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264B1 - 스티어링 휠용 에어백 모듈 탈거 유닛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휠용 에어백 모듈 탈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264B1
KR101637264B1 KR1020100094719A KR20100094719A KR101637264B1 KR 101637264 B1 KR101637264 B1 KR 101637264B1 KR 1020100094719 A KR1020100094719 A KR 1020100094719A KR 20100094719 A KR20100094719 A KR 20100094719A KR 101637264 B1 KR101637264 B1 KR 101637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airbag module
steering wheel
lower cover
inserti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4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3117A (ko
Inventor
안형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4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264B1/ko
Publication of KR20120033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3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26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Air Bag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 커버 상에 에어백 모듈의 각 삽입로드에 형성된 고정 핀을 한번의 누름조작으로 가압하는 원터치부재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특수공구 없이도 아마추어 어셈블리에 고정된 에어백 모듈을 쉽게 탈거시키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아마추어 어셈블리에 부착된 마운팅 부시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스티어링 휠의 아마추어 조립체에 장착되는 에어백 모듈을 탈거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에어백 모듈에 형성된 각 삽입로드에 대응하여 상기 스티어링 휠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 커버에 형성되며, 공구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공구 삽입홀; 및 상기 각 공구 삽입홀을 통해 삽입되는 공구의 선택적인 조작에 의해 상기 각 삽입로드에 설치된 고정 핀 측으로 휘어져 상기 고정 핀을 가압하여 상기 삽입로드의 내부로 삽입시키도록 상기 각 고정 핀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 커버의 내측에서 상부를 향하여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원터치부재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용 에어백 모듈 탈거 유닛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티어링 휠용 에어백 모듈 탈거 유닛{AIR BAG MODULE EXTRACTING UNIT FOR STEELING WHEEL}
본 발명은 스티어링 휠용 에어백 모듈 탈거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티어링 휠의 아마추어 조립체에 장착된 에어백 모듈을 별도의 특수공구 없이도 아마추어 조립체로부터 쉽게 탈거시키도록 하는 스티어링 휠용 에어백 모듈 탈거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스티어링 시스템(steering system)은 주행중인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운전자가 임의로 전환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로서, 크게 조작기구와 기어기구 및 링크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조작기구는 운전자가 직접 조향조작을 하여 그 조작력을 기어기구를 통해 링크기구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 스티어링 샤프트(steering shaft) 및 스티어링 칼럼(steering column)으로 구성된다.
이 중, 스티어링 휠은 운전자가 차량의 진행방향을 임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향 조작기구로서, 이러한 스티어링 휠에는 R/CON SW, 혼, 에어백 모듈 등의 전장부품이 장착된다.
여기서, 에어백 모듈(1)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커버(3)와, 상기 상부 커버(3)의 내부에 설치되는 미도시된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커버(3)의 하부에 장착되는 고정 플레이트(5)로 구성되어 스티어링 휠(7)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는 아마추어 조립체(9)에 장착된다.
이러한 에어백 모듈(1)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5)의 하면에 삽입로드(11)가 다수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각 삽입로드(11)의 단부에는 그 측부로 돌출되는 고정 핀(13)이 상기 삽입로드(11)의 내부로 선택적으로 삽입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아마추어 조립체(9)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삽입로드(11)에 대응하여 하부에 마운팅 부시(15)가 장착된 삽입홀(17)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 삽입홀(17)에는 상기 에어백 모듈(1)의 각 삽입로드(11)가 삽입된다.
이 경우, 상기 에어백 모듈(1)의 각 삽입로드(11)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삽입홀(17)로 삽입된 각 삽입로드(11)의 고정 핀(13)이 상기 삽입홀(17)과 마운팅 부시(15)를 통과하여 돌출됨에 따라, 상기 각 고정 핀(13)이 상기 마운팅 부시(15)의 하면에 걸려서 고정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상기 에어백 모듈(1)은 상기 스티어링 휠(7)의 아마추어 조립체(9)에 장착이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 아아추어 조립체(9)의 하부에는 상기 스티어링 휠(7)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 커버(19)가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에어백 모듈(1)은 상기 스티어링 휠(7)로부터 탈거 시, 상기 각 삽입로드(11)의 고정 핀(13)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하부 커버(19)의 각 측부에 형성되는 공구홀에 별도의 특수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고정 핀(13)을 가압하여 고정을 해제시켜야 함에 따라, 상기 공구홀에 맞는 특수공구 제작해야만 하여 제작원가가 상승되고, 상기 고정 핀(13)을 직접 보면서 작업이 불가능하고, 작업자의 감으로 작업함에 따라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공구홀의 크기가 제작된 특수공구의 크기보다 클 경우에는 특수공구를 가이드 하지 못해 상기 고정 핀(13)을 가압하기가 어렵고, 상기 고정 핀(13)의 가압 작업 시, 상기 마운팅 부시(15)의 손상이나 마모가 발생된다.
이로 인해, 상기 에어백 모듈(1)의 재 장착 시, 소음을 유발시키거나 상기 고정 핀(13)이 제대로 걸리지 못하여 에어백 모듈(1)을 고정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하부 커버 상에 에어백 모듈의 각 삽입로드에 형성된 고정 핀을 한번의 누름조작으로 가압하는 원터치부재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특수공구 없이도 아마추어 어셈블리에 고정된 에어백 모듈을 쉽게 탈거시키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아마추어 어셈블리에 부착된 마운팅 부시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스티어링 휠용 에어백 모듈 탈거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용 에어백 모듈 탈거 유닛은 스티어링 휠의 아마추어 조립체에 장착되는 에어백 모듈을 탈거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에어백 모듈에 형성된 각 삽입로드에 대응하여 상기 스티어링 휠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 커버에 형성되며, 공구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공구 삽입홀; 및 상기 각 공구 삽입홀을 통해 삽입되는 공구의 선택적인 조작에 의해 상기 각 삽입로드에 설치된 고정 핀 측으로 휘어져 상기 고정 핀을 가압하여 상기 삽입로드의 내부로 삽입시키도록 상기 각 고정 핀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 커버의 내측에서 상부를 향하여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원터치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각 원터치부재는 상기 각 고정 핀에 대응하는 일단 내측에 상기 각 고정 핀을 가압하기 위한 누름돌기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각 원터치부재는 상기 공구의 조작에 의해 휘어진 상태에서 공구의 조작 해제 시, 초기위치로 복원되도록 탄성 복원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커버는 상기 각 공구 삽입홀로 삽입되는 공구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각 원터치부재의 외측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 커버의 내측으로부터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공구 삽입홀은 그 형상이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 돌기는 반원형상의 상기 공구 삽입홀에 대응하여 반원형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용 에어백 모듈 탈거 유닛에 의하면, 하부 커버 상에 에어백 모듈의 각 삽입로드에 형성된 고정 핀을 한번의 누름조작으로 가압하는 원터치부재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특수공구 없이 일반공구로 상기 각 원터치부재를 가압하여 고정 핀의 고정을 해제시킬 수 있어 아마추어 어셈블리에 고정된 에어백 모듈을 쉽게 탈거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특수공구 없이도 일반공구를 통해 에어백 모듈을 쉽게 탈거할 수 있어 특수공구를 제작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특수공구 제작에 따른 제작원가를 절감시키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각 원터치부재에 의해 아마추어 어셈블리에 부착된 마운팅 부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마운팅 부시의 마모 또는 손상된 상태에서 에어백 모듈 재 장착 시에 소음을 유발시키거나 상기 고정 핀이 제대로 걸리지 못하여 에어백 모듈을 고정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들을 미연에 방지시키는 효과도 내포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에어백 모듈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티어링 휠에 에어백 모듈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용 에어백 모듈 탈거 유닛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용 에어백 모듈 탈거 유닛이 적용된 하부 커버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A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용 에어백 모듈 탈거 유닛이 적용된 스티어링 휠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용 에어백 모듈 탈거 유닛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용 에어백 모듈 탈거 유닛이 적용된 하부 커버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용 에어백 모듈 탈거 유닛이 적용되는 하부커버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6는 도 4의 A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용 에어백 모듈 탈거 유닛이 적용된 스티어링 휠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단,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및 도면 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용 에어백 모듈 탈거 유닛(100)이 적용되는 스티어링 휠(7)에서 에어백 모듈(1)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커버(3)와, 상기 상부 커버(3)의 내부에 설치되는 미도시된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커버(3)의 하부에 장착되는 고정 플레이트(5)로 구성된다.
이러한 에어백 모듈(1)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5)의 하면에 삽입로드(11)가 다수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각 삽입로드(11)의 단부에는 그 측부로 돌출되는 고정 핀(13)이 상기 삽입로드(11)의 내부로 선택적으로 삽입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에어백 모듈(1)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7)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는 아마추어 조립체(9)에 장착되는 바, 상기 아마추어 조립체(9)는 상기 각 삽입로드(11)에 대응하여 하부에 마운팅 부시(15)가 장착된 삽입홀(17)이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에어백 모듈(1)의 각 삽입로드(11)는 상기 각 삽입홀(17)로 삽입되며, 이 때, 각 삽입로드(11)의 고정 핀(13)이 상기 삽입홀(17)과 마운팅 부시(15)를 통과하여 돌출됨에 따라, 상기 각 고정 핀(13)이 상기 마운팅 부시(15)의 하면에 걸려서 고정됨으로써, 상기 스티어링 휠(7)에 에어백 모듈(1)의 장착이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 아아추어 조립체(1)의 하부에는 상기 스티어링 휠(7)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 커버(19)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스티어링 휠(7)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용 에어백 모듈 탈거 유닛(100)은 상기 하부 커버(17) 상에 에어백 모듈(1)의 각 삽입로드(11)에 형성된 고정 핀(13)을 한번의 누름조작으로 가압하는 원터치부재(120)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특수공구 없이도 아마추어 어셈블리(9)에 고정된 에어백 모듈(1)을 쉽게 탈거시키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아마추어 어셈블리(9)에 부착된 마운팅 부시(15)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용 에어백 모듈 탈거 유닛(100)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구 삽입홀(110)과 원터치부재(120)로 이루어지며,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공구 삽입홀(110)은 상기 에어백 모듈(1)에 형성된 각 삽입로드(11)에 대응하여 상기 스티어링 휠(7)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 커버(17)에 다수개가 형성되며, 드라이버와 같은 일반적인 공구(140)가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각 공구 삽입홀(110)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형상이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원터치부재(120)는, 도 4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각 공구 삽입홀(110)을 통해 삽입되는 공구(140)의 선택적인 조작에 의해 상기 각 삽입로드(11)에 설치된 고정 핀(13) 측으로 휘어져 상기 고정 핀(13)을 가압하여 상기 삽입로드(11)의 내부로 삽입시키도록 상기 각 고정 핀(13)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 커버(19)의 내측에서 상부를 향하여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원터치부재(120)는 상기 각 고정 핀(13)에 대응하는 일단 내측에 상기 각 고정 핀(13)을 가압하기 위한 누름돌기(121)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원터치부재(120)는 상기 공구(140)의 조작에 의해 휘어진 상태에서 공구(140)의 조작 해제 시, 다시 초기위치로 복원되도록 탄성 복원력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각 원터치부재(120)은 초기 장착 시, 상기 누름돌기(121)가 상기 각 고정 핀(13)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공구(140)의 조작에 따라, 상기 고정 핀(13)을 향하여 휘어져 이동되고, 상기 각 고정 핀(13)의 고정 해제 후, 상기 공구(140)의 조작이 해제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시 초기위치로 복원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커버(19)는 상기 각 공구 삽입홀(110)로 삽입되는 공구(140)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각 원터치부재(120)의 외측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 커버(19)의 내측으로부터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13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각 가이드 돌기(130)는 상기 각 공구 삽입홀(110)으로 삽입되는 공구를 가이드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각 가이드 돌기(130)는 반원형상의 상기 공구 삽입홀(110)에 대응하여 반원형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용 에어백 모듈 탈거 유닛(100)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티어링 휠(7)의 아마추어 조립체(9)에 에어백 모듈(1)의 장착이 완료되면, 상기 각 마운팅 부시(15)의 하면에 돌출되어 걸려있는 상기 각 고정 핀(13)의 위치에서 상기 각 원터치부재(120)의 누름돌기(121)가 상기 고정 핀(13)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구 삽입홀(110)과 원터치부재(120)는 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에어백 모듈(1)에 형성되는 3개의 삽입로드(11)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 커버(19) 상에 3개가 형성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기 삽입로드(11)의 위치와 개수에 따라 상기 공구 삽입홀(110)과 원터치부재(120)의 위치 및 개수는 변경하여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용 에어백 모듈 탈거 유닛의 작동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용 에어백 모듈 탈거 유닛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상기 에어백 모듈(1)의 탈거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8의 (S1)과 같이, 상기 각 원터치부재(120)는 상기 각 고정 핀(13)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의 초기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에어백 모듈(1)의 탈거가 필요할 경우에는, 도 8의 (S2)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각 공구 삽입홀(110)에 공구(140)를 삽입하여 상기 각 원터치부재(120)의 외측면을 각각 밀게 된다.
그러면, 상기 각 원터치부재(120)는 상기 고정 핀(13)을 향하여 휘어지게 되며, 이 경우, 상기 누름돌기(121)가 상기 고정 핀(13)과 접촉되어 가압함으로써, 상기 고정 핀(13)을 상기 삽입로드(11)의 내부로 삽입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마운팅 부시(15)의 하면에 걸려서 상기 에어백 모듈(1)을 고정시키던 상기 각 고정 핀(13)의 고정은 해제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고정이 해제된 상기 삽입로드(11)를 상기 삽입홀(17)로부터 이탈시키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작업을 상기 각 삽입로드(11)의 개수에 맞게 3번 반복함으로써, 작업자는 상기 스티어링 휠(7)의 아마추어 어셈블리(9)로부터 상기 에어백 모듈(1)을 쉽게 탈거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용 에어백 모듈 탈거 유닛(100)을 적용하면, 하부 커버(19) 상에 에어백 모듈(1)의 각 삽입로드(11)에 형성된 고정 핀(13)을 한번의 누름조작으로 가압하는 원터치부재(120)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특수공구 없이 일반공구(140)로 상기 각 원터치부재(120)를 가압하여 고정 핀(13)의 고정을 해제시킬 수 있어 아마추어 어셈블리(9)에 고정된 에어백 모듈(1)을 쉽게 탈거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별도의 특수공구 없이도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140)를 이용해 에어백 모듈(1)을 쉽게 탈거 할 수 있어 특수공구를 제작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특수공구 제작에 따른 제작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원터치부재(120)에 의해 아마추어 어셈블리(9)에 부착된 마운팅 부시(15)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마운팅 부시(15)의 마모 또는 손상된 상태에서 에어백 모듈(1) 재 장착 시에 소음을 유발시키거나 상기 고정 핀(13)이 제대로 걸리지 못하여 에어백 모듈(1)을 고정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들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에어백 모듈 3...상부 커버
5...고정 플레이트 7...스티어링 휠
9...아마추어 조립체 11...삽입로드
13...고정 핀 15...마운팅 부시
17...삽입홀 19...하부 커버
100...에어백 모듈 탈거장치 110...공구 삽입홀
120...원터치부재 121...누름 돌기
130...가이드 돌기 140...공구

Claims (5)

  1. 스티어링 휠의 아마추어 조립체에 장착되는 에어백 모듈을 탈거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에어백 모듈에 형성된 각 삽입로드에 대응하여 상기 스티어링 휠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 커버에 형성되며, 공구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공구 삽입홀; 및
    상기 각 공구 삽입홀을 통해 삽입되는 공구의 선택적인 조작에 의해 상기 각 삽입로드에 설치된 고정 핀 측으로 휘어져 상기 고정 핀을 가압하여 상기 삽입로드의 내부로 삽입시키도록 상기 각 고정 핀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 커버의 내측에서 상부를 향하여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원터치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각 원터치부재는 상기 각 고정 핀에 대응하는 일단 내측에 상기 각 고정 핀과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고정 핀을 가압하는 누름돌기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용 에어백 모듈 탈거 유닛.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원터치부재는
    상기 각 공구 삽입홀로 삽입되는 공구의 조작에 의해 휘어진 상태에서 공구의 조작 해제 시, 초기위치로 복원되도록 탄성 복원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용 에어백 모듈 탈거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는
    상기 각 공구 삽입홀로 삽입되는 공구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각 원터치부재의 외측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 커버의 내측으로부터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용 에어백 모듈 탈거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공구 삽입홀은
    그 형상이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 돌기는 반원형상의 상기 공구 삽입홀에 대응하여 반원형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용 에어백 모듈 탈거 유닛.
KR1020100094719A 2010-09-29 2010-09-29 스티어링 휠용 에어백 모듈 탈거 유닛 KR101637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719A KR101637264B1 (ko) 2010-09-29 2010-09-29 스티어링 휠용 에어백 모듈 탈거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719A KR101637264B1 (ko) 2010-09-29 2010-09-29 스티어링 휠용 에어백 모듈 탈거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117A KR20120033117A (ko) 2012-04-06
KR101637264B1 true KR101637264B1 (ko) 2016-07-07

Family

ID=46136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4719A KR101637264B1 (ko) 2010-09-29 2010-09-29 스티어링 휠용 에어백 모듈 탈거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2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0895A (ko) 2022-03-30 2023-10-10 주식회사 대유에이피 스티어링 휠의 홀더 결합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6081A (ja) 2006-03-13 2007-09-27 Dalphi Metal Espana Sa エアバッグが結合された運転ハンドル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590B1 (ko) * 2000-10-21 2003-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백 모듈 고정장치
KR20050076054A (ko) * 2004-01-19 2005-07-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모듈 조립구조
KR20090050680A (ko) * 2007-11-16 2009-05-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티어링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6081A (ja) 2006-03-13 2007-09-27 Dalphi Metal Espana Sa エアバッグが結合された運転ハンド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0895A (ko) 2022-03-30 2023-10-10 주식회사 대유에이피 스티어링 휠의 홀더 결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117A (ko) 2012-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9884B2 (ja) レール連結部材、ユニット支持機構、及び電子機器
JP2007238088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アッセンブリ
CN103918137A (zh) 连接器元件
KR101637264B1 (ko) 스티어링 휠용 에어백 모듈 탈거 유닛
JP6917062B2 (ja) スイッチ取付部材
JP6414418B2 (ja) ケーブルの固定構造
JP2014088112A (ja) 自動車のバンパ取付構造
JP2011102052A (ja)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US11623606B2 (en) Device for removably mounting an airbag module
JP3810355B2 (ja) プロテクタ
KR100986362B1 (ko) 차량의 에어백 장치
KR101847823B1 (ko) 차량용 브라켓 모듈
JP2014015184A (ja) エアバッグ装置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20080086581A (ko) 커넥터 어셈블리
JP2005318767A (ja) ワイヤハーネス車体係止用のクリップ
KR101222475B1 (ko) 탈착식 콕핏 모듈 클램핑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콕핏 모듈의 조립방법
JP2014185738A (ja) 配管固定部材
JP6695831B2 (ja) ドアハンドル構造体
JP2012106716A (ja) カウルルーバー
KR200311159Y1 (ko) 스티어링휠의 커버어셈블리
JP4890929B2 (ja) 作業機械の電装品収納構造
JP6576671B2 (ja) 電気接続箱
US20210359467A1 (en) Structure for preventing connector from being detached from electronic components in vehicles
KR100705052B1 (ko) 연료탱크용 패드
KR102304390B1 (ko) 차량의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