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475B1 - 수륙양용 바이크 - Google Patents

수륙양용 바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475B1
KR102342475B1 KR1020190085042A KR20190085042A KR102342475B1 KR 102342475 B1 KR102342475 B1 KR 102342475B1 KR 1020190085042 A KR1020190085042 A KR 1020190085042A KR 20190085042 A KR20190085042 A KR 20190085042A KR 102342475 B1 KR102342475 B1 KR 102342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stretchable
sides
body frame
moving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8649A (ko
Inventor
조형래
한인수
Original Assignee
한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인수 filed Critical 한인수
Priority to KR1020190085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2475B1/ko
Publication of KR20210008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61Amphibious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or of a particular type
    • B60F3/0084Amphibious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3Parts or details of the vehicle structure; vehicle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F3/0038Flotation, updrift or stabili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28Other additional equipment, e.g. back-rest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3Bicycles; Tr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2Amphibious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륙양용 바이크에 관한 것으로, 복수 개의 프레임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착좌가능한 시트가 설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후방에 각각 결합되는 제1부력체와, 상기 몸체부의 전방과 후방 각각의 양측에 장착되는 바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의 외측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작동되는 신축부 및 상기 신축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부력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길이가 늘어날 수 있는 신축가능한 신축부의 단부에 부력체를 구비하여 수중에서 일방향으로 기울어져 전복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감을 높일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륙양용 바이크{Amphibious bike}
본 발명은 수륙양용 바이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상과 수상 모두에서 이용이 가능한 수륙양용 바이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이크는 도심이나 산악에서 일반용과 산악용으로 구분되어 이용되고 있다. 특히 가볍고 강한 내구성을 위해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여 제작된다.
최근 레저를 즐기려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레저용 자전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강, 호수 및 바다 등 수상에서 이용할 수 있는 바이크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상바이크는 강, 호수 및 바다 등에서도 탈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일반용 바이크에 공기튜브 형태의 부력체를 결합하여 수중에서 떠 있을 수 있도록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수상 바이크는 구조가 복잡하고 수륙 용도 변환시 조립과 분해과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특허 10-2011-0126990호. (2011.11.24)는 착좌가능한 시트가 설치되며 복수의 프레임으로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방에 주행방향을 조정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의 하부에 하나 이상의 부력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전륜부와, 상기 본체부의 후방 양쪽 단부에 각각의 부력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후륜부 및 답력에 의해 상기 후륜부에 구동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시트 전방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륜부는 상기 부력체의 둘레에 복수의 블레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바퀴를 구비한 수륙 양용 자전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수상에서 흔들림에 의해 일방향으로 기울어져 전복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구성요소 간에 분리가 어렵거나 불가능하여 보관공간을 최소화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126990호. (2011.11.24)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수중에서 이동 시 일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감을 높여줄 수 있는 수륙양용 바이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운반이나 보관 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수륙양용 바이크를 제공하는데도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륙양용 바이크는 복수 개의 프레임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착좌가능한 시트가 설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후방에 각각 결합되는 제1부력체와, 상기 몸체부의 전방과 후방 각각의 양측에 장착되는 바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의 외측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작동되는 신축부 및 상기 신축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부력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는, 좌우측에 평행하게 이격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시트가 장착되는 한 쌍의 제1몸체프레임과, 상기 제1몸체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몸체프레임을 연결하며, 양단에 후륜바퀴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보조프레임과, 상기 제1몸체프레임의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몸체프레임과, 상기 제2몸체프레임의 선단 하부로 분기되어 양단부에 전륜바퀴가 장착되는 제2보조프레임 및 상기 제1몸체프레임의 후단에 결합되어 상부를 향하도록 연장형성되며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제3몸체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몸체프레임 후방에 상방으로 세워져 장착되는 제4몸체프레임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4몸체프레임에 등받이가 장착되며, 상기 등받이 전방 양측에 전후방 길이방향으로 팔안착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신축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부를 향하도록 설치되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이동로와, 상기 제1이동로와 연통하는 제1슬롯이 형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이동로 내에서 좌우로 대칭되게 작동되는 한 쌍의 작동단과,
상기 작동단에 결합되며 서로의 상하단이 회전가능하게 지그재그로 링크 결합되는 복수 개의 연결바 및 내부에 상기 제1이동로와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2이동로와 상기 제2이동로와 연통하는 제2슬롯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이동로 상에서 상기 연결바의 단부가 위치되어 작동되는 수평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이동로 내에 탄성의 걸림턱이 더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작동단이 인접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상기 신축부가 늘어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길이가 늘어날 수 있는 신축가능한 신축부의 단부에 부력체를 구비하여 수중에서 일방향으로 기울어져 전복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부의 분리가 가능하여 운반이나 보관 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바이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바이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바이크의 브라켓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바이크가 수상에서 부유 상태를 나타낸 측면개념도.
본 발명은 수륙양용에서 사용가능하며, 이동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수륙양용 바이크에 관한 것이다.
특히, 길이가 늘어날 수 있는 신축가능한 신축부의 단부에 부력체를 구비하여 수중에서 일방향으로 기울어져 전복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감을 높일 수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바이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바이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바이크의 브라켓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바이크가 수상에서 부유 상태를 나타낸 측면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바이크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바이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 제1부력체(200), 바퀴부(300), 신축부(400) 및 제2부력체(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100)는, 복수 개의 프레임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착좌가능한 시트(10)가 설치되는 것으로, 제1몸체프레임(110), 제1보조프레임(120), 제2몸체프레임(130), 제2보조프레임(140), 제3몸체프레임(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몸체프레임(110)은 한 쌍의 프레임이 좌우측에 평행하게 이격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시트(10)가 장착된다.
상기 제1보조프레임(120)은 상기 제1몸체프레임(11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몸체프레임(110)을 연결하며, 양단에 후륜바퀴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제2몸체프레임(130)은 상기 제1몸체프레임(110)의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보조프레임(140)은 상기 제2몸체프레임(130)의 선단 하부에 양측으로 갈라지도록 이루어져 양단부에 전륜바퀴가 장착된다.
상기 제3몸체프레임(150)은 상기 제1몸체프레임(110)의 후단에 결합되어 상부를 향하도록 연장형성되며 일측에 손잡이(151)가 형성된다.
상기 제1몸체프레임(110) 후방에 상방으로 세워져 장착되는 제4몸체프레임(16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4몸체프레임(160)에 사용자가 앉을 때 기댈 수 있는 등받이(161)가 장착되고, 상기 등받이(161) 전방 양측에 전후방 길이방향으로 팔안착부재(6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부력체(200)는 상기 몸체부(100)의 전후방에 각각 결합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어져 침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부력체(200)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나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져 내부에 공기의 주입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내부에 공기가 형성된 상태로 밀폐시켜 영구히 공기의 주입이 필요하지 않도록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바퀴부(300)는 상기 몸체부(100)의 전방과 후방 각각의 양측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바퀴부(300)의 재질은 합성고무나 우레탄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며 내부에 공기가 주입된 상태로 이루어져 수중에서 부력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신축부(400)는 상기 몸체부(100)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100)의 외측방향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게 신축가능하게 작동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바이크를 지상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신축부(400)가 접혀진 상태로 다니고, 지상에서 수상으로 진입하기 직전에 상기 신축부(400)를 늘려 사용함으로서 수상에서 바이크의 안정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신축부(400)는 브라켓(410), 작동단(420), 연결바(430) 및 수평바(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브라켓(410)은 상기 몸체부(100)의 외부를 향하도록 설치되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이동로(411)와, 상기 제1이동로(411)와 연통하는 제1슬롯(412)이 형성된다.
즉, 상기 브라켓(410)은 상기 몸체부(100)의 측면에 장착되어 외부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할 상기 작동단(420)이 펼쳐지고 단부에 제2부려체가 설치됨으로 좌우측 방향 중 일방향으로 기울어져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작동단(42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이동로(411) 내에서 좌우로 대칭되게 작동된다. 가령, 상기 작동단(420)의 일측과 타측은 상호 대칭되도록 작동되어 상호 간의 거리가 벌어지거나 좁혀지도록 동작된다.
상기 연결바(430)는 상기 작동단(420)에 결합되며 서로의 상하단이 회전가능하게 지그재그로 복수 개의 바가 링크 결합된다.
가령 상기 연결바(430)는 한 쌍의 바가 'X' 형태로 가운데 중첩 부분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지고, 중첩 부분은 핀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추가적으로 다른 한 쌍의 바도 'X' 형태로 결합된 바의 후단에 동일하게 'X' 형태로 핀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이 되며, 동일 형태로 바가 연장 배열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작동단(420)이 좁혀지도록 동작되면 상기 연결바(430)의 양단도 좁혀지게 됨에따라 길이가 늘어나게 된다.
상기 수평바(440)는 내부에 상기 제1이동로(411)와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2이동로(441)와 상기 제2이동로(441)와 연통하는 제2슬롯(442)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이동로(441) 상에서 상기 연결바(430)의 단부가 위치되어 작동된다. 상기 수평바(440)는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전후방으로 이동이 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이동로(411) 내에 탄성의 걸림턱(413)이 더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작동단(420)이 인접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상기 신축부(400)가 늘어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걸림턱(413)은 수상에서 작동단(420)이 좁혀진 상태에서 외부 환경에 따라 상기 작동단(420)이 점점 벌어짐으로서 연결바(430)가 줄어들게 되어 바이크가 측면으로 기울어질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2부력체(500)는 상기 몸체부(100)의 양측에 설치되는 상기 신축부(400)의 단부에 결합되어 좌우로 기울어져 침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 : 시트
100 : 몸체부
110 : 제1몸체프레임
120 : 제1보조프레임
130 : 제2몸체프레임
140 : 제2보조프레임
150 : 제3몸체프레임
151 : 손잡이
160 : 제4몸체프레임
161 : 등받이
200 : 제1부력체
300 : 바퀴부
400 : 신축부
410 : 브라켓
411 : 제1이동로
412 : 제1슬롯
413 : 걸림턱
420 : 작동단
430 : 연결바
440 : 수평바
441 : 제2이동로
442 : 제2슬롯
500 : 제2부력체
600 : 팔안착부재

Claims (5)

  1. 복수 개의 프레임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착좌가능한 시트가 설치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전후방에 각각 결합되는 제1부력체;
    상기 몸체부의 전방과 후방 각각의 양측에 장착되는 바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의 외측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작동되는 신축부;
    상기 신축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부력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좌우측에 평행하게 이격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시트가 장착되는 한 쌍의 제1몸체프레임;
    상기 제1몸체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몸체프레임을 연결하며, 양단에 후륜바퀴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보조프레임;
    상기 제1몸체프레임의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몸체프레임;
    상기 제2몸체프레임의 선단 하부로 분기되어 양단부에 전륜바퀴가 장착되는 제2보조프레임;
    상기 제1몸체프레임의 후단에 결합되어 상부를 향하도록 연장형성되며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제3몸체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바이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프레임 후방에 상방으로 세워져 장착되는 제4몸체프레임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4몸체프레임에 등받이가 장착되며,
    상기 등받이 전방 양측에 전후방 길이방향으로 팔안착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바이크.
  4. 복수 개의 프레임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착좌가능한 시트가 설치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전후방에 각각 결합되는 제1부력체;
    상기 몸체부의 전방과 후방 각각의 양측에 장착되는 바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의 외측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작동되는 신축부;
    상기 신축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부력체;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부를 향하도록 설치되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이동로와, 상기 제1이동로와 연통하는 제1슬롯이 형성되는 브라켓;
    상기 제1이동로 내에서 좌우로 대칭되게 작동되는 한 쌍의 작동단;
    상기 작동단에 결합되며 서로의 상하단이 회전가능하게 지그재그로 링크 결합되는 복수 개의 연결바;
    내부에 상기 제1이동로와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2이동로와 상기 제2이동로와 연통하는 제2슬롯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이동로 상에서 상기 연결바의 단부가 위치되어 작동되는 수평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바이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로 내에 탄성의 걸림턱이 더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작동단이 인접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상기 신축부가 늘어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바이크.
KR1020190085042A 2019-07-15 2019-07-15 수륙양용 바이크 KR102342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042A KR102342475B1 (ko) 2019-07-15 2019-07-15 수륙양용 바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042A KR102342475B1 (ko) 2019-07-15 2019-07-15 수륙양용 바이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649A KR20210008649A (ko) 2021-01-25
KR102342475B1 true KR102342475B1 (ko) 2021-12-23

Family

ID=74237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042A KR102342475B1 (ko) 2019-07-15 2019-07-15 수륙양용 바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24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579B1 (ko) 2023-11-15 2024-03-07 복지플랜 주식회사 수륙양용 휠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59968A (zh) * 2021-04-01 2021-07-02 宿正国 一种小型海陆两栖探索机器人
CN116749690B (zh) * 2023-08-17 2023-10-27 四川万博合创科技有限公司 增浮器、增浮器用作救生筏的方法及两栖行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306B1 (ko) * 2005-07-21 2012-05-11 김경달 수륙용 자전거
KR20110126990A (ko) 2010-05-18 2011-11-24 주식회사 스타마린 부력바퀴를 구비한 수륙 양용 자전거
KR101642586B1 (ko) * 2014-08-20 2016-07-25 김경호 자전거용 수상이동장치
KR101762653B1 (ko) * 2015-09-23 2017-07-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흘수 조절이 가능한 무밸러스트 선박
KR20190072351A (ko) * 2017-12-15 2019-06-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 데크가 구비된 부유식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579B1 (ko) 2023-11-15 2024-03-07 복지플랜 주식회사 수륙양용 휠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649A (ko) 202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2475B1 (ko) 수륙양용 바이크
US9969226B2 (en) Convertible electric bike and board apparatus
ES2432799T3 (es) Anfibio
JP2009519180A (ja) フレームレスポンツーンボート
US9061557B1 (en) Amphibious bicycle float attachment and lift system
US6312341B1 (en) Water slide with cushioning
US3709185A (en) Amphibious motor bike
US2962732A (en) Boat
US3703877A (en) Water scooter
US3837027A (en) Vehicle with depositable ramp for the forming of bridges, particularly floating bridges and ferries
US4664051A (en) Three wheeler flotation conversion kit
US6582258B2 (en) Floating track device
US6196567B1 (en) Folding base for a kick stand
AU2004289582B2 (en) Device for activities on snow, water or the like
US2958306A (en) Boat
ES2312502T3 (es) Cuadro de bicicleta.
FR2962710A1 (fr) Perfectionnement aux bateaux avec bordes gonflables
US1384300A (en) Bicycle side car
KR200485391Y1 (ko) 캐리어 형상의 조립식 보트
US20120169027A1 (en) Foldable bicycle having a stabilization system
ES2199782T3 (es) Dispositivo nautico remolcable para deporte de placer.
JPH0270514A (ja) 全地形走行車両
KR20200066530A (ko) ?드라이 자전거
FR2636296A1 (fr) Vehicule flottant pour une ou plusieurs personnes
KR20120124283A (ko) 수상 레저용 조립식 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