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0559A - 속도 감응형 리어 스포일러 장치 - Google Patents

속도 감응형 리어 스포일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0559A
KR20170060559A KR1020160075253A KR20160075253A KR20170060559A KR 20170060559 A KR20170060559 A KR 20170060559A KR 1020160075253 A KR1020160075253 A KR 1020160075253A KR 20160075253 A KR20160075253 A KR 20160075253A KR 20170060559 A KR20170060559 A KR 20170060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vehicle
wing
spoiler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3762B1 (ko
Inventor
장윤식
Original Assignee
알앤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앤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알앤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5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762B1/ko
Publication of KR20170060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62D35/007Rear spo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7/00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 B62D37/02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by aerodynamic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2Elements for improving aerodynam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속도 감응형 리어 스포일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주행시 발생되는 와류(cavitation)를 완화시켜주는 스포일러 윙, 자동차의 차체에 설치되고, 스포일러 윙을 상부에 부착하며, 부착된 스포일러 윙의 경사각을 선형적으로 조정하는 조정장치 및 전자 제어 장치로부터 자동차의 시동정보, 자동차의 브레이크 동작정보 및 자동차의 주행시 주행속도정보를 포함하는 자동차 상태정보를 수신받고, 수신된 자동차 상태정보를 기초로 조정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속도 감응형 리어 스포일러 장치{Speed sensitized type rear spoiler apparatus}
본 발명은 리어 스포일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주행속도에 따라 반응하는 속도 감응형 리어 스포일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차종에 따라 주행시 자체 주위를 흐르는 공기를 이용하여 하향하는 힘을 발생시키고, 이 힘이 차체를 아래로 누르게 함으로써, 고속 주행시 차체를 지면으로 가라앉혀 자동차의 주행 안정성을 높이는 스포일러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자동차 차체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하향력은 제동성능, 조향성능 등을 좋게 하며, 이러한 힘의 크기는 측풍에 의한 밀림현상에 대한 불안정성의 완화에도 도움을 준다. 따라서, 공기역학적 항력을 감소시키고, 하향력을 증가시켜 자동차의 주행 성능 및 연비를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들이 생산 제작되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초기 자동차의 리어 스포일러는 대부분 스포일러의 경사각이 고정된 고정식이기 때문에 주행속도에 따라 일정하게 증가하는 하향력을 발생시킨다. 이로 인해 고속 주행시에는 상대적으로 주행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통상, 자동차는 주행속도가 증가할수록 공기 흐름에 의한 양력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타이어와 지면 간의 마찰력이 현저히 감소하여 안정성이 현격히 저하되기 때문에 자동차에 장착되는 스포일러는 자동차의 주행속도에 대응하여 경사각이 변동될 필요성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23730호(2014.07.16)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바람의 변수를 최소화하면서 자동차 시동 후 주행속도에 비례하여 스포일러 윙의 경사각을 선형적으로 제어하는 속도 감응형 리어 스포일러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속도 감응형 리어 스포일러 장치는, 자동차의 주행시 발생되는 와류(cavitation)를 완화시켜주는 스포일러 윙, 상기 자동차의 차체에 설치되고, 상기 스포일러 윙을 상부에 부착하며, 상기 부착된 스포일러 윙의 경사각을 선형적으로 조정하는 조정장치 및 전자 제어 장치로부터 자동차의 시동정보, 자동차의 브레이크 동작정보 및 자동차의 주행시 주행속도정보를 포함하는 자동차 상태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수신된 자동차 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조정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정장치는,
Figure pat00001
자 형상으로 상면에 상기 스포일러 윙이 부착되고, 상기 상면의 양끝단으로부터 신장된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가지는 윙 부착 서포터, 하면이 상기 자동차의 차체에 고정되고, 상기 하면의 일끝단으로부터 상기 제1 측면 방향으로 신장된 제3 측면과 타끝단으로부터 상기 제2 측면 방향으로 신장된 제4 측면 및 제5 측면을 가지는 힌지 브라켓,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3 측면을 연결하는 제1 힌지와, 상기 제2 측면 및 상기 제4 측면을 연결하는 제2 힌지와, 상기 제1 측면, 상기 제2 측면 및 상기 제5 측면을 연결하는 제3 힌지를 포함하는 힌지부 및 상기 제3 힌지의 일단에 삽입되어 상기 제5 측면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윙 부착 서포터는, 상기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 측면은, 상기 하면의 일끝단 중 일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4 측면은 상기 제3 측면과 대향되는 타끝단의 위치에서 형성되며, 상기 제5 측면은 상기 제4 측면과 V자로 이격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힌지는,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3 측면과 두 개의 축으로 각각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힌지는, 상기 제2 측면 및 상기 제4 측면과 두 개의 축으로 각각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 힌지는, 상기 제1 힌지 및 상기 제2 힌지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굽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 힌지 및 상기 제2 힌지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가 상기 회전축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3 힌지의 일단이 상기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윙 부착 서포터의 일단이 상승되고, 상기 제1 힌지 및 상기 제2 힌지가 상기 윙 부착 서포터의 타단이 상승되며, 상기 구동모터가 상기 회전축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3 힌지의 일단이 상기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윙 부착 서포터의 일단이 하강되고, 상기 제1 힌지 및 상기 제2 힌지가 상기 윙 부착 서포터의 타단이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차의 시동전 상기 스포일러 윙이 상기 자동차의 트렁크 상부와 수평방향으로 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자동차의 시동후 상기 자동차의 트렁크 상부를 기준으로 상기 스포일러 윙의 경사각이 2°내지 5°가 되도록 상기 스포일러 윙의 경사각을 변경시킨 후, 상기 자동차의 주행속도가 120㎞/h를 도달하면 상기 자동차의 주행속도에 대응하여 선형적으로 상기 스포일러 윙의 경사각이 80°까지 경사각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속도 감응형 리어 스포일러 장치에 의하면, 바람의 변수를 최소화하면서 자동차 시동 후 주행속도에 비례하여 스포일러 윙의 경사각을 선형적으로 제어하고, 이를 통해 주행속도에 비례하는 크기의 하향력을 발생시켜 자동차의 주행 안정성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자동차가 쏠림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스포일러 윙의 경사각을 조정하여 자동차의 수평을 잡을 수 있다.
또한 비가 오는 경우, 스포일러 윙의 경사각을 조정하여 자동차의 후방에 발생되는 와류를 감소시켜 빗물 수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도 감응형 리어 스포일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도 감응형 리어 스포일러 장치의 조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도 감응형 리어 스포일러 장치의 동작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도 감응형 리어 스포일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속도 감응형 리어 스포일러 장치(100)는 바람의 변수를 최소화하면서 주행속도에 비례하는 크기의 하향력을 발생시켜 자동차의 주행 안정성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킨다. 속도 감응형 리어 스포일러 장치(100)는 스포일러 윙(110), 조정장치(13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스포일러 윙(110)은 주행시 발생되는 와류(cavitation)를 완화시켜주어 공기저항을 줄여준다. 즉, 스포일러 윙(110)은 주행속도 증가에 따른 양력 효과를 억제하여 접지력을 증가시킬뿐만 아니라 다운포스를 이용하여 주행 안정성을 높인다.
조정장치(130)는 자동차의 차체에 설치되고, 스포일러 윙(110)을 상부에 부착하며, 부착된 스포일러 윙(110)의 경사각을 선형적으로 조정한다. 여기서, 조정장치(130)는 자동차의 차체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조정장치(130)는 스포일러 윙(110)의 경사각을 힌지의 상승 또는 하강으로 조정하며, 스포일러 윙(110)의 경사각을 0° 내지 80°까지 조정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전자제어장치(170)로부터 자동차의 시동정보, 자동차의 브레이크 동작정보 및 자동차의 주행시 주행속도정보를 포함하는 자동차 상태정보를 수신받고, 수신된 자동차 상태정보를 기초로 조정장치(130)를 제어한다. 여기서, 자동차 상태정보는 자동차에 내장된 G센서, 수평센서, 레인센서 등의 센서로부터 측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자동차의 현재상태에 따라 스포일러 윙(110)의 경사각을 조정할 수 있다.
전자제어장치(170)는 자동차 메인 라인(버스)을 통해 자동차 상태정보를 수신받는 메인제어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전자제어장치(170) 내에 내장되어 있거나, 전자제어장치(170)와 독립적으로 모듈화되어 자동차의 적재적소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도 감응형 리어 스포일러 장치의 조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조정장치(130)는 윙 부착 서포터(10), 힌지 브라켓(20), 힌지부(30) 및 구동모터(40)를 포함한다.
윙 부착 서포터(10)는
Figure pat00002
자 형상으로 상면(11)에 스포일러 윙(110)이 부착되고, 상면(11)의 양끝단으로부터 신장된 제1 측면(13) 및 제2 측면(15)을 가진다.
상면(11)은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가 형성되어 스포일러 윙(110)의 부착이 용이하게 해주며, 제1 측면(13) 및 제2 측면(15)은 상면(11)과 수직을 이루도록 신장될 수 있다. 이 때, 제1 측면(13) 및 제2 측면(15)은 힌지부(30)와 연결되기 위한 2개의 관통구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힌지 브라켓(20)은 하면(21)이 자동차의 차체에 고정되고, 하면(21)의 일끝단으로부터 제1 측면(13) 방향으로 신장된 제3 측면(23)과 타끝단으로부터 제2 측면(15) 방향으로 신장된 제4 측면(25) 및 제5 측면(27)을 가진다. 여기서, 하면(21)은 자동차의 차체와 기 설정된 기울기를 유지하며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기울기는 스포일러 윙(110)의 경사각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제3 측면(23)은 하면(21)의 일끝단 중 일부분에 형성되고, 제4 측면(25)은 제3 측면(23)과 대향되는 타끝단의 위치에서 형성되며, 제5 측면(27)은 제4 측면(25)과 V자로 이격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제3 내지 제5 측면(23, 25, 27)은 하면(21)과 수직을 이루도록 신장될 수 있다. 즉, 힌지 브라켓(20)은 3개의 측면이 형성되며, 각각의 측면은 하면(21)의 길이방향 측면에 형성된다. 이 때, 제3 측면(23) 및 제4 측면(25)은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측면(23) 내지 제5 측면(25)은 힌지부(30)와 연결되기 위한 1개의 관통구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힌지부(30)는 스포일러 윙(10) 및 힌지 브라켓(20)을 연결해주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특히, 힌지부(30)는 윙 부착 서포터(10) 및 힌지 브라켓(20)과 고정되지 않고, 축으로 연결될 수 있다. 힌지부(30)는 제1 측면(13) 및 제3 측면(23)을 연결하는 제1 힌지(31)와, 제2 측면(15) 및 제4 측면(25)을 연결하는 제2 힌지(33)와, 제1 측면(13), 제2 측면(15) 및 제5 측면(27)을 연결하는 제3 힌지(25)를 포함한다.
제1 힌지(31) 및 제2 힌지(33)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2개의 축으로 연결된다. 상세하게는, 제1 힌지(31)는 제1 측면(13) 및 제3 측면(23)과 제1 축(37) 및 제2 축(39)으로 각각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하고, 제2 힌지(33)는 제2 측면(15) 및 제4 측면(25)과 제1 축(37) 및 제2 축(39)으로 각각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한다.
제3 힌지(35)는 제1 힌지(31) 및 제2 힌지(33)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굽어지게 형성되고, 제1 힌지(31) 및 제2 힌지(33)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여기서, 대향하는 방향으로 굽어지는 형상은 '>'자 형상일 수 있다. 제3 힌지(35)의 상부는 제1 측면(13) 및 제2 측면(15)과 연결되고, 하부는 제5 측면(27)과 연결된다. 또한 제3 힌지(35)의 하부는 회전축(45)과 연결되어 회전축(45)의 회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을 할 수 있다.
특히, 제3 힌지(35)가 회전축(45)의 회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을 하는 경우, 서로 연결이 된 제1 힌지(31) 및 제2 힌지(33)도 제3 힌지(35)의 움직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을 할 수 있다.
구동모터(40)는 제3 힌지(35)의 일단에 삽입되어 제5 측면(27)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회전축(45)을 회전시킨다. 여기서, 제3 힌지(35)의 타단은 윙 부착 서포터(10)와 연결된다. 구동모터(40)는 복수의 기어들과 맞물리도록 연결되어 회전축(45)을 회전시킨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도 감응형 리어 스포일러 장치의 동작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6(a)은 속도 감응형 리어 스포일러 장치(100)가 비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 내지 도 6(b)은 속도 감응형 리어 스포일러 장치(100)가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속도 감응형 리어 스포일러 장치(100)는 자동차 전진 방향에 따라 조정장치(130)의 방향을 설정한다. 즉, 자동차 전진 방향으로 제1 힌지(31) 및 제2 힌지(33)가 배치되고, 제1 힌지(31) 및 제2 힌지(33)의 후방에 제3 힌지(37)가 배치되도록 차체에 조정장치(130)를 설치한다. 이러한 배치는 제3 힌지(37)가 제1 힌지(31) 및 제2 힌지(33)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됨에 따라 조정장치(130)가 동작할 때, 스포일러 윙(110)이 후방으로 갈수록 경사각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속도 감응형 리어 스포일러 장치(100)는 조정장치(130)가 비동작인 경우, 스포일러 윙(110)이 자동차의 트렁크 상부와 수평방향이 되도록 한다.
속도 감응형 리어 스포일러 장치(100)는 제어부(150)로 구동모터(40)를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스포일러 윙(110)을 상승시키는 경우, 구동모터(4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구동모터(40)는 회전축(45)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시키고, 회전축(45)은 제3 힌지(35)의 일단이 회전축(45)을 따라 회전하여 제3 힌지(35)의 타단과 연결된 윙 부착 서포터(10)의 일단을 상승시킨다. 즉, 윙 부착 서포터(10)의 일단이 상승함에 따라, 제1 힌지(31) 및 제2 힌지(33)는 상단과 연결된 윙 부착 서포터(10)의 타단을 상승시킨다. 여기서, 윙 부착 서포터(10)의 일단은 윙 부착 서포터(10)의 후방이고, 타단은 윙 부착 서포터(10)의 전방일 수 있다.
특히, 제1 힌지(31) 및 제2 힌지(33)의 길이가 제3 힌지(35)보다 짧기 때문에 회전축(45)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할수록 윙 부착 서포터(10)는 후방이 높아지게 되며, 이로 인해 스포일러 윙(110)의 경사각이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스포일러 윙(110)을 하강시키는 경우, 구동모터(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구동모터(40)는 회전축(45)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시키고, 회전축(45)은 제3 힌지(35)의 일단이 회전축(45)을 따라 회전하여 제3 힌지(35)의 타단과 연결된 윙 부착 서포터(10)의 일단을 힌지 브라켓(20)의 하면(21)과 밀착되게 하강시킨다. 즉, 윙 부착 서포터(10)의 일단이 하강함에 따라, 제1 힌지(31) 및 제2 힌지(33)는 상단과 연결된 윙 부착 서포터(10)의 타단을 하강시킨다.
제어부(150)는 자동차의 시동전 스포일러 윙(110)이 자동차의 트렁크 상부와 수평방향으로 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자동차의 시동후 자동차의 트렁크 상부를 기준으로 스포일러 윙(110)의 경사각이 2°내지 5°가 되도록 스포일러 윙(110)의 경사각을 변경시킨다. 또한 제어부(150)는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만약 주행속도가 120㎞/h를 도달하면 자동차의 주행속도에 대응하여 선형적으로 스포일러 윙(110)의 경사각을 80°까지 경사각을 변경시킨다. 이에 따라, 제어부(15)는 주행속도에 따라 증가하는 경사각으로 인해 하향력이 증대되어 자동차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어부(150)는 자동차의 주행속도에 대응하여 스포일러 윙(110)이 상승된 상태에서 자동차의 브레이크 동작이 수행되면, 스포일러 윙(110)의 경사각이 최대치인 80°가 되도록 경사각을 변경시킨 후, 자동차의 주행속도 감소에 따라 선형적으로 스포일러 윙(110)의 경사각을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자동차가 쏠림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조정장치(130)를 제어하여 스포일러 윙(110)이 자동차의 수평을 잡아주어 안정적인 주행을 제공하고, 비가 오는 경우, 조정장치(130)를 제어하여 스포일러 윙(110)이 자동차의 후방에 발생되는 와류를 감소시켜 빗물 수막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윙 부착 서포터 11: 상면
13: 제1 측면 15: 제2 측면
20: 힌지 브라켓 21: 하면
23: 제3 측면 25: 제4 측면
27: 제5 측면 30: 힌지부
31: 제1 힌지 33: 제2 힌지
35: 제3 힌지 37: 제1 축
39: 제2 축 40: 구동모터
45: 회전축 100: 속도 감응형 리어 스포일러 장치
110: 스포일러 윙 130: 조정장치
150: 제어부 170: 전자제어장치

Claims (1)

  1. 속도 감응형 리어 스포일러 장치.
KR1020160075253A 2016-06-16 2016-06-16 속도 감응형 리어 스포일러 장치 KR101743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253A KR101743762B1 (ko) 2016-06-16 2016-06-16 속도 감응형 리어 스포일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253A KR101743762B1 (ko) 2016-06-16 2016-06-16 속도 감응형 리어 스포일러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627 Division 2015-1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559A true KR20170060559A (ko) 2017-06-01
KR101743762B1 KR101743762B1 (ko) 2017-06-13

Family

ID=59218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253A KR101743762B1 (ko) 2016-06-16 2016-06-16 속도 감응형 리어 스포일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7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50491A (zh) * 2020-11-25 2021-03-26 丹阳市骆氏车辆部件有限公司 一种非镶入式智能控制自动升降汽车尾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15711B2 (en) * 2017-07-25 2019-06-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ride-height dependent control of air deflect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567B1 (ko) 2013-10-25 2014-01-15 한국오텍공업(주) 속도 감응형 자동차 리어 스포일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50491A (zh) * 2020-11-25 2021-03-26 丹阳市骆氏车辆部件有限公司 一种非镶入式智能控制自动升降汽车尾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3762B1 (ko) 201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3663B2 (en) Air guiding device,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air guiding device
KR101632677B1 (ko) 공기 안내 장치 및 지상 차량의 공기 저항을 감소시키는 방법
US9403564B1 (en) Dynamically adjustable airfoil system for road vehicles
US9283999B2 (en) Motor vehicle with a rear diffuser
US10266214B2 (en) Variable spoiler apparatus of rear bumper for vehicle
CN101549712B (zh) 主动式发动机舱盖调节系统
JP2014019437A (ja) 空気案内装置
KR101351567B1 (ko) 속도 감응형 자동차 리어 스포일러
CN101947981A (zh) 机动车节能翼板
US20150274222A1 (en) Air guiding device
KR101743762B1 (ko) 속도 감응형 리어 스포일러 장치
KR101423731B1 (ko) 속도 감응형 자동차 리어 스포일러
US8798868B2 (en) Active aerodynamic chassis control
US20080315622A1 (en) Wheel Pant Device For a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81007B1 (ko) 속도 감응형 자동차 스포일러장치
US20180134329A1 (en) Variable Spoiler Apparatus of Rear Bumper For Vehicle
KR101633020B1 (ko) 속도 감응형 이중구조 리어 스포일러 장치
KR101423729B1 (ko) 속도 감응형 자동차 립 스포일러
KR101470252B1 (ko) 회전형 루프 스포일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369434B1 (ko) 속도 감응형 버스용 리어 스포일러
KR101423730B1 (ko) 속도 감응형 자동차 리어 스포일러
CN201849546U (zh) 机动车节能翼板
CN104149618B (zh) 一种车用油门调速控制装置
KR101561576B1 (ko)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
EP3699065B1 (en) Powe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