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7671B1 - 오픈 카의 주행중 공기 저항 저감 장치 - Google Patents

오픈 카의 주행중 공기 저항 저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7671B1
KR100267671B1 KR1019960036210A KR19960036210A KR100267671B1 KR 100267671 B1 KR100267671 B1 KR 100267671B1 KR 1019960036210 A KR1019960036210 A KR 1019960036210A KR 19960036210 A KR19960036210 A KR 19960036210A KR 100267671 B1 KR100267671 B1 KR 100267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glass
window shield
angle
speed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6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6597A (ko
Inventor
안준형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36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7671B1/ko
Publication of KR19980016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7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76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7/00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 B62D37/02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by aerodynam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70Gea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2Elements for improving aerodynam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 주행시에 윈도우 실드 글라스의 각도를 조절하여 공기 저항을 줄이는 오픈 카의 공기 저항 저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속을 감지하는 속도 감지 센서(10)와 상기 속도 감지 센서(10)의 감지 속도에 따라 윈도우 실드 글라스의 각도와 시트 높낮이 조절 기능을 제어하는 E. C. U(20)와 상기 E. C. U(20)의 제어에 의하여 윈도우 실드 글라스의 각도를 조절하는 윈도우 실드 글라스 각도 조절부(40)와 상기 E. C. U(20)의 제어에 의하여 시트 높낮이를 조절하는 시트 높낮이 조절부(45)로 구성하여, 오픈 카의 고속 주행시 윈도우 실드 글라스의 각도를 자동으로 낮추며 이에 맞게 시트의 높이도 자동으로 낮추어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픈 카의 주행중 공기 저항 저감 장치
본 발명은 오픈 카의 주행중 공기 저항 저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고속 주행시에 윈도우 실드 글라스의 각도를 조절하여 공기 저항을 줄이는 오픈 카의 공기 저항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주행중 공기 저항을 저감시키는 방편으로는 차체 프레임을 유선형으로 설계하거나 차체의 높이를 낮게 설계하는 방편이 있다.
그러나, 차체 프레임을 유선형으로 설계함에 있어서 차량의 기능 요소 상 한계점이 봉착되고, 특히 윈도우 실드 글라스의 각도는 시트의 높낮이와 운전자의 전방 시야 확보 용이성이 연관되어 표준 각도 이하로 떨치는데는 한계가 있어 고속 주행중에는 공기 저항의 증가로 인하여 차량의 주행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오픈 카에 있어서 고속 주행시는 윈도우 실드 글라스의 각도를 자동으로 낮추며 이에 맞게 시트의 높이도 자동으로 낮추는 오픈 카의 주행중 공기 저항 저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속을 감지하는 속도 감지 센서; 상기 속도 감지 센서의 감지 속도에 따라 윈도우 실드 글라스의 각도와 시트 높낮이 조절 기능을 제어하는 E. C. U; 상기 E. C. U의 제어에 의하여 윈도우 실드 글라스의 각도를 조절하는 윈도우 실드 글라스 각도 조절부; 상기 E. C. U의 제어에 의하여 시트 높낮이를 조절하는 시트 높낮이 조절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1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실드 글라스 각도 조절부의 구성도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높낮이 조절부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윈도우 실드 글라스 2 ; 축 기어
3 ; 구동 기어 4 ; 각도 조절 모터
6 ; 시트 7 ; 렉
8 ; 피니언 9 ; 높낮이 조절 모터
10 ; 속도 감지 센서 20 ; E. C. U
40 ; 윈도우 실드 글라스 각도 조절부 45 ; 시트 높낮이 조절부
TR1,TR2 ; 트랜지스터 RY1,RY2,RY3,RY4 ; 릴레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 (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실드 글라스 각도 조절부의 구성도로, 윈도우 실드 글라스(1)의 차체와 맞닿는 구동축 측방에 기어(2)를 접합하고, 상기 기어(2)와 맞물리게 구동 기어를 설치하며, 상기 구동 기어를 각도 조절 모터(4)의 회전축에 결합시켜 구성한다. (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높낮이 조절부의 구성도로, 시트(6)의 하부축에 렉(7)을 형상하고, 상기 렉(7)에 맞물리게 피니언(8)을 연결하며, 상기 피니언(8)은 높낮이 조절 모터(9)의 회전축에 결합시켜 구성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로, 입력단에 속도 감지 센서(10)를 접속한 E. C. U(20)의 제어단을 각각 두 개의 트랜지스터(TR1,TR2)의 베이스단을 접속하고, 컬렉터단은 Vcc전원을 연결하며, 트랜지스터1(TR1)의 에미터단은 릴레이1(RY1)의 여자코일을 거쳐 릴레이3(RY3)의 타단을 접지 시킨 여자코일에 접속하며, 트랜지스터2(TR2)의 에미터단은 릴레이2(RY2)의 여자코일을 거쳐 릴레이4(RY4)의 타단을 접지 시킨 여자코일에 접속하고, 상기 릴레이1(RY1)의 스위치 A접점과 상기 릴레이2(RY2)의 스위치 A접점과 상기 릴레이3(RY3)의 스위치 A접점 및 상기 릴레이4(RY4)의 스위치 A접점은 B+전원을 연결하며, 상기 릴레이1(RY1)의 스위치 B접점과 상기 릴레이2(RY2)의 스위치 B접점과 상기 릴레이3(RY3)의 스위치 B접점 및 상기 릴레이4(RY4)의 스위치 B접점은 접지하고, 상기 릴레이1(RY1)의 스위치 타단과 상기 릴레이3(RY3)의 스위치 타단 사이에 윈도우 실드 각도 조절부(40)의 각도 조절 모터(4)를 연결하며, 상기 릴레이3(RY3)의 스위치 타단과 상기 릴레이4(RY4)의 스위치 타단 사이에 시트 높낮이 조절부(45)의 높낮이 조절 모터(9)를 연결하여 구성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오픈카의 주행중 속도 감지 센서(10)에 의하여 E. C. U(20)에 차속이 입력되면 상기 E. C. U(20)는 미리 설정시킨 고속 주행 속도와 비교하여 고행 주행으로 판명되면 트랜지스터1(TR1)의 베이스단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트랜지스터1(TR1)은 도통상태에 놓인다. 상기 트랜지스터1 (TR1)은 컬렉터단에 인가된 Vcc전원을 릴레이1(RY1)과 릴레이3(RY3)의 여자코일에 공급하므로 상기 여자코일 주위에 자장이 형성되어 상기 릴레이1(RY1)과 상기 릴레이3(RY3)의 스위치 접점이 절환되어 상기 릴레이1(RY1)과 상기 릴레이3(RY3)에 공급된 B+전원에 의하여 윈도우 실드 글라스 각도 조절부(40)의 각도 조절 모터(4)와 시트 높낮이 조절부(45)의 높낮이 조절 모터(9)가 정회전하여 윈도우 실드 글라스(1)를 운전자 쪽으로 눕히고, 시트(6)의 높이를 낮춘다.
오픈카의 주행 속도가 떨어지면, 속도 감지 센서(10)에 의하여 E. C. U(20)에 차속이 입력되고, 상기 E. C. U(20)는 미리 설정시킨 고속 주행 속도와 비교하여 고행 주행이 아닌 평시 주행으로 판명하면 트랜지스터1(TR1)의 베이스단에 인가하던 바이어스 전압은 차단시켜 상기 릴레이1(RY1)과 상기 릴레이3(RY3)의 스위치 접점은 평시 상태로 절환되며, 트랜지스터2(TR2)의 베이스단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트랜지스터2(TR2)는 도통상태에 놓인다. 상기 트랜지스터2(TR2)는 컬렉터단에 인가된 Vcc전원을 릴레이2(RY2)와 릴레이4(RY4)의 여자코일에 공급하므로 상기 여자코일 주위에 자장이 형성되어 상기 릴레이2(RY2)와 상기 릴레이4(RY4)의 스위치 접점이 절환되어 상기 릴레이2(RY2)와 상기 릴레이4(RY4)에 공급된 B+전원에 의하여 윈도우 실드 글라스 각도 조절부(40)의 각도 조절 모터(4)와 시트 높낮이 조절부(45)의 높낮이 조절 모터(9)가 역회전하여 윈도우 실드 글라스(1)를 다시 세우고, 시트(6)의 높이도 다시 높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오픈 카의 고속 주행시 윈도우 실드 글라스의 각도를 자동으로 낮추며 이에 맞게 시트의 높이도 자동으로 낮추어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차속을 감지하는 속도 감지 센서; 상기 속도 감지 센서의 감지 속도에 따라 윈도우 실드 글라스의 각도와 시트 높낮이 조절 기능을 제어하는 E. C. U; 상기 E. C. U의 제어에 의하여 윈도우 실드 글라스의 각도를 조절하는 윈도우 실드 글라스 각도 조절부; 상기 E. C. U의 제어에 의하여 시트 높낮이를 조절하는 시트 높낮이 조절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카의 주행중 공기 저항 저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실드 글라스 각도 조절부는 윈도우 실드 글라스의 차체와 맞닿는 구동축 측방에 결합시킨 기어; 상기 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카의 주행중 공기 저항 저감 장치.
  3. 3. 제 1 항에 있어서, 시트의 하부축에 형상시킨 렉; 상기 렉에 맞물리게 연결한 피니언;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모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카의 주행중 공기 저항 저감 장치.
KR1019960036210A 1996-08-28 1996-08-28 오픈 카의 주행중 공기 저항 저감 장치 KR100267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6210A KR100267671B1 (ko) 1996-08-28 1996-08-28 오픈 카의 주행중 공기 저항 저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6210A KR100267671B1 (ko) 1996-08-28 1996-08-28 오픈 카의 주행중 공기 저항 저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597A KR19980016597A (ko) 1998-06-05
KR100267671B1 true KR100267671B1 (ko) 2000-10-16

Family

ID=19471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6210A KR100267671B1 (ko) 1996-08-28 1996-08-28 오픈 카의 주행중 공기 저항 저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76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9445A (en) * 2017-10-31 2019-06-19 Dyson Technology Ltd Electric vehicle
GB2569446A (en) * 2017-10-31 2019-06-19 Dyson Technology Ltd Electric vehicle
GB2570365A (en) * 2017-10-31 2019-07-24 Dyson Technology Ltd Electric vehic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9445A (en) * 2017-10-31 2019-06-19 Dyson Technology Ltd Electric vehicle
GB2569446A (en) * 2017-10-31 2019-06-19 Dyson Technology Ltd Electric vehicle
GB2570365A (en) * 2017-10-31 2019-07-24 Dyson Technology Ltd Electric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597A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260647A (ja) 水没検出パワーウインド装置
KR100267671B1 (ko) 오픈 카의 주행중 공기 저항 저감 장치
JP2000297577A (ja) パワーウィンドウの開閉方法及び装置
JPS5939064Y2 (ja) 電動式サンル−フ装置の安全装置
JPH05149054A (ja) 車両用開閉体の開閉制御装置
KR100212757B1 (ko) 자동차용 사이드 윈도우 작동 스위치 구조
JP3385609B2 (ja) 車載モータの正逆転制御回路
KR100214957B1 (ko) 전방 에어댐의 능동제어장치
JPH01237243A (ja) 車両の可動カウルカバー
KR19980031301A (ko) 후방미러가 일체화 된 차량용 리어스포일러
JP2539809Y2 (ja) 自動車用エアロパ−ツの駆動制御装置
JPH0125064Y2 (ko)
JPS6336817Y2 (ko)
KR100295281B1 (ko) 자동차용가변형스포일러
JPH0113611Y2 (ko)
JP2593060Y2 (ja) サンルーフモータ制御装置
KR19980034135U (ko) 공기 저항 감소장치
JPH09182473A (ja) モータ制御装置
JPH09123834A (ja) サイドミラー制御装置
JPH04120643U (ja) 車両用シート
JPS61220913A (ja) パワ−ウインドウ装置
JP2001262937A (ja) 水没検出パワーウインド装置
JPH0656003A (ja) 車両用ワイパ制御装置
KR19980051034U (ko) 차속 감응형 리어 스포일러
KR19980068173U (ko) 자동차의 차속연동 와이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