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579B1 - 상부 개방이 가능한 화물차량용 에어스포일러 - Google Patents

상부 개방이 가능한 화물차량용 에어스포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579B1
KR101641579B1 KR1020150057843A KR20150057843A KR101641579B1 KR 101641579 B1 KR101641579 B1 KR 101641579B1 KR 1020150057843 A KR1020150057843 A KR 1020150057843A KR 20150057843 A KR20150057843 A KR 20150057843A KR 101641579 B1 KR101641579 B1 KR 101641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oof carrier
roof
carri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7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치영
Original Assignee
첨단기어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첨단기어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첨단기어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7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5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7/00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 B62D37/02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by aerodynam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17Drivers' cabs for tractors or off-the-road vehicles
    • B62D33/0625Drivers' cabs for tractors or off-the-road vehicles op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 개방이 가능한 화물차량용 에어스포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차량의 루프에 설치된 루프캐리어의 전방 및 상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에어스포일러에 있어서, 상기 루프캐리어의 전방측을 감쌀 수 있는 폭과 높이를 갖으며, 그 외측면이 곡면형으로 이루어져 루프의 상면 전방측에 고정 설치되는 풍향유도부재; 상기 루프캐리어의 좌우 측면을 일정부분 커버하도록 상기 풍향유도부재의 양측 후단에서 루프캐리어의 양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좌우 측판; 상기 좌우 측판의 상부 테두리부에 측면날개부가 일정 부분 겹치면서 상기 풍향유도부재의 상부 테두리부에 전방 하단부가 일정 부분 겹치도록 안착되면서 루프캐리어의 상부를 밀폐하되, 상기 풍향유도부재의 외측면을 따라 유도된 주행풍이 적재함의 상방 및 후방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되도록 외측면이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상향 경사진 본체; 상기 루프캐리어의 좌우측 전후방에 하단고정부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 양쪽 전후방에 상단고정부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하단고정부를 기준으로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 루프캐리어 상부를 덮고 있는 상기 본체를 승강이동시키도록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는 회동수단; 수동 또는 자동으로 상기 전후방 회동수단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전방 또는 후방 회동수단에 연결 설치되는 회동수단 동작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상부 개방이 가능한 화물차량용 에어스포일러{Roof air spoiler of the commercial vehicle which possible to be opening of the upper-side}
본 고안은 상부 개방이 가능한 화물차량용 에어스포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차량의 루프에 설치되어 주행시 에어스포일러 기능을 제공하고, 적재함에 적재물을 적재 또는 적하할 때 작업자가 루프에 올라서서 작업할 수 있는 작업공간부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상부 개방이 가능한 화물차량용 에어스포일러에 관한 것이다.
장거리를 운행하는 화물차량의 경우 주행시 맞바람에 의한 공기저항으로 연료소비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의 루프 상면에 에어스포일러를 장착하여 차량 주행시 발생되는 주행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히, 적재함에 차량의 루프보다 더 높게 화물이 실리는 경우, 주행저항은 더욱 커지게 되어 연료소비효율이 더욱 악하되게 되는데,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편의 하나로 화물차량의 루프에 유선형의 에어스포일러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화물차량의 경우, 적재함에 실리는 화물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포장을 씌우거나 화물을 결속하기 위한 로프나 밧줄 등을 항상 구비하고 다니게 된다.
그리나, 이러한 화물 보호용 포장이나 화물 결속용 로프 및 밧줄 등을 적재함에 싣고 다닐 경우 화물을 적재할 때 불편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화물차량들은 루프 상면에 별도의 루프캐리어를 설치하여 그 상부에 포장이나 로프 등을 적재하고 다니게 된다.
하지만, 루프캐리어에 실린 포장이나 로프 등이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주행중 포장이나 로프가 주행풍에 의해 차도로 낙하되어 분실되거나 뒤따르는 후방 차량들에게 위험을 주는 요인이 되고 있어서, 루프캐리어에 적재된 포장이나 로프를 주행풍 및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면서 적재함에 실린 화물로 발생되는 주행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루프캐리어 상방으로 상술한 에어스포일러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화물차량의 루프에는 특히 장거리를 많이 운행하거나 대형화물을 자주 싣고 다니는 화물차량 위주로 루프 상면에 루프캐리어 및 에어스포일러를 설치하여 주행저항 감소와 루프캐리어에 실린 포장이나 로프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 화물차량의 루프에 설치된 에어스포일러는 대부분 차량의 루프에 고정되는 고정식이어서 적재함에 실리는 화물의 높이에 따라 에어스포일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는 구조여서,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에어스포일러의 후방측 높이를 일정 범위 내에서 가변식으로 상하 조절되도록 구성하여 적재물의 높이에 따라 에어스포일러의 설치각을 조절하여 주행저항을 더욱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에어스포일러가 안출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일부 실시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43664호(등록일: 1999.01.26, 고안의 명칭: 차량용 탑 스포일러의 승강가변장치), 한국 등록특허 제10-0448067호(등록일:2004.09.01, 발명의 명칭: 트럭용 루프스포일러의 높이조절장치), 한국 등록특허 제10-0802719호, 발명의 명칭: 트럭용 루프스포일러 높이조절장치), 한국 등록특허 제10-1144394호(등록일:2012.05.02, 발명의 명칭 : 화물차량용 가변형 스포일러), 한국 등록특허 제10-1363078호(등록일:2014.02.07, 발명의 명칭: 화물차량용 에어스포일러) 등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고정식 또는 상하 승강구조의 에어스포일러는 화물차량의 루프 상면의 영역을 전체적으로 차지하고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매우 제한된 범위 내에서 에어스포일러의 하부측 루프캐리어에 포장이나 로프 등을 적재할 수 있을 뿐만 작업자가 루프 상면으로 올라가 작업할 수는 없었다.
즉, 화물차량의 경우, 특히 적재함에 화물을 실은 후에 적재물을 외부 기상여건으로부터 보호하거나 운행중 부주의로 화물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포장이나 밧줄 등을 화물을 덮거나 구속하도록 결속시키는 작업이 수행하게 되며, 이렇게 화물 외부에 포장을 덮거나 로프를 설치하는 경우, 작업자가 적재함에 실린 화물 위로 올라가거나 차량의 루프에 올라가 작업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화물차량의 경우 대부분 루프 상면 전체를 에어스포일러가 차지하고 있어서 작업자가 루프에 올라서서 작업할 수 없는 불편함이 발생되었고, 화물을 견고하게 결속시키지 못해서 차량 운행 중 각종 안전사고의 위험요소로 작용하였다.
-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43664호(등록일: 1999.01.26, 고안의 명칭: 차량용 탑 스포일러의 승강가변장치) - 한국 등록특허 제10-0448067호(등록일: 2004.09.01, 발명의 명칭: 트럭용 루프스포일러의 높이조절장치) - 한국 등록특허 제10-0802719호(등록일: 2008.02.01, , 발명의 명칭: 트럭용 루프스포일러 높이조절장치) - 한국 등록특허 제10-1144394호(등록일: 2012.05.02, 발명의 명칭 : 화물차량용 가변형 스포일러) - 한국 등록특허 제10-1363078호(등록일: 2014.02.07, 발명의 명칭: 화물차량용 에어스포일러)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화물차량 루프에 설치된 에어스포일러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루프 상면에 설치되어 차량 운행중에는 에어스포일러의 기능을 수행하고, 적제함에 화물 적재시에는 에어스포일러의 상부를 차량 전방측으로 이동시켜 상부를 개방시킴으로써 작업자가 루프 상면에 올라가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상부 개방이 가능한 화물차량용 에어스포일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개방이 가능한 화물차량용 에어스포일러는 루프캐리어의 전면을 감싸도록 루프캐리어의 전방에 설치되는 곡면형의 풍향유도부재와, 상기 풍향유도부재의 양측 후단에서 루프캐리어의 양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좌우 측판과, 상기 풍향유도부재를 따라 유도된 주행풍이 적재함의 상방 및 후방으로 진행하도록 외측면이 유선형 또는 상향 경사형으로 이루어지면서 하단부가 상기 풍향유도부재 및 좌우 측판의 각 상부 테두리부에 일정부분 겹치면서 루프캐리어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설치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를 상부로 들어올린 후에 루프 전방으로 일정 거리 이동시켜 루프 상면 및 루프캐리어의 상부를 개방시켜 루프 상면에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수행이 가능하도록 하고 작업 후에 최초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루프캐리어의 좌·우측 전방 및 후방에 하단고정부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저면 좌·우측 전방 및 후방에 상단고정부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일정길이를 갖는 전방회동수단 및 후방회동수단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전방회동수단 또는 후방회동수단에는 상기 본체의 승강과 이동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회동수단 동작부재가 더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루프캐리어의 좌우측 전후면에는 평판재 형상의 전후방 고정플레이트가 각각 고정 설치되되,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일측면에는 일정길이의 고정축이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각 고정축의 주변으로 복수개의 체결공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고정축에는 상기 회동수단의 하단고정부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며, 상기 루프캐리어의 전후방 고정플레이트의 각 체결공에는 한 개 이상의 절곡부를 갖으면서 내외측면 사이에 일정한 각격이 유지되면서 체결공이 관통 형성된 전후방 간격유지부재가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전방측 간격유지부재의 체결공에는 상기 풍향유도부재의 양측 후단 및 상기 측판의 전방측이 고정되고, 상기 후방 간격유지부재의 체결공에는 상기 좌우 양쪽 측판의 후방측이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전방 고정플레이트의 고정축에 하단고정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방 회동수단은 한 곳 이상의 절곡부가 형성되어 낫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방 고정플레이트의 고정축에 하단고정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방회동수단은 그 중간부에 절곡부가 형성되어 그 상단부가 후방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의 내부 양쪽 측부에는 본체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측부 보강부재가 양쪽으로 각각 설치되고, 상기 측부보강부재의 전후단에는 본체의 폭 방향으로 가로보강부재가 연결되며, 상기 측부보강부재 또는 가로보강부재에는 상기 전후방 회동수단의 상단부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후방 회동수단 중 어느 일측 회동수단의 상단부와 측부 또는 가로보강부재 사이에는 회전방향에 따라 본체의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후방회동수단에는 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면서 일 측면에 걸림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본체를 수동으로 개폐조작 가능하도록 하는 수동식 회동수단 동작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루프캐리어의 후단 상부에는 본체의 후방 폭 또는 루프캐리어의 폭과 동일하거나 다소 작은 길이의 회전봉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봉의 양단 외주연에는 상기 수동식 회동수단 동작부재의 일측면에 구비된 걸림돌기에 걸리는 걸쇠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봉의 일측 및 이에 대응하는 루프캐리어의 후면측에는 회전봉의 회전동작과 회전동작을 저지하기 위한 회동방지용 자물구 및 상기 회동방지용 자물구가 걸려 고정되는 걸림편이 각각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본체의 후면에는 일정높이의 후면가림판이 설치되고, 상기 후면가림판에는 차량의 전기장치와 연결되어 적재함을 향해 점소등이 가능한 작업등 및 실시간 적재함의 상황을 운전석에 설치된 블랙박스나 내비게이션 화면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후방카메라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본체의 후면가림판에는 차량 후방측이나 원격지에서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차량번호를 표시할 수 있는 차량번호 표시부가 구비되되, 상기 차량번호 표시부에는 별도의 제어컨트롤부에 의해 입력된 차량번호가 발광되어 표시됨으로써 야간에 차량번호 인식이 용이하도록 하는 다수개의 엘이디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형성된 파지부와, 상기 후방회동수단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상기 파지부의 하단으로 형성된 제2나사결합부와, 상기 본체의 보강바 측에 결합되도록 상기 파지부의 상단에 형성된 제1나사결합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1나사결합부와 제2나사결합부는 상호 역방향의 나사산을 갖도록 가공되어 상기 파지부의 좌우 회전시 회동수단의 상단부와 보강바 사이의 거리가 원근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회전봉의 외주연에는 상기 본체의 개폐 전후에 관계없이 상기 걸쇠가 회동수단의 걸림돌기에 걸리는 상방을 향해 위치되도록 텐션토션스프링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본체의 하강시 걸쇠에 걸림돌기가 자동으로 걸리면서 본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 및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개방이 가능한 화물차량용 에어스포일러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회동수단을 동작시켜 루프캐리어 상부를 덮고 있는 본체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차량 전방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루프캐리어 상부 전체를 개방시킴으로써 루프캐리어에 포장이나 로프 등을 적재하거나 내릴때 더욱 편리하도록 한다.
특히, 적재함에 일정 높이의 화물을 적재한 후에 적재된 화물 상부로 포장이나 로프 등을 둘러치기 위해 루프 상면에 올라가 작업할 경우, 작업자가 안전하게 서서 작업할 수 있는 작업공간을 제공할 수 있어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스포일러의 전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스포일러에서 본체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스포일러의 전체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스포일러에서 회동수단의 설치상태도,
도 6 내지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스포일러의 본체가 루프캐리어 상부에서 개방되는 상태를 2단계로 도시한 것으로,
도 6 및 도 7은 에어스포일러의 본체가 수직으로 들려진 1단계 상태도,
도 8 및 도 9는 에어스포일러의 본체가 풍향유도부재의 전방으로 이동된 2단계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스포일러의 일부 절개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개방이 가능한 화물차량용 에어스포일러(이하, “에어스포일러”라 약칭함)는 화물차량의 루프 상면에 설치된 루프캐리어의 상부 전체를 커버하도록 설치된 본체를 회동수단의 동작을 통해 상승 및 전방으로 이동시켜 루프캐리어의 상부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 에어스포일러의 본체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은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들어 올리는 수동식과, 감속기어드 모터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본체를 동작시키는 자동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감속기를 이용한 자동식의 경우에는 운전석 주변 또는 루프 외측에 설치된 별도의 조작스위치를 동작시켜 회동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통상의 공지된 수단을 이용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기술구성에 대해서는 간단하게 설명하거나 그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부 위주로 자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스포일러는 본체를 동작시키는 회동수단의 구성에 따라 자동식과 수동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나, 이하 상세한 설명에서는 수동식 위주로 자세한 설명을 하며, 자동식의 경우는 모터 및 감속기의 회전력으로 회전되는 회전봉을 일측 회동수단에 설치함으로써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어 자동식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방향성 용어, 예를 들면 전방, 후방, 측면 등은 에어스포일러가 설치될 차량을 기준으로 차량의 방향과 동일한 기준으로 사용된다.
먼저, 도 1 및 도 2의 전·후방 사시도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스포일러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스포일러(100)는 대형 화물차량의 루프(R)에 일반적으로 설치되는 루프캐리어(10)를 이용하여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통상의 루프캐리어(10)는 봉 형상의 파이프 복수개가 상부가 개방된 직사각 박스형으로 조립되거나 용접되어 루프 상면에 고정브라켓트(12)로 고정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스포일러(100)는 루프캐리어(10)의 전방, 측면 및 상부에 설치되면서 루프캐리어가 위치한 내부를 밀폐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루프 상면에서 정면으로 불어오는 주행풍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전체적인 형상이 전방은 낮고 후방은 높은 유선형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에어스포일러(100)의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루프캐리어(10)의 내측으로 주행풍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루프캐리어(10)의 전방에 풍향유도부재(60)가 설치되고, 상기 루프캐리어(10)의 좌우 양쪽 측면에는 풍향유도부재(60)의 양쪽 후단에 전방 선단부가 연결되면서 루프캐리어(10)의 측면을 밀폐하도록 평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측판(50,51)이 설치되며, 상기 풍향유도부재(60)의 상단 및 상기 측판(50)의 상단 테두리부에 하단부가 걸쳐지면서 루프캐리어(10)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 본체(70)가 루프캐리어(10) 상부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70)의 양 측면에는 상기 풍향유도부재(60)의 양측 상단부와 측판(50)의 상단 테두리부에 동시에 안착될 수 있는 일체형 측면날개부(71,72)가 각각 형성되며, 그 후면에도 상기 측면날개부(71,72)와 유사한 높이의 후면가림판(73)이 형성된다.
상기 후면가림판(73)에는 차량측 전기장치와 연결되어 운전석에 설치된 조작스위치(도시안됨)의 조작에 의해 적재함을 향해 점소등이 이루어지는 한 개 이상의 작업등(74)이 설치되고, 상기 후면가림판(73)의 중앙부에는 운전석에 설치된 블랙박스나 내비게이션 화면을 통해 적재함의 상황을 실시간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후방카메라(75)가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방카메라(75)는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의 후면가림판(73)에는 차량 후방측이나 고공지(高空地) 또는 원격지에서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차량번호를 표시할 수 있는 차량번호 표시부(78)가 구비되며, 상기 차량번호 표시부(78)에는 별도의 제어컨트롤부(도시생략)에 의해 입력된 차량번호가 발광되어 야간에 차량번호의 식별이 더욱 용이하도록 하는 다수개의 엘이디(79)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작업등(74)과 후방카메라(75) 및 차량번호표시부(78)에 구비되는 엘이디(79)는 차량측의 전기장치와 연결되어 전원공급 및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전기장치의 구성은 통상의 기술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 가능하여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기본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스포일러(100)는 루프캐리어(10)의 전방 및 측면에 설치된 풍향유도부재(60)와 측판(50)에 의해 주행풍이 루프캐리어가 설치된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고, 풍향유도부재(60)의 전방에서 불어오는 주행풍은 풍향유도부재(60)의 상방 및 외측으로 유도된 후에 풍향유도부재(60)의 상방 후단에 연속 설치된 본체(70)의 외측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빠져나가게 되어 적재함에 일정 높이의 화물이 실리더라도 루프 상면으로 통과되는 주행풍에 의한 마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에어스포일러(100)는 본체(70)가 루프캐리어(10)의 상부에 설치된 후 루프캐리어 상부를 개방시킬 수 있는 구조 및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는데, 상기 본체(70)의 개방구조 및 구성에 대해서 도 3 내지 도 5를는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상기 본체(70)가 풍향유도부재(60) 및 측판(50,51)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본체(70)는 일정길이와 형상으로 이루어져 복수개로 구성된 바(bar) 형상의 회동수단(40)에 고정 지지되면서 풍향유도부재(60) 및 측판(50,51)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턱(52,62)에 하단부가 걸쳐지도록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수단(40)의 회동시에 상기 본체(70)가 들려져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바(bar) 형상의 회동수단(40) 상단부에 고정되는 본체(70)는 FRP로 성형되므로, 성형 후 뒤틀림이나 외부 충격에 파손되는 것을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70)의 내부 양측에 측부보강부재(76a,76b)가 형성되고, 좌우 양측 측부보강부재(76a,76b) 전후단에는 본체(70)의 폭 방향으로 가로보강부재(77a,77b)가 각각 연결 설치되어 본체(70)의 뒤틀림과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복수개의 바(bar) 형상으로 구성되는 상기 회동수단(40)은 본체(70)의 내측 전방 및 루프캐리어의 양측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전방 회동수단(41,42)과, 본체(70)의 내측 후방 및 루프캐리어(10)의 후방 양측에 고정 설치되는 또 다른 한 쌍의 후방 회동수단(43,4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 회동수단(43,44)의 상단부에는 후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회동수단 동작부재(80)가 구성되어 본체(70)의 회동시 사용자가 수동으로 회동수단(40)을 들어올리면서 본체(7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동수단 동작부재(80)의 일측면에는 일정길이의 걸림돌기(82, 도 5참조)가 형성된다.
또한, 루프캐리어(10)의 후단 상부에는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봉(83)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회전봉(83)의 외주연 일측 또는 양측에는 회전봉(83)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후방 회동수단(43,44)의 회동수단 동작부재(80)에 구비된 걸림돌기(82)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될 수 있는 걸쇠(8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봉(83)의 중간부 외주연에는 회전봉(83)의 회전동작시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 가능한 길이로 구성되면서 회전봉(83)의 회전을 억제하기 위한 자물구(86)가 일정 길이 형성되며, 상기 자물구(86)가 형성된 하단측 루프캐리어에는 상기 자물구가 걸려 고정되는 걸림편(87, 도 5참조)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전봉(83)의 외주연에는 상기 본체(70)의 개폐 전후에 관계없이 상기 걸쇠(84)가 회동수단(40)의 걸림돌기(82)에 걸리는 상방을 향해 위치되도록 텐션토션스프링(85)이 설치되어 개방된 상기 본체(70)를 하강시킬 때 상기 걸림돌기(82)가 걸쇠(84)에 자동으로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4의 분리사시도 및 도 5의 회동수단 설치상태도를 참조하면서 상기 본체(70)를 고정 지지하면서 회동시키는 회동수단(40) 및 그 설치구조와 루프캐리어(10)에 취부되는 각 구성을 루프캐리어를 기준으로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루프캐리어(10)는 화물차량의 루프에 고정브라켓트(12)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루프에 고정 설치된 루프캐리어(10)의 양측면 전후방으로 사각 판재형상의 전후방 고정플레이트(20~23)가 각각 결합된다.
상기 전후방 고정플레이트(20~23)의 중심부에는 상기 회동수단(40)의 하단 고정부(45)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될 수 고정축(24)이 일측면에 돌출형성되거나 또는 소정의 축고정수단이 결합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축(24)의 상하측에는 별도의 체결공(25)이 복수개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루프캐리어(10)의 양측면 전후방에 결합된 전후방 고정플레이트(20~23)의 고정축(24)에 상기 전후방 회동수단(41~44)의 하단 고정부(45)가 각각 끼움 고정되고, 고정플레이트(20,21)의 체결공(25)에는 판재형상이 수회 절곡되어 복수의 단면을 갖는 간격유지부재(30~33)의 일측면이 체결나사 등으로 각각 고정된다.
상기 전후방 고정플레이트(20~23)의 고정축(24)에 전후방 회동수단(41~44)의 하단 고정부(45)가 각각 끼움 고정되고, 그 체결공(25)에 상기 간격유지부재(30~33)가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간격유지부재(30~33)의 외측면에 형성된 체결공(35), 즉 전방측 간격유지부재(30,31)의 체결공(부호생략)에는 풍향유도부재(60)의 양측 후단부와 측판(50,51)의 전방 선단부가 중첩되면서 체결나사 등으로 동시에 고정되고, 후방측 간격유지부재(32,33)의 체결공(35)에는 측판(50,51)의 후단부가 체결나사 등으로 고정되면서 루프캐리어(10)의 전방 및 측면을 감싸는 구조로 결합된다.
또한, 하단 고정부(45)가 고정플레이트(20~23)의 고정축(25)에 끼움 결합된 막대 형상의 회동수단(40) 상단 고정부(46)가 본체(70)의 내측에 설치된 측부보강부재(76a,76b) 또는 가로보강부재(77a,77b)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에어스포일러의 조립이 완성된다.
한편, 도 5의 전후방 회동수단(41~44)의 설치상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후방 회동수단(41~44)은 루프캐리어(10)에 하단 고정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그 상단부가 본체의 내측에 결합되어 전후방 회동으로 상기 본체를 상승과 동시에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단순한 직선형 막대형상이 아니고 일정 부위에 절곡부(47)가 형성된 낫 또는 호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회동수단(40)은 전방 회동수단(41,42)의 한쌍과 후방 회동수단(43,44) 한쌍이 서로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루프캐리어(10)의 전방측면에 설치되는 전방 회동수단(41,42)은 하단부에 복수의 절곡부(47)가 형성되되, 어느 하나의 절곡부는 고정플레이트의 고정축에 설치되는 하단 고정부보다 더 낮게 위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후방측 회동수단(43,44)은 그 중간부에 절곡부(47)가 형성되어 중간 상단부가 후방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전방측 회동수단(41,42)는 그 하단부에 복수의 절곡부(47)가 형성되고 후방측 회동수단(43,44)의 상단부가 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본체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 인해서 회동수단의 초기 회동시에 풍향유도부재 및 측판의 상단 테두리부에 안착된 본체(70)가 상방향으로 약간 들려지면서 전방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본체의 안착과 회동이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후방 회동수단(41~44) 중 어느 일측 회동수단,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후방 회동수단(43,44)의 상단부에는 본체의 설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90)이 구비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90)은 회동수단의 상단부와 본체의 측부 또는 가로보강부재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그 회전방향에 따라 회동수단에 결합된 본체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중앙 파지부(91)를 기준으로 상하단에 제1 및 제2나사결합부(92,93)가 각각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제1나사결합부(92)와 제2나사결합부(93)는 역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중앙 파지부(91)의 회동시에 보강바에 연결된 일단과 회동수단의 상단에 결합된 타단이 동시에 나사가 풀리거나 조여지는 구조를 갖게 되어 그 회전방향에 따라 본체의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높이조절수단과 본체측의 측부 또는 가로보강부재 사이에는 별도의 연결구(도시 생략)를 결합하여 측부 또는 가로보강부재와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스포일러의 동작상태를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자세하게 설명하며, 도 6 내지 도 9는 상기 회동수단을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 동작시키는 실시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스포일러(100)는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본체(70)가 루프 캐리어(10)의 상부를 필요에 따라 개방시킬 수 있는 구성 및 구조를 제공하게 되는데, 상기 본체(70)의 회동 동작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1단계 동작과,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2단계 동작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에어스포일러(100)가 차량의 루프(R)에 설치되면, 측판(50,51) 및 풍향유도부재(60)의 상단부에 본체(70)가 안착되어 루프캐리어(10)의 상부를 덮고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본체(70)를 개방시키기 위해서 루프캐리어(10)의 후방 상단에 구비된 회전봉(83)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키게 되는데, 회전봉(83)의 고정상태 해제는 회전봉(83)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루프캐리어(10)에 구비된 걸림편(87)에 걸려 있는 자물구(86)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자물구(86)가 걸림편(87)에서 빠져 나오면서 회전봉(83)의 양단 외주연에 구비된 걸쇠(84)가 회동수단 동작부재(80)의 걸림돌기(82)에서 이탈되면서 회동수단의 고정이 해제된다.
걸쇠(84)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수단 동작부재(80)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면, 전후방 회동수단(41~44)이 하단 고정부를 기준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측판 및 풍향유도판의 상단부에 걸쳐져 있던 본체(70)가 상부로 들려지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회동수단 동작부재(80)를 상부로 밀어 올리게 되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70)가 풍향유도부재(60)의 상단부를 넘어서 그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루프캐리어(10)의 상부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스포일러(100)의 본체(7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본체(70)를 지지하고 있는 회동수단(40)이 회동되면서 본체가 1단계의 상승 및 이동과 2단계의 전진 이동으로 풍향유도부재의 상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루프캐리어(10)의 상부가 완전 개방되어 작업자는 루프캐리어에 포장이나 로프 등을 싣거나 내릴 때 편리할 뿐만 아니라 루프 상면에 올라가 필요한 작업을 하는데 더욱 편리하다.
풍향유도부재의 전방 상부로 젖혀진 본체는 상술한 개방동작과 반대로 회동수단 동작부재를 차량 후방측으로 잡아 당기게 되면 상기 본체가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풍향유도부재의 상단 및 양쪽 측판의 상단 걸림턱에 안착되게 되며, 본체의 안착과 동시에 회동수단의 걸림돌기가 상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는 걸쇠에 걸리면서 그 안착이 고정되며, 본체 안착 후 걸쇠가 결합된 회전봉을 회동시켜 자물구를 걸림편에 끼워 고정시키면 차량 운행중에 본체가 임의로 들리거나 유동되지 않게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의 승하강 동작시 작업자가 힘을 들이지 않고 본체를 승하강 동작시킬 수 있도록 상기 양쪽 측판의 내측으로 쇽압소바나 스프링과 같은 별도의 보조장치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에어스포일러의 본체를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사용자의 편리를 위해 상기 회동수단을 자동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회동수단 동작부재를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10에 간략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 회동수단(41~44) 중 어느 일측, 바람직하게는 전방 회동수단(41,42)의 양족 하단 고정부를 동시에 관통하는 회전축(96)을 설치하고, 일측 하단 고정부에 모터 일체형 감속기(95)를 설치하여 모터의 동력으로 상기 전방 회동수단을 회동시킴으로써 본체의 회동이 강제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자동식 회동수단 동작부재를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자동식 회동수단 동작부재의 동작은 운전석에 별도의 조작스위치를 구성하여 이를 통해 간단하게 동작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는 차량측 전원을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자동식 회동수단 동작부재의 구성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본 발명의 수동식 회동수단 동작부재가 설치된 에어스포일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적용가능한 기술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10 : 루프캐리어 12 : 고정브라켓트
20,21 : 전방 고정플레이트 22,23 : 후방 고정플레이트
24 : 고정축 25 : 체결공
30~33 : 간격유지부재 35 : 체결공
40 : 회동수단 41,42 : 전방 회동수단
43,44 : 후방 회동수단 45 : 하단 고정부
46 : 상단 고정부 47 : 절곡부
50,51 : 측판 52 : 걸림턱
60 : 풍향유도부재 62 : 걸림턱
70 : 본체 71,72 : 측면날개부
73 : 후면가림판 74 : 작업등
75 : 후방카메라 76a,76b : 측부보강부재
77a,77b : 가로보강부재 78 : 차량 번호표시부
79 : 엘이디 80 : 회동수단 동작부재
82 : 걸림돌기 83 : 회전봉
84 : 걸쇠 85 : 텐션토션스프링
86 : 자물구 87 : 걸림편
90 : 높이조절수단 91 : 파지부
92 : 제1나사결합부 93 : 제2나사결합부
95 : 감속기 96 : 회전축
100 : 에어스포일러 R : 루프

Claims (9)

  1. 루프캐리어(10)의 전면을 감싸도록 루프캐리어(10)의 전방에 설치되는 곡면형의 풍향유도부재(60)와, 상기 풍향유도부재(60)의 양측 후단에서 루프캐리어(10)의 양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좌우 측판(50,51)과, 상기 풍향유도부재(60)를 따라 유도된 주행풍이 적재함의 상방 및 후방으로 진행하도록 외측면이 유선형 또는 상향 경사형으로 이루어지면서 하단부가 상기 풍향유도부재(60) 및 좌우 측판(50,51)의 각 상부 테두리부에 일정부분 겹치면서 루프캐리어(10)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설치되는 본체(70)를 포함하는 화물차량용 에어스포일러에 있어서,
    상기 본체(70)를 상부로 들어올린 후에 루프 전방으로 일정 거리 이동시켜 루프 상면 및 루프캐리어의 상부를 개방시켜 루프 상면에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수행이 가능하도록 하고 작업 후에 최초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루프캐리어(10)의 좌·우측 전방 및 후방에 하단고정부(45)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70)의 저면 좌·우측 전방 및 후방에 상단고정부(46)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일정길이를 갖는 전방회동수단(41,42) 및 후방회동수단(43,44)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전방회동수단(41,42) 또는 후방회동수단(43,44)에는 상기 본체(70)의 승강과 이동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회동수단 동작부재(80)가 더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개방이 가능한 화물차량용 에어스포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캐리어(10)의 전·후방 양 측면에는 평판재 형상의 전·후방 고정플레이트(20~23)가 각각 고정 설치되되, 상기 고정플레이트(20~23)의 일측면에는 일정 길이의 고정축(24)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각 고정축(24)의 주변에는 복수개의 체결공(25)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20~23)의 고정축(24)에는 상기 전·후방회동수단(41~44)의 하단고정부(45)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며,
    상기 루프캐리어(10)의 전·후방 고정플레이트(20~23)의 각 체결공(25)에는 한 개 이상의 절곡부를 갖으면서 내외측면 사이에 일정한 각격이 유지되면서 체결공(35)이 관통 형성된 전·후방 간격유지부재(30~33)가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전방 간격유지부재(30,31)의 체결공(35)에는 상기 풍향유도부재(60)의 양측 후단 및 상기 측판(50,51)의 전방이 고정되고, 상기 후방 간격유지부재(32,33)의 체결공(35)에는 상기 좌우 양쪽 측판(50,51)의 후방이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개방이 가능한 화물차량용 에어스포일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고정플레이트(20,21)의 고정축(24)에 하단고정부(45)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방회동수단(41,42)은 한 곳 이상의 절곡부(47)가 형성되어 낫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방 고정플레이트(22,23)의 고정축(24)에 하단고정부(45)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방회동수단(43,44)은 그 중간부에 절곡부(47)가 형성되어 그 상단부가 후방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개방이 가능한 화물차량용 에어스포일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70)의 내부 양쪽 측부에는 본체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측부보강부재(76a,76b)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측부보강부재(76a,76b)의 전·후단에는 본체의 폭 방향으로 가로보강부재(77a,77b)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측부보강부재(76a,76b) 또는 가로보강부재(77a,77b)에는 상기 전·후방 회동수단(41~44)의 상단고정부(46)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후방 회동수단(41~44) 중 어느 일측 회동수단의 상단부에는 회전방향에 따라 본체의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90)이 더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개방이 가능한 화물차량용 에어스포일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회동수단(43,44)에는 후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면서 일측면에 걸림돌기(82)가 돌출되어 상기 본체(70)를 수동으로 개폐조작 가능하도록 하는 수동식 회동수단 동작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루프캐리어(10)의 후단 상부에는 본체(70)의 후방 폭 또는 루프캐리어의 폭과 동일하거나 다소 작은 길이의 회전봉(83)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봉(83)의 양단 외주연에는 상기 수동식 회동수단 동작부재의 일측면에 구비된 걸림돌기(82)에 걸리는 걸쇠(84)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봉(83)의 외주연 일측 및 이에 대응하는 루프캐리어의 후면측에는회전봉의 회전동작과 회전동작을 저지하기 위한 회동방지용 자물구(86) 및 상기 회동방지용 자물구(86)가 걸려 고정되는 걸림편(87)이 각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개방이 가능한 화물차량용 에어스포일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70)의 후방 상단부에는 일정 높이를 갖는 후면가림판(73)이 설치되고, 상기 후면가림판(73)에는 차량의 전기장치와 연결되어 적재함을 향해 점소등이 가능한 작업등(74) 및 실시간 적재함의 상황을 운전석에 설치된 블랙박스나 내비게이션 화면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후방카메라(75)가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개방이 가능한 화물차량용 에어스포일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70)의 후면가림판(73)에는 차량 후방측이나 원격지에서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차량번호를 표시할 수 있는 차량번호 표시부(78)가 구비되고,
    상기 차량번호 표시부(78)에는 별도의 제어컨트롤부에 의해 입력된 차량번호가 발광되어 야간에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엘이디(79)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개방이 가능한 화물차량용 에어스포일러.
  8.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90)은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형성된 파지부(91)와, 상기 후방회동수단(43,44)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상기 파지부(91)의 하단으로 형성된 제2나사결합부(93)와, 상기 본체(70)의 측부 또는 가로보강부재 측에 결합되도록 상기 파지부(91)의 상단에 형성된 제1나사결합부(92)로 구성되되,
    상기 제1나사결합부(92)와 제2나사결합부(93)는 상호 역방향의 나사산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91)의 좌우 회전시 회동수단의 상단부와 보강바 사이의 거리가 원근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개방이 가능한 화물차량용 에어스포일러.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83)의 외주연에는 상기 본체(70)의 개폐 전후에 관계없이 상기 걸쇠(84)가 회동수단(40)의 걸림돌기(82)에 걸리는 상방을 향해 위치되도록 텐션토션스프링(85)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개방이 가능한 화물차량용 에어스포일러.
KR1020150057843A 2015-04-24 2015-04-24 상부 개방이 가능한 화물차량용 에어스포일러 KR101641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843A KR101641579B1 (ko) 2015-04-24 2015-04-24 상부 개방이 가능한 화물차량용 에어스포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843A KR101641579B1 (ko) 2015-04-24 2015-04-24 상부 개방이 가능한 화물차량용 에어스포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1579B1 true KR101641579B1 (ko) 2016-07-21

Family

ID=56680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7843A KR101641579B1 (ko) 2015-04-24 2015-04-24 상부 개방이 가능한 화물차량용 에어스포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5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38409A (zh) * 2019-12-11 2020-04-21 宁波吉利汽车研究开发有限公司 一种可调节的主动式空气套件装置
CN112124445A (zh) * 2020-10-09 2020-12-25 湖南行必达网联科技有限公司 牵引车导流装置控制系统及方法
CN117104357A (zh) * 2023-10-23 2023-11-24 江西江铃专用车辆厂有限公司 一种货车用导流罩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3664Y1 (ko) 1996-11-12 1999-06-15 김기철 챠량용 탑 스포일러의 승강가변장치
KR100448067B1 (ko) 2002-05-21 2004-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용 루프스포일러의 높이조절장치
KR100802719B1 (ko) 2006-09-04 2008-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용 루프스포일러 높이조절장치
KR101144394B1 (ko) 2010-04-12 2012-05-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화물 차량용 가변형 스포일러
KR101363078B1 (ko) 2012-08-27 2014-02-14 김치영 화물차량용 에어스포일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3664Y1 (ko) 1996-11-12 1999-06-15 김기철 챠량용 탑 스포일러의 승강가변장치
KR100448067B1 (ko) 2002-05-21 2004-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용 루프스포일러의 높이조절장치
KR100802719B1 (ko) 2006-09-04 2008-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용 루프스포일러 높이조절장치
KR101144394B1 (ko) 2010-04-12 2012-05-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화물 차량용 가변형 스포일러
KR101363078B1 (ko) 2012-08-27 2014-02-14 김치영 화물차량용 에어스포일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38409A (zh) * 2019-12-11 2020-04-21 宁波吉利汽车研究开发有限公司 一种可调节的主动式空气套件装置
CN112124445A (zh) * 2020-10-09 2020-12-25 湖南行必达网联科技有限公司 牵引车导流装置控制系统及方法
CN112124445B (zh) * 2020-10-09 2021-12-17 湖南行必达网联科技有限公司 牵引车导流装置控制系统及方法
CN117104357A (zh) * 2023-10-23 2023-11-24 江西江铃专用车辆厂有限公司 一种货车用导流罩
CN117104357B (zh) * 2023-10-23 2024-01-30 江西江铃专用车辆厂有限公司 一种货车用导流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9695B2 (en) Device for manipulating a tarpaulin
KR101641579B1 (ko) 상부 개방이 가능한 화물차량용 에어스포일러
US7281748B2 (en) Tailgate lift-and-secure cable and latch assembly
US8641123B1 (en) System for covering a vehicle platform
US20110254310A1 (en) Device for manipulating a tarpaulin
US7275780B2 (en) Dual tarp cover system
US20100230994A1 (en) Device for manipulating a tarpaulin
ES2623003T3 (es) Dispositivo de protección lateral para un vehículo automóvil y vehículo automóvil asociado
KR101552711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표시장치
KR101445314B1 (ko)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
CN202279037U (zh) 一种杠杆卷帘式自动车篷
ES2219278T3 (es) Dispositivo para tapar un contenedor con una lona.
JP4933345B2 (ja) 塵芥収集車の塵芥投入箱
KR20120129822A (ko) 콤바인, 콤바인의 탑승 운전부 구조, 및 콤바인에 있어서의 곡립 배출용 오거의 조작 장치
JP3689338B2 (ja) 建設機械のガード装置
CA2589645C (en) Device for manipulating a tarpaulin
CA2808833C (en) System for covering a vehicle platform
CA2657853C (en) Device for manipulating a tarpaulin
KR101034585B1 (ko) 화물차 덮개 보관함
KR200476699Y1 (ko) 적재함 가변 덮개
EP0286519B1 (fr) Dispositif de fermeture à ouvrant articulé autour de deux axes
JP3181418U (ja) 開閉状態識別装置
KR200365426Y1 (ko) 화물 적재함 자동 덮개장치
US20130088021A1 (en) Vehicle Door Mechanism
KR101438918B1 (ko) 트럭용 사이드 스포일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