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4159A - 화물트럭의 가변형 스포일러 - Google Patents

화물트럭의 가변형 스포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4159A
KR19980044159A KR1019960062198A KR19960062198A KR19980044159A KR 19980044159 A KR19980044159 A KR 19980044159A KR 1019960062198 A KR1019960062198 A KR 1019960062198A KR 19960062198 A KR19960062198 A KR 19960062198A KR 19980044159 A KR19980044159 A KR 19980044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iler
cargo
rotating
variabl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2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광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62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4159A/ko
Publication of KR19980044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4159A/ko

Links

Landscapes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칸에 적재되는 화물의 높이에 따라 스포일러의 높이가 자동적으로 조정되는 것으로서, 운전칸 루우프에 장착되어 화물의 높이에 따라 회동하여 조정되는 회동스포일러와; 상기 회동스포일러의 내측 운전칸 루우프에 장착되며 상기 회동스포일러를 측방향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내측에 장착되고 회동스포일러의 회전축으로 연결되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에의해 회동하는 회동스포일러의 회전방향에 장착되어 가이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물트럭의 가변형 스포일러이다.

Description

화물트럭의 가변형 스포일러
본 발명은 화물트럭 스포일러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물차량의 화물칸에 적재되는 화물의 크기에 따라 스포일러의 크기를 조정하여 주행효율을 향상시키는 화물트럭의 가변형 스포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도로를 질주하기 때문에 공기의 저항을 많이 받는다. 항공기는 공기의 양력을 이용하여 비행하지만, 자동차이 경우에는 차체에 부딪히는 공기는 주행에 있어서 주행력을 저하시킬 뿐이다.
따라서, 근래들어 모든차량은 유선형으로 디자인되어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하였다. 그러나, 화물트럭의 경우에는 외관을 디자인하는 데에 있어 한계가 있고, 또한 화물칸에 적재되는 화물에 미치는 공기저항은 상당히 크다. 그래서, 운전칸 상단 루프에 장착되어 화물의 저항면을 최소화하는 스포일러가 안출되었다.
도5는 종래의 스포일러(50)를 장착한 화물차량(100)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포일러(50)는 화물칸의 화물(103)과 운전칸이 이루는 각진부위 즉, 운전칸(102) 루프에 장착되어 있으며, 이는 질주방향으로 작은 각을 형성시킨다.
그런데,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상기 스포일러(50)에 일정 크기로 고정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화물이 상기 스포일러(50)보다 큰 높이에 이르면 공기는 계속해서 화물에 저항하게 된다.
이와같이, 종래의 스포일러는 화물에 부딪히는 공기의 저항력으로 출력에 비해 주행력이 떨어져 연료의 소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물칸에 적재되는 화물의 높이에 따라 스포일러의 높이가 자동적으로 조정되는 화물트럭의 가변형 스포일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하여 본 발명은, 운전칸 루우프에 장착되어 화물의 높이에 따라 회동하여 조정되는 회동스포일러와; 상기 회동스포일러의 내측 운전칸 후우프에 장착되며 상기 회동스포일러를 측방향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내측에 장착되고 회동스포일러의 회전축으로 연결되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에의해 회동하는 회동스포일러의 회전방향에 장착되어 가이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물트럭의 가변형 스포일러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트럭의 가변형 스포일러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화물트럭의 가변형 스포일러를 설명하기위한 내부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부를 설명하기위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화물트럭의 가변형 스포일러를 작동하기위한 회로도,
도5는 종래에 있어 화물트럭의 가변형 스포일러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회동스포일러14:고정부
16:작동부18:가이드부
20:핀22:트랙
24:압축스프링SW1:상사리미트스위치
SW2:하사리미트스위치SW3:키이스위치
SW4:스포일러스위치
이하, 본 발명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트럭의 가변형 스포일러(1)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가변형 스포일러(1)는 운전칸(102)위에 루우프에 장착되어 있어 화물(103)의 높이에 따라 공기가 반발되는 것을 후부에 설치된 센서(S)로 감지하여 조정되는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화물트럭의 가변형 스포일러(1)를 설명하기위한 내부도이다.
본 실시예의 화물트럭의 가변형 스포일러(1)는 운전칸(102) 루우프에 장착되어 화물(103)의 높이에 따라 회동하여 조정되는 회동스포일러와(10); 상기 회동스포일러(10)의 내측 운전칸 후우프에 장착되며 상기 회동스포일러(10)를 측방향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부(14)와; 상기 고정부(14)의 내측에 장착되고 회동스포일러(10)의 회전축(15)으로 연결되는 작동부(16)와; 상기 작동부(16)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스포일러(10)의 회전방향에 장착되어 가이드부(18)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스포일러(10)는 전면의 작은각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14)는 상기 회동스포일러(10)와 상응하는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작동부(16)는 워엄기어와 피니언기에의해 구동되고, 또한 회동스포일러(10)의 회동정도를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제한되기도 한다. 이에대해서는 도3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18)은 회동스포일러(10)와 고정부(14)를 가로지르는 핀(20)에 반복된 요철이 형성된 트랙(22)을 따라 일정 곡률을 가지고 이동하게되는 데, 상기 핀(20)이 트랙(22)의 돌출부에 있을 때에는 후진할 수 있도록 압축스프링(24)이 장착되어 있다. 물론, 상기 회동스포일러(10)와 고정부(14)의 핀(20)장착부는 상기 트랙(22)을 따라 이동할 때 스프링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장공을 형성하고 있다.
또, 상기 트랙(22)의 상측과 하측에는 리미트스위치(SW1,SW2)가 장착되어 있는 데, 이는 작동부(16)의 작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부(16)를 설명하기위한 도면이다. 상기 회동스포일러(10)와 회전축(15)의 중간에 장착되는 피니언기어(25)에 치합되는 워엄기어(26)을 매개로 모터(M)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M)의 작동으로 워엄기어(26)이 회전하면 피니언기어(25)가 회전하여 회전축(15)으로 회동스포일러(10)를 회전시킨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화물트럭의 가변형 스포일러(1)를 작동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이는 키이스위치(SW3)와 스포일러스위치(SW4)가 외부전원과 연결되고 상기 스포일러스위치(SW4)는 상사리미트스위치(SW1)를 통해 E.C.U와 연결되고, 또한 하사리미트스위치(SW2)를 통해 모터(M)와 연결된다. 또, 상기 E.C.U는 센서(S)와 연결되어 있어 공기의 반발력을 감지하여 E.C.U로 전송한다.
상기 센서(S)에서 공기의 저항이 감지되면 키이스위치(SW3)가 온되고 스포일러스위치(SW4)가 온되면, 외부전원으로부터 전류가 상사리미트스위치(SW1)를 통한다. 이때, E.C.U 및 센서(S)가 가동되고 센서(S)에 화물로부터 반사파가 감지되지 않을 때까지 구동모터(M)가 작동하여 회동스포일러가 회전하게 된다. 회동스포일러(10)가 회전하여 핀이 트랙의 상사점에 위치한 상사리미트스위치(SW1)를 온시키면 모터(M)의 구동은 정지한다.
상기 회동스포일러를 역회전시키려면 스포일러스위치(SW4)를 어프하면 모터(M)가 역회전하여 스포일러의 높이를 낮추고 트랙의 하단에 장착된 하사리미트스위치(SW2)를 온하여 모터(M)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물칸에 적재되는 화물의 높이에 따라 스포일러의 높이가 자동적으로 조정하여 어떠한 화물을 적재하더라도 공기의 저항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연비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서술된 것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 존재하는 변형예 및 균등한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3)

  1. 운전칸(102) 루우프에 장착되어 화물(103)의 높이에 따라 회동하여 조정되는 회동스포일러와(10);
    상기 회동스포일러(10)의 내측 운전칸 루우프에 장착되며 상기 회동스포일러(10)를 측방향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부(14)와;
    상기 고정부(14)의 내측에 장착되고 회동스포일러(10)의 회전축(15)으로 연결되는 작동부(16)와; 그리고,
    상기 작동부(16)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스포일러(10)의 회전방향에 장착되어 가이드부(1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물트럭의 가변형 스포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16)는 회동스포일러(10)에 가로질러 장착된 회전축(15)에 장착된 피니언기어(25)와 치합된 워엄기어(26)를 통해 모터(M)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물트럭의 가변형 스포일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8)는 회동스포일러(10)와 고정부(14)를 가로지르는 핀(20)에 반복된 요철이 형성된 트랙(22)을 따라 일정 곡률을 가지고 이동하며, 상기 핀(20)이 트랙(22)의 돌출부에 있을 때에는 후진할 수 있도록 압축스프링(24)이 장착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물트럭의 가변형 스포일러.
KR1019960062198A 1996-12-06 1996-12-06 화물트럭의 가변형 스포일러 KR199800441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2198A KR19980044159A (ko) 1996-12-06 1996-12-06 화물트럭의 가변형 스포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2198A KR19980044159A (ko) 1996-12-06 1996-12-06 화물트럭의 가변형 스포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159A true KR19980044159A (ko) 1998-09-05

Family

ID=66475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2198A KR19980044159A (ko) 1996-12-06 1996-12-06 화물트럭의 가변형 스포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41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067B1 (ko) * 2002-05-21 2004-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용 루프스포일러의 높이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067B1 (ko) * 2002-05-21 2004-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용 루프스포일러의 높이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04425C (en) Wiper system
KR100502874B1 (ko) 제2보조제동등을구비한자동차
US8260519B2 (en) Retractable wheel covers
BR9907018A (pt) Montagem de estribo retrátil motorizado para um veìculo a motor.
US5074612A (en) Spoiler arrangement on the rear of a motor vehicle
KR19980044159A (ko) 화물트럭의 가변형 스포일러
KR101371938B1 (ko) 대형 차량의 사이드 스포일러 길이 조절 장치
JP4909780B2 (ja) フロントスポイラー装置
JPH043870Y2 (ko)
KR19980051034U (ko) 차속 감응형 리어 스포일러
JPS6216844B2 (ko)
JPH051510Y2 (ko)
KR100387846B1 (ko) 자동차의 리어 언더 미러
KR200151409Y1 (ko) 화물차용 루프 스포일러의 높이조절장치
KR200149534Y1 (ko) 러버 스토퍼를 갖는 스윙도어 드라이브 샤프트 구조
JPS63103747A (ja) 格納式ドアミラ−の制御装置
KR100214957B1 (ko) 전방 에어댐의 능동제어장치
JP2595917Y2 (ja) 車両の格納式ステップ装置
JP2000272372A (ja) コラムシフトレバー構造
KR200154366Y1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각도 조절장치
JPS6175044A (ja) 車両用リアワイパ装置
KR20070030968A (ko)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개방각도 조절장치
KR19980048711A (ko) 자동차의 포그 램프 조정장치
JPH07304472A (ja) 車両前部のボディ構造
JPS63195070A (ja) 自動車用整流板の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