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4957B1 - 전방 에어댐의 능동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전방 에어댐의 능동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4957B1
KR100214957B1 KR1019950047801A KR19950047801A KR100214957B1 KR 100214957 B1 KR100214957 B1 KR 100214957B1 KR 1019950047801 A KR1019950047801 A KR 1019950047801A KR 19950047801 A KR19950047801 A KR 19950047801A KR 100214957 B1 KR100214957 B1 KR 100214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am
vehicle speed
output
sensor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7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9219A (ko
Inventor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50047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4957B1/ko
Publication of KR970039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9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4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49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38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adjustably or movably mounted, e.g. horizontally displaceable for securing a space between parked vehicles
    • B60R19/40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adjustably or movably mounted, e.g. horizontally displaceable for securing a space between parked vehicles in the direction of an obstacle before a collision, or extending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i.e. to increase the energy absorption capacity of the bu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2019/007Means for adjusting or regulating the crash absorption capacity of the vehicle, e.g. when detecting an impending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 에어댐의 능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승용차 앞범퍼 하부에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에어댐(11)과, 상기 앞범퍼 하부 일측에서 상기 에어댐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에어댐을 그 경사위치와 수평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모우터(15)와, 입력단에 차량의 스피드 센서(6)와 전방쇽업쇼버(2) 상부에 설치된 충격감지센서(8)의 출력이 연결되고, 출력단이 모우터 구동릴레이와 연결되어 있는 전자제어장치(10)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제어장치(10)는 차량 주행중에 스피드센서(6)로부터 차속이 설정치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한계차속 이상이 될 때 앞바퀴의 충격센서(8)로부터 미리 설정된 임의의 한계충격치에 해당하는 출력값이 입력되는 지를 계속 검사하고, 입력되는 신호가 한계충격치 y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면 즉시 에어댐 구동모우터(15)를 작동시키기 위한 소정 출력신호를 발생하여 출력단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충격감지센서와 차속센서로 부터 입력신호가 임계치 이상이 될 때 전방에어댐의 경사각을 조정하여 요철도로운행시 에어댐을 수평위치로 상승시킴으로써 에어댐의 파손 및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방 에어댐의 능동제어장치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방에어댐 및 충격감지센서의 설치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제3도 본 발명에 따른 전방 에어댐 능동제어장치의 시스템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제4도는 제3도 전자제어장치의 에어댐 제어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체 2 : 쇽업쇼버
6 : 스피드센서 8 : 충격감지센서
10 : 에어댐제어장치 11 : 에어댐
15 : 에어댐구동모우터
본 발명은 전방 에어댐의 능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 앞범퍼 하부에서 공기저항계수 및 연비를 저감시키기 위해 설치한 전방 에어댐의 능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의 승용차 외관은 공기역학적 측면을 고려하여 유선형차체로 만들어지고, 앞범퍼부분에도 공기저항을 덜 받게하기 위한 여러 가지 형상 모양이 도입되고 있다. 즉, 앞범퍼에서 상측부의 차체패널과 이어지는 부분이 둥글거나 경사진 형상을 이루게 하여 공기저항계수를 작게 하는 동시에 하측부에서도 에어댐(Air Dam)을 설치하여 엔진 냉각성능 향상 및 공기저항계수 Cd의 저감을 도모하게 한 것이다.
이와같은 전방 에어댐은 앞범퍼 하부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길게 연장되어 차량의 제원상 진입각도가 감소하여 편평도가 낮은 국내 제반 도로여건을 감안할 때 요철도로에서 전방에어댐의 파손 및 마모가 우려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이 요철도로를 만났을 때 승용차 쇽업쇼버의 충격을 감지하여 앞범퍼 하측부에 설치된 에어댐을 상승시켜 이것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전방 에어댐의 능동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방 에어댐의 능동제어장치는 승용차 앞범퍼 하부에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에어댐과, 상기 앞범퍼 하부 일측에서 상기 에어댐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에어댐을 그 경사위치와 수평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이한 구동모우터와, 입력단에 차량의 스피드 센서와 전방쇽업쇼버 상부에 설치된 충격감지센서의 출력이 연결되고, 출력단이 모우터 구동릴레이와 연결되어 있는 전자제어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제어장치는 차량 주행중에 스피드 센서로부터 차속이 설정치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한계차속 이상이 될 때 앞바퀴의 충격센서로부터 미리설정된 임의의 한계충격치에 해당하는 출력값이 입력되는 지를 계속 검사하고, 입력되는 신호가 한계충격치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면 즉시 에어댐 구동모우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소정 출력신호를 발생하여 출력단으로 공급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을 이해하기 쉽도록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방 에어댐 제어장치의 설치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승용차 앞범퍼 하부에 축으로 회전가능한 에어댐(11)이 설치되고, 앞범퍼 하부일측으로 구동모추터(15)가 설치되어 그 에어댐의 회전축이 모우터의 회전축과 결합되므로써 에어댐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에어댐 구동모우터(15)는 차내에 설치된 전자제어장치(10)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에 반응하여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시판의 서보모우터를 사용하고, 전자제어장치(10)는 에어댐 제어전용으로 독립적으로 만들거나 기존 엔진 전자제어장치(10)에서 입출력단 및 내부동작프로그램을 변경하여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전자제어장치(10)는 제3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그 입력단에 공지의 스피드센서(6)와 쇽업쇼버(2) 상부에 설치된 충격감지센서(8)가 연결된다. 또한 전자제어장치(10)의 1 출력단은 모우터 구동릴레이에 연결되고, 이 릴레이의 스위치를 개재하여 배터리전원 B+이 상기 에어댐 구동모우터(15)로 공급되도록 연결된다.
위와같은 구성의 전방 에어댐의 능동제어장치에서, 전자제어장치(10)의 에어댐 제어동작을 제4도의 플로우 챠트를 참고로 설명한다.
먼저 차량 주행중에 차속이 설정치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한계차속은 시속 20Km로 설정된다. 왜냐하면 차량이 요철도로 주행시에는 고속으로 달릴 수 없기 때문이며, 차속이 20Km이상이 될 때 전자제어장치(10)는 앞바퀴의 쇽업소버(2)에 설치된 충격센서(8)로부터 미리설정된 임의의 한계충격치에 해당하는 출력값이 입력되는 지를 계속 검사한다.
입력되는 신호가 한계충격치 y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면 전자제어장치(10)는 즉시 에어댐 구동모우터(15)을 작동시키기 위한 소정 출력신호를 발생하여 출력단으로 공급한다. 출력단의 에어댐 구동신호는 릴레이를 작동시켜 모우터(15)로 전원이 공급되게 한다. 상기 전자제어장치(10)에서 에어댐 구동출력신호가 발생하는 동안 모우터(15)가 회전하고, 이와 서로 축결합된 에어댐(11)이 경사위치에서 수평위치로 상승한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댐의 경사각은 약 120도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같은 경사각도를 가진 에어댐은 밑면으로 들어오는 공기를 라디에이터 그릴 쪽으로 유도하여 엔진의 냉각성능을 좋게하고, 하단부위의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하여 공기저항계수를 4-5 % 저감시키므로 차량의 연비를 2-3 %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충격감지센서(8)에서 입력되는 신호가 한계충격치 y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나면 전자제어장치(10)는 에어댐 구동모우터(15)를 원래의 경사위치로 되돌려 주기 위한 출력신호를 발생한다. 이에 따라 에어댐(11)은 본래의 경사위치로 하강하기까지 회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쇽업쇼버의 충격감지센서와 차속센서로 부터 입력신호를 감출하고 임계치 이상이 될 때 전방에어댐의 경사각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요철도로운행시 에어댐을 편평하게 상승시킴으로써 에어댐의 파손 및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특출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승용차 앞범퍼 하부에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에어댐(11)과, 상기 앞범퍼 하부 일측에서 상기 에어댐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에어댐을 그 경사위치와 수평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모우터(15)와, 입력단에 차량의 스피드 센서(6)와 전방쇽업쇼버(2) 상부에 설치된 충격감지센서(8)의 출력이 연결되고, 출력단이 모우터 구동릴레이와 연결되어 있는 전자제어장치(10)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제어장치(10)는 차량 주행중에 스피드센서(6)로부터 차속이 설정치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한계차속 이상이 될 때 앞바퀴의 충격센서(8)로부터 미리설정된 임의의 한계충격치에 해당하는 출력값이 입력되는 지를 계속 검사하고, 입력되는 신호가 한계충격치 y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면 즉시 에어댐 구동모우터(15)를 작동시키기 위한 소정 출력신호를 발생하여 출력단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에어댐의 능동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장치(10)에서 에어댐 구동출력신호가 발생하는 동안 모우터(15)가 회전하고, 이와 서로 축결합된 에어댐(11)이 경사위치에서 수평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에어댐의 능동제어장치.
KR1019950047801A 1995-12-08 1995-12-08 전방 에어댐의 능동제어장치 KR100214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7801A KR100214957B1 (ko) 1995-12-08 1995-12-08 전방 에어댐의 능동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7801A KR100214957B1 (ko) 1995-12-08 1995-12-08 전방 에어댐의 능동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219A KR970039219A (ko) 1997-07-24
KR100214957B1 true KR100214957B1 (ko) 1999-08-02

Family

ID=19438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7801A KR100214957B1 (ko) 1995-12-08 1995-12-08 전방 에어댐의 능동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495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219A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237815A (ja) 電気牽引式自動車のための保安回路
JPH05105124A (ja) 車両用可動スパツツ
JPS6364610B2 (ko)
KR100214957B1 (ko) 전방 에어댐의 능동제어장치
KR100581251B1 (ko) 배터리의 냉각장치 및 방법
KR101470252B1 (ko) 회전형 루프 스포일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H10278854A (ja) 車両用可動スパッツ制御装置
KR0181446B1 (ko) 차량의 에어컨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060559A (ko) 속도 감응형 리어 스포일러 장치
JPH06298132A (ja) 気流制御装置
KR100292774B1 (ko) 차속적응형스포일러제어장치
KR101633020B1 (ko) 속도 감응형 이중구조 리어 스포일러 장치
JP2780418B2 (ja) 車両用フロントスポイラー装置
KR100267671B1 (ko) 오픈 카의 주행중 공기 저항 저감 장치
KR20190083125A (ko) 차량용 후륜 공기저항 감소 장치
JP2008238855A (ja) 自動車の冷却装置
KR100245217B1 (ko) 자동차의 앞 범퍼용 에어 댐
US20240002002A1 (en) Vehicle front bumper fascia assembly for directing air and water flow
KR0133986Y1 (ko) 프론트 범퍼 자동 조절장치
KR100432080B1 (ko) 자동차의 스포일러
KR0181627B1 (ko) 현가장치용 가변 공기압스프링
KR20060053612A (ko) 자동차의 후드 컨트롤 시스템
KR19980051034U (ko) 차속 감응형 리어 스포일러
JPH0687378A (ja) 車両のバックミラー
JPS63255172A (ja) 動力舵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