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0705A -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40705A KR20230140705A KR1020220039289A KR20220039289A KR20230140705A KR 20230140705 A KR20230140705 A KR 20230140705A KR 1020220039289 A KR1020220039289 A KR 1020220039289A KR 20220039289 A KR20220039289 A KR 20220039289A KR 20230140705 A KR20230140705 A KR 202301407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rine
- expansion
- feces
- thigh
- pipe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7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10000000436 anus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27939 micturi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claims 1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description 5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474 nur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1417534 Lutjan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2 irri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73 irr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1—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having venting or deodorant means, e.g. filters ; having antiseptic means, e.g. bacterial barri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위생적이면서 대소변을 수회 처리할 수 있는 대소변용 하의(기저귀)가 개시된다. 상기 대소변용 하의는 전면, 후면 및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을 연결시키는 연결면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후면은 사용자의 힙에 대응하는 힙부 및 사용자의 허벅지에 대응하는 허벅지부를 가지며, 상기 후면 내측면 위에 팽창부 및 사용자의 엉덩이 또는 허벅지를 상승시키는 받침부가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팽창부가 팽창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 또는 허벅지가 상승하며, 상기 엉덩이 또는 허벅지가 상승함에 의해 상기 후면과 연결면 사이에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팽창부는 제 1 팽창부, 제 2 팽창부 및 상기 팽창부들을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팽창부들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의 폭은 상기 팽창된 팽창부들의 폭보다 작으며, 상기 팽창부들이 팽창함에 의해 상기 연결부 하단으로 배출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 받아진 대소변 또는 세척에 따른 오염수가 상기 배출 통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양 병원에 있는 환자나 노인들의 대부분이 거동이 불편하며, 따라서 예를 들어 환자가 침대에서 누워 있는 상태로 가족이나 간병인이 대소변을 처리하는 경우가 많다.
구체적으로는, 가족이나 간병인이 환자가 대소변시 1회용 기저귀를 환자로부터 벗기고 새로운 기저귀를 환자에게 착용시킨다. 이러한 기저귀 교체 과정이 하루에도 수회 이루어진다.
낮에는 가족이 환자를 돌보기 어려워서 간병인이 환자의 기저귀를 교체시키나, 간병인의 부족으로 인하여 실질적으로 환자의 기저귀를 제때 교체해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환자의 위생 상태가 좋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대변용 기저귀와 소변용 기저귀가 별도로 있기 때문에, 하루에도 상당히 많은 기저귀가 소모되게 된다. 수많은 기저귀가 버려짐에 따라 환경 오염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생적이면서 대소변을 수회 처리할 수 있는 대소변용 하의(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용 하의는 전면; 후면; 및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을 연결시키는 연결면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후면은 사용자의 힙에 대응하는 힙부 및 사용자의 허벅지에 대응하는 허벅지부를 가지며, 상기 후면 내측면 위에 팽창부 및 사용자의 엉덩이 또는 허벅지를 상승시키는 받침부가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팽창부가 팽창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 또는 허벅지가 상승하며, 상기 엉덩이 또는 허벅지가 상승함에 의해 상기 후면과 연결면 사이에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팽창부는 제 1 팽창부, 제 2 팽창부 및 상기 팽창부들을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팽창부들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의 폭은 상기 팽창된 팽창부들의 폭보다 작으며, 상기 팽창부들이 팽창함에 의해 상기 연결부 하단으로 배출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 받아진 대소변 또는 세척에 따른 오염수가 상기 배출 통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용 하의는 전면; 후면; 및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을 연결시키는 연결면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후면은 사용자의 힙에 대응하는 힙부 및 사용자의 허벅지에 대응하는 허벅지부를 가지며, 상기 후면 내측면 위에 팽창부 및 사용자의 엉덩이 또는 허벅지를 상승시키는 받침부가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팽창부가 팽창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 또는 허벅지가 상승하며, 상기 엉덩이 또는 허벅지가 상승함에 의해 상기 후면과 연결면 사이에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팽창부는 상호 이격된 제 1 팽창부 및 제 2 팽창부를 가지며, 상기 팽창부들이 팽창함에 의해 상기 연결부 하단으로 배출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 받아진 대소변 또는 세척에 따른 오염수가 상기 배출 통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대소변용 하의(기저귀)는 대소변을 여러번 처리할 수 있고 세척한 후 재사용 가능하므로,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소변용 하의가 엉덩이들을 들어올려서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므로, 상기 공간에 받아진 대소변이 사용자의 피부에 닿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환자가 침대에 누워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에서 대소변을 받기 위한 공간을 만드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엉덩이 받침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벅지 받침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부 구조 및 대소변 배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 배출 구조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팽창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에서 대소변을 받기 위한 공간을 만드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엉덩이 받침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벅지 받침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부 구조 및 대소변 배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 배출 구조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팽창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노인 또는 환자(사용자)용 기저귀, 특히 요양 병원용 기저귀에 관한 것으로서, 대소변을 여러번 처리할 수 있어 자주 갈아주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고 대소변 처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기저귀는 사용자의 대소변 감지시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상기 공간에 받아진 대소변을 즉시 처리하며,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에 묻은 배변을 세척할 수 있다. 이러한 기저귀는 세탁 후 재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공간은 받아진 대소변이 사용자의 피부에 닿는 것을 최소화시키도록 형성되며, 따라서 위생적이다.
요양 병원에서는 많은 환자나 노인들이 거동이 불편하여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대소변을 보며, 가족이나 간병인이 환경을 오염시키는 1회용 기저귀를 일일 수회 정도 교체해주고 있다.
또한, 대변용 기저귀와 소변용 기저귀가 별도로 있어서 따로 갈아주어야만 한다. 간병인이 부족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환자의 기저귀가 원활히 갈아지고 있지 않으며, 따라서 환자의 위생 상태가 좋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위생적이면서도 대소변을 수회 처리할 수 있는 기저귀를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저귀의 사용자를 환자로 가정하겠다.
도 1은 환자가 침대에 누워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에서 대소변을 받기 위한 공간을 만드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기저귀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에 누워있는 환자가 착용하고 있는 하의로서, 대소변을 수회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저귀는 사용 연령, 성별 등에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며, 하의로서 대소변을 처리한다는 관점에서 대소변용 하의로 명명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저귀는 노인이나 환자 또는 유아용 기저귀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대소변을 처리할 수 있는 모든 하의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기저귀는 전면(200a), 후면(200b) 및 전면(200a)과 후면(200b)을 연결하는 연결면(200c, 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저귀는 바지와 같이 입는 구조일 수도 있고, 유아용 기저귀와 같은 부착형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예를 들어 전면(200a)의 좌측 또는 우측에 열고 닫을 수 있는 찍찍이 또는 지퍼(잠금 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후면(200b)에 잠금 장치가 형성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후면(200a)에는 여러가지 구성요소들이 포함되므로 전면(200a)에 설치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후면(200b)은 힙부(210), 제 1 허벅지부(212) 및 제 2 허벅지부(214)를 포함하되, 힙부(210)는 좌우측 엉덩이를 받치는 엉덩이 받침부들(220a 및 220b)을 가질 수 있다.
엉덩이 받침부들(220a 및 220b)은 좌우측 엉덩이를 받치면서 대소변시 엉덩이를 들어올리는 기능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패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엉덩이 받침부들(220a 및 220b)은 각기 도 3에 도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면(200b)의 내측면(200b-1)과 외측면(200b-2) 사이(내측 공간)에서 내측면(200b-1)에 엉덩이 받침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내측면(200b-1)은 환자의 엉덩이가 닿는 부분이고, 외측면(200b-2)은 침대에 닿는 부분일 수 있다.
또한, 내측면(200b-1) 또는 외측면(200b-2)에 공기 주입관(300)이 연결부(310)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공기 주입부(미도시)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주입관(300)을 통하여 공기를 내측면(200b-1)과 외측면(200b-2) 사이의 공간(210a)으로 주입후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엉덩이 받침부(220)가 들어올려진다. 결과적으로, 엉덩이 받침부들(220a 및 220b)에 의해 좌우측 엉덩이들이 들어올려지며, 그 결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힙부(210)와 연결면(200c)에 의해 그릇 형태의 공간(A, 파여진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허벅지 받침부(222)에 의해 허벅지가 들어올려지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힙부(210), 연결면(200c) 및 허벅지 받침부(222)에 해당하는 허벅지부(212 및 214)에 의해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A)이 형성될 수 있다.
공간(A)은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으로, 엉덩이들이 엉덩이 받침부들(220a 및 220b)에 의해 들어올려졌기 때문에 공간(A) 내에 받아진 대소변이 환자의 피부에 거의 닿지 않는다. 즉, 환자의 피부가 배변에 닿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위생적일 수 있다.
위에서는, 공기를 내측면(200b-1)과 외측면(200b-2) 사이의 공간(210a)으로 주입하여 그릇 형태의 공간(A)을 형성하였으나, 좌우측 엉덩이들을 들어올려 공간(A)을 만들 수 있는 한 공간(A)을 형성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 구동을 통하여 엉덩이 받침부들(220a 및 220b)을 들어올릴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허벅지부(212)에 제 1 허벅지 받침부(222a)가 형성되고, 제 2 허벅지부(214)에 제 2 허벅지 받침부(222b)가 형성될 수 있다.
허벅지 받침부(2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벅지부(212 또는 214)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내측 공간)에서 상기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공기 주입관(400)을 통하여 주입된 공기에 의해 들어올려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좌우 허벅지들 또한 허벅지 받침부들(222)에 의해 들어올려질 수 있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릇 형태의 공간(A)이 더 잘 만들어질 뿐만 아니라 후면(200b)의 허벅지부들(212 및 214)이 환자의 허벅지에 밀착되므로, 대소변 및 세척에 따른 오염수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침대나 환자가 더럽혀지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후면(200b)에서 허리 부근에 허리 받침부(224)가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허리 받침부(224) 또한 후면(200b)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공기 주입관(미도시)을 통하여 주입된 공기에 의해 들어올려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허리 받침부(224)가 환자의 허리에 밀착됨에 따라 대소변 및 오염수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을 수 있다.
후면(200b)을 더 살펴보면, 후면(200b)에는 배출관(230), 적어도 하나의 세척관(234) 및 건조관(240)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관(230)은 일단이 수거부(250)와 연결되고 타측은 연결부(232)를 통하여 후면(200b)에 연결될 수 있으며, 대소변 및 오염수를 흡입할 수 있다. 여기서, 배출관(230)은 연결부(232)를 통하여 후면(200b)으로부터 착탈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관(230)은 대소변을 받는 공간(A)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간(A)에 존재하는 대소변 및 오염수가 배출관(230)을 통하여 수거부(250)로 수거될 수 있다.
한편, 환자가 침대에 누워있는 상태로 기저귀를 교체하기 때문에, 침대의 일부분에 홀이 형성되고, 배출관(230)이 상기 침대의 홀을 통하여 수거부(250)에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침대에 별도의 홀 없이 배출관(230)이 상기 침대의 상면 상에서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수거부(250)는 공간(A)에 받아진 대소변 및 오염수를 흡입하여 수거할 수 있는 한 제한이 없으며, 흡입 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세척관(234)은 일단이 세척수부(238)에 연결되고 타단이 해당 연결부(236 및 242)를 통하여 후면(200b)에 연결될 수 있으며, 착탈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관(234)은 후면(200b) 중 공간(A)의 외측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세척관(234)이 대소변에 의해 막히면 안되기 때문이다.
다만, 세척관(234)은 배변을 세척하여야 하기 때문에, 항문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척관(234)은 항문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항문을 향하여 배열되며, 분출 수압에 의해 흔들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관(234)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를 직선으로 방출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분출구들이 형성되어 세척수가 넓겨 퍼져 분출될 수도 있다. 여기서, 세척관(234)은 후면(200b) 상에 평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200b)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세척관(234)이 돌출되더라도 평상시에는 후면(200b) 상에 평평하게 형성되다가 대소변시에 후면(200b)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세척수부(238)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탱크일 수 있으며, 세척수가 세척관(234)을 통하여 분출이 가능하도록 펌프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세척수부(238)는 직접 수도관에 연결되어 공급될 수도 있으며, 세척관(234)은 세척수부(238)와 착탈 가능할 수 있다.
건조관(240)은 일단이 건조부(미도시)에 연결되고 타단이 연결부(242)를 통하여 후면(200b)에 연결될 수 있으며, 착탈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건조부는 건조관(240)을 통하여 건조풍을 배출하여 세척수에 의해 세척된 엉덩이를 건조시킬 수 있다.
정리후면, 본 발명의 기저귀는 엉덩이 받침부들(220a 및 220b) 및 허벅지 받침부들(222a 및 222b)을 이용하여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A)을 형성하고, 대소변시 세척수를 이용하여 항문을 세척하며, 대소변 및 세척된 오물(오염수)을 수거부(250)를 통하여 수거하고, 세척수에 의해 젖은 엉덩이나 항문을 건조풍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환자가 하루에 몇번을 대소변을 보더라도 기저귀를 교체할 필요가 없으며, 하루 또는 몇일 정도 기저귀를 계속 사용하더라도 기저귀를 세탁한 후 다시 사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환자의 기저귀를 자주 갈지 않아도 되므로, 가족이나 간병인의 수고가 덜어지고 환경 오염이 줄어들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기저귀는 허리를 조여줄 수 있는 탄성부(216) 및 대소변시 발생하는 습기 및 가스를 통하여 대소변을 감지하는 센서(미도시) 또는 소변과 대변 배출시 이를 접촉으로 감지하거나 무게로써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216)는 공기 주입에 의해 기저귀 내부가 부풀어오를때 환자의 조여짐이 덜해지게 할 수 있다. 한편, 탄성부는 기저귀의 허벅지부(214)에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기저귀의 내측 공간에 형성될 수도 있고, 기저귀의 내측면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센서가 대소변을 감지하는 한 위치적인 제한은 없다. 다만, 상기 센서는 엉덩이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는 항문으로부터 가스 등이 나올 때 즉시 감지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기저귀의 상단 부분은 다수의 양각 돌출 무늬가 형성되거나 주름 등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결과 기저귀의 내부면과 환자의 피부의 접촉 부분이 최소화될 수 있고 공기가 자연적으로 순환할 수 있다.
게다가, 세척관(234)과 연결되는 연결부(236)에는 마개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세척관(234)을 기저귀로부터 분리시 연결부(236)의 홀을 막기 위해서이다.
더욱이, 상기 기저귀의 상단 부분(허리에 해당)에는 마사지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공기 주입에 따라 환자의 엉덩이 및 허벅지가 들어졌다가 다시 내려오는 동작을 반복후면, 허리의 마사지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저귀의 상단 부분(허리에 해당)에는 온열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저귀에서 대소변을 처리하는 과정을 살펴보겠다. 환자가 침대 위에 누워있다고 가정한다.
우선, 환자에게 기저귀를 착용시킨 후 배출관(230), 세척관(234) 및 건조관(240)을 상기 기저귀에 연결시킬 수 있다. 물론, 배출관(230), 세척관(234) 및 건조관(240)은 환자가 기저귀 착용 전에 상기 기저귀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어서, 센서가 습기, 가스 또는 무게를 통하여 대소변 배출을 감지한다.
계속하여, 대소변 배출 감지시, 공기 주입을 통하여 엉덩이 받침부들(220a 및 220b) 및 허벅지 받침부들(222a 및 222b)을 들어올리며, 그 결과 환자의 엉덩이들 및 허벅지들이 들어올려지고 힙부(210)와 연결면(200c)에 의해 그릇 형태의 공간(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공간(A)에 대소변이 받아지므로, 환자의 피부가 대소변에 닿는 것이 최소화된다.
한편, 엉덩이 받침부들(220a 및 220b) 및 허벅지 받침부들(222a 및 222b)이 들어올려질 때, 허리 받침부(224)도 함께 들어올려질 수 있다.
이어서, 대소변 배출이 완료되었다고 판단시, 세척수가 세척관(234)을 통하여 항문으로 배출될 수 있다.
계속하여, 세척수의 배출이 완료되면, 건조풍이 건조관(240)을 통하여 세척수에 의해 젖은 항문을 건조시킬 수 있다.
이어서, 대소변 및 상기 세척수에 의한 오염수가 배출관(230)을 통하여 수거부(250)로 수거된다. 이러한 수거 과정은 건조 전에 수행될 수도 있고 건조와 함께 진행될 수도 있다.
계속하여, 수거 완료시, 엉덩이 받침부들(220a 및 220b), 허벅지 받침부들(222a 및 222b) 및 허리 받침부(224)가 정상적인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즉, 들어올려졌던 엉덩이 받침부들(220a 및 220b), 허벅지 받침부들(222a 및 222b) 및 허리 받침부(224)가 내려올 수 있다.
이어서, 수거부(250)에 수거된 대소변 및 오물수가 버려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귀 후면의 내측면(200b-1)와 외측면(200b-2) 사이에 엉덩이 받침부(600)와 팽창부(602, 예를 들어 풍선)가 적층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내측면(200b-1)와 외측면(200b-2) 사이에 엉덩이 받침부만 있었던 이전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내측면(200b-1)와 외측면(200b-2) 사이에 엉덩이 받침부(600)와 팽창부(602)가 존재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공기 주입관(604)을 통하여 팽창부(602)로 공기가 주입되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부(602)가 팽창하면서 엉덩이 받침부(600)를 상승시킨다. 결과적으로, 환자의 엉덩이가 상승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허벅지 견지에서, 기저귀 후면의 내측면(200b-1)와 외측면(200b-2) 사이에 허벅지 받침부와 팽창부가 적층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팽창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허벅지 받침부를 상승시킬 수 있다.
즉, 엉덩이 받침부(600)와 허벅지 받침부들이 상승함에 따라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에 대한 설명은 위에서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하겠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엉덩이 받침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벅지 받침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7은 기저귀의 후면만을 보여준다.
도 7을 참조하면, 기저귀의 후면(700)의 내측면 중 힙부(700a) 위에 받침 부재(702)가 위치할 수 있고, 내측면(700a)과 받침 부재(702) 사이에 팽창부들(720, 722 및 724)이 배열될 수 있다. 다만, 팽창부들(722 및 724)은 기저귀의 후면(700)의 외측면 하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받침 부재(702)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엉덩이 받침부(710), 제 1 허벅지 받침부(712), 제 2 허벅지 받침부(714), 엉덩이 받침부(710)과 제 1 허벅지 받침부(712)를 연결하는 제 1 연결부(800) 및 엉덩이 받침부(710)와 제 2 허벅지 받침부(714)를 연결하는 제 2 연결부(80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엉덩이 받침부(710) 및 허벅지 받침부들(712 및 714)이 일체형으로 구현된다. 물론, 엉덩이 받침부(710) 및 허벅지 받침부들(712 및 714)은 연결부들(800 및 802) 없이 각기 별개의 부재로서 존재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엉덩이 받침부(710) 및 허벅지 받침부들(712 및 714)은 연결부들(800 및 802) 보다 큰 높이를 가지며, 연결부들(800 및 802) 위로 세척관 등이 가로질러 배열될 수도 있다.
도 9의 (A) 및 (B)를 참조하여 엉덩이 받침부(710)의 동작을 살펴보면, 엉덩이 받침부(710)와 힙부(700a)의 내측면(700a-1) 사이에 위치하는 팽창부(720)에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부(720)가 팽창하며, 그 결과 엉덩이 받침부(710)가 상승하게 되어 엉덩이가 들어올려진다.
도 10의 (A) 및 (B)를 참조하여 허벅지 받침부(1010)의 동작을 살펴보면, 허벅지 받침부(1010)는 기저귀의 후면(700) 중 허벅지부의 내측면(700b-1) 위에 배열되고, 팽창부(1012)는 허벅지부의 외측면(700b-2) 하부에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 상태에서, 공기 주입관(1014)을 통하여 팽창부(1012)로 공기가 주입되면, 허벅지 받침부(1010)가 들어올려지며, 그 결과 허벅지가 상승한다.
물론, 내측면(700b-1) 위에 팽창부 및 허벅지 받침부(1010)가 순차적으로 위치할 수도 있다. 다만, 도 10의 구조가 허벅지부 자체도 상승시키므로 소변 등을 배출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데 더 유리하다.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엉덩이 받침부(710)와 허벅지 받침부(1010)들이 상승함에 따라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이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다.
위의 실시예들에서, 배출관, 세척관 및 건조관을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도 1 내지 도 6의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별도로 설명하지는 않았다.
다만, 배출관, 세척관 및 건조관은 위의 실시예들에서처럼 기저귀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지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귀의 내측면 위에 형성된 관 구조물(110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 구조물(1100)은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배출관, 세척관 또는 건조관이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홀(110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배출관, 세척관 또는 건조관은 기저귀에 직접 결합되지 않고 관 구조물(1100)에 결합될 수 있다.
물론, 관 구조물(1100)은 기저귀로 진입하는 외부 관과 내측에 위치하는 내부 관을 연결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즉, 관 구조물(1100)이 배출관, 세척관 또는 건조관을 결합시킬 수 있는 한 결합 구조 및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부 구조 및 대소변 배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 배출 구조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팽창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도 2 내지 도 11에서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설명을 생략하겠다.
도 12를 참조하면, 하의(기저귀)에는 도 2에서 보여진 제 1 배출관(230) 외에 제 2 배출관(1200) 및 바람 분사부(1202)가 추가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제 1 배출관(230)은 기저귀의 후면 중앙부에 연결되는 반면에, 제 2 배출관(1200)은 엉덩이 받침부 또는 허벅지 받침부를 상승시키는 팽창부 방향으로 하여 외부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엉덩이 받침부 또는 상기 허벅지 받침부를 상승시키는 팽창부는 제 1 팽창부(1300), 제 2 팽창부(1302) 및 연결부(1304)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가 주입되기 전에는 팽창부들(1300 및 1302)은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되지 않은 상태로 있다가 공기가 주입되면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1304)는 팽창부(1300 또는 1302)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팽창부들(1300 및 1302)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팽창부들(1300 및 1302)이 팽창하면 연결부(1304)의 하단으로 배출 통로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소변이 모아진 공간의 대소변 또는 오염수가 제 1 배출관(230)을 통해서 배출될 뿐만 아니라 연결부(1304) 하단의 배출 통로 및 제 2 배출관(120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위에서 공기가 주입되는 구조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팽창부들(1300 및 1302) 중 하나로 공기가 주입되며, 주입된 공기는 연결부(1304)를 통하여 다른 팽창부로 전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하나의 팽창부(1300 또는 1302)로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부들(1300 및 1302)이 모두 팽창할 수 있다. 물론, 팽창부들(1300 및 1302) 각각으로 공기가 주입될 수도 있다.
도 2의 구조에서는 많은 양의 대변이나 다량의 오염수가 발생하면 이를 배출시키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이러한 대변이나 오염수를 원활하게 배출하기 위하여 팽창부들(1300 및 1302)의 연결부(1304) 하단에 다른 배출 통로를 형성하였다.
또한, 위에서는 엉덩이 받침부 또는 허벅지 받침부들 중 하나를 상승시키는 팽창부를 통하여서만 배출 통로가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엉덩이 받침부 및 모든 허벅지 받침부에도 배출 통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엉덩이 받침부 및 허벅지 받침부들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팽창부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연결부(1404)가 제 1 팽창부(1400)와 제 2 팽창부(1402)를 연결시키되, 팽창부들(1400 및 1402)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연결부(1404)의 하단을 통하여 배출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팽창부(1400)는 엉덩이 및 허벅지 일부를 상승시키고, 제 2 팽창부(1402)는 허벅지 나머지 부분을 상승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 하단의 배출 통로로 대소변이나 오염수가 잘 배출되도록 바람을 분사해주는 바람 분사부(12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바람 분사부(1202)가 연결부 하단의 배출 통로로 대변이나 오염수가 흐르도록 상기 배출 통로 방향으로 하여 바람을 분사시킬 수 있다.
노인 환자 등의 경우 하루에도 수십번 대소변을 배출하므로, 도 2의 구조에서는 다량의 세척수를 분사하여야 하고 이에 따라 다량의 오염수가 발생하기 위하여 다수 펌프를 여러번 동작시킬 수 밖에 없다. 일반적으로 병원에는 한 병실에 여러명의 환자가 입원해 있는데, 이러한 펌프의 동작으로 인하여 많은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어서 다른 환자의 불편을 야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소음이 적은 바람을 이용하여 대변 또는 오염수의 배출을 보조시키면 세척수 분사 또는 대소변 분사를 위한 펌프가 동작하는 횟수 또는 시간이 감소하여 소음이 감소할 수 있다.
한편, 바람 분사부(1202)를 별도로 구현하지 않고, 건조관(240)을 통하여 엉덩이 등을 건조시킨 후 바람을 배출 통로 방향으로 불어주도록 건조관(240)의 방향이 전환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 하단의 배출 통로에 비닐 등의 보호 부재가 배열될 수 있다. 이는 대소변 또는 오염수의 이동으로 인한 오염, 더러움이나 냄새를 최소화시키기 위해서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팽창부들(1600 및 1602) 사이에 연결부가 없이 팽창부들(1600 및 1602) 사이가 이격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팽창부들(1600 및 1602)이 팽창하면 자연적으로 배출 통로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배출 통로와 배출관이 연결되어 대소변 또는 오염수가 상기 배출 통로 및 상기 배출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팽창부들(1700 및 1702)은 "ㄷ" 형상을 가지되, 팽창부들(1700 및 1702) 사이에 연결부 없이 팽창부들(1700 및 1702)이 이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팽창부들(1700 및 1702)이 팽창하면 자연스럽게 팽창부들(1700 및 1702) 사이에 배출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스적인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 요소는 각각의 프로세스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의 프로세스는 장치의 구성 요소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200a : 전면
200b : 후면
210 : 힙부 212, 214 : 허벅지부
220 : 엉덩이 받침부 222 : 허벅지 받침부
224 : 허리 받침부 230 : 제 1 배출관
234 : 세척관 240 : 건조관
1200 : 제 2 배출관 1202 : 바람 분사부
210 : 힙부 212, 214 : 허벅지부
220 : 엉덩이 받침부 222 : 허벅지 받침부
224 : 허리 받침부 230 : 제 1 배출관
234 : 세척관 240 : 건조관
1200 : 제 2 배출관 1202 : 바람 분사부
Claims (8)
- 전면;
후면; 및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을 연결시키는 연결면을 포함하되,
상기 후면은 사용자의 힙에 대응하는 힙부 및 사용자의 허벅지에 대응하는 허벅지부를 가지며,
상기 후면 내측면 위에 팽창부 및 사용자의 엉덩이 또는 허벅지를 상승시키는 받침부가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팽창부가 팽창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 또는 허벅지가 상승하며, 상기 엉덩이 또는 허벅지가 상승함에 의해 상기 후면과 연결면 사이에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팽창부는 제 1 팽창부, 제 2 팽창부 및 상기 팽창부들을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팽창부들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의 폭은 상기 팽창된 팽창부들의 폭보다 작으며,
상기 팽창부들이 팽창함에 의해 상기 연결부 하단으로 배출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 받아진 대소변 또는 세척에 따른 오염수가 상기 배출 통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용 하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팽창부 및 상기 제 2 팽창부들 중 하나로 공기가 주입되고, 상기 주입된 공기가 상기 연결부를 통하여 다른 팽창부로 전달됨에 의해 상기 팽창부들이 모두 팽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용 하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팽창부는 "ㄷ"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엉덩이와 허벅지 일부를 상승시키며, 상기 제 2 팽창부는 허벅지 다른 부분을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용 하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 받아진 대소변이 상기 배출 통로로 원활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공간으로 바람을 분사시키는 바람 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용 하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에 연결된 제 1 배출관, 세척관 및 건조관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배출관, 상기 세척관 및 상기 건조관은 상호 분리되어 배열되고, 대소변시 상기 세척관을 통하여 세척수를 항문으로 배출하며, 상기 세척수를 배출함에 의해 씻겨진 오염물(오염수) 및 대소변이 상기 배출관을 통하여 외부로 수거되고, 상기 건조관을 통하여 상기 항문으로 건조풍을 출력하여 상기 항문을 건조시키며,
상기 배출 통로에 연결된 제 2 배출관이 존재하고, 상기 배출 통로를 배출된 대소변 또는 오염수가 상기 제 2 배출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용 하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통로에는 상기 대소변 또는 상기 오염수의 이동으로 인한 더러움 또는 냄새 등의 방지를 위한 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부재를 통하여 상기 대소변 또는 상기 오염수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용 하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소변용 하의에는 대소변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형성되되,
상기 센서는 습기를 감지하는 센서, 가스를 감지하는 센서, 대소변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대소변의 무게를 감지하는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용 하의. - 전면;
후면; 및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을 연결시키는 연결면을 포함하되,
상기 후면은 사용자의 힙에 대응하는 힙부 및 사용자의 허벅지에 대응하는 허벅지부를 가지며,
상기 후면 내측면 위에 팽창부 및 사용자의 엉덩이 또는 허벅지를 상승시키는 받침부가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팽창부가 팽창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 또는 허벅지가 상승하며, 상기 엉덩이 또는 허벅지가 상승함에 의해 상기 후면과 연결면 사이에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팽창부는 상호 이격된 제 1 팽창부 및 제 2 팽창부를 가지며, 상기 팽창부들이 팽창함에 의해 상기 연결부 하단으로 배출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 받아진 대소변 또는 세척에 따른 오염수가 상기 배출 통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용 하의.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9289A KR102663949B1 (ko) | 2022-03-30 | 2022-03-30 |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
EP23712141.3A EP4279046A2 (en) | 2022-03-30 | 2023-03-09 | Undergarment for urine/feces and method for disposing of urine/feces |
JP2023519858A JP2024520182A (ja) | 2022-03-30 | 2023-03-09 | 排便排尿用下着および排便排尿の処理方法 |
PCT/KR2023/003243 WO2023191336A2 (ko) | 2022-03-30 | 2023-03-09 |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
TW112112025A TW202402250A (zh) | 2022-03-30 | 2023-03-29 | 大小便用下衣及大小便處理方法 |
US18/297,435 US20230310202A1 (en) | 2022-03-30 | 2023-04-07 | Pants for urine or feces and method of disposing of urine and fec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9289A KR102663949B1 (ko) | 2022-03-30 | 2022-03-30 |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40705A true KR20230140705A (ko) | 2023-10-10 |
KR102663949B1 KR102663949B1 (ko) | 2024-05-08 |
Family
ID=88292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39289A KR102663949B1 (ko) | 2022-03-30 | 2022-03-30 |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63949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3817U (ja) * | 1992-07-22 | 1994-02-22 | 柔幸 滝本 | 寝たきり垂れ流し等洗浄用デカパンツ |
JP2008119172A (ja) * | 2006-11-10 | 2008-05-29 | Hajime Kimoto | 介護用パンツ、介護用マット、介護用システム |
KR20090078139A (ko) * | 2008-01-14 | 2009-07-17 | 이동일 | 개량 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수집장치 |
KR20200117808A (ko) * | 2019-04-03 | 2020-10-14 | 김후영 |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
KR20210079819A (ko) | 2019-12-20 | 2021-06-30 | 한국섬유개발연구원 | 대소변 감지 기저귀 |
-
2022
- 2022-03-30 KR KR1020220039289A patent/KR10266394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3817U (ja) * | 1992-07-22 | 1994-02-22 | 柔幸 滝本 | 寝たきり垂れ流し等洗浄用デカパンツ |
JP2008119172A (ja) * | 2006-11-10 | 2008-05-29 | Hajime Kimoto | 介護用パンツ、介護用マット、介護用システム |
KR20090078139A (ko) * | 2008-01-14 | 2009-07-17 | 이동일 | 개량 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수집장치 |
KR20200117808A (ko) * | 2019-04-03 | 2020-10-14 | 김후영 |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
KR20210079819A (ko) | 2019-12-20 | 2021-06-30 | 한국섬유개발연구원 | 대소변 감지 기저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63949B1 (ko) | 2024-05-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98402B1 (ko) |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 |
KR101093444B1 (ko) |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 |
KR101210932B1 (ko) |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 |
KR102047781B1 (ko) | 환자용 배변처리기 및 그 이용방법 | |
US20220023109A1 (en) | Pants for urine or feces and method of disposing of urine and feces | |
JP4004701B2 (ja) | 介護用パンツ装置及び介護用着衣装置 | |
KR102320648B1 (ko) | 환자용 침대의 용변처리 자동화 장치 | |
KR20070006303A (ko) | 배변기를 구비하는 환자용 매트리스 시스템 | |
KR102663949B1 (ko) |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 |
KR102652047B1 (ko) |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 |
WO2000069377A1 (fr) | Dispositif de caleçon de soins | |
RU2783851C1 (ru) | Трусы для мочи или кала и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мочи и кала | |
CN108143554A (zh) | 多功能护理床 | |
KR20240129271A (ko) |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 |
JP2024520182A (ja) | 排便排尿用下着および排便排尿の処理方法 | |
JPH08289906A (ja) | 寝たきり用のベッドおよび看護方法 | |
KR20090117113A (ko) | 와류 구조를 갖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 |
KR102536547B1 (ko) | 환자용 변기장치 | |
JP2006212377A (ja) | 洗浄機能を備えたトイレ付介護用ベッド | |
KR101288333B1 (ko) | 배설물 처리장치 | |
JP7181513B1 (ja) | 臀部と臀部周辺マットを洗浄する排泄の出来る介護用ベッド。 | |
KR20120100517A (ko) | 배설물 처리장치 | |
KR101112769B1 (ko) | 자동 세정 처리장치 | |
JPH0380860A (ja) | 便器付介護用ベッドおよびこのベッドにおける脱臭方法 | |
KR20240115413A (ko) | 욕창 예방 및 목욕이 가능한 침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