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6792A - 디스플레이장치,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6792A
KR20120016792A KR1020100079243A KR20100079243A KR20120016792A KR 20120016792 A KR20120016792 A KR 20120016792A KR 1020100079243 A KR1020100079243 A KR 1020100079243A KR 20100079243 A KR20100079243 A KR 20100079243A KR 20120016792 A KR20120016792 A KR 20120016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power supply
switching uni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9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라
이진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9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6792A/ko
Priority to US13/069,044 priority patent/US8901782B2/en
Publication of KR20120016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7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02M1/322Means for rapidly discharging a capacitor of the converter for protecting electrical components or for preventing electrical sh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소정의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AC 전원을 입력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AC 전원의 입력이 중단되면 상기 전원공급부의 잔류전압을 방전시키고, 상기 AC 전원이 입력되어도 전압을 방전시키지 않는 방전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한다. 이에 의해, AC 전원의 입력 중단 시에는 효과적으로 잔류전압을 방전시키고, AC 전원이 입력되어도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 디스플레이장치,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에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DISPLAY APPARATUS, POWER SUPPLY APPARATUS AND POWER SUPPLY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AC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전원공급부에 잔류되어 있는 잔류전압을 제거하고, 대기모드 시에는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 방전회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TV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는 동작전원의 공급을 위하여 AC 상용 전원을 입력 받아 공급 대상에 필요한 레벨의 동작전원으로 변환하여 이를 다른 구성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하고 있다.
도 1a는 종래 TV의 전원공급부에 마련되는 통상적인 AC 전원 입력 회로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AC 전원 입력 회로도는 방전저항(1)과 노이즈 감쇄용 AC 필터(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AC 필터는 캐패시터와 인덕터를 포함하고 있고, 통상적인 TV의 동작 시 AC 입력전압과 동일한 크기의 전압이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된다. 만약 사용자에 의해 전원코드가 뽑히는 경우,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이하, “잔류전압”이라고 함)은 감전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상기 방전저항(1)이 상기 잔류전압을 방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1b는 상기 통상적인 AC 전원 입력 회로도에 포함되어 있는 방전저항(1)의 기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만약 상기 AC 전원 입력 회로에서 방전저항이 없는 경우(A)에는, AC 전원의 입력이 중단되면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되어 있는 잔류전압이 자연방전 되기 까지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감전의 위험이 있게 되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2초가 지나도 여전히 115V의 전압이 여전히 잔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AC 전원 입력 회로에서 방전저항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B)에는 AC 전원의 입력이 중단되면 0.85초라는 아주 짧은 시간 내에 잔류전압을 방전시킬 수 있어, 상기 방전저항은 반드시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도 1a의 상기 통상적인 AC 전원 입력 회로도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방전저항(1)이 AC 입력 회로에서 병렬로 연결되어 있어 대기모드 시에 AC 입력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방전저항(1)에도 AC 입력전압과 동일한 전압이 인가되어 항상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방전저항(1)에서 소모되는 전력이 대기모드 시에 소비되는 전력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AC 전원의 입력이 중단되면 잔류전압을 제거하고, 대기모드 시에는 불필요한 전력을 소모하지 않는 방전회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AC 전원을 입력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AC 전원의 입력이 중단되면 상기 전원공급부의 잔류전압을 방전시키고, 상기 AC 전원이 입력되어도 전압을 방전시키지 않는 방전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방전회로부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잔류전압을 방전시키는 방전소자와; 상기 방전소자를 통하는 전류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1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위칭부는 상기 AC 전원의 입력이 중단되면 턴 온된다.
상기 제1스위칭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리셋시키는 리셋회로에 신호를 출력하는 포토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위칭부가 턴 온되면, 상기 제1스위칭부는 상기 포터 커플러를 턴 온 시킬 수 있다.
상기 방전 소자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AC 전원의 입력을 검출하는 AC 전원 검출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C 전원 검출 회로부는, 상기 AC 전원을 검출하는 검출 소자와; 상기 검출 소자에 의하여 상기 AC 전원의 검출에 대응하여 단속되는 제2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기 제2스위칭부는, 상기 검출소자에 의하여 AC 전원이 검출되면 턴 온된다.
상기 검출소자는, 전력 절감을 위한 대기 모드 시 소정 크기의 전압을 갖는 AC 전원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방전소자는 다이오드 및 저항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소자는 적어도 하나의 제너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AC 전원을 필터링하는 AC 필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전회로부는 상기 AC 필터부의 잔류전압을 방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자장치의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AC 전원을 입력하여 필터링하는 AC 필터부와; 상기 AC 필터부의 출력전류를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된 전류로부터 상기 AC 전원의 입력을 검출하는 AC 전원 검출회로부와; 상기 AC 전원 검출회로부에 의하여 상기 AC 전원의 입력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전원공급부의 잔류전압을 방전시키고, 상기 AC 전원의 입력이 검출되어도 전압을 방전시키지 않는 방전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방전회로부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잔류전압을 방전시키는 방전소자와; 상기 방전소자를 통하는 전류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1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위칭부는 상기 AC 전원의 입력이 중단되면 턴 온된다.
상기 제1스위칭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리셋시키는 리셋회로에 신호를 출력하는 포토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위칭부가 턴 온되면, 상기 제1스위칭부는 상기 포터 커플러를 턴 온 시킨다.
상기 AC 전원 검출 회로부는, 상기 AC 전원을 검출하는 검출 소자와; 상기 검출 소자에 의하여 상기 AC 전원의 검출에 대응하여 단속되는 제2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스위칭부는, 상기 검출소자에 의하여 AC 전원이 검출되면 턴 온된다.
상기 방전소자는 다이오드 및 저항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소자는 적어도 하나의 제너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AC 전원을 입력하여 전자장치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방법에 있어서, AC 전원 검출 회로부에 의해 AC 전원의 입력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 결과에 따라 방전회로부에서 AC 전원의 입력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전원공급부의 잔류전압을 방전시키고, 상기 AC 전원의 입력이 검출되어도 전압을 방전시키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방전회로부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잔류전압을 방전시키는 방전소자와; 상기 방전소자를 통하는 전류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1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을 방전시키지 않는 단계는, 상기 AC 전원의 입력이 검출되면 상기 제1스위칭부가 턴 오프되어 상기 방전소자로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턴 온된 제1스위칭부가 포터 커플러를 턴온하여 상기 전자장치를 리셋시키는 리셋회로에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C 전원 검출 회로부는, 상기 AC 전원을 검출하는 검출 소자와; 상기 검출 소자에 의하여 상기 AC 전원의 검출에 대응하여 단속되는 제2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 소자에 의하여 상기 AC 전원이 검출되면, 상기 제2스위칭부가 턴 온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소자는, 전력 절감을 위한 대기 모드 시 소정 크기의 전압을 갖는 AC 전원을 검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AC 전원의 입력이 중단되는 경우에는 전원공급부의 잔류전압을 제거하면서, 대기 모드 시에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 방전회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이 제공된다.
도 1a는 종래 TV의 전원공급부에 마련되는 통상적인 AC 전원 입력 회로도를 보여주고 있고,
도 1b는 도 1a의 통상적인 AC 전원 입력 회로도에 포함되어 있는 방전저항(1)의 기능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C 검출부(7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포함되는 AC 검출부(70)의 각 구성요소의 전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포함된 방전회로부(77)의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수신부(10), 신호처리부(20), 디스플레이부(30), 제어부(40), 사용자입력부(50) 및 전원공급부(6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도시되지 않은 외부의 영상공급원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여 이를 표시한다. 상기 외부 영상공급원은 CPU(미도시) 및 그래픽카드(미도시)를 가지고 영상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로컬(local)로 제공할 수 있는 컴퓨터본체(미도시), 영상신호를 네트워크로 제공할 수 있는 서버(미도시), 공중파 또는 케이블을 이용하여 방송신호를 송출 가능한 방송국의 송출장치(미도시) 등 다양한 영상공급원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부(10)는 상기 다양한 영상공급원으로부터 영상 및/또는 음성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10)는, 방송수신장치로부터 송출되는 RF(radio frequency)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컴포지트(composite) 비디오, 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 video), SCART,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ferface) 규격 등을 따르는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수신부(110)는 안테나(미도시) 및/또는 방송 채널을 튜닝하는 튜너(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20)는 상기 수신부(10)에서 수신한 영상 및/또는 음성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신호처리부(20)는 상기 수신한 영상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영상신호처리부(미도시)와 상기 수신한 음성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음성신호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신호처리부(미도시)는, 영상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서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어, 다양한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및 인코딩(encoding),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fresh rate) 변환,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인핸스먼트(detail enhancement), 라인 스캐닝(line scanning)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개별 또는 복합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음성신호처리부(미도시)는 음성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오디오처리 프로세서를 수행한다. 상기 프로세서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 바, 예를 들어, 아날로그 음성신호의 디지털변환, 오디오신호의 증폭처리, 오디오신호 출력레벨조정, 오디오신호 주파수 보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개별적 또는 복합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상기 음성신호처리부에 의해서 처리된 음성신호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는 상기 신호처리부(2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30)는 신호처리부(20)로부터 주사된 복수의 수평 주사 라인이 수직으로 배열됨으로써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는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미도시)과 패널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미도시)은, 액정층을 포함하는 액정패널 또는 유기물로 구성된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패널, 플라즈마 표시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다른 구성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제어 프로그램인 펌웨어와 이를 실행하기 위한 CPU 및 RAM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5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리모컨, 조작 패널, 터치 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5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원 온/오프를 선택할 수 있는 입력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50)에 의해 수신된 사용자의 입력은 제어부(40)로 전달된다.
전원공급부(60)는, AC 전원을 입력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30)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AC 전원의 입력이 중단되면 상기 전원공급부의 잔류전압을 방전시키고, 상기 AC 전원이 입력되어도 전압을 방전시키지 않는 방전회로부(77)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공급부(6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 이외의 다른 구성, 예컨대 수신부(10), 신호처리부(20), 제어부(40), 사용자입력부(50) 등에도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방전회로부(77)를 통해, AC 전원의 입력이 중단되는 경우, 예를 들어 전원코드가 뽑히는 경우, 잔류전압으로 인한 감전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또한, AC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에도, 방전회로부(77)에서는 전압을 방전시키지 않아 불필요한 전력의 소비를 방지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60)는 AC 검출부(70)와 전원출력부(80)를 포함한다.
외부에서 AC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AC 전원은 상기 AC 검출부(70)와 전원출력부(80)로 전달된다. 상기 AC 검출부(70)는 AC 전원의 입력 여부를 검출할 뿐만 아니라 방전회로부(77)를 포함하고 있어서 잔류전압을 방전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이에 대하여는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전원출력부(80)는 주전원출력부(미도시) 및 대기전원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정상모드인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AC 전원을 주전원출력부(미도시)에서 출력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각 구성요소로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대기모드인 경우에는 AC 전원을 대기전원출력부(미도시)에서 출력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각 구성요소로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원공급부(60)에 포함된 AC 검출부(7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상기AC 검출부(70)는 AC필터부(71), 정류부(73), AC 전원 검출 회로부(75), 방전회로부(77) 및 리셋 신호 출력부(79)를 포함한다.
AC 필터부(71)는 입력되는 AC 전원을 필터링하여 노이즈를 제거한다. AC 필터부(71)는 전원코드의 양단에 연결되는 제1캐패시터(111)와 인덕터(11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정상 모드 시에 상기 제1 캐패시터(111)에 소정 크기의 전압이 충전된다.
정류부(73)는 AC필터부(71)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정류함으로써,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킨다. 상기 정류부(73)는 AC필터부(71)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의 전압 레벨을 낮추는 분배회로(121a ~ 121d)와, 상기 전압레벨이 낮아진 전류를 정류시키는 정류회로(123)와, 상기 정류회로(123)에서 정류된 전류의 리플 제거를 위한 평활 캐패시터(125)를 포함한다.
상기 분배회로(121a ~ 121d)는 수동 저항 소자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정류회로(123)는 브릿지 다이오드로 구현될 수 있다.
AC 전원 검출 회로부(75)는 AC 전원을 검출하는 검출소자(131, 133)와; 상기 검출소자에 의하여 상기 AC 전원의 검출에 대응하여 단속되는 제2스위칭부(135)를 포함한다.
상기 검출소자(131, 133)는 상기 정류부(73)에서 출력되는 전류가 소정의 기준 전압값 이상인지 여부를 체크한다. 따라서, 상기 검출소자는 상기 정류부(73)에서 출력되는 전류가 소정 기준 전압값 이상이면 상기 전류를 흘러보내고, 소정 기준 전압값 미만이면 상기 전류를 흘러보내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검출소자(131, 133)는 적어도 하나의 제너 다이오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검출소자(131, 133)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력 절감을 위한 대기모드 시 소정 크기의 전압을 갖는 AC 전원을 검출할 수 있다.
방전회로부(77)는 상기 전원공급부(60)의 잔류전압을 방전시키는 방전소자(141, 143)와; 상기 방전소자를 통하는 전류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1스위칭부(145)를 포함한다.
AC 전원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검출소자(131, 133)가 AC 전원을 검출하지 못하여 상기 제2스위칭부(135)는 턴 오프된다. 도시되지 않은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동작전원(Vcc1)이 제1스위칭부(145)의 베이스단으로 흐르게 되어 결국 제1스위칭부(145)가 턴 온된다. 이로 인하여, AC 필터부(71)의 제1캐패시터(111)에 충전되어 있는 잔류전압은 AC 전원 검출 회로부(75)가 아닌 방전소자(141, 143)로 흐르게 되어 상기 잔류전압이 방전된다.
상기 방전소자(141, 143)는 다이오드 및 수동 저항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전회로부(77)는, 상기 제1스위칭부(145)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리셋시키는 리셋회로(미도시)에 신호를 출력하는 포토 커플러(1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 전원의 입력이 중단되어 상기 제1스위칭부(145)가 턴 온되면, 상기 제1 스위칭부(145)가 상기 포터 커플러(147)를 턴 온 시켜 리셋 신호 출력부(79)로 광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리셋 신호 출력부(79)는 상기 포터 커플러(147)로부터 리셋 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단속되는 제3스위칭부(151)를 포함한다. 상기 포터 커플러(147)가 리셋 신호로서 광전자를 출력하면, 상기 리셋 신호 출력부(79)는 상기 출력된 광전자를 베이스로 수신하여 상기 제 3 스위칭부(151)가 도시되지 않은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동작전원(Vcc2)으로 턴 온 되며, 리셋 전압이 로우가 된다. 상기 리셋 전압이 로우가 되면 리셋회로(미도시)를 포함하고 있는 전원출력부(80)가 이를 리셋신호로 판단하여 디스플레이장치를 리셋시킨다.
상기 포터 커플러(147)가 턴 오프되면, 상기 제3스위칭부(151)가 턴 오프되어 도시되지 않은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동작전원(Vcc2)에 의하여 리셋 전압이 하이가 된다. 상기 리셋 전압이 하이가 된 것을 확인한 전원출력부(80)는 디스플레이장치를 리셋시키지 않는다.
즉, AC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전원은 상기 검출소자의 소정 기준 전압값 이상의 전압값을 가지므로 검출소자(131, 133)를 통해 제2스위칭부(135)의 베이스단으로 전류가 흘러가 결국 제2스위칭부(135)가 턴 온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 제2스위칭부(135)의 일단에 연결된 제1스위칭부(145)의 동작전원(Vcc1)이 상기 제2스위칭부(135)로 흐르게 되어, 상기 제1스위칭부(145)는 턴 오프된다. 따라서, 상기 제1스위칭부(145)가 턴 오프되기에, 상기 제1스위칭부(145)의 일 단에 연결되어 있는 방전소자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므로, AC 전원이 입력되더라도 방전소자에서 전력이 소비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대기모드 일 경우를 설명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정상모드 일 경우에, 정류부(73)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는 도시되지 않은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동작전원(Vcc1)과 동일하게 세팅할 수 있다. 따라서, 정상모드의 경우에도 상기 대기모드의 경우에서와 같은 전류흐름을 볼 수 있다.
AC 전원이 입력되지 않으면, AC 필터부(71)의 제1캐패시터(111)에 충전되어 있던 잔류전압이 흐르게 되고, 상기 잔류전압은 상기 검출소자의 소정 기준 전압값 미만의 전압값을 가지게 되므로 검출소자(131, 133)를 통해 전류가 흐르지 않아 결국 제2스위칭부(135)는 턴 온되지 않는다. 상기 제2스위칭부가 턴 오프되어, 도시되지 않은 공급되는 동작전원(Vcc1)이 제1스위칭부(145)의 베이스단에 공급되어 제1스위칭부(145)가 턴 온된다. 상기 제1스위칭부(145)의 턴 온으로 인하여 상기 잔류전압은 상기 방전소자(141, 143)에 의하여 방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포함되는 전원공급부(60)의 각 구성요소의 전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A 포인트는 AC 필터부(71)의 제1캐패시터(111)에 잔류되어 있는 잔류전압을 나타내고, B 포인트는 정류부(73)의 평활 캐패시터(125)의 전압을 나타내고, C 포인트는 AC 전원 검출 회로부(75)의 제2스위칭부(135)의 베이스 단의 전압을 나타내고, D포인트는 방전회로부(77)의 제1스위칭부(145)의 베이스 단의 전압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AC 전원의 입력이 중단되면, B포인트 및 C포인트의 전압이 낮아졌음을 알 수 있다. 이는 AC 전원이 입력되지 않아 정류부(73)의 평활 캐패시터(125)의 전압이 낮아 졌고, 이로 인하여 제2스위칭부(135)의 베이스단에도 전압이 낮아져 제2스위칭부(135)가 턴 오프된 것을 의미한다.
한편, D 포인트의 전압이 올라갔으며, 이는 Vcc1의 공급으로 인하여 제1스위칭부(145)의 베이스단의 전압이 올라가서 제1스위칭부(145)가 턴 온 된 것을 의미한다.
A 포인트의 전압은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바, 이는 제1스위칭부(145)의 턴 온에 의하여 방전소자(141, 143)에 의하여 제1캐패시터(111)의 잔류전압이 방전되는 것을 의미한다. 잔류전압이 54V로 떨어지기 까지 0.72초밖에 소요되지 않아, 상당히 빠른 시간 내에 잔류전압이 방전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의 방전회로부는 AC 전원의 입력이 중단되는 경우에는 잔류전압을 빠르게 방전시키고, AC 전원이 입력되지 않아도 전력을 방전시키지 않아 불필요한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포함된 방전회로부(77)의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포함된 전원공급부(60)로 외부의 상용 AC 전원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S11). 상기 AC 전원의 입력여부 검출은 상기 전원공급부에 포함된 AC 전원 검출 회로부(75)에 의해 수행된다.
AC 전원이 입력되는 것으로 검출되면, 제2스위칭부(135)는 턴온되고, 제1스위칭부(145)는 턴 오프된다(S12). 상기 제1스위칭부(145)의 턴 오프로 인하여 방전소자(141, 143)로의 전류 흐름이 차단된다(S13). 따라서, AC 전원이 입력되어도 방전소자(141, 143)로의 전류 흐름이 차단되므로, 방전소자(141, 143)로 인한 불필요한 전력소비는 방지된다.
AC 전원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검출되면, 제1스위칭부(145)는 턴온되고, 제2스위칭부(135)는 턴 오프된다(S14). 상기 제1스위칭부(145)의 턴온에 의하여 방전소자(141, 143)를 통해 잔류전압이 방전된다(S15). 또한, 상기 제1스위칭부(145)의 턴온으로 인하여 포터 커플러(147)가 턴온 되어 디스플레이장치의 리셋회로로 리셋신호를 출력하고(S16), 디스플레이장치는 리셋 동작을 수행한다.
이상, 본 발명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원공급부(60)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성으로 구현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전원공급부(60)와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을 가지는 별도의 전원공급장치(미도시)가 디스플레이장치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전원공급부(60)와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을 포함하는 별도의 전원공급장치(미도시)는 디스플레이장치뿐만 아니라 동작전원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다른 전자장치에 동작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장치 10: 수신부
20: 신호처리부 30: 디스플레이부
40: 제어부 50: 사용자 입력부
60: 전원공급부 70: AC 검출부
77: 방전회로부 80: 전원출력부

Claims (20)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AC 전원을 입력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AC 전원의 입력이 중단되면 상기 전원공급부의 잔류전압을 방전시키고, 상기 AC 전원이 입력되어도 전압을 방전시키지 않는 방전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회로부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잔류전압을 방전시키는 방전소자와;
    상기 방전소자를 통하는 전류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1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위칭부는 상기 AC 전원의 입력이 중단되면 턴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칭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리셋시키는 리셋회로에 신호를 출력하는 포토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위칭부가 턴 온되면, 상기 제1스위칭부는 상기 포터 커플러를 턴 온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소자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AC 전원의 입력을 검출하는 AC 전원 검출 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C 전원 검출 회로부는,
    상기 AC 전원을 검출하는 검출 소자와;
    상기 검출 소자에 의하여 상기 AC 전원의 검출에 대응하여 단속되는 제2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기 제2스위칭부는, 상기 검출소자에 의하여 AC 전원이 검출되면 턴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소자는, 전력 절감을 위한 대기 모드 시 소정 크기의 전압을 갖는 AC 전원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소자는 다이오드 및 저항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소자는 적어도 하나의 제너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AC 전원을 필터링하는 AC 필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전회로부는 상기 AC 필터부의 잔류전압을 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전자장치의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AC 전원을 입력하여 필터링하는 AC 필터부와;
    상기 AC 필터부의 출력전류를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된 전류로부터 상기 AC 전원의 입력을 검출하는 AC 전원 검출회로부와;
    상기 AC 전원 검출회로부에 의하여 상기 AC 전원의 입력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전원공급부의 잔류전압을 방전시키고, 상기 AC 전원의 입력이 검출되어도 전압을 방전시키지 않는 방전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회로부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잔류전압을 방전시키는 방전소자와;
    상기 방전소자를 통하는 전류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1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위칭부는 상기 AC 전원의 입력이 중단되면 턴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칭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리셋시키는 리셋회로에 신호를 출력하는 포토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위칭부가 턴 온되면, 상기 제1스위칭부는 상기 포터 커플러를 턴 온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AC 전원 검출 회로부는,
    상기 AC 전원을 검출하는 검출 소자와;
    상기 검출 소자에 의하여 상기 AC 전원의 검출에 대응하여 단속되는 제2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기 제2스위칭부는, 상기 검출소자에 의하여 AC 전원이 검출되면 턴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소자는 다이오드 및 저항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소자는 적어도 하나의 제너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6. AC 전원을 입력하여 전자장치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방법에 있어서,
    AC 전원 검출 회로부에 의해 AC 전원의 입력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 결과에 따라 방전회로부에서 AC 전원의 입력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전원공급부의 잔류전압을 방전시키고, 상기 AC 전원의 입력이 검출되어도 전압을 방전시키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회로부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잔류전압을 방전시키는 방전소자와; 상기 방전소자를 통하는 전류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1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을 방전시키지 않는 단계는, 상기 AC 전원의 입력이 검출되면 상기 제1스위칭부가 턴 오프되어 상기 방전소자로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턴 온된 제1스위칭부가 포터 커플러를 턴온하여 상기 전자장치를 리셋시키는 리셋회로에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AC 전원 검출 회로부는, 상기 AC 전원을 검출하는 검출 소자와; 상기 검출 소자에 의하여 상기 AC 전원의 검출에 대응하여 단속되는 제2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 소자에 의하여 상기 AC 전원이 검출되면, 상기 제2스위칭부가 턴 온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소자는, 전력 절감을 위한 대기 모드 시 소정 크기의 전압을 갖는 AC 전원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방법.
KR1020100079243A 2010-08-17 2010-08-17 디스플레이장치,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 KR2012001679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243A KR20120016792A (ko) 2010-08-17 2010-08-17 디스플레이장치,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
US13/069,044 US8901782B2 (en) 2010-08-17 2011-03-22 Display apparatus, power supply apparatus and power supply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243A KR20120016792A (ko) 2010-08-17 2010-08-17 디스플레이장치,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792A true KR20120016792A (ko) 2012-02-27

Family

ID=45593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9243A KR20120016792A (ko) 2010-08-17 2010-08-17 디스플레이장치,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01782B2 (ko)
KR (1) KR201200167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8698A (ko) * 2012-08-30 2014-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전 회로, 방전 회로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전력 공급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140B1 (ko) 2009-09-18 201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20134190A1 (en) * 2010-11-26 2012-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2140840A1 (ja) * 2011-04-14 2012-10-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ンバータ装置及び半導体装置
KR102059204B1 (ko) * 2013-06-28 2020-02-10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Ac-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전원공급장치
CN115083357B (zh) * 2022-06-14 2023-03-14 惠科股份有限公司 背光模组亮度的刷新方法和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724Y1 (ko) * 1990-05-11 1992-08-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보조전원 방전회로가 내지된 smp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8698A (ko) * 2012-08-30 2014-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전 회로, 방전 회로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전력 공급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44230A1 (en) 2012-02-23
US8901782B2 (en) 201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16792A (ko) 디스플레이장치,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
KR20090008057A (ko) 영상기기 및 이에 적용된 전원 공급방법
KR101593939B1 (ko) 디스플레이장치,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
JP4164697B2 (ja) 液晶テレビジョン、およびバックライト用電源供給回路
KR102401797B1 (ko) 디스플레이장치,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KR20090132183A (ko) Smps 회로
KR20080080042A (ko) 셋톱박스의 전원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셋톱박스
KR102227600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전원공급방법
JP6210850B2 (ja) パワーオーバーイーサネット(登録商標)対応受電装置およびパワーオーバーイーサネット(登録商標)対応ディスプレイ
EP1333360B1 (en) Electrical apparatus and operation of peripheral devices therewith
US20180011525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adapted for controlling a power consumption of a media stream reproducing device
JP2012005304A (ja) 電源供給回路
KR100489823B1 (ko) Tv수신 모듈을 착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제어 시스템
KR100710259B1 (ko) 영상기기의 전원 관리 방법 및 그 영상기기
US9935555B2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power supply method thereof
KR100755860B1 (ko) 오디오잭 감지를 통한 소비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
JP2012093978A (ja) 電子機器装置
JP2011119998A (ja) テレビ
US20220385172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US20130257586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nput switching method
JP2007194881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テレビジョン
EP1394956A2 (en) Power saving facility for radio receiver
JP3551959B2 (ja) テレビジョン、映像表示装置、映像表示装置の電圧制御方法および映像表示装置の最大x線放射量測定方法
JP2007081985A (ja) 緊急警報受信機能付きの電子機器
KR10096845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