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104B1 - 와병 환자용 기저귀 커버 - Google Patents

와병 환자용 기저귀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104B1
KR102035104B1 KR1020190004684A KR20190004684A KR102035104B1 KR 102035104 B1 KR102035104 B1 KR 102035104B1 KR 1020190004684 A KR1020190004684 A KR 1020190004684A KR 20190004684 A KR20190004684 A KR 20190004684A KR 102035104 B1 KR102035104 B1 KR 102035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air
patient
discharge pipe
pneu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태
Original Assignee
정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태 filed Critical 정영태
Priority to KR1020190004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1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6Garments, holders or supports not integral with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3Bed-p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6Urin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병 환자가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용 와변기 뿐만 아니라 일회용 기저귀를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피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와병 환자용 기저귀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와상 환자용 기저귀 커버에 있어서, 고정부와 관통부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공기튜브; 및 상기 공기튜브에 공기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공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와병 환자용 기저귀 커버{Diaper cover for patient}
본 발명은 와병 환자용 기저귀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랜시간 환자가 착용 가능한 와병 환자용 기저귀 커버에 관한 것이다.
근래 급격한 노인 인구의 증가로 인하여 거동이 불편한 노인 환자들 역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일부 노인 환자의 경우 단일 거동이 불가하여 와상으로 생활을 하며, 용변을 처리를 위하여 별도의 기저기를 착용하고 있다.
상기 기저기는 한번 사용 후 폐기하는 것으로 정기적으로 교체를 해야하나, 용변에 의한 냄새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특히 간병인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한 단점이 있다.
또한 병원의 중환자들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용변 처리의 애로점이 있으며, 역시 별도의 간병인의 도움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와상 환자의 용변을 편리하게 처리하기 위한 장치들이 다양하게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공개특허 제1993-0007424호에는 의식이 없는 환자가 또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이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배설을 하여도, 보호자의 도움없이도 배설물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게한 용변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환자가 배설을 하면 환자가 착용하고 있는 착용부에는 이를 감지하여 구동부를 동작시켜 환자의 착용부 내부로 물을 공급함과 동시 배설물을 파쇄하여 수거탱크로 흡인모터로 흡인수거하고 깨끗이 세척된 다음에는 염류의 검출여부를 감지하여 물 대신 공기를 착용부 내부로 불어넣어 세척된 부위를 건조시키는 환자의 용변 처리장치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72842호에는 용변을 볼 때 그 주변에 국부적으로 밀폐된 공간을 형성시킨 상태에서 세정을 하고 세정된 오물을 펌핑하여 외부로 배출시킨 후 강제송풍에 의해 건조를 하는 일련의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초음파의 캐비테이션을 이용하여 밀폐된 공간의 내면에 부착되는 오물을 깨끗이 분리하면서 배설물을 분쇄하여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밀폐된 공간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환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함과 아울러 간병인의 수고를 덜 수 있고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거동이불편한 환자에게 착용시킨 상태에서 환자의 대소변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치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93444호에는 배설물을 흡인하여 보관하는 배설물 처리부와, 환자의 둔부에 설치되어 환자의 배변 시 배설물을 일정시간 보관하는 것으로, 배변시 배설물을 일시 보관하는 동시에 배변 후 환자의 둔부를 자동으로 세척 및 건조시킬 수 있는 와변기 케이스와 환자의 신체에 고정 설치할 수 있는 밴드로 이루어진 와변기 모듈과, 상기 배설물 처리부와 와변기 모듈을 연결하며, 상기 와변기 케이스 내에 배설된 배설물을 흡입하여 배설물 처리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배관부를 포함하는 배설물 자동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구성은 신체적 결함에 의해 거동이 불편하여 스스로 배설물을 처리할 수 없는 환자들의 배설물 등을 보다 청결하고 용이하게 자동 처리하여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들은 환자의 둔부에 직접 착용하는 와변기와 상기 와변기에 일시 보관되는 배설물을 흡입하여 처리하는 처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추가적으로 환자 둔부의 세척을 위한 다수의 노즐과 상기 노즐에 공급되는 수공급장치와 둔부 건조를 위한 건조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처리장치는 와변기를 통하여 배설물을 흡입하여 저장하고, 세정수와 건조용 공기를 분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통상 본체라 칭한다.
특히 상기 본체는 내부에 세정수를 저장하는 저장통과 물 분사를 위한 펌프, 그리고 배설물을 흡입하기 위한 펌프 등과 같이 다양한 구성들을 포함하며, 또한 장치의 순차적인 작동을 위한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일반적인 배설물 처리 장치는 간병인의 관리하에 착용되고, 특히 와변기의 경우에는 환자의 둔부와 직접 접촉하는 것으로 실리콘 등을 이용하여 접촉성을 향상시킨 구성이나, 오랜시간 착용 시에는 둔부의 동일 부분이 지속적으로 가압되어 환자 피부가 짓무르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일정 시간 이내만 착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와병 환자가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용 와변기 뿐만 아니라 일회용 기저귀를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피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와병 환자용 기저귀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와상 환자용 기저귀 커버에 있어서, 고정부와 관통부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공기튜브; 및 상기 공기튜브에 공기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공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튜브는 제1튜브와 제2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공압장치는 상기 제1튜브와 제2튜브에 공기를 사전에 정의된 시간에 따라 교호적으로 공급하고, 공압이 공급되지 않는 튜브는 외기와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튜브와 상기 제2튜브가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튜브와 상기 제2튜브는 각각 단일 튜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튜브는 상기 관통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연결부와 연결부에 연통되어 형성되는 쿠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쿠션부의 제1튜브 및 제2튜브는 상기 연결부의 제1튜브 및 제2튜브와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쿠션부에서 제2튜브는 상기 제1튜브를 감싸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쿠션부에서 제1튜브와 제2튜브는 수평이면서 서로 엇갈린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압장치는: 공압을 발생시키는 압축기; 공압이 배출되는 제1배출관 및 제2배출관; 및 상기 압축기에서 발생된 공압을 상기 제1배출관 및 제2배출관으로 교호적으로 공급하고, 공급되지 않는 배출관을 외기에 연통시키는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병 환자용 기저귀 커버는 환자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인 커버 표면에 2개의 셋으로 구성되는 공압튜브가 배치되고, 상기 각 공압튜브에 공압을 교호적으로 공급하여 환자 피부에 고정되므로, 지속적인 가압에 따른 피부 짖무름을 방지하고, 또한 공압에 따른 고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상 환자용 기저귀 커버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튜브 구성의 일실시예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튜브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4는 도 1의 다른 실시예이며,
도 5는 도 1의 또 다른 실시예이며,
도 6은 공압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전환장치의 일 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통상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는 환자의 둔부에 착용되는 와변기와 상기 와변기에 공기, 물 등을 공급하고, 또한 와변기에 배출된 배설물을 흡입하는 관로 및 상기 관로에 공기, 물, 진공압을 제공하고, 배설물을 저장하는 본체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와변기는 환자의 배설물을 담고, 세척 등을 수행하는 장치들이 배치되는 장치부와 상기 장치부와 결합하고, 환자 둔부를 감싸 상기 장치부를 고정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와변기 커버에 기저귀 커버로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외변기 커버로 활용되고, 일회용 기저귀를 이용하는 경우 기저귀 커버로 활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상 환자용 기저귀 커버(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둔부를 감싸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면에 배치되는 공기튜브(40) 그리고 상기 공기튜브(40)에 공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고 배출하는 공압장치(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몸체(10)는 환자의 둔부와 전면부 둘레를 감싸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재질은 방수와 강도 등을 고려하여 유연성 특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그 형상은 얇은 판 또는 필름 형태이며, 특히 환자 둔부를 감싸는 것에 무리가 없도록 높은 유연성을 갖도록 구성한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재질은 실리콘 고무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한 합성수지 표면에 실리콘 고무를 코팅한 형태로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재질은 합성섬유로 직조된 직물로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직물 표면은 방수 처리를 위한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10)의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타원과 사각형이 조합된 형상을 기본으로 상하 양측면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고정부(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필요한 경우 상기 고정부(11)는 상단 또는 하단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1)는 환자의 둔부를 감싸는 경우 몸체(1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벨크로(12) 등과 같이 2개의 부재를 서로 결합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 좌측 벨크로(12)는 하 좌측 벨크로(12)와 결합하고, 상 우측 벨크로(12)는 하 우측 벨크로(12)와 결합한다.
또한 상기 몸체(10)는 몸체(1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홀인 관통부(15)를 포함한다. 상기 관통부(15)를 통하여 환자의 소변 및 대변이 배출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 커버(100)가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관통부(15)를 통하여 배설물이 와변기로 배출된다.
일회용 기저귀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역시 상기 관통부(15)를 통하여 기저귀로 배설물이 배출된다.
상기 관통부(15)의 형상은 두개의 다른 크기의 타원이 결합된 형상이며, 상기 형상이 대변과 소변이 원활히 배출되는 장점이 있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몸체(10)에는 공기튜브(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튜브(40)는 상기 몸체(10) 표면에 부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필요한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를 이중의 재질로 구성하고, 상기 몸체(10) 사이에 공기튜브(40)를 배치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공기튜브(40)는 제1튜브(50)와 제2튜브(60)로 구성되며, 각각 외부에서 공압을 상기 공기튜브(40) 내부로 공급하는 제1유입구(51) 및 제2유입구(6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튜브(50)와 제2튜브(60)는 서로 나란히 배치된다.
즉, 상기 공기튜브(40)가 환자 둔부 및 전면부를 가압하는 작용을 하여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며, 특히 관통부(15) 주변에 배치되어 배설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공기튜브(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튜브(50)에 공압에 의하여 공기가 충전되는 경우에는 제2튜브(60)는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수축되고, 이후 일정 시간 후에는 반대로 제2튜브(60)가 공기가 충전되고, 제1튜브(50)는 수축되는 형태로 동작된다.
즉, 사전에 정의된 시간 간격으로 제1튜브(50) 및 제2튜브(60)가 교호적으로 공기 충전과 배출이 반복되도록 구동된다.
상기와 같은 구동은 환자 몸의 일정한 부분을 가압하는 형태가 아니라, 반복적으로 가압이 이루어지므로, 피부 짖무름 등과 같은 단점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공기튜브(40) 전체 영역에 걸쳐서 미세한(1~10㎛)의 홀을 형성하는 경우, 내부에 충진된 공기의 일부가 서서히 빠져나가 수분에 의한 피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공기튜브(40)는 환자 전면 접촉부에서 둔부 접촉부 사이를 연결하며, 제1튜브(50) 및 제2튜브(60) 일정한 폭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연결부(46)와 제1튜브(50) 및 제2튜브(60)가 서로 교차하듯이 넓은 폭으로 배치되어 환자의 둔부와 접촉하는 쿠션부(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쿠션부(47)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비교적 넓은 영역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공기튜브(40)는 공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입구(41)를 포함하고, 특히 제1튜브(50)에 공압을 공급하는 제1유입구(51) 및 제2튜브(60)에 공압을 공급하는 제2유입구(61)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구(41)는 상기 연결부(46)와 연통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몸체(10)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필요한 경우 몸체(10)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튜브(40)의 제1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제1튜브(50) 외측에 제2튜브(60)가 배치되고, 수직선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형이며, 몸체 하단 방향으로 폭이 서서히 증가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으로 둔분에 적절한 쿠션감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쿠션부(47)의 제2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결부(46)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고, 쿠션부(47)는 단위 원이 열로 배치되고, 각 열은 각각 제1튜브(50) 및 제2튜브(60)와 연통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튜브와 제2튜브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된다.
이때 유입구(41)는 몸체(10) 배면에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부(4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3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3실시예의 쿠션부(47)는 연결부(46)에 비하여 큰 폭으로 구성된 제1튜브(50) 및 제2튜브(60)가 서로 엇갈리면서 맞물리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하나의 튜브만이 동작하더라도 지지력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1유입구(51)와 제2유입구(61)는 공압장치(90)의 제1배출관(91) 및 제2배출관(92)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공압장치(9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93), 전환장치(94) 및 제어부(9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93)는 내부에 모터 및 압축펌프를 구비한 것으로,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공압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공압은 전환장치(94)를 공급한다.
상기 전환장치(94)는 상기 제1배출관(91)과 제2배출관(92)에 일정한 주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공압을 공급하고, 공압이 공급되지 않는 배출관은 외기와 개방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상기 전환장치(94)는 모터를 구비한 기계식으로 공압을 절환하는 종래 방식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순차적으로 구동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배출관(91) 및 제2배출관(92)을 솔레노이드 밸브를 매개로 공압공급관과 연결되고, 제1배출관(91) 및 제2배출관(92) 각각은 별도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매개로 외기와 연통되도록 구성하는 경우, 제1배출관(91)에 공압을 공급하는 경우, 제1배출관(91)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방하고, 제1배출관(91)의 외기와 연결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폐쇄하고, 제2배출관(92)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폐쇄하고, 제2배출관(92)의 외기와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방하면된다.
제2배출관(92)에 공압을 공급하는 경우는 제2배출관(92)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방하고, 제2배출관(92)의 외기와 연결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폐쇄하고, 제1배출관(91)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폐쇄하고, 제1배출관(91)의 외기와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방하면된다.
즉, 2개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하나의 셋으로 설정하고, 2개의 셋을 교호적으로 구동하는 경우, 상기 공기튜브(50)에 적합한 공압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95)는 압축기(93) 및 전환장치(94)의 동작을 제어하며, 또한 사용자가 전체 동작을 설정하는 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공압장치(90)는 필요한 경우,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휴대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와상 환자용 기저귀 커버(100)가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와변기에서 환자의 배설물이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제1튜브(50)와 제2튜브(60)에 동시에 공압을 공급하여 밀봉성을 강화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통상 배설물을 처리하는 시간은 기저귀 커버(100)를 착용하는 전체 시간에 비하여 짧으므로, 상기와 같은 제어를 수행하더라도 환자 피부의 짖무름 등이 발생할 우려는 극히 낮다. 물론 배설물 처리가 완료된 경우에는 교호적으로 공압을 공급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10: 몸체 11: 고정부
12: 벨크로 15: 관통부
40: 공기튜브 41: 유입구
46: 연결부 47: 쿠션부
50: 제1튜브 51: 제1유입구
60: 제2튜브 61: 제2유입구
90: 공압장치 91: 제1배출관
92: 제2배출관 93: 압축기
94: 절환장치 95: 제어부
100: 기저귀 커버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와상 환자용 기저귀 커버에 있어서,
    고정부와 관통부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공기튜브; 및
    상기 공기튜브에 공기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공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튜브는 제1튜브와 제2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공압장치는 상기 제1튜브와 제2튜브에 공기를 사전에 정의된 시간에 따라 교호적으로 공급하고, 공압이 공급되지 않는 튜브는 외기와 개방하고,
    상기 제1튜브와 상기 제2튜브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제1튜브와 상기 제2튜브는 각각 단일 튜브로 구성되고,
    상기 공기튜브는 상기 관통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연결부와 연결부에 연통되어 형성되는 쿠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상 환자용 기저귀 커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의 제1튜브 및 제2튜브는 상기 연결부의 제1튜브 및 제2튜브와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상 환자용 기저귀 커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에서 제2튜브는 상기 제1튜브를 감싸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상 환자용 기저귀 커버.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에서 제1튜브와 제2튜브는 수평이면서 서로 엇갈린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상 환자용 기저귀 커버.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공압장치는:
    공압을 발생시키는 압축기;
    공압이 배출되는 제1배출관 및 제2배출관; 및
    상기 압축기에서 발생된 공압을 상기 제1배출관 및 제2배출관으로 교호적으로 공급하고, 공급되지 않는 배출관을 외기에 연통시키는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상 환자용 기저귀 커버.
KR1020190004684A 2019-01-14 2019-01-14 와병 환자용 기저귀 커버 KR102035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684A KR102035104B1 (ko) 2019-01-14 2019-01-14 와병 환자용 기저귀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684A KR102035104B1 (ko) 2019-01-14 2019-01-14 와병 환자용 기저귀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5104B1 true KR102035104B1 (ko) 2019-10-22

Family

ID=68420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684A KR102035104B1 (ko) 2019-01-14 2019-01-14 와병 환자용 기저귀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1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0295A (ko) * 2020-11-04 2022-05-11 비앤알(주) 배변 처리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94115A1 (en) * 2008-01-31 2009-08-06 Squitieri Rafael P Apparatu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cubitus ulcers
KR20120100517A (ko) * 2011-03-04 2012-09-12 주현용 배설물 처리장치
KR20130062140A (ko) * 2011-12-02 2013-06-12 이호상 교대 부양 메트리스와 교대 부양 메트리스가 결합된 배설물 처리 장치
KR20150131628A (ko) * 2014-05-15 2015-11-25 유승배 환자용 변기
KR20170056652A (ko) * 2014-09-15 2017-05-23 엠쓰리에이티 에스아 사용자의 소변 및 대변을 수집하기 위한 물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94115A1 (en) * 2008-01-31 2009-08-06 Squitieri Rafael P Apparatu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cubitus ulcers
KR20120100517A (ko) * 2011-03-04 2012-09-12 주현용 배설물 처리장치
KR20130062140A (ko) * 2011-12-02 2013-06-12 이호상 교대 부양 메트리스와 교대 부양 메트리스가 결합된 배설물 처리 장치
KR20150131628A (ko) * 2014-05-15 2015-11-25 유승배 환자용 변기
KR20170056652A (ko) * 2014-09-15 2017-05-23 엠쓰리에이티 에스아 사용자의 소변 및 대변을 수집하기 위한 물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0295A (ko) * 2020-11-04 2022-05-11 비앤알(주) 배변 처리기
WO2022097768A1 (ko) * 2020-11-04 2022-05-12 비앤알㈜ 배변 처리기
KR102542868B1 (ko) * 2020-11-04 2023-06-15 비앤알(주) 배변 처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68043B (zh) 用于移除和容纳人体排泄物的设备和方法
KR200470974Y1 (ko) 일종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
JP5215310B2 (ja) 失禁者のための下着及び下着に接続された処理装置
KR940003280B1 (ko) 환자의 용변 처리장치
KR101093444B1 (ko)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KR101679751B1 (ko) 배변 처리장치 장착 전동침대
JP4537436B2 (ja) 病臥患者用自動排泄物処理装置
US20030181880A1 (en) Self cleaning garment with portable cleaning apparatus suitable for incontinent individuals and the like
KR100797578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101771472B1 (ko)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용 와변기 모듈
JP4502973B2 (ja) 装着型排泄装置
KR102035104B1 (ko) 와병 환자용 기저귀 커버
KR101072842B1 (ko) 거동불편 환자용 자동 대소변 처리장치
KR101052024B1 (ko) 대소변 배출기
KR20090078139A (ko) 개량 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수집장치
KR100795149B1 (ko)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KR101179217B1 (ko) 대변 처리 장치
JP3401482B2 (ja) 身体に装着される排泄物回収装置
JP4841117B2 (ja) 排泄物処理システムおよびオムツ
KR101292812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102542868B1 (ko) 배변 처리기
KR100836783B1 (ko) 환자의 배설물 처리용 팬티
JP2006000288A (ja) 排泄物処理システムおよびオムツ
KR102134871B1 (ko) 침대용 자동 배변 처리장치
JP2000210322A (ja) 排泄物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