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742U - 좌변기에 사용하며 용변후 인체의 부분 부위를 세정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좌변기에 사용하며 용변후 인체의 부분 부위를 세정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742U
KR20090010742U KR2020090001174U KR20090001174U KR20090010742U KR 20090010742 U KR20090010742 U KR 20090010742U KR 2020090001174 U KR2020090001174 U KR 2020090001174U KR 20090001174 U KR20090001174 U KR 20090001174U KR 20090010742 U KR20090010742 U KR 200900107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rame
cleaning
main body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11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바오카이 왕
Original Assignee
리, 훼이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 훼이유 filed Critical 리, 훼이유
Priority to KR20200900011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0742U/ko
Publication of KR200900107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74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좌변기에 사용하며 용변후 인체의 부분 부위를 세정하는 장치는, 하나의 후레임 및 전후로 슬라이딩 할 수 있게 후레임에 설치된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된 분수장치, 상기 후레임에 설치된 하나의 모터,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된 치륜,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치륜과 맞물리는 래크를 포함한다.
세정 과정에서, 분수장치는 본체와 함께 전후로 이동 가능하기에, 노즐이 전후로 이동하면서 인체의 부분 부위를 세정할 수 있어, 인체 부위를 철저히 청결하게 할 수 있다.
세정장치, 후레임 ,본체, 분수장치, 모터, 치륜, 래크, 노즐, 광센서 스위치, 계단식 주형 슬롯

Description

좌변기에 사용하며 용변후 인체의 부분 부위를 세정하는 장치{RINSE APPARATUS FOR TOILET BOWL}
본 고안은 변기의 부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좌변기에
사용하며 용변후 인체의 부분 부위를 세정(rinse)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미 일부 좌변기에는 용변후 인체의 부분 부위를 세정하는 장치를 설치하였으며, 기존 장치는 중국 특허 200480007198.0 호 에서 공개된 "클린노즐 및 이것을 사용한 좌변기 장치"의 발명 특허 청구를 참조할 수 있다. 참조도면 1A 및 1B 를 참조하면, 상기 클린노즐은, 계단식 원주형 파이프(6), 상기 원주 파이프(6) 내에 접속한 하나의 이동 가능한 노즐(8), 상기 원주 파이프(6)의 일단은 물을 공급하는 호스(12)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노즐(8)과 연결된다. 상기 노즐(8)의 노출단에는 분출공(11)이 있으며, 상기 노즐(8) 내측에는 돌기부(9)와 연결되며, 상기 돌기부(9)의 외부 직경은 원주 파이프(6)의 내부 직경보다 좀 작으며, 그의 중심에는 직경이 원주 파이프(6)보다 상당히 작은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노즐(8) 외 주(外周)에는 스프링(7)이 끼워지는데, 상기 스프링(7)은 상기 돌기부(9)와 원주 파이프(6) 단면(端面) 내측 사이에 끼워진다. 호스(12)에 수원(水源)을 연결하면, 수압은 돌기부(9)에 작용하여 노즐(8)이 원주 파이프(6)속에서 이동하게 되며, 노즐(8)의 대부분을 밖으로 연장시켜 원주 파이프(6)외부로 노출시킨다. 상기 돌기부(9)가 원주 파이프(6)의 계단부(10)까지 이동되면, 더는 앞으로 이동할 수 없게되며, 물은 돌기부(9)의 중심 통공으로부터 노즐(8)에 들어가서, 분출공(11)에서 분출하게 된다. 상기 호스(12)에 수원이 중단되면, 스프링(7)의 작용으로 노즐(8)은 복귀하면서 원주 파이프(6)속으로 들어간다.
상기 세정 장치의 단점은,
1. 분출되는 물은 반드시 돌기부(9) 중심의 통공을 통과하여야 하는데, 상기 통공의 직경이 매우 작으며, 노즐(8)의 내부 직경보다 매우 작기에, 노즐(8)의 분출공(11)속에서 분출되는 물의 압력이 부족하다.
2. 세정시에 노즐(8)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인체의 아주 적은 부분만 세정할 수 있으며, 비교적 큰 면적 부분은 세정할 수 없기에 인체를 이동하면서 사용할 수 밖에 없다.
3. 출수량이 일정하므로, 상이한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 세정 장치에서 존재하는 고정된 노즐, 단일한 노즐형식, 분출 수압 부족 등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일종의 좌변기에 사용하며 용변후 인체의 부분 부위를 세정하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해결을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에 사용하며 용변후 인체의 부분 부위를 세정하는 장치는, 하나의 후레임 및 전후로 슬라이딩 할 수 있게 후레임에 설치된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된 분수장치; 상기 후레임에 설치된 하나의 모터;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된 치륜;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치륜과 맞물리는 래크가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륜에 두개의 한위부가 설치되며, 상기 후레임에는, 상기 두개의 한위부 사이에서 상기 치륜의 회전각도를 두개의 한위부위 사이로 제한하는 제한블록을 설치한다.
상기 후레임에는 광센서 스위치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에는 광센서 스위치를 시동할 수 있는 시동부품이 설치되며, 별도로 제어 회로판이 포함되고, 상기 광센서 스위치, 모터 등은 상기 제어 회로판에 연결된다.
상기 광센서 스위치는 후레임에 설치되어, 상대되는 광선 발사 접수창을 포 함하며, 상기 시동부품은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광선 발사 접수창 사이에서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부에는 상기 광선 발사 접수창에 대응하여 배합한 광선이 지나가는 통공이 설치된다.
상기 분수장치에는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전후로 연장되는 계단식 주형 슬롯 및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계단식 주형 슬룻속에 설치된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계단식 주형 슬룻의 전단 내부 직경은 후단의 내부직경 보다 작으며, 상기 계단식 주형 슬롯의 후단은 물 공급파이프와 연결되며, 상기 파이프의 출수단은 상기 계단식 주형 슬롯 전단면 밖으로 빠져 나올수 있으며, 또한 출수단에는 노즐을 설치하며, 상기 파이프의 급수단 앞쪽으로는 상기 계단식 주형 슬롯 전의 계단면과 연결되는 돌기가 설치되며, 급수단에는 파이프를 설치하여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상기 파이프 급수단의 파이프 추진편을 덮어준다. 상기 파이프에는 복귀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복귀 스프링은 상기 돌기 및 상기 계단식 주형 슬롯 전단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분수장치는 두개이며, 그 중의 한 분수장치의 노즐은 하나의 분수 구멍이 있으며, 다른 한 분수장치의 노즐에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분수 구멍이 있으며, 상기 모터는 동기 작동 모터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에 사용하며 용변후 인체의 부분 부위를 세정하는 장치는, 상기 본 고안만의 구조에 대한 서술 로부터 알 수 있는바 기존 기술과 비교하면, 본 고안은 이하의 장점이 있다.
1. 세정 과정에서, 세정 장치는 본체와 함께 전후 이동 가능하기에, 노줄이 인체의 부위를 왕복으로 세정할 수 있어, 인체의 부위를 철저히 세정할 수 있다.
2. 두가지 노즐 구조가 있기에, 사용자들은 필요에 따라 상이한 노즐 구조를 선택 가능하다.
3. 세정 과정에서, 물은 파이프 추진편과 상기 파아프 돌기 사이로 파이프에 흘러 들어오기에, 수량이 비교적 많으며, 수압이 충분하여 인체 부위를 더욱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종의 좌변기에 사용하며 용변후 인체의 부분 부위를 세정하는 장치는, 도 1 및 도 2 를 참조할 수 있으며, 하나의 후레임(1) 및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후레임(1)에 설치된 본체(2), 상기 후레임(1)에 설치된 하나의 모터,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된 치륜(6), 상기 치륜(6)은 본체(2)의 하방에 있으며, 상기 본체(2)의 하부에는 상기 치륜(6)과 맞물리는 래크(60)가 있다. 시각적인 원인으로, 도면에서는 모터는 미도시 되어 있다. 모터가 회전할 때, 치륜(6)을 회전시키며, 치륜(6)은 래크(60)와 맞물려서 본체(2)를 후레임(1)을 상대(相對)하여 전후로 이동시킨다. 본 설명에서 전후는 사용자가 변기에 앉은 방향을 기준으로 하며, 이하 설명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2 및 도 4 를 참조하면, 치륜(6)의 원주(圓周) 상에는 두개의 한위부(限位部,61,62)가 있으며, 후레임(1) 밑부분에는 제한블록(63)이 있다. 상기 제한블록(63)은 상기 두개의 한위부(61,62)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모터는 동기식 자유회전 모터를 사용하며, 상기 모터는 전후 회전이 가능하다. 치륜(6)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제한블록(63)이 한위부(62)에 부딪힐 경우, 치륜(6)은 방향을 변경하여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한블록(63)이 한위부(61)와 부딪히면 치륜(6)은 또 다시 방향을 변경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작동을 부단히 순환 반복한다. 치륜(6)의 회전 각도는 상기 두개의 한위부(61,62) 사이에서 제한을 받기에, 본체(2)는 부단히 전후로 이동한다. 도 2 에서는 본체(2)가 가장 뒤쪽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를 표시하며, 도 4 에서는 본체(2)가 가장 앞쪽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를 표시한다.
도 1 및 도 3 을 참조하면, 상기 후레임(1)의 상단에는 광센서 스위치(5)가 설치되며, 상기 광센서 스위치는, 후레임(1) 위에 설치된, 상대(相對)되는 두개의 광선 발사 접수창(50)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오직 하나의 광선 발사 접수창(50)만 표시 되어 있다. 상기 본체(2)에는 상기 광센서 스위치(5)를 시동할 수 있는 시동부품(51)이 설치되며, 상기 시동부품(51)은, 상기 본체(2)에 연결되어, 상기 광선 발사 접수창(50) 사이에서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부에는 상기 광선 발사 접수창(50)과 대응하여 배합한 광선을 통과하게 하는 통공(510)이 설치 되어 있다. 그 외에도 하나의 제어 회로판을 포함하는데, 상기 광센서 스위치(5)와 모터는 전부 상기 제어 회로판에 연결되어 있으며, 도면에서는 상기 제어 회로판이 미도시 되어 있다. 세정이 완료된 후, 광센서 스위치(5)를 시동하면 광센서 스위치(5)는 두개의 광선 발사 접수창(50)의 광선이 상기 통공(510)을 통과함을 분석한 후 자동으로 모터를 끄며, 본체(2)는 중간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도 1,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2)의 앞쪽에는 두개의 분수장치(3,4)가 설치되어 있다. 분수장치(3)는, 상기 본체(2) 내에서 전후로 연장되는 계단식 주형 슬롯(30) 및 전후로 슬라이딩하게 상기 계단식 주형 슬롯(30)에 설치된 파이프(31)를 포함한다. 상기 계단식 주형 슬롯(30)의 전단(前段) 내부 직경은 후단(後段) 내부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두개의 단 사이에는 계단면(301)을 형성하며, 상기 계단식 주형 슬롯 (30)의 후단(後端)은 물 공급파이프(32)와 연결된다.
상기 파이프(31)의 출수단(出水端)은 상기 계단식 주형 슬롯(30)의 전단(前端) 밖으로 나와 있다. 또한 상기 출수단에는 노즐(33)이 설치되며, 노즐(33)에는 위로 향한 분출공(3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파이프(31)의 급수단에는 돌기(3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35) 전측(前側)에는 하나의 밀봉링(37)을 끼운다. 상기 파이프(31)가 앞으로 이동할 때, 돌기(35)는 밀봉링(37)을 상기 계단식 주형 슬롯(30)의 계단면(301)에 밀착시킨다. 상기 파이프(31)의 급수단에는 파이프(31)를 따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상기 파이프(31)의 급수단을 덮어주는 파이프 추 진편(36)이 있으며, 상기 파이프(31)의 급수단에는 하나의 조립슬롯(350)이 설치되며, 상기 조립 슬롯(350)은, 파이프 추진편(36)을 그 속에 한정 시키지만 파이프 추진편(36)이 그 속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파이프(31)에는 복귀 스프링(34)이 끼워지며, 상기 복귀 스프링(34)의 양단(兩端)은 각각 상기 돌기(35) 전측면(前側面)의 밀봉링(37)과, 상기 계단식 주형(柱形) 슬롯(30) 전단면(前端面) 내측에 연결되어 설치된다.
물 공급파이프(32)에 물이 공급 될 때, 수압은 파이프 추진편(36)을 파이프(31)의 급수단 단면에 눌러주며, 파이프(31)를 밀어 복귀 스프링(34)의 탄력을 극복하면서 앞쪽으로 이동한다. 이동 과정에서, 파이프(31) 속에는 물이 없으며, 노즐(33)에서는 물이 분사되지 않는다. 파이프(31)의 급수단의 돌기(35)가 상기 계단면(301)에 밀릴때, 파이프는 앞으로 이동할 수 없으며, 물은 파이프 추진편(36)과 파이프(31) 사이로 부터 파이프(31)에 흘러가서 노즐(33)의 분출공(330)에서 분출한다. 물 공급파이프(32)에 물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복귀 스프링(34)의 작용으로 파이프(31)는 뒤로 복귀하게 된다.
분수장치(4)의 주요한 구조는 분수장치(3)와 같지만, 차이점이라면 오직, 분수장치(3)의 노즐(33)의 분출공(330)의 수량이 적어도 2개 이상이며, 각 분출공의 내부 직경은 비교적 작다. 분수장치(4)의 노즐(43)의 분출공(430)은 오직 하나이며, 그의 내부 직경은 상기 분출공(330)비하여 상대적으로 크다.
상기 내용은 오직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본 고안의 설계 구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러한 구상을 이용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비실질적인 개선을 한경우, 전부 본 고안의 보호범위를 침해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입체 구조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본체를 최후단으로 이동한 후의 외부 구조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본체를 최후단으로 이동한 후의 절단면 구조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본체를 최전단으로 이동한 후의 외부 구조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본체를 중간 위치로 이동한 후의 절단면 구조 사시도.

Claims (7)

  1. 좌변기에 사용하는 변후 인체의 부분적인 부위를 세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후레임 및 전후로 슬라이딩 할 수 있게 후레임에 설치된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된 분수장치;
    상기 후레임에 설치된 하나의 모터;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된 치륜;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치륜과 맞물리는 래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에 사용하며 용변후 인체의 부분 부위를 세정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륜에는 두개의 한위부가 설치되며, 상기 후레임에는, 상기 두개의 한위부 사이에서 상기 치륜의 회전각도를 두개의 한위부 사이로 제한하는 하나의 제한블록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에 사용하며 용변후 인체의 부분 부위를 세정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레임에는 광센서 스위치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광센서를 시동할 수 있는 시동부품이 설치되며, 별도로 제어 회로판이 포함되고, 상기 광센서 스위치, 모터 등은 상기 제어 회로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에 사용하며 용변후 인체의 부분 부위를 세정하는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 스위치는 후레임에 설치되어 상대되는 광선 발사 접수창을 포함하며, 상기 시동부품은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광선 발사 접수창 사이에서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부에는 상기 광선 발사 접수창에 대응하여 배합한 광선이 지나가는 통공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에 사용하며 용변후 인체의 부분 부위를 세정하는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수장치에는,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전후로 연장되는 계단식 주형 슬롯 및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계단식 주형 슬롯속에 설치된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계단식 주형 슬롯의 전단 내부 직경은 후단의 내부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계단식 주형 슬롯의 후단은 물공급파이프와 연결되며, 상기 파이프의 출수단은 상기 계단식 주형 슬롯 전단면 밖으로 빠져 나올수 있으며, 또한 출수단에는 노즐 을 설치하며, 상기 파이프의 급수단 앞쪽으로 상기 계단식 주형 슬롯 전의 계단면과 연결되는 돌기가 설치되며, 급수단에는 파이프를 설치하여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상기 파이프 급수단의 파이프 추진편을 덮어주며, 상기 파이프에는 복귀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복귀 스프링은 상기 돌기 및 상기 계단식 주형 슬롯 전단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에 사용하며 용변후 인체의 부분 부위를 세정하는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분수장치는 두개이며, 그 중의 한 분수장치의 노즐은 하나의 분수 구멍이 있으며, 다른 한 분수장치의 노즐에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분수 구멍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에 사용하며 용변후 인체의 부분 부위를 세정하는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동기 작동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에 사용하며 용변후 인체의 부분 부위를 세정하는 장치.
KR2020090001174U 2008-04-16 2009-02-04 좌변기에 사용하며 용변후 인체의 부분 부위를 세정하는 장치 KR2009001074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174U KR20090010742U (ko) 2008-04-16 2009-02-04 좌변기에 사용하며 용변후 인체의 부분 부위를 세정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820101996.5 2008-04-16
KR2020090001174U KR20090010742U (ko) 2008-04-16 2009-02-04 좌변기에 사용하며 용변후 인체의 부분 부위를 세정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742U true KR20090010742U (ko) 2009-10-21

Family

ID=41539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1174U KR20090010742U (ko) 2008-04-16 2009-02-04 좌변기에 사용하며 용변후 인체의 부분 부위를 세정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074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8814A1 (ko) * 2013-06-26 2014-12-31 주식회사 엔젤윙즈 자동 배변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8814A1 (ko) * 2013-06-26 2014-12-31 주식회사 엔젤윙즈 자동 배변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19466B2 (ja) 衛生洗浄装置
EP3438358B1 (en) Sanitary washing device
CN108699831B (zh) 卫生清洗装置
CN108699829B (zh) 卫生清洗装置
CN108699828B (zh) 卫生清洗装置
JP6754940B2 (ja) 衛生洗浄装置
CN108412004B (zh) 卫生清洗装置
JPWO2016189814A1 (ja) 衛生洗浄装置
JP6655775B2 (ja) 衛生洗浄装置
KR20090010742U (ko) 좌변기에 사용하며 용변후 인체의 부분 부위를 세정하는 장치
CN108412003B (zh) 卫生清洗装置
JP4882858B2 (ja) 衛生洗浄装置
KR20180014601A (ko) 노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JP3150419U (ja) 便座に使用される、排便後における人体の一部の洗浄装置
JP6765034B2 (ja) 衛生洗浄装置
WO2017187921A1 (ja) 衛生洗浄装置
KR100762656B1 (ko) 비데의 노즐 구동 장치
JP6515464B2 (ja) 人体局部洗浄装置
KR20110105236A (ko) 비데의 노즐 어셈블리
CN111691518A (zh) 一种用于坐便器的喷枪系统
KR20020064688A (ko) 비데의 세척노즐 구동장치
CN101368404B (zh) 喷管装置
KR200425173Y1 (ko) 비데의 노즐구동장치
JP2736588B2 (ja) 局部洗浄装置
JP4840194B2 (ja) 衛生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