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3486B1 - 자동 배변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배변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3486B1
KR101633486B1 KR1020140077977A KR20140077977A KR101633486B1 KR 101633486 B1 KR101633486 B1 KR 101633486B1 KR 1020140077977 A KR1020140077977 A KR 1020140077977A KR 20140077977 A KR20140077977 A KR 20140077977A KR 101633486 B1 KR101633486 B1 KR 101633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up
suction
nozzle
cu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655A (ko
Inventor
이준우
이은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젤윙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젤윙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젤윙즈
Publication of KR20150001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6Bidets without upward spray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61F5/4405Valves or valv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luid inlets or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1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having venting or deodorant means, e.g. filters ; having antiseptic means, e.g. bacterial 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2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having irrigation ports 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61F5/453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other discharge from mal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61F5/455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discharge from femal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4Suction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7Suction-irriga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9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 A61M3/0283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with at least two inner passageways, a first one for irrigating and a second for evacu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6Enemata; Irrigators combined with bid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61M1/85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with gas or fluid supply means, e.g. for supplying rinsing fluids or anticoag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02Enemata; Irrigators with electronic control means or interface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배변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배설기관이 위치된 부분에 착용되며 소변이 흡입되는 공간(11)과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13)이 구분되어 형성되는 컵 유닛(10)과, 상기 컵 유닛(10)과 연결되며 상기 컵 유닛(10)으로 배설된 배설물을 흡입하여 저장하도록 된 배변 처리 본체(60)와, 상기 컵 유닛(10)에 구비되고 상기 배변 처리 본체(60)와 연결되며 배설물을 감지하는 센서부, 세정 기능을 수행하는 세정 노즐부(21), 배설물을 흡입하는 흡입 노즐부(49), 건조 기능을 수행하는 건조 노즐부(3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착용감이 우수하고 배설물의 정확한 감지로 청결한 배변 처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 배변 처리장치{AUTOMATIC TOILETING AID SYSTEM}
본 발명은 자동 배변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청결하고 편안한 배변 처리가 가능한 자동 배변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2013년 06월 26일 출원된 한국특허출원 제10-2013-0073810호와 2013년 09월 03일 출원된 PCT출원 PCT/KR2013/007938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최근 고령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노인 인구의 급증과 함께 요양을 필요로 하는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요양을 필요로 하는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 자신의 신체를 스스로 제어하지 못함으로 인해 주변인에게 도움을 받아야 하며, 또 화장실 가기가 어렵기 때문에 기저귀를 착용하고 배설시에는 보호자나 간병인이 배설물을 처리해야만 한다.
그런데, 기저귀를 착용하면 배변을 볼 때마다 교체하는 번거로움과 바로 샤워를 하지 못할 경우 청결하지 못함에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또한, 배설물의 처리는 부끄러움과 수치심을 느낄 수 있는 민감한 사항이므로 환자는 물론 보호자에게도 정신적, 신체적, 경제적 고통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은 국내 등록특허 제10-0829525호(등록일:2008년 5월 7일, 명칭:자동 배변 처리장치)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감이 우수하고 착용 후 움직임이 가능하며 바른 자세뿐 아니라 옆으로 돌아누운 자세에서도 편안한 배변 처리가 가능한 자동 배변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변 후 배설물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배설물의 흡입, 세정, 비데 기능이 자동으로 수행되어 사용자의 청결한 배변 처리가 가능하고, 소음이 적으며, 배설물이 역류하거나 새지 않으며, 배설물의 냄새도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자동 배변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컵 유닛과 배변 처리 본체, 컵 유닛과 배변 처리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관의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고, 컵 유닛으로 배설물의 냄새가 역류하지 않으며, 사용자의 다양한 체형에 적용할 수 있는 자동 배변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배설기관이 위치된 부분에 착용되며 소변이 흡입되는 공간과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이 구분되어 형성되는 컵 유닛과, 상기 컵 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컵 유닛으로 배설된 배설물을 흡입하여 저장하도록 된 배변 처리 본체와, 상기 컵 유닛에 구비되고 상기 배변 처리 본체와 연결되며 배설물을 감지하는 센서부, 세정 기능을 수행하는 세정 노즐부, 배설물을 흡입하는 흡입 노즐부, 건조 기능을 수행하는 건조 노즐부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배설시 상기 배설물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세정, 흡입, 비데, 건조가 진행된다.
본 발명의 컵 유닛은 주름부를 구비하여 다양한 체형에 적합하도록 구성하고, 컵 유닛 본체는 ABS 소재로 형성하되 사용자의 둔부와 접촉되는 부분은 실리콘 소재로 감싸 형성함으로써 착용시 눌러지는 압력을 분산시키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사용자의 배설기관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배설물이 세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착용감이 우수하고 사용자의 욕창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누르는 압력에도 컵 유닛의 변형이 방지되어 센서부의 감지력이 증대됨으로써 배설물의 청결한 처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컵 유닛은 전기센서를 가장자리에 배열함으로써 사용자가 옆으로 돌아누운 자세에서도 소변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고, 컵 유닛의 내부 형상을 좁고 흡입이 원활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변시 항문 노즐부가 앞, 뒤에서 작용하여 항문의 세정력을 높이고, 세척 세정노즐이 대변을 흡입 노즐부 방향으로 강하게 밀어내므로 대변 의 깨끗한 처리와 함께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을 항상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설물을 이송하는 흡입 노즐부가 연결관 내에서 단독으로 배변 처리 본체와 연결되고, 세정 노즐부, 건조 노즐부, 센서부가 커플링으로 함께 배변 처리 본체에 연결된다. 따라서 컵 유닛과 연결관, 연결관과 배변 처리 본체의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고 세정, 이동, 보관도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변시 배설물의 흡입, 세정, 세척, 건조가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여러 단계로 나누어진 수압과 건조온도 조절, 세정온도 조절로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사용이 가능하므로 청결한 배변 처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배변 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 유닛의 전면부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 유닛의 내부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컵 유닛에 밀착부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 유닛의 후면부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변 처리 본체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변 처리 본체에 흡입조 및 세정수 저장조가 배치되는 위치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조의 상부면(a), (a)를 A-A' 방향으로 본 도면(b), (a)를 B 방향에서 보인 도면(c).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를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배변 처리장치의 작동원리를 보인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유닛의 후면부를 보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변 처리 본체의 후면부를 보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배변 처리장치의 작동원리를 보인 구성도.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유닛을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자동 배변 처리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배설기관이 위치된 부분에 착용되며 소변이 흡입되는 공간(11)과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13)이 구분되어 형성되는 컵 유닛(10)과, 컵 유닛(10)과 연결되며 컵 유닛(10)으로 배설된 배설물을 흡입하여 저장하도록 된 배변 처리 본체(6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컵 유닛(10)에 구비되고 배변 처리 본체(60)와 연결되며 배설물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세정 기능을 수행하는 세정 노즐부(21)와, 배설물을 흡입하는 흡입 노즐부(49)와, 건조 기능을 수행하는 건조 노즐부(31)를 포함한다. 그리고, 컵 유닛(10)에 사용자가 배설시 배설물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세정, 흡입, 비데, 건조가 진행된다.
컵 유닛(10)은 사용자의 배설기관이 위치된 부분에 착용된다. 컵 유닛(10)은 사용자의 배변 후 배설물의 흡입과 동시에 배설기관의 세정 기능을 수행하여 청결한 배변 처리를 수행한다. 즉, 컵 유닛(10)은 사용자가 배뇨와 배변을 수행하면 배뇨와 배변에 의한 배설물의 흡입이 수행되고 배설기관의 세정과 건조 기능이 수행되는 곳이다.
배설기관은 소변이 배출되는 생식기측과 대변이 배출되는 항문측을 의미하며, 사용자는 요양을 필요로 하는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 노인 등을 의미한다. 배설물은 사용자의 배뇨와 배변을 포함한다.
컵 유닛(10)은 소변이 흡입되는 공간(11)이 형성되는 상부컵(A)과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13)이 형성되는 하부컵(B)으로 구분된다.
컵 유닛(10)은 전면부가 'C' 형태로 곡선을 이루고, 상부컵(A)이 하부컵(B)에 대하여 젖혀지도록 후면부에 주름부(15)가 형성된다. 컵 유닛(10)은 전면부를 사용자의 배설기관이 위치된 부분에 대응시켜 착용한다.
주름부(15)는 상부컵(A)이 하부컵(B)에 대하여 90°까지 젖혀지도록 한다. 주름부(15)는 컵 유닛(10)의 상부를 유연하게 젖혀 컵 유닛(10)의 착용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주름부(15)는 컵 유닛(10)이 사용자의 배설기관에 착용되면 복원력으로 전면부를 사용자의 배설기관이 위치되는 부분에 밀착시킨다.
주름부(15)는 동양인, 서양인 등의 다양한 체중(신체조건)에 적합하도록 최대한 많이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0kg~70kg 체중을 갖는 일반 체형의 경우 5~6겹의 주름부를 형성하여 제작할 수 있다.
소변이 흡입되는 공간(11)과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13)은 칸막이(17)가 구분한다. 칸막이(17)에는 소변이 흡입되는 공간(11)과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13)을 연통시키는 연통공(19)이 형성된다. 연통공(19)은 소변이 흡입되는 공간(11)으로 배출된 소변이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13)을 통해 흡입 노즐부(49)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한다.
소변이 흡입되는 공간(11)과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13)을 칸막이(17)로 구분하면 배변시 사용자의 생식기 부위에 대변이 혼입되어 발생할 수 있는 2차 감염 등의 질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칸막이(17)는 남성 사용자의 경우 배설물을 흡입하는 흡인력에 의해 생식기 부위가 흡입 노즐부(49)로 빨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유닛(10)에 사용자의 배설기관을 세정하는 세정 노즐부(21)가 구비된다. 세정 노즐부(21)는 남성용 세정노즐(23), 여성용 세정노즐(25), 항문 세정노즐(27,28), 세척 세정노즐(29)을 포함한다.
남성용 세정노즐(23)은 소변이 흡입되는 공간(11)으로 단부가 노출되며 남성 사용자의 생식기 부위를 세정한다. 남성용 세정노즐(23)은 안에서 밖으로 세정수를 분사하는 형태를 채용한다.
여성용 세정노즐(25)은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13)으로 단부가 노출되며 여성 사용자의 생식기 부위를 세정한다. 여성의 경우, 생식기 부위와 항문 부위가 근접하게 위치되어 있으므로 여성용 세정노즐(25)의 단부가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으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변이 흡입되는 공간(11)과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13)의 비율을 조절하는 경우에는 여성용 세정노즐(25)의 단부가 소변이 흡입되는 공간(11)으로 노출되게 설계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컵 유닛(10)이 남성, 여성 공용이므로 컵 유닛(10)에 남성용 세정노즐(23)과 여성용 세정노즐(25)이 모두 구비된다. 그러나, 컵 유닛(10)을 남성용, 여성용으로 구분하여 제작하는 경우, 남성용 컵 유닛에는 남성용 세정노즐(23)이 여성용 컵 유닛에는 여성용 세정노즐(25)이 구비된다.
여성용 세정노즐(25)은 비데 기능을 위한 것이므로 상부에서 하부로 세정수를 떨어뜨리는 형태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문 세정노즐(27,28)은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13)으로 단부가 노출되며 사용자의 항문 부위를 앞,뒤에서 세정한다.
항문 세정노즐(27,28)은 컵 유닛(10)의 후면에서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13)으로 단부가 노출되는 1개와 컵 유닛(10)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13)으로 단부가 노출되는 1개가 구비된다. 이 두 항문 세정노즐(27,28)은 배변 직후 항문 세정을 앞쪽과 뒤쪽에서 동시에 진행하여 항문 세정력을 증진시킨다.
항문 세정노즐(27,28)은 항문의 세정이 용이하도록 안에서 밖으로 세정수를 분사하는 형태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남성용 세정노즐(23), 여성용 세정노즐(25), 항문 세정노즐(27)은 설정 범위에서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남성용 세정노즐(23) 및 여성용 세정노즐(25)은 약 2°, 항문 세정노즐(27,28)은 약 5°범위에서 각도 조절 가능한 것을 일 예로 할 수 있다.
또한, 남성용 세정노즐(23), 여성용 세정노즐(25), 항문 세정노즐(27)은 소정 범위에서 전후 이동 가능하다. 남성용 세정노즐(23), 여성용 세정노즐(25), 항문 세정노즐(27)의 전후 이동은 아래에서 설명할 사용자의 디스플레이부 조작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세척 세정노즐(29)은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13)의 바닥면을 향하여 세정수를 분사하여 배설물을 흡입 노즐부(49) 방향으로 밀어준다. 세척 세정노즐(29)은 컵 유닛(10)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단부가 흡입 노즐부(49)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개구된다. 세척 세정노즐(29)은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13)의 바닥면을 향하여 세정수를 분사하여 대변이 흡입 노즐부(49)로 쉽게 흡입되고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13)이 깨끗하게 세척되도록 한다.
세척 세정노즐(29)은 남성용 세정노즐(23), 여성용 세정노즐(25), 항문 세정노즐(27,28)과 달리 보조펌프(105)가 작동하여 세정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보조펌프(105)는 하나 이상의 세정노즐(23,25,27)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워터펌프(95)와 달리 세척 세정노즐(29) 하나에만 세정수를 공급하므로 동일한 용량에서도 세척 세정노즐(29)에서 분사되는 세정수의 수압을 높여 배설물을 흡입 노즐부(49) 방향으로 쉽게 밀어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세정 노즐부(21)는 남성용 세정노즐(23) 1개, 여성용 세정노즐(25) 1개, 항문 세정노즐(27,28) 2개, 세척 세정노즐(29) 1개로 총 5개를 구비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컵 유닛(10)의 청결한 관리를 위해 5개 이상 구비할 수도 있다.
흡입 노즐부(49)는 컵 유닛(10)에 형성한 배출통로(47)에 연결된다. 배출통로(47)는 컵 유닛(10)의 후면에 형성되며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13)과 연통된다. 흡입 노즐부(49)는 배설물을 흡입하여 배변 처리 본체(60)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건조 노즐부(31)는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13)으로 노출되며 배설기관을 건조하기 위한 공기(바람)가 분사된다.
건조 노즐부(31)를 통해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13)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컵 유닛(10)의 후면으로 유입시키고, 세척 세정노즐(29)을 통해 다시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13)으로 분사되게 할 수 있다. 세척 세정노즐(29)에서 세정수가 공기와 함께 분사되면 세정수의 수압이 높아져 배설물의 세척력이 증대된다.
컵 유닛(10)은 ABS 소재로 되고, 사용자와 접촉되는 부위를 실리콘 소재로 감싸 형성한다.
컵 유닛(10)을 ABS 소재로 사용하면 사용자의 컵 유닛(10) 착용시 눌림으로 인한 센서부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컵 유닛(10)을 실리콘 소재로 형성하면 유동성과 점착성이 있어 착용감은 좋으나 실리콘 소재의 눌림에 의한 변형으로 인해 센서부의 오동작이 발생한다. 따라서, 컵 유닛(10)은 ABS 소재로 제작하여 센서부의 감지력을 증대시키고 컵 유닛(10)에서 사용자와 접촉되는 부위는 실리콘 소재로 감싸 형성함으로써 착용감을 증대시킨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유닛(10)에 사용자의 배설기관 중 항문이 위치된 둔부와 밀착되는 실리콘 소재의 밀착부(33)를 구비한다.
밀착부(33)는 컵 유닛(10)에 형성한 요입슬릿(35)에 삽입되는 삽입돌기(37)를 구비하여 컵 유닛(10)의 요입슬릿(35)에 밀착부(33)의 삽입돌기(37)가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밀착부(33)는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13)의 입구 테두리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둔부가 밀착되면서도 눌러지는 압력을 분산시켜 편안한 착용감을 가지도록 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요입슬릿(35)과 삽입돌기(37) 사이에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탄성부재는 사용자의 둔부가 밀착되는 부분이 탄성을 가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둔부가 컵 유닛(10)에 더 밀착 지지되게 할 수 있다. 탄성부재는 일반적인 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컵 유닛(10)이 밀착부(33)에 대해 상,하,좌,우 방향으로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유동 가능하게 하므로 사용자의 자세 변경시에도 컵 유닛(10)이 사용자에 착용된 상태가 유지되게 한다.
밀착부(33)는 사용자의 둔부 사이즈에 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크기가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13)의 입구를 좁히도록 형성된 제1밀착부(33a)를 컵 유닛(10)에 결합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13)의 입구를 최대한 넓히도록 형성된 제2밀착부(33b)를 컵 유닛(10)에 결합하는 것을 일 예로 할 수 있다. 제1밀착부(33a) 및 제2밀착부(33b)는 사용자의 둔부 사이즈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컵 유닛(10)에 센서부가 구비된다. 센서부는 착용감지센서(39), 전기센서(41), 광센서(43)를 포함한다.
착용감지센서(39)는 컵 유닛(10)에 설치되어 컵 유닛(10)에 사용자의 둔부가 밀착되었는지 유무를 감지한다. 착용감지센서(39)는 사용자의 둔부가 밀착부(33)에 밀착된 경우에만 세정수가 컵 유닛(10)으로 공급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착용감지센서(39)는 압력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착용감지센서(39)는 컵 유닛(10)에서 밀착부(33)가 결합되는 부분에 구비될 수도 있고, 아래에서 설명될 흡입수단(97)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유닛(10)의 요입슬릿(35)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전기센서(41)는 컵 유닛(10)의 바닥면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소변 및 대변을 감지한다. 전기센서(41)는 소변과 대변에 따라 선택적으로 흡입, 세정, 비데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전기센서(41)는 저항을 흐르게 해서 저항값에 따라 사용자가 컵 유닛에 배설한 것이 소변인지 대변인지를 감지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센서(41)는 상부컵(A)과 하부컵(B)에 각각 구비되어 소변이 흡입되는 공간(11)과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13)에 배설된 배설물이 소변인지 대변인지 유무를 감지하게 된다.
전기센서(41)는 컵 유닛(10)의 바닥면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컵 유닛(10)의 바닥면 가장자리를 따라 전기센서(41)를 복수 개 설치하면 사용자가 누워 있는 경우에도 소변을 감지할 수 있고 컵 유닛(10)의 내부 형상을 좁고 흡입이 원활하게 형성할 수 있다. 컵 유닛(10) 내부 형상을 좁게 형성하면 컵 유닛(10)의 폭을 작게 구성할 수 있어 착용감이 좋아진다.
광센서(43)는 컵 유닛(1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대변을 감지한다. 광센서(43)는 밀폐형으로 제작된 PCB와 일체형이 되게 컵의 바닥면에 위치시킴으로써 대변의 감지력을 증대시킴이 바람직하다.
전기센서(41)를 이용하여 배설물이 대변인지 소변인지 유무를 판단할 수 있으나 전기센서(41)는 소변인식에 더 적합하므로 가끔 오류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대변의 더 정확한 판단을 위해 광센서가 구비된다. 광센서(43)는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13)으로 빛을 조사하여 대변의 움직임이나 온도를 감지함으로써 대변 유무를 감지한다.
컵 유닛(10)에 소변이 흡입되는 공간(11)과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13)의 진공을 방지하는 공기구멍(45)이 형성된다. 공기구멍(45)은 컵 유닛(10)의 후단을 통해서 공기를 유입하고 측면으로 공기유로를 형성한다. 공기구멍(45)은 사용자의 둔부가 밀착부(33)에 밀착되더라도 대변을 흡입하기 위한 공기 압력으로 인해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13)이 진공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한다.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13)이 진공상태가 되면 대변을 흡입하기 위한 공기 압력으로 인해 탈장이 발생할 수 있다. 공기구멍(45)은 대변의 흡입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컵 유닛(10)에 작은 크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13)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배출구멍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공기배출구멍은 컵 유닛(10)의 배출통로(47)를 향하여 개구되게 형성되어 배설물의 흡입시 배설물을 흡입 노즐부(49) 방향으로 밀어주어 흡입 노즐부(49)를 통한 배설물의 흡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공기배출구멍은 배설물의 흡입을 위한 공기 압력으로 인해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분사시키는 것을 원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컵 유닛(10)의 후단부로 개구되는 공기유입구멍을 형성하고, 밀착부(33)가 결합되는 요입슬릿(35)의 빈공간을 통해 공기유입구멍과 연통되게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13)으로 개구되는 공기배출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일 예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유입구멍으로 유입된 외부의 공기가 요입슬릿(35)의 빈공간을 통과하여 공기배출구멍으로 모아져 배출되고 흡입 노즐부(49)로 흡입됨으로써 배설물을 흡입 노즐부(49) 방향으로 밀어주는 힘을 커지게 할 수 있다.
또는, 후술할 흡입모터(99)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노즐을 통해 컵 유닛(10)의 후면부으로 유입시키고 세척 세정노즐(29)에서 분사되게 할 수도 있다.
또는, 공기배출구멍 대신 건조 노즐부(31)를 통해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13)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컵 유닛(10)의 후면으로 유입시키고, 세척 세정노즐(29)을 통해 다시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13)으로 분사되게 하여 세정수가 배설물을 흡입 노즐부(49) 방향으로 밀어주는 힘을 커지게 한다.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유닛(10)은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13)과 연통되는 배출통로(47)가 형성되고, 배출통로(47)에 배설물을 흡입하여 배변 처리 본체(60)로 보내기 위한 흡입 노즐부(49)가 연결된다.
흡입 노즐부(49)는 각종 노즐 및 전선들과 함께 연결관(50)에 의해 감싸져 배변 처리 본체(60)에 연결된다. 여기서, 각종 노즐은 세정 노즐부(21)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노즐, 건조 노즐부(31)로 바람을 공급하는 노즐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전선은 컵 유닛(10)의 작동을 위해 컵 유닛(10)과 배변 처리 본체(6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들이 포함될 수 있다.
컵 유닛(10)의 후면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세정수 공급을 위한 각종 노즐, 건조용 바람을 공급하는 노즐 등이 연결되므로 보호커버(53)를 설치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한다.
다른 실시예로, 도 2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유닛(10)은 배변 처리 본체(60)와 연결관(50)으로 연결되고, 연결관(50) 내에서 흡입 노즐부(49)는 배변 처리 본체(60)와 단독으로 접속되고, 세정 노즐부(21), 건조 노즐부(31), 센서부는 함께 구성된 커플링부(48)로 배변 처리 본체(60)에 접속되어 컵 유닛(10)과 연결관(50), 연결관(50)과 배변 처리 본체(60)의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도록 한다.
컵 유닛(10)과 연결관(50), 연결관(50)과 배변 처리 본체(60)의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면 컵 유닛(10)과 세정 노즐부(21), 건조 노즐부(31), 흡입 노즐부(49) 등의 세척 및 이동, 보관이 용이하다.
흡입 노즐부(49)에는 컵 유닛(10)에 배설물이 감지되면 개방되는 자동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자동밸브는 흡입조(75)의 냄새가 흡입 노즐부(49)를 통해 컵 유닛(10)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자동밸브는 배변 처리 본체(60)와 근접한 위치에 해당하는 흡입 노즐부(49)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컵 유닛(10)은 와상 환자의 경우 자세 변환이 용이하도록 바닥 형상을 둥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컵 유닛(10)의 바닥면에 컵 유닛(10)의 지지를 위한 받침대(51)가 구비된다. 컵 유닛(10)은 청소가 용이하도록 받침대(51)에서 분리 가능하다. 받침대(51)는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컵 유닛(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컵 유닛(10)은 사용자의 신체조건을 고려하여 폭을 14~17㎝ 범위로 설계하고, 높이를 15~25㎝ 범위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대(51)의 길이는 15~28㎝로 설계하며 컵 유닛(10)의 전면부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은 점차적으로 두께를 얇게하여 컵 유닛(10)의 바닥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컵 유닛(10)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자외선 램프부재는 컵 유닛의 소독 기능과 악취 제거 기능을 위한 것이다. 자외선 램프부재는 컵 유닛과 별도의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배변 처리 본체(60)는 배변의 보관 및 청결한 처리를 위한 것이다.
배변 처리 본체(60)는 컵 유닛(10)과 연결되어 세정 노즐부(21)로 세정수를 공급하며, 소변이 흡입되는 공간(11)과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13)의 배설물을 세정수과 함께 흡입하여 저장한다. 배변 처리 본체(60)는 컵 유닛(10)과 상호 작용하여 사용자의 청결한 배변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변 처리 본체(60)는 외관을 케이스가 형성한다. 케이스(61)의 내부에 흡입조(75), 세정수 저장조(93)를 구비한다. 케이스(61)는 상부에 힌지결합된 상부커버(73)가 개방됨에 의해 내부가 개구되는 구조이다.
케이스(61)와 상부커버(73)는 흡입조(75), 세정수 저장조(93) 등을 내부에 컴팩트하게 배치하여 배변 처리 본체(6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한다. 케이스(61)는 흡입조가 배치되는 공간(63), 저장조가 배치되는 공간(65), 흡입수단이 배치되는 공간(67)이 구분되어 있다.
흡입조(75)는 케이스(61)의 내부에 형성된 흡입조(75)가 배치되는 공간(63)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흡입조(75)는 컵 유닛(10)과 흡입 노즐부(49)를 통해 연결되며, 세정수와 함께 흡입된 배설물이 저장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조(75)가 배치되는 공간(63)에 흡입 노즐부(49)와 연결되게 배설물회수구(69)가 배치되고, 흡입조(75)에 배설물회수구(69)와 대응되는 배설물유입구(79)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흡입조(75)가 배치되는 공간에 흡입조(75)가 삽입되면 흡입조(75)에 형성된 배설물유입구(79)와 배설물회수구(69)가 연통되어 배설물이 흡입조(75)에 저장된다. 이때, 배설물회수구(69)와 배설물유입구(79) 중 적어도 하나에는 실링부재(도시하지 않음)를 배치하여 연통되는 부분의 기밀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컵 유닛(10)과 연결된 연결관(50)의 단부는 배변 처리 본체(60)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며, 연결관(50)의 단부에는 흡입 노즐부(49)가 돌출되어 배변 처리 본체(60)의 배설물회수구(69) 부분과 연결될 수 있도록 된다.
다른 예로, 흡입조가 배치되는 공간(63)에 흡입조(75)가 삽입되면 흡입조(75)에 형성된 배설물유입구(79)를 통해 배설물회수구(69)가 흡입조(75) 내부로 위치되어 배설물이 흡입조(75)에 저장될 수도 있다.
흡입조(75)와 케이스(61)에 흡입조(75)의 케이스(61) 장착 여부 및 흡입조(75)에 저장된 배설물의 풀(full) 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 비접촉센서(71a,71b)가 구비될 수 있다. 배설물의 풀(full) 여부는 흡입조(75)의 내부에 저장된 배설물이 설정량 이상인지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체크할 수 있다.
배설물이 보관되는 흡입조(75)의 특성상 내부에 배설물의 양을 감지할 수 있는 전자기기들을 설치할 수 없다. 따라서 흡입조(75)와 케이스(61)의 대응되는 위치에 비접촉센서(71a,71b)를 부착하여 배설물의 풀(full) 여부를 체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접촉센서(71a,71b)는 흡입조(75)와 케이스(61)에 복수로 부착할 수 있으며, 종류는 예를 들어 마그네틱 비접촉센서를 채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조(75)의 케이스(61) 장착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흡입조(75)의 바닥면 및 대응되는 케이스(61)의 내면에 비접촉센서(71a,71b)를 부착하였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조(75)는 세정수와 함께 흡입된 배설물이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하여 흡입조(75) 내의 공간부(77)에 저장된다. 공간부(77)에 세정수와 함께 저장된 배설물은 배설물유입구(79)가 상부에 위치하므로 배설물의 냄새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배설물이 역류하는 것도 방지된다.
흡입조(75)에 공간부(77)를 2부분으로 구획하는 격벽부(83)가 구비된다. 격벽부(83)는 흡입조(75)의 내벽에 형성된 홈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착탈이 용이할 수 있다. 격벽부(83)에 의해 구획된 흡입조(75)의 다른 공간부는 공기배출관(85)가 구비되어 배설물의 부패로 인해 팽창된 공기의 배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공기배출관(85)은 격벽부(83)에 의해 구획된 다른 공간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공기배출관(85)은 배변 처리 본체(60)에 구비되는 탈취필터(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어 공기배출관(85)을 통해 배출된 공기가 탈취필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취필터는 숯, 활성탄, 백금, 항균, 부직포 등을 적용한 다단계 탈취필터로 배설물의 냄새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흡입조 내의 배설물을 살균하기 위한 UV-램프와 광촉매가 설치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조(75)는 공간부(77)를 차폐하는 메인커버(87)를 구비한다. 메인커버(87)에는 공간부(77)를 개폐하는 보조커버(8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조커버(89)는 압입식으로 닫히는 구조로 되어 임의 개폐가 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입조(75)는 운반이 용이하고 케이스(61)에 장착하기도 용이하도록 손잡이(9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정수 저장조(93)는 케이스(61)의 저장조가 배치되는 공간(65)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세정수 저장조(93)는 내부에 세정수가 저장되는 저수공간(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되며, 일측에 저수공간에 저장된 세정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된다. 세정수 저장조(93)에는 세정수의 잔량 확인을 위한 잔량확인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잔량확인센서도 비접촉센서를 채용할 수 있다.
케이스(61)의 내부에 워터펌프(95)와 흡입수단(97)이 더 구비된다.
워터펌프(95)는 세정수 저장조(93)의 세정수를 세정 노즐부(21)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워터펌프(95)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어부(107)의 지시를 받아 세정수 저장조(93)의 세정수를 세정 노즐부(21)로 공급한다.
흡입수단(97)은 배설물의 흡입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흡입수단(97)은 제어부의 지시를 받아 배설물의 흡입을 수행한다. 흡입수단(97)은 흡입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수단(97)은 흡입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팬 및 공기 흡입을 위한 기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61)의 내부에 순간히터(101)와 공급량조절부(103)가 더 구비된다.
순간히터(101)는 세정수 저장조(93)의 세정수를 세정 노즐부(21)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세정수를 순간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순간히터(101)가 작동하여 세정수가 온수로 공급된다.
공급량조절부(103)는 세정 노즐부(21) 및 세척노즐(29)로 공급되는 세정수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세정수의 양 조절로 세정수의 공급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공급량조절부(103)는 솔레노이드밸브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공급량조절부(103)는 워터펌프(95)와 아래에서 설명될 보조펌프(105)측에 각각 구비된다.
케이스(61)의 내부에 보조펌프(10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조펌프(105)는 세척노즐(29)에 세정수 저장조(93)의 세정수를 높은 압력으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워터펌프(95), 흡입모터(99), 순간히터(101), 보조펌프(105) 등은 케이스(61)의 하부에 공간을 마련하여 배치하고, 흡입조(75), 세정수 저장조(93) 등과 연계되어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컵 유닛(10)에 배설물이 감지되면 세정수 공급과 배설물의 흡입을 지시하기 위한 제어부(107)가 구비된다. 제어부(107)는 컵 유닛(10) 또는 배변 처리 본체(60)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7)는 PCB 기판 형태로 제작하여 컵 유닛(10)의 바닥면에 배치하는 것을 일 예로 할 수 있다.
제어부(107)는 착용감지센서(39)의 신호를 감지하는 경우에만 세정수의 공급과 배설물의 흡입을 지시한다.
또한, 제어부(107)는 착용감지센서(39)의 신호를 감지하더라도 비접촉센서(71a,71b)의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케이스(61)에 흡입조(75)가 장착되었는지 유무와 흡입조(75)에 저장된 배설물이 풀(Full) 되었는지(가득찼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세정수의 공급과 배설물의 흡입을 지시한다.
또한, 제어부(107)는 착용감지센서(39)에 신호를 감지하더라도 잔량확인센서(도시하지 않음)의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세정수 저장조(93)에 저장된 세정수의 양이 설정량 이상이라고 판단하면 세정수의 공급을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7)는 착용감지센서(39), 전기센서(41), 광센서(43), 비접촉센서(71a,71b)의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사용자의 둔부가 밀착부(33)에 밀착되었는지 유무, 케이스(61)에 흡입조(75)가 장착되었는지 유무, 흡입조(75)에 저장된 배설물이 풀 되었는지 여부, 세정수 저장조(93)에 저장된 세정수의 양이 설정량 이상인지 유무를 판단하여 세정수의 공급과 배설물의 흡입을 지시한다.
제어부(107)는 세정수의 공급과 배설물의 흡입을 지시한 후, 세정수의 공급과 배설물의 흡입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건조 노즐부(31)로 건조를 위한 바람을 공급할 수 있다. 건조를 위한 바람은 팬(FAN)(106)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건조 노즐부(31)로 공급하는 방식일 수 있다. 이외에도 공기 흡입을 위한 별도의 기기를 구비하여 건조 노즐부(31)에 건조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07)는 아래에서 설명할 디스플레이부(109)에 입력된 정보를 제공받아 세정, 흡입, 건조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어부(107)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부(109)에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9)는 컵 유닛(10) 및 배변 처리 본체(60)의 작동을 조작하고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9)에는 컵 유닛(10)과 배변 처리 본체(60)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이 구비된다.
조작버튼은 전원버튼(a), 상하조절버튼(b), 세정온오프버튼(c), 건조온오프버튼(d), 물압력버튼(e), 물온도버튼(f), 포지션버튼(g)을 포함한다.
전원버튼(a)은 한 번 누르면 전원이 인가되고 다시 누르면 전원의 인가가 해제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자동 배변 처리장치의 작동을 시작하고 멈추게 하는 버튼이다.
상하조절버튼(b)은 세정온오프버튼(c), 건조온오프버튼(d), 물압력버튼(e), 물온도버튼(f), 포지션버튼(g)의 기능을 올리거나 내리게 하는 조절 버튼이다.
세정온오프버튼(c)은 추가 세정을 하고자 하는 경우 동작과 중지를 제어하는 버튼이다. 건조온오프버튼(d)은 추가 건조를 하고자 하는 경우 동작과 중지를 제어하는 버튼이다. 물압력버튼(e)은 세정 노즐부에서 분사되는 세정수의 수압을 설정하는 버튼이다. 물온도버튼(f)은 세정수의 온도를 상, 중, 하로 설정하는 버튼이다.
포지션버튼(g)은 컵 유닛(10)에 분사되는 세정수의 수압과 세정수의 온도, 흡입 수준 등을 설정하는 버튼이다. 즉, 포지션버튼(g)은 배변 처리의 자동 수행을 위해 세정수의 수압, 세정수의 온도, 흡입 수준 등의 조건을 설정하는 버튼이다.
디스플레이부(109)는 세정, 흡입, 비데, 건조 중인지 여부, 컵 유닛 작동 에러 여부, 탈취필터 교체, 세정수 온도, 수압, 세정수 저장조(93)에 저장된 세정수의 양, 흡입조(75)에 저장된 배설물의 양, 컵 유닛(10)과 배변 처리 본체(60)의 상대적인 위치 상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외부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9)에는 소변(URINE) 세정시간, 대변(FECES) 세정시간, 건조 메뉴얼(MANUAL DRYING), 세정(WASHING), 흡입(SUCTION), 비데(BIDET), 건조(DRYING), 에러(ERROR), 흡입조에 배설물이 채워진 양(WASTE CONTAINER), 세정수 저장조에 세정수가 채워진 양(WATER CONTAINER), 세정수 압력(WATER PRESSURE), 세정수 온도(WATER TEMPERTATURE), 포지션(POSION), 탈취필터 교체여부(FILTER) 등의 표시키가 표시된다.
소변(URINE) 세정시간 및 대변(FECES) 세정시간 표시키는 소변 및 대변 세정 시간을 표시하고 세정 중일 때는 남은 시간을 표시한다. 세정(WASHING), 흡입(SUCTION), 비데(BIDET), 건조(DRYING) 표시키는 현재 수행중인 기능에 대해 표시한다.
에러(ERROR) 표시키는 세정수 저장조(93) 또는 흡입조(75)가 배변 처리 본체(60)에 장착되어 있는 않은 경우, 또는 세정수 저장조(93)에 저장된 물의 양이 설정치 미만인 경우, 또는 흡입조(75)에 저장된 배설물이 풀(Full)인 경우 깜빡인다.
포지션(POSION) 표시키는 컵 유닛(10)이 배변 처리 본체(60)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지 낮은 위치에 있는지를 표시한다. 제어부(107)는 컵 유닛(10)이 배변 처리 본체(60)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지 낮은 위치에 있는지에 따라 세정 노즐부(21)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수압을 조절할 수 있다.
세정수의 수압은 워터펌프(95)와 보조펌프(105), 공급량조절부(10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동을 제어하여 조절 가능하다. 세정수의 온도는 순간히터를 작동하여 조절 가능하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변 처리 본체(60)는 이동바퀴(111)를 구비한다. 이동바퀴(111)는 배변 처리 본체(60)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기 위한 것이다. 배변 처리 본체(60)는 상부 일측에 인출 가능한 손잡이부(113)가 구비된다. 손잡이부(113)는 배변 처리 본체(60)의 이동시에만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 가능하다. 배변 처리 본체(60)는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플러그(115)를 구비하고 전원플러그(115)는 배변 처리 본체에서 분리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2 및 도 11을 참조하여, 우선, 컵 유닛의 동작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컵 유닛(10)은 하부컵(B)에 대해 상부컵(A)을 젖히면서 사용자의 배설기관이 위치된 부분에 장착한다. 그러면, 컵 유닛(10)은 전면부의 복원력과 곡선 형상으로 인해 사용자의 배설기관에 밀착되면서 장착된다.
컵 유닛(10)이 사용자의 배설기관에 장착되면 사용자의 항문측이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13)에 위치되며, 생식기측은 남성의 경우 소변이 흡입되는 공간(11)에 위치되고 여성의 경우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13)에 위치된다.
이때, 사용자의 둔부는 밀착부(33)에 밀착되면서 탄력 지지되어 편안한 착용감이 제공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둔부가 밀착부(33)에 밀착되면 컵 유닛(10)에 배치된 착용감지센서(39)이를 감지하고 감지한 신호를 제어부(107)에 전송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소변 또는 대변을 보면 컵 유닛(10)에 구비된 전기센서(41) 및 광센서(43)가 이를 감지하고, 감지한 신호를 각각 제어부(107)로 전송한다.
제어부(107)는 착용감지센서(39), 전기센서(41), 광센서(43)의 신호를 제공받고, 흡입조(75), 세정수 저장조(93)에 구비된 비접촉센서(71a,71b)의 신호를 더 제공받아 흡입조(75), 세정수 저장조(93)가 배변 처리 본체(60)에 장착되어 있는지 유무, 흡입조(75)의 풀(Full) 여부, 세정수 저장조(93)에 저장된 세정수의 양이 설정량 이상인지 유무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제어부(107)는 흡입조(75), 세정수 저장조(93)가 배변 처리 본체(60)에 잘 장착되어 있고, 흡입조(75)가 풀(Full) 되지 않고, 세정수 저장조(93)에 저장된 세정수의 양이 설정량 이상이고, 착용감지센서(39)에 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소변 또는 대변을 보았다고 판단되면 배설물의 흡입 및 배설기관의 세정을 지시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7)의 판단결과, 배설물이 소변이면 제어부(107)는 워터펌프(95)와 흡입모터(99)를 작동시켜 세정과 동시에 공기의 흡인력으로 세정수와 소변을 흡입할 수 있고, 세정수와 함께 흡입된 소변은 흡입 노즐부(49)를 통해 배변 처리 본체(60)로 보내지고 흡입조(75)에 보관된다.
제어부(107)의 판단결과, 배설물이 대변이면 제어부(107)는 흡입모터(99)와 워터펌프(95), 보조펌프(105)를 동시에 작동시켜 공기의 흡입력과 세정수가 함께 작용하여 대변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대변을 보면 공기의 흡인력으로 대변을 흡입함과 동시에 항문을 세정하는 세정기능이 수행되고, 배설물을 흡입 노즐부(49) 방향으로 밀어주는 세척노즐(29)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한다.
그러면, 세척노즐(29)에서 분사되는 세정수가 높은 압력으로 배설물을 흡입 노즐부(49)측으로 밀어주어 배설물이 흡입 노즐부(49)로 쉽게 흡입되고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13)의 바닥면 세정을 입체적으로 동시에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13)의 바닥면이 깨끗하게 세척된다. 그리고, 흡입 노즐부(49)로 흡입된 배설물은 세정수와 함께 배변 처리 본체(60)로 보내져 흡입조(75)에 보관된다.
이때, 컵 유닛(10)에 형성된 공기구멍(45)은 공기 흡입 압력으로 인해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13)이 진공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탈장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배설물의 흡입과정에서 둔부와 밀착부(33)의 밀착된 상태가 해제되면 착용감지센서(39)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07)에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착용감지센서(39)의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107)는 워터펌프(95), 보조펌프(105)의 작동을 중지시켜 세정수의 공급을 중단한다. 이는 둔부와 밀착부(33)의 밀착된 상태가 해제되면 항문을 세정하는 세정수의 공급이 중단되게 하여 세정수에 의해 시트가 젖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컵 유닛(10)은 배변과 동시에 배설물의 흡입 기능이 수행되므로 대변과 소변이 컵 유닛에 머무르지 않고 바로 흡입되어 질병에 노출될 위험이 방지되고 피부가 짓무르는 문제가 방지된다.
또한, 컵 유닛(10)은 사용자의 둔부 크기에 따라 밀착부를 교체할 수 있어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배변 처리 본체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컵 유닛(10)을 사용자의 배설기관이 위치된 부분에 장착하면, 사용자의 배설기관 중 항문이 위치된 둔부측이 컵 유닛(10)의 밀착부(33)에 밀착된다.
이때, 컵 유닛(10)은 ABS 소재로 되고 사용자의 둔부와 접촉되는 밀착부(33)만 실리콘 소재로 되므로 착용감은 좋으면서도 센서부의 감지력은 우수하여 대변과 소변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배변 처리 본체(60)의 전원버튼(a)을 누르면 컵 유닛(10) 및 배변 처리 본체(60)가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후, 사용자가 컵 유닛(10)에 배변을 보면 컵 유닛(10)에 구비된 전기센서(41), 광센서(43)의 신호를 전송받은 제어부(107)가 배설물이 소변 또는 대변인지를 판단하여 배설물의 흡입 및 세정을 지시한다.
이때, 제어부(107)는 흡입조(75), 세정수 저장조(93)가 배변 처리 본체(60)에 장착되어 있고, 흡입조(75)가 풀(Full) 되지 않고, 세정수 저장조(93)에 저장된 세정수의 양이 설정량 이상이고, 착용감지센서(39)의 신호가 감지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배변을 했다고 판단되면 소변 또는 대변인지를 판단하여 배설물의 흡입 및 배설기관의 세정을 지시한다.
제어부(107)는 배설물이 소변으로 판단되면 워터펌프(95)와 흡입모터(99)를 작동시키고 배설물이 대변으로 판단되면 워터펌프(95)와 흡입모터(99), 보조펌프(105)를 동시에 작동시킨다.
또한, 제어부(107)는 배설물이 소변과 대변 모두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도 워터펌프(95)와 흡입모터(99), 보조펌프(105)를 동시에 작동시킨다. 워터펌프(95), 흡입모터(99), 보조펌프(105)의 동시 작동은 배설기관의 세정과 배설물 흡입을 동시에 수행하고 배설물을 흡입 노즐부(49) 방향으로 밀어주어 배설물의 청결한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워터펌프(95) 및 보조펌프(105)의 작동에 의해 세정수가 공급되는 경로는 도 11의 실선 및 점선으로 확인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세정수의 온도를 조절하고 수압을 조절하고자하는 경우에는 조작버튼을 누르게 되면, 제어부(107)가 순간히터(101), 공급량조절부(103)의 작동을 지시하게 되어 세정 노즐부(21)로 공급되는 세정수가 순간 가열되거나 수압이 조절된다.
한편, 세정 노즐부(21)를 통해 컵 유닛으로 분사된 세정수는 사용자의 항문 또는 생식기측을 세정한 후, 배설물의 흡입을 수행하는 흡입모터(99)의 공기 흡입에 의해 배설물과 함께 흡입 노즐부(49)를 통해 흡입조(75) 내의 공간부(77)로 유입된다.
흡입 노즐부(49)를 통해 흡입된 배설물과 세정수는 흡입조(75)의 배설물유입구(79)를 통해 상부에 하부로 낙하하여 흡입조(75) 내의 공간부(77)에 저장된다. 따라서, 흡입조(75)에 저장된 배설물의 냄새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또한, 흡입조(75)는 배설물유입구(79)가 상부에 위치하므로 배설물이 흡입 노즐부(49)를 통해 역류하는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흡입조(75)는 격벽부(83)가 공간부(77)를 두 부분으로 나누고 한 공간부(77)에만 배설물을 저장하므로 배설물의 부패로 인한 팽창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배설물의 부패로 인해 팽창된 공기는 탈취필터와 연결된 공기배출관(8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공기배출관(85)을 통과한 공기는 탈취필터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므로 배설물의 냄새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배변이 완료되고 세정 및 배설물의 흡입이 완료된 후에는 건조 노즐부(31)를 통한 바람 또는 온풍이 분사되어 배설기관의 건조 기능이 수행된다. 배설기관의 건조 기능이 완료되면 사용자로부터 컵 유닛(10)을 분리하고 배변 처리 본체(60)의 상부에 구비된 전원버튼(a)을 눌러 배변 처리 본체(60)가 작동 가능한 상태를 종료하면 된다.
한편, 흡입조(75)의 청소를 위해서는 배변 처리 본체(60)의 상부커버(73)를 개방한 후 흡입조(75)를 인출하면 된다. 흡입조(75)의 인출은 흡입조의 상부에 결합된 손잡이(91)를 잡고 흡입조(75)를 배변 처리 본체(60)로부터 분리하면 된다.
다음으로, 흡입조(75)의 메인커버(87) 또는 보조커버(89)를 개방하고 내부의 배설물을 버린 후 격벽부(83)를 분리하고 공간부(77)를 청소하면 된다. 이때, 격벽부(83)가 흡입조(75)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므로 공간부(77)의 청소가 용이하다.
세정수 저장조(93)의 세정수 보충은 상술한 흡입조(75)의 청소 방법과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배변 처리 본체(60)는 세정, 흡입, 비데, 건조 중인지 여부, 컵 유닛 작동 에러 여부, 탈취필터 교체, 세정수 온도, 수압, 세정수 저장조(93)에 저장된 세정수의 양, 흡입조에 저장된 배설물의 양, 컵 유닛과 배변 처리 본체(60)의 상대적인 위치 상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외부로 표시하므로 배변 처리 본체(60)의 작동 상태 및 유지 상태를 확인하여 대처하기가 용이하다.
한편, 도 12 내지 도 13에는 다른 실시예로 컵 유닛과 배변 처리 본체를 연결관으로 연결하기 위한 후면부를 보이고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유닛(10)의 후면부에는 배출통로(47)와 커플링부(4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변 처리 본체(60)의 후면부에는 배설물유입구(79)와 결합부(68)가 형성되어 있다.
그에 따라, 연결관(50) 내에서 흡입 노즐부(49)는 일측이 컵 유닛(10)의 배출통로(47)와 연결되고 타측이 배설물유입구(79)에 연결됨으로써 배변 처리 본체(60)와 단독으로 접속된다.
또한, 세정 노즐부(21), 건조 노즐부(31), 센서부는 함께 구성되어 연결관(50) 내에서 일측이 커플링부(48)에 연결되고 타측이 배변 처리 본체(60)의 결합부(68)에 접속된다.
그에 따라, 컵 유닛(10)과 연결관(50), 연결관(50)과 배변 처리 본체(60)의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고, 컵 유닛(10)과 연결관(50) 내 흡입 노즐부(49), 세정 노즐부(21) 등의 세척이 용이하다.
도 1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배변 처리장치의 작동원리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는 배설물의 흡입과 세정이 수행되는 가장 기본적인 작동원리를 보인 것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컵 유닛(10)에 구비된 센서부, 세정 노즐부(21), 흡입 노즐부(49), 건조 노즐부(31)가 배변 처리 본체(60)와 연결된다.
센서부는 착용감지센서(39), 전기센서(41), 광센서(43)를 포함하며, 배변 처리 본체(60)와 커넥터로 연결되고 PCB(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전달한다.
세정 노즐부(21)는 세정수 저장조(93)와 연결된다. 세정수 저장조(93)의 세정수는 세정 노즐부(21)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순간히터(101)에 의해 가열되고 공급량 조절부(103)가 세정 노즐부(21)로 공급되는 세정수량을 조절한다. 세정 노즐부(21)는 남성용 세정노즐(23), 여성용 세정노즐(25), 항문 세정노즐(27), 세척 세정노즐(29)을 포함한다. 남성용 세정노즐(23), 여성용 세정노즐(25), 항문 세정노즐(27), 세척 세정노즐(29)는 함께 작용하여 청결한 배변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세정수 저장조(93)는 메인물통과 보조물통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메인물통의 용량은 6.5L, 보조물통의 용량은 1.5L인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세정 노즐부(21)는 직경이 5mm인 것을 채용할 수 있다.
흡입 노즐부(49)는 흡입조(75)와 연결된다. 흡입모터(99)가 작동하여 흡입 노즐부(49)를 통한 배설물과 세정수의 흡입이 수행되며, 흡입 노즐부(49)를 통해 흡입된 배설물과 세정수는 흡입조(75)로 유입되고 저장된다. 흡입조의 용량은 7500cc인 것을 채용할 수 있다.
건조 노즐부(31)는 팬(FAN)과 연결되고 팬이 작동하여 외부 공기를 유입할 수 있다.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에는 탈취, 방향, 살균 기능을 갖는 탈취필터가 구비되어 외부 공기 유입시 이물질이 함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다.
탈취필터를 통과한 공기는 가열히터를 통과하면서 가열되고 따뜻한 공기가 건조 노즐부(31)를 통해 사용자의 둔부에 전달되도록 한다. 건조 노즐부(31)의 직경은 16mm인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1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유닛이 도시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된 컵 유닛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대비하여 컵 유닛에 신축부가 포함되는 차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컵 유닛(200)은 전면부가 곡선을 이루고 신축가능하도록 소변이 흡입되는 공간(11)측에 결합부재를 매개로 연결되어 고정되는 신축부(201)를 포함한다. 신축부(201)는 적어도 일부분이 자바라 형태(203)로 되어 컵 유닛(200)의 소변이 흡입되는 공간(11)측 전면부가 후면부를 향하여 소정범위로 신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컵 유닛(200)은 신축부(201)와 주름부(15)가 함께 작용하여 상부컵이 하부컵에 대하여 젖혀지고, 컵 유닛(200) 전면부의 곡선 형상도 더 완만하게 만들 수 있다. 컵 유닛(200) 전면부의 곡선 형상을 더 완만하게 하는 것은 컵 유닛(200)을 착용하는 다양한 신체 크기의 사용자에 공통으로 착용할 수 있고, 착용감도 개선시킬 수 있다.
컵 유닛(200)에 신축부(201)가 연결되는 부분은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된 플랜지(205,207)가 형성되고, 각 플랜지(205,207)에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이 체결공에 결합부재가 결합되어 컵 유닛(200)에 신축부(201)가 연결되고 고정된다.
결합부재는 체결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너트(209)와 상기 체결공을 관통한 체결너트(211)의 단부에 고정되어 체결너트(211)가 체결공에 체결된 상태를 고정하는 체결볼트(209)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의 컵 유닛(200)은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컵 유닛 착용감을 한층 더 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또 다른 실시예의 컵 유닛(200)은 신축부(201)외에 다른 구성이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16과 도 1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유닛이 도시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된 컵 유닛(10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대비하여 컵 유닛(10a)의 상부컵(A) 단부 형상이 날개형(돌핀형)으로 형성된 차이점이 있다.
상부컵(A)의 날개형(돌핀형) 단부는 사용자의 배설기관 앞쪽을 넓게 감싸 더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1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유닛이 도시되어 있다.
도 17에 도시된 컵 유닛(10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대비하여 컵 유닛(10a)의 상부컵(A) 단부 형상이 내측으로 오목한 곡선을 가지는 날개형인 차이점이 있다.
상부컵(A)의 날개형 단부는 컵 유닛(10b) 착용시 사용자의 배설기관 앞쪽에 밀착되어 편안한 착용감과 함께 밀착력을 높이는 효과가 크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컵 유닛 11:소변이 흡입되는 공간
13: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 A: 상부컵
B: 하부컵 15: 주름부
17: 칸막이 19: 연통공
21: 세정 노즐부 23: 남성용 세정노즐
25: 여성용 세정노즐 27,28: 항문 세정노즐
29: 세정 세척노즐 31: 건조 노즐부
33: 밀착부 33a: 제1밀착부
33b: 제2밀착부 35: 요입슬릿
37: 삽입돌기 39: 착용감지센서
41: 전기센서 43: 광센서
45: 공기구멍 47: 배출통로
48: 커플링부 49: 흡입 노즐부
50: 연결관 51: 받침대
53: 보호커버 60: 배변 처리 본체
61: 케이스 63: 흡입조가 배치되는 공간
65: 저장조가 배치되는 공간 67: 흡입수단이 배치되는 공간
68: 커플링부 결합부 69: 배설물회수구
71a,71b: 비접촉센서 73: 상부커버
75: 흡입조 77: 공간부
79: 배설물유입구 83: 격벽부
85: 공기배출관 87: 메인커버
89: 보조커버 91: 손잡이
93: 세정수 저장조 95: 워터펌프
97: 흡입수단 99: 흡입모터
101: 순간히터 103: 공급량조절부
105: 보조펌프 107: 제어부
109: 디스플레이부 111: 이동바퀴
113: 손잡이부 115: 전원플러그

Claims (17)

  1. 사용자의 배설기관이 위치된 부분에 착용되며 소변이 흡입되는 공간과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이 구분되어 형성되는 컵 유닛과,
    상기 컵 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컵 유닛으로 배설된 배설물을 흡입하여 저장하도록 된 배변 처리 본체와,
    상기 컵 유닛에 구비되고 상기 배변 처리 본체와 연결되며 배설물을 감지하는 센서부, 세정 기능을 수행하는 세정 노즐부, 배설물을 흡입하는 흡입 노즐부, 건조 기능을 수행하는 건조 노즐부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배설시 상기 배설물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세정, 흡입, 비데, 건조가 진행되며,
    상기 세정 노즐부는
    상기 소변이 흡입되는 공간으로 노출되는 남성용 세정노즐과,
    상기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으로 노출되는 여성용 세정노즐과,
    상기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으로 노출되며 항문 부위를 앞,뒤에서 세정할 수 있는 항문 세정노즐과,
    상기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의 바닥면을 향하여 세정수를 분사하여 상기 배설물을 상기 흡입 노즐부 방향으로 밀어주는 세척 세정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건조 노즐부를 통해 상기 컵 유닛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컵 유닛의 후면으로 유입시키고, 상기 세척 세정노즐을 통해 상기 컵 유닛에 다시 분사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변 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컵 유닛은 상기 소변이 흡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상부컵과 상기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하부컵으로 구분되며,
    전면부가 'C' 형태로 곡선을 이루고,
    상기 상부컵이 상기 하부컵에 대하여 젖혀지도록 후면부에 주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변 처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컵 유닛은 ABS 소재로 되고, 사용자와 접촉되는 부위를 실리콘 소재로 감싸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변 처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컵 유닛은 상기 소변이 흡입되는 공간과 상기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의 진공을 방지하도록 상기 컵 유닛의 후단을 통해서 공기를 유입하고 측면으로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공기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변 처리장치.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컵 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컵 유닛에 사용자의 둔부가 밀착되었는지 유무를 감지하는 착용감지센서와,
    상기 컵 유닛 바닥면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소변 및 대변을 감지하는 전기센서와,
    상기 컵 유닛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대변을 감지하는 광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변 처리장치.
  8. 사용자의 배설기관이 위치된 부분에 착용되며 소변이 흡입되는 공간과 대변이 흡입되는 공간이 구분되어 형성되는 컵 유닛과,
    상기 컵 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컵 유닛으로 배설된 배설물을 흡입하여 저장하도록 된 배변 처리 본체와,
    상기 컵 유닛에 구비되고 상기 배변 처리 본체와 연결되며 배설물을 감지하는 센서부, 세정 기능을 수행하는 세정 노즐부, 배설물을 흡입하는 흡입 노즐부, 건조 기능을 수행하는 건조 노즐부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배설시 상기 배설물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세정, 흡입, 비데, 건조가 진행되며,
    상기 컵 유닛은 상기 배변 처리 본체와 연결관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 내에서, 상기 흡입 노즐부는 상기 배변 처리 본체와 단독으로 접속되고,
    상기 세정 노즐부, 상기 건조 노즐부, 상기 센서부는 함께 구성된 커플링부로 상기 배변 처리 본체에 접속되어 상기 컵 유닛과 상기 연결관, 상기 연결관과 상기 배변 처리 본체의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변 처리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흡입 노즐부에는 상기 컵 유닛에 배설물이 감지되면 개방되는 자동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변 처리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배변 처리 본체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정수가 저장되고 상기 세정 노즐부와 연결되는 세정수 저장조와,
    상기 케이스 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정수와 함께 흡입된 배설물이 저장되고 상기 흡입 노즐부와 연결되는 흡입조와,
    상기 흡입조 내의 배설물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필터를 구비하는 것과 살균하기 위한 UV-램프와 광촉매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변 처리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컵 유닛에 배설물이 감지되면 세정, 흡입, 비데, 건조를 지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상기 세정수 저장조의 세정수를 상기 세정 노즐부로 공급하는 워터펌프와,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상기 배설물의 흡입을 수행하는 흡입모터와,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상기 건조 노즐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팬(FA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변 처리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공기를 상기 건조 노즐부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이물질 제거를 위한 탈취필터와,
    상기 건조 노즐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히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변 처리장치.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저장조의 세정수를 상기 세정 노즐부로 보내는 과정에서 상기 세정수를 순간 가열하는 순간히터와,
    상기 세정 노즐부로 공급되는 세정수의 양을 조절하는 공급량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변 처리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컵 유닛에 사용자의 둔부가 밀착되었는지 유무를 감지하는 착용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용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제공받은 경우에만 상기 세정, 흡입, 비데, 건조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변 처리장치.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흡입조와 상기 케이스에 상기 흡입조의 상기 케이스 장착 여부 및 상기 흡입조에 저장된 배설물의 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 비접촉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접촉센서의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케이스에 흡입조가 장착되었는지 유무와 상기 흡입조에 저장된 배설물이 풀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세정, 흡입, 비데, 건조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변 처리장치.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저장조에 세정수의 잔량 확인을 위한 잔량확인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잔량확인센서의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세정수가 설정량 이상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세정, 흡입, 비데, 건조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변 처리장치.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컵 유닛 및 상기 배변 처리 본체의 작동을 조작하고 확인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전원버튼, 세정, 건조, 수온조절, 수압조절 버튼이 구비되고,
    세정, 흡입, 비데, 건조 중인지 여부, 컵 유닛 작동 에러 여부, 탈취필터 교체, 세정수 온도, 수압, 세정수 저장조에 저장된 세정수의 양, 흡입조에 저장된 배설물의 양, 컵 유닛과 배변 처리 본체의 상대적인 위치 상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외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1020140077977A 2013-06-26 2014-06-25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1016334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3810 2013-06-26
KR1020130073810 2013-06-26
KRPCT/KR2013/007938 2013-09-03
PCT/KR2013/007938 WO2014208814A1 (ko) 2013-06-26 2013-09-03 자동 배변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655A KR20150001655A (ko) 2015-01-06
KR101633486B1 true KR101633486B1 (ko) 2016-06-24

Family

ID=52142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977A KR101633486B1 (ko) 2013-06-26 2014-06-25 자동 배변 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136338A1 (ko)
JP (1) JP2016523170A (ko)
KR (1) KR101633486B1 (ko)
CN (1) CN105358112A (ko)
WO (2) WO20142088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5459A (ko) * 2020-08-24 2022-03-03 (주)메디엔비테크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016705U (zh) * 2014-04-04 2014-12-17 苏州欧圣电气工业有限公司 一种中央集成护理机
WO2016082233A1 (zh) * 2014-11-25 2016-06-02 山东华腾环保科技有限公司 智能护理便器用吸座
US10758401B2 (en) * 2014-12-01 2020-09-01 Curaco, Inc. Excreta disposal device including male module having opening facing human body
CN107205875A (zh) * 2015-02-03 2017-09-26 李勋相 包含性别专用模块的排泄物处理装置
CN107205874A (zh) * 2015-02-03 2017-09-26 李勋相 人体适配型排泄物处理装置
CN104546353B (zh) * 2015-02-04 2017-02-22 浙江新丰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自动护理机的排泄物收集装置
WO2016197844A1 (zh) * 2015-06-10 2016-12-15 宁波新海电气股份有限公司 大小便自动处理装置及方法
KR101713547B1 (ko) 2016-02-25 2017-03-08 신장균 와상환자를 위한 전자동 배변처리기
KR102082066B1 (ko) * 2016-02-29 2020-02-26 가부시키가이샤 리버티솔루션 간호용 배설물 처리 장치에서의 배설물 받이구
JP6357254B2 (ja) * 2017-02-14 2018-07-11 株式会社リバティソリューション 介護用排泄物処理装置における排泄物受け具
IT201600081703A1 (it) * 2016-08-03 2018-02-03 Osvaldo Fasano Unità mobile attrezzata per il trattamento intimo corporeo
CN107019587A (zh) * 2016-08-31 2017-08-08 威海丰元护理用品科技有限公司 用于智能护理器的通风换气装置
CN106491292A (zh) * 2016-11-21 2017-03-15 杭州顺事五金机械有限公司 多功能床
CN106510929B (zh) * 2016-11-22 2019-06-18 深圳市医护宝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大小便智能护理系统
KR101977306B1 (ko) * 2017-05-31 2019-05-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와이어를 이용한 기저귀컵 세척장치 및 이를 수용하는 세척하우징
JP7022524B2 (ja) * 2017-06-30 2022-02-18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排泄物吸引装置及び排泄物判定方法
CN107647959A (zh) * 2017-07-11 2018-02-02 新海科技集团有限公司 集便器及其护罩
CN108814795B (zh) * 2017-08-22 2023-12-22 苏州欧圣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护理机的可穿戴式工作头及护理机
CN107587574A (zh) * 2017-09-15 2018-01-16 孙永 一种医疗护理用大小便自动冲洗装置
JP7076567B2 (ja) 2017-11-20 2022-05-27 蘇州欧聖電気股▲ふん▼有限公司 介護機器の装着可能な動作ヘッド
CN108784976B (zh) * 2017-11-20 2020-11-06 苏州欧圣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护理机用的可穿戴式工作头及护理机
CN108255206A (zh) * 2018-03-26 2018-07-06 曹可瀚 座便器和冲洗人体的方法
CN108852598A (zh) * 2018-06-16 2018-11-23 苏州欧圣电气股份有限公司 护理机
CN108743111B (zh) * 2018-06-19 2020-08-11 吉林大学 多功能护理床
CN109350342A (zh) * 2018-11-27 2019-02-19 哈尔滨向日葵智能护理设备有限公司 智能排泄处理装置电控系统及其工作方法
KR101996872B1 (ko) * 2019-01-18 2019-07-08 주식회사 큐라코 역류 방지 장치
KR102252982B1 (ko) * 2019-06-14 2021-05-27 주식회사 우리소프트 석션 기능에 의해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소변 배출 욕구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스마트 소변 처리 장치 및 그 이용 방법
KR102075301B1 (ko) * 2019-07-12 2020-02-07 주식회사 일우텍 환자용 배설물 용변기 및 용변기의 배설물 처리장치
KR102396933B1 (ko) * 2019-12-18 2022-05-13 주식회사 큐라코 인체 안착형 처리장치 착용부 내부의 최적 착용환경 조성을 위한 국부 정밀 제어기능이 적용된 배설돌봄로봇
TWI712405B (zh) * 2020-02-11 2020-12-11 慶生健康管理顧問股份有限公司 智慧排泄裝置及其控制方法
KR102457133B1 (ko) * 2020-03-18 2022-10-20 주식회사 네일톡톡 환자용 배변 처리장치
WO2021237439A1 (zh) * 2020-05-26 2021-12-02 大蓝鲸康复科技(南京)有限公司 一种便捷卫生的卧床老人通便装置
JP7399506B2 (ja) * 2021-07-30 2023-12-18 金軒 何 排泄物処理装置およびそのクリーニング方法
TWI820601B (zh) * 2021-07-30 2023-11-01 何金軒 排泄物清理裝置及其清潔方法
CN115227508B (zh) * 2022-06-27 2023-08-22 季华实验室 便头模块与两便处理模块的分合结构及两便护理装置
KR102614225B1 (ko) * 2023-06-21 2023-12-19 주식회사 큐라코 높이조절모듈을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의 인체안착유닛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6532A1 (ja) * 2004-10-29 2006-05-04 Manabu Ise 排泄物処理装置
KR100829525B1 (ko) * 2006-06-28 2008-05-16 주식회사 산요테크 자동 배변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455228Y (zh) * 2000-12-04 2001-10-24 李瑛� 一种助便器
KR100367231B1 (en) * 2001-07-26 2003-01-06 Hanmedics Co Ltd Personal urine collecting apparatus having bidet system
JP3388734B1 (ja) * 2001-11-22 2003-03-24 株式会社ビルメン鹿児島 介護用便器システム
KR100797578B1 (ko) * 2006-05-19 2008-01-24 주식회사 산요테크 자동 배변 처리장치
JP4065002B2 (ja) * 2006-07-31 2008-03-19 中村 稔 自動排便処理装置
KR20090010742U (ko) * 2008-04-16 2009-10-21 리, 훼이유 좌변기에 사용하며 용변후 인체의 부분 부위를 세정하는 장치
JP2009275380A (ja) * 2008-05-13 2009-11-26 Epia:Kk 排便吸込み機能を付加した便器の構造
KR100955105B1 (ko) * 2008-06-10 2010-04-28 주식회사 콤슨테크놀러지 환자용 침대 겸용 배변장치
CN201324339Y (zh) * 2008-12-15 2009-10-14 刘旭祥 智能清洁护理机的排便吸座
KR100942204B1 (ko) * 2009-08-11 2010-02-11 주식회사 큐라코 노즐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JP5674766B2 (ja) * 2009-05-20 2015-02-2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着用位置を検出するためのセンシングデバイス
CN101708144A (zh) * 2009-11-06 2010-05-19 任升峰 患者用便器系统
KR101093444B1 (ko) * 2010-01-04 2011-12-19 한국산재의료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CN101836913A (zh) * 2010-04-29 2010-09-22 杭州亿脑智能科技有限公司 自动护理装置
CN201668649U (zh) * 2010-06-08 2010-12-15 浙江耐特塑业有限公司 用于卧床人体护理器的控制装置
KR101210932B1 (ko) * 2011-02-28 2012-12-11 근로복지공단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KR101285920B1 (ko) * 2011-07-22 2013-07-12 박종미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
KR101299185B1 (ko) * 2011-09-09 2013-08-22 주식회사 엔젤윙즈 자동 배변 처리장치
CN202342254U (zh) * 2011-11-14 2012-07-25 浙江耐特科技有限公司 人体护理器的便垫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6532A1 (ja) * 2004-10-29 2006-05-04 Manabu Ise 排泄物処理装置
KR100829525B1 (ko) * 2006-06-28 2008-05-16 주식회사 산요테크 자동 배변 처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5459A (ko) * 2020-08-24 2022-03-03 (주)메디엔비테크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
WO2022045482A1 (ko) * 2020-08-24 2022-03-03 (주)메디엔비테크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
CN114521138A (zh) * 2020-08-24 2022-05-20 梅迪恩维科技 排泄物自动处理装置
KR102467751B1 (ko) * 2020-08-24 2022-11-16 (주)메디엔비테크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
CN114521138B (zh) * 2020-08-24 2024-04-12 梅迪恩维科技 排泄物自动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36338A1 (en) 2016-05-19
KR20150001655A (ko) 2015-01-06
WO2014208814A1 (ko) 2014-12-31
JP2016523170A (ja) 2016-08-08
CN105358112A (zh) 2016-02-24
WO2014209020A1 (ko) 2014-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3486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101299185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101015717B1 (ko)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KR102236558B1 (ko) 자동 집뇨장치
EP2589361A1 (en) Automatic wheelchair-type feces cleaner without need of undressing and dressing
TWI558389B (zh) Waste disposal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1679751B1 (ko) 배변 처리장치 장착 전동침대
KR102047781B1 (ko) 환자용 배변처리기 및 그 이용방법
KR101579889B1 (ko) 자동배변 처리장치의 컵유닛 분사노즐
KR100955105B1 (ko) 환자용 침대 겸용 배변장치
KR100496439B1 (ko) 환자의 배설물 즉시처리장치
KR100905529B1 (ko) 자동배설물 처리장치 및 자동배설물 처리방법
JP2008048912A (ja) 自動排便処理装置
US20070032765A1 (en) Excrement treating apparatus
KR101052024B1 (ko) 대소변 배출기
KR20100003849U (ko) 자동배변처리장치가 구비된 매트리스
KR100829525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100829524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102038702B1 (ko) 소변 배출장치
CN102178586B (zh) 轮椅式免脱穿粪便自动清理机
KR100905530B1 (ko) 자동배설물 처리장치
JP2014030511A (ja) 洗浄装置
JP7031865B2 (ja) 排泄物クリーニング装置
KR20190092186A (ko) 자동 대소변 채집장치
KR102134871B1 (ko) 침대용 자동 배변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