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8067B1 - 트럭용 루프스포일러의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트럭용 루프스포일러의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8067B1
KR100448067B1 KR10-2002-0028132A KR20020028132A KR100448067B1 KR 100448067 B1 KR100448067 B1 KR 100448067B1 KR 20020028132 A KR20020028132 A KR 20020028132A KR 100448067 B1 KR100448067 B1 KR 100448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pin
roof spoiler
truck
roof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8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0132A (ko
Inventor
김종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8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8067B1/ko
Publication of KR20030090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0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0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2Elements for improving aerodynam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럭용 루프스포일러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럭의 컨테이너가 받는 공기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트럭캡에 설치되는 루프스포일러의 높이를 원터치로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는 트럭용 루프스포일러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트럭의 컨테이너 높이에 따라 루프스포일러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공구없이 간편하게 조절되는 트럭용 루프스포일러의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트럭용 루프스포일러의 높이조절장치{Height adjusting apparatus of roof spoiler for truck}
본 발명은 트럭용 루프스포일러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럭의 컨테이너가 받는 공기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트럭캡에 설치되는 루프스포일러의 높이를 원터치로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 트럭용 루프스포일러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주행할 때에는 다양한 조건의 주행저항을 받게 되어 차량의 주행성능 및 연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주행저항은 보통 구름저항, 공기저항, 가속저항, 구배저항으로 구분되는데, 특히 공기저항은 차량의 고속성능 및 연비와 직결되는 부분이어서 고속용 자동차의 경우 차량의 디자인을 최대한 유선형으로 설계하여 공기저항 계수를 최소화하는 한편, 각종 스포일러를 장착하여 차량의 후방에서 발생되는 와류를 최대한 억제시키거나 와류 생성지점을 차체 후방의 상부로 이동시켜 양력(lift force)과 항력(drag force)을 줄여 나가는 노력을 계속 해오고 있다.
실제로 고속용 차량의 경우에는 차량의 후방에서 생성되는 와류에 의하여 그 부분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은 진공 상태가 되고, 그 진공력은 추진하려는 차체를 잡아 당겨 차량의 고속성능 및 연비를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때 발생되는 와류는 차체 후방의 공기를 진동시켜 소음 형태로 탑승자에게 전달되기도 하는데, 통상적으로 리어 스포일러를 장착하지 않은 승용 자동차의 경우 시속 100km 주행시 약 50kg의 항력이 발생되어 그 만큼의 에너지 손실을 가져오게 되고 이는 곧 연비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한편, 캡의 후방에 박스형상의 컨테이너가 장착되는 대형트럭의 경우에는 주행 중에 공기가 컨테이너의 선단 부위와 충돌하여 주행성능 및 연비를 저하시키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고자 캡의 상부에 루프스포일러를 장착하여 컨테이너의 공기저항을 최대한 줄이게 된다.
종래의 루프스포일러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스포일러(10)를 지지하는 스테이(11)의 위치를 변경하여 트럭캡(1)의 루프부(2)에 설치된 루프스포일러(1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루프스포일러(10)의 높이를 조절하는 이유는 트럭에 높이가 서로 다른 컨테이너(3)를 장착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인데, 루프스포일러(10)의 높이를 조정 불가능하게 고정시켜 높으면 높이가 다른 컨테이너가 장착될 경우 주행풍이 컨테이너(3)와 부딪히게 되어 루프스포일러(10)가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루프스포일러는 그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 루프스포일러를 지지하고 있는 스테이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를 풀고 높이를 변경한 후 다시 볼트를 체결하여 고정하여 함으로써 작업이 매우 불편하였다.
또한, 종래의 루프스포일러는 그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렌치와 같은 공구가 별도로 필요하기 때문에 항상 공구를 트럭내에 구비하고 다녀야 함으로 대부분의 운전자는 높이가 다른 컨테이너가 장착되어도 루프스포일러의 높이를 변경하지 않은 상태로 운행하고 있어 트럭의 주행성능 및 연비가 저하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목적은 트럭의 컨테이너 높이에 따라 루프스포일러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공구없이 간편하게 원터치로 조절되는 트럭용 루프스포일러의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종래 트럭의 루프스포일러를 나타낸 측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스포일러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도,
도4는 본 발명의 루프스포일러 높이조절장치의 루프 장착부를 보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트럭캡 2 : 루프부
3 : 컨테이너 4: 걸림돌기
10 : 루프스포일러 20, 20' : 상부패널
30, 31 : 고정바 40 : 제1힌지핀
41 : 제2힌지핀 50, 50' : 하부패널
52, 53 : 걸림홈 60 : 탄성부재(코일스프링)
h : 힌지
이하,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스포일러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루프스포일러 높이조절장치의 루프 장착부를 보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루프스포일러 높이조절장치는 루프스포일러(10)와 트럭캡의 루프부(2)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사각형상을 갖는 두 개의 동일한 상부패널(20,20')이 마련되고 그 두 개의 상부패널(20,20')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2개의 고정바(30,31)와 1개의 제1힌지핀(40)에 의해 세 점의 꼭지점이 서로 대응되게 소정길이만큼 이격되도록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바(30,31)는 상부패널(20)상의 서로 마주보는 대각선 방향의 2 꼭지점(21,22)에, 상기 제1힌지핀(40)은 그 고정바(30,31) 사이의 한 꼭지점 중 상부(23) 쪽에 설치되어야 하고, 상기 제1힌지핀(40)이 설치된 꼭지점(23)의 대각선 방향에 해당하는 다른 하나의 꼭지점(24)에는 사각 형상을 갖는 하부패널(50)의 한 꼭지점이 힌지(h) 결합된다. 물론 상기 하부패널(50)도 서로 동일한 두 개의 패널(50,50')로 이루어져서 상기 고정바(30,31))만큼의 길이만큼 이격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부패널(50,50')의 힌지(h) 결합된 점의 대각선 방향에 해당하는 꼭지점(51,51')에는 제2힌지핀(41)이 설치된다. 그리고 하부패널(50,50')상에서 나머지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꼭지점에는 상기 고정바(30,31)에 걸리도록 이루어진 걸림홈(52,53)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하부패널(50,50')은 상기 상부패널(20,20')에 힌지(h) 결합될 때 상기 걸림홈(52,53)이 상기 고정바(30,31)에 걸릴 수 있도록 결합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제1힌지핀(40)과 제2힌지핀(41) 사이에는 인장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60)가 설치되는데, 이 탄성부재(60)는 제1힌지핀과 제2힌지핀을 서로 잡아 당기는 것이면 어떤 종류의 것이라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래서 상기 코일스프링(60)은 상기 하부패널(50,50')의 걸림홈(52,53)이 상기 상부패널(20,20')의 고정바(30,31) 중 어느 하나에 항상 걸려 있도록 하는 힘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제1힌지핀(40)과 제2힌지핀(41)의 거리는 상기 걸림홈(52,53)과 상기 고정바(30,31)의 끼움 상태에 따라 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힌지핀(40)은 상기 루프스포일러(10)와 연결되고, 상기 제2힌지핀(41)은 트럭캡의 루프부(2)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루프스포일러(10)는 그 높이가 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홈(52,53)이 상기 고정바(30,31)와 보다 원활하게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제1힌지핀(40) 또는 제2힌지핀(41) 중 어느 하나가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힌지핀(41)이 슬라이딩되도록 하였다.
즉,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럭캡의 루프부(2)에 슬라이딩부(2a)를 마련하여 그 슬라이딩부(2a)에 제2힌지핀(41)이 빠지지 않도록 내재시키고, 그 제2힌지핀(41)이 내재된 상태에서 높이조절이 되면 그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그 바닥면에 걸림돌기(4)가 형성되도록 하여 제2힌지핀(41)의 자유 유동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4)는 제2힌지핀(41)이 고정된 위치에서 유동되지 못하도록 제2힌지핀(41)의 전/후 방향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야 하며 상기 제2힌지핀(41)의 이동경로에 해당되는 내측의 걸림돌기(4b,4c) 2개는 제2힌지핀(41)이 이동될 때 수축 가능하도록 하부의 홈(2b)에 스프링(s)을 매개로 탄성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루프스포일러(10)의 높이를 낮추고자 할 때 상부패널(20)의 한 고정바(31)를 잡아당기면 도3a와 같이 현재 상태에서 서로 맞물려 있던 고정바(31)와 걸림홈(53)이 힌지(h)를 중심으로 서로 떨어지게 되고, 도3b와 같이 다른 고정바(30)와 걸림홈(52)이 서로 걸리게 된다. 루프스포일러(10)의 높이를 높일 때는 이와 반대로 상기 고정바(31)를 밀면 된다.
이때, 상기 고정바(31)를 잡아당기거나 미는 힘은 상기 제1힌지핀(40)과 제2힌지핀(41) 사이에 설치된 코일스프링(60)의 장력보다 큰 힘이어야 하며, 이 장력보다 큰 외력으로 상기 고정바(31)를 잡아당기거나 밀면 상부패널(20,20')과 하부패널(50,50')을 서로 연결하는 힌지(h)가 위치 이동되면서 또 다른 고정바에 다른하나의 걸림홈이 걸림으로써 상기 제1힌지핀(40)과 제2힌지핀(41)의 거리가 변화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루프스포일러(10)는 단 한번 고정바(31)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그 높이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볼트를 풀었다가 조여야 하는 종래의 것보다 훨씬 편리하고 또 별도의 공구없이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럭용 루프스포일러의 높이조절장치에 의하면, 별도의 공구가 없어도 사용자가 손으로 간편하게 높이조절장치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트럭의 루프스포일러 높이가 간단히 조절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캡(1)의 후방에 컨테이너(3)가 장착되는 대형트럭에서 그 컨테이너(3)의 선단부가 주행중에 받는 공기저항이 최소화되도록 캡의 루프부(2)에 설치되는 루프스포일러의 높이를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루프스포일러 높이조절장치는 동일한 형상을 갖는 2개의 상부패널(20,20')이 소정의 간격을 갖고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되어 하나의 상부패널(20)의 대각선 방향에 있는 두 꼭지점(21,22)에서 그에 대응되는 다른 상부패널(20')의 두 꼭지점(21',22')으로 고정바(30,31)가 각각 연결 설치되며, 그 고정바(30)와 고정바(31) 사이에 해당하는 어느 하나의 꼭지점(23,23')끼리는 제1힌지핀(40)이 연결 설치되어 상기 루프스포일러(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상부패널(20,20')의 나머지 하나의 꼭지점(24,24')에는 2개의 동일한 하부패널(50,50')의 한 점이 힌지(h) 결합되며, 그 힌지 결합된 점과 대각선 방향에 있는 하부패널의 꼭지점(51,51')에는 제2힌지핀(41)이 상기 트럭캡의 루프부(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하부패널(50,50')의 나머지 두 곳의 꼭지점에는 상기 고정바(30,31)에 걸리도록 된 걸림홈(52,53)이 형성되며, 상기 제1힌지핀(40)과 제2힌지핀(41) 사이에는 탄성부재(60)가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두 개의 걸림홈(52,53)이 두 개의 고정바(30,31)에 교대로 걸림으로써 상기 제1힌지핀(40)과 제2힌지핀(41) 사이의 길이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루프스포일러의 높이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핀(41)이 상기 트럭캡의 루프부(2)에서 회동되면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트럭캡의 루프부(2)에는 상기 제2힌지핀(41)이 내재되도록 하는 슬라이딩부(2a)가 형성되고, 그 슬라이딩부(2a)의 바닥면 중 제2힌지핀(41)이 위치되는 2곳에는 상기 제2힌지핀(41)이 걸리도록 하는 걸림돌기(4)가 제2힌지핀(41)의 전, 후방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루프스포일러의 높이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4) 중 상기 제2힌지핀(41)의 이동 경로에 있는 걸림돌기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용 루프스포일러의 높이조절장치.
KR10-2002-0028132A 2002-05-21 2002-05-21 트럭용 루프스포일러의 높이조절장치 KR100448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132A KR100448067B1 (ko) 2002-05-21 2002-05-21 트럭용 루프스포일러의 높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132A KR100448067B1 (ko) 2002-05-21 2002-05-21 트럭용 루프스포일러의 높이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132A KR20030090132A (ko) 2003-11-28
KR100448067B1 true KR100448067B1 (ko) 2004-09-10

Family

ID=32383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132A KR100448067B1 (ko) 2002-05-21 2002-05-21 트럭용 루프스포일러의 높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80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579B1 (ko) 2015-04-24 2016-07-21 첨단기어공업주식회사 상부 개방이 가능한 화물차량용 에어스포일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754B1 (ko) 2017-06-29 2022-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개구방식 루프 스포일러 장치 및 화물차량
CN109080715A (zh) * 2018-06-28 2018-12-25 合肥东胜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节能卡车导流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0487A (ja) * 1983-03-01 1989-05-12 Borg Warner Corp メカニカルシ−ル組立体
JPH01147788U (ko) * 1988-03-28 1989-10-12
KR19980044159A (ko) * 1996-12-06 1998-09-05 박병재 화물트럭의 가변형 스포일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0487A (ja) * 1983-03-01 1989-05-12 Borg Warner Corp メカニカルシ−ル組立体
JPH01147788U (ko) * 1988-03-28 1989-10-12
KR19980044159A (ko) * 1996-12-06 1998-09-05 박병재 화물트럭의 가변형 스포일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579B1 (ko) 2015-04-24 2016-07-21 첨단기어공업주식회사 상부 개방이 가능한 화물차량용 에어스포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132A (ko) 200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6381B1 (ko) 대형 트럭용 범퍼스텝
US9827848B1 (en) Active aerodynamic dam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6004175B2 (ja) デフレクタ装置
US5688006A (en) Bumper assembly with extension panel
KR100448067B1 (ko) 트럭용 루프스포일러의 높이조절장치
KR100578057B1 (ko) 트럭용 사이드 스포일러 장치
CN114954704B (zh) 用于车辆的扰流板组件和车辆
KR20020079001A (ko) 자동차의 에어댐
KR200210461Y1 (ko) 자동차용 스포일러 이동장치
JPH0593999U (ja) 自動車用グローブボックス
KR100449295B1 (ko) 트럭용 범퍼
KR0118211Y1 (ko) 길이가변식 선루프 디프렉터
EP3689719B1 (en) Aerodynamic device for a motor vehicle
JP2590144Y2 (ja) サンバイザー
KR960001152Y1 (ko) 자동차의 리어 스포일러(rear spoiler)
KR100720787B1 (ko) 차량용 선루프 디플렉터
KR100445174B1 (ko) 트럭용 범퍼
KR20030086134A (ko) 트럭용 스포일러 장치
CN116788375A (zh) 用于牵引车的导流机构和牵引车
KR0136666Y1 (ko) 화물트럭용 덮개 보관함
JPS6231331Y2 (ko)
KR101655150B1 (ko) 모형 자동차용 가변 스포일러
KR200163400Y1 (ko) 승합차용보조백미러스테이
KR100534335B1 (ko) 자동차용 선루프의 윈드노이즈 저감장치
WO2020257012A1 (en) Power and energy saving equipment f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