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391Y1 - 캐리어 형상의 조립식 보트 - Google Patents

캐리어 형상의 조립식 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391Y1
KR200485391Y1 KR2020170003073U KR20170003073U KR200485391Y1 KR 200485391 Y1 KR200485391 Y1 KR 200485391Y1 KR 2020170003073 U KR2020170003073 U KR 2020170003073U KR 20170003073 U KR20170003073 U KR 20170003073U KR 200485391 Y1 KR200485391 Y1 KR 2004853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dy member
moving
boa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0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규
박철민
Original Assignee
박용규
박철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규, 박철민 filed Critical 박용규
Priority to KR2020170003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3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3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3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63B7/08Inflatable
    • B63B7/082Inflatable having parts of rigi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50Body-supporting buoyant devices, e.g. bathing boats or water cycles
    • B63B35/7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63B7/08Inflatable
    • B63B7/085Accessories or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seats, sailing kits, mot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38Rud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718/00
    • B63B2739/00
    • B63B274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8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 B63H16/20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rotary cranking arm
    • B63H2016/202Other apparatus for converting muscle power into propulsive effort using rotary cranking arm specially adapted or arranged for being actuated by the feet of the user, e.g. using bicycle-like ped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2Initiating means for steering, for slowing 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or for dynamic anchoring
    • B63H2025/024Handle-bars; Posts for supporting handle-bars, e.g. adjustable po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평상시 캐리어 형태의 가방으로 수납하여 이동 또는 보관하되 보트로 활용시에는 내부 구성물을 조립하여 보트로 사용할 수 있는 캐리어 형상의 조립식 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속이 빈 함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개폐가능한 몸체부재와, 상기 몸체부재 내부에 수납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몸체부재 외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몸체부재가 수면상에 떠 있거나 수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부상부재 및 분리된 상기 부상부재가 상기 몸체부재 내부에 소정영역으로 구획되어 수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획판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재는 내부에 수용공간부를 형성하되 상부 양측에 각각 힌지 결합한 도어가 회전하여 상기 수용공간부가 개폐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몸체, 각각의 상기 도어 내면에 형성되되 상기 부상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몸체가 수면에 떠 있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부착판, 상기 몸체 하면에 형성되되 상기 부상부재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판, 상기 도어의 회전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매미고리, 상기 몸체에 길이조절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몸체가 지면 상에서도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캐리어 형상의 조립식 보트{A sectional boat}
본 고안은 평상시 캐리어 형태의 가방으로 수납하여 이동 또는 보관하되 보트로 활용시에는 내부 구성물을 조립하여 보트로 사용할 수 있는 캐리어 형상의 조립식 보트에 관한 것이다.
레저용으로 통상 사용되는 조립식 보트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분해된 상태로 공간 절약적으로 보관되거나 차량에 탑재하여 이송되며, 필요한 때에 레저 현장에서 즉시 조립되어 낚시 등의 레저에 이용된다.
이러한 조립식 보트는 다양한 형태의 것이 제안되어 있으나, 대체로 사람이 타는 상판이 수면과 접촉하여 있어 물결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그리고 분해상태에서도 부력체와 상판 등의 부피 때문에 전체적 체적이 비교적 크고 무거워서 통상의 승용차량으로는 이송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조립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고 부품이 많아 분해 및 조립의 작업성이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기술로 국내등록특허 제10-1378513호가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브릿지장착부를 갖는 한 쌍의 부력체와; 상기 한 쌍의 부력체를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며, 상호 대응하는 브릿지장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력체결합부를 가지는 한 쌍의 다리부와, 상기 한 쌍의 다리부 사이의 상판지지부를 갖는 복수의 브릿지와 상기 상판지지부에 지지되는 상판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제1상판과 제2상판이 서로 절첩되어 가방형태로 보관 또는 이동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그 외에 다수의 브릿지나 부력체는 별도로 보관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어 쉽게 구성물을 분실하거나 미처 챙기지 못하여 사용 자체를 못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보트로 사용하기 위한 모든 부속품이 수납될 수 있는 가방 형태를 갖도록 형성하여 분실의 위험도를 낮출 수 있는 경량의 조립식 보트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캐리어 형상의 조립식 보트는 속이 빈 함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개폐가능한 몸체부재와, 상기 몸체부재 내부에 수납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몸체부재 외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몸체부재가 수면상에 떠 있거나 수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부상부재 및 분리된 상기 부상부재가 상기 몸체부재 내부에 소정영역으로 구획되어 수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획판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재는 내부에 수용공간부를 형성하되 상부 양측에 각각 힌지 결합한 도어가 회전하여 상기 수용공간부가 개폐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몸체, 각각의 상기 도어 내면에 형성되되 상기 부상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몸체가 수면에 떠 있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부착판, 상기 몸체 하면에 형성되되 상기 부상부재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판, 상기 도어의 회전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매미고리, 상기 몸체에 길이조절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몸체가 지면 상에서도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상부재는 두 분체가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하여 회전에 의해 서로 포개지도록 접혀져 상기 수용공간부에 수납되거나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 상기 이동판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의자와,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소정크기로 부풀어지되 그 외면은 상기 부착판과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몸체가 수면상에 떠 있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튜브와,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길이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하부가 수면에 잠기며, 상기 몸체와 회전가능하게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고정기둥과, 상기 고정기둥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그 회전에 의해 수명 상에 띄워진 상기 몸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스크류와, 상기 고정기둥 상부에 한 쌍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켜 상기 몸체가 수면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추진력을 제공하는 페달과, 판 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기둥 하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몸체가 수면상에서 이동시에 그 진행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방향타 및 상기 페달의 회전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파지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기둥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기둥을 회전시켜 상기 몸체의 좌/우 진행방향을 결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방향조절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획판은 판 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용공간부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부가 상/하 방향으로 구획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플레이트 및 상부가 개방된 함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부에는 서로 교차하는 다수의 나눔판이 구비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분할공간부가 형성하며, 상/하 방향으로 분할된 상기 수용공간부 중 어느 한 곳에 수용되는 수납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속이 빈 함 형상의 몸체 내부에 보트로 사용하기 위한 부상부재 구성물품이 전부 분해되어 수납됨으로 인하여 통상의 캐리어 형태를 가질 수 있어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캐리어 형상의 조립식 보트의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캐리어 형상의 조립식 보트의 몸체부재에 수납되는 부상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캐리어 형상의 조립식 보트의 캐리어 형태를 나타낸 평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대한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캐리어 형상의 조립식 보트의 부상부재 조립확대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캐리어 형상의 조립식 보트의 수면상에 사용되는 보트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형상의 조립식 보트(이하, 간략하게 '보트'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트(1)는 크게 몸체부재(100), 부상부재(200) 및 구획판(3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간략하게 본 고안의 요지를 설명하면 여행 등에 사용자의 물품을 수납하는 통상의 캐리어(carrier) 형태를 갖는 몸체부재(100) 내부에 부상부재(200)를 수납시켜 이동이나 보관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상기 몸체부재(100) 내부에 수납된 부상부재(200)를 몸체부재(100)와 조립하여 보트(boat) 형상을 갖도록 하여 수면상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도 3 및 도 6 참조)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몸체부재(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부상부재(200)와 구획판(300)이 내부에 수납되되 평상시에는 캐리어 형태를 취하고 있어 사용자가 이동 또는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부상부재(200)와 함께 조립되어 보트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몸체(110), 부착판(120), 이동판(130), 매미고리(140) 및 이동수단(15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몸체(110)는 전체적으로 속이 빈 함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트로 사용시에 물의 흡수가 불가한 재질로 성형한다.
본 고안에서의 몸체(110)는 상부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는 도어(113)가 형성되며, 그 회전에 의해 몸체(110)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부(111)가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수용공간부(111) 내부에는 구획판(300)에 의해 정렬된 부상부재(200)가 수납되어 몸체부재(100)가 캐리어 형태를 유지시에 용이하게 상기 부상부재(200)를 원하는 장소로 이동이나 보관 등이 가능하게 된다.
부착판(120)은 도어(113) 내면에 형성되되 후술하는 튜브(220) 외면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몸체(110)가 수면상에 띄워질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부착판(120)은 벨크로테잎(일명 찍찍이), 접착제 및 밴드 중 어느 하나가 사용도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튜브(220) 외면에 형성된 끼움구(미도시)와 서로 끼움 결합하는 홈의 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부착판(120)은 튜브(220)와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하여 복수의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부착판(120)이 구비된 도어(113) 내면은 튜브(220) 외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굴곡진 호(弧) 형상을 갖도록 한다.
이동판(130)은 몸체(110) 하면에 형성되며, 의자(210)가 삽입되어 사용자가 앉아서 페달(250)이나 노(미도시) 등을 통해 보트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도 4 참조)
예컨대 이동판(130)은 몸체(110) 하면에 한 쌍이 서로 이웃하게 돌출형성되되 그 이웃하는 사이에 의자(210) 하부가 삽입되도록 설치되며, 각각의 상기 이동판(130)에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다수의 조절공(131)이 천공형성되어 고정핀(133)에 의해 한 쌍의 이동판(130) 사이에 삽입된 의자(2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구조에 맞게 의자(210)를 한 쌍의 이동판(130)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시켜 위치를 확정하고, 고정핀(133)을 조절공(131)에 관통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페달(250)이나 노(櫓) 등을 사용시에 상기 의자(210)가 밀리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매미고리(140)는 한 쌍의 도어(113)가 서로 접하는 이음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도어(113)가 원하지 않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는 매미고리(140)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지퍼 등으로 대체 사용이 가능하다.
이동수단(150)은 통상의 캐리어가 갖는 길이조절가능한 손잡이(151)와 몸체(110)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바퀴(15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부상부재(20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상시 상술한 몸체(110)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되 필요에 따라 상기 몸체(110) 외부에 결합하여 수면상에서 사용자가 보트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의자(210), 튜브(220), 고정기둥(230), 스크류(240), 페달(250), 방향타(260) 및 방향조절봉(27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의자(210)는 두 분체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하여 이루어지되 해당 부 분체는 사용자가 착석하기 위한 착석체(215) 및 상기 착석체(215)와 힌지 결합하여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체(217)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착석체(215) 하부에는 한 쌍의 이동판(130) 사이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돌출형성된 돌출부(211)가 더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211)는 조절공(131)을 관통하여 진입하는 고정핀(133)이 관통삽입되는 관통공(213)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착석체(215)와 등받이체(217)는 평상시에 서로 포개져 있는 형상으로 수용공간부(111)에 수납되며, 사용시에는 전체적으로 'ㄴ'자 형상을 갖도록 회전하여 이동판(130)에 삽입설치된다.
튜브(220)는 외부에서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부풀어져 사용하는 통상의 튜브(tube)로 이루어지되 그 외면은 부착판(120)에 의해 도어(113) 내면과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때, 본 고안에서의 튜브(220)는 각각의 도어(113) 내면에 부착가능하도록 한 쌍이 구비되되 전체적인 형상은 기둥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수면상에 띄워진 몸체(110)가 안정적으로 수면에 떠 있을 수 있도록 하며, 몸체(110) 내부에 수납시에는 내부 공기를 배출하여 그 부피를 축소한 상태로 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기둥(230)은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되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측이 몸체(110)와 결합하는 고정링(231) 타측을 통해 고정결합한다. 이때, 고정링(231) 타측은 고정기둥(230) 외면을 감싸되 회전가능하도록 관통삽입되어 이탈이 불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고정기둥(230)은 후술하는 구획판(300)을 통해 수납되어 몸체(1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거나 또는 분리결합가능한 다수의 기둥들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고정기둥(230)의 하부는 물속에 잠기도록 설치되어 후술하는 스크류(240)의 회전에 의해 몸체(110)가 수면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스크류(240)는 고정기둥(230) 하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고정기둥(230) 상부에 구비된 페달(25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도 7 참조)
즉, 고정기둥(230) 상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페달(250)을 회전하면 그 회전력은 고정기둥(230) 내부의 기어나 체인 등으로 연결된 스크류(240)에 전달되어 상기 스크류(240)의 회전에 의해 몸체(110)가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스크류(240)는 페달(250)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크류(240)의 회전방향을 달리하여 전진 또는 후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방향타(260)는 스크류(240)의 회전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고정기둥(230) 하부에 판 상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고정기둥(230)의 회전에 의해 수면에서 이동중인 몸체(110)의 진행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고정기둥(230) 상부에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 가능한 방향조절봉(270)이 형성되어 방향타(260)의 방향전환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획판(300)은 몸체(110)가 캐리어 형상을 유지시에 부상부재(200)가 분해되어 상기 몸체(110) 내부에 수납되어 이동 또는 보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플레이트(310) 및 수납함(32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플레이트(310)는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수용공간부(111)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부(111)가 상/하 방향으로 분할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아울러 플레이트(310)에 의해 상/하로 분할된 수용공간부(111) 하부 공간에는 상술한 의자(210)가 서로 포개지도록 회전하여 수납되며, 분할된 수용공간부(111) 상부 공간에는 후술하는 수납함(320)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의자(210)가 수납되는 수용공간부(111)에는 몸체(110)가 이동시에 상기 의자(210)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동방지판(31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납함(320)은 의자(210)를 제외한 나머지 부상부재(200)의 구성물이 몸체(1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몸체(110) 내부에서 서로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정렬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컨대 수납함(320)은 상부가 개방된 사각의 함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면이 수용공간부(111)에 구비된 플레이트(310) 상면에 안착한다. 이때, 플레이트(310) 상면에 안착한 수납함(320)은 상기 플레이트(310)에 형성된 고정홈(미도시)과 끼움 결합하여 몸체(110)가 이동시에 유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수납함(320) 내부에는 부상부재(200)를 이루는 다수의 구성품들이 서로 부딪치지 않게 안정적으로 분할공간부(323)에 정렬되어 수납될 수 있도록 다수의 나눔판(321)이 서로 교차되게 구비된다.
나아가 나눔판(321)은 수납함(320)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나눔판(321)에 의해 생성되는 분할공간부(323)의 면적을 서로 달리하여 생성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보트(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속이 빈 함 형상의 몸체(110) 내부에 보트로 사용하기 위한 부상부재(200) 구성물품이 전부 분해되어 수납됨으로 인하여 통상의 캐리어 형태를 가질 수 있어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이상,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본 고안에 따른 캐리어 형상의 조립식 보트
100: 몸체부재 110: 몸체
111: 수용공간부 113: 도어
120: 부착판 130: 이동판
131: 조절공 133: 고정핀
140: 매미고리 150: 이동수단
151: 손잡이 153: 바퀴
200: 부상부재 210: 의자
211: 돌출부 213: 관통공
220: 튜브 230: 고정기둥
231: 고정링 240: 스크류
250: 페달 260: 방향타
270: 방향조절봉 300: 구획판
310: 플레이트 311: 유동방지판
320: 수납함 321: 나눔판
323: 분할공간부

Claims (3)

  1. 속이 빈 함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개폐가능한 몸체부재(100);
    상기 몸체부재(100) 내부에 수납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몸체부재(100) 외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몸체부재(100)가 수면상에 떠 있거나 수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부상부재(200); 및
    분리된 상기 부상부재(200)가 상기 몸체부재(100) 내부에 소정영역으로 구획되어 수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획판(300);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재(100)는 내부에 수용공간부(111)를 형성하되 상부 양측에 각각 힌지 결합한 도어(113)가 회전하여 상기 수용공간부(111)가 개폐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몸체(110), 각각의 상기 도어(113) 내면에 형성되되 상기 부상부재(200)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몸체(110)가 수면에 떠 있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부착판(120), 상기 몸체(110) 하면에 형성되되 상기 부상부재(20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판(130), 상기 도어(113)의 회전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매미고리(140), 상기 몸체(110)에 길이조절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몸체(110)가 지면 상에서도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이동수단(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형상의 조립식 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부재(200)는
    두 분체가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하여 회전에 의해 서로 포개지도록 접혀져 상기 수용공간부(111)에 수납되거나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 상기 이동판(13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의자(210);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소정크기로 부풀어지되 그 외면은 상기 부착판(120)과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몸체(110)가 수면상에 떠 있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튜브(220);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길이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하부가 수면에 잠기며, 상기 몸체(110)와 회전가능하게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고정기둥(230);
    상기 고정기둥(230)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그 회전에 의해 수명 상에 띄워진 상기 몸체(110)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스크류(240);
    상기 고정기둥(230) 상부에 한 쌍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류(240)를 회전시켜 상기 몸체(110)가 수면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추진력을 제공하는 페달(250);
    판 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기둥(230) 하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몸체(110)가 수면상에서 이동시에 그 진행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방향타(260); 및
    상기 페달(250)의 회전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파지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기둥(230)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기둥(230)을 회전시켜 상기 몸체(110)의 좌/우 진행방향을 결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방향조절봉(2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형상의 조립식 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300)은
    판 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용공간부(111)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부(111)가 상/하 방향으로 구획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플레이트(310); 및
    상부가 개방된 함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부에는 서로 교차하는 다수의 나눔판(321)이 구비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분할공간부(323)가 형성하며, 상/하 방향으로 분할된 상기 수용공간부(111) 중 어느 한 곳에 수용되는 수납함(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형상의 조립식 보트.
KR2020170003073U 2017-06-15 2017-06-15 캐리어 형상의 조립식 보트 KR2004853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073U KR200485391Y1 (ko) 2017-06-15 2017-06-15 캐리어 형상의 조립식 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073U KR200485391Y1 (ko) 2017-06-15 2017-06-15 캐리어 형상의 조립식 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391Y1 true KR200485391Y1 (ko) 2018-01-02

Family

ID=61275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073U KR200485391Y1 (ko) 2017-06-15 2017-06-15 캐리어 형상의 조립식 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3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8577B1 (en) * 2023-05-30 2024-04-16 Moshe Katz Modular boa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257Y1 (ko) * 1989-12-11 1992-06-25 김상호 가방으로 절첩되는 조립식 보오트
KR20080074424A (ko) * 2007-02-09 2008-08-13 신병철 휴대용 접이식 보트
KR20090115633A (ko) * 2008-05-02 2009-11-05 김종이 수륙양용자전거
KR20130003392U (ko) * 2011-11-30 2013-06-10 김도형 접이식보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257Y1 (ko) * 1989-12-11 1992-06-25 김상호 가방으로 절첩되는 조립식 보오트
KR20080074424A (ko) * 2007-02-09 2008-08-13 신병철 휴대용 접이식 보트
KR20090115633A (ko) * 2008-05-02 2009-11-05 김종이 수륙양용자전거
KR20130003392U (ko) * 2011-11-30 2013-06-10 김도형 접이식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8577B1 (en) * 2023-05-30 2024-04-16 Moshe Katz Modular boa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18386B2 (ja) 折り畳み可能ボートのための折り重ね式船尾板
ES2811841T3 (es) Asiento de conversión de volteo y poste de apoyo
US20030029369A1 (en) Floating playground
US11819131B2 (en) Buoyant pool lounge chair frame and buoyant pool lounge chair using the same
KR200485391Y1 (ko) 캐리어 형상의 조립식 보트
CA2572774A1 (en) Foldable rudder wheel for boats
KR102342475B1 (ko) 수륙양용 바이크
WO2021030883A1 (pt) Plataforma de popa submergível dotada de aberturas para recreação
US6715440B2 (en) Changing room for pontoon boats having a rear entry stern gate
US8789484B2 (en) Easily transportable personal watercraft
KR20230086468A (ko) 수상 휠체어
JP6628496B2 (ja) バリアフリーに適した船舶用座席
KR20050072045A (ko) 수륙양용 자전거
CN209776064U (zh) 水陆两用车
CN106114730A (zh) 一种快速折叠的电动助力三轮车
US11958577B1 (en) Modular boat
WO2024103132A1 (pt) Plataforma de popa submergível dotada de dispositivo para recreação
US20200031430A1 (en) Multiple hull folding boat
KR101695643B1 (ko) 낚시용 좌대
EP0277068A1 (fr) Embarcation de plaisance pour l'observation des fonds marins
KR101405121B1 (ko) 조립식 레저용 보트
WO2024103131A1 (pt) Plataforma de popa submergível compreendendo dispositivo para recreação e elementos móveis de encosto
DE102005015361A1 (de) Boot, das im Transportzustand eine Dachgepäckbox für ein Kraftfahrzeug bildet
JP7050651B2 (ja) 座席ユニット、座席装置
EP2298638B1 (en) Inflatable cra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