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2473B1 -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2473B1
KR101722473B1 KR1020090098297A KR20090098297A KR101722473B1 KR 101722473 B1 KR101722473 B1 KR 101722473B1 KR 1020090098297 A KR1020090098297 A KR 1020090098297A KR 20090098297 A KR20090098297 A KR 20090098297A KR 101722473 B1 KR101722473 B1 KR 101722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image forming
power switch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8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5377A (ko
Inventor
송석호
Original Assignee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45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5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형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제어부와; 제어전위의 레벨에 따라 상기 주제어부에 동작전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스위칭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온 또는 오프상태로 전환되는 전력모드전환부와; 상기 전력모드전환부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어전위의 레벨을 결정하는 제1전위결정부와;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전위의 레벨을 결정하는 제2전위결정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전력모드 전환 제어를 수행함에 있어서, 대기모드 시 전력 소모를 최소화면서도, 전력모드 전환 이벤트와, 주제어부의 제어를 적절하게 고려할 수 있다.
화상, 형성, 대기모드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전력 절감을 위하여 전력모드 전환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 복합기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화상 형성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 많은 전력을 소모하므로, 화상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는 메인CPU와 같은 주요 구성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대기모드를 가진다.
한편, 대기모드 시 메인CPU 등을 웨이크업시켜 정상모드로 복귀하기 위하여 프로세서, 메모리 등으로 구성되는 대기모드제어수단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대기모드제어수단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력 소모가 불가피하다.
특히, 최근 주목되는 1W 대기모드와 같이, 대기모드 시 상당한 저전력 소모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대기모드제어수단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대기모드 및 정상모드 간 전환에는 사용자의 조작 등과 같은 이벤트가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이벤트와, 메인CPU의 제어를 모두 적절하게 고려된 전력모드 전환 제어가 요청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모드 전환 제어를 수행함에 있어서, 대기모드 시 전력 소모를 최소화면서도, 전력모드 전환 이벤트와, 메인CPU의 제어가 적절하게 고려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형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제어부와; 제어전위의 레벨에 따라 상기 주제어부에 동작전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스위칭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온 또는 오프상태로 전환되는 전력모드전환부와; 상기 전력모드전환부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어전위의 레벨을 결정하는 제1전위결정부와;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전위의 레벨을 결정하는 제2전위결정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위형성부는, 상기 전력모드전환부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어전위의 레벨이 전환되도록 턴온 또는 턴오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스위칭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모드전환부는, 상기 제어전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스위칭소자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위형성부는,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전위의 레벨이 전환되도록 턴온 또는 턴오프되는 제2스위칭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제어전위의 레벨을 유지하는 전위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위유지부는,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의 레벨이 전환된 후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제어전위의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파워스위치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신호의 레벨을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파워스위치의 상태가 지속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신호의 레벨을 전환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파워스위치의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된 상기 파워스위치의 상태를 상기 주제어부에 통지하는 상태통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온 또는 오프상태로 전환되는 전력모드전환부의 상태에 따라, 화상 형성 동작을 제어하는 주제어부에 동작전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스위칭부의 제어전위의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전위의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모드전환부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어전위의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모드전환부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어전위의 레벨이 전환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1스위칭소자를 턴온 또는 턴오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전위의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전위의 레벨이 전환되도록 제2스위칭소자를 턴온 또는 턴오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어전위의 레벨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전위의 레벨을 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의 레벨이 전환된 후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제어전위의 레벨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파워스위치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의 레벨을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의 레벨을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파워스위치의 상태가 지속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신호의 레벨을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파워스위치의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된 상기 파워스위치의 상태를 상기 주제어부에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형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제어부와; 상기 화상형성부 및 상기 주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대기모드 및 정상모드의 선택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부에 전원이 선택적으로 공급되고, 상기 주제어부에 전 원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보조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제어부는 상기 대기모드 및 상기 정상모드 간 전환에 따라 상기 주제어부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어부는, 상기 대기모드 및 상기 정상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선택부와, 상기 모드선택부에 상기 대기모드 및 상기 정상모드 간 전환을 위한 지연시간을 제공하는 유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제어부는, 메모리부와, 메인CPU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와, 상기 메인CPU에 선택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전력모드 전환 제어를 수행함에 있어서, 대기모드 시 전력 소모를 최소화면서도, 전력모드 전환 이벤트와, 메인CPU의 제어가 적절하게 고려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는 프린터, 복사기, 팩스, 복합기 등으로 구현된다. 화상형성장치(1)는 PC와 같은 호스트장치(도시 안됨), 상대방 팩스, USB메모리와 같은 저장장치 등로부터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데이터 를 수신하거나, 스캐너(도시 안됨)를 이용하여 복사 대상을 스캔하여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는 수신되거나 얻어진 화상데이터에 기초하여 종이와 같은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한다.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화상형성장치(1)는 화상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상의 형성을 수행하는 화상형성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의 화상 형성 방식은 레이저 방식, 잉크젯 방식 등을 포함한다. 그 밖에, 화상형성장치(1)는, 도시되지 않은 구성으로서, 화상데이터의 수신을 위한 로컬 커넥터, 네트워크카드 등의 통신부, 저장장치의 연결을 위한 접속부, 스캐닝을 위한 스캐닝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는 전원공급부(10)와, 컨트롤보드(20) 및 OPE(30)를 포함한다. 전원공급부(10)는 화상형성부(50) 등을 포함하여 화상형성장치(1)의 각 구성부품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0)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은, 예컨대, 레이저방식의 경우 화상형성부(50)의 정착기(도시 안됨) 등의 구동을 위한 고전압인 제1전원(24V)과, 그 외 다른 구성의 동작을 위한 5V정도의 제2전원(VCC_1W)을 포함한다. 제2전원(VCC_1W)은 동작전원(VCC)의 형태로 메인CPU(21) 등에 공급된다. 도 1에는 도시의 편의상, 동작전원(VCC)의 공급이 메인CPU(21)에만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동작전원(VCC)의 공급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구성에도 공급될 수 있다. 화상형성부(50)에는 전원공급부(10)로부터 제1전원(24V) 및 제2전원(VCC_1W)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며, 상기한 화상 형성 동작을 위하여 메인CPU(21)로부터 제어신호 및/또는 화상데이터가 입력된다.
컨트롤보드(20)는 PCB와 같은 회로기판으로서, 화상형성부 등을 비롯한 화상형성장치(1)의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CPU(21)와, 메인CPU(2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ROM(22)과, 메인CPU(21)의 메인 메모리인 RAM(23)이 컨트롤보드(20)에 마련될 수 있다. 메인CPU(21)는 본 발명의 주제어부의 일례이다. 또한, 컨트롤보드(20)에는 메인CPU(21)의 지시에 따라 정착기 등으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엔진제어부(24)도 마련될 수 있다.
OPE(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키입력부(도시 안됨), 화상형성장치(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도시 안됨) 및 이들 키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OPE제어부(도 2의 32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는 전력을 절감하기 위한 전력모드로서, 화상 형성 동작을 정상적으로 수행하는 정상모드와, 화상 형성 동작을 하지 않는 경우 일부 구성으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대기모드를 가진다. 정상모드의 경우, 메인CPU(21) 등으로 동작전원(VCC)이 공급되는 반면, 대기모드의 경우 메인CPU(21) 등으로의 동작전원(VCC)이 공급이 차단된다. 대기모드에서는, 24V의 전압이 화상형성부(50)의 정착기에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는, 이와 같은 정상모드 및 대기모드 간의 전환(이하, "전력모드 전환"이라고도 한다)을 위하여, 메인CPU(21) 등으로의 동작전원(VCC)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제1회로부(25)와, 제2회로부(3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1회로부(25)는 컨트롤보드(20)에, 제2회로부(31)는 OPE(30)에 각각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1회로부(25)와, 제2회로부(31)는 각각 다른 구성에 마련되어 있으나, 동일한 하나의 구성에 함께 마련될 수도 있으며, 혹은 제1회로부(25)와, 제2회로부(31)가 하나의 회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회로부(25)와, 제2회로부(31) 각각은, 오프 시 전력 소모가 거의 없는 저항, 스위칭소자 등으로 구현되므로,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많은 프로세서, 메모리 등을 구비한 컨트롤러의 경우와 대비하여, 전력모드 전환 제어를 수행함에 있어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1회로부 제2회로부의 구성>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1회로부(25)와, 제2회로부(31)의 구성을 도시한다. 제1회로부(2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전위(V1)의 레벨에 따라, 입력되는 제2전원(VCC_1W)에 대하여 동작전압(VCC)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칭부(FET)를 포함한다. 스위칭부(FET)는 FET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입력전위(Vi)는 제2전원(VCC_1W)의 전위와 동일하며, 입력전위(Vi)와, 제어전위(V1) 사이에는 저항(R1)이 개재된다.
제어전위(V1)는 스위칭부(FET)의 게이트전압으로서, 제어전위(V1)가 하이 레벨인 경우 스위칭부(FET)는 턴오프되어 동작전압(VCC)이 출력되지 않으며, 제어전위(V1)가 로우 레벨인 경우 스위칭부(FET)는 턴온되어 동작전압(VCC)이 출력된다.
화상형성장치(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전력모드 전환 제어를 구현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온 또는 오프상태를 가지는 파워스위치부(PW_SW)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파워스위치부(PW_SW)는 사용자가 누르는 때에만 온상태를 가 지며, 사용자가 누르지 않을 때는 오프상태로 복귀하는 버튼 타입의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파워스위치부(PW_SW)는 본 발명의 전력모드전환부의 일례이다. 파워스위치부(PW_SW)의 일단은 저항(R2)을 통해 제어전위(V1)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파워스위치부(PW_SW)는 OPE(30)에 마련될 수 있다.
제2회로부(31)는 파워스위치부(PW_SW)의 상태에 따라 스위칭부(FET)가 개폐되도록 제어전위(V1)의 레벨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2회로부(31)는, 파워스위치부(PW_SW)의 상태에 따라 제어전위(V1)의 레벨이 전환되도록 턴온 또는 턴오프되는 한 쌍의 제1스위칭소자(T1a 및 T1b)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1스위칭소자(T1a 및 T1b)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스위칭소자(T1a 및 T1b) 중 어느 하나(T1a)의 베이스는 파워스위치부(PW_SW)의 타단과 연결된다. 한 쌍의 제1스위칭소자(T1a 및 T1b)는 어느 하나(T1a)의 이미터는 다른 하나(T1b)의 베이스에 연결된다. 각 제1스위칭소자(T1a 및 T1b)의 이미터는 직접 또는 저항(R9)을 통하여 접지와 연결된다. 각 제1스위칭소자(T1a 및 T1b)의 컬렉터는 저항(R7 및 R8)을 통하여 동작전압(VCC)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파워스위치부(PW_SW)의 타단은 한 쌍의 제1스위칭소자(T1a 및 T1b)를 통해 접지되어 있고, 제어전위(V1)는, 입력전위(Vi)와, 파워스위치부(PW_SW) 사이의 경로 상에 존재한다. 따라서, 파워스위치부(PW_SW)가 열린 상태에서는, 이러한 경로가 개방되므로, 제어전위(V1)는 입력전위(Vi)와 동일한 레벨로서 하이가 되어, 스위칭부(FET)가 턴오프된다.
한편, 파워스위치부(PW_SW)가 닫힌 상태에서는, 파워스위치부(PW_SW)에 걸리 는 전압을 무시하면, 제어전위(V1)는, 저항(R2)에 걸리는 전압과, 한 쌍의 제1스위칭소자(T1a 및 T1b)의 베이스-이미터 간 전압의 합이 된다. 본 실시예의 저항(R1 및 R2)의 저항값은, 한 쌍의 제1스위칭소자(T1a 및 T1b)의 베이스-이미터 간 전압을 고려하여, 파워스위치부(PW_SW)가 닫히는 때의 제어전위(V1)가 스위칭부(FET)를 턴온시킬 수 있는 레벨이 되도록 정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파워스위치부(PW_SW)가 닫히는 경우, 한 쌍의 제1스위칭소자(T1a 및 T1b)는 턴온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한 쌍의 제1스위칭소자(T1a 및 T1b)가 바이폴라트랜지스터인 경우, 제1스위칭소자(T1a 및 T1b) 각각의 베이스-이미터 간 순방향 전압은 약 0.3 내지 0.8 [V] 정도이고, 입력전위(Vi)가 약 5 [V]임을 감안하면, 파워스위치부(PW_SW)가 닫히는 경우 한 쌍의 제1스위칭소자(T1a 및 T1b)가 턴온될 수 있도록 저항(R1 및 R2)의 저항값을 정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1스위칭소자(T1a 및 T1b)의 베이스-이미터 간 순방향 전압을 고려하면, 제어전위(V1)가 스위칭부(FET)를 턴온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저항(R2)의 저항값도 정해질 수 있다.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파워스위치부(PW_SW)가 닫히는 경우, 제어전위(V1)의 레벨이 로우가 되어 스위칭부(FET)가 턴온된다. 본 실시예의 저항(R2) 및 한 쌍의 제1스위칭소자(T1a 및 T1b)는 본 발명의 제1전위결정부의 일례이다.제1회로부(25)는 메인CPU(21)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부(FET)가 개폐되도록 제어전위(V1)의 레벨을 결정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제1회로부(25)는 메인CPU(21)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전위(V1)의 레벨이 전환되도록 턴온 또는 턴오프되는 제2스위칭소자(T2)를 포함한다. 제어신호는 메인CPU(21)의 GPIO 포트를 이용하여 출력될 수 있 다.
제2스위칭소자(T2)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2스위칭소자(T2)의 컬렉터는 저항(R3)를 통하여 제어전위(V1)와 연결되며, 이미터는 접지된다. 제2스위칭소자(T2)의 베이스는 저항(R5 및 R6) 등을 통하여 메인CPU(21)의 제어신호 출력단에 연결된다. 저항(R6)과, 제2스위칭소자(T2)의 베이스 사이에는 다이오드(D)가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어신호의 레벨이 하이이면, 제2스위칭소자(T2)가 닫히며, 반면, 제어신호의 레벨이 로우이면, 제2스위칭소자(T2)가 개방된다. 제2스위칭소자(T2)가 닫히는 경우에는, 입력전위(Vi), 제어전위(V1), 및 제2스위칭소자(T2)로 이루어지는 경로를 통해 폐회로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저항(R1, R3)의 저항값은, 제2스위칭소자(T2)가 닫히는 때의 제어전위(V1)가 스위칭부(FET)를 턴온시킬 수 있는 레벨이 되도록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제2스위칭소자(T2)가 닫히는 경우 본 실시예의 제어전위(V1)의 레벨은 로우가 되어 스위칭부(FET)가 턴온된다. 반면, 제2스위칭소자(T2)가 열리는 경우에는, 이러한 경로가 개방되어 폐회로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제어전위(V1)의 레벨이 하이가 되어 스위칭부(FET)가 턴오프된다. 제2스위칭소자(T2)는 본 발명의 제2전위결정부의 일례이다.
본 실시예의 한 쌍의 제1스위칭소자(T1a 및 T1b) 등으로 구현되는 제1전위결정부와, 제2스위칭소자(T2) 등으로 구현되는 제2전위결정부는 제어전위(V1)에 대하여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전위(V1)의 레벨은 한 쌍의 제1스위칭소자(T1a 및 T1b) 등으로 구현되는 제1전위결정부와, 제2스위칭소자(T2) 등으로 구현 되는 제2전위결정부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어전위(V1)의 레벨은, 파워스위치부(PW_SW)의 상태와, 메인CPU(21)의 제어신호의 레벨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오프 시 전력소모가 거의 없는 저항, 스위칭소자 등으로 전력모드 전환 제어 수단을 구현하여, 대기모드 시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는 한편, 사용자의 조작과 같은 전력모드 전환 이벤트뿐만 아니라, 메인CPU(21)의 제어를 모두 적절하게 고려하여 전력모드 전환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1회로부(25)는, 제2스위칭소자(T2)가 턴온된 경우, 제2스위칭소자(T2)의 턴온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캐패시터(C)를 더 포함한다. 캐패시터(C)는 본 발명의 전위유지부의 일례이다. 캐패시터(C)의 일단은 저항(R5 및 R6)의 접점(V2)에 연결되는 한편, 저항(R4)를 통하여 동작전원(VCC)에 연결된다. 캐패시터(C)의 타단은 접지된다.
메인CPU(21)의 제어신호가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전환되는 경우, 캐패시터(C)에 의해 접점(V2)의 전위의 급격한 감소가 방지된다. 따라서, 동작전원(VCC)의 공급 후 시스템 업그레이드, 시스템 오류 등의 원인에 의헤 메인CPU(21)이 리셋되어 메인CPU(21)의 제어신호의 레벨이 로우로 떨어지는 경우에도, 캐패시터(C)에 의해 접점(V2)의 전위를 제2스위칭소자(T2)의 턴온 상태가 지속되도록 유지시킬 수 있다. 캐패시터(C)의 용량은, 메인CPU(21)의 제어신호의 레벨이 로우로 전환된 후 메인CPU(21)가 리셋되어 다시 제어신호의 레벨이 하이로 될 때까지 제2스위칭소자(T2)의 턴온 상태의 지속이 보장될 수 있는 시간으로 정해질 수 있다.
나아가, 메인CPU(21)는 정상모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대기모드에 진입하도록 제어신호의 레벨을 전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가 정상모드인 상황에서, 메인CPU(21)는 파워스위치부(PW_SW)가 오프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된 후 소정시간 이상 지속되면, 정상모드에서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OPE제어부(32)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파워스위치부(PW_SW)의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된 파워스위치부(PW_SW)의 상태를 메인CPU(21)에 통지할 수 있다. OPE제어부(32)는 제1스위칭소자(T2b)의 이미터전위(Vs)를 모니터링하여 파워스위치부(PW_SW)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파워스위치부(PW_SW)가 온 상태이면, 제1스위칭소자(T2b)가 턴온되어 이미터전위(Vs)는 로우가 되며, 파워스위치부(PW_SW)가 오프 상태이면, 제1스위칭소자(T2b)가 턴오프되어 이미터전위(Vs)는 하이가 된다. 메인CPU(21)와, OPE제어부(32) 간의 통신은 UART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OPE제어부(32)는 본 발명의 상태통지부의 일례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1회로부(25)와, 제2회로부(31)를 이용한 전력모드 전환 제어의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력모드 전환 제어 과정>
1. 대기모드 -> 정상모드로의 전환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의 전력모드 전환 제어 과정을 도시한다. 먼저, 화상형성장치(1)가 소정의 원인에 의해 정상모드에서 대기모드로 진입한 상태를 고려한다(S101). 대기모드에서는, 파워스위치부(PW_SW) 및 제2스위칭소자(T2)가 모두 턴오프된 상태이므로, 스위칭부(FET)는 턴오프된다. 따라서, 메인CPU(21) 등으로의 동작전압(VCC)의 공급은 차단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파워스위치부(PW_SW)의 상태가 온되는지 여부가 감지된다(S102). 만일, 파워스위치부(PW_SW)의 상태가 오프인 경우에는(S102의 No), 대기모드가 유지되며, 계속해서 파워스위치부(PW_SW)의 상태가 온되는지 여부가 감지된다(S102).
반면, 파워스위치부(PW_SW)의 상태가 온되는 경우(S102의 Yes), 한 쌍의 제1스위칭소자(T1a 및 T1b)는 턴온된다(S103). 이에 따라, 제어전위(V1)의 레벨이 로우가 되어 스위칭부(FET)가 턴온되며, 동작전압(VCC)이 공급된다(S103). 동작전압(VCC)의 공급에 의해, 메인CPU(21)는 부팅을 시작한다(S103).
다음으로, 메인CPU(21)는 부팅이 완료되면, 제어전위(V1)의 레벨이 유지되도록 하이레벨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제어신호에 의해 제2스위칭소자(T2)가 턴온되어 정상모드에 진입한다(S104).
정상모드에서, 만일 메인CPU(21)가 리셋되어 제어신호의 레벨이 로우로 떨어지는 경우(S105의 Yes), 리셋 후 메인CPU(21)가 다시 하이레벨의 제어신호를 출력할 때까지 캐패시터(C)가 제2스위칭소자(T2)의 턴온 상태를 유지한다(S106). 이에 따라, 스위칭부(FET)의 턴온이 지속되도록 제어전위(V1)의 레벨이 유지된다(S106).
반면, 메인CPU(21)가 리셋되지 않는 경우에는(S105의 No), 정상모드가 유지되며(S107), S105가 계속하여 수행된다.
2. 정상모드 -> 대기모드로의 전환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의 전력모드 전환 제 어 과정을 도시한다. 먼저, 메인CPU(21)가 하이레벨의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제2스위칭소자(T2)의 턴온되고, 제어전위(V1)의 레벨이 로우, 스위칭부(FET)이 턴온되어 동작전압(VCC)이 공급되는 정상모드를 고려한다(S201).
정상모드에서, OPE제어부(32)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파워스위치부(PW_SW)가 소정 시간 이상 온되는지를 감지한다(S202). 만일 파워스위치부(PW_SW)가 소정 시간 이상 온되지 않은 경우에는(S202의 No), 정상모드가 계속된다(S201). 반면, 파워스위치부(PW_SW)가 소정 시간 이상 온된 경우에는(S202의 Yes), OPE제어부(32)는 파워스위치부(PW_SW)의 상태를 메인CPU(21)에 통지한다(S203).
메인CPU(21)는 OPE제어부(32)의 통지에 따라, 대기모드 진입을 위한 소정 동작을 수행하고 해당 동작이 마무리되면, 로우레벨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제2스위칭소자(T2)가 턴오프된다(S204). 제2스위칭소자(T2)가 턴오프됨에 따라, 제어전위(V1)의 레벨이 하이가 되어 스위칭부(FET)는 턴오프된다(S205). 그 결과, 메인CPU(21) 등으로의 동작전압(VCC)의 공급이 차단되며, 대기모드로 진입하게 된다(S205).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1회로부(25) 및 제2회로부(30)의 구성의 동작을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는 제1회로부(25) 및 제2회로부(30)의 구성의 동작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단계 1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파워스위치부(PW_SW)의 상태 등에 따라 단계 2로 전환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전위결정부와, 제2전위결정부뿐만 아니라, 전위유지부 등도 모두 구현되는 예를 보이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위유지부 등은 생략되어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1회로부와, 제2회로부의 구성을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전력모드 전환 제어 과정을 도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전력모드 전환 제어 과정을 도시하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1회로부 및 제2회로부의 동작을 도시하는 테이블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화상형성장치 10: 전원공급부
20: 컨트롤보드 30: OPE
21: 메인CPU 25: 제1회로부
31: 제2회로부

Claims (21)

  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형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제어부와;
    제어전위의 레벨에 따라 상기 주제어부에 동작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스위칭부와;
    사용자의 전원스위치 조작에 따라 전원스위치 온 또는 오프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전원스위치모니터링부와;
    상기 전원스위치모니터링부의 상기 전원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어전위의 레벨을 결정하는 제1전위결정부와;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전위의 레벨을 결정하는 제2전위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전위가 제1레벨이면 상기 스위칭부는 턴오프되어 상기 동작전원은 공급되지 않으며, 상기 제어전위가 제2레벨이면 상기 스위칭부는 턴온되어 상기 동작전원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위결정부는, 상기 전원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어전위의 레벨이 전환되도록 턴온 또는 턴오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스위칭소자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위결정부는,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전위의 레벨이 전환되도록 턴온 또는 턴오프되는 제2스위칭소자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어전위의 레벨을 유지하는 전위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위유지부는, 상기 전원스위치의 온 상태의 전환으로 상기 제어전위가 제2레벨로 변환한 후 상기 전원스위치가 오프 상태가 되어도 상기 제2레벨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원스위치모니터링부는 상기 전원스위치의 상태신호를 검지하여 상기 주제어부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전원스위치모니터링부의 상기 전원스위치 상태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정상상태일 때 상기 전원스위치의 상태신호는 전원오프신호이며, 상기 주제어부의 제어신호는 상기 제2스위칭소자의 턴온 혹은 턴오프를 통하여 상기 제어전위를 제1레벨 혹은 제2레벨로 변경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턴오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전원스위치, 스위칭부, 전원스위치모니터링부 및 주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전원스위치를 조작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전원절감상태에서 상기 전원스위치의 조작으로 상기 스위칭부가 턴온되어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정상상태에서 상기 전원스위치가 조작되면, 상기 전원스위치모니터링부는 상기 전원스위치의 상태신호를 상기 주제어부에 전송하고, 상기 주제어부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상기 동작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턴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전원절감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적어도 상기 전원스위치와 상기 스위칭부에 상기 동작전원이 공급되어 1W이하의 최소의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2. 삭제
  13. 제10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전원절감상태에서 상기 전원스위치가 온 상태로 눌러져서 상기 스위칭부가 턴온되고 상기 전원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릴리즈되어도 상기 스위칭부를 계속 턴온시키는 전원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형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제어부와;
    사용자에 의하여 작동하는 전원스위치와;
    상기 화상형성부 및 상기 주제어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도록 턴온 또는 턴오프 되는 스위칭부와;
    상기 전원스위치가 사용자에 의해 작동하는 것을 감지하는 전원스위치모니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전원절감상태에서 상기 전원스위치가 작동하면 상기 스위칭부가 턴온되어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상기 동작전원이 공급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정상상태에서 상기 전원스위치가 동작하면 상기 전원스위치모니터링부는 상기 전원스위치의 상태신호를 상기 주제어부에 전송하고 상기 주제어부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상기 동작전원이 차단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턴오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전원절감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적어도 상기전원스위치와 상기 스위칭부에 상기 동작전원이 공급되어 1W이하의 최소의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전원절감상태에서 상기 전원스위치가 온 상태로 눌러져서 상기 스위칭부가 턴온되고 상기 전원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릴리즈되어도 상기 스위칭부를 계속 턴온시키는 전원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삭제
KR1020090098297A 2008-10-23 2009-10-15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224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04326 2008-10-23
KR1020080104326 2008-10-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377A KR20100045377A (ko) 2010-05-03
KR101722473B1 true KR101722473B1 (ko) 2017-04-11

Family

ID=42118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8297A KR101722473B1 (ko) 2008-10-23 2009-10-15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47136B2 (ko)
KR (1) KR1017224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7331A (ko) * 2009-10-06 2011-04-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5609810B2 (ja) * 2011-07-29 2014-10-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電子機器、画像形成装置
JP6061495B2 (ja) * 2012-05-21 2017-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I527402B (zh) * 2013-07-16 2016-03-21 明泰科技股份有限公司 受電裝置、供電系統與操作模式的選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0331A1 (en) 2004-07-08 2006-01-12 Canon Kabushiki Kaisha Data processing device and power saving control method
JP2007098920A (ja) * 2005-10-07 2007-04-19 Canon Inc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070201894A1 (en) 2005-12-19 2007-08-30 Kazuhito Kishi Image formation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9110B2 (en) * 2003-10-16 2008-12-23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including canceling a power save mode
KR20080064365A (ko) * 2007-01-04 2008-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에서의 파워 세이브 제어 방법
JP2008197871A (ja) * 2007-02-13 2008-08-28 Fuji Xerox Co Ltd 給電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0331A1 (en) 2004-07-08 2006-01-12 Canon Kabushiki Kaisha Data processing device and power saving control method
JP2007098920A (ja) * 2005-10-07 2007-04-19 Canon Inc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070201894A1 (en) 2005-12-19 2007-08-30 Kazuhito Kishi Image forma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47136B2 (en) 2013-01-01
US20100106993A1 (en) 2010-04-29
KR20100045377A (ko) 2010-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6773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62089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selecting among a plurality of power saving modes using a simple operation, and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therefor
CN102547020A (zh) 成像装置及其电力控制方法
JP5273195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
KR101722473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83008A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관리방법
US896420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apparatus including interfaces that receive commands to transition from power saving modes
US20070070384A1 (en) Ultra-power saving facsimile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6233533B2 (ja) 電力供給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JP5473845B2 (ja) 画像入出力装置
US2018024902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JP2000318265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062789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ircuit unit to cut off power to itself and its CPU in a standby mode
JP2007080027A (ja) 制御システム、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14116905A (ja) 画像処理装置、機器制御方法、及び機器制御プログラム
KR101643140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537192B2 (en) Power control for a controlled device and communication relay unit of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101941551B1 (ko) 화상형성장치
JP2005315923A (ja) 画像形成装置
KR19990043672A (ko) 잉크젯트방식을 이용한 복합기에서 기록헤드 보호장치 및 방법
JPH05110726A (ja) フアクシミリ装置
JPH10297059A (ja) 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並びに記憶媒体
JP2008260130A (ja) プリンタ装置
KR0135742Y1 (ko) 화성형성장치의 전원 절약장치
JP2010109962A (ja) 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