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0295A - 배변 처리기 - Google Patents

배변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0295A
KR20220060295A KR1020200146137A KR20200146137A KR20220060295A KR 20220060295 A KR20220060295 A KR 20220060295A KR 1020200146137 A KR1020200146137 A KR 1020200146137A KR 20200146137 A KR20200146137 A KR 20200146137A KR 20220060295 A KR20220060295 A KR 20220060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member
patient
processing unit
gas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2868B1 (ko
Inventor
배경철
김훈희
배수진
배수정
Original Assignee
비앤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앤알(주) filed Critical 비앤알(주)
Priority to PCT/KR2020/01534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097768A1/ko
Priority to KR1020200146137A priority patent/KR102542868B1/ko
Publication of KR20220060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3Bed-p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2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having irrigation ports 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2Clean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rs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변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변 처리기는 환자가 착용가능한 본체(100), 본체(100)에 형성되어 환자의 배설기관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처리부(200), 처리부(200)에 연결되어 배설물을 흡입하는 흡입부(300), 및 본체(100)에 배치되고, 기체가 주입되어 팽창되면 환자의 엉덩이 또는 요추부위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리프트부(4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변 처리기{Excretion Cleaner}
본 발명은 배변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배변 처리기는 신체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나 와상 환자(중증 장애인, 무의식 환자 등) 등 침상 생활 중 누운 자세에서 배변을 처리해야 하는 대상자를 위한 것으로, 배변 처리, 세척, 건조 등 배변 관리가 가능한 제품이다. 통상, 배변 처리기는 인체에서 분비되는 대변과 소변을 감지하고 세정수를 이용하여 분비물을 씻어주고 흡입관을 통해서 분비물과 세정수를 저장용기에 보관하였다가 변기 등을 통해서 최종 처리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배변 처리기는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사용자의 골반 부위에 대한 인체 특성이 반영되지 않아 사용시 환자에게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배변 처리기는 와상환자가 몸을 움직을 때 연결 부위가 분리되거나 틈이 벌어지는 등의 문제로 인하여 배변이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KR 10-1947797 B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환자가 착용가능한 기저귀 형태로 본체가 형성되어 와상환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수 있고, 신체에 밀착되어 배설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 배변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변 처리기는 환자가 착용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환자의 배설기관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처리부, 상기 처리부에 연결되어 배설물을 흡입하는 흡입부, 및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기체가 주입되어 팽창되면 환자의 엉덩이 또는 요추부위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리프트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변 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가 환자의 엉덩이 또는 요추 부위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면, 상기 처리부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변 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에어셀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변 처리기에 있어서, 환자의 배설기관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단,및 환자의 배설기관에 기체를 공급하는 건조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변 처리기에 있어서, 환자의 배설기관을 둘러싸도록 상기 처리부에 형성되는 제1 관형부재, 및 환자의 배설기관을 둘러싸도록 상기 처리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형부재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2 관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척수단은 제1 관형부재와 제2 관형부재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하고, 상기 건조수단은 제1 관형부재와 제2 관형부재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어 기체를 공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변 처리기에 있어서, 환자의 배설기관을 둘러싸도록 상기 처리부에 형성되는 제1 관형부재, 환자의 배설기관을 둘러싸도록 상기 처리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형부재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2 관형부재, 환자의 배설기관을 둘러싸도록 상기 처리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관형부재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3 관형부재, 및 환자의 배설기관을 둘러싸도록 상기 처리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3 관형부재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4 관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척수단은 상기 제1,3 관형부재와 상기 제2,4 관형부재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하고, 상기 건조수단은 상기 제1,3 관형부재와 상기 제2,4 관형부재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어 기체를 공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변 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단을 상기 제1 관형부재와 상기 제2 관형부재 중 어느 하나에 연결시키고, 상기 건조수단을 상기 제1 관형부재와 상기 제2 관형부재 중 다른 하나에 연결시키는 교환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변 처리기에 있어서, 환자의 배설기관에서 배설이 시작되고 소정시간까지 상기 교환수단은 상기 세척수단을 상기 제1 관형부재에 연결하여, 상기 세척수단은 상기 제1 관형부재에 세척수를 공급하고, 상기 교환수단은 상기 건조수단을 상기 제2 관형부재에 연결하여, 상기 건조수단은 상기 제2 관형부재에 기체를 공급하며, 상기 소정시간 이후부터 환자의 배설기관에서 배설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교환수단은 상기 세척수단을 상기 제2 관형부재에 연결하여, 상기 세척수단은 상기 제2 관형부재에 세척수를 공급하고, 상기 교환수단은 상기 건조수단을 상기 제1 관형부재에 연결하여, 상기 건조수단은 상기 제1 관형부재에 기체를 공급하며, 환자의 배설기관에서 배설이 종료된 이후부터 상기 교환수단은 상기 세척수단을 상기 제1 관형부재에 연결하여, 상기 세척수단은 상기 제1 관형부재에 세척수를 공급하고, 상기 교환수단은 상기 건조수단을 상기 제2 관형부재에 연결하여, 상기 건조수단은 상기 제2 관형부재에 기체를 공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변 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형부재는 튜브 형태로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1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관형부재는 튜브 형태로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2 관통홀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변 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형부재는 튜브 형태로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1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관형부재는 튜브 형태로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2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3 관형부재는 튜브 형태로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3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4 관형부재는 튜브 형태로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4 관통홀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변 처리기에 있어서, 환자의 배설기관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단, 환자의 배설기관에 기체를 공급하는 건조수단, 및 환자의 배설기관을 둘러싸도록 상기 처리부에 형성되고, 상기 세척수단과 상기 건조수단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단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거나, 상기 건조수단으로부터 기체를 공급받는 관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처리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의 외측에 상기 처리부가 결합되며, 상기 관형부재는 상기 처리부에 배치되어, 상기 관형부재에 세척수 또는 기체가 공급되어, 상기 관형부재가 팽창되면, 상기 처리부가 환자로부터 이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변 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처리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의 외측에 상기 처리부가 결합되며, 상기 처리부에 배치되고, 기체가 주입되어 팽창되는 보조 리프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리프트부에 기체가 공급되어, 상기 보조 리프트부가 팽창되면, 상기 처리부가 환자로부터 이격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가 착용가능한 기저귀 형태로 본체를 형성하여 와상환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수 있고, 신체에 밀착되어 배설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리프트부를 구비하여 환자의 엉덩이나 요추 부위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처리부에 배설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변 처리기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변 처리기의 평면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변 처리기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변 처리기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변 처리기의 평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8(b)와 도 8(c)는 도 8(a)의 A-A 라인을 따른 단면도, 및
도 9(a)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9(b)와 도 9(c)는 도 9(a)의 B-B 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변 처리기의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변 처리기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변 처리기는 환자가 착용가능한 본체(100), 본체(100)에 형성되어 환자의 배설기관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처리부(200), 처리부(200)에 연결되어 배설물을 흡입하는 흡입부(300), 및 본체(100)에 배치되고, 기체가 주입되어 팽창되면 환자의 엉덩이 또는 요추부위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리프트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환자가 착용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통상적인 기저귀 형태일 수 있다(도 1 참조). 즉, 본체(100)는 전체적으로 관형으로 형성되되, 일측에는 환자의 허리가 삽입되도록 제1 개구부(1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환자의 두 다리가 삽입되도록 2개의 제2 개구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TPU(Thermo Plastic Polyurethane), PE(polyethylene), 천, 종이 등일 수 있고, 허리를 둘러싸는 연결부(130)가 벨크로(135, velcro) 등으로 통해서 체결될 수 있다. 단단한 재질로 형성된 종래기술과 달리, 본체(100)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환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수 있고, 신체에 밀착되어 배설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다.
상기 처리부(200)는 본체(100)에 형성되어 환자의 배설기관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처리부(200)는 환자의 요도와 항문을 각각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부(200)는 환자의 요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소변을 처리하는 제1 처리부(210)과 환자의 항문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대변을 처리하는 제2 처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체(100)에는 처리부(200)에 대응하는 영역에 관통부(140)가 형성되고, 관통부(140)의 외측에 처리부(200)가 결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체(100)에는 제1 처리부(210)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1 관통부(140a)가 형성되고, 제2 처리부(220)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2 관통부(140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체(100)의 제1 관통부(140a)의 외측에 제1 처리부(210)가 결합되고, 제2 관통부(140b)의 외측에 제2 처리부(220)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처리부(20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체(100)와 마찬가지로 TPU(Thermo Plastic Polyurethane), PE(polyethylene), 천, 종이 등일 수 있고,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환자가 불폄함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흡입부(300, 도 1 참조)는 처리부(200)에 연결되어 환자의 배설물을 흡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흡입부(300)는 환자의 소변과 대변을 흡입하여, 별도의 저장부 등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입부(300)는 제1 처리부(210)에 연결되어 소변을 흡입하는 제1 흡입부(310)와 제2 처리부(220)에 연결되어 대변을 흡입하는 제2 흡입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흡입부(300)는 진공 펌프 등을 이용하여 환자의 배설물을 흡입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부(400)는 환자의 엉덩이 또는 요추 부위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리프트부(400)는 본체(100) 중 환자의 엉덩이 또는 요추 부위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프트부(40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에어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에어셀은 환자의 엉덩이 또는 요추 부위 좌우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으나(도 2 참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엉덩이 또는 요추 부위 좌우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도 3 참조).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부(400)에 기체가 주입되어 팽창되면, 환자의 엉덩이와 요추 부위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환자의 엉덩이와 요추 부위가 바닥면에 이격되면, 처리부(200)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처리부(200)에 배설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배변 처리기는 본체(100)와 처리부(200) 등이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환자의 엉덩이 또는 요추 부위가 바닥면에 밀착되어, 처리부(200)에 배설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어렵다. 하지만, 리프트부(400)에 의해서 환자의 엉덩이 또는 요추 부위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처리부(200)에 배설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리프트부(400)에 기체가 주입되어 팽창되는 것은 센서부에서 환자의 배설을 감지하여 제어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변 처리기는 본체(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환자의 배설을 감지하는 센서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500)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및 가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500)는 온도 상승, 습도 상승, 가스 발생을 감지하여 환자의 배설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500)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성된 광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센서부(500)는 배설물에 의해서 수광부에 입사되는 광이 가려지면 이를 감지하여 환자의 배설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외에도, 센서부(500)는 압력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500)는 처리부(200)에 인가되는 배설물의 압력을 통해서 환자의 배설을 감지할 있다. 그리고, 센서부(500)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500)는 배설물의 움직임을 포착하여 환자의 배설을 감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부(500)가 환자의 배설을 감지하면, 리프트부(400)에 기체가 주입되어 팽창됨으로써, 환자의 엉덩이와 요추 부위가 바닥면에 이격되어, 처리부(200)에 배설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배변 처리기는 세척수단(600)과 건조수단(700)을 포함할 수 있다(도 2 내지 도 3 참조). 여기서, 세척수단(600)은 환자의 배설기관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건조수단(700)은 환자의 배설기관에 기체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세척수단(600)은 제1 관형부재(810)에 연결되어 제1 관형부재(810)에 세척수를 공급하고, 건조수단(700)은 제2 관형부재(820)에 연결되어 제2 관형부재(820)에 기체를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제1 관형부재(810)는 환자의 배설기관을 둘러싸도록 처리부(200)에 형성되고, 제2 관형부재(820)는 환자의 배설기관을 둘러싸도록 처리부(200)에 형성되며, 제1 관형부재(810)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관형부재(810)는 전체적으로 튜브 형태로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1 관통홀(8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관형부재(820) 역시 전체적으로 튜브 형태로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2 관통홀(825)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단(600)에 의해서 제1 관형부재(810)에 세척수가 공급되면, 다수의 제1 관통홀(815)을 통해서 세척수가 분사되어 배설기관을 세척할 수 있고, 건조수단(700)에 의해서 제2 관형부재(820)에 기체가 공급되면, 다수의 제2 관통홀(825)을 통해서 기체가 분사되어 배설기관을 건조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관형부재(810)는 제1-1 관형부재(810a)와 제1-2 관형부재(810b)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관형부재(820)는 제2-1 관형부재(820a)와 제2-2 관형부재(820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1 관형부재(810a)는 제1 처리부(21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환자의 요도 주변을 세척할 수 있고, 제1-2 관형부재(810b)는 제2 처리부(22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환자의 항문 주변을 세척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1 관형부재(820a)는 제1 처리부(21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환자의 요도 주변을 건조시킬 수 있고, 제2-2 관형부재(820b)는 제2 처리부(22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환자의 항문 주변을 건조시킬 수 있다. 다만, 제1 관형부재(810)가 반드시 제1-1 관형부재(810a)와 제1-2 관형부재(810b)를 포함하고, 제2 관형부재(820)가 반드시 제2-1 관형부재(820a)와 제2-2 관형부재(820b)를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관형부재(810)가 제1 처리부(210)과 제2 처리부(220)를 한번에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환자의 요도 주변과 항문 주변을 세척할 수 있고, 제2 관형부재(820) 역시 제1 처리부(210)과 제2 처리부(220)를 한번에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환자의 요도 주변과 항문 주변을 건조시킬 수 있다.
한편, 상대적으로 내측에 배치된 제1 관형부재(810)에 세척수단(600)이 연결되고, 상대적으로 외측에 배치된 제2 관형부재(820)에 건조수단(700)이 연결되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외측에 배치된 제2 관형부재(820)에 세척수단(600)이 연결되고, 상대적으로 내측에 배치된 제1 관형부재(810)에 건조수단(700)이 연결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변 처리기의 평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변 처리기는 제1 관형부재(810), 제2 관형부재(820), 제3 관형부재(830), 및 제4 관형부재(8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2,3,4 관형부재(810, 820, 830, 840)는 환자의 배설기관을 둘러싸도록 처리부(20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관형부재(810)가 가장 내측에 형성되고, 제2 관형부재(820)는 제1 관형부재(810)의 외측에 형성되며, 제3 관형부재(830)는 제2 관형부재(820)의 외측에 형성되고, 제4 관형부재(840)는 제3 관형부재(830)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내측부터 제1 관형부재(810), 제2 관형부재(820), 제3 관형부재(830), 및 제4 관형부재(840) 순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이때, 세척수단(600)은 제1 관형부재(810)와 제3 관형부재(830)에 세척수를 공급하고, 건조수단(700)은 제2 관형부재(820)와 제4 관형부재(840)에 기체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2,3,4 관형부재(810, 820, 830, 840)는 전체적으로 튜브 형태로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다수의 제1,2,3,4 관통홀(815, 825, 835, 845)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단(600)에 의해서 제1,3 관형부재(810, 830)에 세척수가 공급되면, 다수의 제1,3 관통홀(815, 835)을 통해서 세척수가 분사되어 배설기관을 세척할 수 있고, 건조수단(700)에 의해서 제2,4 관형부재(820, 840)에 기체가 공급되면, 다수의 제2,4 관통홀(825, 845)을 통해서 기체가 분사되어 배설기관을 건조시킬 수 있다. 결국, 제1,3 관형부재(810, 830)를 통해서 2중으로 세척수를 공급하고, 제2,4 관형부재(820, 840)를 통해서 2중으로 기체를 공급함으로써, 세척과 건조를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3 관형부재(810, 830)에 세척수단(600)이 연결되고, 제2,4 관형부재(820, 840)에 건조수단(700)이 연결되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4 관형부재(820, 840)에 세척수단(600)이 연결되고, 제1,3 관형부재(810, 830)에 건조수단(700)이 연결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변 처리기의 평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변 처리기는 제1 관형부재(810), 제2 관형부재(820), 및 교환수단(9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2 관형부재(810, 820)는 상술한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제1,2 관형부재(810, 820)는 교환수단(900)을 통해서 세척수단(600)과 건조수단(700)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교환수단(900)은 세척수단(600)을 제1 관형부재(810)와 제2 관형부재(820) 중 어느 하나에 연결시키고, 건조수단(700)을 제1 관형부재(810)와 제2 관형부재(820) 중 다른 하나에 연결시킨다. 따라서, 교환수단(900)을 통해서 세척수단(600)을 제1 관형부재(810)에 연결시켰다가 제2 관형부재(820)에 연결시킬 수 있고, 교환수단(900)을 통해서 건조수단(700)을 제2 관형부재(820)에 연결시켰다가 제1 관형부재(810)에 연결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관형부재(810)에 세척수단(600)으로부터 세척수가 공급되다가, 건조수단(700)으로부터 기체가 공급될 수 있으므로, 제1 관형부재(810)의 제1 관통홀(815)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되다가, 기체가 분사될 수 있다. 또한, 제2 관형부재(820)에 건조수단(700)으로부터 기체가 공급되다가, 세척수가 공급될 수 있으므로, 제2 관형부재(820)의 제2 관통홀(825)로부터 기체가 분사되다가,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환자의 배설 단계에 따라, 세척수단(600)과 건조수단(700)은 제1,2 관형부재(810, 820)에 세척수와 기체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환자의 배설기관에서 배설이 시작되고 소정기간(예를 들어 4~6분)까지 교환수단(900)은 세척수단(600)을 제1 관형부재(810)에 연결하여, 세척수단(600)은 제1 관형부재(810)에 세척수를 공급하고, 교환수단(900)은 건조수단(700)을 제2 관형부재(820)에 연결하여, 건조수단(700)은 제2 관형부재(820)에 기체를 공급한다. 따라서, 제1 관형부재(810)의 제1 관통홀(815)을 통해서 세척수가 분사되어 배설기관을 세척할 수 있고, 제2 관형부재(820)의 제2 관통홀(825)을 통해서 기체가 분사되어 배설기관을 건조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관형부재(810)가 제2 관형부재(820)보다 상대적으로 내측에 배치되므로, 제1 관형부재(810)는 제2 관형부재(820)에 방해받지 않고 세척수를 분사하여 배설기관을 세척할 수 있다.
다음, 환자의 배설기관에서 배설이 시작되고 소정시간(예를 들어 4~6분) 이후부터 환자의 배설기관에서 배설이 종료되기 전까지 교환수단(900)은 세척수단(600)을 제2 관형부재(820)에 연결하여, 세척수단(600)은 제2 관형부재(820)에 세척수를 공급하고, 교환수단(900)은 건조수단(700)을 제1 관형부재(810)에 연결하여, 건조수단(700)은 제1 관형부재(810)에 기체를 공급한다. 따라서, 제1 관형부재(810)의 제1 관통홀(815)을 통해서 기체가 분사되어 배설기관을 건조시킬 수 있고, 제2 관형부재(820)의 제2 관통홀(825)을 통해서 세척수가 분사되어 배설기관을 세척할 수 있다. 이때, 제2 관형부재(820)가 제1 관형부재(810)보다 상대적으로 외측에 배치되므로, 제2 관형부재(820)는 배설물 등에 의해서 오염되었던 제1 관형부재(810)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제1 관형부재(810)를 세척할 수 있다.
다음, 환자의 배설기관에서 배설이 종료된 이후부터 교환수단(900)은 세척수단(600)을 제1 관형부재(810)에 연결하여, 세척수단(600)은 제1 관형부재(810)에 세척수를 공급하고, 교환수단(900)은 건조수단(700)을 제2 관형부재(820)에 연결하여, 건조수단(700)은 제2 관형부재(820)에 기체를 공급한다. 따라서, 제1 관형부재(810)의 제1 관통홀(815)을 통해서 세척수가 분사되어 배설기관을 세척할 수 있고, 제2 관형부재(820)의 제2 관통홀(825)을 통해서 기체가 분사되어 배설기관을 건조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관형부재(820)가 제1 관형부재(810)보다 상대적으로 외측에 배치되므로, 제2 관형부재(820)는 이전 단계에서 세척수로 세척된 제1 관형부재(810) 방향으로 기체를 분사하여 제1 관형부재(810)를 건조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교환수단(900)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또한, 환자의 배설기관에 배설이 시작되는 것과 환자의 배설기관에서 배설이 종료되는 것은 상술한 센서부를 통해서 감지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8(b)와 도 8(c)는 도 8(a)의 A-A 라인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에는 처리부(200)에 대응하는 영역에 관통부(140)가 형성되고, 관통부(140)의 외측에 처리부(200)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부(140)의 외측 테두리에 처리부(200)의 내측 테두리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관형부재(800, 제1 관형부재(810) 또는 제2 관형부재(820))는 처리부(200)의 외곽을 따라 배치된다. 이러한 관형부재(800)는 유연한 튜브 형태로 형성되므로, 환자의 배설기관에서 배설이 시작되기 전에는 관형부재(800)가 압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환자는 관형부재(800)에 의해서 불편함을 거의 느끼지 않을 수 있다. 이후, 환자의 배설기관에서 배설이 시작되면, 관형부재(800)에 세척수단(600)으로부터 세척수가 공급되거나, 건조수단(700)으로부터 기체가 공급된다. 예를 들어, 제1 관형부재(810)에 세척수단(600)으로부터 세척수가 공급되고, 제2 관형부재(820)에 건조수단(700)으로부터 기체가 공급된다. 이때, 관형부재(800)는 공급된 세척수나 기체에 의해서 팽창되고, 그에 따라 처리부(200)가 환자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처리부(200)에 배설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도 8(c) 참조).
결국, 관형부재(800, 제1 관형부재(810) 또는 제2 관형부재(820))는 세척수나 기체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세척수나 기체에 의해서 팽창되어 처리부(200)에 배설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9(b)와 도 9(c)는 도 9(a)의 B-B 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리프트부(950)는 처리부(200)의 일측(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리프트부(950)는 관형부재(800, 예를 들어 제2 관형부재(8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리프트부(950)는 유연한 튜브 형태로 형성되므로, 환자의 배설기관에서 배설이 시작되기 전에는 관형부재(800)가 압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환자는 보조 리프트부(950)에 의해서 불편함을 거의 느끼지 않을 수 있다. 이후, 환자의 배설기관에서 배설이 시작되면, 보조 리프트부(950)에 기체가 주입된다. 이때, 보조 리프트부(950)는 주입된 기체에 의해서 팽창되고, 그에 따라 처리부(200)가 환자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처리부(200)에 배설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도 9(c) 참조).
결국, 보조 리프트부(950)는 관형부재(800, 제1 관형부재(810) 또는 제2 관형부재(820))의 상부에 배치되어 처리부(200)를 환자로부터 더욱 확실히 이격시킴으로써, 처리부(200)에 배설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보조 리프트부(950)는 특히 대변을 처리하여 큰 공간이 필요한 제2 처리부(220)에 적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본체 110: 제1 개구부
120: 제2 개구부 130: 연결부
135; 벨크로 140: 관통부
140a: 제1 관통부 140b: 제2 관통부
200: 처리부 210: 제1 처리부
220: 제2 처리부 300: 흡입부
310: 제1 흡입부 320: 제2 흡입부
400: 리프트부 500: 센서부
600: 세척수단 700: 건조수단
800: 관형부재 810: 제1 관형부재
810a: 제1-1 관형부재 810b: 제1-2 관형부재
815: 제1 관통홀 820: 제2 관형부재
820a: 제2-1 관형부재 820b: 제2-2 관형부재
825: 제2 관통홀 830: 제3 관형부재
835: 제3 관통홀 840: 제4 관형부재
845: 제4 관통홀 900: 교환수단
950: 보조 리프트부

Claims (12)

  1. 환자가 착용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환자의 배설기관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처리부;
    상기 처리부에 연결되어 배설물을 흡입하는 흡입부; 및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기체가 주입되어 팽창되면 환자의 엉덩이 또는 요추부위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리프트부;
    를 포함하는 배변 처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가 환자의 엉덩이 또는 요추 부위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면, 상기 처리부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배변 처리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에어셀을 포함하는 배변 처리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환자의 배설기관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단; 및
    환자의 배설기관에 기체를 공급하는 건조수단;
    을 더 포함하는 배변 처리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환자의 배설기관을 둘러싸도록 상기 처리부에 형성되는 제1 관형부재; 및
    환자의 배설기관을 둘러싸도록 상기 처리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형부재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2 관형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척수단은 제1 관형부재와 제2 관형부재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하고,
    상기 건조수단은 제1 관형부재와 제2 관형부재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어 기체를 공급하는 배변 처리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환자의 배설기관을 둘러싸도록 상기 처리부에 형성되는 제1 관형부재;
    환자의 배설기관을 둘러싸도록 상기 처리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형부재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2 관형부재;
    환자의 배설기관을 둘러싸도록 상기 처리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관형부재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3 관형부재; 및
    환자의 배설기관을 둘러싸도록 상기 처리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3 관형부재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4 관형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척수단은 상기 제1,3 관형부재와 상기 제2,4 관형부재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하고,
    상기 건조수단은 상기 제1,3 관형부재와 상기 제2,4 관형부재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어 기체를 공급하는 배변 처리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단을 상기 제1 관형부재와 상기 제2 관형부재 중 어느 하나에 연결시키고, 상기 건조수단을 상기 제1 관형부재와 상기 제2 관형부재 중 다른 하나에 연결시키는 교환수단;
    을 더 포함하는 배변 처리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환자의 배설기관에서 배설이 시작되고 소정시간까지 상기 교환수단은 상기 세척수단을 상기 제1 관형부재에 연결하여, 상기 세척수단은 상기 제1 관형부재에 세척수를 공급하고, 상기 교환수단은 상기 건조수단을 상기 제2 관형부재에 연결하여, 상기 건조수단은 상기 제2 관형부재에 기체를 공급하며,
    상기 소정시간 이후부터 환자의 배설기관에서 배설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교환수단은 상기 세척수단을 상기 제2 관형부재에 연결하여, 상기 세척수단은 상기 제2 관형부재에 세척수를 공급하고, 상기 교환수단은 상기 건조수단을 상기 제1 관형부재에 연결하여, 상기 건조수단은 상기 제1 관형부재에 기체를 공급하며,
    환자의 배설기관에서 배설이 종료된 이후부터 상기 교환수단은 상기 세척수단을 상기 제1 관형부재에 연결하여, 상기 세척수단은 상기 제1 관형부재에 세척수를 공급하고, 상기 교환수단은 상기 건조수단을 상기 제2 관형부재에 연결하여, 상기 건조수단은 상기 제2 관형부재에 기체를 공급하는 배변 처리기.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형부재는 튜브 형태로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1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관형부재는 튜브 형태로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2 관통홀이 형성되는 배변 처리기.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형부재는 튜브 형태로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1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관형부재는 튜브 형태로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2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3 관형부재는 튜브 형태로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3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4 관형부재는 튜브 형태로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4 관통홀이 형성되는 배변 처리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환자의 배설기관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단;
    환자의 배설기관에 기체를 공급하는 건조수단; 및
    환자의 배설기관을 둘러싸도록 상기 처리부에 형성되고, 상기 세척수단과 상기 건조수단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단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거나, 상기 건조수단으로부터 기체를 공급받는 관형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처리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의 외측에 상기 처리부가 결합되며,
    상기 관형부재는 상기 처리부에 배치되어, 상기 관형부재에 세척수 또는 기체가 공급되어, 상기 관형부재가 팽창되면, 상기 처리부가 환자로부터 이격되는 배변 처리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처리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의 외측에 상기 처리부가 결합되며,
    상기 처리부에 배치되고, 기체가 주입되어 팽창되는 보조 리프트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리프트부에 기체가 공급되어, 상기 보조 리프트부가 팽창되면, 상기 처리부가 환자로부터 이격되는 배변 처리기.
KR1020200146137A 2020-11-04 2020-11-04 배변 처리기 KR102542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5344 WO2022097768A1 (ko) 2020-11-04 2020-11-04 배변 처리기
KR1020200146137A KR102542868B1 (ko) 2020-11-04 2020-11-04 배변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137A KR102542868B1 (ko) 2020-11-04 2020-11-04 배변 처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295A true KR20220060295A (ko) 2022-05-11
KR102542868B1 KR102542868B1 (ko) 2023-06-15

Family

ID=81457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137A KR102542868B1 (ko) 2020-11-04 2020-11-04 배변 처리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42868B1 (ko)
WO (1) WO2022097768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439B1 (ko) * 2001-12-29 2005-06-17 정은수 환자의 배설물 즉시처리장치
JP4390660B2 (ja) * 2004-08-23 2009-12-24 有限会社順天エンジニアリング 排泄物処理装置
KR101326562B1 (ko) * 2012-11-05 2013-11-08 박창열 기저귀 장치
KR101947797B1 (ko) 2018-07-18 2019-02-13 (주)메디엔비테크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
KR102035104B1 (ko) * 2019-01-14 2019-10-22 정영태 와병 환자용 기저귀 커버
KR20200117808A (ko) * 2019-04-03 2020-10-14 김후영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444B1 (ko) * 2010-01-04 2011-12-19 한국산재의료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439B1 (ko) * 2001-12-29 2005-06-17 정은수 환자의 배설물 즉시처리장치
JP4390660B2 (ja) * 2004-08-23 2009-12-24 有限会社順天エンジニアリング 排泄物処理装置
KR101326562B1 (ko) * 2012-11-05 2013-11-08 박창열 기저귀 장치
KR101947797B1 (ko) 2018-07-18 2019-02-13 (주)메디엔비테크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
KR102035104B1 (ko) * 2019-01-14 2019-10-22 정영태 와병 환자용 기저귀 커버
KR20200117808A (ko) * 2019-04-03 2020-10-14 김후영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2868B1 (ko) 2023-06-15
WO2022097768A1 (ko)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70231A1 (en) Wearable waste removal and cleansing apparatus
KR102198402B1 (ko)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US20030181880A1 (en) Self cleaning garment with portable cleaning apparatus suitable for incontinent individuals and the like
JP4494415B2 (ja) 弾性化したバリアカフを有する吸収性物品
KR101210932B1 (ko)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EP3103419A1 (en) Bedpan diaper
JP2008142243A (ja) 排泄補助具およびクッションパッドならびに排泄物処理システム
JP2009039405A (ja) 介護用オムツ及び介護用マット
KR101771472B1 (ko)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용 와변기 모듈
JPWO2005041829A1 (ja) 排泄物処理装置
KR102542868B1 (ko) 배변 처리기
KR20090109160A (ko) 환자용 대소변 처리장치
JP2022528948A (ja) 排便排尿用下着および排便排尿の処理方法
KR102035104B1 (ko) 와병 환자용 기저귀 커버
JP2009183680A (ja) 患者用排泄物処理装置の布カバー
JP4841117B2 (ja) 排泄物処理システムおよびオムツ
JP2006000288A (ja) 排泄物処理システムおよびオムツ
KR101603559B1 (ko) 신체 대응형 배설물 처리장치
JP2000210322A (ja) 排泄物処理装置
RU2783851C1 (ru) Трусы для мочи или кала и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мочи и кала
JP2004173935A (ja) 排泄物処理システム
US11918528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cleaning excrement
KR102134871B1 (ko) 침대용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20240081440A (ko) 착용식 플러싱 디바이스용 착용식 부품 및 착용식 부품용 기저귀 패드
CN117999052A (zh) 大小便用下衣及大小便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