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5920B1 -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5920B1
KR101285920B1 KR1020110072823A KR20110072823A KR101285920B1 KR 101285920 B1 KR101285920 B1 KR 101285920B1 KR 1020110072823 A KR1020110072823 A KR 1020110072823A KR 20110072823 A KR20110072823 A KR 20110072823A KR 101285920 B1 KR101285920 B1 KR 101285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outlet
water
receiving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1580A (ko
Inventor
박종미
Original Assignee
박종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미 filed Critical 박종미
Priority to KR1020110072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920B1/ko
Publication of KR20130011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2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having irrigation ports 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1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having venting or deodorant means, e.g. filters ; having antiseptic means, e.g. bacterial 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측면 상단에 내부와 연결된 배설물입구(111) 및 순환풍출구(112)가 구비된 오물통(11), 급수통(12) 및, 살균 및 악취를 제거하는 약수통(13)이 설치된 본체(1)와; 대소변 수용강(21) 모양을 갖추고, 송풍관 헤드(4) 및 상기 배설물입구(111)와 연결된 배설관헤드(5)가 설치되며, 상기 배설관헤드(5)의 앞부분은 상기 대소변 수용강(21)과 연결되어있는 배설구(5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대소변 수용강(21)과 송풍관헤드(4)를 연결하는 건조풍구(22) 및 배설풍구(23)가 구비된 변기(2)와; 오물통(11)과 변기(2)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순환풍출구(112)에 그 입풍구가 연결되며, 상기 송풍관헤드(4)에 그 출풍구가 연결된 고속흡풍기(6)와; 상기 급수통(12)에 결합되어 있는 제1양수기와; 상기 약수통(13)에 결합되어 있는 제2양수기 및; 상기 제1 및 제2양수기 및 변기(2)와 연결되어 이들의 동작 상태를 조절하고, 메인 제어 전기회로와 연결되어 상기 변기(2)의 동작을 변환하는 세정동작의 조절전환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소변 센서로 신호 감응, 고속흡풍기 배설, 대소변 수용강 청소, 환자 배설부위 세정, 대소변 수용강 및 환자 배설부위의 송풍건조등의 방법으로 편리하게 대소변을 처리할 수 있으며, 사용시 효과가 좋은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DISPOSING APPARATUS OF FECES AND URINE}
본 발명은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재기술의 부족한 부분, 진공 전기 배설방식의 결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악취제거에도 좋은 효과를 발휘하도록 한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간호자에게는 대소변을 스스로 처리할 수 없는 환자를 간호하는 게 부모이나 형제만큼 가깝더라도 참 부담스럽고 괴로운 일이다. 환자에게도 대소변을 스스로 처리 할 수 없는 것은 벗어날 수 없는 정신적 부담이다.
현재까지의 처리 방식 중에 대소변을 스스로 처리할 수 없는 환자의 배설물은 대부분 수동으로 처리하고 있다. 예를 들어 기저귀를 쓰거나 침대에다가 배설물 구멍을 만든다. 이러한 수동 처리 방식은 단점이 있다. 예를 들면, 배설물이 즉시 처리 못하거나 처리작업이 복잡하며 불편하다.
이와 같은 수동처리 방식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현재 시장에서 여러 가지의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가 존재한다. 현재의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는 대부분 센서기를 통해 대소변을 자동 감응하여 진공흡입으로 환자의 배설물 및 기계에 분출되는 물을 회수해서 자동간호기의 오물통에 남긴다.
실제 사용과정에서는 현재의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 중에 많은 결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의 변기에서 환자의 배설물이 배설관 헤드의 배설구와 거리가 멀면, 진공흡입방식으로 순조롭게 배설물을 오물통으로 흡입할 수가 없다. 만약에 진공 공률을 증가시키면 흡입력이 너무 커서 환자가 통증을 느끼는 문제도 생긴다. 그리고 대부분 진공흡입방식은 악취를 제거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기술의 부족한 부분, 진공 전기 배설방식의 결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악취제거에도 좋은 효과를 발휘하도록 한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는, 측면 상단에 내부와 연결된 배설물입구(111) 및 순환풍출구(112)가 구비된 오물통(11), 급수통(12) 및, 살균 및 악취를 제거하는 약수통(13)이 설치된 본체(1)와; 대소변 수용강(21) 모양을 갖추고, 송풍관 헤드(4) 및 상기 배설물입구(111)와 연결된 배설관헤드(5)가 설치되며, 상기 배설관헤드(5)의 앞부분은 상기 대소변 수용강(21)과 연결되어있는 배설구(5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대소변 수용강(21)과 송풍관헤드(4)를 연결하는 건조풍구(22) 및 배설풍구(23)가 구비된 변기(2)와; 오물통(11)과 변기(2)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순환풍출구(112)에 그 입풍구가 연결되며, 상기 송풍관헤드(4)에 그 출풍구가 연결된 고속흡풍기(6)와; 상기 급수통(12)에 결합되어 있는 제1양수기와; 상기 약수통(13)에 결합되어 있는 제2양수기 및; 상기 제1 및 제2양수기 및 변기(2)와 연결되어 이들의 동작 상태를 조절하고, 메인 제어 전기회로와 연결되어 상기 변기(2)의 동작을 변환하는 세정동작의 조절전환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에 의하면, 고속흡풍기의 송풍구, 송풍관 헤드, 건조풍구, 변기의 대소변 수용강, 배출 풍구, 오물 배출구, 배출관 헤드, 오물통, 고속 흡풍기의 입풍구를 순서대로 연결해서 형성된 순환풍 통로를 구비하고 있어 이 순환풍 토로를 통해 진공 흡입방식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고, 급수통, 약수통, 제1 양수기, 제2 양수기 및 전환장치으로 결합된 청소시스템이 구비되어 있어 악취 제거에 좋은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의 대소변 수용강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의 대소변 수용강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의 후면부 청소장치를 도시한 상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의 대소변 수용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의 대소변 수용강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의 후면부 청소장치를 도시한 상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의 전기회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는, 측면 상단에 내부와 연결된 배설물입구(111) 및 순환풍출구(112)가 구비된 오물통(11), 급수통(12) 및, 살균 및 악취를 제거하는 약수통(13)이 설치된 본체(1)와; 대소변 수용강(21) 모양을 갖추고, 송풍관 헤드(4) 및 상기 배설물입구(111)와 연결된 배설관헤드(5)가 설치되며, 상기 배설관헤드(5)의 앞부분은 상기 대소변 수용강(21)과 연결되어있는 배설구(5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대소변 수용강(21)과 송풍관헤드(4)를 연결하는 건조풍구(22) 및 배설풍구(23)가 구비된 변기(2)와; 오물통(11)과 변기(2)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순환풍출구(112)에 그 입풍구가 연결되며, 상기 송풍관헤드(4)에 그 출풍구가 연결된 고속흡풍기(6)와; 상기 급수통(12)에 결합되어 있는 제1 양수기와; 상기 약수통(13)에 결합되어 있는 제2 양수기 및; 상기 제1 및 제2 양수기 및 변기(2)와 연결되어 이들의 동작 상태를 조절하고, 메인 제어 전기회로와 연결되어 상기 변기(2)의 동작을 변환하는 세정동작의 조절전환장치로 이루어진다.
상기 대소변 수용강(21)의 내벽에는 대소변센서(3)가 설치되고; 상기 변기(2)의 건조풍구(22) 쪽에는 제1 및 제2분사꼭지(71, 72)가 구비된 전면부 청소장치(7)가, 상기 변기(2)의 배설풍구(23)쪽에는 제3 및 제4 분사꼭지(81, 82)가 설치된 후면부 청소장치(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절전환장치는 입수구가 상기 제1 양수기의 출수구와 연결된 제1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와; 입수구가 상기 제2 양수기의 출수구 및 상기 제1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의 출수구와 연결되고, 출구수가 상기 제2 및 제4 분사꼭지(72, 82)와 각각 연결된 제2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와; 입수구가 상기 제1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와 연결되고, 출수구가 상기 제1 및 제3 분사꼭지(71, 81)와 연결된 제3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내지 제3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는 각각 상기 메인 제어 전기회로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3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의 사이에는 가열기가 설치되는 바, 상기 가열기의 입수구는 상기 제1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의 출수구와 연결되고, 상기 가열기의 출수구는 상기 제3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의 입수구와 연결된다.
상기 제1 분사꼭지(71)는 제1 노즐(nozzle)꼭지(711)가 있고, 제2 분사꼭지(72)는 제2 노즐꼭지(721)가 있다. 상기 제1 노즐꼭지(711)는 대소변 수용강(21)에 맞추어져 있으며 수류 유도로 환자 배설부위를 세정해주는 제1 분수구(711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 노즐꼭지(721)의 측면에는 수류 유도해서 대소변 수용강(21)의 내부를 청소해주는 제2 분수구(721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3 분사꼭지(81) 및 제4 분사꼭지(82)는 각각 제3 및 노즐꼭지(811, 82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3 분사꼭지(811)는 대소변 수용강(21)에 정조준되며 수류유도해서 환자 배설부위를 세정해주는 제3 분수구(811a)가 설치되어 있고, 제4 노즐꼭지(821)의 측면에는 수류 유도해서 대소변 수용강(21)의 내부를 청소해주는 제4 분수구(821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분수꼭지(71, 72, 81, 82)의 뒤쪽에는 수관 니플(9)이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관 니플(9) 들 각각에는 상기 제2 및 제3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의 출수구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메인 제어 전기회로는 신호처리단위 및 신호처리단위와 연결하는 시간제어단위가 설치되는 바, 상기 대소변센서(3) 및 고속흡풍기(6)는 신호처리단위가 연결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는 시간 제어 단위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송풍관헤드(4)는 상기 건조풍구(22)와 연결된 제1 공기유통구(411)와 공기유통관을 통하여 상기 배설풍구(23)와 연결된 제2 공기유통구(412)가 설치된 공기유통 헤드(41)와; 상기 공기유통 헤드(41)의 뒤쪽에 고정되어 상기 고속흡풍기(6)의 출풍구와 연결되어 있는 송풍관 니플(42)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오물통(11)과 고속흡풍기(6)의 사이에는 필터(61)가 설치되고, 상기 필터(61)의 입풍구는 순환풍 출구(112)가, 필터(61)의 출풍구는 고속 흡풍기(6)의 입풍구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대소변 수용강(21) 내벽의 배설구(51)쪽에는 반원 모양의 유도벽(24)이 형성되고; 상기 유도벽(24)은 대소변 수용강(21)의 내벽과 합쳐 둘러싸서 배설구 유도홈(25)이 되며; 상기 대소변센서(3)는 상기 배설구유도홈(25)의 입구측에 설치된다.
상기 대소변 센서(3)는 터치식 센서이나 광전식 센서이다. 제어시스템은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Programmable Controller)(PLC)이다. 제어시스템은 HCI(Human-Computer Interface) 및 리모컨이 배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속흡풍기(6)의 출풍구는 송풍관을 통과하여 송풍관 헤드(4)와 연결되어 있다. 배설관 헤드(5)는 배설관 및 오물통(11)의 배설물입구(111)를 통과한다. 오물통(11)의 순환풍 출구(112)도 송풍관을 통과하여 고속흡풍기(6)의 입풍구와 연결한다. 그리고 이 실행예제의 대소변 자동처리 설비는 변기(2), 고속흡풍기(6), 송풍관 헤드(4), 대소변 수용강(21), 배설관 헤드(5), 오물통(11)으로 구성한 배설 및 건조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의 작동 및 효과를 설명한다.
대소변 센서(3)는 자동으로 환자의 배설물을 감지한다. 환자가 배변할 때 대소변 수용강(21)으로 떨어진 배설물은 자동으로 대소변 센서(3)와 접촉하면 그 접촉을 감지하는 대소변센서(3)는 받은 신호(배설물이 대소변 수용강(21)에 떨어진 신호)를 제어시스템(PLC)에게 전송하여 제어시스템은 신호를 받고 신호처리해서 고속흡풍기(6)에 시동을 걸며 공기를 순환풍 통로내에 고속으로 유동시킨다. 고속흡풍기(6)가 순환풍 통로내의 기류를 고속 유동시키는 과정 중에 오물통(11)의 내부는 부압이 생긴다. 상기 대소변 수용강(21)과 오물통(11) 내부의 압력 차이를 통해 대소변 수용강(21)에 떨어진 대소변을 빨아 들이며 오물통(11) 안으로 옮겨 간다. 동시에 오물통(11)에 들어간 공기는 순환풍 출구(112)를 통해 고속흡풍기(6)에 도착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 인해 본 발명의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는 순환풍 통로를 통해 진공 흡입방식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 할 수 있다. 그리고 환자가 배설이 끝난 후 제어시스템의 메인 제어 전기회로는 제1 양수기나 제2 양수기의 시동을 걸어 청소 작업을 하게 된다. 대소변 수용강(21)의 내벽을 청소 과정 중에 제1 양수기 및 제2 양수기가 동시에 작동한다. 그 중에 제1 양수기의 출수구에 나온 물과 제2 양수기의 출수구에 나온 물이 살균 및 악취제거제와 섞은 다음에 대소변 수용강(21) 안으로 동시에 들어가며 대소변 수용강(21)의 내벽을 청소하고 대소변 수용강(21)의 세균 및 악취를 제거한다. 청소가 끝난 후에 메인제어 전기회로는 제2 양수기를 멈추고 제1 양수기는 계속 작동한다. 이때 제1 양수기의 출수구에 나온 물은 주로 환자의 배설부위를 씻어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는 청소시스템을 통해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작업 과정 중에 제어시스템은 환자 배설시간을 설정해야 한다. 여기서 말하는 배설시간은 환자가 배설이 끝나는 시간을 말하는 것이다. 환자가 배설시간 내에 배설을 끝내지 못하는 경우만 청소시스템이 시작한다. 환자가 간헐적으로 배설할 때(간헐시간이 제어시스템에 설정한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대소변 센서(3)는 간헐적으로 터치 받았기 때문에 고속흡풍기(6)도 간헐적으로 작동한다.
그리고 고속흡풍기(6) 입풍구에 들어간 공기중 배설 잔류물을 없애기 위해 고속흡풍기(6)의 입풍구와 오물통(11)의 순환풍 출구(112) 사이에 필터(61)가 설치되어 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의 차이점은 상기 변기(2)는 건조풍구(22) 쪽에 전면부 청소장치(7)가 설치되어 있다는 점이다.
상기 변기(2)의 배설풍구(23)쪽에 후면부 청소장치(8)가 설치되어 있다. 전면부 청소장치(7)는 제1 분사꼭지(71)와 제2 분사꼭지(72)가 설치되어있다. 제1 분사꼭지(71)는 제1 노즐(nozzle)꼭지(711)가 있고 제2 분사꼭지(72)는 제2 노즐꼭지(721)가 있다. 제1 노즐꼭지는 대소변수용강(21)에 정조준 되며 수류 유도로 환자 배설부위를 세정해주는 제1 분수구(711a)가 설치되어있다. 제2 노즐꼭지(721)의 측면에 수류 유도해서 대소변 수용강 내부를 청소해주는 제2 분수구(721a)가 설치 되어있다. 후면부 청소장치(8)는 제3 분사꼭지(81)와 제4 분사꼭지(82)가 설치되어있다. 제3 분사꼭지(81)에 제3 노즐꼭지(811)가 있고 제4 분사꼭지(82)에 제4 노즐꼭지(821)가 있다. 제3 분사꼭지(811)는 대소변 수용강(21)에 정조준되며 수류유도해서 환자 배설부위를 세정해주는 제3 분수구(811a)가 설치되어있다. 제4 노즐꼭지(821)의 측면에 수류 유도해서 대소변 수용강 내부를 청소해주는 제4 분수구(821a)가 설치 되어있다(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됨).
이 실시예 2의 대소변 자동처리 장치의 변기(2)가 환자의 하체에 설치되고, 전면부 청소장치(7)는 환자 하체의 앞쪽에 설치하며 후면부 청소장치(8)는 환자 하체의 뒤쪽에 설치한다. 즉 제1 노즐꼭지(711)의 제1 분수구(711a)에 분사한 물은 주로 환자 앞쪽 배설부위를 세정하는 것이다. 제2 노즐꼭지(721)의 제2 부수구(721a)에 분사한 물(수류)은 주로 대소변 수용강(21) 내벽에 남아있는 소변을 청소하는 것이다. 제3 노즐꼭지(811)의 제3 분수구(811a)에 분사한 물은 주로 환자 뒤쪽 배설부위를 세정하는 것이다. 제4 노즐꼭지(821)의 제4 분수구(821a)에 분사한 물은 주로 대소변 수용강(21) 내벽에 남아있는 대변 잔류물을 청소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 실시예 2는 제1 분사꼭지(71)와 제3 분사꼭지(81)를 통해 여러 방향으로 환자의 몸을 세정하며 제2 분사꼭지(72)와 제4 분사꼭지(82)를 통해 여러 방위로 대소변 수용강(21)의 내벽을 더욱 효과적으로 청소한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3의 조절전환장치는 제1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 제2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 및 제3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가 있다. 제1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의 입수구는 제1 양수기의 출수구와 연결되어있고 제2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의 입수구는 제2 양수기의 출수구와 연결되어있고 제2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의 출수구는 각각 제2 분사꼭지(72) 및 제4 분사꼭지(82)와 연결되어 있다. 제1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의 출수구는 제3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의 입수구와 연결되어있으며 제3 수용 제1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의 출수구는 제1 분사꼭지(71) 및 제3 분사꼭지와 연결되어있다. 제1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의 출수구는 제2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의 입수구와 연결되어있다. 제1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 제2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 및 제3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는 각각 메인 제어 전기회로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 제어 전기회로는 신호처리단위 및 신호처리단위와 연결한 시간 제어단위가 설치되어있다. 대소변센서(3) 및 고속흡풍기(6)는 각각 신호처리단위와 연결되어 있다. 제1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 제2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 및 제3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는 각각 시간제어단위와 연결되어있다.
이제 청소시스템을 결합하여 이 실시예 3의 협조전환장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청소단계에서 제1 양수기, 제2 양수기, 제1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및 제2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는 메인 제어 전기회로의 제어 통해 모두 시작한다. 이때 제1 양수기를 통해 급수통(12)에 나온 물은 순서대로 제1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 제2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를 통과하며 제2 분사꼭지(72) 및 제4 분사꼭지(82)에 들어간다. 제2 양수기를 통해 약수통(13)에 나온 살균 및 악취제거제는 제2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를 통과하며 제2 분사꼭지(72) 및 제4 분사꼭지(82)에 들어간다. 여기서 제1 양수기를 통해 나온 물과 제2 양수기를 통해 나온 살균 및 악취제거제는 제2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 및 수도관내에 섞이며 제2 분사꼭지(72)와 제4 분사꼭지(82)에 들어간다. 청소단계에서 메인 제어 전기회로는 제2 양수기 및 제2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를 닫는다. 제1 양수기 및 제1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는 작업 상태를 유지하며 제3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는 열린다. 이때 제1 양수기 통해 급수통(12)에 나온 물은 순서대로 제1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 제3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를 통과하며 제1 분사꼭지(71)와 제3 분사꼭지(81)에 들어간다.
그리고 환자를 온전하게 세정하기 위해 이 실시예 3는 제1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와 제3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 사이에 가열기를 설치되어 있다(도시안됨). 가열기의 입수구는 제1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의 출수구와 연결되어 있고 가열기의 출수구는 제3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의 입수구와 연결되어있고 가열기는 메인 제어 전기회로와 연결되어있다. 여기서 청소단계에서 메인 제어 전기회로는 가열기와 제3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를 동시에 작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1 분수꼭지(71), 제2 분수꼭지(72), 제3 분수꼭지(81), 제4 분수꼭지(82)는 각각 수관 니플(9)이 설치되어 있다. 니플(9)은 각각 제1 노즐꼭지(711), 제2 노즐꼭지(721), 제3 노즐꼭지(811), 제4 노즐꼭지(821)의 뒤쪽에 고정되어있다. 수도관 니플(9)는 각각 제2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 및 제3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의 출수구와 연결되어 있다. 수도관 니플(9)은 커넥터 방식으로 대응되게 제1 노즐꼭지(711), 제2 노즐꼭지(721), 제3 노즐꼭지(811) 및 제4 노즐꼭지(821)의 뒤쪽에 고정시킨다. 수도관 니플(9)은 수도관을 통해 양수기와 연결한다. 물론, 이러한 연결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4]
이 실시예 4의 송풍관헤드(4)는 공기유통 헤드(41) 및 고속흡풍기(6)의 출풍구와 연결되어있는 송풍관 니플(42)이 포함되어있다. 송풍관 니플(42)은 공기유통 헤드(41)의 뒤쪽에 고정되어 있다. 공기유통 헤드(41)는 제1 공기유통구(411) 및 제2 공기유통구(412)가 설치되어있다. 제1 공기유통구(411)는 건조풍구(22)와 연결되어있고 제2 공기유통 헤드(412)는 공기유통관을 통해 배설풍구와 연결되어 있다(도 4 및 도 5에 도시됨). 제1 공기유통구(411)와 건조풍구(22)를 통해 대소변 수용강(21)에 들어간 공기는 주로 환자 배설 세정 부위를 건조 처리하는 것이고, 제2 공기유통구(412)와 공기유통관 및 배설풍기(23)를 통해 대소변 수용강(21)에 들어간 공기는 주로 대소변 잔유물을 밀어 배설관 헤드(5)의 배설관 통로에 넣은 것이다. 그리고 이 실시예 4의 제2 공기유통구(412)의 구경은 제1 공기유통구(411)의 구경보다 크다. 이와 같이 설계하는 이유는 제1 공기유통구(411)에 공기유통 헤드(41)에 들어간 공기의 기류가 너무 강해서 배설풍구(23)에 나온 공기의 힘이 부족하여 배설효과에 영향을 주는 것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5]
이 실시예 5에 있어서, 상기 대소변 수용강(21) 내벽의 배설구(51)쪽에 반원 모양의 유도벽(24)이 설치되어 있다. 유도벽(24)은 대소변 수용강(21)의 내벽과 합쳐 돌려싸서 배설구 유도홈(25)이 된다. 대소변센서(3)는 배설구유도홈(25)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 5는 배설관 헤드(5)의 배설구(51)쪽에 유도벽(24)이 설치되어 있으며, 대소변 수용강(21)의 내벽과 합쳐 둘러싸서 배설구 유도홈(25)이 된다. 배설구 유도홈(25)은 대소변 수용강(21)에 떨어진 대변잔유물을 배설관 헤드(5)의 배설관으로 유도하며 대변 잔유물이 고속공기의 힘 때문에 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배설구 유도홈(25)의 입구는 환자의 대변이 떨어진 곳의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 대소변 센서(3)는 배설구 유도홈(25)의 입구쪽에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대소변 센서(3)를 더 세심하게 환자의 대변을 감응할 수 있게 한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먼저, 배설물이 변기의 대소변 수용강(21) 안벽의 대소변 센서(3)를 건드리면, 대소변 센서(3)는 받은 신호를 제어시스템의 메인 제어전기회로로 전송한다.
메인 제어 전기회로는 대소변 센서(3)가 전송한 신호를 처리하며 고속흡풍기(6)의 시동을 건다. 고속흡풍기(6)는 오물통(11)의 내부에 부압이 생기게 한다. 대소변 수용강(21)과 오물통(11) 내부의 압력 차이를 통해 배설물을 오물통(11)으로 빨아들인다. 오물통(11)으로 들어간 공기가 다시 순환해서 고속흡풍기(6)로 가고 배설물이 완전히 오물통(11)으로 들어가면 고속흡풍기(6)가 멈춘다.
환자 배설 끝난 후에 메인 제어 전기회로가 급수통(12)과 연결되어 있는 제1 양수기 및 오물통(11)과 연결되어 있는 제2 양수기에 시동을 건다.
제1 양수기의 출수구에 나온 물과 제2 양수기의 출수구에 나온 물에 살균 및 악취제거제를 썩어서 대소변 수용강(21)의 내벽을 청소한다.
대소변 수용강(21)의 내벽 청소가 끝난 후에 제2 양수기를 멈추다. 제1 양수기는 계속 작동한다. 이때 제1 양수기의 출수구에 나온 물은 가열기를 통해 가열한 다음에 환자의 배설부위를 씻어준다.
환자의 배설부위를 씻은 다음에 제1 양수기가 멈추다. 고속흡풍기(6)는 다시 작동해서 대소변 수용강(21)의 안벽 및 환자의 배설부위에게 송풍건조 처리한다.
대소변 수용강(21)의 안벽 및 환자의 배설부위를 건조시킨 후 고속흡풍기(6)는 멈추고 대소변 자동 처리가 끝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할 것이다.
1-본체, 11-오물통, 111-배설물 입구, 112-순환풍 출구, 12-급수통, 13-약수통, 2-변기, 21-대소변 수용강, 22-건조풍구, 23-배설풍구, 24-유도벽, 25-배설물유도홈, 3-대소변 센서, 4-송풍관 헤드, 41-공기유통헤드, 411-제1 공기유통구, 412-제2 공기유통구, 42-송풍관 니플, 5-배설관 헤드, 51-배설구 6-고속흡풍기, 61-필터, 7-전면부 청소장치, 71-제1 분사꼭지, 711-제1 노즐꼭지, 711a-제1 분수구, 72-제2 분사꼭지, 721-제2 노즐꼭지, 721a-제2 분수구, 8-후면부 청소장치, 81-제3 분사꼭지, 811-제3노즐꼭지, 811a-제3 분수구, 82-제4 분사꼭지, 821-제4노즐꼭지, 821a-제4 분수구, 9-수관 니플

Claims (9)

  1. 측면 상단에 내부와 연결된 배설물입구(111) 및 순환풍출구(112)가 구비된 오물통(11), 급수통(12) 및, 살균 및 악취를 제거하는 약수통(13)이 설치된 본체(1)와;
    대소변 수용강(21) 모양을 갖추고, 송풍관 헤드(4) 및 상기 배설물입구(111)와 연결된 배설관헤드(5)가 설치되며, 상기 배설관헤드(5)의 앞부분은 상기 대소변 수용강(21)과 연결되어있는 배설구(5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대소변 수용강(21)과 송풍관헤드(4)를 연결하는 건조풍구(22) 및 배설풍구(23)가 구비된 변기(2)와;
    오물통(11)과 변기(2)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순환풍출구(112)에 그 입풍구가 연결되며, 상기 송풍관헤드(4)에 그 출풍구가 연결된 고속흡풍기(6)와;
    상기 급수통(12)에 결합되어 있는 제1양수기와;
    상기 약수통(13)에 결합되어 있는 제2양수기 및;
    상기 제1 및 제2양수기 및 변기(2)와 연결되어 이들의 동작 상태를 조절하고, 메인 제어 전기회로와 연결되어 상기 변기(2)의 동작을 변환하는 세정동작의 조절전환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소변 수용강(21)의 내벽에는 대소변센서(3)가 설치되고;
    상기 변기(2)의 건조풍구(22) 쪽에는 제1 및 제2분사꼭지(71, 72)가 구비된 전면부 청소장치(7)가, 상기 변기(2)의 배설풍구(23)쪽에는 제3 및 제4 분사꼭지(81, 82)가 설치된 후면부 청소장치(8)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전환장치는 입수구가 상기 제1 양수기의 출수구와 연결된 제1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와;
    입수구가 상기 제2 양수기의 출수구 및 상기 제1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의 출수구와 연결되고, 출구수가 상기 제2 및 제4 분사꼭지(72, 82)와 각각 연결된 제2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와;
    입수구가 상기 제1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와 연결되고, 출수구가 상기 제1 및 제3 분사꼭지(71, 81)와 연결된 제3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내지 제3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는 각각 상기 메인 제어 전기회로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의 사이에는 가열기가 설치되고;
    상기 가열기의 입수구는 상기 제1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의 출수구와 연결되며;
    상기 가열기의 출수구는 상기 제3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의 입수구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분수꼭지(71, 72, 81, 82)의 뒤쪽에는 수관 니플(9)이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관 니플(9) 들 각각에는 상기 제2 및 제3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의 출수구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 전기회로는 신호처리단위 및 신호처리단위와 연결하는 시간제어단위가 설치되고;
    상기 대소변센서(3) 및 고속흡풍기(6)는 신호처리단위 연결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 수용(水用)솔레노이드 밸브는 시간 제어 단위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관헤드(4)는 상기 건조풍구(22)와 연결된 제1 공기유통구(411)와 공기유통관을 통하여 상기 배설풍구(23)와 연결된 제2 공기유통구(412)가 설치된 공기유통 헤드(41)와;
    상기 공기유통 헤드(41)의 뒤쪽에 고정되어 상기 고속흡풍기(6)의 출풍구와 연결되어 있는 송풍관 니플(4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통(11)과 고속흡풍기(6)의 사이에는 필터(61)가 설치되고;
    상기 필터(61)의 입풍구는 순환풍 출구(112)가, 필터(61)의 출풍구는 고속 흡풍기(6)의 입풍구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소변 수용강(21) 내벽의 배설구(51)쪽에는 반원 모양의 유도벽(24)이 형성되고;
    상기 유도벽(24)은 대소변 수용강(21)의 내벽과 합쳐 둘러싸서 배설구 유도홈(25)이 되며;
    상기 대소변센서(3)는 상기 배설구유도홈(25)의 입구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


KR1020110072823A 2011-07-22 2011-07-22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 KR101285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823A KR101285920B1 (ko) 2011-07-22 2011-07-22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823A KR101285920B1 (ko) 2011-07-22 2011-07-22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580A KR20130011580A (ko) 2013-01-30
KR101285920B1 true KR101285920B1 (ko) 2013-07-12

Family

ID=47840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823A KR101285920B1 (ko) 2011-07-22 2011-07-22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59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8814A1 (ko) * 2013-06-26 2014-12-31 주식회사 엔젤윙즈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102003747B1 (ko) * 2017-07-25 2019-07-26 주식회사 큐라코 배설물 처리장치의 세척 및 소독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7083B2 (ko) * 1981-07-31 1991-12-09 Ei Emu Jeneraru Corp
JP2001112802A (ja) 1999-10-18 2001-04-24 Niles Parts Co Ltd 排泄物処理装置
JP3766366B2 (ja) * 2002-10-18 2006-04-12 田中 義高 介護用排泄物処理装置
KR20090078139A (ko) * 2008-01-14 2009-07-17 이동일 개량 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수집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7083B2 (ko) * 1981-07-31 1991-12-09 Ei Emu Jeneraru Corp
JP2001112802A (ja) 1999-10-18 2001-04-24 Niles Parts Co Ltd 排泄物処理装置
JP3766366B2 (ja) * 2002-10-18 2006-04-12 田中 義高 介護用排泄物処理装置
KR20090078139A (ko) * 2008-01-14 2009-07-17 이동일 개량 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수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580A (ko)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80532A1 (zh) 一种中央集成护理机
CN100548254C (zh) 自动式病人方便护理机
KR20100041572A (ko) 살균장치와 살균비데시스템
KR20120005922U (ko) 휠체어형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
KR102547934B1 (ko) 배설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
CN102293702A (zh) 一种大小便自动处理设备
KR102047781B1 (ko) 환자용 배변처리기 및 그 이용방법
CN201668649U (zh) 用于卧床人体护理器的控制装置
CN201091653Y (zh) 护理机的污物收集座
KR101713547B1 (ko) 와상환자를 위한 전자동 배변처리기
KR101285920B1 (ko) 대소변 자동 처리 장치
KR200348639Y1 (ko) 환자용 이동식 배변기
CN201091651Y (zh) 自动式病人方便护理机
JP2014030511A (ja) 洗浄装置
JP6472071B2 (ja) 洗浄装置
CN205636982U (zh) 延时冲水电子坐便器
CN208989472U (zh) 一种用于护理床的自动清洁臀部的便盆
KR20180047315A (ko) 양변기에 설치되는 남성용 소변기
JP5669368B2 (ja) 身体洗浄装置
KR100977612B1 (ko) 자동 배설물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97531A (ko) 전후이동가능한 연결배관을 구비한 자동배변 처리장치
JP5170546B2 (ja) 排泄物自動処理装置
JP2005177423A (ja) 電動屎瓶および陰部に装着可能な集尿アタッチメント
TWM565020U (zh) Excreta clean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JP7031865B2 (ja) 排泄物クリーニ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