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1576B1 -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1576B1
KR101561576B1 KR1020150081857A KR20150081857A KR101561576B1 KR 101561576 B1 KR101561576 B1 KR 101561576B1 KR 1020150081857 A KR1020150081857 A KR 1020150081857A KR 20150081857 A KR20150081857 A KR 20150081857A KR 101561576 B1 KR101561576 B1 KR 101561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iler
vehicle
sensor
measuring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윤식
Original Assignee
알앤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앤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알앤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1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15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7/00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 B62D37/02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by aerodynam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2016/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는, 차량의 후방 중 좌측에 장착되는 좌측스포일러; 상기 차량의 후방 중 우측에 장착되되 차량의 폭방향으로 상기 좌측스포일러와 일렬로 배열되는 우측스포일러; 상기 좌측스포일러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좌측구동부; 상기 우측스포일러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우측구동부; 상기 좌측구동부와 우측구동부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는, 좌측과 우측의 경사각이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어 차량의 전체적인 밸런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고, 주행과 관련된 여러 조건에 따라 좌우 경사각이 조절되므로 차량의 주행조건에 관계없이 항상 차량을 안정적으로 지면에 접지시킬 수 있으며, 좌측과 우측 사이의 공기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 {Spoiler unit for vehicle stability control}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방측 상면에 장착되는 스포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좌측과 우측이 독립적으로 제어되어 차량후미의 좌측과 우측에 인가되는 압력이 상이하도록 구성되는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주행 시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양력이 발생되고, 이러한 공기저항은 차량의 전방의 압력이 후방의 압력보다 높아 차량을 후방으로 끌어당기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차량에는 차종에 따라 주행 시 자체 주위를 흐르는 공기를 이용하여 하향하는 힘을 발생시키고, 이 힘이 차체를 아래로 누르게 함으로써 고속 주행 시 차체를 지면으로 가라앉혀 자동차의 주행 안정성을 높이는 스포일러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차량 차체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하향력은 제동성능, 조향성능 등을 좋게 하며, 이러한 힘의 크기는 측풍에 의한 밀림현상에 대한 불안정성의 완화에도 도움을 준다. 따라서 공기역학적 항력을 감소시키고, 하향력을 증가시켜 자동차의 주행 성능 및 연비를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들이 생산 제작되어 적용되고 있다.
이때, 종래의 스포일러는 대부분 스포일러의 경사각이 고정된 고정식이기 때문에 주행속도에 따라 일정하게 증가하는 하향력을 발생시킨다. 이로 인해 고속 주행 시에는 상대적으로 주행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통상, 자동차는 주행속도가 증가할수록 공기 흐름에 의한 양력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타이어와 지면 간의 마찰력이 현저히 감소하여 안정성이 현격히 저하되기 때문에 자동차에 장착되는 스포일러는 자동차의 주행속도에 대응하여 경사각이 변동될 필요성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의 주행속도에 따라 경사각이 변경 가능한 '속도 감응형 자동차 리어 스포일러'(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51567호)가 제안된바 있다. 상기 '속도 감응형 자동차 리어 스포일러'는 차량 속도에 따라 차량의 후미를 하향으로 가압하는 힘이 자동으로 증감되는바, 차량 주행을 보다 안정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속도 감응형 자동차 리어 스포일러'는, 차량 후미 중 좌측에 인가되는 하향력과 우측에 인가되는 하향력이 항상 동일하게 인가되므로, 차량의 좌우 밸런스까지는 조정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우측으로 급회전을 하는 경우 차량의 좌측에 비해 우측이 지면으로부터 뜨게 되는데, 종래의 스포일러는 차량의 후미 좌우측을 동일한 크기의 힘으로 하향 가압하는바 차량의 좌측 접지력과 우측 접지력에 차이가 발생될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KR 10-1351567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좌측과 우측의 경사각이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고, 주행과 관련된 여러 조건에 따라 좌우 경사각이 조절되므로 항상 차량을 안정적으로 지면에 접지시킬 수 있으며, 좌측과 우측 사이의 공기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스포일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는, 차량의 후방 중 좌측에 장착되는 좌측스포일러; 상기 차량의 후방 중 우측에 장착되되 차량의 폭방향으로 상기 좌측스포일러와 일렬로 배열되는 우측스포일러; 상기 좌측스포일러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좌측구동부; 상기 우측스포일러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우측구동부; 상기 좌측구동부와 우측구동부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좌측스포일러와 우측스포일러는, 사전에 설정된 범위 이내에서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좌측스포일러를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측이송부와, 상기 우측스포일러를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우측이송부를 더 포함한다.
차량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중력센서와, 차량의 수평도를 측정하는 수평센서와, 강수량을 측정하는 레인센서와, 차량의 제동력을 측정하는 제동센서와, 차량의 주행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센서 중 하나 이상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로부터 차량의 주행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좌측구동부와 우측구동부를 각각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좌측스포일러와 상기 우측스포일러는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좌측구동부는 상기 좌측스포일러와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우측구동부는 상기 우측스포일러와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상기 좌측스포일러와 상기 우측스포일러를 연결하는 탄성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측스포일러와 우측스포일러와 탄성연결부는, 동일한 형상의 유선형 횡단면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는, 스포일러의 좌측과 우측의 경사각이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어 차량의 전체적인 밸런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고, 주행과 관련된 여러 조건에 따라 좌우 경사각이 조절되므로 차량의 주행조건에 관계없이 항상 차량을 안정적으로 지면에 접지시킬 수 있으며, 좌측과 우측 사이의 공기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배면도 및 부분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차량이 좌측으로 기울어졌을 때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차량 배면도 및 부분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및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배면도 및 부분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차량이 좌측으로 기울어졌을 때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차량 배면도 및 부분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는, 차량의 후미에 장착되어 차량 주행 시 상면을 타고 흐르는 공기와 저면을 타고 흐르는 공기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차량의 후미를 하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장치로서, 공기 압력차를 발생시키는 스포일러가 차량의 좌측과 우측에 걸쳐질 수 있도록 하나로 길게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길이가 짧게 제작된 두 개의 스포일러가 차량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두 개의 스포일러가 독립적으로 경사각이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는, 차량의 후방 중 좌측에 장착되는 좌측스포일러(100)와, 상기 차량의 후방 중 우측에 장착되되 차량의 폭방향으로 상기 좌측스포일러(100)와 일렬로 배열되는 우측스포일러(200)와, 상기 좌측스포일러(100)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좌측구동부(110)와, 상기 우측스포일러(200)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우측구동부(210)와, 상기 좌측구동부(110)와 우측구동부(210)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공기 압력차를 발생시키는 스포일러가 좌측스포일러(100)와 우측스포일러(200)로 구분되면, 차량에 인가되는 양력이 좌우 불균일하게 형성되더라도 차량의 좌측을 하향 가압하는 공기압과 차량의 우측을 하향 가압하는 공기압을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좌우 밸런스가 균형을 이루도록 차량을 지면에 접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차량을 하향으로 가압하는 공기압은 좌측스포일러(100) 및 우측스포일러(200)의 경사도에 비례하여 증감되는바, 상기 좌측구동부(110)와 우측구동부(210)는 좌측스포일러(100)와 우측스포일러(200)의 경사각을 각각 독립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좌측스포일러(100)와 우측스포일러(200)의 경사각이 변경되는 구조는 종래의 차량용 스포일러에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좌측스포일러(100)와 우측스포일러(200)가 차량의 트렁크(10) 상면에 장착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차량의 종류가 SUV인 경우 상기 좌측스포일러(100)와 우측스포일러(200)의 장착위치는 뒷유리 상면 등으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는, 차량의 좌측과 우측 중 어느 측이 더 큰 양력을 받는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각종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중력센서(400)나, 차량의 수평도를 측정하는 수평센서(5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력센서(400)나 수평센서(500)가 구비되면 차량의 좌측과 우측 중 어느 측으로 기울어지는지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좀 더 많이 들어 올려진 측에 위치한 스포일러의 경사각을 증가시킴으로서, 차량의 좌우 높이를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 즉, 차량의 좌측과 우측을 고르게 지면에 접지시킬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우측이 들어 올려지는 경우 좌측스포일러(100)의 경사각은 그대로 유지하고 우측스포일러(200)의 경사각만을 증가시킴으로써, 차량의 우측에 보다 큰 하향 가압력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우천 시에는 차량이 노면 상에서 쉽게 미끄러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는 강수량에 따라 스포일러 각도를 증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는 강수량을 측정하는 레인센서(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00)는 강수량에 비례하여 좌측스포일러(100)와 우측스포일러(200)의 경사각을 증감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이 급격하게 제동하는 경우나 차량이 빠르게 주행하는 경우 차량의 후미가 들어 올려지므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는 급제동 시나 고속주행 시 좌측스포일러(100)와 우측스포일러(200)의 경사각이 증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는, 차량의 제동력을 측정하는 제동센서(700)와 차량의 주행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센서(800)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300)는 차량에 발생되는 제동력과 주행속도에 비례하여 좌측스포일러(100)와 우측스포일러(200)의 경사각을 증감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차량이 좌측이나 우측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은 여러 가지 이유에 의해 발생되는데, 차량이 좌회전이나 우회전을 하는 경우에도 차량은 원심력에 의해 좌측이나 우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즉, 차량이 좌회전을 하는 경우 차량은 우측으로 기울어지고, 차량이 우회전을 하는 경우 차량은 좌측으로 기울어지는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는 차량이 좌회전할 때 좌측스포일러(100)의 경사도를 증가시키고 차량이 우회전할 때 우측스포일러(200)의 경사도를 증가시키도록 동작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좌측스포일러(100) 및 우측스포일러(200)의 경사각을 높이기 시작하는 지점과 스포일러에 의해 발생된 하향 가압력이 차량에 인가되는 시점 간에는 어느 정도의 시간차가 존재하므로, 좌측스포일러(100) 및 우측스포일러(200)의 경사도를 높이는 동작은 차량이 이미 기울어진 이후보다 차량이 기울어지기 이전에 이루어져야 보다 안정적으로 차량을 지면에 접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는, 차량이 곡선주로에 진입하기 직전에 좌측스포일러(100)와 우측스포일러(200)가 작동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는, 차량의 주행경로 중 기준치 이상의 곡률을 갖는 곡선주로를 감지하는 내비게이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00)는 차량이 상기 곡선주로에 진입하기 이전에 곡선주로의 회전방향 및 곡률에 따라 상기 좌측스포일러(100)와 우측스포일러(200)의 경사각을 변경시키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차량이 곡선주로에 진입하는 시점을 미리 산출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이 추가로 구비되면, 제어부(300)는 차량이 어느 시점에 어느 방향으로 휘어진 곡선주로에 진입되는지에 따라 좌측스포일러(100)와 우측스포일러(200) 중 어느 하나의 경사각을 사전에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차량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면에 접지시킬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의 수직단면도이다.
한편, 좌측스포일러(100)와 우측스포일러(200)의 경사각이 고정되어 있더라도, 좌측스포일러(100)와 우측스포일러(200)의 위치가 좌우로 변경되면, 차량의 좌측에 인가되는 하향 가압력과 차량의 우측에 인가되는 하향 가압력의 비율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는, 좌측스포일러(100)와 우측스포일러(200)가 사전에 설정된 범위 이내에서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좌측스포일러(100)를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측이송부(120)와, 상기 우측스포일러(200)를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우측이송부(22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측이송부(120)와 우측이송부(2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크와 피니언을 이용하여 좌측스포일러(100)와 우측스포일러(200)를 좌우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리니어모터를 이용하거나 별도의 유압실린더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좌측이송부(120)와 우측이송부(220)는, 좌측스포일러(100)와 우측스포일러(200)를 각각 독립적으로 좌우 이동시킬 수만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도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좌측스포일러(100)와 우측스포일러(200)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면, 좌측스포일러(100)와 우측스포일러(200)의 경사각을 최대한 증가시킨 상태 즉, 차량에 인가되는 하향 가압력이 최대한으로 설정된 상태에서도, 차량에 인가되는 하향 가압력의 좌우 비율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양력을 최대한 억제하면서 차량의 좌우측 밸런스를 유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및 작동상태도이다.
좌측스포일러(100)와 우측스포일러(200)가 상호 이격되도록 설치되면, 차량의 상면을 타고 흐르던 공기가 좌측스포일러(100)와 우측스포일러(200) 사이로 유입될 때 불규칙한 유동을 일으키므로, 공기저항력이 현저히 증가되어 주행성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매우 큰 진동 및 소음이 발생되어 승차감이 현저히 나빠진다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물론, 좌측스포일러(100)와 우측스포일러(200)의 이격거리를 최대한 줄이면, 상기 언급한 문제점들을 줄일 수는 있으나, 좌측스포일러(100)와 우측스포일러(200)가 독립적으로 움직이기 위해서는 좌측스포일러(100)와 우측스포일러(200) 사이에 최소한의 이격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상기 언급한 문제점들을 줄이는데 한계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는, 좌측스포일러(100)와 우측스포일러(200)가 각각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면서, 좌측스포일러(100)와 우측스포일러(200) 사이로 공기가 흐르지 아니하도록, 상기 좌측스포일러(100)와 상기 우측스포일러(200)를 연결하는 탄성연결부(90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연결부(900)는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며 인가된 외력이 해제되었을 때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기준치 이상의 연성 및 탄성을 갖는 탄성체로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좌측스포일러(100)와 우측스포일러(200)가 탄성연결부(900)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되면, 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 우측스포일러(200)의 회전각만 증가되었을 때 상기 탄성연결부(9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스포일러(200)의 경사각에 맞추어 외형이 변형되는바, 상기 좌측스포일러(100)와 우측스포일러(200)는 탄성연결부(900)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각각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좌측스포일러(100)와 우측스포일러(200) 사이로 공기가 흐르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좌측스포일러(100)와 우측스포일러(200)와 탄성연결부(900)의 상면 및 저면을 흐르는 공기의 유동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좌측스포일러(100)와 우측스포일러(200)와 탄성연결부(900)는 동일한 형상의 유선형 횡단면을 갖도록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는, 상기 좌측스포일러(100)와 상기 우측스포일러(200)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좌측스포일러(100)와 우측스포일러(200)가 일체로 연결되었을 때 좌측구동부(110)가 좌측스포일러(100)에 고정 결합되고 우측구동부(120)가 우측스포일러(200)에 고정결합되면, 좌측스포일러(100)와 우측스포일러(200) 중 어느 일측이 더 높게 상승되는 동작 즉, 좌측스포일러(100)와 우측스포일러(200)가 좌우 일측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지는 동작이 불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는, 좌측스포일러(100)와 상기 우측스포일러(200)가 일체로 연결되더라도 좌측스포일러(100)와 상기 우측스포일러(200)가 좌우 일측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질 수 있도록, 상기 좌측구동부(110)는 상기 좌측스포일러(100)와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우측구동부(120)는 상기 우측스포일러(200)와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좌측구동부(110)와 우측구동부(120)는 각각 좌측스포일러(100)와 우측스포일러(200)에 힌지나 볼조인트 등 다양한 종류의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좌측스포일러 110 : 좌측구동부
120 : 좌측이송부 200 : 우측스포일러
210 : 우측구동부 220 : 우측이송부
300 : 제어부 400 : 중력센서
500 : 수평센서 600 : 레인센서
700 : 제동센서 800 : 속도센서
900 : 탄성연결부

Claims (5)

  1. 차량의 후방 중 좌측에 장착되는 좌측스포일러(100);
    상기 차량의 후방 중 우측에 장착되되 차량의 폭방향으로 상기 좌측스포일러(100)와 일렬로 배열되는 우측스포일러(200);
    상기 좌측스포일러(100)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좌측구동부(110);
    상기 우측스포일러(200)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우측구동부(210);
    상기 좌측구동부(110)와 우측구동부(210)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300);
    상기 좌측스포일러(100)와 상기 우측스포일러(200)를 연결하는 탄성연결부(900);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스포일러(100)와 우측스포일러(200)와 탄성연결부(900)는, 동일한 형상의 유선형 횡단면을 갖도록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측스포일러(100)와 우측스포일러(200)는, 사전에 설정된 범위 이내에서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좌측스포일러(100)를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측이송부(120)와, 상기 우측스포일러(200)를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우측이송부(2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중력센서(400)와, 차량의 수평도를 측정하는 수평센서(500)와, 강수량을 측정하는 레인센서(600)와, 차량의 제동력을 측정하는 제동센서(700)와, 차량의 주행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센서(800) 중 하나 이상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센서로부터 차량의 주행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좌측구동부(110)와 우측구동부(210)를 각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측스포일러(100)와 상기 우측스포일러(200)는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좌측구동부(110)는 상기 좌측스포일러(100)와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우측구동부(210)는 상기 우측스포일러(200)와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
  5. 삭제
KR1020150081857A 2015-06-10 2015-06-10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 KR101561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857A KR101561576B1 (ko) 2015-06-10 2015-06-10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857A KR101561576B1 (ko) 2015-06-10 2015-06-10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1576B1 true KR101561576B1 (ko) 2015-11-20

Family

ID=54844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857A KR101561576B1 (ko) 2015-06-10 2015-06-10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15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3881A (ko) * 2017-06-30 2019-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환경 요소에 따라 공기흐름을 조절하는 차량의 스포일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7204A (ja) * 2006-08-03 2008-02-21 Toyota Motor Corp 可動スポイラ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7204A (ja) * 2006-08-03 2008-02-21 Toyota Motor Corp 可動スポイラ制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3881A (ko) * 2017-06-30 2019-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환경 요소에 따라 공기흐름을 조절하는 차량의 스포일러 시스템
KR102496250B1 (ko) * 2017-06-30 2023-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환경 요소에 따라 공기흐름을 조절하는 차량의 스포일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41798B (zh) 用于控制车辆空气动力性的车辆行驶高度的确定
JP3952063B2 (ja) 車体下面空気流制御装置
US8191904B2 (en) Hybrid leveling system
KR101632677B1 (ko) 공기 안내 장치 및 지상 차량의 공기 저항을 감소시키는 방법
KR101921801B1 (ko) 굴절 버스를 위한 안티-잭나이프 스티어링 시스템
JP2767220B2 (ja) 車両の前照灯の照明距離調整装置
US20130173121A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optimizing the position of at least one air deflector
JPH0220414A (ja) 能動懸架装置
CN104670348A (zh) 车用扰流装置
US6338524B1 (en) Automotive aerodynamic component and object carrier fixture
KR101581007B1 (ko) 속도 감응형 자동차 스포일러장치
KR101561576B1 (ko) 자동차 자세 제어형 리어 스포일러장치
US20170158016A1 (en) Air suspension indvidual corner control to optimize traction
KR101423731B1 (ko) 속도 감응형 자동차 리어 스포일러
FR2856974A1 (fr) Element pour la reduction des efforts aerodynamiques d'un vehicule automobile
KR101743762B1 (ko) 속도 감응형 리어 스포일러 장치
KR100696060B1 (ko) 차량에서 수직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헤드 램프의 조사각도를 가변시키는 장치 및 그 방법
CN112693448A (zh) 一种汽车扭矩转向控制方法及电子设备
KR101633020B1 (ko) 속도 감응형 이중구조 리어 스포일러 장치
KR20170072458A (ko) 차량 높이 조절 장치
CN112092562A (zh) 车辆受控的俯仰倾斜
KR19980073747A (ko) 자동차의 속도 및 조향 감응식 가변 스포일러 및 그 제어방법
KR100559856B1 (ko) 차량의 내리막 길 주행시 차고 및 차속 제어장치
EP1477395A2 (fr) Elément aérodynamique d'un véhicule automobile
KR101997323B1 (ko) 차량의 급제동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