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1376A - 수륙양용 자전거 - Google Patents

수륙양용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1376A
KR20060031376A KR1020040080377A KR20040080377A KR20060031376A KR 20060031376 A KR20060031376 A KR 20060031376A KR 1020040080377 A KR1020040080377 A KR 1020040080377A KR 20040080377 A KR20040080377 A KR 20040080377A KR 20060031376 A KR20060031376 A KR 20060031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force
bicycle
transmission frame
force transmiss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0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재국
Original Assignee
양재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국 filed Critical 양재국
Priority to KR1020040080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1376A/ko
Publication of KR20060031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13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61Amphibious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or of a particular type
    • B60F3/0084Amphibious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3/00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7/00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륙양용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육지에서는 일반 자전거와 같이 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다나 강에서는 보트 대용으로 탈 수 있도록 해주는 수륙양용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륙양용 자전거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륜 및 후륜과, 후륜을 구동시키는 페달과 체인, 핸들을 포함하여 각 요소를 연결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차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에 하단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부력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수륙양용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륜에 장착되어 상기 핸들의 조작에 따라 진행 방향에 따른 조향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향부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륜을 상기 차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구동력 전달 프레임, 상기 구동력 전달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페달에 의한 구동력을 상기 구동력 전달 프레임에 전달하는 제1 스프라켓, 상기 차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엔진, 상기 엔진에 의한 구동력을 상기 구동력 전달 프레임에 전달하는 제2 스프라켓 및 상기 구동력 전달 프레임의 일측에 기어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추진력을 발생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수륙양용 자전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륜 및 후륜과, 후륜을 구동시키는 페달과 체인, 핸들을 포함하여 각 요소를 연결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차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에 하단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 는 부력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수륙양용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륜에 장착되어 상기 핸들의 조작에 따라 진행 방향에 따른 조향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향부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륜을 상기 차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구동력 전달 프레임, 상기 구동력 전달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페달에 의한 구동력을 상기 구동력 전달 프레임에 전달하는 제1 스프라켓, 상기 차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엔진, 상기 엔진에 의한 구동력을 상기 구동력 전달 프레임에 전달하는 제2 스프라켓 및 상기 구동력 전달 프레임에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장착되며, 상기 구동력 전달 프레임의 회전에 따라 동시에 회전하여 추진력을 발생하도록 다수의 돌출면을 갖는 수차를 포함하는 수륙양용 자전거를 제공한다.
따라서, 간단하고 쉽게 부력 파이프를 자전거 차체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함으로써 복잡한 조립이나 분해 작업 없이 용이하게 육상용 또는 수상용으로 용도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페달을 밟지 않고도 엔진을 이용하여 육상 또는 수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수륙양용 자전거를 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수륙양용, 자전거, 부력 파이프, 클러치 베어링, 스크류

Description

수륙양용 자전거{BICYCLE FOR LAND AND WATER COMBINED US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자전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륙양용 자전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자전거의 작동 요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자전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수륙양용 자전거의 또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수륙양용 자전거 20; 전륜
22; 조향부재 24; 핸들
26; 손잡이 30; 페달
32; 체인 34; 제1 스프라켓
36; 안장 40; 프레임
42; 구동력 전달 프레임 50; 엔진
52; 제2 스프라켓 60; 스크류
62; 베벨 기어 70; 후륜
72; 수차 80; 부력 파이프
90; 조향장치
본 발명은 수륙양용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육지에서는 일반 자전거와 같이 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다나 강에서는 보트 대용으로 탈 수 있도록 해주는 수륙양용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자전거를 육상뿐만 아니라 바다나 강과 같은 물 위에서도 자유롭게 즐기기 위하여 수륙양용 자전거의 개발을 시도하였으며 다양한 방향으로의 접근이 이루어져왔다.
하지만 종래 수륙양용 자전거의 경우 육상을 달리다가 물위를 가야하는 경우 물위에 부상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백(부력 파이프)을 장착하기 위하여 별도의 복잡한 조립 공정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에어백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육상에서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고 쉽게 부력 파이프를 자전거 차체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함으로써 복잡한 조립이나 분해 작업 없이 용이하게 육상용 또는 수상용으로 용도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륙양용 자전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페달을 밟지 않고도 엔진을 이용하여 육상 또는 수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수륙양용 자전거를 탈 수 있는 수륙양용 자전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륜 및 후륜과, 후륜을 구동시키는 페달과 체인, 핸들을 포함하여 각 요소를 연결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차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에 하단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부력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수륙양용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륜에 장착되어 상기 핸들의 조작에 따라 진행 방향에 따른 조향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향부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륜을 상기 차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구동력 전달 프레임, 상기 구동력 전달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페달에 의한 구동력을 상기 구동력 전달 프레임에 전달하는 제1 스프라켓, 상기 차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엔진, 상기 엔진에 의한 구동력을 상기 구동력 전달 프레임에 전달하는 제2 스프라켓 및 상기 구동력 전달 프레임의 일측에 기어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추진력을 발생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수륙양용 자전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륜 및 후륜과, 후륜을 구동시키는 페달과 체인, 핸들을 포함하여 각 요소를 연결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차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에 하단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부력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수륙양용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륜에 장착되어 상기 핸들의 조작에 따라 진행 방향에 따른 조향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향부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륜을 상기 차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구동력 전달 프레임, 상기 구동력 전달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페달에 의한 구동력을 상기 구동력 전달 프레임에 전달하는 제1 스프라켓, 상기 차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엔진, 상기 엔진에 의한 구동력을 상기 구동력 전달 프레임에 전달하는 제2 스프라켓 및 상기 구동력 전달 프레임에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장착되며, 상기 구동력 전달 프레임의 회전에 따라 동시에 회전하여 추진력을 발생하도록 다수의 돌출면을 갖는 수차를 포함하는 수륙양용 자전거를 제공한다.
이에 따르면, 상기 구동력 전달 프레임과 상기 스크류를 결합시키는 기어는 베벨 기어, 나사 기어 또는 헬리컬 기어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스프라켓에는, 상기 페달에 의한 구동력과 상기 엔진에 의한 구동력이 상호 전달되지 않도록 클러치 베어링이 마련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부력 파이프의 재질은 우레탄, 스티로폼, 발포 폴리프로필렌수지 및 에어백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 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자전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륙양용 자전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자전거의 작동 요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수륙양용 자전거에서는 수상을 달릴 때 추진력을 얻도록 하기 위한 스크류와 수차 중 스크류가 사용되는 일실시예를 예로 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수륙양용 자전거(10)는 전체적으로 세발 자전거의 형태를 갖게 된다.
먼저, 전륜(20)에는 핸들(24)의 조작에 따라 조향이 가능하도록 하게 하는 조향부재(22)가 장착된다. 여기서, 조향부재(22)는 물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앞좌석에 연결된 페달(30)의 체인(32)은 뒷좌석에 연결되게 되며, 뒷좌석에 연결된 체인(32)은 구동력 전달 프레임(42)에 장착된 제1 스프라켓(34)에 연결되게 된다.
프레임(40)의 일측에는 뒷좌석에 앉는 사람의 몸이 안정되게 자전거를 탈 수 있도록 손잡이(26)가 마련된다.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수륙양용 자전거(10)의 후륜(70)은, 구동력 전달 프레임(42)에 의해 자전거(10)에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게 된다.
또한, 한 쌍의 후륜(70) 사이에는 엔진(50)이 배치되며, 엔진(50)은 구동력 전달 프레임(42)에 장착된 제2 스프라켓(52)에 체인(32)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엔진(50) 대신 모터(미도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2 스프라켓(52)에 연결되는 체인(32)은 타임벨트(미도시)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프레임(40)은 소정의 길이만큼 자전거(10)의 일외측과 그 반대편으로 연장되도록 뻗어있으며, 그 위에 한 쌍의 부력 파이프(80)를 구비하게 된다.
이 부력 파이프(80)는 자전거(10)와, 자전거(10)에 타는 사람이 물 위에서도 뜰 수 있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공기 튜브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 부력 파이프(80)는 일반적으로 폰툰(pontoon)이라 부르기도 한다.
이 부력 파이프(80)는 수상에서 사용할 때는 바람을 넣어 사용하게 되며, 육상에서 일반 자전거와 같이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분리하여 공기를 빼고 접어서 별도로 보관하면 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수륙양용 자전거(10)는 육상을 달릴 때에도 부력 파이프(80)가 장착된 채로 달릴 수 있으나, 도로 사정이나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장착하거나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 쌍의 부력 파이프(80)는 프레임(40)에 의해 지지되게 되는데, 부력 파이프 고정띠(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자전거(10)에 고정시키는 것이 좋다. 여기서, 한 쌍의 부력 파이프(80)를 자전거(10)에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띠를 자전거(10)에 감을 경우 너무 단단히 구속시키면 부력 파이프(80)가 수상을 달리게 될 때 흔들림이 심할 수 있으므로 고정되는 한 쌍의 부력 파이프(80)가 어느 정도의 자유도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한 쌍의 부력 파이프(80)의 일측이 파도에 의해 요동을 하더라도 부력 파이프(80)가 휘어지기 때문에 흔들림이 적어 질 수 있다.
이러한 부력 파이프(80)는 우레탄, 스티로폼, 발포 폴리프로필렌수지 및 에어백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물 위에서 자연스럽게 미끄러질 수 있도록 부력 파이프(80)의 내부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력 전달 프레임(42)에는 베벨 기어(62)가 결합되게 되는데, 여기서 사용되는 기어는 나사 기어 또는 헬리컬 기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는, 구동력 전달 프레임(42)의 회전을 스크류(60)에 전달하여 본 발명에 의한 수륙양용 자전거(10)가 수상을 달리게 되는 경우 추진력을 얻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추진력은 육상을 달릴 때 사용자가 페달(30)을 굴림으로 인한 구동력이 전달되어 발생할 수도 있으며, 엔진(50)을 구동시켜 발생할 수도 있다. 여기서, 육상을 달릴 때에 엔진(50)을 사용하여 달릴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엔진(50)의 회전에 의한 구동력의 전달은 페달(30)에 의한 구동력 전달 수단(42)인 체인(32)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고무 등으로 된 타임벨트(미도시)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도 2에 도시된 수륙양용 자전거(10)의 경우에는 수상을 달리게 되는 경우 추진력을 얻도록 하기 위해 스크류(60) 대신 구동력 전달 프레임(42)에 수차(72)를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수차(72)는 하나만 사용할 수도 있으나 수상에서 사용시 사용자에게 물이 튀지 않도록 소정의 거리를 두고 다수개의 수차(72)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자전거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수륙양용 자전거의 또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륙양용 자전거(10)는 네발 자전거의 형태를 갖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수륙양용 자전거(10)의 전륜(20)은 통상 사용되는 자전거의 전륜(20)과는 달리 스틸 심재 없이 막혀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별도의 조향부재(22) 없이도 전륜(20) 자체가 조향부재(22)의 역할을 하게 되어 핸들(20)의 조작에 따라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륙양용 자전거(10)는 통상 사용되는 자전거의 전륜(20)과 마찬가지로 스틸 심재를 구비한다.
이 경우 전륜(20)이 조향부재(22)의 역할을 하지 못하므로 자동차 등에서 사용되는 조향장치(90)를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며, 핸들(20)의 조작에 따라 방향 전환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수륙양용 자전거의 작동을 설명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에 의한 수륙양용 자전거(10)를 스크류(60)를 이용하여 수상에서 즐기려면 먼저, 전륜(20)에 조향부재(22)를 장착하는 것으로 준비가 완료되게 된다. 여기서, 조향부재(22)는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으나, 고정 장착되어 있어도 육상에서 수륙양용 자전거(10)를 사용할 때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렇게 준비가 끝나면 마지막 단계에서 프레임(40)에 한 쌍의 부력 파이프(80)를 장착하게 된다.
한 쌍의 부력 파이프(80)는 부력 파이프 고정띠(미도시)에 의해 자전거(10)에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을 완료한 후, 본 발명에 의한 수륙양용 자전거(10)를 가까운 물 위로 들어 올려 놓으면 한 쌍의 부력 파이프(80)의 부력에 의해 자전거(10)가 물 위에 뜨게 된다.
자전거(10)가 물에 뜨면, 사용자는 안장(36)에 앉아 페달(30)을 밟아 앞으로 서서히 회전시키게 되며, 이 구동력이 구동력 전달 프레임(42)에 장착된 기어(62)에 의해 스크류(60)를 회전시켜 추진력을 얻게 된다. 또한, 엔진(50)에 의한 구동력을 구동력 전달 프레임(42)에 전달시켜 스크류(60)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서 수상에서 수차(72)를 이용하여 수륙양용 자전거(1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구동력 전달 프레임(42)에 수차(72)를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끼워 넣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페달(30)을 밟아 회전시키거나, 엔진(50)에 의해 구동력이 구동력 전달 프레임(42)에 전달되게 되면, 구동력 전달 프레임(42)에 장착되는 수차(72)가 회전하면서 추진력을 얻게 되므로 물을 헤치며 앞으로 나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진행 방향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핸들(24)을 조작함으로써 전륜(20)에 장착되어 있는 조향부재(22)가 선박의 키 역할을 하여 진행 방향이 핸들 (24)의 조작 방향에 따라 변경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별도의 엔진(미도시) 및 밧데리(미도시)를 핸들의 일측에 장착하여 밧데리를 통해 전면에 장착된 랜턴(미도시)을 on/off 조절하여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륙양용 자전거에 의하면, 간단하고 쉽게 부력 파이프를 자전거 차체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함으로써 복잡한 조립이나 분해 작업 없이 용이하게 육상용 또는 수상용으로 용도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페달을 밟지 않고도 엔진을 이용하여 육상 또는 수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수륙양용 자전거를 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륜 및 후륜과, 후륜을 구동시키는 페달과 체인, 핸들을 포함하여 각 요소를 연결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차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에 하단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부력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수륙양용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륜에 장착되어 상기 핸들의 조작에 따라 진행 방향에 따른 조향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향부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륜을 상기 차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구동력 전달 프레임,
    상기 구동력 전달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페달에 의한 구동력을 상기 구동력 전달 프레임에 전달하는 제1 스프라켓,
    상기 차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엔진,
    상기 엔진에 의한 구동력을 상기 구동력 전달 프레임에 전달하는 제2 스프라켓 및
    상기 구동력 전달 프레임의 일측에 기어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추진력을 발생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수륙양용 자전거.
  2.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륜 및 후륜과, 후륜을 구동시키는 페달과 체인, 핸들을 포함하여 각 요소를 연결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차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에 하단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부력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수륙양용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륜에 장착되어 상기 핸들의 조작에 따라 진행 방향에 따른 조향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향부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륜을 상기 차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구동력 전달 프레임,
    상기 구동력 전달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페달에 의한 구동력을 상기 구동력 전달 프레임에 전달하는 제1 스프라켓,
    상기 차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엔진,
    상기 엔진에 의한 구동력을 상기 구동력 전달 프레임에 전달하는 제2 스프라켓 및
    상기 구동력 전달 프레임에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장착되며, 상기 구동력 전달 프레임의 회전에 따라 동시에 회전하여 추진력을 발생하도록 다수의 돌출면을 갖는 수차를 포함하는 수륙양용 자전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전달 프레임과 상기 스크류를 결합시키는 기어는 베벨 기어, 나사 기어 또는 헬리컬 기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자전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스프라켓에는, 상기 페달에 의한 구동력과 상기 엔진에 의한 구동력이 상호 전달되지 않도록 클러치 베어링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자전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파이프의 재질은 우레탄, 스티로폼, 발포 폴리프로필렌수지 및 에어백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자전거.
KR1020040080377A 2004-10-08 2004-10-08 수륙양용 자전거 KR200600313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377A KR20060031376A (ko) 2004-10-08 2004-10-08 수륙양용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377A KR20060031376A (ko) 2004-10-08 2004-10-08 수륙양용 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1376A true KR20060031376A (ko) 2006-04-12

Family

ID=37141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0377A KR20060031376A (ko) 2004-10-08 2004-10-08 수륙양용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137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4526A (ko) * 2014-08-26 2016-03-07 이효승 수상 자전거
KR102254129B1 (ko) * 2021-03-11 2021-05-20 안진우 스피드 수상 자전거
KR102582113B1 (ko) * 2022-10-24 2023-09-21 김영기 수륙양용자전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4526A (ko) * 2014-08-26 2016-03-07 이효승 수상 자전거
KR102254129B1 (ko) * 2021-03-11 2021-05-20 안진우 스피드 수상 자전거
KR102582113B1 (ko) * 2022-10-24 2023-09-21 김영기 수륙양용자전거
WO2024090769A1 (ko) * 2022-10-24 2024-05-02 김영기 수륙양용자전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3430B1 (ko) 차륜 가변형 스쿠터
US20220324536A1 (en) Human Powered Hydrofoil Vehicle and Use Method
WO2007079045A2 (en) Amphibious wheel, vehicle and method
US20140120789A1 (en) Aerodynamic amphibious recumbent cycle and kayak
US7980907B1 (en) Amphibious paddle track propulsion system
WO2011077090A2 (en) Amphibian
KR101642586B1 (ko) 자전거용 수상이동장치
KR20060031376A (ko) 수륙양용 자전거
US20180186441A1 (en) Water bike with inflatable front deck
KR100646200B1 (ko) 수상 자전거
KR101246263B1 (ko) 조립식 수륙양용 자전거
CA1181293A (en) Water tricycle
KR20050072045A (ko) 수륙양용 자전거
WO2010091485A2 (en) Portable boat
JPH1111124A (ja) 水陸両用自転車
US6231408B1 (en) Drive mechanism assembly for aquatic vehicle
WO2006014174A1 (en) All terrain vehicle conversion to a boat
KR200399567Y1 (ko) 수상 자전거
KR20140137104A (ko) 수륙 양용 바이크
JP4003988B2 (ja) 跨座式船艇の船体における防振構造
KR101205829B1 (ko) 수상 자전거
KR20090083317A (ko) 페달식 수륙양용 보우트
KR200391586Y1 (ko) 수상 자전거
KR101750780B1 (ko) 레저용 수상자전거
AU2021106791A4 (en) Amphibious Cy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