチ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