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751B1 -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751B1
KR102467751B1 KR1020200106181A KR20200106181A KR102467751B1 KR 102467751 B1 KR102467751 B1 KR 102467751B1 KR 1020200106181 A KR1020200106181 A KR 1020200106181A KR 20200106181 A KR20200106181 A KR 20200106181A KR 102467751 B1 KR102467751 B1 KR 102467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rement
washing water
user
toilet
butt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6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5459A (ko
Inventor
김남두
Original Assignee
(주)메디엔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디엔비테크 filed Critical (주)메디엔비테크
Priority to KR1020200106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751B1/ko
Priority to PCT/KR2020/018318 priority patent/WO2022045482A1/ko
Priority to CN202080006314.6A priority patent/CN114521138B/zh
Publication of KR20220025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5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6Chamber-pots; Throw-away urinals for non-bedridden persons; Chamber-po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1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having venting or deodorant means, e.g. filters ; having antiseptic means, e.g. bacterial 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2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having irrigation ports 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3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having adhesive seals for securing to the body, e.g. of hydrocolloid type, e.g. gels, starches, karaya gu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일측이 사용자의 배설 부위를 감싸도록 마련되며, 배설물 수용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사용자의 배설물을 흡입하고 상기 사용자의 둔부를 세척 및 건조하는 배변기; 일측이 상기 배변기의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의 배설물, 세척수 및 공기가 이동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의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관을 통해 이동된 배설물 처리하고, 세척수를 저장하며, 공기를 정화하는 배변 처리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배변기는, 상기 배설물 수용 공간에 미세입자의 세척수를 스머징 방식으로 분사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설 부위 및 상기 배설물 수용 공간을 세척하는 스머징 노즐부; 상기 사용자의 배설물 및 상기 사용자의 둔부를 세척한 세척수를 흡입하는 배설물 흡입부; 상기 사용자의 둔부를 건조하는 건조용 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automatic excretion cleaner}
본 발명은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를 위해 소변 및 대변을 자동으로 처리하는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노인 인구의 비율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요양을 필요로 하는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중풍환자, 신체 일부 또는 전부가 마비된 환자, 신체 장애인, 중환자, 거동이 불편한 환자 등 스스로 배뇨 또는 배변을 해결하지 못하는 환자의 경우, 보호자 또는 간병인이 직접 배뇨 또는 배변을 처리해야 했다.
그러나, 배설물의 뒤처리는 환자 본인은 물론 보호자나 간병인에게 번거로움을 주고, 환자 스스로가 수치심을 느끼며, 불쾌감, 육체적 피로, 오염 또는 전염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었다. 또한, 배설물로 인한 악취가 발생하여 주변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보호자 또는 간병인이 없을 경우, 환자의 배설물이 즉시 처리되지 못해서 환자에게 불쾌감을 주고 주변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환자의 배설물 처리는 환자, 보호자나 간병인 모두에게 고통스러운 작업이며, 간병인의 인건비가 상승하여 보호자에게 상당한 경제적 부담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위생적이고 효율적인 배설물 처리 방법 또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중풍환자, 신체 일부 또는 전부가 마비된 환자, 신체 장애인, 중환자, 거동이 불편한 환자 등 스스로 배뇨 및 배변을 해결하지 못하는 환자를 위해 자동으로 소변 및 배변을 처리하는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일측이 사용자의 배설 부위를 감싸도록 마련되며, 배설물 수용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사용자의 배설물을 흡입하고 상기 사용자의 둔부를 세척 및 건조하는 배변기; 일측이 상기 배변기의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의 배설물, 세척수 및 공기가 이동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의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관을 통해 이동된 배설물 처리하고, 세척수를 저장하며, 공기를 정화하는 배변 처리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배변기는, 상기 배설물 수용 공간에 미세입자의 세척수를 스머징 방식으로 분사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설 부위 및 상기 배설물 수용 공간을 세척하는 스머징 노즐부; 상기 사용자의 배설물 및 상기 사용자의 둔부를 세척한 세척수를 흡입하는 배설물 흡입부; 상기 사용자의 둔부를 건조하는 건조용 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변기는, 상기 배설물 수용 공간 내부 측면이 기 설정된 두께만큼 단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변기는, 상기 사용자의 둔부와 밀착하며, 상기 사용자의 욕창을 방지하기 위한 의료용 실리콘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변기는, 상기 사용자의 성기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한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 일면과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의 둔부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둔부 밀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컵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둔부 밀착부재와 연결된 일면에는 상기 사용자의 배설물을 수거하여 배출하는 제 1배출홀 상기 둔부 밀착부재는 상기 제 1배출홀과 연결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 1배출홀을 통해 이동된 배설물을 상기 배설물 수용 공간 내부로 배출하는 제 2배출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머징 노즐부는, 상기 배변기의 내측면에 두개 이상 마련되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배변기 내부 상단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배변기 하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머징 노즐부는,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이동 파이프가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상기 세척수 이동 파이프를 통해 공급받은 세척수를 기 설정된 양만큼 보관하는 공간을 갖고, 상기 기 설정된 세척수의 양에 따라 기 설정된 길이를 갖는 노즐 세척수 보관부재; 상기 노즐 세척수 보관부재의 길이방향에 기 설정된 각도를 갖도록 마련되고 상기 사용자의 배설 부위 및 상기 배설물 수용 공간으로 세척수를 스머징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복수 개의 상기 스머징 노즐부와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이동 파이프; 상기 배설물 흡입부와 연결되어 상기 배변기 내부에 배설된 배설물 및 상기 사용자의 둔부를 세척한 세척수가 상기 배변 처리 본체로 이동되는 오물 파이프; 상기 건조용 노즐부와 연결되어 상기 배변기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건조 공기 파이프; 및 상기 배변기 내부에 배치된 배변 감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을 수용하는 전선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변 감지 센서는, 진동 센서, 압력 센서, 습도 센서, 열 센서로 이루어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변 처리 본체는, 상기 스머징 노즐부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미세입자 크기, 분사 각도, 분사 횟수, 분사 시간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변 처리 본체는,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어 흡입된 배설물 및 상기 사용자의 둔부를 세척한 세척수가 저장되는 배설물 저장부;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어 상기 배변기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수 저장부; 상기 배설물 저장부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배설물 저장부 내부의 악취를 정화하는 미생물 필터부; 및 상기 배변 처리 본체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배변기, 상기 연결관, 상기 배변 처리 본체에 흡입 압력을 제공하고, 상기 미생물 필터부를 통해 정화된 정화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입 모터는, 상기 정화공기의 온도를 기 설정된 온도로 가온하며, 가온된 정화공기는 상기 배변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배설 부위를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상기 배설물 저장부는, 하단 일면에 마련되며, 저장된 상기 흡입된 배설물 및 상기 사용자의 둔부를 세척한 세척수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설물 자동처리 장치는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를 위해 소변 및 대변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설물 자동처리 장치는 스머징 방식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외부로 배설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변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둔부 밀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머징 노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변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변 처리 본체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1)는 배변기(10), 연결관(20), 배변 처리 본체(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배변기(10)의 개방된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하며, 타측을 후방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또한, 도 1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을 상부로 정의하고, 하측 방향을 하부로 정의하도록 한다.
배변기(10)는 사용자의 소변 및 대변을 수집하도록 전방이 사용자의 배설 부위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변기(10)는 사용자의 배뇨 및 배설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배뇨 및 배설을 감지하는 센서는 예를 들어, 진동 센서일 수 있다. 배변기(10)는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소변 및 대변이 감지되면, 배변기(10)의 내부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변기(10)는 사용자의 배설 부위에 묻은 배설물 및 배변기(10)의 내부에 배설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배변기(10)의 내부로 분사할 수 있다. 배변기(10)는 사용자의 배설 부위 및 배변기(10) 내부의 세척이 종료된 이후, 배변기(10)에 수집된 오수(예를 들어, 사용자의 소변, 배변 및 사용자의 배설 부위를 세척한 세척수)는 연결관(2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후, 배변기(10) 내부에는사용자의 배설 부위를 건조할 수 있는 공기가공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변기(10)는 세척이 종료된 이후 배변기(10)의 내부에 공기가 공급되어, 사용자의 배설 부위에 묻은 세척수를 건조할 수 있다. 따라서, 배변기(10) 내부는 쾌적한 환경이 유지될 수 있다.
연결관(20)은 배변기(10) 및 배변 처리 본체(30)를 연결하는 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관(20)의 일단은 배변기(10)의 후방 일측과 연결되고, 타단은 배변 처리 본체(30)의 전방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관(20)은내부에 복수 개의 중공이 형성된 관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관(20) 내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중공이 형성된 관들은 사용자의 소변, 대변, 세척수, 건조 공기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연결관(20)은 배변기(10) 내부 센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을 포함할 수 있다.
배변 처리 본체(30)는 연결관(20)으로부터 이동된 소변, 대변 및 사용자의 배설 부위를 세척한 세척수를 내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배변 처리 본체(30)는 배변기(10)에 분사되는 세척수를 보관할 수 있다. 배변 처리 본체(30)는 저장된 소변 및 대변으로 인해 악취가 나는 공기를 미생물 필터를 이용하여 정화할 수 있다. 배변 처리 본체(30)의 정화된 공기는 배변 처리 본체(30)에 마련된 흡입 모터(340, 도 8참조)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생물 필터를 통해 정화된 공기는 흡입 모터(340)로 이동될 수 있으며, 흡입 모터(340)의 가동으로 발생되는 열로 인해 배변 처리 본체(30) 내부의 공기는 가온될 수 있다. 가온된 공기는 연결관(20)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가온된 공기는 연결관(20)에 일면에 연결된 배변기(10)의 내부로 분사되어, 사용자의 배설 부위를 건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변기(10)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11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둔부 밀착부재(12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머징 노즐부(13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변기(10)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배변기(10)는 커버부재(110), 둔부 밀착부재(120), 스머징 노즐부(130), 배설물 흡입부(140), 건조용 노즐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배변기(10)는 사용자의 배설 부위를 감싸도록 사용자의 둔부와 성기부에 밀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커버부재(110) 및 둔부 밀착부재(120)는 의료용 실리콘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료용 실리콘의 소재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합성수지제 소재를 사용할 수 있지만, 열거한 소재 이외에도 열거한 소재와 동등 이상의 물성을 갖고 인체에 무해한 소재일 경우에는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커버부재(110) 및 둔부 밀착부재(120)가 의료용 실리콘으로 마련됨으로써, 장시간 사용자의 배설 부위에 밀착하여 착용할 경우 생길 수 있는 욕창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부재(110)는 사용자의 성기부를 감싸며, 성기부의 굴곡진 형상에 대응되는 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커버부재(110)는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사용자의 소변을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커버부재(110)는 제 1커버(112), 제 2커버(114), 제 1배출홀(116)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커버(112)는 사용자의 성기를 감싸며, 사용자의 성기부의 굴곡진 형상에 대응되는 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 1커버(112)는 자바라 형상으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커버(112)는 사용자의 성기 일부를 감싸지 못할 경우, 길이를 늘려 사용자의 성기를 완전히 감싸도록 조절될 수 있다. 제 1커버(112) 외주면에는 제 2커버(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커버(114)는 제 1커버(112)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판 형상으로 마련되며, 사용자의 성기부 주위에 밀착될 수 있다. 제 2커버(114)는 사용자의 성기부 주위에 밀착되어 있어 사용자의 소변이 커버부재(110)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부재(110) 내부에는 제 1배출홀(116)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배출홀(116)은 배변기(10) 하부로 관통된 형상일 수 있으며, 제 1커버(112) 내부를 통해 이동된 사용자의 소변이 후술하는 둔부 밀착부재(120)에 수집될 수 있도록 둔부 밀착부재(120)와 맞닿는 면에 형성된 홀일 수 있다.
커버부재(110)는 일면에는 둔부 밀착부재(120)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면, 둔부 밀착부재(120)는 배설물 수용 공간(122), 배설물 수용 공간 측벽(124), 제 2배출홀(126)을 포함할 수 있다.
둔부 밀착부재(120)는 사용자의 둔부에 밀착하여 마련되고, 둔부의 굴곡진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둔부 밀착부재(120)는 내부에 사용자의 배변을 수집할 수 있으며, 커버부재(110)와 연결되어 마련됨으로써, 사용자의 소변을 수집할 수 있다.
배설물 수용 공간(122)은 둔부 밀착부재(120) 내부에 함몰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배설물 수용 공간(122)은 사용자의 소변 및 대변을 수집할 수 있다. 배설물 수용 공간(122)의 양측벽은 기 설정된 두께만큼 단을 갖도록 형성된 배설물 수용 공간 측벽(124)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설물 수용 공간 측벽(124)은 스머징 노즐부(130, 도 2참조)가 배설물 수용 공간(122) 내부로 세척수를 분사 시 형성된 단차를 타고 배설물 수용 공간(122)으로 수집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설물 수용 공간 측벽(124)은 세척수가 배변기(10)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배출홀(126)은 배변기(10) 상부로 관통된 형상일 수 있으며, 둔부 밀착부재(120) 상부(즉, 커버부재(110)와 맞닿는 면)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제 1배출홀(116)과 연결될 수 있다. 제 2배출홀(126)은 제 1배출홀(116)을 통해 이동된 사용자의 소변이 배설물 수용 공간(122) 내부로 이동시키는 통로일 수 있다. 제 2배출홀(126)은 사용자의 소변이 배설물 수용 공간(122) 내부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커브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둔부 밀착부재(120) 내부에는 스머징 노즐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
스머징 노즐부(130)는 둔부 밀착부재(120) 내부에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부에 2개, 하부에 1개가 마련되는 것을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머징 노즐부(130)는 둔부 밀착부재(120)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복수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스머징 노즐부(130)는 연결관(20)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스머징 노즐부(130)는 공급받은 세척수를 사용자의 둔부 및 둔부 밀착부재(120) 내부에 스머징 방식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여기서, 스머징 방식이란 세척수를 미세입자로 분사하는 방식을 말한다.
스머징 노즐부(130)는 배뇨 및 배설이 끝난 사용자의 둔부 및 둔부 밀착부재(120) 내부를 세척할 수 있다. 스머징 노즐부(130)는 스머징 방식으로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사용자의 둔부를 세척시 배변기(10) 외부로 배설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여성 사용자의 경우, 둔부에 묻은 배설물이 성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면, 스머징 노즐부(130)는 연결부(132), 노즐 세척수 보관부재(134), 세척수 분사부재(136)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32)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연결부(132)가 원통형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부(132)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연결부(132)는 연결관(20)과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변 처리 본체(30)에 보관된 세척수는 연결관(20)으로 이동되고, 연결관(20)을 통해 이동된 세척수는 연결부(132)로 이동될 수 있다. 연결부(132) 일면에는 노즐 세척수 보관부재(134)가 마련될 수 있다.
노즐 세척수 보관부재(134)는 연결부(132) 일면에 연결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노즐 세척수 보관부재(134)는 원통형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노즐 세척수 보관부재(134)는 다양한 형상(예를 들어, 다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노즐 세척수 보관부재(134)는 연결부(132)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노즐 세척수 보관부재(134)는 일정량의 세척수를 보관할 수 있다. 노즐 세척수 보관부재(134)는 일정량 보관된 세척수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노즐 세척수 보관부재(134)는 외주면에 기 설정된 각도를 갖도록 마련되는 세척수 분사부재(136)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각도는 10도에서 90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세척수 분사부재(136)가 90도로 마련되는 것을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세척수 분사부재(136)는 10도에서 90도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세척수 분사부재(136)는 노즐 세척수 보관부재(134)로부터 압력이 가해진 세척수를 공급받아 배변기(10) 내부에 스머징 방식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스머징 노즐부(130)는 배변 처리 본체(30) 내부의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머징 노즐부(130)는, 기 설정된 제어부의 제어 값에 따라 배변기(10) 내부에 분사하는 세척수의 미세입자 크기, 분사 각도, 분사 횟수, 분사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로 돌아가 참조하면, 배설물 흡입부(140)는 사용자의 소변, 배변 및 사용자의 둔부를 세척한 세척수가 연결관(20)으로 이동되는 통로로, 둔부 밀착부재(120) 내부에 마련되고, 후방으로 관통된 형상으로 둔부 밀착부재(120) 내부 후방 측벽에 마련될 수 있다.
건조용 노즐부(150)는 배변기(10)의 후방으로 관통된 형상으로, 둔부 밀착부재(120) 내부에 마련되고, 후방으로 관통된 형상으로 둔부 밀착부재(120) 내부 후방 측벽에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둔부 밀착부재(120) 내부 후방 측벽에 한 쌍이 마련되는 것을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건조용 노즐부(150)는 둔부 밀착부재(120) 1개 내지 복수 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건조용 노즐부(150)는 사용자의 둔부 및 둔부 밀착부재(120) 내부에 세척이 종료된 후 사용자의 둔부를 건조할 수 있는 공기가 배변기(1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도 6을 참조하면, 둔부 밀착부재(120)는 배변 감지 센서(128)를 포함할 수 있다.
배변 감지 센서(128)는 배설물 수용 공간(122) 하부 외측벽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변 감지 센서(128)는 진동 센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배변 감지 센서(128)는 진동 센서로 마련되는 것을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변 감지 센서(128)는 압력 센서, 습도 센서, 열 센서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배변 감지 센서(128)는 사용자의 배뇨 및 배설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설물 수용 공간(122)은 사용자의 소변 및 대변이 수집될 수 있다. 배설물 수용 공간(122) 내부에 낙하되는 소변 및 대변은 배설물 수용 공간(122) 내부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배설물 수용 공간(122) 내부에 발생된 진동은 배변 감지 센서(128)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배변 감지 센서(128)는 감지된 진동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는 신호를 전달받아 스머징 노즐부(1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20)의 단면도이다.
연결관(20)은 세척수 이동 파이프(210), 오물 파이프(220), 건조 공기 파이프(230), 전선 파이프(24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수 이동 파이프(210)는 내부가 관통된 관 형상으로 연결관(20) 내주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일면이 연결부(132)와 연결되고, 타면은 배변 처리 본체(30)와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세척수 이동 파이프(210)는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세척수 이동 파이프(210)는 배변기(10) 내부에 분사되는 세척수가 이동되는 통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척수 이동 파이프(210)는 배변 처리 본체(30)로부터 공급받은 세척수가 연결부(132)로 이동되는 통로일 수 있다.
오물 파이프(220)는 내부가 관통된 관 형상으로 연결관(20) 중심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일면이 배설물 흡입부(140)와 연결되고, 타면은 배변 처리 본체(30)와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오물 파이프(220)는 배설물 수용 공간(122)에 소변, 배변 및 사용자의 배설 부위를 세척한 세척수가 이동되는 통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물 파이프(220)는 배설물 수용 공간(122)에 소변, 배변 및 사용자의 배설 부위를 세척한 세척수가 배변 처리 본체(30)로 이동되는 통로일 수 있다.
건조 공기 파이프(230)는 내부가 관통된 관 형상으로 연결관(20) 내주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일면이 배변기(10)의 건조용 노즐부(150)와 연결되고, 타면은 배변 처리 본체(30)와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건조 공기 파이프(230)는 사용자의 배설 부위를 건조하기 위한 공기가 이동되는 통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조 공기 파이프(230)는 배변 처리 본체(30)의 가온된 공기가 이동되는 통로이며, 배변기(10) 내부에 가온된 공기를 공급하여 사용자의 배설 부위를 건조하는 공기가 이동되는 통로일 수 있다.
전선 파이프(240)는 내부가 관통된 관 형상으로 연결관(20) 내주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일면이 배변기(10)의 배변 감지 센서(128)와 연결되고, 타면은 배변 처리 본체(30)와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전선 파이프(240)는 배변 감지 센서(128)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선을 수용하는 관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변 처리 본체(30)의 단면도이다.
배변 처리 본체(30)는 배설물 저장부(310), 세척수 저장부(320), 미생물 필터부(330), 흡입 모터(34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설물 저장부(310)는 사용자의 소변, 배변 및 사용자의 배설 부위를 세척한 세척수가 저장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배변 처리 본체(3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배설물 저장부(310)가 내부에 공간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된 것을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설물 저장부(31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배설물 저장부(310)는 오물 파이프(220)으로부터 이동된 소변, 배변 및 사용자의 배설 부위를 세척한 세척수가 저장될 수 있다. 배설물 저장부(310)의 하부 일면에는 중량 감지 센서(312)가 마련될 수 있다.
중량 감지 센서(312)는 중량을 감지하는 하중 센서일 수 있다. 배설물 저장부(310) 내부에 저장된 소변, 배변 및 사용자의 배설 부위를 세척한 세척수의 중량을 감지할 수 있다. 중량 감지 센서(312)는 배설물 저장부(310)의 중량이 기 설정된 중량을 초과할 경우,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1)의 구동을 중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설물 저장부(310)는 내부에 소변, 배변 및 사용자의 배설 부위를 세척한 세척수가 저장되면서 배설물 저장부(310)에 저장된 중량이 증가될 수 있다. 이때, 중량 감지 센서(312)는 배설물 저장부(310)의 중량을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배설물 저장부(310)의 중량이 기 설정된 중량이 될 경우,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1)의 중량 초과 신호를 제어부(미도시)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는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1)의 구동을 중량 초과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1)의 구동을 중단할 수 있다.
세척수 저장부(320)는 세척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된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세척수 저장부(320)는 세척수 이동 파이프(210)와 연결되어, 저장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미생물 필터부(330)는 배설물 저장부(310) 내부 상단에 마련될 수 있다. 미생물 필터부(330)는 톱밥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성되는 충전재에 미생물을 접종시키는 구조로, 배설물 저장부(310)의 배설물에서 발생되는 오염공기가 통과되면 오염 공기(암모니아 기체 및 악취)를 정화할 수 있다.
흡입 모터(340)는 배변 처리 본체(30) 하단에 위치하여 배변기(10), 연결관(20) 배변 처리 본체(30)에 흡입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 모터(340)는 배설물 저장부(31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오염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오염 공기가 미생물 필터를 거쳐 배변기로 방출되도록 흡입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입 모터(340)는 구동을 통해 배설물 저장부(310) 내부의 오염 공기가 미생물 필터부(330)로 이동되도록 한다. 오염 공기는 미생물 필터부(330)를 통과하면서 정화될 수 있다. 정화된 공기는 흡입 모터(340)으로 이동될 수 있다. 흡입 모터(340)으로 이동된 공기는 흡입 모터(340)의 가동 열에 의해 가온될 수 있다. 이렇게 가온된 공기는 흡입 모터(340)와 연결된 건조 공기 파이프(230)로 이동될 수 있다. 가온된 공기는 사용자의 배설 부위를 건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
10 : 배변기
110 : 커버부재
112 : 제 1커버
114 : 제 2커버
116 : 제 1배출홀
120 : 둔부 밀착부재
122 : 배설물 수용 공간
124 : 배설물 수용 공간 측벽
126 : 제 2배출홀
128 : 배변 감지 센서
130 : 스머징 노즐부
132 : 연결부
134 : 노즐 세척수 보관부재
136 : 세척수 분사부재
140 : 배설물 흡입부
150 : 건조용 노즐부
20 : 연결관
210 : 세척수 이동 파이프
220 : 오물 파이프
230 : 건조 공기 파이프
240 : 전선 파이프
30 : 배변 처리 본체
310 : 배설물 저장부
312 : 중량 감지 센서
320 : 세척수 저장부
330 : 미생물 필터부
340 : 흡입 모터

Claims (12)

  1. 일측이 사용자의 배설 부위를 감싸도록 마련되며, 배설물 수용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사용자의 배설물을 흡입하고 상기 사용자의 둔부를 세척 및 건조하는 배변기;
    일측이 상기 배변기의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의 배설물, 세척수 및 공기가 이동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의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관을 통해 이동된 배설물 처리하고, 세척수를 저장하며, 공기를 정화하는 배변 처리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배변기는,
    상기 배설물 수용 공간에 미세입자의 세척수를 스머징 방식으로 분사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설 부위 및 상기 배설물 수용 공간을 세척하는 스머징 노즐부;
    상기 사용자의 배설물 및 상기 사용자의 둔부를 세척한 세척수를 흡입하는 배설물 흡입부;
    상기 사용자의 둔부를 건조하는 건조용 노즐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설물 수용 공간은, 양측에 기 설정된 두께만큼 단차가 형성된 배설물 수용 공간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스머징 노즐부가 상기 배설물 수용 공간 내부로 세척수를 분사 시, 분사된 상기 세척수가 상기 단차가 형성된 배설물 수용 공간 측벽을 따라 상기 배설물 수용 공간으로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기는,
    상기 사용자의 둔부와 밀착하며, 상기 사용자의 욕창을 방지하기 위한 의료용 실리콘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기는,
    상기 사용자의 성기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한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 일면과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의 둔부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둔부 밀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컵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둔부 밀착부재와 연결된 일면에는 상기 사용자의 배설물을 수거하여 배출하는 제 1배출홀
    상기 둔부 밀착부재는 상기 제 1배출홀과 연결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 1배출홀을 통해 이동된 배설물을 상기 배설물 수용 공간 내부로 배출하는 제 2배출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머징 노즐부는,
    상기 배변기의 내측면에 두개 이상 마련되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배변기 내부 상단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배변기 하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머징 노즐부는,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이동 파이프가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상기 세척수 이동 파이프를 통해 공급받은 세척수를 기 설정된 양만큼 보관하는 공간을 갖고, 상기 기 설정된 세척수의 양에 따라 기 설정된 길이를 갖는 노즐 세척수 보관부재;
    상기 노즐 세척수 보관부재의 길이방향에 기 설정된 각도를 갖도록 마련되고 상기 사용자의 배설 부위 및 상기 배설물 수용 공간으로 세척수를 스머징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복수 개의 상기 스머징 노즐부와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이동 파이프;
    상기 배설물 흡입부와 연결되어 상기 배변기 내부에 배설된 배설물 및 상기 사용자의 둔부를 세척한 세척수가 상기 배변 처리 본체로 이동되는 오물 파이프;
    상기 건조용 노즐부와 연결되어 상기 배변기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건조 공기 파이프; 및
    상기 배변기 내부에 배치된 배변 감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을 수용하는 전선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 감지 센서는,
    진동 센서, 압력 센서, 습도 센서, 열 센서로 이루어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 처리 본체는,
    상기 스머징 노즐부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미세입자 크기, 분사 각도, 분사 횟수, 분사 시간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 처리 본체는,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어 흡입된 배설물 및 상기 사용자의 둔부를 세척한 세척수가 저장되는 배설물 저장부;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어 상기 배변기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수 저장부;
    상기 배설물 저장부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배설물 저장부 내부의 악취를 정화하는 미생물 필터부; 및
    상기 배변 처리 본체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배변기, 상기 연결관, 상기 배변 처리 본체에 흡입 압력을 제공하고, 상기 미생물 필터부를 통해 정화된 정화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모터는,
    상기 정화공기의 온도를 기 설정된 온도로 가온하며, 가온된 정화공기는 상기 배변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배설 부위를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설물 저장부는,
    하단 일면에 마련되며, 저장된 상기 흡입된 배설물 및 상기 사용자의 둔부를 세척한 세척수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
KR1020200106181A 2020-08-24 2020-08-24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 KR102467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181A KR102467751B1 (ko) 2020-08-24 2020-08-24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
PCT/KR2020/018318 WO2022045482A1 (ko) 2020-08-24 2020-12-15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
CN202080006314.6A CN114521138B (zh) 2020-08-24 2020-12-15 排泄物自动处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181A KR102467751B1 (ko) 2020-08-24 2020-08-24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5459A KR20220025459A (ko) 2022-03-03
KR102467751B1 true KR102467751B1 (ko) 2022-11-16

Family

ID=80353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6181A KR102467751B1 (ko) 2020-08-24 2020-08-24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467751B1 (ko)
CN (1) CN114521138B (ko)
WO (1) WO20220454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018B1 (ko) * 2022-08-31 2024-01-25 (주)메디엔비테크 대소변 처리 장치
TWI813476B (zh) * 2022-10-18 2023-08-21 國立虎尾科技大學 適用於單人照護之長照清潔系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1313A (ja) * 1998-08-07 2000-02-22 Takehiro Nakashiro 排泄物処理器
JP2003334472A (ja) * 2002-03-11 2003-11-25 Toto Ltd 洗浄ノズル
JP2006230934A (ja) 2005-02-28 2006-09-07 Toshiba Corp 排泄補助装置
KR101633486B1 (ko) * 2013-06-26 2016-06-24 주식회사 엔젤윙즈 자동 배변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439B1 (ko) * 2001-12-29 2005-06-17 정은수 환자의 배설물 즉시처리장치
KR200434397Y1 (ko) * 2006-09-21 2006-12-20 주식회사 거북표씽크 싱크대의 개수대
KR101210932B1 (ko) * 2011-02-28 2012-12-11 근로복지공단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KR101299185B1 (ko) * 2011-09-09 2013-08-22 주식회사 엔젤윙즈 자동 배변 처리장치
CN102961226A (zh) * 2012-12-04 2013-03-13 无锡佑尔医疗技术有限公司 排泄物自动集便装置
KR101622102B1 (ko) * 2013-11-04 2016-05-18 이훈상 회전노즐이 구비된 배설물 처리장치
JP6681411B2 (ja) * 2015-02-03 2020-04-15 キュラ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CURACO,Inc. 人体に合わせた排泄物処理装置
CN204570907U (zh) * 2015-05-04 2015-08-19 海南大学 一种易于清理的阶梯式盖板排水沟系统
CN104818757A (zh) * 2015-05-08 2015-08-05 张昭 小便免冲水型两用座便器
KR101650682B1 (ko) * 2016-03-11 2016-08-25 장광주 물 무사용 위생 양변기
CN105877953B (zh) * 2016-05-31 2018-03-20 刘博乾 智能护理机用粪便接收处理系统
CN106745692A (zh) * 2017-01-25 2017-05-31 天津大学 一种防降雨径流冲刷和强化污染物净化的生态沟渠系统
KR102003747B1 (ko) * 2017-07-25 2019-07-26 주식회사 큐라코 배설물 처리장치의 세척 및 소독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CN207685955U (zh) * 2017-12-29 2018-08-03 北京几何科技有限公司 一种马桶
CN208137044U (zh) * 2018-04-17 2018-11-23 广东樱奥厨具有限公司 一种阶梯式水槽
CN208822631U (zh) * 2018-05-25 2019-05-07 遵义医学院附属医院 一种泌尿科用清洁器
CN109047100A (zh) * 2018-07-16 2018-12-21 孙永保 一种便捷式医疗器械清洗消毒箱
CN109339172B (zh) * 2018-11-13 2020-11-27 广东翔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节水坐便器
KR102101812B1 (ko) * 2019-06-11 2020-04-20 뉴월드인텍(주) 절수식 양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1313A (ja) * 1998-08-07 2000-02-22 Takehiro Nakashiro 排泄物処理器
JP2003334472A (ja) * 2002-03-11 2003-11-25 Toto Ltd 洗浄ノズル
JP2006230934A (ja) 2005-02-28 2006-09-07 Toshiba Corp 排泄補助装置
KR101633486B1 (ko) * 2013-06-26 2016-06-24 주식회사 엔젤윙즈 자동 배변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521138B (zh) 2024-04-12
CN114521138A (zh) 2022-05-20
WO2022045482A1 (ko) 2022-03-03
KR20220025459A (ko)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5717B1 (ko)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KR102467751B1 (ko)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
KR101579889B1 (ko) 자동배변 처리장치의 컵유닛 분사노즐
JP2016523170A (ja) 自動排便処理装置
KR20050031996A (ko) 자동 배뇨 처리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뇨 리셉터클
KR100226079B1 (ko) 인체장착 변기부 배변, 배뇨 자동처리 팬티
KR101947797B1 (ko)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
KR100496439B1 (ko) 환자의 배설물 즉시처리장치
KR101713547B1 (ko) 와상환자를 위한 전자동 배변처리기
KR20070006303A (ko) 배변기를 구비하는 환자용 매트리스 시스템
KR101072842B1 (ko) 거동불편 환자용 자동 대소변 처리장치
KR200453814Y1 (ko) 자동배변처리장치가 구비된 매트리스
KR20090078139A (ko) 개량 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수집장치
KR101052024B1 (ko) 대소변 배출기
KR200348639Y1 (ko) 환자용 이동식 배변기
WO2007034774A1 (ja) オムツカバー体
KR20160097533A (ko) 자동배변 처리장치의 모드제어방법
JP2007312920A (ja) 自動排泄処理装置及び自動排泄処理方法
CN116133631A (zh) 用于收集无法走动患者的身体废物的系统
CN113599138A (zh) 一种全自动智能卧床综合监测大小便护理机及操作方法
KR20160097531A (ko) 전후이동가능한 연결배관을 구비한 자동배변 처리장치
KR100963234B1 (ko)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위치 고정장치
JP2007089668A (ja) 自動排泄処理装置
WO2008038486A1 (fr) Dispositif de traitement des excréments humains
JP2006000288A (ja) 排泄物処理システムおよびオム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