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8139A - 개량 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수집장치 - Google Patents

개량 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수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8139A
KR20090078139A KR1020080003948A KR20080003948A KR20090078139A KR 20090078139 A KR20090078139 A KR 20090078139A KR 1020080003948 A KR1020080003948 A KR 1020080003948A KR 20080003948 A KR20080003948 A KR 20080003948A KR 20090078139 A KR20090078139 A KR 20090078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re
air
diaper
hose
dischar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일
Original Assignee
이동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일 filed Critical 이동일
Priority to KR1020080003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8139A/ko
Publication of KR20090078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1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1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having venting or deodorant means, e.g. filters ; having antiseptic means, e.g. bacterial 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 또는 노인의 배설물을 받아 수집하여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인체를 세척 건조하는 자동화된 분뇨수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자가 착용하여 배설물을 수집하는 개량 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수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분뇨수집장치의 분뇨수집기저귀는 기저귀 내에 분뇨가 수집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지 않아 대소변을 본 후 분뇨를 기저귀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기계식 작동을 하기 전에 환자에게 불쾌감을 주고 분뇨 배출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체로부터 배설되는 분뇨를 수집하는 분뇨 수집 기저귀와, 상기 분뇨 수집 기저귀의 분뇨를 이송하는 분뇨배출호스와, 상기 이송된 분뇨를 저장하는 분뇨 저장 트레이와, 상기 분뇨 저장 트레이에 흡입력을 제공하고 상기 분뇨 수집 기저귀에 압출 공기를 제공하는 압력 펌프, 그리고 상기 압력 펌프에 연결되는 흡입 파이프 및 공기공급호스을 포함하는 분뇨 수집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뇨 수집 기저귀는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는 컵 형상의 기저귀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함몰부에는 분뇨배출공이 형성되어 분뇨배출호스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 수집 장치를 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분뇨 수집 기저귀에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는 컵 형상의 기저귀 몸체를 제공함으로써 대소변시 자연스럽게 함몰부로 수집됨으로써 환자의 불쾌감이 바로 해소되며, 함몰부에 분뇨배출호스가 연결됨으로써 분뇨 배출의 효율 증진의 장점이 있다.
분뇨, 수집, 기저귀, 공기분리기, 매트

Description

개량 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수집장치 {Gathering apparatus of excretions}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 또는 노인의 배설물을 받아 수집하여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인체를 세척 건조하는 자동화된 분뇨수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자가 착용하여 배설물을 수집하는 개량 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수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인의 대소변을 받아내기 위하여, 기존에는 기저귀나 대소변용 깡통을 주로 사용했다.
그러나 이러한 기저귀나 대소변용 깡통은 사용자의 손이 많이 필요하여 사용상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 병원 또는 가정에서 사용되는 대소변(이하 '분뇨'라 한다) 수집 장치는 사용자의 요도 구멍 및 항문을 감싸는 기계식 분뇨 수집 기저귀를 구비하고, 상기 기저귀에 유입된 분뇨를 저장통으로 빨아들여 저장하는 한편, 사용자의 중요부위를 세척 건조시키는 자동화된 분뇨 수집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자동화된 분뇨수집장치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기존의 분뇨수집장치의 분뇨수집기저귀는 기저귀 내에 분뇨가 수집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지 않아 대소변을 본 후 분뇨를 기저귀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기계식 작동을 하기 전에 환자에게 불쾌감을 주고 분뇨 배출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기존의 분뇨수집장치의 분뇨수집기저귀는 하나의 압출관과 압출공을 통하여 분뇨 수집 기저귀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분뇨수집기저귀 내부 전체적인 공기의 흐름을 만들 수 없어 분뇨의 배출시 기저귀 내에 분뇨 찌꺼기가 남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분뇨수집기저귀의 외부의 배관 등이 노출되는 경우 청소 관리가 힘들었으며, 분뇨수집기저귀를 착용하고 누운 경우 분뇨수집기저귀의 형상에 따라 환자의 자세가 치우쳐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환자나 노인이 분뇨수집기저귀를 착용하고 침대에 누운 경우 착용한 분뇨 수집 기저귀에 의하여 엉덩이 부분이 침대와 떨어지게 되어 자세가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다섯째, 기존의 분뇨수집장치의 분뇨수집기저귀는 공기의 흡입력만을 이용하여 분뇨를 빨아들이거나 공기의 압출과 흡입을 이용할 수 있는데, 공기의 흡입만을 이용하는 경우 분뇨수집장치의 효율이 떨어지고, 압출과 흡입을 이용하는 경우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는 것이 경제적인데 압출관과 흡입관의 단면적에 따라 모터의 효율에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아래와 같다.
첫째, 환자의 불쾌감을 해소하고 분뇨 배출의 효율를 높이기 위하여 분뇨수집기저귀내에 대소변을 본 후 분뇨가 바로 모여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된 분뇨수집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기저귀 내에 분뇨 찌꺼기가 남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기저귀 내부에 전체적인 공기의 흐름을 만들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셋째, 분뇨수집기저귀의 청소와 관리를 고려하고, 분뇨수집기저귀를 착용하고 누운 경우 환자의 자세가 치우쳐지지 않는 분뇨수집기저귀의 외관을 제공한다.
넷째, 자세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분뇨수집기저귀를 착용하고 침대에 누운 경우 엉덩이 부분이 침대와 이격되지 않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다섯째, 모터의 효율을 고려하여 분뇨수집기저귀에 공기압출과 공기흡입을 가하는 배관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첫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체로부터 배설되는 분뇨를 수집하는 분뇨 수집 기저귀와, 상기 분뇨 수집 기저귀의 분뇨를 이송하는 분뇨배출호스와, 상기 이송된 분뇨를 저장하는 분뇨 저장 트레이와, 상기 분뇨 저장 트레이에 흡입력을 제공하고 상기 분뇨 수집 기저귀에 압출 공기를 제공하 는 압력 펌프, 그리고 상기 압력 펌프에 연결되는 흡입 파이프 및 공기공급호스을 포함하는 분뇨 수집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뇨 수집 기저귀는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는 컵 형상의 기저귀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함몰부에는 분뇨배출공이 형성되어 분뇨배출호스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 수집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둘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공기공급호스의 말단에 연결되는 공기분리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공기분리기는 상기 공기공급호스와 연결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공 및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둘 이상의 공기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공의 각각에는 일단이 연결되는 공기분사호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공기분사호스의 타단은 상기 기저귀몸체에 형성된 몸체공기유입공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 수집 장치를 개시한다.
이때, 상기 공기분리기는 양쪽 가지관을 가지는 T형관의 형상이고, 상기 공기배출공은 상기 양쪽 가지관의 아래쪽에 형성된 하면공기배출공, 상기 양쪽 가지관의 위쪽에 형성된 상면공기배출공과 상기 양쪽 가지관의 상기 공기유입공과 반대쪽에 형성된 정면공기배출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몸체공기유입공은 후면몸체공기유입공 및 하면몸체공기유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호스는 후면측 공기분사호스 및 하면측 공기분사호스를 포함하되, 상기 후면측 공기분사호스의 일단은 상기 상면공기배출공에 연결되고 타단은 후면몸체공기유입공에 연결되며, 상기 하면측 공기분사호스의 일단은 상기 정면공기배출공 또는 하면공기배출공에 연결되고 타단은 하면몸체공기유입공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셋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기저귀몸체에 결합하되, 상기 공기분리기 및 상기 공기분사호스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커버 및 저면이 평평한 하면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 수집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넷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매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매트는 일부분이 절개되어 상기 분뇨수집기저귀를 환자가 착용하고 눕는 경우 상기 분뇨 수집 기저귀가 절개된 부위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 수집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다섯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분뇨배출호스와 상기 공기공급호스의 직경이 동일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둘이상의 공기분사호스의 단면적의 합은 상기 공기공급호스의 단면적과 동일하도록 할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분뇨 수집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분뇨 수집 기저귀에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는 컵 형상의 기저귀 몸체를 제공함으로써 대소변시 자연스럽게 함몰부로 수집됨으로써 환자의 불쾌감이 바로 해소되며, 함몰부에 분뇨배출호스가 연결됨으로써 분뇨 배출의 효율 증진의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공기공급호스의 말단에 공기분리기를 연결하되, 상기 공기분리기는 둘 이상의 공기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공의 각각에 공기 분사호스가 연결되어 각각 기저귀몸체에 형성된 몸체공기유입공에 연결됨으로써 기저귀몸체내부에 둘 이상의 곳에서 공기유입가 유입됨으로써 분뇨수집기저귀 내부 전체적으로 공기의 흐름을 만들기 수 있기 때문에 기저귀 내에 분뇨 찌꺼기를 남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때, 공기분리기를 T형상으로 하고 양쪽 가지관의 위쪽, 아래쪽, 정면쪽에 공기배출공을 형성함으로써 공기분리기의 크기를 줄이면서도 다수의 공기배출공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즉, 같은 수의 공기배출공을 형성하면서도 공기분리기의 규격을 작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렇게 확보된 다수개의 공기배출공에 연결된 다수개의 공기분사호스는 분뇨수집기저귀의 하면과 후면에 분포한 다수개의 몸체공기유입공에 연결되어 분뇨수집기저귀 내부의 하면과 후면에서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공기분리기의 정면공기배출공과 하면공기배출공에 연결된 하면측 공기 분사호스는 하면몸체공기유입공에 연결되고, 공기분리기의 상면공기배출공에 연결된 후면측 공기분사호스는 후면몸체공기유입공에 연결되는 것이 기저귀의 설계시 공간효율측면에서 유리하다. 왜냐하면, 다수개의 호스를 연결하더라도 기저귀의 호스연결방향이 기저귀 하면과 후면에 평행하도록 설계할 수 있는 장점이 때문이다.
셋째, 본 발명은 저면이 평평한 하면커버 및 후면커버를 제공함으로써 복잡한 호스가 있더라도 분뇨수집기저귀의 청소와 관리가 용이하고, 미관상 우수할 뿐만 아니라 착용하고 누운 경우라 할지라도 환자의 자세가 치우쳐지지 않아 착용감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분뇨수집기저귀가 위치하는 부분을 절개한 매트가 제공됨으로써 분뇨수집기저귀를 착용하고 매트 위에 환자가 눕는 경우라도 엉덩이 부분이 침대와 이격되지 않아 자세가 편한 장점이 있다.
다섯째, 분뇨배출호스 및 공기공급호스의 단면적과 공기분사호스의 단면적의 합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모터의 효율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분뇨 수집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개량 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 수 집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인 개량 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수집장치중 분뇨수집기저귀의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개량 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수집장치중 분뇨수집기저귀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개량 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수집장치중 매트를 표현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개량 분뇨수집기저귀가 포함된 분뇨 수집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피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개량 분뇨수집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 수집장치는 인체의 요도 구멍 및 항문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요도 구멍 및 항문으로부터 배출되는 대소변을 수집하는 분뇨수집기저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분뇨수집기저귀(100)는 인체의 요도구멍 및 항문을 세척하기 위하여 세척수가 배출되고, 건조를 위한 송풍공(미도시)이 내면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분뇨수집기저귀(100)의 일 측에는 배출된 분뇨를 흡입하여 분뇨저장트레이(500)로 이송하기 위한 분뇨배출호스(200)가 구비된다.
상기 분뇨배출호스(200)는 상기 분뇨 수집 장치의 본체 외부를 형성하는 본체 케이스(300)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분뇨 저장 트레이(500)에 연결되는 관으로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는 상기 분뇨배출호스(200)가 주름관으로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 본체 케이스(300)의 호스 관통부에는 상기 분뇨배출호스(200) 및 후술할 공기공급호스(800)를 상기 본체 케이스(300)에 지지하기 위한 호스 고정부(400)가 형성된다. 참고로, 호스 고정부(400)에 의하여 세척수 공급관 및 기타 배선도 지지되는데 이들은 미도시되었다.
상기 호스 고정부(400)는 사용자가 상기 분뇨수집기저귀(100)를 당길 경우 발생되는 인장력이 상기 본체 케이스(300) 내부의 배관 및 장치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배관 및 장치의 내구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호스 고정부(400)를 통해 상기 본체 케이스(300) 내부로 관통한 분뇨배출호스(200)는 분뇨가 저장되는 분뇨 저장 트레이(500)에 연결된다.
상기 분뇨 저장 트레이(500)는 상기 분뇨배출호스(200)를 통해 상기 분뇨수집기저귀(100)로부터 전달된 분뇨를 저장하는 밀폐된 트레이로서, 이곳에서 유체역학적인 원리 또는 필터 등을 통하여 분뇨와 공기가 분리된다.
한편, 상기 분뇨 저장 트레이(500)에는 흡입호스(600)가 연결된다. 상기 흡입호스(600)는 상기 분뇨저장트레이(500)의 공기를 빨아들여 배출하는 호스로 흡입력을 공급받기 위하여 일단은 압력 펌프(700)에 연결된다.
상기 압력 펌프(700)는 상기 흡입 호스(600)에 흡입력을 제공하여, 상기 분뇨 저장 트레이(500)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흡입력은 상기 분뇨배출호스(200)를 통해 상기 분뇨수집기저귀 내의 분뇨를 상기 분뇨저장트레이(500)로 이동시키는 흡입력이 된다.
한편, 상기 압력 펌프(700)에는 상기 분뇨수집기저귀(100)로 공기를 공급하 는 공기공급호스(800)가 연결된다. 상기 공기공급호스(800)는 일단이 상기 압력 펌프(700)에 연결되고, 상기 호스고정부(400)를 지나 타단은 상기 분뇨수집기저귀(100)에 연결된다.
상기 공기공급호스(800) 역시 상기 분뇨배출호스(200)와 동일하게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 케이스(300) 내부에는 상기 분뇨수집기저귀(100)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트레이(900)가 구비된다. 상기 급수 트레이(900)는 급수관(미도시)을 통해 상기 분뇨수집기저귀(100)로 세척수를 공급하여 인체의 특정 부위를 세척하도록 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본체 케이스(300)의 상단에는 상기 분뇨저장트레이(500) 및 급수 트레이(900)를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도어(1000)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1000)는 다양한 형태와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본체 케이스(300) 상단에 일단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여 개폐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분뇨 저장 트레이(500)는 상기 도어(1000)를 개방한 이후에 연결된 관들의 연결을 해제한 후 손잡이를 들어올려 인출하는 구조이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부라 할 수 있는 개량된 분뇨수집기저귀(100)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개량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수집장치중 분뇨수집기저귀의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분뇨수집기저귀의 분해 사시도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분뇨수집기저귀(100)는 인체의 요도 구멍 및 항문으로부터 배출되는 대소변을 수집하는 장치이다. 분뇨수집기저귀(100)의 기저귀몸체(110)는 분뇨수집기저귀(100) 전체를 지지하며, 분뇨가 잘 배출될 수 있도록 내부가 오목하게 된 컵 형상이다. 기저귀몸체(110)에는 공기유입공과 분뇨배출공(112)이 형성되어 있다. 기저귀 몸체의 공기유입공에는 공기공급호스가 연결되며, 기저귀몸체(110)의 분뇨배출공(112)에는 분뇨배출호스(200)가 연결된다. 상기 연결은 완전 밀폐되어야 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본드를 이용할 수 있다.
기저귀몸체(110)는 인체의 엉덩이 부분과 접하게 되므로 엉덩이의 형상에 대응되는 외관을 가지며, 인체와 닿는 부분은 환자보조용 밀폐 고무(160)가 부착되어 있다. 엉덩이에 대응하는 형상과 환자보조용 밀폐 고무(160)에 의하여 분뇨흡입기저귀(110)의 착용시 착용감이 우수하게 된다. 기저귀 몸체의 내부에 세척용 물이 분사되는 기능 또는 분뇨 감지 센서 기능이 구비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기저귀몸체(110)의 내부에는 함몰부(111)가 형성되어 대소변시 분뇨가 자연스럽게 함몰부로 모이게 되고 분뇨수집기저귀(110)의 착용자는 대소변후 불쾌감에서 조기에 벗어날 수 있다. 한편 분뇨수집기저귀(110) 내부의 분뇨는 센서에 의하여 자동으로 또는 스위치에 의하여 작동하는 압력펌프(700)에 의한 공기의 흡입과 배출작용에 의하여 분뇨배출호스(200)로 분뇨수집기저귀(100)에서 분뇨저장트레이(500)로 이동하게 되는데, 분뇨배출호스(200)가 함몰부(111)에 형성된 분뇨배출 공(112)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분뇨가 모이면서 배출되므로 그 효율이 우수하다.
분뇨수집기저귀(100)내의 분뇨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내부에 공기공급호스(800)를 통하여 공기압을 가하여야 하는데, 공기공급호스(800)를 2이상의 분기관으로 기저귀몸체(110)에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기저귀몸체(110)에는 2이상의 공기유입공이 형성되고, 공기공급호스(800)는 공기분리기(120)에 결합하게 된다. 공기분리기(120)는 하나의 유입공(121)을 가지며 2이상의 공기배출공을 가지게 된다. 상기 공기배출공과 기저귀몸체(110)의 몸체공기유입공은 공기분사호스에 의하여 연결된다. 2이상의 공기배출공, 공기분사호스 및 몸체공기유입공은 그 수가 많을수록 기저귀몸체(110)내의 구석 구석 공기를 공급하게 되어 분뇨 배출시 찌꺼기가 남지 않게 되고 그 효율이 증대되나, 제작의 곤란함과 관의 분기 구조에 의하여 제품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공기분리기(120)를 말단이 밀폐된 양쪽 가지관(123)을 가지는 T형관의 형상으로 제작하면서 양쪽 가지관(123)의 아래쪽에 하면공기배출공(122a), 상기 양쪽 가지관(123)의 위쪽에 상면공기배출공(122c) 및 상기 양쪽 가지관(123)의 상기 공기유입공(121)과 반대쪽에 정면공기배출공(122b)을 형성하되, 몸체공기유입공은 후면몸체공기유입공(113a) 및 하면몸체공기유입공(113b)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호스는 후면측 공기분사호스(130a) 및 하면측 공기분사호스(130b)를 포함하되, 상기 후면측 공기분사호스(130a)의 일단은 상기 상면공기배출공(122c)에 연결되고 타단은 후면몸체공기유입공(113a)에 연결되며, 상기 하면측 공기분사호스(130b)의 일 단은 상기 정면공기배출공(122b) 또는 하면공기배출공(122a)에 연결되고 타단은 하면몸체공기유입공(113b)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컵형상의 기저귀몸체(110)의 하면과 후면을 감싸는 형태로 공기분사호스가 설치되어 제품의 사이즈를 키우지 않고도 기저귀몸체(110)내의 여러 곳에서 공기를 분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공기분리기와 2개 이상의 공기분사호스는 분뇨수집기저귀(100)의 외관을 복잡하게 되어 관리 및 청소가 곤란하며, 분뇨수집기저귀(100)를 착용하고 환자가 눕게 되는 경우 분뇨수집기저귀(100) 때문에 환자의 엉덩이 부분이 침대로부터 이격하게 되어 환자의 자세가 불편하게 된다. 따라서, 기저귀몸체(110)에 공기분리기(120) 및/또는 공기분사호스를 덮는 하면커버(180b) 및 후면커버(180a)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분뇨수집기저귀(100)를 착용한 환자는 침대용 매트(190)를 깔고 눕되, 상기 침대용 매트(190)는 일부분이 절개되어 상기 분뇨수집기저귀(110)를 환자가 착용하고 눕는 경우 상기 분뇨수집기저귀(191)가 절개된 부위인 절개부(191)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분뇨배출호스(200)와 공기공급호스(800)의 직경이 동일하도록 하면, 공기압출량과 공기배출량이 동일하게하고, 공기공급호스(800)가 공기분리기(120)에 의하여 2이상의 공기분사호스로 나누어져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 공기분사호스의 단면적의 합은 공기공급호스(800)의 단면적의 합을 같게 하면 모터의 효율이 증진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개량 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 수집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개량 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수집장치중 분뇨수집기저귀의 아래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개량 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수집장치중 분뇨수집기저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개량 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수집장치중 매트를 표현한 도면이다.
100 분뇨수집기저귀 111 함몰부
110 기저귀몸체
113a 후면몸체공기유입공 113b 하면몸체공기유입공
112 분뇨배출공 120 공기분리기
121 공기유입공 122a 하면공기배출공
122b 정면공기배출공 122c 상면공기배출공
123 가지관
130a 후면측공기분사호스 130b 하면측공기분사호스
150 공기분리기 밀폐고무
160 환자보조용밀폐고무 170 상단덮개부
180a 후면커버 180b 하면커버
190 매트 191 절개부
200 분뇨배출호스 300 본체케이스
400 호스고정부 500 분뇨저장트레이
600 흡입호스 700 압력펌프
800 공기공급호스
900 급수트레이 1000 도어

Claims (8)

  1. 인체로부터 배설되는 분뇨를 수집하는 분뇨수집기저귀(100)와, 상기 분뇨수집기저귀(100) 내의 분뇨를 이송하는 분뇨배출호스(200)와, 상기 이송된 분뇨를 저장하는 분뇨저장트레이(500)와, 상기 분뇨저장트레이(500)에 흡입력을 제공하고 상기 분뇨수집기저귀(100)에 압출 공기를 제공하는 압력펌프(700), 그리고 상기 압력펌프(700)에 연결되는 흡입호스(600) 및 공기공급호스(800)를 포함하는 분뇨수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뇨수집기저귀(100)는 내부에 함몰부(111)가 형성되어 있는 컵 형상의 기저귀 몸체(110)를 포함하되, 상기 함몰부(111)에는 분뇨배출공(112)이 형성되어 분뇨배출호스(20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 수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호스(800)의 말단에 연결되는 공기분리기(12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공기분리기(120)는 상기 공기공급호스(800)와 연결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공(121) 및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둘 이상의 공기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공의 각각에 일단이 연결되는 공기분사호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공기분사호스의 타단은 상기 기저귀몸체(110)에 형성된 몸체공기유입공 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 수집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리기(120)는 말단이 밀폐된 양쪽 가지관(123)을 가지는 T형관의 형상이고, 상기 공기배출공은 상기 양쪽 가지관(123)의 아래쪽에 형성된 하면공기배출공(122a), 상기 양쪽 가지관(123)의 위쪽에 형성된 상면공기배출공(122c)과 상기 양쪽 가지관(123)의 상기 공기유입공(121)과 반대쪽에 형성된 정면공기배출공(122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 수집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공기유입공은 후면몸체공기유입공(113a) 및 하면몸체공기유입공(113b)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호스는 후면측 공기분사호스(130a) 및 하면측 공기분사호스(130b)를 포함하되,
    상기 후면측 공기분사호스(130a)의 일단은 상기 상면공기배출공()에 연결되고 타단은 후면몸체공기유입공(113a)에 연결되며,
    상기 하면측 공기분사호스(130b)의 일단은 상기 정면공기배출공(122b) 또는 하면공기배출공(122a)에 연결되고 타단은 하면몸체공기유입공(113b)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 수집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귀몸체(110)에 결합하되, 상기 공기분리기(120) 및 상기 공기분사호스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커버(180a) 및 하면커버(170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 수집 장치.
  6.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매트(19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매트(190)는 일부분이 절개되어 절개부(191)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191)는 분뇨수집기저귀(100)를 환자가 착용하고 눕는 경우 상기 분뇨수집기저귀(100)가 놓이는 곳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 수집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뇨배출호스(200)와 상기 공기공급호스(800)의 직경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 수집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둘이상의 공기분사호스의 단면적의 합은 상기 공기공급호스(800)의 단면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 수집 장치.
KR1020080003948A 2008-01-14 2008-01-14 개량 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수집장치 KR200900781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948A KR20090078139A (ko) 2008-01-14 2008-01-14 개량 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수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948A KR20090078139A (ko) 2008-01-14 2008-01-14 개량 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수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139A true KR20090078139A (ko) 2009-07-17

Family

ID=41336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3948A KR20090078139A (ko) 2008-01-14 2008-01-14 개량 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수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8139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204B1 (ko) * 2009-08-11 2010-02-11 주식회사 큐라코 노즐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KR101285920B1 (ko) * 2011-07-22 2013-07-12 박종미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
CN103750939A (zh) * 2014-01-17 2014-04-30 宁波新海电气股份有限公司 尿便自动护理装置
KR101429170B1 (ko) * 2012-06-12 2014-08-12 주식회사 이노메카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및 그 배설물 수집 기저귀
KR20230140705A (ko) * 2022-03-30 2023-10-10 김후영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WO2023191336A3 (ko) * 2022-03-30 2024-05-02 김후영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204B1 (ko) * 2009-08-11 2010-02-11 주식회사 큐라코 노즐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KR101285920B1 (ko) * 2011-07-22 2013-07-12 박종미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
KR101429170B1 (ko) * 2012-06-12 2014-08-12 주식회사 이노메카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및 그 배설물 수집 기저귀
CN103750939A (zh) * 2014-01-17 2014-04-30 宁波新海电气股份有限公司 尿便自动护理装置
KR20230140705A (ko) * 2022-03-30 2023-10-10 김후영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WO2023191336A3 (ko) * 2022-03-30 2024-05-02 김후영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152Y1 (ko) 휠체어형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
CN107920912B (zh) 护理用排泄物处理装置的排泄物承接器
JP5679493B2 (ja) スマートな介護用排泄物処理装置
US20030181880A1 (en) Self cleaning garment with portable cleaning apparatus suitable for incontinent individuals and the like
KR101093444B1 (ko)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JP2009183421A (ja) 自動排尿便処理装置
WO2006046532A1 (ja) 排泄物処理装置
KR20090078139A (ko) 개량 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수집장치
JP2009039405A (ja) 介護用オムツ及び介護用マット
KR100496439B1 (ko) 환자의 배설물 즉시처리장치
KR101052024B1 (ko) 대소변 배출기
KR102467751B1 (ko)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
KR20170038137A (ko)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용 와변기 모듈
KR102035104B1 (ko) 와병 환자용 기저귀 커버
WO2007034774A1 (ja) オムツカバー体
KR100829524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102038702B1 (ko) 소변 배출장치
JP4841117B2 (ja) 排泄物処理システムおよびオムツ
JP3401482B2 (ja) 身体に装着される排泄物回収装置
KR101292812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JP2006000288A (ja) 排泄物処理システムおよびオムツ
JP5022634B2 (ja) 介護用マット
KR100941517B1 (ko) 환자용 다용도 위생 관리장치
KR20190092186A (ko) 자동 대소변 채집장치
JP2004173935A (ja) 排泄物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