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586B1 - 자전거용 수상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수상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586B1
KR101642586B1 KR1020140108414A KR20140108414A KR101642586B1 KR 101642586 B1 KR101642586 B1 KR 101642586B1 KR 1020140108414 A KR1020140108414 A KR 1020140108414A KR 20140108414 A KR20140108414 A KR 20140108414A KR 101642586 B1 KR101642586 B1 KR 101642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frame
present
water
mov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2624A (ko
Inventor
김경호
Original Assignee
김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호 filed Critical 김경호
Priority to KR1020140108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586B1/ko
Publication of KR20160022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8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 B63H16/20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rotary cranking ar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용 수상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를 주행하는 자전거에 부구를 쉽게 분리 또는 장착하여 사용하므로써 자전거를 도로 주행 및 수상이동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건거용 수상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자전거의 안장 프레임에 체결되도록 지지프레임 상측 중앙에 클립을 형성하고 지지프레임 양측단에는 링크프레임과 링크연결되어 절곡되는 연결프레임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프레임 사이에 자전거프레임이 위치하도록 형성한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연결프레임 하단과 연결되도록 양측부구를 형성하고 상기 양측부구의 전방이 연결된 연결부구를 형성하여 자전거의 앞바퀴를 안치시킬 수 있도록 형성한 부력부와, 상기 부력부의 연결부구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자전거의 뒷바퀴의 외경에 고정되는 고정링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링 외경에 다수의 추진편을 형성한 추진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전거용 수상이동장치{Moving device for a bicycle award}
본 발명은 자전거용 수상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를 주행하는 자전거에 부구를 쉽게 분리 또는 장착하여 사용하므로써 자전거를 도로 주행 및 수상이동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건거용 수상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도로용과 산악용 및 도로용과 산악용을 겸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자전거로 구분되어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자전거는 프레임을 알루미늄합금이나 탄소강으로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자전거는 운반 및 간편한 휴대를 위해 프레임을 접을 수 있는 접이식 자전거가 보급되고 있으며, 축전지를 이용한 전기모터 등 추진기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켜 바퀴를 회전시키는 전기자전거 등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자전거는 지상을 주행할 수 있는 기능만 있을 뿐 다른 기능이 없어 최근 다양한 레저를 즐기려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기능이 추가되는 자전거가 제공되고 있으며 특히 강, 호수 및 바다 등 수상에서 이용할 수 있는 수상 저전거가 제안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수상 자전거는 강, 호수 및 바다 등과 같이 물에서도 탈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일반용 자전거에 부력체를 형성하여 페달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상 자전거는 물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육상에서 주행을 할 수 없어 기능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특허공개 제10-2014-005488호 물놀이용 자전거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물놀이용 자전거는 자전거의 프레임 양쪽에 서핑보드와 동일한 형태로 구비되는 한쌍의 보드와, 상기 자전거 프레임의 다운튜브와 상기 각 보드의 앞쪽을 동시에 연결하는 앞받침수단과 그리고 상기 자전거 프레임의 시트스테이 및 체인스테이와 상기 각 보드의 뒤쪽을 동시에 연결하는 뒤받침수단으로 구성되어 자전거가 물에 떠 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물놀이용 자전거는 자전거 프레임에 서핑보드를 장착하여 사용하였으나 물갈퀴를 형성한 바퀴살고정판을 자전거의 바퀴살에 일일이 고정해야 함으로써 조립이 번거로웠으며 자전거의 일부가 물에 잠겨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바퀴살에 바퀴살고정판을 고정하지 않으면 동력발생기를 자전거 바퀴에 접촉하도록 하여 동력케이블을 통하여 프로펠러를 구동시킴으로서 구조가 복잡하고 페달의 고정력을 전부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자전거용 수상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로를 주행하는 자전거에 부구를 쉽게 분리 또는 장착하여 사용하므로써 자전거를 도로 주행 및 수상이동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부구를 장착한 후 절첩한 상태에서 운반할 수 있는 자건거용 수상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으로는 수상에서 추진력을 발생하는 부분을 기어의 조합이나 다수의 물갈퀴를 조립하지 않고 쉽게 조립하여 동력전달이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전거의 안장 프레임에 체결되도록 지지프레임 상측 중앙에 클립을 형성하고 지지프레임 양측단에는 링크프레임과 링크연결되어 절곡되는 연결프레임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프레임 사이에 자전거프레임이 위치하도록 형성한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연결프레임 하단과 연결되도록 양측부구를 형성하고 상기 양측부구의 전방이 연결된 연결부구를 형성하여 자전거의 앞바퀴를 안치시킬 수 있도록 형성한 부력부와, 상기 부력부의 연결부구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자전거의 뒷바퀴의 외경에 고정되는 고정링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링 외경에 다수의 추진편을 형성한 추진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수상이동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부력부의 양측부구는 하측으로 절첩되도록 양측부구 중앙을 힌지 연결하며 양측부구 상측면에는 연결프레임이 삽입되도록 삽입홈을 형성한 것을 중앙이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수상이동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부력부의 양측부구 전방에 연결된 연결부구의 내측에는 회전홀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홀의 상측면에 바퀴홈을 형성한 방향타를 회전 가능하게 삽입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수상이동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부력부의 양측부구 측면에는 보조부구를 연결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수상이동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로를 주행하는 일반적인 자전거에 부구를 쉽게 분리 또는 장착하여 사용하므로써 자전거를 도로 주행 및 수상이동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부구를 장착한 후 절첩한 상태에서 운반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의 추진편을 자전거 뒷바퀴에 쉽게 설치할 수 있어 설치가 용이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수상이동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수상이동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수상이동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수상이동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수상이동장치를 나타낸 부력부의 분분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수상이동장치의 접은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수상이동장치에 따른 부력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수상이동장치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성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수상이동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수상이동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수상이동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수상이동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전거용 수상이동장치는 자전거에 결합되는 프레임부(10)와, 상기 프레임부(10)에 연결되는 부력부(20)와, 부력부(20)에 의해 수면에 띄어 있는 자전거를 이동시키는 추진부(3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프레임부(10)는 자전거(1)의 안장 프레임(11)에 체결되도록 지지프레임(12) 상측 중앙에 클립(13)을 형성하고 지지프레임(12) 양측단에는 하향되도록 연결프레임(14)을 형성하여 연결프레임(14) 사이에 자전거프레임(15)이 위치하도록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프레임부(10)의 연결프레임(14)은 링크프레임(16)과 링크 연결되어 절곡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부(10)의 링크프레임(16) 하단에는 프레임부(10)와 연결된 자전가가 물에 뜨도록 부력부(20)를 연결한다.
상기와 같은 부력부(20)는 링크프레임(16)의 단부에 연결되는 양측부구(21)를 형성하고 상기 양측부구(21)의 전방이 연결된 연결부구(22)에 형성하여 자전거(1)의 앞바퀴(23)를 안치시킬 수 있도록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부력부(20)의 양측부구(21)는 하측으로 절첩되도록 양측부구(21) 중앙을 힌지 연결하며 양측부구(21) 상측면에는 연결프레임(14)의 링크프레임(16)이 삽입되도록 삽입홈(24)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부력부(20)의 양측부구(21) 전방에 연결된 연결부구(22)의 내측에는 회전홀(25)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홀(25)에 상측면에는 앞바퀴(23)가 삽입되는 바퀴홈(27)을 형성한 방향타(28)를 회전 가능하게 삽입형성한다.
한편, 상기 부력부(20)의 양측부구(21) 측면에는 보조부구(29)를 연결 형성하여 자전거를 안정적으로 띄울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양측부구(21)에 연결하는 보조부구(29)는 보조부구(29)를 인출 및 삽입할 수 있도록 안테나 식으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력부(20)의 연결부구(22)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자전거(1)의 뒷바퀴(31)의 외경에 고정되는 고정링(31)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링(31) 외경에 다수의 추진편(32)을 형성한 추진부(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수상이동장치.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전거(1)의 안장프레임(11)에 프레임부(10)의 지지프레임(12)에 형성된 클립(13)을 고정한다.
이와 같이 프레임부(10)를 고정하면 연결프레임(14)에 링크연결된 링크프레임(16) 사이에 자전거프레임(17)이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부력부(20)의 양측부구(21)를 펼쳐서 삽입홈(24)에 링크프레임(16)의 단부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렇게 링크프레임(16)을 고정하면 자전거와 프레임부(20)가 결합되면서 자전거(1)의 앞바퀴(23)가 방향타(27)의 삽입홈(24)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또한, 자전거(1) 뒷바퀴(31)의 외경에는 추진부(30)의 고정링(32)을 고정한다.
상기 고정링(32)은 일정한 탄성을 지지고 있어 뒷바퀴(31)를 수용하며 고정되며 고정링(32)의 외경에는 추진편(33)이 돌출 형성되어 있어 뒷바퀴(31)의 회전으로 수상자전거의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렇게 조립된 수상이동장치를 탑승한 후 지상에서 자전거를 타듯 페달을 밟으면 뒷바퀴(31)가 회전하면서 뒷바퀴(31)에 고정된 추진편(33)이 회전하면서 물을 젓는 효과로 인하여 추진력을 발생시켜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방향을 전환 시키기 위해서는 저전거(1)의 핸들의 돌려 앞바퀴(23)가 삽입되어 있는 방향타(27)를 연결부구(22)의 삽입홈(24)에서 회전시켜 전진하는 수상이동장치의 방향을 조절한다.
이렇게 수상에서 탑승을 한 후 다시 지상을 운전하기 위해서는 부력부(20)의 연결부구(22)에 형성된 삽입홈(24)에서 프레임부(10)의 링크프레임(16)을 이탈 시킨 후 프레임부(10)의 링크프레임(16)을 상측으로 회전시켜 연결프레임(14)에 링크프레임(16)을 접는다.
이렇게 링크프레임(16)을 접으면 자전거(1)의 앞바퀴(23)와 뒷바퀴(31)가 지면에 구름접촉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접혀있는 링크프레임(16)의 단부에 부력부(20)의 양측부구(21)를 접은 상태에서 삽입홈(24)에 삽입시켜 적재하며 뒷바퀴(16)에 고정된 추진부(30)의 고정링(32)을 빼어내어 지상에서 자전거를 운행할 수 있다.
10 : 프레임부 11 : 안장프레임
12 : 지지프레임 13 : 클립
14 : 연결프레임 15 : 자전거프레임
16 : 링크프레임 20 : 부력부
21 : 양측부구 22 : 연결부구
23 : 앞바퀴 24 : 삽입홈
25 : 회전홀 26 : 바퀴홀
27 : 방향타 28 : 보조부구
30 : 추진부 31 : 뒷바퀴
32 : 고정링 33 : 추진편

Claims (5)

  1. 자전거(1)를 지지하는 프레임부(10)와, 상기 자전거(1)를 안치하는 부력부(20)와, 상기 자전거(1)에 추진력을 발생하는 추진부(30)로 구성되는 자전거용 수상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1)의 안장 프레임(11)에 체결되도록 지지프레임(12) 상측 중앙에 클립(13)을 형성하고 지지프레임(12) 양측단에는 링크프레임(16)과 연결되어 절곡되도록 연결프레임(14)을 형성하여 연결프레임(14) 사이에 자전거프레임(15)이 위치하도록 형성한 프레임부(10)와,
    상기 프레임부(10)의 연결프레임(14) 하단과 연결되도록 양측부구(21)를 중앙에 힌지 연결하여 하측으로 절첩되고 양측부구(21) 상측으로는 링크프레임(16)이 삽입되는 삽입홈(24)을 형성하고 상기 양측부구(21)의 전방이 연결된 연결부구(22)를 형성하여 자전거(1)의 앞바퀴(23)를 안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구(22)의 내측에는 회전홀(25)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홀(25)의 상측면에는 바퀴홈(26)을 형성한 방향타(27)를 회전 가능하게 삽입 형성한 부력부(20)와,
    상기 부력부(20)의 연결부구(22)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자전거(1)의 뒷바퀴(31)의 외경에 고정되는 고정링(32)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링(32) 외경에 다수의 추진편(33)을 형성한 추진부(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수상이동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108414A 2014-08-20 2014-08-20 자전거용 수상이동장치 KR101642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414A KR101642586B1 (ko) 2014-08-20 2014-08-20 자전거용 수상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414A KR101642586B1 (ko) 2014-08-20 2014-08-20 자전거용 수상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624A KR20160022624A (ko) 2016-03-02
KR101642586B1 true KR101642586B1 (ko) 2016-07-25

Family

ID=55582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414A KR101642586B1 (ko) 2014-08-20 2014-08-20 자전거용 수상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5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2792A (ko) * 2017-12-18 2019-06-26 김재흥 수륙양용 오토바이
KR102165258B1 (ko) 2020-08-26 2020-10-13 안중식 수상 자전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2475B1 (ko) * 2019-07-15 2021-12-23 한인수 수륙양용 바이크
KR102254129B1 (ko) * 2021-03-11 2021-05-20 안진우 스피드 수상 자전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809Y1 (ko) * 2001-04-23 2001-10-31 김철주 수륙 양용 자전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258Y1 (ko) * 1989-10-05 1992-06-25 정병재 수상 자전거
KR960004170B1 (ko) * 1993-07-14 1996-03-27 유대영 자전거를 이용한 수상보우트장치
JPH1111124A (ja) * 1997-06-24 1999-01-19 Toshitaka Takei 水陸両用自転車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809Y1 (ko) * 2001-04-23 2001-10-31 김철주 수륙 양용 자전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2792A (ko) * 2017-12-18 2019-06-26 김재흥 수륙양용 오토바이
WO2019124870A1 (ko) * 2017-12-18 2019-06-27 김재흥 수륙양용 오토바이
KR102052927B1 (ko) * 2017-12-18 2019-12-12 김재흥 수륙양용 오토바이
KR102165258B1 (ko) 2020-08-26 2020-10-13 안중식 수상 자전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624A (ko) 201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9226B2 (en) Convertible electric bike and board apparatus
KR101642586B1 (ko) 자전거용 수상이동장치
US20220324536A1 (en) Human Powered Hydrofoil Vehicle and Use Method
AU2012226718B2 (en) Bicycle for water and land
US7980907B1 (en) Amphibious paddle track propulsion system
CN105151244A (zh) 自行车水上套装
KR101005680B1 (ko) 수중익형 수륙양용자전거
KR101246263B1 (ko) 조립식 수륙양용 자전거
KR100646200B1 (ko) 수상 자전거
US20040087224A1 (en) Waterpillar
WO2018223640A1 (zh) 一种便携式水上脚踏艇
KR20140137104A (ko) 수륙 양용 바이크
KR200292144Y1 (ko) 수상자전거 세트
KR200399567Y1 (ko) 수상 자전거
KR20200066530A (ko) ?드라이 자전거
CN204916105U (zh) 自行车水上套装
KR20090083317A (ko) 페달식 수륙양용 보우트
KR101750780B1 (ko) 레저용 수상자전거
KR20060031376A (ko) 수륙양용 자전거
KR20110126990A (ko) 부력바퀴를 구비한 수륙 양용 자전거
KR101515968B1 (ko) 수상레저용 보트
KR101760091B1 (ko) 지붕형 수륙양용 자전거
KR200391586Y1 (ko) 수상 자전거
KR101796029B1 (ko) 모터를 이용한 수륙 양용 보드
NL2013847B1 (en) Amphibious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