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2769B1 - 자동 세정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세정 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12769B1 KR101112769B1 KR1020090063673A KR20090063673A KR101112769B1 KR 101112769 B1 KR101112769 B1 KR 101112769B1 KR 1020090063673 A KR1020090063673 A KR 1020090063673A KR 20090063673 A KR20090063673 A KR 20090063673A KR 101112769 B1 KR101112769 B1 KR 1011127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hing
- space
- water
- washing water
- water supp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2—Clean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오물 배출 펌프를 장착하지 않아도 오물을 배출함과 동시에 세정공간 내부로 세척수를 투입할 수 있으며, 공기유입량의 조절을 통해 세척수의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자동 세정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세정 처리장치는 소정의 세정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는 개방부를 갖는 세정기와, 상기 세정기와 연결되어 상기 세정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수단과, 상기 세정기와 급수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흡입수단의 구동에 의해 압력이 낮아진 세정공간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부와, 상기 세정공간으로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되,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 상기 세척수의 급수량을 조절하는 외기유입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세정 처리장치는 구조가 단순하여 유지 관리가 용이하며, 급수되는 세척수의 급수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 세정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배출 펌프를 장착하지 않아도 세정공간 내부로 세척수를 투입할 수 있으며, 공기유입량의 조절을 통해 세척수의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자동 세정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병원에는 자신의 몸을 가눌 수 없을 정도로 허약해진 노인 또는 사고나 질병의 치료를 목적으로 입원한 중환자들이 있다.
이러한 사람들은 자신의 신체를 제대로 가눌 수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시간을 침대에서 보내게 되는데, 대?소변을 처리하거나 머리를 감는 것과 같은 일들이 큰 문제이다.
일반적으로는 간병인이 환자를 부축하여 이동하거나 휠체어와 같은 환자용 이송수단을 이용해 환자를 화장실 또는 세면실까지 이동하도록 한 후, 화장실에서 용변을 보거나 머리를 감도록 해왔다.
환자가 어린아이이거나 체구가 작은 경우에는 환자를 화장실이나 세면실로 옮기는 것에 큰 어려움이 없으나, 환자가 성인인 경우에는 간병인이 남자라 하더라 도 매번 환자를 이동시키는 것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매우 힘이 들며, 특히 간병인이 노약자 또는 여자인 경우에는 더더욱 환자를 화장실이나 세면실로 이동시키는 것이 매우 큰 문제가 된다.
따라서 환자가 이동하지 않고도 배변을 볼 수 있도록 배변기가 설치된 환자용 침대에 대한 기술개발이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배설물의 위생적인 처리가 용이하지 않았으며, 배설물에 의한 악취 발생으로 환자의 생활공간이 오염되고 환자가 수치심을 느끼는 등의 문제가 여전히 잔존하였다.
그리고 환자가 머리를 감아야 할 때, 또는 기저귀를 착용한 환자의 경우 환자의 국부와 국부 주위의 체모에 배변 등이 오염되어 있을 때와 같이 신체의 일부분을 세정하는 경우에 침대에서 욕실로 이동하지 않고도 세정활동을 도울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지 않아 간병인들이 간병에 여전히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분사장치가 구비되지 않아도 세척공간으로 세척수를 자동으로 유입할 수 있으며, 세척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 유입량의 조절을 통해 세척수의 투입량을 제어할 수 있는 자동 세정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세정 처리장치는 소정의 세정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는 개방부를 갖는 세정기와, 상기 세정기와 연결되어 상기 세정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수단과, 상기 세정기와 급수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흡입수단의 구동에 의해 압력이 낮아진 세정공간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부와, 상기 세정공간으로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되,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 상기 세척수의 급수량을 조절하는 외기유입부를 구비한다.
상기 세정기는 상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원통형인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외경이 점점 좁아지게 형성된 하협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기유입부는 상기 원통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세정기의 내부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바디와, 상기 회전바디의 회전에 따라 상기 세정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관통구의 갯수가 조절되도록 상기 세정기에 고정설치되는 복수의 차단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세정기에는 모발을 비롯한 체모의 세정을 위한 브러시가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관통구는 세척수의 급수시 와류가 형성되어 기포가 발생하도록 상기 회전바디의 회전중심을 지나도록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연장선과 소정각도 이격된 이격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정기는 배설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세정기와 연결되어 상기 흡입수단에 의해 흡입된 배설물이 저장되는 오물통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급수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세정기로 공급되는 세척수에 세정용 분말 또는 액상첨가제를 첨가하는 첨가물 투입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기유입부는 상기 세정기에 설치되며 외기가 상기 세정기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된 돌출부재와, 상기 돌출부재에 나사결합되도록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이 개방된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통기공은 상기 돌출부재와 체결되는 체결부재의 결합길이에 따라 외기가 유입될 수 있게 상기 체결홈과 연통되는 통기공의 숫자가 가감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세정 처리장치는 구조가 단순하여 유지 관리가 용이하며, 급수되는 세척수의 급수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세정 처리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세정 처리장치(100)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환자의 머리를 감길 때 사용하는 것이다.
자동 세정 처리장치(100)는 세정기(110)와, 흡입수단(140), 세척수공급부(160), 외기유입부(130)를 포함한다.
세정기(110)는 상면이 개방된 원통부(112)와, 원통부(112)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협부(114)를 포함하는데, 이 원통부(112)와 하협부(114)의 내부에 세정공간(115)이 형성된다.
하협부(114)는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단부는 사용자가 손가락 사이에 끼울 수 있을만큼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어서, 이 하협부(114)의 단부를 손가락에 끼우고 세정기(110)를 움직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협부(114)에는 세정공간(115) 내부의 공기와 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관(116)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 흡입관(116)은 후술하는 오물통(150) 및 흡입수단(140)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하협부(114)에는 또한 세척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관(117)도 연결되어 있는데, 이 급수관(117)을 통해 세정을 위한 세척수가 유입된다.
상기 세정기(110)의 내측에는 개방부를 통해 단부가 소정길이 돌출되도록 세정용 브러시(120)가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자동 세정 처리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머리카락과 같은 체모를 세정하기 위한 것이므로 세정용 브러시(120)에 의해 체모의 세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외기유입부(130)는 세정기(110)의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원통부(1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바디(131)와, 세정기(110)의 내측에 설치되는 차단블럭(134)을 포함한다.
회전바디(131)는 원통부(11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데, 원통부(112)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113)가 형성되어 있고, 회전바디(131)의 내주면에는 이 가이드돌기(113)가 끼워지는 가이드홈(132)이 마련되어 있어서, 회전바디(131)가 원통부(112)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회전바디(131)에는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는 관통구(13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구(133)는 외부공기를 세정공간(115)으로 유입시키도록 외부와 세정공간(115)을 연통시키는 것인데, 회전바디(131)의 외주면 원주방향을 따라 여섯개가 등간격으로 이격 형성되어 있고, 또한 관통구(133)는 회전바디(131)의 회전중심을 지나는 방사상의 연장방향과 소정각도 이격된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관통구(133)가 방사상의 연장방향과 비스듬하게 틀어진 상태로 연장 되어 있기 때문에 관통구(133)를 통해 세정공간(115)으로 유입된 공기는 세정기(11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급수관(117)을 통해 급수된 세척수가 세정공간(115) 내부에서 와류를 형성하면서 이동하게 되어 기포가 발생하고, 세정공간(115) 내부에서의 세정능력도 높아지게 된다.
상기 차단블럭(134)은 관통구(133)를 개폐하여 관통구(133)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차단블럭(134)은 상기 원통부(112)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차단블럭(134)들이 회전바디(131)의 내주면과 접촉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차단블럭(134)은 다섯개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바디(131)를 회전시키면 관통구(133)가 차단블럭(134)에 의해 차단되거나 차단블럭(134) 사이공간을 통해 세정공간(115)과 연통된다. 즉, 회전바디(131)를 회전시키면서 여섯개의 관통구(133)가 모두 차단블럭(134) 사이의 공간을 통해 세정공간(115)과 연통되도록 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일부만 연통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연통되는 관통구(133)의 숫자가 많을수록 외기의 유입량은 많아지고, 차단블럭(134)에 의해 차단된 관통구(133)의 숫자가 많을수록 외기의 유입량은 적어지므로 회전바디(131)를 회전시켜 외기의 유입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흡입수단(140)은 세정공간(115) 내부의 공기 및 세척수를 흡입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흡입수단(140)은 진공펌프(141)가 적용되었다.
상기 흡입관(116)은 오물통(150)과 연결되어 있고, 진공펌프(141)는 오물통(150)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진공펌프(141)에서 오물통(150) 내부의 공기를 펌핑하면 압력차에 의해 세정기(110) 내부 즉, 세정공간(115)의 공기와 세척수가 흡입관(116)을 통해 오물통(150) 측으로 유입되고, 세척수는 오물통(150)에 저장된다.
세척수공급부(160)는 상술한 것처럼 급수관(117)을 통해 세정공간(115)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세척수공급부(160)는 압력차에 의해 공급이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개방부가 막힌 상태에서 흡입수단(140)을 이용해 세정공간(115)의 공기를 빨아들이면 세정공간(115) 내부의 압력이 급격히 낮아지면서 급수관(117)의 세척수가 세정기(110) 내부로 유입되는 구조이다.
상기 세척수공급부(160)는 급수관(117)과 연결되는 별도의 급수탱크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수도 또는 지하수를 세척수공급부(160)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세정 처리장치(100)의 작동과정은 다음과 같다.
세정기(110)의 개방부를 사용자의 신체(본 실시예의 경우 머리)에 밀착시킨 후 흡입수단(140)을 구동시킨다. 흡입수단(140) 즉 진공펌프(141)가 구동하여 오물통(150) 내의 공기를 펌핑하면 압력차에 의해 세정공간(115)의 공기가 흡입관(116)을 통해 오물통(150) 측으로 빨려가게 되며, 세정공간(115)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급수관(117)을 통해 세척수가 유입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머리를 감을 때 사용하는 경우라고 하면 개방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세정기(110)를 잡고 사용하게 되므로 세척수가 머리카락을 세척하게 되며 특히, 관통구(133)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방향에 의해 세척수도 와류를 형성하면서 머리카락을 감기게 된다.
세척수는 흡입수단(140)의 구동에 의해 지속적으로 흡입관(116)을 통해 세정기(110)로부터 배출되며, 사용된 세척수는 오물통(150)에 모아지게 된다.
상기 세척수의 단위 시간당 급수량은 외기유입부(130)에 의해 조절된다. 즉, 회전바디(131)를 돌려 개방된 관통구(133)의 숫자를 늘리면 세정공간(115)으로 유입되는 외기의 유입량이 많아져 흡입수단(140)에 의해 지속적으로 공기와 세척수가 빨려나가더라도 세척수공급부(160)와 세정공간(115) 사이의 압력차가 크지 않아 세척수의 공급량이 적어지게 된다.
반대로 개방된 관통구(133)의 숫자를 줄이면 외기의 유입량이 작아지기 때문에 흡입수단(140)에 의해 공기와 세척수가 오물통(150)으로 흡입되면서 세정공간(115)과 세척수공급부(160) 사이의 압력차가 커지기 때문에 세척수의 공급량이 많아지게 된다.
이렇게 외기유입부(130)를 통해 세정공간(115)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공급량을 적절히 조절하면서 머리카락을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 세정 처리장치(100)는 중환자와 같이 거동이 불편한 사람에게 사용할 수 있는데,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세면실까지 옮기는 것이 쉽지 않으므로 침대에서 직접 씻길 필요가 있는데, 본 발명의 자동 세정 처리장치(100)는 세척 수가 공급됨과 동시에 흡입수단(140)에 의해 바로 흡입되므로 침대에서 머리를 감기더라도 사용된 세척수가 주변으로 튀거나 흘러내리지 않고, 필요에 따라 공급되는 세척수의 양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므로 세척수에 의한 주변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세정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동 세정 처리장치(100)를 이용해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머리를 감기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기저귀를 착용하는 중환자들의 항문주변 또는 국부나 음부를 세척하는데도 사용할 수 있다. 즉, 기저귀를 착용하는 중환자의 경우 기저귀를 갈 때, 항문 주변과 국부 또는 음부 주변에 배설된 오물이 묻어 있는데, 이러한 오물은 물로 세척하는 것이 가장 위생적이고 효과적이다. 따라서 침대에 방수천을 깔고 본 실시예의 자동 세정 처리장치를 이용해 기저귀를 착용한 부분을 세척하면, 세척수가 주변으로 흘러내리더라도 방수천으로 커버할 수 있는 정도의 아주 소량만 흘러내리기 때문에 주변을 어지럽히지 않고도 환자를 씻길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자동 세정 처리장치(200,300)의 제2,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들의 자동 세정 처리장치(200,300)는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실시예를 먼저 설명하면, 본 실시예는 의식이 없는 중환자들에게 착용되는 기저귀 대신 사용할 수 있는 기저귀컵이다.
본 실시예의 세정기(210)는 개방부(211)가 소변 또는 대변을 받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 환자의 몸에 착용할 수 있도록 밴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밴드는 단부가 벨크로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와는 달리 버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밴드는 허리를 감싸는 두 개의 벨트와, 엉덩이를 지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허리를 감싸는 벨트와 연결되는 벨트를 포함하고 있어서 세정기를 환자의 신체에 밀착시키게 되며, 배설되는 배설물이 수용된다.
세정기(210)의 타측에는 흡입관(220)과, 급수관(230), 외기유입부(340)가 마련되어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흡입관(220)은 배설물과 세척수를 저장하는 오물통과 진공펌프에 연결되어 있다.
외기유입부(340)는 상기 세정기(210)의 내부로 공급되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중공(3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유입되는 외기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제3 실시예의 설명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자동 세정 처리장치(200)는 의식이 없는 환자가 상시 착용하게 되며, 소변 또는 대변을 배설한 후, 보호자 또는 간병인이 진공펌프를 구동시키면 진공펌프에 의해 세정공간 내부의 배설물과 공기가 흡입관(220)을 통해 흡입되면서 급수관(230)에서 세척수가 세정공간으로 유입된다.
세척수는 환자의 신체를 비롯해 세정기(210) 내부에 묻어있는 배설물을 세척한 뒤 흡입관(220)을 통해 배출되고, 소정시간 동안 세척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세척수에 의해 세정이 이루어진 후 흡입관(220)을 통해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진공펌프의 구동을 멈추면 외기유입부(340)를 통해 공기가 지속적으로 유입되므로 압력이 평형상태에 도달하여 세척수의 공급이 중단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도 상기 외기유입부(340)를 통해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의 공급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제3 실시예의 자동 세정 처리장치(300) 역시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인데, 세정기(310)의 상부에 환자가 앉을 수 있도록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환자가 안착부에 앉으면 환자의 둔부에 의해 세정공간 내부로 공기의 유입공간이 급격하게 협소해지게 된다.
본 실시예의 세정기(310)에도 급수관(330)과, 흡입관(320) 및 외기유입부(340)가 마련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외기유입부(340)는 세정기(310)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재(341)와, 이 돌출부재(341)에 체결되는 체결부재(343)를 포함한다.
돌출부재(341)에는 세정공간과 연통되는 중공(342)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체결부재(343)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부재(343)는 상기 돌출부재(341)에 나사결합되는데, 돌출부재(34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으로부터 인입된 체결홈(344)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단부는 막혀있다. 상기 체결홈(344)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돌출부재(341)가 체결홈(344)에 삽입되도록 나사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부재(343)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통기공(345)이 이격 형성되어 있는데, 이 통기공(345)은 체결부재(343)의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한다.
체결부재(343)는 돌출부재(341)와 나사결합될 때, 회전량에 비례하게 돌출부재(341)의 삽입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체결홈(344)에 삽입되는 돌출부재(341)의 삽입길이가 길어지게 되면, 돌출부재(341)에 의해 통기공(345)이 막혀 외기가 중공(342)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는 통기공(345)의 수가 줄어들게 된다.
반대로 체결부재(343)를 풀어 돌출부재(341)의 삽입길이를 짧게 하면 체결홈(344)과 연통되는 통기공(345)의 숫자가 늘어나게 되므로 세정공간(115)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량을 늘일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체결부재(343)를 정,역회전시키면서 돌출부재(341)의 삽입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용이하게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외기유입부(340)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급수관(330)의 일측에 세척수에 세정을 위해 액상 또는 분말 형태의 세정용 첨가물을 공급하는 첨가물 공급부가 더 마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첨가물 공급부는 진공펌프가 구동하면 소정시간동안 세정용 첨가물을 세척수에 공급하여 환자의 신체 또는 세정기(310) 내부의 세정이 더욱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소정시간동안만 공급된 이후에는 맑은 세척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세정부로 유입되는 급수관(330)이 와류를 형성하도록 와류유도부재를 급수관(330)의 말단 또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세정기(310) 내부의 초입부에 형성하여 원활한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세척수의 공급, 세정 및 배출과정은 앞선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2, 제3 실시예의 자동 세정 처리장치(200,300)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환자를 이송하는 이송장치(400)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송장치(400)는 캐스터(420)가 하단에 설치된 프레임(430)에 환자가 앉을 수 있도록 시트부(410)가 마련되어 있고, 이 시트부(410)에 세정기(310)를 설치해 둠으로써 환자가 이동 중 변의를 느꼈을 때, 용변을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시트부(410)의 하부에는 진공펌프와 배설물을 저장하는 오물통 및 세척수가 저장된 급수통이 마련된 처리박스(440)가 설치되어 있어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자동 세정 처리장치(200,300)를 환자용 침대와 같이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이용하는 침대에 직접 설치하여 이동하지 않고도 배설물을 위생적으로 처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세정 처리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세정기, 외기유입부를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자동 세정 처리장치의 제2, 제3 실시예 중 세정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세정기가 이송장치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Claims (6)
- 삭제
- 소정의 세정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는 개방부를 갖는 세정기와;상기 세정기와 연결되어 상기 세정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수단과;상기 세정기와 급수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흡입수단의 구동에 의해 압력이 낮아진 세정공간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부와;상기 세정공간으로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되,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 상기 세척수의 급수량을 조절하는 외기유입부;를 구비하고,상기 세정기는 상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원통형인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외경이 점점 좁아지게 형성된 하협부를 포함하며,상기 외기유입부는 상기 원통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세정기의 내부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바디와, 상기 회전바디의 회전에 따라 상기 세정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관통구의 갯수가 조절되도록 상기 세정기에 고정설치되는 복수의 차단블럭을 포함하고,상기 세정기에는 모발을 비롯한 체모의 세정을 위한 브러시가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정 처리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관통구는 세척수의 급수시 와류가 형성되어 기포가 발생하도록 상기 회전바디의 회전중심을 지나도록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연장선과 소정각도 이격된 이격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정 처리장치.
- 소정의 세정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는 개방부를 갖는 세정기와;상기 세정기와 연결되어 상기 세정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수단과;상기 세정기와 급수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흡입수단의 구동에 의해 압력이 낮아진 세정공간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부와;상기 세정공간으로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되,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 상기 세척수의 급수량을 조절하는 외기유입부;를 구비하고,상기 외기유입부는 상기 세정기에 설치되며 외기가 상기 세정기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된 돌출부재와,상기 돌출부재에 나사결합되도록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이 개방된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재를 구비하되,상기 통기공은 상기 돌출부재와 체결되는 체결부재의 결합길이에 따라 외기가 유입될 수 있게 상기 체결홈과 연통되는 통기공의 숫자가 가감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며,상기 세정기는 배설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고,상기 세정기와 연결되어 상기 흡입수단에 의해 흡입된 배설물이 저장되는 오물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정 처리장치.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급수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세정기로 공급되는 세척수에 세정용 분말 또는 액상첨가제를 첨가하는 첨가물 투입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정 처리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63673A KR101112769B1 (ko) | 2009-07-13 | 2009-07-13 | 자동 세정 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63673A KR101112769B1 (ko) | 2009-07-13 | 2009-07-13 | 자동 세정 처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6167A KR20110006167A (ko) | 2011-01-20 |
KR101112769B1 true KR101112769B1 (ko) | 2012-03-13 |
Family
ID=43613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63673A KR101112769B1 (ko) | 2009-07-13 | 2009-07-13 | 자동 세정 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1276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0437B1 (ko) * | 2019-04-22 | 2019-11-05 | 주식회사 휴텀 | 접촉 이동형 흡인 세정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78882A (ja) * | 1997-12-17 | 1999-07-06 | Nippon Wiper Blade Co Ltd | 身体洗浄器具 |
JP2001079028A (ja) * | 1999-09-17 | 2001-03-27 | Tanaka Setsubi Kogyo Kk | 吸引式排泄物処理装置 |
JP2001145682A (ja) * | 1999-11-22 | 2001-05-29 | Hoomaa Ion Kenkyusho:Kk | 身体の洗浄装置 |
-
2009
- 2009-07-13 KR KR1020090063673A patent/KR10111276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78882A (ja) * | 1997-12-17 | 1999-07-06 | Nippon Wiper Blade Co Ltd | 身体洗浄器具 |
JP2001079028A (ja) * | 1999-09-17 | 2001-03-27 | Tanaka Setsubi Kogyo Kk | 吸引式排泄物処理装置 |
JP2001145682A (ja) * | 1999-11-22 | 2001-05-29 | Hoomaa Ion Kenkyusho:Kk | 身体の洗浄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6167A (ko) | 2011-01-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15717B1 (ko) |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 |
KR102667579B1 (ko) | 착용형 폐기물 제거 및 세정 장치 | |
JP3184354U (ja) | 車椅子型の脱ぎはき不要な糞便自動クリーンアップ装置 | |
US20030181880A1 (en) | Self cleaning garment with portable cleaning apparatus suitable for incontinent individuals and the like | |
JP2016523170A (ja) | 自動排便処理装置 | |
KR102047781B1 (ko) | 환자용 배변처리기 및 그 이용방법 | |
KR100955105B1 (ko) | 환자용 침대 겸용 배변장치 | |
CN113677300A (zh) | 大小便用下衣及大小便处理方法 | |
JP2008036018A (ja) | 使用者装着装置及び自動排泄処理装置 | |
JP2007215981A (ja) | 装着型排泄装置 | |
KR101072842B1 (ko) | 거동불편 환자용 자동 대소변 처리장치 | |
KR101713547B1 (ko) | 와상환자를 위한 전자동 배변처리기 | |
KR100963598B1 (ko) | 좌우로 기울어져 움직이는 구조를 갖는 자동 배변 처리장치및 좌우로 기울어진 구조를 갖는 처리장치에서의 자동배변 처리방법 | |
KR200348639Y1 (ko) | 환자용 이동식 배변기 | |
KR101052024B1 (ko) | 대소변 배출기 | |
JP3209782U (ja) | 介護用ベッド | |
KR101622102B1 (ko) | 회전노즐이 구비된 배설물 처리장치 | |
KR102075301B1 (ko) | 환자용 배설물 용변기 및 용변기의 배설물 처리장치 | |
KR101112769B1 (ko) | 자동 세정 처리장치 | |
JP6469258B2 (ja) | 回転ノズルが備えられた排泄物処理装置 | |
KR100829524B1 (ko) | 자동 배변 처리장치 | |
KR20120091682A (ko) | 배설물 처리장치 | |
JP2014030511A (ja) | 洗浄装置 | |
JP6472071B2 (ja) | 洗浄装置 | |
CN205286199U (zh) | 一种儿科护理清洗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