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2475B1 - 탈착식 콕핏 모듈 클램핑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콕핏 모듈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탈착식 콕핏 모듈 클램핑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콕핏 모듈의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2475B1
KR101222475B1 KR20100121996A KR20100121996A KR101222475B1 KR 101222475 B1 KR101222475 B1 KR 101222475B1 KR 20100121996 A KR20100121996 A KR 20100121996A KR 20100121996 A KR20100121996 A KR 20100121996A KR 101222475 B1 KR101222475 B1 KR 101222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ckpit module
side mounting
mounting bracket
fasten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21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0474A (ko
Inventor
편해훈
Original Assignee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121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2475B1/ko
Publication of KR20120060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47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탈착식 콕핏 모듈 클램핑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콕핏 모듈의 조립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탈착식 콕핏 모듈 클램핑 브래킷은, 차체에 콕핏 모듈을 결합하는 경우 로봇 암을 사용하여 콕핏 모듈을 리프팅할 수 있도록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의 측면에 결합되며, 차체 및 콕핏 모듈의 결합 완료 후에는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메인프레임; 콕핏 모듈의 리프팅 시 발생하는 하중에 의해 메인프레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메인프레임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는 서브프레임; 및 차체에 콕핏 모듈을 결합시키기 위한 기준점을 제공하도록 서브프레임의 배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불필요한 중량 증가를 방지하여 생산원가 절감 및 연비 개선을 도모할 수 있으면서도 재활용을 통해 반복 사용할 수 있는 탈착식 콕핏 모듈 클램핑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콕핏 모듈의 조립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탈착식 콕핏 모듈 클램핑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콕핏 모듈의 조립방법{Detachable cockpit module clamping bracket and assembling method of cockpit modu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탈착식 콕핏 모듈 클램핑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콕핏 모듈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불필요한 중량 증가를 방지하여 생산원가 절감 및 연비 개선을 도모할 수 있으면서도 재활용을 통해 반복 사용할 수 있는 탈착식 콕핏 모듈 클램핑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콕핏 모듈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콕핏 모듈(Cockpit Module)은 조향장치, 오디오 시스템, 에어백, 페달류, 공조유닛 및 에어 덕트 등의 부품을 일체로 제작하고 사전에 조립함으로써 완성차 업체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구성을 말한다. 이러한 콕핏 모듈은 자동차 부품 중 가장 복잡한 형태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소재 선정에서부터 성형에 이르기까지 조립을 위한 단계가 매우 복잡하고, 기능· 외관 및 인체 공학적 측면에서부터 흡음·차음·진동 등의 소음에 이르기까지 차량의 전체 품질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지므로 소비자의 선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콕핏 모듈은 각종 전장품이 모두 조립됨에 따라 무게가 상당하게 되므로 차량의 조립라인에 투입하기 위하여서는 로봇 암과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이를 리프팅하게 된다.
도 1은 콕핏 모듈을 리프팅하기 위해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에 리프팅용 브래킷을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종래기술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카울 크로스 바(1)의 양단에는 차체에 카울 크로스 바(1)를 고정시키기 위한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2)이 마련되며,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2)의 일측에는 리프팅용 브래킷(3)이 용접을 통해 고정되고,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2)의 타측에는 가이드 핀(4)이 용접을 통해 고정된다. 여기서, 가이드 핀(4)은 차체에 콕핏 모듈을 조립하기 위한 기준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리프팅용 브래킷(3)에는 삽입공(3a)이 형성되는데, 바로 이 삽입공(3a)에 로봇 암이 삽입됨으로써 콕핏 모듈 전체를 리프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의 리프팅용 브래킷(3) 및 가이드 핀(4)은 차체에 콕핏 모듈을 조립하는 경우에만 사용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2)에 용접을 통해 일체로 고정됨에 따라 콕핏 모듈의 조립이 완료된 이후에도 그대로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2)에 고정되어 있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즉, 콕핏 모듈의 조립이 완료되면 리프팅용 브래킷(3) 및 가이드 핀(4)은 아무런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는 불필요한 부품일 뿐이지만 이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 따로 없게 되어 결국 완성된 차량의 중량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차량의 생산원가가 증가하고 완성된 차량의 연비가 좋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이와 함께 종래의 리프팅용 브래킷(3) 및 가이드 핀(4)은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2)에 일체로 고정되는 것이므로 재활용되지 못하고 콕핏 모듈의 조립시마다 별개의 부품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불필요한 중량 증가를 방지하여 생산원가 절감 및 연비 개선을 도모할 수 있으면서도 재활용을 통해 반복 사용할 수 있는 탈착식 콕핏 모듈 클램핑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콕핏 모듈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차체에 콕핏 모듈을 결합하는 경우 로봇 암을 사용하여 상기 콕핏 모듈을 리프팅할 수 있도록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의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차체 및 상기 콕핏 모듈의 결합 완료 후에는 상기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콕핏 모듈의 리프팅 시 발생하는 하중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는 서브프레임; 및 상기 차체에 상기 콕핏 모듈을 결합시키기 위한 기준점을 제공하도록 상기 서브프레임의 배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콕핏 모듈 클램핑 브래킷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에 결합되는 체결바디; 상기 체결바디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상기 체결바디의 일단부로부터 단차지게 연장되는 암 삽입부; 및 상기 콕핏 모듈의 리프팅 시 발생하는 하중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체결바디의 타단부로부터 일정 각도 굽어지게 연장되는 형상변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바디는, 상기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에 상기 체결바디를 간편하게 결합하기 위해 상기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에 형성된 가이드 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체결바디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바디에는, 상기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 및 상기 체결바디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수단이 관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암 삽입부에는, 상기 로봇 암이 삽입되어 상기 콕핏 모듈을 리프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형상변형부의 일측 하단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직각 방향으로 연장 절곡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서브프레임의 일측에 일체로 고정되는 핀 헤드; 및 상기 서브프레임을 관통하도록 상기 핀 헤드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체결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조립된 콕핏 모듈을 구성하는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에 탈착식 콕핏 모듈 클램핑 브래킷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탈착식 콕핏 모듈 클램핑 브래킷에 로봇 암을 삽입하고 이를 리프팅하여 상기 콕핏 모듈을 차체에 마운팅하는 단계; 및 상기 차체에 상기 콕핏 모듈을 결합한 후 상기 탈착식 콕핏 모듈 클램핑 브래킷을 탈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탈착식 콕핏 모듈 클램핑 브래킷은, 상기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콕핏 모듈의 리프팅 시 발생하는 하중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는 서브프레임; 및 상기 차체에 상기 콕핏 모듈을 결합시키기 위한 기준점을 제공하도록 상기 서브프레임의 배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콕핏 모듈의 조립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에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마련되는 가이드 핀이 슬라이딩 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면을 절개하여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프레임과, 메인프레임에 일체로 마련되는 서브프레임 및 가이드부를 통해, 차량의 불필요한 중량 증가를 방지하여 생산원가 절감 및 연비 개선을 도모할 수 있으면서도 재활용을 통해 반복 사용할 수 있는 탈착식 콕핏 모듈 클램핑 브래킷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콕핏 모듈을 리프팅하기 위해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에 리프팅용 브래킷을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종래기술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콕핏 모듈 클램핑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탈착식 콕핏 모듈 클램핑 브래킷이 결합되는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에 도 2의 탈착식 콕핏 모듈 클램핑 브래킷을 결합하는 원리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3의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에 결합된 도 2의 탈착식 콕핏 모듈 클램핑 브래킷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콕핏 모듈 클램핑 브래킷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탈착식 콕핏 모듈 클램핑 브래킷이 결합되는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에 도 2의 탈착식 콕핏 모듈 클램핑 브래킷을 결합하는 원리를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5는 도 3의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에 결합된 도 2의 탈착식 콕핏 모듈 클램핑 브래킷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콕핏 모듈 클램핑 브래킷(100, 이하 '클램핑 브래킷(100)'이라 함)은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2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프레임(110)과, 메인프레임(110)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는 서브프레임(120)과, 서브프레임(120)의 배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가이드부(130)를 포함한다.
메인프레임(110)은 차체에 콕핏 모듈을 결합하는 경우 로봇 암을 사용하여 콕핏 모듈을 리프팅할 수 있도록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200)의 측면에 결합되며, 차체 및 콕핏 모듈의 결합이 완료되면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200)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즉, 메인프레임(110)은 콕핏 모듈을 리프팅하여 차체에 조립하는 경우에만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200)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10)은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200)에 직접 체결되는 체결바디(111)와, 체결바디(111)의 일단부로부터 단차지게 연장되는 암 삽입부(115)와, 체결바디(111)의 타단부로부터 일정 각도 굽어지게 연장되는 형상변형부(117)를 포함한다.
체결바디(111)는 메인프레임(110)의 중앙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중앙부분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체결공(111a)과,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200) 측을 향해 배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가이드 핀(112, 113)을 포함한다.
볼트로 마련되는 체결수단(400, 도 4 참조)은 체결바디(111)의 체결공(111a)과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200)의 체결공(200a)을 관통하여 연장된 후 너트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메인프레임(110)이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2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체결수단(400)은 볼트 이외의 다른 것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가이드 핀(112, 113)은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200)에 체결바디(111)를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200) 측을 향해 체결바디(111)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핀 형상의 구성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가이드 핀(112, 113)은 체결공(111a)을 기준으로 하여 체결바디(111)의 상·하측에 각각 하나씩 총 두 개로 마련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 가이드 핀(112, 113)은 하나로만 혹은 세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200)에는 가이드 핀(112, 113)에 대응되는 개수의 가이드 공(200b, 200c)이 성형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가이드 핀(112, 113)을 가이드 공(200b, 200c)에 끼우는 것만으로 클램핑 브래킷(100)을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200)에 임시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즉, 가이드 핀(112, 113)에 의해 클램핑 브래킷(100)의 결합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암 삽입부(115)는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20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체결바디(11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구성이다. 암 삽입부(115)에는 한 쌍의 암 삽입공(115a, 115b)이 관통형성되며 이러한 암 삽입공(115a, 115b)을 따라서는 로봇 암이 삽입되어 콕핏 모듈을 리프팅하게 된다.
또한, 암 삽입부(11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바디(111)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마련되는데 이는 부재의 소모량을 줄이면서도 클램핑 브래킷(100) 전체의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형상변형부(117)는 체결바디(111)의 타단부로부터 일정 각도 굽어지게 연장되는 구성이다. 즉, 형상변형부(117)는 체결바디(111)를 그대로 연장하여 마련되는 것이 아니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바디(111)의 타단부로부터 일정 각도 굽어지게 마련됨으로써 클램핑 브래킷(100) 전체의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로봇 암을 사용하여 콕핏 모듈을 리프팅하게 되면 콕핏 모듈 자체의 하중에 의해 클램핑 브래킷(100)이 변형될 가능성이 있게 되는데, 클램핑 브래킷(100)의 변형은 콕핏 모듈의 조립성을 떨어뜨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클램핑 브래킷(100) 자체의 재활용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되므로 이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바디(111)에 일체로 마련되는 암 삽입부(115) 및 형상변형부(117)가 체결바디(111)로부터 그대로 연장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하게 변형된 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클램핑 브래킷(100) 전체의 강성을 높이게 되는 것이다.
한편, 서브프레임(120)은 메인프레임(110), 보다 정확하게는 메인프레임(110)의 형상변형부(117)의 일측 하단부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연장 절곡되는 구성이다. 물론, 서브프레임(120)은 형상변형부(117)의 일측 하단부가 아닌 서브프레임(120)의 일단부 전체에 걸려 마련될 수도 있으며 직각 방향이 아닌 소정 각도 굽어진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서브프레임(120)은 후술하는 가이드부(130)가 결합되기 위한 면적을 제공하는 한편, 전술한 암 삽입부(115) 및 형상변형부(117)와 마찬가지로 클램핑 브래킷(100)의 전체 형상에 일정한 변화를 가함으로써 클램핑 브래킷(100)의 강성을 높이게 된다.
한편, 가이드부(130)는 차체에 콕핏 모듈을 결합시키기 위한 기준점을 제공하도록 서브프레임(120)의 배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구성으로, 서브프레임(120)의 판면에 고정되는 핀 헤드(131)와, 서브프레임(120)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체결핀(133)을 포함한다.
핀 헤드(131)는 서브프레임(120)의 판면에 융착되어 일체로 고정되는 것이며, 체결핀(133)은 서브프레임(120)을 관통하도록 핀 헤드(131)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핀 형상의 구성이다.
차체에는 체결핀(133)이 삽입되는 홀을 갖는 바디 브래킷(미도시)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차체에 콕핏 모듈을 조립하는 경우 체결핀(133)을 바디 브래킷의 홀에 삽입함으로써 콕핏 모듈을 임시로 고정하여 결합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클램핑 브래킷(100)은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2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프레임(110)과, 메인프레임(110)에 일체로 마련되는 서브프레임(120) 및 가이드부(130)를 통해, 차량의 불필요한 중량 증가를 방지하여 생산원가 절감 및 연비 개선을 도모할 수 있으면서도 재활용을 통해 반복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클램핑 브래킷(100)을 사용하여 콕핏 모듈을 조립하는 방법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카울 크로스 바에 메인 페널(300)을 고정하고 각종 전장품들을 조립함으로써 콕핏 모듈을 완성한 후에는 카울 크로스 바의 양측에 각각 마련된 한 쌍의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200)에 한 쌍의 클램핑 브래킷(100)을 각각 결합한다.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200)에는 가이드 공(200b, 200c)이 미리 성형되어 있으므로 체결바디(111)의 가이드 핀(112, 113)을 각각 가이드 공(200b, 200c)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클램핑 브래킷(100)이 임시 고정될 수 있게 되며, 체결바디(111)의 체결공(111a) 및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200)을 관통하여 체결수단(400)을 삽입 고정함으로써 클램핑 브래킷(100)이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20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20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가이드 공(200b, 200c)이 아닌 슬라이딩 홈(200d, 200e)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슬라이딩 홈(200d, 200e)은 메인프레임(110)의 가이드 핀(112, 113)이 슬라이딩 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200)의 일측면을 절개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가이드 핀(112, 113)은 각각 슬라이딩 홈(200d, 200e)의 끝단에 접촉할 때까지 슬라이딩 홈(200d, 200e)의 개구된 전방으로부터 후방 측으로 미끄러지면서 삽입되어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200)에 체결바디(111)를 임시로 고정하게 된다.
슬라이딩 홈(200d, 200e)이 형성된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200)을 사용하게 되면 가이드 공(200b, 200c)의 위치를 찾아 가이드 핀(112, 113)을 끼울 필요가 없게 되므로 체결바디(111)를 좀더 간편하게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200)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클램핑 브래킷(100)이 고정되면 형상변형부(117)의 일단부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연장 절곡되는 서브프레임(120)은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200)의 측면 일부를 덮고 있는 메인 페널(300)로부터 돌출되며, 이에 따라 가이드부(130)의 체결핀(133)은 메인 페널(300)에 의해 간섭됨이 없이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콕핏 모듈의 조립을 완료한 후에는 로봇 암을 사용하여 이를 리프팅하게 되는데, 로봇 암에 마련된 한 쌍의 삽입구(미도시)는 각각 암 삽입부(115)에 형성된 암 삽입공(115a, 115b)에 삽입됨으로써 콕핏 모듈을 리프팅하게 된다.
리프팅된 콕핏 모듈은 계속하여 로봇 암에 의해 차체 측으로 이송되는데, 차체에는 가이드부(130)의 체결핀(133)이 삽입되는 홀을 갖는 바디 브래킷(미도시)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체결핀(133)을 바디 브래킷의 홀에 삽입함으로써 콕핏 모듈을 임시로 고정하는 것만으로 콕핏 모듈이 차체에 간편하게 마운팅될 수 있게 된다.
차체에 콕핏 모듈을 마운팅한 후에는 로봇 암을 원위치로 회귀시키고, 차체 및 콕핏 모듈을 결합한 후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200)을 차체의 양단부에 고정시킴으로써 콕핏 모듈이 차체에 고정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에 따라 콕핏 모듈의 고정이 완료되면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200) 및 클램핑 브래킷(100)를 고정하는 체결수단을 해체하고, 메인프레임(110)을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200)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클램핑 브래킷(100)을 탈거하게 된다. 탈거된 클램핑 브래킷(100)은 재활용이 될 수 있도록 별도의 수거함에 수거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클램핑 브래킷 110 : 메인프레임
111 : 체결바디 115 : 암 삽입부
117 : 형상변형부 120 : 서브프레임
130 : 가이드부 200 :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
300 : 메인 패널 400 : 체결수단

Claims (9)

  1. 차체에 콕핏 모듈을 결합하는 경우 로봇 암을 사용하여 상기 콕핏 모듈을 리프팅할 수 있도록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의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차체 및 상기 콕핏 모듈의 결합 완료 후에는 상기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콕핏 모듈의 리프팅 시 발생하는 하중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절곡되는 서브프레임; 및
    상기 차체에 상기 콕핏 모듈을 결합시키기 위한 기준점을 제공하도록 상기 서브프레임의 배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에 결합되는 체결바디;
    상기 체결바디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상기 체결바디의 일단부로부터 단차지게 연장되는 암 삽입부; 및
    상기 콕핏 모듈의 리프팅 시 발생하는 하중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체결바디의 타단부로부터 일정 각도 굽어지게 연장되는 형상변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바디는,
    상기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에 상기 체결바디를 간편하게 결합하기 위해 상기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에 형성된 가이드 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체결바디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콕핏 모듈 클램핑 브래킷.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바디에는,
    상기 카울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 및 상기 체결바디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수단이 관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콕핏 모듈 클램핑 브래킷.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 삽입부에는, 상기 로봇 암이 삽입되어 상기 콕핏 모듈을 리프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콕핏 모듈 클램핑 브래킷.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형상변형부의 일측 하단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직각 방향으로 연장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콕핏 모듈 클램핑 브래킷.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서브프레임의 일측에 일체로 고정되는 핀 헤드; 및
    상기 서브프레임을 관통하도록 상기 핀 헤드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체결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콕핏 모듈 클램핑 브래킷.
  8. 삭제
  9. 삭제
KR20100121996A 2010-12-02 2010-12-02 탈착식 콕핏 모듈 클램핑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콕핏 모듈의 조립방법 KR101222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21996A KR101222475B1 (ko) 2010-12-02 2010-12-02 탈착식 콕핏 모듈 클램핑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콕핏 모듈의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21996A KR101222475B1 (ko) 2010-12-02 2010-12-02 탈착식 콕핏 모듈 클램핑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콕핏 모듈의 조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474A KR20120060474A (ko) 2012-06-12
KR101222475B1 true KR101222475B1 (ko) 2013-01-15

Family

ID=46611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21996A KR101222475B1 (ko) 2010-12-02 2010-12-02 탈착식 콕핏 모듈 클램핑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콕핏 모듈의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24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32931B (zh) * 2017-11-06 2019-06-25 吉利汽车研究院(宁波)有限公司 一种轻便的调整线车门装配定位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2175A (ko) * 2007-12-12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칵핏 모듈 투입용 가이드 구조
KR20090062140A (ko) * 2007-12-12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크래쉬패드모듈 지그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2175A (ko) * 2007-12-12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칵핏 모듈 투입용 가이드 구조
KR20090062140A (ko) * 2007-12-12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크래쉬패드모듈 지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474A (ko) 201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09153B2 (ja) フロントエンドパネル
JP5915258B2 (ja) バンパー取付構造
JP4078656B1 (ja) 車体の補強構造
JP2010100226A (ja) バックドア
KR101361372B1 (ko) 자동차용 펜더패널 조립 장치
KR101222475B1 (ko) 탈착식 콕핏 모듈 클램핑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콕핏 모듈의 조립방법
JP5609495B2 (ja) 車両用電池搭載構造
CN103847867A (zh) 自动两轮车
CN208698902U (zh) 一种汽车中滑门门槛安装结构
KR101210105B1 (ko) 카울 사이드부 결합 구조
JP5521767B2 (ja) ドアトリム
JP3221091U (ja) フレーム補強プレート
EP3927598B1 (en) Multi-piece rear trunk lid
CN215706673U (zh) 一种车辆机舱装饰件结构及汽车
CN211731527U (zh) 方向盘及具有其的车辆
JP2006001471A (ja) 自動二輪車および車両カバー取付方法
KR101360928B1 (ko) 차량용 배터리의 장착 보강구조 및 이의 설치방법
JP6666397B2 (ja) 車両用バンパービーム
KR101131269B1 (ko) 자동차의 내장재 결합 구조
JP5787074B2 (ja) 車体後部構造
JP2006001293A (ja) 電動車両
KR102451911B1 (ko) 차량의 리어 플로어 패널
CN206141634U (zh) 一种新型汽车翼子板结构
CN206358232U (zh) 汽车地板总成
KR101125403B1 (ko) 차량의 휀더 판넬 마운팅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