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922U - 휠체어형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 - Google Patents

휠체어형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922U
KR20120005922U KR2020127000034U KR20127000034U KR20120005922U KR 20120005922 U KR20120005922 U KR 20120005922U KR 2020127000034 U KR2020127000034 U KR 2020127000034U KR 20127000034 U KR20127000034 U KR 20127000034U KR 20120005922 U KR20120005922 U KR 201200059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panties
adaptive
negative pressure
ho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70000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3152Y1 (ko
Inventor
춘밍 후앙
Original Assignee
춘밍 후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춘밍 후앙 filed Critical 춘밍 후앙
Publication of KR201200059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9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1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1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2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having irrigation ports 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2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46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tempera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종 휠체어형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를 제공하는데 완전 자동 처리기와 적응성 팬티가 설치되여 있고 완전 자동 처리기는 배설 통로, 배설물 수집 장치, 부압 장치, 정압 장치, 온수 장치, 열풍 장치 및 제어 장치를 구비하며; 적응성 팬티는 가랑이에 배설물 수집 구역이 설치되여 있고 배설물 수집 구역 내에는 배설구, 가스 주입 파이프, 온수 출력 파이프 및 열풍 출력 파이프가 설치되여 있으며; 배설 통로의 입구는 배설물 수집 구역의 배설구와 연결되고 배설 통로의 출구는 배설물 수집 장치와 연결되며 배설물 수집 장치는 부압 장치와 연결되며; 정압 장치, 온수 장치 및 열풍 장치는 각각 관로를 통해 배설물 수집 구역 내의 가스 주입 파이프, 온수 출력 파이프 및 열풍 출력 파이프와 대응되게 연결된다. 본 고안의 휠체어형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언제든지 배설을 진행할 수 있어 활동 범위를 크게 증가하였고 탈착의가 필요없는 자동 청소 방식은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사용자가 배설, 청소를 진행할 때 타인의 도움이 필요없다.

Description

휠체어형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AUTOMATIC WHEELCHAIR-TYPE FECES CLEANER WITHOUT NEED OF UNDRESSING AND DRESSING}
본 고안은 일종 개인과 가정용 위생 장치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행동에 장애가 있는 사람을 대상하여 설계한 일종 휠체어형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목전, 시중에는 주요하게 행동에 장애가 있는 사람을 대상하여 설계하여 행동에 장애가 있는 사람의 대소변을 자동적으로 처리하는 역할을 일으키는 일종 대소변 자동 처리 시스템이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대소변 자동 처리기 및 대소변 자동 처리기와 함께 사용되는 변기를 구비한다. 상기 대소변 자동 처리기에는 보통 오물 통, 부압 장치, 온수 장치, 열풍 장치 및 제어 장치가 설치되여 있는데 상기 오물 통은 인체에서 배출된 대소변을 수용하고 상기 오물 통은 밸브를 통해 대소변 용기와 연결되며 상기 대소변 용기는 상기 오물 통 내로 배출된 대소변을 포장 처리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변기에는 보통 배설물 수집 구역, 온수 출력 파이프 및 열풍 출력 파이프가 설치되여 있고 상기 배설물 수집 구역에는 또 대소변 배설구가 설치되여 있으며 상기 대소변 배설구에는 대소변 배설 통로가 연결되여 있다. 상기 대소변 배설 통로는 부압 장치를 통해 상기 오물 통과 연결되며 부압을 통해 대소변을 상기 오물 통 내로 흡입하며 상기 온수 출력 파이프는 온수 파이프를 통해 온수 장치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대변 부위와 소변 부위를 세척하며 상기 열풍 출력 파이프는 열풍 파이프를 통해 열풍 장치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대변 부위와 소변 부위를 건조시킨다. 상기 제어 장치는 휴먼 컴퓨터 인터렉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휴먼 컴퓨터 인터렉션 인터페이스에는 시작/중지 스위치가 설치되여 있는데 물론 구체적인 실시과정에서는 상기 제어 장치에 리모콘을 설치하여 시작/중지 제어를 진행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대소변 자동 처리기와 함께 사용되는 변기의 공동적인 특징으로서 행동에 장애가 있는 사람이 대소변을 보려고 할 때 사용자는 반드시 셀프 케어 능력을 구비하거나 혹은 간호사가 상기 각 류형의 변기를 대소변 배설 부분에 장착하여야 하고 배변이 끝난 후에는 간호사가 제거하여야 한다. 종래 변기는 타인의 도움이 필요없이 자동적이고 지능적으로 대소변을 배설하는 것을 실현할 수 없으며 특히, 종래 변기의 작업 방식, 사용하는 자재 및 구조 방면의 원인으로 인해 장시간 동안 인체와 접촉할 수 없으며 반드시 다시 기계식 전동 메커니즘를 통해 배설구로 부터 옮겨가거나 혹은 간호사가 대소변 배설 부분으로 부터 인공적으로 옮겨가야 하는데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 또한 행동에 장애가 있는 사람이 외출했을 때 언제, 어디서나 변기를 사용할 수 없어 사용자의 출행을 크게 제한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외출했을 시 언제, 어디서나 배설할 수 있어 활동 범위를 크게 증가하고 사용 전후에 번가스러운 조절을 진행할 필요가 없는 일종 휠체어형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탈착의가 필요없는 자동 청소 방식은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사용자가 배설, 청소를 진행할 때 타인의 도움이 필요없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아래와 같은 기술안을 채용한다.
일종 휠체어형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에 있어서, 완전 자동 처리기와 유연한 직물로 제조된 적응성 팬티가 설치되여 있는 휠체어를 포함하며; 상기 완전 자동 처리기는 배설 통로, 배설물 수집 장치, 부압 장치, 정압 장치, 온수 장치, 열풍 장치 및 제어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적응성 팬티는 가랑이에 배설물 수집 구역이 설치되여 있고 상기 배설물 수집 구역 내에는 인체 배설 부위와 대응되는 배설구, 가스 주입 파이프, 온수 출력 파이프 및 열풍 출력 파이프가 설치되여 있으며; 상기 배설 통로는 입구와 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배설 통로의 입구는 상기 배설물 수집 구역의 상기 배설구와 연결되고 상기 배설 통로의 출구는 상기 배설물 수집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배설물 수집 장치는 상기 부압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정압 장치, 상기 온수 장치 및 상기 열풍 장치는 각각 관로를 통해 상기 배설물 수집 구역 내의 상기 가스 주입 파이프, 상기 온수 출력 파이프 및 상기 열풍 출력 파이프와 대응되게 연결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완전 자동 처리기와 상기 적응성 팬티의 작업을 제어한다.
상기 휠체어의 쿠션에는 상기 적응성 팬티 중의 상기 배설구와 대응되는 배설구가 설치되여 있고; 상기 부압 장치, 상기 정압 장치, 상기 온수 장치와 상기 열풍 장치는 상기 휠체어의 의자 등받이에 설치되여 있으며; 상기 배설물 수집 장치는 상기 휠체어의 쿠션 하부에 설치되여 있다.
상기 쿠션 중의 상기 배설구에는 개폐할 수 있는 커버가 설치되여 있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커버의 작업을 제어한다.
상기 배설물 수집 장치는 분리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휠체어와 플렉시블 연결된다.
상기 배설물 수집 장치는 배설물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배설물 용기는 밀봉된 중공 챔버를 구비하며 상기 중공 챔버는 격벽을 통해 배설물 수집 챔버와 부압 챔버로 분리되며 상기 격벽에는 상기 배설물 수집 챔버와 상기 부압 챔버를 연통하는 통기홀이 설치되여 있고; 상기 배설물 용기에는 상기 배설물 수집 챔버 및 상기 부압 챔버와 대응되고 엇갈아 설치된 개구가 설치되여 있으며; 상기 배설물 수집 챔버의 상기 개구는 상기 배설 통로의 상기 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부압 챔버의 상기 개구는 상기 부압 장치와 연통된다.
상기 적응성 팬티의 상기 배설물 수집 구역의 뒤부분의 내표면에 엉덩이 돌기가 설치되여 있다.
상기 적응성 팬티의 상기 배설물 수집 구역의 앞부분의 외부 표면에는 튜브가 설치되여 있고 상기 가스 주입 파이프, 상기 온수 출력 파이프 및 상기 열풍 출력 파이프는 각각 상기 튜브 내에 설치되여 있다.
상기 적응성 팬티의 측변에는 서로 배합되는 페이스트 부품이 설치되여 있고 상기 적응성 팬티의 상기 배설구에는 상기 배설 통로의 입구와 배합되는 퀵 커넥터가 설치되여 있다.
상기 적응성 팬티의 허리선과 튜브 입구에는 각각 공기주입형 씰 링이 설치되여 있고 상기 공기주입형 씰 링에는 관로를 통해 공기주입장치가 연결되여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회전되여 접히는 방식으로 상기 휠체어와 플렉시블 연결되는 휴먼 컴퓨터 인터렉션 유닛을 포함한다.
1. 사용자는 적응성 팬티와 바지를 입고 휠체어에 앉아 스스로 조작하거나 혹은 타인이 휠체어를 조작하는 것을 통해 자유로 이동할 수 있어 사용자의 활동 공간을 크게 개선하였다. 배설을 진행할 때 적응성 팬티의 배설 통로는 바지가랑이의 개구를 거쳐 배설물 수집 장치와 연통되며 이리하여 사용자는 휠체어에 앉아 제어 장치를 시동하기만 하면 배설, 자동 청소의 전과정을 완성할 수 있으며 적응성 팬티와 바지를 벗을 필요가 없어 사용 전후의 번가스러운 조절이 필요없고 또한 간호사가 인체의 배설 부분에 대한 번가스러운 청소 과정도 필요없다. 인체가 배설한 대소변이 배설물 수집 장치에 씻겨나간 후 간호사는 다만 배설물 수집 장치 내의 대소변 및 오수를 처리하기만 하면 되므로 간호사의 작업 환경을 크게 개선할 수 있어 간호 작업의 진행에 유리하다. 유연한 직물로 제조된 적응성 팬티를 변기로 채용하고 적응성 팬티에 대해 상응한 설계를 진행하여 형성된 이런 팬티 형식의 변기는 종래 변기의 각종 기능을 구비할 뿐만 아니라 또한 부드럽고 편안하여 장시간 동안 사용자의 몸에 착용할 수 있으며 편안함, 착용 과정 및 세척 시간, 방법은 일반 팬티와 기본상 구별이 없으며 사용자가 대소변을 볼 때 타인이 변기를 입히고 벗기는 것을 도와줄 필요 없이 언제든지 스스로 인체 배설물 청소기를 시동하여 배변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열풍으로 건조시킬 때 적응성 팬티에서 산생한 습기는 부압 장치에 의해 배설물 수집 장치 중에 흡입되는데 이리하여 건조 시간을 절감하고 또한 습기는 기본상 인체를 통해 제거 되지 않으므로 습기 방출의 통로를 해결하여 에너지를 절약하고 인체의 편안함을 증강 시키는 역할을 일으킨다.
2. 적응성 팬티는 배설물 수집 구역의 뒤부분의 내표면에 엉덩이 돌기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적응성 팬티를 입고 앉으면 엉덩이 돌기는 엉덩이 사이에 끼우게 되여 좌, 우 두 엉덩이를 양쪽으로 갈라놓아 배설할 준비를 한다. 배설물 수집 구역의 앞부분의 외부 표면에 튜브를 설치하고 배설구에는 퀵 커넥터를 설치하는데 튜브와 퀵 커넥터는 각각 관로를 통해 완전 자동 처리기의 대응 관로와 연결되여 배설, 청소의 전 자동 처리 과정을 완성할 수 있으며 사용 전후에 간호사가 번가스러운 조절을 진행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적응성 팬티의 구조가 간다하고 합리적이며 튜브는 적응성 팬티의 외부 표면에 설치되여 인체에 불편함을 갖다주지 않으며 일반 팬티와 똑같이 비교적 얇은 적응성 팬티로 제조할 수 있어 더욱 편안하고 몸에 맞다.
3. 적응성 팬티는 측변이 개방되거나 혹은 폐쇄될 수 있는 플렉시블 타입 팬티를 사용할 수 있어 탈착의가 진일보 편리하다. 적응성 팬티의 배설구의 외부 표면에는 퀵 커넥터가 설치되여 있는데 구조가 간단하고 합리하며 사용자가 장기적으로 적응성 팬티를 착용할 때 퀵 커넥터는 바지가랑이의 개구를 지나 배설 통로의 입구에 삽입되며 배설, 청소를 진행할 때 더욱 훌륭한 밀봉 연결을 형성함과 동시에 벗고 입는 등 번가스러운 조절 과정이 필요없게 되여 사용자의 불편감을 감소하고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도1은 본 고안의 휠체어형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의 개략적인 제1사시도 이다.
도2는 본 고안의 휠체어형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의 개략적인 제2사시도 이다.
도3은 배설물 수집 장치의 구조 개략도 이다.
도4는 배설물 수집 장치의 케이스의 구조 개략도 이다.
도5는 부압 장치, 온수 장치와 열풍 장치의 구조 개략도 이다.
도6은 적응성 팬티의 팬티 몸체의 전개 개략도 이다.
도7은 팬티 몸체 중의 배설물 수집 구역의 상면도 이다.
도8은 팬티 몸체 중의 배설물 수집 구역의 좌면도 이다.
도9는 적응성 팬티의 실시예1의 구조 개략도 이다.
도10은 적응성 팬티의 실시예2의 구조 개략도 이다.
도11은 본 고안의 휠체어형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의 총 제어 원리의 개략도 이다.
도12는 본 고안의 휠체어형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가 소변 처리를 진행하는 과정의 개략도 이다.
도13는 본 고안의 휠체어형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가 대변 처리를 진행하는 과정의 개략도 이다.
본 고안의 기술안을 진일보 해석하기 위해 아래에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1-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휠체어형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는 휠체어(1), 완전 자동 처리기(2) 및 적응성 팬티(3)를 포함한다.
휠체어(1)는 쿠션(11)과 의자 등받이(12)를 포함하며 쿠션(11)에는 배설구(111)가 설치되여 있고 배설구(111)에는 개폐할 수 있는 커버가 설치되여 있으며 후술하는 제어 장치(26)로 그들으ㅢ 작업을 제어하는데 사용 여부 상태에 근거하여 자동적으로 열고 닫아 악취가 새여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휠체어(1)는 주요하게 완전 자동 처리기(2) 및 적응성 팬티(3)와 배합하여 사용되는데 휠체어(1)의 기타 구조는 종래의 휠체어와 동일함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완전 자동 처리기(2)는 배설물 수집 장치(21), 부압 장치(22), 정압 장치(23), 온수 장치(24), 열풍 장치(25) 및 제어 장치(26)를 포함한다. 배설물 수집 장치(21)는 쿠션(11)의 하부에 설치되고 부압 장치(22), 정압 장치(23), 온수 장치(24) 및 열풍 장치(25)는 의자 등받이(12)의 뒷면에 설치되여 있다.
배설물 수집 장치(21)는 배설물 용기(210)와 배설 통로(213)를 포함하고 배설물 용기(210)는 커버 패널(211)과 케이스(212)를 포함한다. 케이스(212)는 격벽(214)을 통해 배설물 수집 챔버(215)와 부압 챔버(216)로 분리된 중공 챔버를 구비하며 격벽(214)에는 배설물 수집 챔버(215)와 부압 챔버(216)를 연통하는 통기홀(217)이 설치되여 있다. 커버 패널(211)과 케이스(212)는 밀봉되여 접합되며 커버 패널(211)에는 배설물 수집 챔버(215)와 대응되도록 배설구(218)가 설치되여 있고 배설구(218)는 퀵 커넥터를 통해 배설 통로(213)의 출구의 퀵 커넥터와 플렉시블 연결을 형성하고 배설 통로(213)의 입구에는 퀵 커넥터(341’)가 설치되여 있고 퀵 커넥터 (341’)는 적응성 팬티(3)의 배설구(34)의 퀵 커넥터(341)와 플렉시블 연결을 형성하는데 이리하여, 배설물 용기(210)를 쉽게 제거하여 청소를 진행할 수 있다. 부압 챔버(216)의 좌측 챔버 벽의 비교적 높은 곳에는 개구가 설치되여 있고 상기 개구에는 퀵 커넥터(219)가 설치되여 있으며 퀵 커넥터(219)의 부압 챔버(216) 내에 위치한 끝단은 아래로 완곡되여 퀵 커넥터(219)로 하여금 부압 챔버(216) 외에 위치한 끝단이 부압 챔버(216) 내의 끝단 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엇갈아 설치한다. 퀵 커넥터(219)는 부압 장치(22)의 끝단에 설치된 퀵 커넥터와 연결한다. 물론 퀵 커넥터(219)는 또 부압 챔버(216)의 전후 양측의 챔버 벽에 설치할 수도 있는데 그 구체적인 장착 위치는 부압 장치(22)의 끝단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배설물 용기(210)는 체결 혹은 슬라이딩 방식을 통해 휠체어(1)와 플렉시블 연결을 실현하고 배설물 용기(210)는 배설 통로(213)를 통해 적응성 팬티(3)와 연결되여 인체에서 배출된 대소변을 접수하는데 물론 온수 장치(24)가 사용자의 대소변 부위를 세척한 후의 오수도 접수한다. 사용자는 배설이 끝난 후 배설물 용기(210)를 휠체어(1)에서 제거하여 청소할 수 있으며 커버 패널(211)과 케이스(212)의 내벽에는 접착을 방지하는 자재가 코팅되여 있어 청소하기 편리한다.
부압 장치(22)는 진공 펌프를 포함하는데 상기 진공 펌프는 관로를 통해 배설물 수집 장치(21)와 연결되며 부압을 산생하는 역할을 일으켜 인체에서 배출된 대소변을 배설물 수집 장치(21)로 흡입한다. 배설물 수집 장치(21)와 적응성 팬티(3)를 연통시키는 관로 및 배설물 수집 장치(21)와 부압 장치(22)를 연통시키는 관로는 엇갈아 설치되여 적응성 팬티(3) 중의 대소변이 직접 부압 장치(22)로 흡입되는 것을 피면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적응성 팬티(3)는 배설구(34), 배설 통로(213), 커버 패널(211) 상의 배설구(218)를 통해 배설물 용기(210)의 배설물 수집 챔버(215)와 연결되고 부압 장치(22)는 그 관로가 배설물 용기(210) 측면의 개구를 거쳐 부압 챔버(216)와 연결된다.
부압 장치(22)의 일종 구체적인 실시 방식으로서 부압 장치(22)는 진공 펌프(221)와 배기 필터를 포함하는데 진공 펌프(221)는 관로를 통해 배설물 수집 장치(21)와 연결하고 상기 배기 필터는 진공 펌프(221)와 배설물 수집 장치(21) 사이에 설치 되였다. 진공 펌프(221)의 부압 작용을 통해 적응성 팬티(3) 중의 오물은 배설물 수집 장치(21)로 흡입된다.
정압 장치(23)는 관로를 통해 적응성 팬티(3)와 연결되고 정압을 산생하며 적응성 팬티(3)상의 배설물 수집 구역(33)을 펼쳐주어 부압 장치(22)로 하여금 순조롭게 오물을 배설물 수집 장치(21)로 흡입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정압 장치(23)의 일종 바람직한 실시 방식으로서 정압 장치(23)는 에어 펌프, 에어 필터, 압력 센서, 전자 제어 압력 릴리이프 밸브 및 역지 밸브를 포함하며 에어 펌프는 상기 에어 필터를 통해 대기와 연결되여 상기 공기의 청결도를 확보한다. 상기 역지 밸브는 에어 펌프와 적응성 팬티(3) 사이의 관로에 설치되여 적응성 팬티(3)내의 기압을 유지한다. 상기 전자 제어 압력 릴리이프 밸브와 압력 센서는 모두 적응성 팬티(3)중에 설치하며 상기 전자 제어 압력 릴리이프 밸브는 제어 장치(26)과 연결되여 제어 장치(26)에 의해 제어되며 휠체어형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의 사용이 끝나면 상기 전자 제어 압력 릴리이프 밸브는 즉시 적응성 팬티(3) 내의 기압을 풀어주며 상기 압력 센서는 과압 보호의 역할을 일으킨다.
온수 장치(24)는 관로를 통해 적응성 팬티(3)의 온수 출력 파이프와 연결되여 사용자의 대소변 부위를 세척하는 물줄기을 제공한다. 온수 장치(24)에서 유출 된 물줄기는 사용자의 대소변 부위를 세척한 후 직접 배설 통로(213)를 거쳐 배설물 수집 장치(21)의 배설물 수집 챔버(215)에 흘러드는데 즉, 온수 장치(24)와 적응성 팬티(3)의 연결 부위는 응당 비교적 높은 곳에 위치하여야 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온수 장치(24)는 휠체어(1)의 의자 등받이(12)의 비교적 높은 곳에 설치되며 그 구체적인 설치 위치는 실제 수요에 따라 조절하는데 여기서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배설물 수집 장치(21)도 청결도를 구비하게 하기 위해 온수 장치(24)는 또 세척 전향 밸브를 구비하는데 상기 세척 전향 밸브는 상기 양수 펌프와 적응성 팬티(3)사이의 관로에 설치되며 상기 세척 전향 밸브는 또 관로를 통해 배설물 수집 장치(21)와 연결된다. 이리하여, 세척 전향 밸브의 작용에 의해 배설물 수집 장치(21)를 세척할 수 있어 그 청결도를 제고하고 세균이 성장하는 것을 피면할 수 있다.
온수 장치(24)의 일종 구체적인 실시 방식으로서 온수 장치(24)는 물탱크, 양수 펌프, 히터 및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데 상기 양수 펌프, 히터 및 온도 센서는 모두 물탱크 중에 설치하며 상기 히터는 물탱크 중의 물을 가열하며 온도 센서의 배합하에 상기 히터로 하여금 물탱크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며 상기 양수 펌프는 또 관로를 통해 적응성 팬티(3)의 온수 출력 파이프와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탱크는 두개 설치할 수 있는데 즉, 한개 큰 물탱크와 한개 작은 물탱크를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큰 물탱크는 살균제를 가입한 물을 저장하며 상기 히터, 온도 센서 및 양수 펌프 등은 모두 작은 물탱크 내에 설치되며 이리하여 상기 히터는 수요에 따라 단지 작은 물탱크의 온도를 유지하기만 하면 되여 에너지 손실을 절감한다. 물론 상기 큰 물탱크 내에는 또 큰 물탱크의 수위를 모니터링하는 액위 센서가 설치되여 수위가 하한 보다 낮으면 알람하여 제시한다.
열풍 장치(25)는 관로를 통해 적응성 팬티(3)와 연결하며 사용자의 대소변 부위를 건조하는 기류를 산생한다. 구체적으로 열풍 장치(25)가 산생한 기류는 사용자의 대소변 부위를 건조한 후 부압 장치(22)를 통해 배출 된다.
열풍 장치(25)의 일종 구체적인 실시 방식으로서 열풍 장치(25)는 열교환기와 에어 펌프를 구비하며 상기 에어 펌프는 관로를 통해 적응성 팬티(3)의 열풍 출력 파이프와 연결되며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에어 펌프와 적응성 팬티(3) 사이의 관로에 설치된다.
제어 장치(26)는 부압 장치(22), 정압 장치(23), 온수 장치(24) 및 열풍 장치(25)와 모두 연결되며 그들 사이의 협동 작업을 제어하는데 즉, 매개 장치 사이의 작업 순서를 제어하며 물론 제어 장치(26)에는 또 수요에 따라 무선 원격 제어 유닛을 설치하여 무선으로 전체 휠체어형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를 오픈하고 오프하는 것을 실현할 수도 있으며 부근 머신과의 간섭을 피면하기 위해 상기 원격 제어 신호는 이중코팅 방식을 채용한다. 물론 제어 장치(26)로 하여금 매개 장치의 상황을 읽을 수 있게 하기 위해 제어 장치(26)에는 또 A/D와 D/A변환 유닛이 내장되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을 진행하며 또한 수요에 따라 휠체어(1)의 손잡이에 휴먼 컴퓨터 인터렉션 유닛(261)를 설치할 수 있는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먼 컴퓨터 인터렉션 유닛(261)는 머신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과 수정, 작업 모드 설정, 목전 작업 상태의 표시 및 수동 제어 버튼을 제공하는 등 기능을 실현하며 구체적으로 휴먼 컴퓨터 인터렉션 유닛(261)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LCD디스플레이 채용하는데 사용자는 수동으로 조작을 진행할 수 있다. 설명하여 할 것은 본 고안에서 채용한 관로는 모두 실리카 겔 튜브 혹은 에멀젼 튜브 등 재질로 제조되며 상기 관로와 적응성 팬티(3) 사이는 또 퀵 커넥터를 통해 착탈시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이리하여, 본 고안의 휠체어형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는 제어 장치(26)의 제어하에 질서있게 아래와 같은 절차를 순환적으로 진행한다. 우선, 정압 장치(23)를 통해 적응성 팬티(3) 중의 배설물 수집 구역(33)을 열어 사용자가 배설할 수 있게끔 하고; 부압 장치(22)를 통해 사용자가 배출된 대소변을 배설물 수집 장치(21)의 배설물 수집 챔버(215)로 흡입하며 그다음 온수 장치(24)를 통해 물줄기를 분사하여 사용자의 대소변 부위를 세척하며 그다음 열풍 장치(25)가 산생한 기류를 통해 사용자의 대소변 부위를 건조하고 배설물 수집 장치(21)의 배설물 용기(210)를 떼여 내는데 간호사는 배설물 용기(210)를 청소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본 고안은 간호사가 배설물 수집 장치(21)를 청소할 시의 작업 환경을 크게 개선하여 간호 작업의 수행에 유리하다. 또한 열풍 건조를 진행할 시 적응성 팬티(3)에서 산생된 습기는 부압 장치(22)에 의해 배설물 수집 장치(21)에 흡수된다. 이는 건조 시간을 감소하고 또한 습기가 기본상 인체를 통해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습기 방출의 통로를 해결하였다. 때문에 에너지를 절약하고 인체의 편안함을 증강하는 역할을 일으킨다.
적응성 팬티(3)의 주체는 팬티 몸체(30)인데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티 몸체의 직물은 일반적인 흔히 보는 직물 예를 들어, 면, 폴리 에스테르, 나일론, 스판덱스, 라이크라, 생사, Modal(모달)등을 채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팬티 몸체(30)는 종이 기저귀 구조와 유사한 플렉시블 타입 팬티이며 그 앞 부분(31), 뒷 부분(32)의 양 측변에는 각각 대응되는 페이스트 부품(38, 38’)이 설치되여 있는데 앞 부분(31)과 뒷 부분(32)이 접착되면 삼각 혹은 평각 팬티 몸체(30)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 방식으로서 팬티 몸체(30)는 순면 직물을 채용하고 천연적인 처리를 거쳐 방수, 통풍 성능을 구비한다.
팬티 몸체(30)는 가랑이의 대소변 배설구 근처에 배설물 수집 구역(33)을 설치하는데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설물 수집 구역(33)의 네개 코너 부분은 둥글거나 타원형으로 제조되여 착용이 더욱 편안하다. 배설물 수집 구역(33)의 다른 한개 실시예로서 도7-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설물 수집 구역(33)은 엉덩이와 대응되는 타원형으로 구성되는데 그 면적은 뒤로 부터 앞으로 점차 작아지며 배설물 수집 구역(33)의 내표면은 인체와 어울리는 부드러운 곡면으로 구성된다. 배설물 수집 구역(33)의 뒤부분의 내표면에는 연질 고무로 제조된 엉덩이 돌기(331)가 설치되여 있는데 엉덩이 돌기(331)는 삼각 돌기로서 각 에지는 매끄럽고 부드럽다. 사용자가 적응성 팬티(3)을 착용하고 앉으면 엉덩이 돌기(331)는 엉덩이 사이에 끼워져 좌, 우 두엉덩이를 양쪽으로 갈라 놓아 배설할 준비를 마친다. 배설물 수집 구역(33)은 앞부분에 오목한 슬롯 홈(332)이 설치되여 있고 슬롯 홈(332)의 팬티 몸체(30)에 위치한 외부 표면에는 튜브(333)가 설치되여 있으며 튜브(333) 내에는 네갈래 홀이 설치되여 있고 각 홀은 각각 대소변 완전 자동 처리기 중의 정압 장치, 소독 세척액, 온수 장치 및 열풍 장치의 대응 관로와 연결된다. 이리하여 튜브(333)내로 부터 분출된 물줄기는 세척을 진행한 후 주위로 확산되지 않고 슬롯 홈(332)을 따라 신속하게 모여들어 배설구(34)내로 들어간다. 튜브(333)는 팬티 몸체(30)의 외부 표면에 위치한 입구(334)와 팬티 몸체(30)의 내표면에 위치한 출구(335)를 구비한다. 입구(334)의 외부 표면에는 몇개의 링 계단 슬롯 홈이 설치되여 정압 장치(23), 소독 세척액 장치, 온수 장치(24) 및 열풍 장치(25)등과 쾌속적이고 긴밀히 연결한다. 출구(335) 내의 상기 네개 출구는 각각 인체의 배설 부분과 대응되게 설치한다.
배설물 수집 구역(33)의 저부에는 배설구(34)가 설치되여 있고 배설구(34)에는 배설 통로(213)의 입구와 서로 배합되는 퀵 커넥터(341)가 설치되여 있으며 퀵 커넥터(341)는 쿠션(11)의 배설구(111)를 통과하여 배설 통로(213)의 입구에 삽입된다. 물론 배설 통로(213)의 입구와 쿠션(11)의 배설구(111)를 플렉시블 연결 타입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퀵 커넥터(341)는 실리카 겔 튜브 혹은 에멀젼 튜브 등 연질 자재로 제조되며 유연성이 좋고 편안하며 인체와 접촉할 시 느낌이 명확하지 않아 사용자가 휠체어(1)을 떠나 눕거나 혹은 앉을 때 기본상 인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퀵 커넥터(341)는 원추형, 절두체, 원형, 타원형, 다변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설 통로(213)는 실리카 겔 튜브 혹은 에멀젼 튜브 등 연질 자재를 채용하여 제조된 굵은 호스이며 상기 굵은 호스는 적응성 팬티와 장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유연성이 좋고 편안하며 인체와 접촉할 때 느낌이 명확하지 않아 인체에 대해 기본상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배설 통로(213)의 입구에는 퀵 커넥터(341)와 상응한 다른 한개 퀵 커넥터 (341’)가 설치되여 있으며 퀵 커넥터(341)와 퀵 커넥터 (341’)는 쾌속적으로 접합되여 배설물 수집 구역(33)으로 하여금 순차적으로 배설구(34)와 배설 통로(213)를 통과하여 배설물 용기(210)의 배설물 수집 챔버(215)와 연통하게 한다.
적응성 팬티(3)에는 두개 실시예가 존재하는데 실시예1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티 몸체(30)내에 또 가스 주입 파이프(35), 온수 출력 파이프 및 열풍 출력 파이프가 설치되여 있고 상기 온수 출력 파이프는 소변 스프레이 파이프(36)와 대변 스프레이 파이프(36’)를 포함하며 상기 열풍 출력 파이프는 소변 열풍 파이프(37)와 대변 열풍 파이프(37’)를 포함한다. 가스 주입 파이프(35), 소변 스프레이 파이프(36), 대변 스프레이 파이프(36’), 소변 열풍 파이프(37) 및 대변 열풍 파이프(37’)는 실리카 겔 튜브, 에멀젼 튜브 등 연질 자재를 채용하여 제조된 가는 호스이다.
가스 주입 파이프(35)의 출구는 팬티 몸체(30) 내에 위치하고 가스 주입 파이프(35)의 입구는 팬티 몸체(30)의 튜브 입구로 부터 팬티 몸체(30) 밖으로 뻗어나가고 관로를 통해 정압 장치(23)의 공기 출구와 연결된다.
소변 스프레이 파이프(36), 대변 스프레이 파이프(36’), 소변 열풍 파이프(37) 및 대변 열풍 파이프(37’)의 출구는 각각 팬티 몸체(30) 내의 상응한 위치 즉, 대변 배설구와 대응하는 위치 혹은 소변 배설구와 대응하는 위치까지 뻗어나가고 소변 스프레이 파이프(36), 대변 스프레이 파이프(36’), 소변 열풍 파이프(37) 및 대변 열풍 파이프(37’)의 입구는 각각 팬티 몸체(30)의 튜브 입구 부분으로 부터 팬티 몸체(30) 밖으로 뻗어 나가고 각각 완전 자동 처리기(2)의 온수 장치(24), 열풍 장치(25)의 상응한 관로와 연결된다.
가스 주입 파이프(35), 소변 스프레이 파이프(36) 및 소변 열풍 파이프(37)는 팬티 몸체(30)의 앞 부분(31)에 고정 설치되고 대변 스프레이 파이프(36’) 및 대변 열풍 파이프(37’)는 팬티 몸체(30)의 뒷 부분(32)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팬티 몸체(30)의 앞 부분(31)과 뒷 부분(32)에 중간층을 설치할 수도 있고 다시 가스 주입 파이프(35), 소변 스프레이 파이프(36), 대변 스프레이 파이프(36’), 소변 열풍 파이프(37) 및 대변 열풍 파이프(37’)를 각각 상응한 중간층 내에 설치할 수 있다.
사용시 사용자는 수동 혹은 무선 리모콘을 통해 휠체어형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의 실행을 시동할 수도 있고 센서의 자동 모드를 설정하여 자동적으로 배변 동작을 검출하여 휠체어형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를 시동할 수도 있다. 적응성 팬티(3)의 퀵 커넥터(341)는 바지가랑이의 개구를 통과하여 배설 통로(213) 내에 관통 설치되며 제어 장치(26)는 쿠션(11) 중의 배설구(111)의 상기 커버를 열고 정압 장치(23)는 먼저 기압을 산생하고 가스 주입 파이프(35)를 통해 팬티 몸체(30) 내에 대해 공기를 주입하여 배설물 수집 구역(33)으로 하여금 벌어지고 낙하하여 대소변의 배설 공간을 형성하게 하는데 이때, 휠체어형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는 부압 장치(22)와 배설 통로(213)를 통해 배설구(34)로 하여금 부압을 산생하게 한다. 대변 혹은 소변을 보기 시작하면 배출된 대변 혹은 소변은 즉시 이 부압에 의해 배설 통로(213)로 흡입되며 최종적으로 배설물 용기(210) 내로 들어간다. 그다음 제어 장치(26)는 온도가 이미 설정된 온수의 분출을 제어하는데 온수는 소변 스프레이 파이프(36) 및 대변 스프레이 파이프(36’)로 부터 분출되며 인체의 대소변 부위를 세척한다. 세척 완료된 후 제어 장치(26)는 온도가 이미 설정된 열풍의 분출을 제어하는데 열풍은 소변 열풍 파이프(37)와 대변 열풍 파이프(37’)를 통해 대변 부위와 소변 부위로 향해 불어가고 대변 부위, 소변 부위와 전체 배설물 수집 구역(33)을 건조하며 습기를 휴대한 열풍도 최종적으로 배설 통로(213)를 통해 부압에 의해 흡입되며 습기 순환 시스템을 형성하여 인체와 적응성 팬티를 신속하게 건조한다.
적응성 팬티(3)의 실시예2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1와의 구별점은 팬티 몸체의 구조가 부동하다는 것이며 팬티 몸체(30)은 일반 구조의 삼각 팬티일 수도 있고 사각 팬티일 수도 있으며 또한 팬티 몸체(30)의 허리선과 튜브 입구 부분에는 각각 밀봉 부품 즉, 공기주입형 씰 링(39, 39’, 39”)이 봉제되여 있다. 공기주입형 씰 링(39, 39’, 39”)은 기밀된 직물로 봉제된 고리형 구조이며 일정한 신축 탄성을 구비하여 부동한 비만 정도의 인체에 적응하게 하며 또한 공기주입형 씰 링(39, 15, 16)에는 각각 공기주입구(391, 391’, 391”)가 설치되여 있고 공기주입구(391, 391’, 391”)는 각각 관로를 통해 공기주입장치와 연결된다. 사용 시, 휠체어형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는 상기 공기주입장치를 통해 정압 기체를 산생하고 상기 정압 기체는 공기주입구(391, 391’, 391”)를 통해 공기주입형 씰 링(39, 39’, 39”)에 대해 공기를 주입하고 공기주입형 씰 링(39, 39’, 39”)은 쾌속적으로 충만되여 팽창하여 팬티 몸체(30)의 허리선과 튜브 입구를 클램핑하여 밀봉하며 가스 주입 파이프(35)가 팬티 몸체(30) 내에 대해 공기를 주입하여 연질 방수의 배설물 수집 구역(33)이 벌어져 배설 공간을 형성할 때 팬티 몸체(30)의 밀봉도를 증가하여 쾌속적으로 배설 공간을 형성한다. 그중, 상기 공기주입장치는 정압 장치(23) 혹은 열풍 장치(25)을 채용할 수도 있는데 정압 장치(23) 혹은 열풍 장치(25)는 각각 관로를 통해 공기주입형 씰 링(39, 39’, 39”)과 연결한다.
본 실시예의 기타 부분의 구조와 작업 원리는 실시예1과 동일하다.
본 고안은 일상 생활 중에서 사람이 반드시 착용하여야 하는 일반 구조의 팬티에 대해 특수 구조의 설계를 진행함으로서 일종 행동에 장애가 있는 사람의 적응성 팬티를 형성한다. 적응성 팬티는 일상 생활에서 행동에 장애가 있는 사람의 몸에 착용하며 대소변을 보려고 할 때 적응성 팬티(3) 저부의 퀵 커넥터(341)를 통해 바지가랑이 개구를 통과하여 완전 자동 처리기(2)와 연결하며 사용자의 주동적인 제어(수동 혹은 무선 원격 제어) 혹은 대소변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통해 자동적으로 자동 제어 시스템을 시동하여 적응성 팬티로 하여금 자동적으로 대소변을 접수하는 배설 기구로 전화하게 하며 팬티와 바지 등을 입고 벗는 번가스러운 조절 과정이 필요없다. 대소변 완료 후 사용자의 주동적인 제어(수동 혹은 무선 원격 제어)혹은 대소변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통해 자동적으로 자동 제어 시스템을 시동하여 적응성 팬티로 하여금 자동적으로 행동에 장애가 있는 사람이 일상에서 반드시 착용하여야 하는 일반 팬티로 전환하게 한다. 적응성 팬티는 평소에 인체에 착용하며 편안함, 착용 과정, 세탁 시간 및 방법은 일반 팬티와 기본상 차이가 없으며 이리하여 사용자가 대소변을 볼 때 타인의 도움으로 변기를 착탈할 필요가 없이 언제든지 자기절로 대소변 완전 자동 처리를 시동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간단하며 불편한감이 없다.
그중, 가스 주입 파이프(35), 소변 스프레이 파이프(36), 대변 스프레이 파이프(36’), 소변 열풍 파이프(37), 대변 열풍 파이프(37’), 공기주입형 씰 링(39), 공기주입형 씰 링(39’) 및 공기주입형 씰 링(39”)의 가스 입구는 각각 상호 배합되는 퀵 커넥터를 통해 각 관로와 퀵 연결을 형성하여 용이하게 적응성 팬티(3)를 갈아 입을 수 있다.
완전 자동 처리기(2)와 적응성 팬티(3)는 상호 배합하여 사용하며 제어 장치(26)를 통해 각 장치 사이의 작업 순서를 제어하는데 구체적으로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장치(26)의 데이터 수집 모듈의 입구에는 각각 온도, 수위와 압력 등 신호가 대응하여 연결되여 있고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의 출력 포트는 메인 컨트롤러의 상응 입력 포트와 연결한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휴먼 컴퓨터 인터렉션 인터페이스를 통해 휴먼 컴퓨터 인터렉션 유닛의 대응 포트와 연결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버튼 입력 모듈을 채용하고 상기 버튼 입력 모듈의 출력 포트는 상기 메인 컨트롤러의 대응되는 입력 포트와 연결된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의 출력 포트는 각각 알람 모듈, 음성 기능 모듈, 액정 표시 모듈 및 구동 출력 모듈의 상응 입력 포트와 연결된다. 상기 구동 출력 모듈의 출력 포트는 각각 부압 장치(22)의 진공 펌프(221), 정압 장치(23), 온수 장치(24)의 물펌프(241) 및 물히터(242), 열풍 장치(25)의 에어 펌프(251) 및 가스 히터(252), 각 관로 중의 물밸브, 가스 밸브, 가스 조절 밸브, 압력 릴리이프 밸브, 예비 부품(0), 예비 부품(1) 및 예비 부품(2)등 장치를 제어한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휠체어형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가 휴먼 컴퓨터 인터렉션 유닛(261) 혹은 원격 제어를 통해 소변을 처리하는 과정은 아래와 같다: 1. 가동된 후 상기 모든 장치를 3초 동안 자체 테스트하고; 2. “장치 준비”를 눌러 정압 장치(23)의 에어 펌프 즉, 정압 펌프를 시동하고 온수 장치(24)의 물히터를 시동하며; 3. “소변 개시”를 눌러 부압 장치(22)의 진공 펌프(221)를 시동하며; 4. “소변 결속”을 눌러 제1단계에 진입하여 온수 장치(24)의 온수 펌프를 시동하여 몸을 2초 동안 세척하고 제2단계에 진입하여 시스템은 재차 플러쉬? 라고 문의하고 만일 “재차 플러쉬”를 누르면 상기 제1단계로 진입하고 만일 플러쉬할 필요가 없으면 “7초 동안 기다리세요”라고 하고 시스템은 자동적으로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며; 5. 건조 과정은 제1단계에 진입하여 열풍 장치(25)의 열풍 펌프를 시동하여 3분 동안 건조하고 제2단계에 진입하여 시스템은 재차 건조?라고 문의하고 만일 “재차 건조”를 누르면 상기 제1단계에 진입하고 만일 “건조 결속”을 누르면 청소 과정에 진입하며; 6. 배설물 회수 과정, 부압 장치(22)의 진공 펌프(221)를 오프하며; 7. 압력 릴리이프 과정, 순차적으로 압력 릴리이프 밸브를 오픈하고 2초 동안 지연한 후 압력 릴리이프 밸브를 오프하고 악취를 제거하며 마지막에 결속한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휠체어형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가 대변을 처리하는 과정은 아래와 같다: 1. 가동된 후 상기 모든 장치를 3초 동안 자체 테스트하고; 2. “장치 준비”를 눌러 정압 장치(23)의 에어 펌프 즉, 정압 펌프를 시동하고 온수 장치(24)의 물히터를 시동하며; 3. “대변 개시”를 눌러 부압 장치(22)의 진공 펌프(221)를 시동하며; 4. “대변 결속”을 눌러 제1단계에 진입하여 온수 장치(24)의 온수 펌프를 시동하여 몸을 5초 동안 세척하고 제2단계에 진입하여 시스템은 재차 플러쉬? 라고 문의하고 만일 “재차 플러쉬”를 누르면 상기 제1단계로 진입하고 만일 플러쉬할 필요가 없으면 “7초 동안 기다리세요”라고 하고 시스템은 자동적으로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며; 5. 건조 과정은 제1단계에 진입하여 열풍 장치(25)의 열풍 펌프를 시동하여 3분 동안 건조하고 제2단계에 진입하여 시스템은 재차 건조?라고 문의하고 만일 “재차 건조”를 누르면 상기 제1단계에 진입하고 만일 “건조 결속”을 누르면 청소 과정에 진입하며; 6. 배설물 회수 과정, 부압 장치(22)의 진공 펌프(221)를 오프하며; 7. 압력 릴리이프 과정, 순차적으로 압력 릴리이프 밸브를 오픈하고 2초 동안 지연한 후 압력 릴리이프 밸브를 오프하고 악취를 제거하며 마지막에 결속한다.
상기 실시예와 도면은 본 고안의 제품 모양과 양식을 한정하지 않으며 당업자들이 진행한 적당한 변화 혹은 수정은 모두 본 고안의 특허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일종 휠체어형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에 있어서,
    완전 자동 처리기와 유연한 직물로 제조된 적응성 팬티가 설치되여 있는 휠체어를 포함하며;
    상기 완전 자동 처리기는 배설 통로, 배설물 수집 장치, 부압 장치, 정압 장치, 온수 장치, 열풍 장치 및 제어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적응성 팬티는 가랑이에 배설물 수집 구역이 설치되여 있고 상기 배설물 수집 구역 내에는 인체 배설 부위와 대응되는 배설구, 가스 주입 파이프, 온수 출력 파이프 및 열풍 출력 파이프가 설치되여 있으며;
    상기 배설 통로는 입구와 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배설 통로의 입구는 상기 배설물 수집 구역의 상기 배설구와 연결되고 상기 배설 통로의 출구는 상기 배설물 수집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배설물 수집 장치는 상기 부압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정압 장치, 상기 온수 장치 및 상기 열풍 장치는 각각 관로를 통해 상기 배설물 수집 구역 내의 상기 가스 주입 파이프, 상기 온수 출력 파이프 및 상기 열풍 출력 파이프와 대응되게 연결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완전 자동 처리기와 상기 적응성 팬티의 작업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 휠체어형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의 쿠션에는 상기 적응성 팬티 중의 상기 배설구와 대응되는 배설구가 설치되여 있고;
    상기 부압 장치, 상기 정압 장치, 상기 온수 장치와 상기 열풍 장치는 상기 휠체어의 의자 등받이에 설치되여 있으며;
    상기 배설물 수집 장치는 상기 휠체어의 쿠션 하부에 설치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형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중의 상기 배설구에는 개폐할 수 있는 커버가 설치되여 있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커버의 작업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형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
  4. 제1 혹은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설물 수집 장치는 분리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휠체어와 플렉시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형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설물 수집 장치는 배설물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배설물 용기는 밀봉된 중공 챔버를 구비하며 상기 중공 챔버는 격벽을 통해 배설물 수집 챔버와 부압 챔버로 분리되며 상기 격벽에는 상기 배설물 수집 챔버와 상기 부압 챔버를 연통하는 통기홀이 설치되여 있고;
    상기 배설물 용기에는 상기 배설물 수집 챔버 및 상기 부압 챔버와 대응되고 엇갈아 설치된 개구가 설치되여 있으며;
    상기 배설물 수집 챔버의 상기 개구는 상기 배설 통로의 상기 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부압 챔버의 상기 개구는 상기 부압 장치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형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
  6. 제1 혹은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성 팬티의 상기 배설물 수집 구역의 뒤부분의 내표면에 엉덩이 돌기가 설치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형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성 팬티의 상기 배설물 수집 구역의 앞부분의 외부 표면에는 튜브가 설치되여 있고 상기 가스 주입 파이프, 상기 온수 출력 파이프 및 상기 열풍 출력 파이프는 각각 상기 튜브 내에 설치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형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성 팬티의 측변에는 서로 배합되는 페이스트 부품이 설치되여 있고 상기 적응성 팬티의 상기 배설구에는 상기 배설 통로의 입구와 배합되는 퀵 커넥터가 설치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형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성 팬티의 허리선과 튜브 입구에는 각각 공기주입형 씰 링이 설치되여 있고 상기 공기주입형 씰 링에는 관로를 통해 공기주입장치가 연결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형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
  10. 제1 혹은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회전되여 접히는 방식으로 상기 휠체어와 플렉시블 연결되는 휴먼 컴퓨터 인터렉션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형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
KR2020127000034U 2010-06-29 2011-06-24 휠체어형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 KR20047315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102176575A CN101889918A (zh) 2010-06-29 2010-06-29 人体排泄物清理机
CN201010217657.5 2010-06-29
PCT/CN2011/076240 WO2012000403A1 (zh) 2010-06-29 2011-06-24 轮椅式免脱穿粪便自动清理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922U true KR20120005922U (ko) 2012-08-22
KR200473152Y1 KR200473152Y1 (ko) 2014-06-18

Family

ID=4309938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7000033U KR200470974Y1 (ko) 2010-06-29 2011-06-21 일종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
KR2020127000034U KR200473152Y1 (ko) 2010-06-29 2011-06-24 휠체어형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7000033U KR200470974Y1 (ko) 2010-06-29 2011-06-21 일종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120233762A1 (ko)
EP (2) EP2589355A4 (ko)
JP (2) JP3185327U (ko)
KR (2) KR200470974Y1 (ko)
CN (3) CN101889918A (ko)
CA (2) CA2785066A1 (ko)
RU (2) RU130843U1 (ko)
WO (2) WO20120003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7410A2 (en) 2010-04-09 2011-10-13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ystem and apparatus for robotic device and methods of using thereof
CN101856288A (zh) * 2010-05-21 2010-10-13 黄春明 一种能自动辅助行动不便的人实施大小便的自适应内裤
CN102144945B (zh) * 2011-04-29 2013-03-13 黄春明 一种免脱穿粪便自动清理器
CN102178586B (zh) * 2011-04-29 2013-01-09 黄春明 轮椅式免脱穿粪便自动清理机
CN103784242A (zh) * 2012-10-30 2014-05-14 陈杰 一种为用户特定部位清理清洗干燥保暖的智能电器产品
KR102236558B1 (ko) * 2013-05-15 2021-04-27 한메딕스 주식회사 자동 집뇨장치
US20160038356A1 (en) * 2013-05-28 2016-02-11 Jen-Huo Yao Wheel chair with urinal device
US20140352050A1 (en) * 2013-05-28 2014-12-04 Jen-Huo Yao Chair with Urinal Device
US11806266B2 (en) 2014-03-19 2023-11-07 Purewick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ceiving discharged urine
USD744622S1 (en) * 2014-07-24 2015-12-01 Aquabean, LLC Portable bidet
CN104523361A (zh) * 2014-12-31 2015-04-22 虞荣仁 一种用于失禁病人的导便系统
CN104800010A (zh) * 2015-05-12 2015-07-29 上海理工大学 具有自动座便器的电动轮椅
CN105213084B (zh) * 2015-09-09 2017-10-27 杭州扬果科技有限公司 智能接便裤
CN105342766A (zh) * 2015-10-29 2016-02-24 无锡市永亿精密铸造有限公司 一种新型坐厕椅式轮椅
CN105434127B (zh) * 2016-01-09 2018-04-13 乐清市君康智能科技有限公司 人体智能护理仪
CN105662751A (zh) * 2016-01-09 2016-06-15 乐清市君康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人体护理机及其控制系统
CN105662750B (zh) * 2016-01-09 2017-09-05 乐清市君康智能科技有限公司 人体智能护理仪的真空负压远程控制系统
CN105534632B (zh) * 2016-01-27 2017-09-22 厦门客来点信息科技有限公司 排泄自动处理装置
US10973678B2 (en) 2016-07-27 2021-04-13 Purewick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ceiving discharged urine
FR3060294A1 (fr) * 2016-12-16 2018-06-22 Vincent Arnaud Jean Laroche Dispositif de collecte de selles et d'urine pour personne a mobilite reduite
CN106983419A (zh) * 2017-05-09 2017-07-28 山东省国瑞康宁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适用于老年人或瘫痪病人不变换体位的移动式洗浴机
CN107260458A (zh) * 2017-06-23 2017-10-20 深圳市医护宝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大小便护理装置的负压桶装置
CN107386391B (zh) * 2017-07-18 2018-03-30 张丽 自动打包式医用马桶
CN107354980B (zh) * 2017-07-18 2018-06-26 六安同辉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清洁方法
KR20190059511A (ko) 2017-11-23 2019-05-31 유혜민 휠체어
CN110269765B (zh) * 2018-03-18 2021-08-03 王振牛 一种适应久卧不能自理排便失禁方便洗浴的多功能病床
US10821042B1 (en) * 2018-03-27 2020-11-03 Beatrice Williams Patient bed with mattress and integrated bed pan
KR102493455B1 (ko) 2018-05-01 2023-01-31 퓨어윅 코포레이션 유체 수집 장치, 관련 시스템 및 관련 방법
JP7114740B2 (ja) 2018-05-01 2022-08-08 ピュアウィック コーポレイション 流体収集デバイス及びシステム
AU2019262944A1 (en) 2018-05-01 2020-11-26 Purewick Corporation Fluid collection garments
CN108652869B (zh) * 2018-06-04 2024-03-26 桂林市爱威电子设备有限公司 一种具有大小便自动收集功能的护理床
CN110604643B (zh) * 2018-06-16 2022-08-02 苏州欧圣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护理机及其运行方法
CN108703706A (zh) * 2018-07-03 2018-10-26 河北正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洗浴机
CN108938286B (zh) * 2018-09-05 2020-09-22 佳木斯大学 一种用于护理科室的药品手推车
CN109330784B (zh) * 2018-12-12 2020-11-03 北京邮电大学 可全方位运动的电动轮椅装置及运动控制方法
CN110279532B (zh) * 2019-04-26 2020-09-04 温州大学瓯江学院 一种代步方便车及与其配合使用裤子
JP6635456B1 (ja) * 2019-06-28 2020-01-22 株式会社リバティソリューション 自動排泄処理装置及び建物
CN111467145B (zh) * 2020-04-28 2022-11-18 宿州学院 一种用于大小便收集处理的多功能轮椅的智能调节系统
USD967409S1 (en) 2020-07-15 2022-10-18 Purewick Corporation Urine collection apparatus cover
EP4192543A1 (en) * 2020-08-04 2023-06-14 CM Technologies, Inc. Fecal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20220062023A1 (en) * 2020-08-28 2022-03-03 Purewick Corporation Bodily waste collection using periodic pressure
US11801186B2 (en) 2020-09-10 2023-10-31 Purewick Corporation Urine storage container handle and lid accessories
CN116600750A (zh) * 2020-10-07 2023-08-15 普奥维克有限公司 流体传送组件、系统和方法
CA3162613A1 (en) 2021-01-19 2022-07-19 Purewick Corporation Variable fit fluid collec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WO2022177789A1 (en) * 2021-02-18 2022-08-25 Duncan Amy Compression bodysuit retractor for bowel movement
CA3208651A1 (en) * 2021-02-18 2022-08-25 Melissa YOUNG JOYNER Portable fluid collection pad for use with fluid collectio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CN116615162A (zh) 2021-02-26 2023-08-18 普奥维克有限公司 在管口与屏障之间具有储液槽的流体收集装置以及相关系统和方法
CN112939402B (zh) * 2021-02-27 2022-11-25 黄惠 一种农业领域粪便烘干机
US11938054B2 (en) 2021-03-10 2024-03-26 Purewick Corporation Bodily waste and fluid collection with sacral pad
US20220378601A1 (en) * 2021-05-26 2022-12-01 Purewick Corporation Fluid collection system including a cleaning system and methods
EP4358905A1 (en) * 2021-06-24 2024-05-01 Purewick Corporation Urine collection systems having a clean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CN113768722A (zh) * 2021-09-30 2021-12-10 郑波 一种外科病人卧床排泄物收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6941A (en) * 1968-08-06 1971-12-14 Donald D Webb Excretory prosthesis
US3733617A (en) * 1971-07-23 1973-05-22 C Bennett Disposal system for human waste
EP0494488A1 (en) * 1991-01-07 1992-07-15 Kawasaki, Seiji Excrement disposing system
JP3077083B2 (ja) * 1995-05-30 2000-08-14 ナイルス部品株式会社 排泄物処理装置
IT1285953B1 (it) * 1996-06-14 1998-06-26 Desstone Srl Apparecchiatura sanitaria per l'assistenza a persone inferme, in particolare per l'ausilio nell'espletamento di funzioni fisiologiche.
KR19990029230A (ko) * 1998-06-22 1999-04-26 손종은 변기가 부착된 환자용 의자겸용 침대
CN2392522Y (zh) * 1999-08-30 2000-08-23 殷玉树 多功能助残车
DE19956722A1 (de) * 1999-11-25 2001-06-13 Helmut Utz Toiletten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bettlägerige Personen
US6585709B2 (en) * 2000-06-12 2003-07-01 Baltic Trader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patient care and cleaning
US20030181880A1 (en) * 2002-03-22 2003-09-25 Steven Schwartz Self cleaning garment with portable cleaning apparatus suitable for incontinent individuals and the like
US6976278B2 (en) * 2002-09-10 2005-12-20 Martha Oetting Commode for wheelchair
US6733024B1 (en) * 2002-10-29 2004-05-11 Egidio Savegnago Commode convertible wheelchair apparatus
JP2006247326A (ja) * 2005-03-09 2006-09-21 Kiyoshi Kanai 排泄物処理装置
CA2602263A1 (en) * 2005-04-11 2006-10-19 Zhenhua Liu Human waste automatic processor
CN2840969Y (zh) * 2005-09-28 2006-11-29 高永恒 带有座便的轮椅
FR2905593B1 (fr) * 2006-09-13 2009-08-21 Univ Paris Curie Sous-vetement pour personne incontinente et dispositif de traitement associe a un sous-vetement
JP2009090071A (ja) * 2007-10-05 2009-04-30 Kiyoshi Kataoka 洗浄トイレ付き車椅子
CN101627944B (zh) * 2008-07-18 2011-12-21 王建敏 一种带自动接便功能的轮椅
CN201399026Y (zh) * 2009-03-10 2010-02-10 刘旭祥 智能清洁护理机
CN101708144A (zh) * 2009-11-06 2010-05-19 任升峰 患者用便器系统
CN101703430A (zh) * 2009-11-27 2010-05-12 徐双苗 大小便自动护理系统
CN102178586B (zh) * 2011-04-29 2013-01-09 黄春明 轮椅式免脱穿粪便自动清理机
CN102144945B (zh) * 2011-04-29 2013-03-13 黄春明 一种免脱穿粪便自动清理器
CN110170343A (zh) * 2019-05-27 2019-08-27 天津大学 一种油包水微液滴制造系统及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89361A1 (en) 2013-05-08
KR200470974Y1 (ko) 2014-01-22
WO2012000403A1 (zh) 2012-01-05
RU130843U1 (ru) 2013-08-10
KR200473152Y1 (ko) 2014-06-18
CN102389356A (zh) 2012-03-28
US20120233761A1 (en) 2012-09-20
EP2589355A4 (en) 2014-04-16
CA2785066A1 (en) 2012-01-05
US20120233762A1 (en) 2012-09-20
WO2012000394A1 (zh) 2012-01-05
JP3185327U (ja) 2013-08-15
RU130842U1 (ru) 2013-08-10
CA2785068A1 (en) 2012-01-05
EP2589361A4 (en) 2014-04-16
CN102283747A (zh) 2011-12-21
CN101889918A (zh) 2010-11-24
KR20120005365U (ko) 2012-07-24
JP3184354U (ja) 2013-06-27
EP2589355A1 (en)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5922U (ko) 휠체어형 탈착의가 필요없는 분뇨 자동 청소기
JP2016523170A (ja) 自動排便処理装置
JPWO2006046532A1 (ja) 排泄物処理装置
WO2011143972A1 (zh) 大小便完全自动处理系统
KR102047781B1 (ko) 환자용 배변처리기 및 그 이용방법
KR101579889B1 (ko) 자동배변 처리장치의 컵유닛 분사노즐
KR20130028282A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CN106344315A (zh) 一种新型智能大小便护理装置及其包含该装置的护理床
KR101052024B1 (ko) 대소변 배출기
CN102144945B (zh) 一种免脱穿粪便自动清理器
JPWO2005041829A1 (ja) 排泄物処理装置
CN202044389U (zh) 两便自适应内裤
KR20100036663A (ko) 거동불편 환자용 자동 대소변 처리장치
CN202051923U (zh) 轮椅式免脱穿粪便自动清理机的控制装置
CN102178586B (zh) 轮椅式免脱穿粪便自动清理机
JP2000325258A (ja) 介護用便器システム
JP3401482B2 (ja) 身体に装着される排泄物回収装置
KR20080000940A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JPH04288158A (ja) 電子おむつユニット
KR100836783B1 (ko) 환자의 배설물 처리용 팬티
KR20160097531A (ko) 전후이동가능한 연결배관을 구비한 자동배변 처리장치
CN213588744U (zh) 一种免更换的纸尿裤
KR102667579B1 (ko) 착용형 폐기물 제거 및 세정 장치
AU2012101067A4 (en) Automatic wheelchair-type feces cleaner without need of undressing and dressing
CN211213786U (zh) 一种卧式护理床便斗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