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3559B1 - 신체 대응형 배설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신체 대응형 배설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3559B1
KR101603559B1 KR1020150128126A KR20150128126A KR101603559B1 KR 101603559 B1 KR101603559 B1 KR 101603559B1 KR 1020150128126 A KR1020150128126 A KR 1020150128126A KR 20150128126 A KR20150128126 A KR 20150128126A KR 101603559 B1 KR101603559 B1 KR 101603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space
space
processing
unit
contac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8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훈상
이호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라코
Priority to KR1020150128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35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559B1/ko
Priority to PCT/KR2016/009516 priority patent/WO201704378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남녀 공용 배설물 처리장치는, 인체의 성기부 및 둔부의 굴곡에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전방에는 인체의 성기부 및 둔부 방향으로 개방되어 인체로부터 배출되는 배설물을 받는 제1처리공간이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처리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제1처리공간과 함께 배설물처리부를 형성하는 제2처리공간을 포함하는 가변유닛 및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배설물처리부와 연통되어 상기 배설물처리부의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유닛은, 제1방향 또는 제1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회전된 각도에 따라 상기 제2처리공간이 상기 몸체와 함께 사용자의 신체에 대응되는 굴곡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신체 대응형 배설물 처리장치{Variable Excrement Treating Apparatus Human Body Shape}
본 발명은 인체에서 배설되는 배설물을 자동으로 처리하는 배설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의 신체 사이즈에 대응되도록 변형이 가능한 신체 대응형 배설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 노인 등 거동이 불편하거나 하체를 의지대로 움직이기 어려운 사람들은 스스로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 없어 항상 보호자 또는 간병인이 주변에 상주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신체에 직접적으로 접촉시켜 배설물을 수거하는 배설물 처리기가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배설물 처리기는 사용자의 배설물을 받아 이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사용자 주변에 보호자 또는 간병인이 상주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현재까지 개발된 종래의 배설물 처리기들은 배설물의 처리 기능에만 집중하는 경우가 많아 사용자의 신체를 고려하지 않고 설계되어, 사용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배설물이 배설되는 둔부, 또는 성기 주변은 굴곡이 심해 배설물 처리기가 밀착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며, 이에 따라 배설물이 인체와 배설물 처리기 사이로 새어 나오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환자 또는 노인 등 배설물 처리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생활하는 경우가 많고, 스스로 자세를 바꾸지 못하는 상황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가 장시간 지속될 경우에는 욕창 등이 발생하게 되므로, 주기적으로 자세를 바꾸어 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배설물 처리기를 착용한 상태에서는 자세를 바꿀 수가 없어 배설물 처리기를 제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 별로 신체의 형상이 매우 다르게 형성되므로 사용자에 따라 구조가 달라질 필요가 있으나, 배설물 처리장치가 사용자에 따라 맞춤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제조 및 구매 과정에서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하는 것은 물론, 취급이 불편하고 보관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93733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인체의 신체 사이즈에 대응되도록 변형이 가능하여 다양한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한 배설물 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신체 대응형 배설물 처리장치는, 인체의 성기부 및 둔부의 굴곡에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전방에는 인체의 성기부 및 둔부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부가 개구되어 인체로부터 배출되는 배설물을 받는 제1처리공간이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제1처리공간과 하나의 공간으로 연통된 배설물처리부를 형성하는 제2처리공간을 포함하는 가변유닛 및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배설물처리부와 연통되어 상기 배설물처리부의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유닛은, 제1방향 또는 상기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회전된 각도에 따라 상기 제2처리공간이 상기 몸체와 함께 사용자의 신체에 대응되는 굴곡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가변유닛은, 상기 가변유닛을 상기 제2방향으로 복원시키는 복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처리공간과 상기 제2처리공간의 연결부는, 상기 가변유닛의 좌우 길이가 상기 제1처리공간의 좌우 길이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처리공간의 전단 둘레에는 인체에 밀착되는 제1밀착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2처리공간의 전단 둘레에는 인체에 밀착되는 제2밀착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처리공간과 상기 제2처리공간의 연결부는, 상기 제2밀착부재의 외면이 상기 제1밀착부재의 내면에 접촉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밀착부재는, 상기 제2밀착부재의 하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누설방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밀착부재와 상기 제2밀착부재 사이에는, 상기 제1밀착부재와 상기 제2밀착부재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가변유닛의 회전 범위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 연결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배설물처리부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공급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처리공간에는 제1세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처리공간에는 제2세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세정수공급유닛은 상기 제1세정부 측으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제1유로 및 상기 제2세정부 측으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제2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유로 및 상기 제2세정부 사이에는, 유동성을 가지는 신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신체 대응형 배설물 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가변유닛의 회전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대응되도록 변형할 수 있어 사용자 구분 없이 공용으로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배설물처리부가 사용자의 성기부 및 둔부의 굴곡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배설물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사용자의 신체 치수에 따라 가변유닛의 회전 정도를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가변유닛이 회전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가변유닛의 내측에 복원부재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를 제1사용자에게 착용시킨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를 제2사용자에게 착용시킨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배설물처리부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가변유닛과 제2유로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배설물처리부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배설물처리부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1)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1)에 있어서, 가변유닛(100)이 회전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장치(1)는, 몸체(10)와, 가변유닛(100)과, 배출유로(37, 도 7 참조)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는 내부에 다른 구성요소들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전방에는 인체로부터 배출되는 배설물을 받는 제1처리공간(30)이 형성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처리공간(30)의 개방된 방향 측을 전방으로 정의하며, 반대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또한 도 1을 기준으로 위쪽을 방향을 상부로, 반대 방향을 하부로 정의하도록 한다.
상기 제1처리공간(30)은 전단이 인체의 성기부 및 둔부의 굴곡에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인체의 성기부 및 둔부 방향으로 개방되어 배설물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처리공간(30)에는, 배설물의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32)와, 상기 배출유로 측으로 배설물을 유동시킬 수 있는 흡입구(3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후방에는 상기 배출유로와 연결되는 외부의 연결관이 상기 수용공간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인입부(40)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몸체(10)의 하부에는, 전방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둔부에 밀착되는 연장부(20)가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20)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전체적으로 인체의 굴곡에 대응되도록 자연스러운 곡선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부(20)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연장부(20) 후방의 높이는 전방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고,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장부(20)는 중심에서 측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둔부를 연장부(20) 상에 안착시켰을 경우 이물감을 느끼지 않게 되며, 둔부의 갈라진 부분에 밀착되어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상기 가변유닛(100)은 상기 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처리공간(30)과 연통되어 상기 제1처리공간(30)과 함께 배설물처리부(S)를 형성하는 제2처리공간(11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가변유닛(100)은 상기 몸체(10) 전방의 상부에 구비되며, 회전축(102)에 의해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변유닛(100)은 제1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는 기립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처리공간(110)이 전방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변유닛(100)은 상기 몸체(10)와 함께 신체 사이즈가 큰 사용자의 성기부 및 둔부에 대응되는 굴곡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방향은, 상기 회전축(102)을 기준으로 상기 가변유닛(100)이 후방으로 회전되는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변유닛(100)이 상기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처리공간(110)이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가변유닛(100)은 상기 몸체(10)와 함께 신체 사이즈가 작은 사용자의 성기부 및 둔부에 대응되는 굴곡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변유닛(100)은, 상기 가변유닛(100)을 상기 제2방향으로 복원시키는 복원부재(104)를 포함한다.
상기 복원부재(104)는 토션스프링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가변유닛(100)을 인체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외력을 인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복원부재(104)가 배설물 또는 세정수 등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변유닛(100)에는 상기 복원부재(104)를 감싸는 격벽(106)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처리공간(30)의 전단 둘레에는 인체에 밀착되는 제1밀착부재(15)가 형성되고, 상기 제2처리공간(110)의 전단 둘레에는 인체에 밀착되는 제2밀착부재(115)가 형성된다. 이들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1)를 제1사용자(F)에게 착용시킨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1)를 제2사용자(M)에게 착용시킨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침대 등에 누운 상태에서 배설물 처리장치(1)의 몸체(10)를 다리 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성기부 및 둔부에 밀착시켜 안정적으로 배설물 처리장치(1)를 착용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 사이즈가 큰 제1사용자(F)에게 배설물 처리장치(1)를 착용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가변유닛(100)이 제1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배설물 처리장치(1)의 안착부가 제1사용자(F)에게 적합한 곡선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 사이즈가 작은 제2사용자(M)에게 배설물 처리장치(1)를 착용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가변유닛(100)이 제2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가변유닛(100)은 상기 배설물 처리장치(1)의 안착부가 제2사용자(M)에게 적합한 곡선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배설물 처리장치(1)는 가변유닛(100)의 회전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대응되도록 가변할 수 있어, 사용자 구분 없이 공용으로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 치수에따라 용이하게 가변유닛(100)을 회전시켜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배설물처리부(S)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설물처리부(S)는 제1처리공간(30) 및 제2처리공간(110)이 서로 연통된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가변유닛(100)이 몸체(10)에 간섭받지 않고 회전될 수 있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몸체(10)와 가변유닛(100)의 연결부는, 상기 가변유닛(100)의 좌우 길이가 상기 제1처리공간(30)의 좌우 길이 이하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처리공간(30)의 전단 둘레에는 인체에 밀착되는 제1밀착부재(15)가 형성되고, 상기 제2처리공간(110)의 전단 둘레에는 인체에 밀착되는 제2밀착부재(115)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밀착부재(110)의 외면은, 상기 제1밀착부재(30)의 내면에 접촉된 상태를 가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가변유닛(100)은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되면서도 상기 제1밀착부재(30)와 상기 제2밀착부내가 서로 접촉된 상태를 가지므로, 배설물 또는 세정수 등이 상기 몸체(10)와 상기 가변유닛(100)의 연결부 사이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배설물처리부(S)의 세정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1)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1)에 있어서, 가변유닛(100)과 제2유로(54)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몸체(10) 내의 수용공간에는 상기 배설물처리부(S)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공급유닛(50)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처리공간(30)에는 전달받은 세정수를 분사하는 제1세정부(60)가 형성되고, 상기 제2처리공간(110)에는 전달받은 세정수를 분사하는 제2세정부(1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세정수공급유닛(50)은, 상기 제1세정부(60) 측으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제1유로(56)와, 상기 제2세정부(120) 측으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제2유로(54)를 포함한다. 즉 상기 세정수공급유닛(50)은 외부의 세정수공급원으로부터 연결된 공급유로(40)를 통해 세정수를 전달받아, 이를 상기 제1유로(56) 및 상기 제2유로(54)로 나누어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가변유닛(100) 내측의 제2처리공간(110)을 세정하는 구조가 보다 자세히 도시된다. 특히 남성이 본 발명의 배설물 처리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2처리공간(110)의 세정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유로(54)는 상기 제2세정부(120)에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변유닛(100)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2유로(54)는 상기 가변유닛(100)의 회전에 영향받지 않고 세정수를 공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2유로(54) 및 상기 제2세정부(120) 사이에는, 유동성을 가지는 신축부(130)가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다. 상기 신축부(130)는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가변유닛(100)이 회전되더라도 유연하게 대응하여 변형되고, 세정수의 전달 경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배설물처리부(S) 전체를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배설물처리부(S)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1실시예와 모든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가변유닛(100)의 좌우 길이는 제1처리공간(30)의 좌우 길이 이하로 형성되며, 이때 제1밀착부재(15)의 내면은 제2밀착부재(115)의 외면과 접촉된 상태를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2밀착부재(115)는, 상기 제2밀착부재(115)의 하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누설방지돌기(117)가 더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상기 제2처리공간(110)으로부터 상기 제1처리공간(30)으로 떨어지는 배설물 또는 세정수가 상기 제1밀착부재(15)와 상기 제2말착부재(10) 사이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배설물 또는 세정수의 누설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설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배설물처리부(S)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제3실시예 역시, 전술한 각 실시예들과 전체적인 구조는 동일하게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밀착부재(15)와 상기 제2밀착부재(115) 사이에는, 상기 제1밀착부재(15)와 상기 제2밀착부재(115)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가변유닛(100)의 회전 범위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 연결부재(119)가 더 구비되는 것이 다르다.
즉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상기 제1밀착부재(15)와 상기 제2밀착부재(115)가 서로 분리된 상태로 접촉하고 있는 것과 달리,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밀착부재(15)와 상기 제2밀착부재(115)는 상기 연결부재(119)에 의해 하나로 연결된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배설물 또는 세정수가 상기 제1밀착부재(15)와 상기 제2밀착부재(115) 사이로 누설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연결부재(119)는 상기 가변유닛(100)의 회전에 대응되어 신축될 수 있어 상기 가변유닛(10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배설물 처리장치 10: 몸체
15: 제1밀착부재 20: 연장부
30: 제1처리공간 37: 배출유로
40: 인입부 50: 세정수공급유닛
52: 공급유로 54: 제2유로
56: 제1유로 60: 제1세정부
100: 가변유닛 110: 제2처리공간
115: 제2밀착부재 120: 제2세정부
130: 신축부 S: 배설물처리부

Claims (10)

  1. 인체의 성기부 및 둔부의 굴곡에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전방에는 인체의 성기부 및 둔부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부가 개구되어 인체로부터 배출되는 배설물을 받는 제1처리공간이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제1처리공간과 하나의 공간으로 연통된 배설물처리부를 형성하는 제2처리공간을 포함하는 가변유닛; 및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배설물처리부와 연통되어 상기 배설물처리부의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유로;
    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유닛은,
    제1방향 또는 상기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회전된 각도에 따라 상기 제2처리공간이 상기 몸체와 함께 사용자의 신체에 대응되는 굴곡을 형성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유닛은,
    상기 가변유닛을 상기 제2방향으로 복원시키는 복원부재를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처리공간과 상기 제2처리공간의 연결부는,
    상기 가변유닛의 좌우 길이가 상기 제1처리공간의 좌우 길이 이하로 형성된 배설물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처리공간의 전단 둘레에는 인체에 밀착되는 제1밀착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2처리공간의 전단 둘레에는 인체에 밀착되는 제2밀착부재가 형성된 배설물 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처리공간과 상기 제2처리공간의 연결부는,
    상기 제2밀착부재의 외면이 상기 제1밀착부재의 내면에 접촉된 상태를 가지는 배설물 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밀착부재는, 상기 제2밀착부재의 하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누설방지돌기가 형성된 배설물 처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밀착부재와 상기 제2밀착부재 사이에는,
    상기 제1밀착부재와 상기 제2밀착부재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가변유닛의 회전 범위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 연결부재가 구비된 배설물 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배설물처리부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공급유닛을 더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처리공간에는 제1세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처리공간에는 제2세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세정수공급유닛은 상기 제1세정부 측으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제1유로 및 상기 제2세정부 측으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제2유로를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 및 상기 제2세정부 사이에는, 유동성을 가지는 신축부가 형성된 배설물 처리장치.
KR1020150128126A 2015-09-10 2015-09-10 신체 대응형 배설물 처리장치 KR101603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126A KR101603559B1 (ko) 2015-09-10 2015-09-10 신체 대응형 배설물 처리장치
PCT/KR2016/009516 WO2017043789A1 (ko) 2015-09-10 2016-08-26 신체 대응형 배설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126A KR101603559B1 (ko) 2015-09-10 2015-09-10 신체 대응형 배설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3559B1 true KR101603559B1 (ko) 2016-03-15

Family

ID=55542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126A KR101603559B1 (ko) 2015-09-10 2015-09-10 신체 대응형 배설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03559B1 (ko)
WO (1) WO20170437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3789A1 (ko) * 2015-09-10 2017-03-16 주식회사 큐라코 신체 대응형 배설물 처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733B1 (ko) 2007-09-14 2009-04-17 라니쎄인트웰 주식회사 안전장치를 구비한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JP2010148724A (ja) * 2008-12-25 2010-07-08 Minoru Nakamura 自動排尿便処理装置
JP4520510B2 (ja) * 2008-02-05 2010-08-04 稔 中村 人体仰臥用便器
KR101544569B1 (ko) * 2014-12-01 2015-08-13 주식회사 큐라코 인체 대향 개구부가 형성된 남성용모듈을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KR101544572B1 (ko) * 2014-12-01 2015-08-13 주식회사 큐라코 회전형 남성용모듈을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6652B2 (ja) * 2006-07-04 2008-07-09 中村 稔 自動排便処理装置
KR101179217B1 (ko) * 2010-05-18 2012-09-04 허승환 대변 처리 장치
KR101603559B1 (ko) * 2015-09-10 2016-03-15 주식회사 큐라코 신체 대응형 배설물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733B1 (ko) 2007-09-14 2009-04-17 라니쎄인트웰 주식회사 안전장치를 구비한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JP4520510B2 (ja) * 2008-02-05 2010-08-04 稔 中村 人体仰臥用便器
JP2010148724A (ja) * 2008-12-25 2010-07-08 Minoru Nakamura 自動排尿便処理装置
KR101544569B1 (ko) * 2014-12-01 2015-08-13 주식회사 큐라코 인체 대향 개구부가 형성된 남성용모듈을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KR101544572B1 (ko) * 2014-12-01 2015-08-13 주식회사 큐라코 회전형 남성용모듈을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3789A1 (ko) * 2015-09-10 2017-03-16 주식회사 큐라코 신체 대응형 배설물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43789A1 (ko) 201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9493B2 (ja) スマートな介護用排泄物処理装置
US3601125A (en) Body-worn urinal for females
US10004630B2 (en) Wearable toilet seat
KR101575140B1 (ko)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장치
EP3103419A1 (en) Bedpan diaper
JP6681411B2 (ja) 人体に合わせた排泄物処理装置
KR101680982B1 (ko) 대변 배출기
TW202245718A (zh) 穿戴式沖洗裝置
CN103720558B (zh) 集便器和尿便自动护理装置
KR101603559B1 (ko) 신체 대응형 배설물 처리장치
KR101544566B1 (ko) 밀착부재를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KR101622102B1 (ko) 회전노즐이 구비된 배설물 처리장치
KR101544569B1 (ko) 인체 대향 개구부가 형성된 남성용모듈을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JP6533578B2 (ja) 人体対向開口部が形成された男性用モジュールを含む排泄物処理装置
JP6534749B2 (ja) 性別専用モジュールを含む排泄物処理装置
JP2018503497A (ja) 男性用モジュールを含む排泄物処理処置
KR101544572B1 (ko) 회전형 남성용모듈을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KR102110052B1 (ko) 와상 환자용 자동 배변장치
KR102070191B1 (ko) 환자용 오물처리기
US8394073B1 (en) Male catheter and pump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KR101605730B1 (ko) 성별전용모듈을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KR101605734B1 (ko) 남성용모듈을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KR102330008B1 (ko) 공기유로가 형성된 브라켓튜브를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KR102542868B1 (ko) 배변 처리기
JP2000210322A (ja) 排泄物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