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9304B1 - 신축이음장치 및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공법 및 신축이음장치의 배수장치 교체공법 - Google Patents

신축이음장치 및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공법 및 신축이음장치의 배수장치 교체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9304B1
KR101639304B1 KR1020150189931A KR20150189931A KR101639304B1 KR 101639304 B1 KR101639304 B1 KR 101639304B1 KR 1020150189931 A KR1020150189931 A KR 1020150189931A KR 20150189931 A KR20150189931 A KR 20150189931A KR 101639304 B1 KR101639304 B1 KR 101639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expansion joint
horizontal member
drainage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9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륜
최동철
Original Assignee
대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경산업(주) filed Critical 대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150189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3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2Joints having intermediate bea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장치의 교체가 용이한 신축이음장치 및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공법, 배수장치의 교체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구체적으로는, 배수장치의 교체 및 신규설치시 작업성 개선, 신축이음장치의 파손 방지 및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신축이음장치 및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공법 및 신축이음장치의 배수장치 교체공법에 관한 것으로, 차도부에 형성되는 제1 신축이음유닛과 갓길부에 형성되되 배수장치가 결합하는 제2 배수장치 결합홀이 분리 가능한 제2 수평, 수직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신축이음유닛과 제2 신축이음유닛의 제2 수평, 수직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 및 제1, 2 신축이음유닛의 전체 연장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배수장치로 구성되어 있어, 제2 신축이음유닛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배수장치 결합홀을 탈, 부착할 수 있는 제2 수평부재 및 제2 수직부재에 형성하여 시공시 배수장치를 원활히 삽입할 수 있고, 배수장치의 결합부에 형성된 제1, 2 걸림턱에 의해 배수장치를 제1, 2 신축이음유닛에 형성된 제1, 2 배수장치 결합홀에 쉽게 결합할 수 있으면서 방수성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수장치에 형성된 와이어를 제1, 2 신축이음유닛의 전체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함으로써 배수장치의 설치 및 교체작업시 와이어의 단선으로 인한 시공이 지연되는 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시공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배수장치의 교체 및 신규설치시 배수장치의 와이어를 잡아당기는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 부분에 와이어 가이드를 형성하여 와이어와 제1 신축이음유닛 간의 간섭 방지에 따른 작업효율성 향상 및 구성요소들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를 구동시키는 동력원을 작은용량의 것을 사용할 수 있는 신축이음장치 및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공법 및 신축이음장치의 배수장치 교체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축이음장치 및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공법 및 신축이음장치의 배수장치 교체공법{Expansion joint and construciton method for expansion joint and change method for expansion of drain device}
본 발명은 배수장치의 교체가 용이한 신축이음장치 및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공법, 배수장치의 교체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구체적으로는, 배수장치의 교체 및 신규설치시 작업성 개선, 신축이음장치의 파손 방지 및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신축이음장치 및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공법 및 신축이음장치의 배수장치 교체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축이음장치는 교량이나 철도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 사이에 형성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간의 신축 발생시 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통상의 신축이음장치는 한쌍의 수평부재와 수직부재 및 콘크리트 구조물에 결합할 수 있도록 수직부재의 측면으로 스터드볼트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부재의 내측방향으로는 수평부재에서 유입되는 이물질 및 물 등이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로 유입하지 않도록 배수장치가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신축이음장치에 결합하는 배수장치는 신축이음장치와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배수장치의 파손 및 노후화로 인해 교체하기 위해서는 신축이음장치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707484호(이하, '특허문헌 1' 이라 함)에서와 같이 신축이음장치와 배수장치를 분리할 수 있는 교체용 신축이음 누수방지 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 교체용 신축이음 누수방지 장치는 각각의 콘크리트 구조물 측면에 고정홈을 구비한 한쌍의 고정받침대가 매립되고, 상기 고정홈에는 철재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고정대가 끼워지고, 상기 고정대에는 신축부재의 양단이 결합되어 신축부재가 콘크리트 구조물과 콘크리트 구조물 사이의 유간에 U자형으로 설치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1인 교체용 신축이음 누수방지 장치는 신규설치시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부를 제거하고 고정받침대를 형성하여 신축이음장치 설치 후 다시 작업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공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정받침대의 설치 후 상기 고정받침대의 고정홈에 신축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철재나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고정대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고정대가 철재로 이루어져 있어 고정대 및 신축부재를 구부리거나 롤 형태로 말아서 형성할 수 없기 때문에, 신축이음장치의 길이방향 만큼의 작업공간이 더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교량에 설치할 경우에는 공간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그리고 상기 고정받침대의 고정홈에 신축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철재나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고정대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신축이음장치의 길이방향으로 밀어서 설치함으로써 이 또한 시공의 불편함을 발생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아울러, 신축부재에 물이 넘칠 정도로 찼을 때에 고정받침대로 물이 누수되어 콘크리트 구조물로 유입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손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지적되어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6649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함.)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차량이 운행하는 구간에는 종래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수평부재와 제1 수직부재로 이루어진 제1 신축이음유닛을 형성하고, 갓길부에는 제1 신축이음유닛의 제1 수평부재보다 더 넓은 형태로 이루어진 제2 수평부재를 구성하되, 제2 수직부재에서 탈, 부착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2 수직부재에는 홀을 형성하고 있는 프레임을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홀에 결합할 수 있도록 와이어를 포함하는 배수장치를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배수장치의 노후화로 인해 교체하고자 할 경우 차량 통행이 없는 갓길부에 형성된 제2 신축이음유닛의 제2 수평부재를 걷어낸 이후 배수장치를 권취장치를 이용해 제거하게 되며, 이때에, 새로운 배수장치를 노후화된 배수장치에 형성된 와이어와 커플링을 이용해 연결하여 노후화된 배수장치를 제거하는 작업과 동시에 새로운 배수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특허문헌 1) KR10-0707484 B1 교체용 신축이음 누수방지 장치
(특허문헌 2) KR10-0996649 B1 신축이음장치의 배수장치 설치, 교체공법
하지만, 상술한 특허문헌 2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번째, 상술한 특허문헌 2의 경우 배수장치에 형성된 결합돌기가 프레임에 형성된 홀에 결합시 억지끼워맞춤 형태로 결합되기 때문에 배수장치의 교체시 기존 배수장치를 제거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신규 배수장치를 제1, 2 신축이음유닛에 설치하기도 매우 어려웠다.
또한, 배수장치의 교체시 노후화된 배수장치에 형성된 와이어와 새로 설치하고자 하는 배수장치에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를 커플링을 통해 결합한 후 이를 권취장치를 이용해 노후화된 배수장치의 제거와 동시에 새로운 배수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커플링이 파손될 경우 노후화된 배수장치의 제거는 이루어질 수 있지만, 새로운 배수장치의 경우 차량이 운행하는 차도부 내에 멈춰진 상태이기 때문에, 이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차량 통행을 제한시킨 상태에서만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술한 특허문헌 2의 경우 제1, 2 신축이음유닛의 제1, 2 수직부재에 프레임을 형성한 후 이 프레임에 홀을 형성해 배수장치를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상술한 노후화된 배수장치를 잡아당기기 위한 윈치인 권취장치는 제2 신축이음유닛 내로 삽입하지 못할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권취장치를 이용해 배수장치의 와이어를 잡아당기게 되면 권취장치가 더 상측에 배치된 관계로 프레임에 결합된 배수장치의 와이어가 수평한 상태로 당겨지는 것이 아니라 상측방향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상태에서 당겨지기 때문에 제2 신축이음부에 걸리게 되어 와이어의 파손 뿐만 아니라, 제2 신축이음부의 파손을 초래할 수 있었으며, 더욱이, 상기와 같이 비스듬히 와이어가 당겨지게 되면 배수장치를 당기기 위해 필요한 힘보다 더 큰힘을 형성하는 모터를 이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신축이음장치 및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공법 및 신축이음장치의 배수장치 교체공법은 신축이음장치의 신설 또는 신축이음장치의 배수장치의 교체작업시 이물질 유입방지 및 방수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큰힘을 들이지 않고 배수장치를 설치 또는 제거 후 설치할 수 있는 신축이음장치 및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공법 및 신축이음장치의 배수장치 교체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노후화된 배수장치의 제거 및 신규 설치시 와이어가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배수장치의 제거 및 교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수장치의 신규 설치 또는 교체작업시 제2 신축이음유닛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충분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제2 신축이음유닛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배수장치 결합홀을 탈, 부착할 수 있는 제2 수평부재 및 제2 수직부재에 형성함으로써 시공시 배수장치를 원활히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배수장치의 결합부에 형성된 제1, 2 걸림턱에 의해 배수장치를 제1, 2 신축이음유닛에 형성된 제1, 2 배수장치 결합홀에 쉽게 결합할 수 있으면서 방수성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배수장치에 형성된 와이어를 제1, 2 신축이음유닛의 전체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함으로써 배수장치의 설치 및 교체작업시 와이어의 단선으로 인한 시공이 지연되는 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시공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수장치의 교체 및 신규설치시 배수장치의 와이어를 잡아당기는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 부분에 와이어 가이드를 형성하여 와이어와 제1 신축이음유닛 간의 간섭 방지에 따른 작업효율성 향상 및 구성요소들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를 구동시키는 동력원을 작은용량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결합부재에 형성된 수평부재 보호플레이트에 의해 신축이음장치의 신규설치 후 제2 신축이음유닛의 제2 수평부재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2 신축이음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제2 신축이음유닛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제2 신축이음유닛의 제2 수평부재를 분해한 사시도.
도 5는 배수장치를 설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신축이음장치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세부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신축이음유닛(10)은 교량의 차도부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종래의 신축이음과 유사한 형태로 구성된다.
즉, 상술한 제1 신축이음유닛(10)은 차량 주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평부재(11)와 상기 제1 수평부재(11)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수직부재(12)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교량 상판에 각각 결합하기 위해 2개소가 서로 대칭된 구조로 마주보며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수직부재(12)에는 제1 배수장치 결합홀(13)과 스터드볼트(14)가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신축이음유닛(10)은 교량 내에서 차량이 운행하는 차도부 및 차도부에서 갓길부 방향으로 조금 더 연장된 형태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2개소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신축이음유닛(20)은 상술한 교량의 차도부에 설치된 제1 신축이음유닛(10)이 연장된 방향 중 갓길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2 신축이음유닛(20)은 제1 신축이음유닛(10)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지만, 제1 신축이음유닛(10)과는 다르게 제2 수평부재(21)의 너비가 제1 수평부재(11)보다 더 넓은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술한 제2 수평부재(21) 하측으로는 제2 수직부재(22)가 형성되지만, 제1 신축이음유닛(10)과는 다르게 분리형으로 구성된다.
특히, 제2 신축이음유닛(20)에는 제1 신축이음유닛(10)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자리에 동일한 형상의 제2 배수장치 결합홀(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신축이음유닛(10)과는 다르게 상술한 제2 배수장치 결합홀(23)의 상부는 제2 수평부재(21)에 형성되고, 제2 배수장치 결합홀(23)의 하부는 제2 수직부재(22)에 형성되어 제2 수평, 수직부재(21, 22)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신축이음유닛(10)의 제1 배수장치 결합홀(13)과 동일한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특히, 상술한 제2 수평부재(21)의 수평면에는 다수의 결합홀(2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제2 수직부재(22)의 측면에는 다수의 스터드볼트(24)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결합부재(30)는 상술하였던 제2 신축이음유닛(20)의 제2 수평, 수직부재(21, 22)를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2 수평부재(21)와 맞닿는 수평부재 결합플레이트(31)와 상기 수평부재 결합플레이트(31)의 측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신축이음유닛(20)의 제2 수평부재(21) 측면과 교량 상판을 구획하기 위한 수평부재 보호플레이트(32)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수평부재 결합플레이트(31)의 평면상에는 제2 수평부재(21)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홀(21a)에 대응하는 결합홀(31a)이 형성되어 볼트(B) 및 너트(N)에 의해 체결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술한 제2 신축이음유닛(20)의 제2 수평부재(21)에 형성된 결합홀(21a)과 결합부재(30)의 수평부재 결합플레이트(31)에 형성된 결합홀(31a) 중 어느 하나는 내측에 나사산을 형성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는 다르게 모두 홀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결합부재(30)는 제2 신축이음유닛(20)에 결합시 수평부재 결합플레이트(31)의 하측면은 제2 수직부재(22)에 형성된 스터드볼트(24)에 용접으로 결합된다.
특히, 상술한 너트(N)는 도면에서는 일반적인 너트(N)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캡형태의 너트일 수 있으며, 이때에 상술한 너트(N)는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결합부재(30)의 수평부재 결합플레이트(31)의 하측면에 용접과 같은 접합수단을 통해 일체형으로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배수장치(40)는 상술한 제1, 2 신축이음유닛(10, 20)의 제1, 2 배수장치 결합홀(13, 23)에 결합하여 우수 및 이물질이 교량의 하부 구조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배수장치(4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배수유닛(41)과 상기 배수유닛(41)에 결합하여 배수장치(40)의 설치 또는 교체작업시 배수장치(4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와이어(42)가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술한 배수유닛(41)은 제1, 2 신축이음유닛(10, 20)의 제1, 2 배수장치 결합홀(13, 23)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41a)가 양 측면에 형성되며, 이 결합부(41a)의 내측에는 상술한 와이어(42)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42)는 결합부(41a)에 결합되지 않고 돌출되어 연장되는 길이가 제1, 2 신축이음유닛(10, 20)이 연장된 전체 길이 대비 1.2 ∼1.5배의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41a) 사이에는 결합부(41a)와 일체로 형성되는 배수부(41b)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술한 결합부(41a)의 외측에는 제1, 2 걸림턱(41c, 41d)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제1, 2 걸림턱(41c, 41d)은 배수부(41b)에 우수 등이 채워져 하중을 받을 때에 결합부(41a)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다시 말해 바람개비와 같은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배수부(41b)의 처짐시 제1, 2 신축이음유닛(10, 20)의 제1, 2 배수장치 결합홀(13, 23)에 밀착되어 이물질이나 물 등이 교량의 하부 구조물로 유입되지 않도록 작용하게 된다.
2. 신축이음장치 설치공법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신축이음장치를 이용하여 교량에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는 공법에 대해 도 1 내지 도 6을 이용해 살펴보도록 한다.
본 단계는 신설되는 교량에 본 발명의 신축이음장치(50)를 설치하거나 또는, 기존 교량에서 신축이음장치(50)를 교체하는 과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단계에서는 제1, 2 신축이음유닛(10, 20)의 설치 작업이 선행되어야만 한다.
즉, 교량 상판 사이의 차도부에 하나 이상의 제1 신축이음유닛(10)을 배치하여 고정시키도록 한다.
또한, 차도부에 제1 신축이음유닛(10)을 모두 고정하여 배치하였으면 차도부와 인접한 갓길부에 제2 신축이음유닛(20)을 배치한 후에 이 또한 고정작업을 통해 배치를 완료한다.
이때에, 상기 제1, 2 신축이음유닛(10, 20)은 일정한 길이로 제작된 상태에서 시공이 이루어지는 만큼 배수장치(40)를 결합하지 않은 상태로 배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신축이음유닛(20)의 설치시에는 제2 신축이음유닛(20)의 제2 수평부재(21)와 제2 수직부재(22) 및 결합부재(30)가 결합된 상태에서 갓길부에 배치되어야만 한다.
상기와 같이 제1, 2 신축이음유닛(10, 20)의 배치 및 고정이 완료되면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1, 2 신축이음유닛(10, 20)을 고정하기 위한 콘크리트가 모두 양생되면 제2 신축이음유닛(20)의 제2 수평부재(21)와 결합부재(30)를 결합하고 있던 볼트(B)를 분리하여 제2 수평부재(21)를 분리한 후에 제1, 2 신축이음유닛(10, 2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2 배수장치 결합홀(13, 23)에 배수장치(40)를 결합하는 단계를 실시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의 제2 신축이음유닛(20)의 제2 수평부재(21)와 제2 수직부재(22)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30)는 수평부재 보호플레이트(32)가 콘크리트 양생시 제2 신축이음유닛(20)의 제2 수평부재(21)와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사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수평부재(21)의 분리 작업이 매우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단계를 실시하기 위해 배수장치(40)를 어느 하나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신축이음유닛(20)에 배치를 하도록 하고, 다른 하나의 제2 신축이음유닛(20)에는 배수장치(40)에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42)를 잡아당길 수 있는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80)를 설치한다.
특히,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80)가 설치된 위치의 제2 신축이음유닛(20)과 결합된 결합부재(30)의 수평부재 결합플레이트(31)에 형성된 결합홀(31a)에는 와이어(42)를 가이드하기 위한 와이어 가이드(60)를 결합한다.
상기 와이어 가이드(60)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되 하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수직바(61)와 상기 수직바(61) 사이에 형성되는 수평바(62) 및 내측이 중공상태로 이루어져 수평바(62) 외측에 결합되는 회전부재(63)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수직바(61)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 부분을 상술한 결합부재(30)의 수평부재 결합플레이트(31)에 형성된 결합홀(31a)에 결합하여 와이어 가이드(60)를 고정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와이어 가이드(60)의 결합까지 완료되면 배수장치 설치용 권취장치(70)에 권취되어 있는 배수장치(40)의 와이어(42)를 제2 신축이음유닛(20)의 제2 배수장치 결합홀(23)에 배치 및 삽입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42)의 이동은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제1, 2 신축이음유닛(10, 20)의 제1, 2 배수장치 결합홀(13, 23)로 이동시키도록 하며, 이러한 작업은 반대편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신축이음유닛(20)에 와이어(42)의 단부가 도달할 때까지 실시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제2 신축이음유닛(20)의 제2 배수장치 결합홀(23)은 제2 수평부재(21)와 제2 수직부재(22)가 결합된 상태일 경우에만 완성된 형태를 갖추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배수장치(40)를 결합하는 과정은 제2 수평부재(21)를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2 신축이음유닛(20)이 연장되어 있는 길이 만큼은 제2 배수장치 결합홀(23)의 상부가 없어 와이어(42)의 삽입시 간섭의 발생없이 용이하게 와이어(42)의 삽입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와이어(42)의 직경은 제1, 2 배수장치 결합홀(13, 23)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져 있어 와이어(42)의 이동은 매우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삽입된 와이어(42)가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80)를 설치한 제2 신축이음유닛(20)의 위치까지 도달하게 되면, 작업자는 이 와이어(42)의 단부를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80)에 결합한 후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80)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배수장치(40)의 배수유닛(41)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41a) 및 결합부(41a)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 2 걸림턱(41c, 41d)이 제1, 2 배수장치 결합홀(13, 23)을 통과하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80)는 직경이 크기 때문에 배수장치(40)가 설치되는 제1, 2 배수장치 결합홀(13, 23)이 형성된 위치보다 더 높은 위치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80)는 와이어(42)를 잡아 당기는 힘이 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배수장치(40)의 결합부(41a) 및 제1, 2 걸림턱(41c, 41d)이 제1, 2 배수장치 결합홀(13, 23)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장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80)를 통한 와이어(42)를 당기는 작업시에는 와이어(42)가 수평상태로 당겨지는 것이 아니라 와이어(42)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상향되는 대각선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80)를 통해 와이어(42)를 당기는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면 와이어(42)가 제2 신축이음유닛(20)에서는 제2 배수장치 결합홀(23)의 상단부가 없기 때문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되지만, 제1 신축이음유닛(10)의 제1 배수장치 결합홀(13)의 상단에서는 간섭이 발생한 상태로 당겨지게 되어 와이어(42) 및 제1 배수장치 결합홀(13) 상단의 파손을 야기할 수 있으며, 만약, 와이어(42)가 끊어지게될 경우 작업의 안전성 뿐만 아니라 재 작업이 어려워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80)가 설치되는 위치의 제2 신축이음유닛(20)에 와이어 가이드(60)를 설치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즉, 배수장치(40)의 와이어(42)를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80)에 결합시 와이어 가이드(60)의 회전부재(63) 하부 방향으로 와이어(42)를 통과시킨 상태에서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80)에 연결하게 되면, 와이어 가이드(60)에 의해 와이어(42)가 제1 신축이음유닛(10)의 제1 배수장치 결합홀(13)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은 상태로 당겨지게 된다.
특히, 상술한 회전부재(63)는 내측이 중공형태로 되어 수평바(62)에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와이어(42)의 이동시 롤러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배수장치(40)를 제1, 2 신축이음유닛(10, 20)에 결합하는 작업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작용도 같이 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배수장치 설치용 권취장치(70) 및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80)를 통해 배수장치(40)를 제1, 2 신축이음유닛(10, 20)의 제1, 2 배수장치 결합홀(13, 23)에 결합시킨 후에는 와이어 가이드(60) 및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80)를 제거한 후에 제2 신축이음유닛(20)의 제2 수평부재(21)를 결합부재(30)에 형성되어 있는 수평부재 결합플레이트(31)에 볼트(B) 및 너트(N)를 이용해 체결함으로써 신축이음장치(50)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게 된다.
3. 신축이음장치의 배수장치 교체공법
본 단계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50)가 설치된 상태에서 배수장치(40)가 노후화되었을 때에 신축이음장치(50)에 새로운 배수장치(40)를 교체하기 위한 과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단계에서는 교량에 제1, 2 신축이음유닛(10, 20)이 설치된 상태를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교량에 설치되어 있는 신축이음장치(50)에 결합되어 있는 노후화된 배수장치(40)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노후화된 배수장치(40) 제거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노후화된 배수장치(40)의 제거작업을 위해서는 갓길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신축이음유닛(20)의 제2 수평부재(21)의 분리작업이 선행되어야만 한다.
즉, 제2 신축이음유닛(20)와 결합부재(30)에 형성된 수평부재 결합플레이트(31)에 결합되어 있는 볼트(B)를 제거하여 제2 수평부재(21)의 결합을 해제한 후에 제2 수평부재(21)를 분리한다.
그런 후, 어느 하나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신축이음유닛(20)에 배수장치(40)를 배치하도록 하고, 다른 하나의 제2 신축이음유닛(20)에는 배수장치(40)에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42)를 잡아당길 수 있는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80)를 설치한다.
여기서,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80)가 설치된 위치의 제2 신축이음유닛(20)과 결합된 결합부재(30)의 수평부재 결합플레이트(31)에 형성된 결합홀(31a)에 와이어를 가이드하기 위한 와이어 가이드(60)를 결합한다.
상기 와이어 가이드(60)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되 하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수직바(61)와 상기 수직바(61) 사이에 형성되는 수평바(62) 및 내측이 중공상태로 이루어져 수평바(62) 외측에 결합되는 회전부재(63)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수직바(61)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 부분을 상술한 결합부재(30)의 수평부재 결합플레이트(31)에 형성된 결합홀(31a)에 결합하여 와이어 가이드(60)를 고정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와이어 가이드(60)의 결합까지 완료되면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80)에 노후화된 배수장치(40)에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42)를 연결한 후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80)를 구동시켜 노후화된 배수장치(40)를 제거한다.
여기서, 상기 노후화된 배수장치(40)에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42)를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80)에 연결할 때에는 와이어(42)를 와이어 가이드(60)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부재(63)의 하측방향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연결한 후에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80)를 구동시켜 노후화된 배수장치(40)와 제1 신축이음유닛(10)의 제1 배수장치 결합홀(13)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작업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와이어 가이드(60)의 결합까지 완료되면 배수장치(40)의 와이어(42)를 제2 신축이음유닛(20)의 제2 배수장치 결합홀(23)에 배치 및 삽입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42)의 이동은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제1, 2 신축이음유닛(10, 20)의 제1, 2 배수장치 결합홀(13, 23)로 이동시키도록 하며, 이러한 작업은 반대편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신축이음유닛(20)에 와이어(42)의 단부가 도달할 때까지 실시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제2 신축이음유닛(20)의 제2 배수장치 결합홀(23)은 제2 수평부재(21)와 제2 수직부재(22)가 결합된 상태일 경우에만 완성된 형태를 갖추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배수장치(40)를 결합하는 과정은 제2 수평부재(21)를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2 신축이음유닛(20)이 연장되어 있는 길이 만큼은 제2 배수장치 결합홀(23)의 상부가 없어 와이어(42)의 삽입시 간섭의 발생없이 용이하게 와이어(42)의 삽입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와이어(42)의 직경은 제1, 2 배수장치 결합홀(13, 23)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져 있어 와이어(42)의 이동은 매우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삽입된 와이어(42)가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80)를 설치한 제2 신축이음유닛(20)의 위치까지 도달하게 되면, 작업자는 이 와이어(42) 단부를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80)에 결합한 후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80)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배수장치(40)의 배수유닛(41)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41a) 및 결합부(41a)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 2 걸림턱(41c, 41d)이 제1, 2 배수장치 결합홀(13, 23)을 통과하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배수장치 설치용 권취장치(70) 및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80)는 직경이 크기 때문에 배수장치(40)가 설치되는 제1, 2 배수장치 결합홀(13, 23)이 형성된 위치보다 더 높은 위치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80)는 와이어(42)를 잡아 당기는 힘이 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배수장치(40)의 결합부(41a) 및 제1, 2 걸림턱(41c, 41d)이 제1, 2 배수장치 결합홀(13, 23)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장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80)를 통한 와이어(42)를 당기는 작업시에는 와이어(42)가 수평상태로 당겨지는 것이 아니라 와이어(42)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상향되는 대각선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80)를 통해 와이어(42)를 당기는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면 와이어(42)가 제2 신축이음유닛(20)에서는 제2 배수장치 결합홀(23)의 상단부가 없기 때문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되지만, 제1 신축이음유닛(10)의 제1 배수장치 결합홀(13)의 상단에서는 간섭이 발생한 상태로 당겨지게 되어 와이어(42) 및 제1 배수장치 결합홀(13) 상단의 파손을 야기할 수 있으며, 만약, 와이어(42)가 끊어지게 될경우 작업의 안전성 뿐만 아니라 재 작업이 어려워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80)가 설치되는 위치의 제2 신축이음유닛(20)에 설치한 와이어 가이드(60)에 의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즉, 배수장치(40)의 와이어(42)를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80)에 결합시 와이어 가이드(60)의 회전부재(63) 하부 방향으로 와이어(42)를 통과시킨 상태에서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80)에 연결하게 되면, 와이어 가이드(60)에 의해 와이어(42)가 제1 신축이음유닛(10)의 제1 배수장치 결합홀(13)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은 상태로 당겨지게 된다.
특히, 상술한 회전부재(63)는 내측이 중공형태로 되어 수평바(62)에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와이어(42)의 이동시 롤러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배수장치(40)를 제1, 2 신축이음유닛(10, 20)에 결합하는 작업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작용도 같이 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80)를 통해 배수장치(40)를 제1, 2 신축이음유닛(10, 20)의 제1, 2 배수장치 결합홀(13, 23)에 결합시킨 후에는 와이어 가이드(60), 배수장치 설치용 권취장치(70) 및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80)를 제거한 후에 제2 신축이음유닛(20)의 제2 수평부재(21)를 결합부재(30)에 형성되어 있는 수평부재 결합플레이트(31)를 볼트(B)를 이용해 체결함으로써 신축이음장치(50)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50)는 차도부에 제1 신축이음유닛(10)을 형성하고 갓길부(20)에는 제2 수평부재(21)를 분리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제2 신축이음유닛(20)을 설치하여 신축이음장치(50)의 신규설치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50)가 기존에 설치된 상황에서 노후화된 배수장치(40)를 교체하는 작업이 매우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신축이음유닛(20)은 결합부재(30)에 의해 제2 수평부재(21) 및 제2 수직부재(22)가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배수장치(40)의 교체 작업 및 신규설치시 작업을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배수장치(40)가 결합하는 제2 신축이음유닛(20)의 제2 배수장치 결합홀(23)은 제2 수평부재(21)에 상단부가 형성되고, 제2 수직부재(22)에 하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배수장치(40)의 제거 및 설치시 제2 배수장치 결합홀(23)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배수장치(40)의 교체시 및 신규설치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2 신축이음유닛(10, 20)에 형성된 제1, 2 배수장치 결합홀(13, 23)에 배수장치(40)를 구성하는 배수유닛(41)의 결합부(41a)가 바로 결합하는 구조가 아니라 제1, 2 신축이음유닛(10, 20)의 전체 길이보다 더 길게 와이어(42)가 형성되어 있어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80)에 배수장치(40)의 와이어(42)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어 별도의 커플링이 없이도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어 커플링 파손에 의해 작업이 중단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배수장치(40)의 배수유닛(41)에 형성된 결합부(41a)에 제1, 2 걸림턱(41c, 41d)을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제1, 2 배수장치 결합홀(13, 23)에 배수장치(40)의 결합 및 이동이 편리하여 이 또한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제1, 2 걸림턱(41c, 41d)의 경우 배수유닛(41)의 배수부(41b)가 하측 방향으로의 하중을 받을 때에는 제1, 2 배수장치 결합홀(13, 23)과 밀착될 수 있도록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방수 기능과 더불어 이물질이 교량의 하부 구조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배수장치(40)의 교체작업시 및 신규설치시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80)를 이용해 배수장치(40)의 와이어(42)를 잡아당기게 되는데 이때에,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80)의 크기때문에 제1, 2 배수장치 결합홀(13, 23)의 위치보다 더 높은 포지션에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80)가 배치됨으로써 와이어(42)가 수평한 상태로 당겨지지 않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제2 신축이음유닛(20) 내에 결합할 수 있으면서 와이어(42)를 수평한 상태로 가이드할 수 있는 와이어 가이드(60)를 형성함으로써 와이어(42)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80)를 구동시키는 동력수단을 적은 용량으로 사용하여도 배수장치(40)의 교체 및 신규설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와이어(42)의 당김시 와이어(42)와 제1 신축이음유닛(10) 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50 : 신축이음장치
10 : 제1 신축이음 유닛
11 : 제1 수평부재 12 : 제1 수직부재 13 : 제1 배수장치 결합홀
14 : 스터드볼트
20 : 제2 신축이음유닛
21 : 제2 수평부재 21a : 결합홀
22 : 제2 수직부재
23 : 제2 배수장치 결합홀 24 : 스터드볼트
30 : 결합부재
31 : 수평부재 결합플레이트 31a : 결합홀
32 : 수평부재 보호플레이트
40 : 배수장치
41 : 배수유닛 41a : 결합부 41b : 배수부 41c : 제1 걸림턱
41d : 제2 걸림턱
42 : 와이어
60 : 와이어 가이드
61 : 수직바 62 : 수평바 63 : 회전부재
80 :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

Claims (6)

  1. 교량의 차도부에 차량이 이동하는 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되, 차량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평부재(11)와 상기 제1 수평부재(11)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수평부재(11)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수직부재(12)와, 상기 제1 수직부재(12)에 형성되는 제1 배수장치 결합홀(13)과 제1 수직부재(12)의 측면에 형성된 스터드볼트(14)로 이루어진 제1 신축이음유닛(10);
    교량의 차도부 측면에 형성된 갓길부에 차량이 이동하는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제1 신축이음유닛(10)의 제1 수평부재(11)보다 차량 이동방향으로 연장되는 너비가 더 넓게 형성되며 수평면 상에 다수의 결합홀(21a)을 형성하고 있는 제2 수평부재(21)와 상기 제2 수평부재(21)의 하측에 배치되며 수직면 상에 다수의 스터드볼트(24)를 형성하고 있는 제2 수직부재(22)와 상기 제1 신축이음유닛(10)의 제1 배수장치 결합홀(13)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측 일부는 제2 수평부재(21)에 형성되고, 하측 일부는 제2 수직부재(22)에 형성되는 제2 배수장치 결합홀(23)로 이루어진 제2 신축이음유닛(20);
    상기 제2 신축이음유닛(20)의 제2 수평부재(21)와 제2 수직부재(22)를 결합하기 위해 제2 수직부재(22)의 측면 및 제2 수직부재(22)에 형성된 스터드볼트(24)에 용접 결합되되, 평면은 제2 수평부재(21)와 맞닿으며 볼트, 너트(B, N)에 의해 제2 수평부재(21)와 결합할 수 있도록 제2 수평부재(21)에 형성된 결합홀(21a)과 대응하는 결합홀(31a)을 형성하고 있는 수평부재 결합플레이트(31)와 상기 수평부재 결합플레이트(31)의 측면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수평부재(21)의 측면과 교량 상판 사이를 구획시키기 위한 수평부재 보호플레이트(32)로 이루어진 결합부재(30);
    상기 제1, 2 신축이음유닛(10, 20)의 제1, 2 배수장치 결합홀(13, 23)에 결합하는 결합부(41a)와 배수부(41b)로 구성되는 배수유닛(41)과 상기 배수유닛(41)의 결합부(41a) 내측에 결합하되, 결합부(41a)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가 제1, 2 신축이음유닛(10, 20) 전체 길이의 1.2 ∼ 1.5배의 길이로 형성되는 와이어(42)로 구성되는 배수장치(4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배수장치(40)의 배수유닛(41)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41a)에는 제1, 2 신축이음유닛(10, 2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2 배수장치 결합홀(13, 23)과 결합시 배수부(41b)가 하측 방향으로의 힘을 받을 때에 제1, 2 배수장치 결합홀(13, 23)에 밀착되어 방수기능 및 이물질 유입방지가 되도록 돌출 성형되되, 하중에 의해 결합부(41a)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한쌍의 제1, 2 걸림턱(41c, 41d)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신축이음장치.
  2. 삭제
  3. 교량의 차도부에 차량이 이동하는 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되, 차량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평부재와 상기 제1 수평부재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수평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수직부재와, 상기 제1 수직부재에 형성되는 제1 배수장치 결합홀과 제1 수직부재의 측면에 형성된 스터드볼트로 이루어진 제1 신축이음유닛과; 교량의 차도부 측면에 형성된 갓길부에 차량이 이동하는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제1 신축이음유닛의 제1 수평부재보다 차량 이동방향으로 연장되는 너비가 더 넓게 형성되며 수평면 상에 다수의 결합홀을 형성하고 있는 제2 수평부재와 상기 제2 수평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며 수직면 상에 다수의 스터드볼트를 형성하고 있는 제2 수직부재와 상기 제1 신축이음유닛의 제1 배수장치 결합홀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측 일부는 제2 수평부재에 형성되고, 하측 일부는 제2 수직부재에 형성되는 제2 배수장치 결합홀로 이루어진 제2 신축이음유닛과; 상기 제2 신축이음유닛의 제2 수평부재와 제2 수직부재를 결합하기 위해 제2 수직부재의 측면 및 제2 수직부재에 형성된 스터드볼트에 용접 결합되되, 평면은 제2 수평부재와 맞닿으며 볼트, 너트에 의해 제2 수평부재와 결합할 수 있도록 제2 수평부재에 형성된 결합홀과 대응하는 결합홀을 형성하고 있는 수평부재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수평부재 결합플레이트의 측면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수평부재의 측면과 교량 상판 사이를 구획시키기 위한 수평부재 보호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결합부재와; 상기 제1, 2 신축이음유닛의 제1, 2 배수장치 결합홀에 결합하는 결합부와 배수부로 구성되는 배수유닛과 상기 배수유닛의 결합부 내측에 결합하되, 결합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가 제1, 2 신축이음유닛 전체 연장길이의 1.2 ∼ 1.5배의 길이로 연장되는 와이어로 구성되는 배수장치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배수장치의 배수유닛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에는 제1, 2 신축이음유닛에 형성되어 있는 제1, 2 배수장치 결합홀과 결합시 배수부가 하측 방향으로의 힘을 받을 때에 제1, 2 배수장치 결합홀에 밀착되어 방수기능 및 이물질 유입방지가 되도록 돌출 성형되되, 하중에 의해 결합부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한쌍의 제1, 2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공법에 있어서,
    A1. 교량상판 사이의 차도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1 신축이음유닛을 배치하고, 제1 신축이음유닛의 단부에 형성되는 갓길부에는 결합부재를 용접 결합한 제2 신축이음유닛을 배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는 단계;
    A2. 상기 갓길부에 배치한 제2 신축이음유닛의 제2 수평부재를 분리한 후 제2 신축이음유닛 중 어느 하나의 제2 신축이음유닛의 결합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수평부재 결합플레이트의 결합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수평바 및 수평바의 외측에 형성되는 회전부재로 구성된 와이어 가이드를 결합하는 단계;
    A3. 제1, 2 신축이음유닛의 전체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있는 배수장치의 와이어를 와이어 가이드를 설치한 반대편의 제2 신축이음유닛 중 제2 수직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배수장치 결합홀에 삽입하되 와이어를 반대편의 제2 신축이음유닛이 배치된 위치까지 삽입하고, 와이어 가이드가 결합된 위치에는 배수장치의 와이어를 잡아당길 수 있는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를 설치하되, 와이어의 당김시 와이어가 제1 신축이음유닛의 제1 수직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배수장치 결합홀의 상단과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와이어 가이드의 회전부재 하부로 와이어를 배치한 상태에서 와이어를 잡아당겨 제1, 2 신축이음유닛의 제1, 2 배수장치 결합홀에 배수장치의 배수유닛을 결합하는 단계;
    A4. 상기 제2 신축이음유닛의 제2 수직부재에 형성되되 하단부만 구성되어 있는 제2 배수장치 결합홀에 배수장치의 배수유닛에 형성된 결합부를 작업자가 안착시킨 후 제2 수평부재를 배치하여 제2 배수장치 결합홀 내에 배수장치가 완벽하게 배치되도록 한 후 볼트를 이용하여 제2 수평, 수직부재를 체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신축이음장치 설치공법.
  4. 삭제
  5. 교량의 차도부에 차량이 이동하는 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되, 차량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평부재와 상기 제1 수평부재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수평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수직부재와, 상기 제1 수직부재에 형성되는 제1 배수장치 결합홀과 제1 수직부재의 측면에 형성된 스터드볼트로 이루어진 제1 신축이음유닛과; 교량의 차도부 측면에 형성된 갓길부에 차량이 이동하는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제1 신축이음유닛의 제1 수평부재보다 차량 이동방향으로 연장되는 너비가 더 넓게 형성되며 수평면 상에 다수의 결합홀을 형성하고 있는 제2 수평부재와 상기 제2 수평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며 수직면 상에 다수의 스터드볼트를 형성하고 있는 제2 수직부재와 상기 제1 신축이음유닛의 제1 배수장치 결합홀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측 일부는 제2 수평부재에 형성되고, 하측 일부는 제2 수직부재에 형성되는 제2 배수장치 결합홀로 이루어진 제2 신축이음유닛과; 상기 제2 신축이음유닛의 제2 수평부재와 제2 수직부재를 결합하기 위해 제2 수직부재의 측면 및 제2 수직부재에 형성된 스터드볼트에 용접 결합되되, 평면은 제2 수평부재와 맞닿으며 볼트, 너트에 의해 제2 수평부재와 결합할 수 있도록 제2 수평부재에 형성된 결합홀과 대응하는 결합홀을 형성하고 있는 수평부재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수평부재 결합플레이트의 측면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수평부재의 측면과 교량 상판 사이를 구획시키기 위한 수평부재 보호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결합부재와; 상기 제1, 2 신축이음유닛의 제1, 2 배수장치 결합홀에 결합하는 결합부와 배수부로 구성되는 배수유닛과 상기 배수유닛의 결합부 내측에 결합하되, 결합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가 제1, 2 신축이음유닛 전체 연장길이의 1.2 ∼ 1.5배의 길이로 연장되는 와이어로 구성되는 배수장치;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배수장치의 배수유닛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에는 제1, 2 신축이음유닛에 형성되어 있는 제1, 2 배수장치 결합홀과 결합시 배수부가 하측 방향으로의 힘을 받을 때에 제1, 2 배수장치 결합홀에 밀착되어 방수기능 및 이물질 유입방지가 되도록 돌출 성형되되, 하중에 의해 결합부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한쌍의 제1, 2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신축이음장치에서 배수장치를 교체하기 위한 공법에 있어서,
    B1. 상기 신축이음장치 중 하나 이상의 차도부 측면인 갓길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신축이음유닛 중 결합부재에 볼트를 통해 결합되어 있는 제2 수평부재를 분리하는 단계;
    B2. 제2 신축이음유닛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형성된 제2 신축이음유닛 중 제2 수평부재와 결합되어 있던 결합부재의 결합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수평바 및 수평바의 외측에 형성되는 회전부재로 구성되는 와이어 가이드를 결합하는 단계;
    B3. 상기 신축이음유닛 중 와이어 가이드를 설치된 위치에는 기존 배수장치를 제거하면서 새로운 배수장치를 교체 설치하기 위한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를 배치하고, 반대편 제2 신축이음유닛에는 제1, 2 신축이음유닛의 전체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있는 배수장치를 배치한 후,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를 이용해 노후화된 배수장치에 형성된 와이어를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에 연결하여 배수장치를 제거하되, 배수장치의 와이어가 제1 신축이음유닛의 제1 수직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배수장치 결합홀의 상단과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와이어 가이드의 회전부재 하부로 와이어를 배치한 상태에서 와이어를 잡아당겨 노후화된 배수장치를 제거하는 단계;
    B4. 상기 노후화된 배수장치의 제거 이후 배수장치의 와이어를 제2 신축이음유닛의 제2 배수장치 결합홀 및 제1 신축이음유닛의 제2 배수장치 결합홀을 통해 삽입하여 반대편의 와이어 가이드가 형성된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이 와이어를 배수장치 회수용 권취장치에 결합한 후 잡아당겨 제1, 2 신축이음유닛의 제1, 2 배수장치 결합홀에 새로운 배수장치의 배수유닛을 결합하는 단계;
    B5. 상기 제2 신축이음유닛의 제2 수직부재에 형성되되 하단부만 구성되어 있는 제2 배수장치 결합홀에 배수장치의 배수유닛에 형성된 결합부를 작업자가 안착시킨 후 제2 수평부재를 배치하여 제2 배수장치 결합홀 내에 배수장치가 완벽하게 배치되도록 한 후 볼트를 이용하여 제2 수평, 수직부재를 체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신축이음장치의 배수장치 교체공법.
  6. 삭제
KR1020150189931A 2015-12-30 2015-12-30 신축이음장치 및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공법 및 신축이음장치의 배수장치 교체공법 KR101639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931A KR101639304B1 (ko) 2015-12-30 2015-12-30 신축이음장치 및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공법 및 신축이음장치의 배수장치 교체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931A KR101639304B1 (ko) 2015-12-30 2015-12-30 신축이음장치 및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공법 및 신축이음장치의 배수장치 교체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9304B1 true KR101639304B1 (ko) 2016-07-13

Family

ID=56505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9931A KR101639304B1 (ko) 2015-12-30 2015-12-30 신축이음장치 및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공법 및 신축이음장치의 배수장치 교체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3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11579A (zh) * 2020-03-27 2020-07-14 赵付安 公路伸缩缝快速密封加固装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2666A (en) * 1982-03-23 1985-03-05 Les Cables De Lyon Haulage machine for hauling an elongate cylindrical unit
KR20010068280A (ko) * 2000-01-04 2001-07-23 이두성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KR20020000281A (ko) * 2000-06-22 2002-01-05 박중길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KR100996649B1 (ko) * 2010-03-26 2010-11-25 대경산업(주) 신축이음장치 및 신축이음장치의 배수장치 설치/교체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2666A (en) * 1982-03-23 1985-03-05 Les Cables De Lyon Haulage machine for hauling an elongate cylindrical unit
KR20010068280A (ko) * 2000-01-04 2001-07-23 이두성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KR20020000281A (ko) * 2000-06-22 2002-01-05 박중길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KR100996649B1 (ko) * 2010-03-26 2010-11-25 대경산업(주) 신축이음장치 및 신축이음장치의 배수장치 설치/교체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11579A (zh) * 2020-03-27 2020-07-14 赵付安 公路伸缩缝快速密封加固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035B1 (ko) 신축이음장치의 고무방수재의 제작, 설치 및 교체방법
KR101374606B1 (ko)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
KR100952610B1 (ko) 교량용 확장 인도
CA2996738C (en) Joint edge assembly and method for forming joint in offset position
KR101639304B1 (ko) 신축이음장치 및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공법 및 신축이음장치의 배수장치 교체공법
CN109235286A (zh) 一种免维护快速拼装桥墩吊篮
KR101289563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비계용 안전발판
KR100924708B1 (ko) 신축이음장치의 배수장치 및 이의 시공 공법
KR101784721B1 (ko) 배수시트 교체가 용이한 도로교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90892B1 (ko) 철근 이음 장치
KR20180046535A (ko) 내구성이 강화된 무단횡단 방지용 차선분리대
KR101630633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286982B1 (ko) 차선분리대
KR101330177B1 (ko) 강선인장을 이용하는 복공판
KR101658738B1 (ko) 지하구조물의 라이닝 보수를 위한 보강공법
KR200489253Y1 (ko) 설치 용이성이 향상된 개구부 추락방지 안전망의 설치구조
KR20130096803A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897247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0453460Y1 (ko) 교량 신축이음부의 누수 방지기능을 갖는 매립 레일형 신축이음 장치
KR101385991B1 (ko) 신축이음장치용 신축성 마감부재 유닛, 그 마감부재 유닛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그 신축이음장치의 제작방법 및 시공방법
KR100992870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0655143B1 (ko) 전력케이블 트레이의 행거 지지를 위한 시공방법
KR20130129151A (ko) 건설용 시스템서포트의 클램프
US7455473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installing, and exchanging rubber seal for expansion joint
KR100996649B1 (ko) 신축이음장치 및 신축이음장치의 배수장치 설치/교체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