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0940A - 자동 배변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배변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0940A
KR20080000940A KR1020060058856A KR20060058856A KR20080000940A KR 20080000940 A KR20080000940 A KR 20080000940A KR 1020060058856 A KR1020060058856 A KR 1020060058856A KR 20060058856 A KR20060058856 A KR 20060058856A KR 20080000940 A KR20080000940 A KR 20080000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bowl
automatic
urine
nozzle
f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8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9524B1 (ko
Inventor
김용하
김두만
도현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산요테크
김용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산요테크, 김용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산요테크
Priority to KR1020060058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9524B1/ko
Publication of KR20080000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61F5/4408Means for securing receptacles or bags to the body otherwise than by adhesives, e.g. belts, strap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3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solid biological material, e.g. tissue samples, cell cultures
    • G01N33/4836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solid biological material, e.g. tissue samples, cell cultures using multielectrode ar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ur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rs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원은 간단하고 쉬운 구조로 환자의 체형 차이에 따라 자동적으로 와변기케이스와 인체의 접합위치를 자동 조절할 수 있어 장시간 착용 시에도 부담을 없게 하는 한편, 정확한 오물배출 및 세정 동작을 실현할 수 있는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원발명은, 인체의 배설부위를 감싸도록 장착되는 와변기케이스를 갖는 자동 대변처리장치에 있어서, 와변기케이스는 둔부를 재치하는 지지플레이트부와 전기 지지플레이트부의 후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들림부를 갖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부는 배설된 대변을 받을 수 있도록 요(凹)부로 형성되는 오물유로와 오물유로 내의 배설물을 와변기케이스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를 가지며, 상기 들림부는 오물유로에 연하여 설치되고 배설된 소변을 받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전면요(凹)부와, 전면요(凹)부보다 선단 측에 위치하여 인체와 와변기케이스와의 위치를 정해 주기 위한 고정수단을 갖고, 상기 고정수단은 인체의 복부와 접하는 당접부와 당접부가 인체의 복부를 향해 밀착시키도록 하기 위한 밀착부재를 갖는 자동 배변처리장치가 개시된다.
와변기, 배설물 세정기, 검지센서, 자동세정기

Description

자동 배변 처리장치{Automatic Excretion Clean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 배설물 자동세정기(K)의 구성도.
도 2는 와변기케이스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와변기케이스의 정면도.
도 4는 와변기케이스의 측 단면도.
도 5는 자동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매입식 자동 고정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는 매입식 자동 고정장치의 눌림부가 돌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매입식 자동 고정장치의 눌림부가 인체 복부를 눌러주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와변기케이스의 내부구조 사시도.
도 10은 둔부세척용 노즐 및 대변용 노즐의 사시도.
도 11은 비데용 노즐구조의 사시도.
도 12는 항문용 노즐구조의 사시도.
도 13은 소변 검지센서를 이용하여 세정수로서 사용 가능한 각종의 물 및 소변에 대해 전류치를 측정한 실험결과.
도 14은 중량 센서의 분해사시도.
도 15는 중량 센서의 구조를 나타낸 확대도.
도 16은 탱크 덮개로부터 호스 연결부를 떼어낸 상태도.
도 17은 탱크 덮개에 호스 연결부를 접속한 상태도.
도 18은 호스 연결부의 상부 구조의 외관 사시도.
도 19는 호스 연결부의 상부 구조의 측면도.
도 20은 탱크 덮개의 확대사시도.
도 21은 자동 대변처리 시 배설물 자동세정기(K)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flow chart).
도 22는 대변 세정공정의 처리 순서를 나타낸 플로차트(flow chart).
도 23은 소변 세정공정의 처리 순서를 나타낸 플로차트(flow chart).
도 24는 건조 공정의 처리 순서를 나타낸 플로차트(flow chart).
도 25는 수동 배변처리 시 배설물 자동세정기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flow chart).
도 26은 마사지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7은 안전벨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8은 복대, 매직테이프, 커버를 이용해 인체와 와변기케이스(A)를 고정하는 방식을 나타낸 사시도.
도 29는 서스펜더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0는 전면 튜브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1은 후면 튜브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2는 전면 튜브 및 후면 튜브를 팽창시키기 위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유로에 대해 설명도.
도 33은 들림부의 내부에 탄성재를 내삽시킨 경우에 선단부가 경사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4는 인체와 와변기케이스(A)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플레이트부와 들림부를 분리한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5는 도 34에 나타낸 측면도.
도 36은 대소변 검지센서의 사시도.
도 37은 센서 유니트의 단면도.
도 38은 자외선 LED 및 포트 트랜지스터로 원수 탱크의 원수의 수위를 검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9는 자외선 LED로 원수 탱크의 원수의 살균처리를 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0은 와변기케이스와 침상용 매트를 병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1은 건조공기용 노즐관의 구조를 나타낸 측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 비데용 노즐관(602)에 배설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2 항문용 노즐관(603)에 배설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3 둔부세정용 노즐관(604)에 배설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4 대변용 노즐관(605)에 배설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1~4 유니트화 한 밸브
5 에어 배출관(414)로 에어 공급관(410b)의 겸용으로 배설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6 외부 에어 공급관(415)로 흡입기관(401c)의 겸용으로 배설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100 지지플레이트부 101 오물 흐름로
102 배출부 103 오물 유입관
104 둔부세정용 노즐 105 대변용 노즐
104, 105, 202, 203 세정 수단 106 발광부
107 수광부 108 수신부
109 전극 핀 110 방수용 씰
111 외관처리 호스 112 환기통
113 전면 요(凹)부
200 들림부 201 건조공기용 노즐관
202 비데용 노즐 203 항문용 노즐
204 마사지기 205 자동 고정장치
300 오물수용탱크 302 중량 센서
303 호스 연결부 304 탱크 덮개
400 흡입 펌프 404 외부 에어공급 필터
414 에어 배출관 407a 1차 악취제거 필터
407b 2차 악취제거 필터 408 감압부
409 밸브 410a 에어 공급관
410b 에어 공급관 410c 에어 공급관
411 역지 밸브 412 T자 파이프
413 압력 스위치 414 에어 배출관 
415 외부 에어공급관
500 원수 탱크 501 온수 탱크
503 솔레노이드 밸브
600 가압 펌프 601 노즐관
602 비데용 노즐관 603 항문용 노즐관
604 둔부세정용 노즐관 605 대변용 노즐관
606 솔레노이드 밸브 유니트 607 필터 어셈블리
A 와변기케이스 B 와변기 프레임
B1 지지 프레임 B2 세로 프레임
C 본체부 D 배설물 수용부
E 세정수 공급부 F 장치 제어부
G 대변 검지센서 H 소변 검지센서
G 검지 수단 I 대소변 검지 센서
K 배설물 자동세정기 s 오물 저장 공간
본 발명은 와병생활의 환자나 노인 등이 잠을 자고 있는 상태이거나 깨어 있는 상태를 포함하여 있는 그대로의 상태에서 일어나거나 앉거나 하지 않고도 타인의 시중 없이 용변을 처리할 수 있는 배설물 자동세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 와병생활의 환자나 노인 등이 누워 있는 상태로 타인의 시중 없이 용변을 실시하고 그 후속처리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와변기 장치는 여러 가지 고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등록특허 제 3077083호는 측면에서 볼 때 L자 모양의 와변기케이스에 대변 센서, 소변센서와 함께 각종 노즐을 갖춘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일본 등록특허 제3749097호에는 측면으로 볼 때 U자 모양의 와변기케이스에 각종 노즐을 갖춘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특허 제 3077083호에 기재된 기술은, 용변하는 경우 환자 등이 와변기케이스의 들림부를 인체 고간으로 협지하여 누르면서 허리부를 지지플레이트부상에 재치(올려두거나 얹힘)하고, 주름상자 조인트에 의해 굴곡 자재로 구성한 들림부에서 인체의 고간으로부터 복부를 가려 압압하는 형식으로 와변기케이스와 인체를 위치 결정하는 구조의 것으로서, 용변 후에는 센서로 감지해 자동적으로 각종 노즐로부 터 세정수를 분출해 국소를 세정하고, 또한 와변기케이스 내부도 세정을 하여 오물을 오물흡입호스로부터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자동적으로 와병생활의 환자의 대변 처리를 실시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특허 제 3749097호에 기재된 기술은, 용변하는 경우 환자 등이 와변기 케이스의 들림부를 인체 고간으로 협지하여 누르면서 허리부를 지지 플레이트부상에 재치하고, 와변키케이스 외측에 형성된 요(凹)부에 벨트를 걸쳐 들림부를 복부에 압압하는 방식으로 와변기케이스와 인체를 위치 결정하는 구조의 것으로, 용변후에는 타이머에 의해 주기적으로 와병생활의 환자의 대변 처리를 실시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 시행된 대변을 처리하기 위한 기술은 환자의 체형 차이에 따라, 특히 복부의 크기 차이에 따라 환자의 보호자 등이 수동으로 주름상자 조인트나 벨트에 의한 사이즈 조정을 실시하여 인체와 와변기케이스의 위치 결정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었으며, 오작동에 의해 복부를 너무 압박하였을 경우 장시간 와변기케이스를 착용하여야 하는 환자에게 고통과 과도한 부담을 안겨줄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간단하고 쉬운 구조로 환자의 체형 차이에 따라 자동적으로 와변기케이스과 인체를 자동 조절하여 결정할 수 있어 장시간 착용 시에도 부담을 없게 하는 한편, 정확한 오물배출 및 세정 동작을 실현할 수 있는 배설물 자동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구성으로서,
본원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인체의 배설부위를 감싸도록 장착되는 와변기케이스를 갖는 자동 대변처리장치에 있어서, 와변기케이스는 둔부를 재치하는 지지플레이트부와 전기 지지플레이트부의 후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들림부를 갖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부는 배설된 대변을 받을 수 있도록 요(凹)부로 형성되는 오물유로와 오물유로 내의 배설물을 와변기케이스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를 가지며,상기 들림부는 오물유로에 연하여 설치되고 배설된 소변을 받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전면요(凹)부와, 전면요(凹)부보다 선단측에 위치하여 인체와 와변기케이스와의 위치를 정해 주기 위한 고정수단을 갖고, 상기 고정수단은 인체의 복부와 접하는 당접부와 당접부가 인체의 복부를 향해 밀착시키도록 하기 위한 밀착부재를 갖는 자동 배변처리장치가 개시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지지플레이트부의 표면부분은 유연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고,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들림부가 유연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고정수단은 들림부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부착부재를 갖고, 부착부재가 와변기케이스에 고정수단을 부착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고,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들림부는 전면요(凹)부보다 선단 측에 위치하여 하부로 개구되는 요(凹)부를 갖고, 상기 고정수단은 전기요(凹)부에 결합하 는 부착부재를 가져, 부착부재가 전기요(凹)부에 결합됨으로 전기 고정수단이 와변기케이스에 부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변처리장치가 개시된다.
이하, 상기 특허청구범위를 갖는 기술사상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도면을 참조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예시하고 본원의 기술사상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걸리는 배설물 자동세정기를 (K)로 표시한 본원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환자에 장착되는 와변기케이스(A)와, 와변기케이스(A) 내부의 배설물 또는 오수를 흡인해 축적하는 본체부 (C)와, 본체부(C)와 와변기케이스(A)를 접속하는 외관 처리 호스(111)를 포함하고 있다. 외관 처리호스(111)의 내부에는 오물을 흡입 반송하기 위한 오물유입관(103)과 세정수를 송수하기 위한 각종 노즐관(602, 603, 604, 605)이 삽입되어 관통되고 있다.
와변기케이스(A) 내의 배설물 및 오수는 본체부(C)의 흡인 기구에 의해 오물 유입관(103)을 통해 본체부(C)에 흡인되어 축적된다.
와변기케이스(A)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와변기케이스(A)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3은 그 정면도이며, 도 4는 그 측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나듯이 와변기케이스(A)는 개괄적으로는 인체의 허리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바 구체적으로는 와변기케이스(A)는 약식으로 지지플레이트부(100)와 그 후단에 들림부(200)를 가지고 전체 형상을 측면으로 볼 때 '⊂' 자형이 되도록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있다.
지지플레이트부(100)는 후부로 향해 점차적으로 가느다란 폭 모양이 되는 형상을 갖고 있다. 들림부(200)는 지지플레이트부(100)의 후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져 그 중도로부터 점차 앞 방향으로 만곡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가 전방으로 들리거나 기울기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환자가 지지플레이트부(100)에 앉은 자세나 누운 상태로 배변 등을 행할 때, 들림부(200)는 전방으로 들려져서 대퇴부로부터 허벅지부에 걸쳐 위쪽에서 감싸는 형태가 된다.
지지플레이트부(100)의 상면은 허리부를 밀착 재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약간 오목부형상으로 하여 그 중앙에 허리부가 재치 시 항문 위치에서 후방으로 향해 배설물을 모아 세정 및 흡인을 시키기 위한 오물유로(101)를 오목하게 하여 요(凹)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 오물유로(101)는 도 3에 나타나 있듯이 요(凹)부를 형성하는 저면(101a) 및 양 측면(101b)이 소정의 곡률을 갖고 횡단면에서 약어 U자 모양이 되도록 매끄러운 곡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들림부(200)에는 오물유로(101)에 연결배설 되어 배설물을 받기 위한 전면요(凹)부(113)를 오목하게 형성하고 있다. 오물유로(101)와 전면요(凹)부(113)와의 주연에는 타원형의 환상을 이루어 허리부와 인체 무릎부에 걸쳐서 밀착시키는 방수용 씰(110)을 마련하고 있다. 방수용 씰(110)은 실리콘 등의 탄력성을 갖는 소재를 사용하여 와변기케이스(A)와 인체와의 사이의 밀착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와변기케이스(A)는 도 4에 나타나 있듯이 오물유로(101)의 끝단으로 또한 들 림부(200)의 하부로 전면요(凹)부(113)보다 배출부(102) 측 오목한 위치에 오물저장공간(s)을 형성하고 이 오물저장공간(s)의 끝단에 배출부(102)가 연결되어 있다. 이 오물저장공간(s)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나 있듯이 오물유로(101)의 끝단과 그 곡률이 일치하도록 매끄럽게 연결 배설되어 배출부(102)를 향해 유로 폭을 서서히 감소시켜 배출부(102)측을 저부로 하는 통 모양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들림부(200)의 하단 양측 테두리는 인체 무릎사이에 협지 가능한 형상으로 만들어 환자가 무릎사이로 들림부(200)를 끼운 상태로 대퇴부를 지지플레이트부(100)의 후부 상면으로 재치하여 걸친 자세로 환자의 항문으로부터 들림부(200)의 하부 배출부(102)에 이르는 공간에 오물저장공간(s)이 형성되게 하고, 오물저장공간 (s)은 오물 유로(101)로부터 전면요(凹)부(113)에 걸쳐 방수용 씰(110)로 폐색 되므로, 인체와의 사이에 완전한 밀폐상태의 공간이 형성된다.
와변기케이스(A)는 인체의 항문 바로 아래의 위치에 오물유로(101)를 마련하고 있으므로 다량의 배설물에 대해서도 충분히 대처 가능한 공간을 확보할 수가 있으며, 또한 와변기케이스(A)는 배출부(102)에 도달하기까지 오물저장공간(s)을 마련하고 있으므로 인체의 각부 또는 와변기케이스(A) 내부를 세정하는 세정공정에 의해 와변기케이스(A) 내의 세정효과를 향상시킬 수가 있으며, 세정공정에 있어서 오물 저장공간(s)의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들림부(200)는 도 5에 나타나 있듯이 그 선단부(200a)에 인체와 와변기케이스(A)를 고정하기 위한 자동고정장치(205)를 착탈 가능하도록 갖추고 있다. 도 2 또는 도 5에 나타나 있듯이 자동고정장치(205)는 자동고정장치(205)를 선단 부((200a))에 체결하기 위한 배설커버(205a)와 인체의 복부를 눌러주어 인체와 와변기케이스(A)를 서로 잡아매는 눌림부(205c)와, 눌림부(205c)에 의한 인체의 밀기정도를 조정하는 스프링(205b)을 갖고 있다. 자동고정장치(205)는 눌림부(205c)에 스프링(205b)을 개입시켜 배설커버(205a)에 감합시키는 방법으로 조립할 수 있다. 자동고정장치(205)는 배설커버(205a)에 구비되어 지는 배설구멍(205d)을 선단부(200a)에 끼워 넣는 방법으로 고정된다. 환자가 와변기케이스(A)를 착용하려면 눌림부(205c)가 스프링(205b)의 탄성력에 근거해 도면 중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며 인체에 눌려지므로 와변기케이스(A)와 인체와의 자동고정이 가능해지며, 눌림부(205c)는 촉감 및 쿠션성이 양호한 소재, 예를 들면 우레탄 등의 소재로부터 제공된다.
자동 고정장치(205) 대신에, 도 6에 나타나 있듯이, 매입식 자동고정장치(209)를 적용하여 인체와 와변기케이스(A)를 고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매입식 자동 고정장치(209)는 선단부 (200a)의 안쪽에서 전면 요(凹)부(113)의 상부에 배설된 배설 요(凹)부(209a)에 배설된다. 매입식 자동고정장치(209)는 매입식 자동고정장치(209)를 배설요(凹)부(209a)에 달기 위한 설치커버(209b)로 인체의 밀기정도를 조정하는 한 벌의 스프링(209c)으로 인체의 복부를 눌러주어 고정하기 위한 눌림부(200d)를 가지고 있다. 매입식 자동고정장치(209)는 눌림부(200d)를 스프링(209c)을 개입시켜 배설커버(209b)에 감합하는 것으로 조립할 수 있어, 배설커버(209b)를 배설요(凹)부(209a)에 접착하는 것으로 고정된다. 환자가 와변기케이스(A)를 착용하려면, 도 7 및 도 8에 나타나 있듯이, 눌림부(200d)가 스프링(209b) 의 탄성력에 근거해 도면 중에 나타내는 화살표의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여 인체에 눌려지므로 와변기케이스(A)와 인체와 자동고정이 가능해진다. 눌림부(200d)는 ABS 수지로부터 완성되어 표면 마무리함으로써 촉감 및 쿠션성의 양호한 소재, 예를 들면, 우레탄 등의 소재를 발포해 성형된다.
와변기케이스(A)의 내부 구조에 대해 상술한다. 도 9는 와변기케이스(A)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상세도인바, 와변기케이스(A)는 도 9에 나타나듯이 약식형상의 테두리부를 갖는 지지 프레임(B1)과 그 후부 구석에 입설한 세로 프레임(B2)로 구성되는 프레임으로서의 와변기프레임(B)을 그 내부에 가진다. 지지 프레임(B1)은 환자의 체중에 의해 와변기케이스(A)가 왜곡하지 않게 소정의 강성을 갖고 있고, 세로 프레임(B2)은 들림부(200)(도 4 참조)의 경사회전에 의해 와변기케이스(A)와 인체와의 밀폐 상태가 무너져 내부의 배설물이나 세정수가 새는 불편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성을 갖고 있다.
와변기프레임(B)에는 인체의 각 부위를 세정하기 위해 세정수를 분사하는 각종 노즐(104, 105, 202, 203)이 각각의 위치에 배치되고 있다. 또한, 와변기프레임(B)에는 오물유로(101) 내에 배출된 대변 등의 오물을 감지해 대변을 본 것을 감지하여 그 후의 전기적 제어기구가 개입되어 각종의 제어작동, 예를 들면 상기 각종 노즐(104, 105, 202, 203)로 부터의 세정수의 분사나 오물의 배출 등의 작동을 이루기 위한 각종 센서(106, 107, 108, 109)가 각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와변기케이스(A)는 와변기프레임(B)에 각종 노즐(104, 105, 202, 203)이나 각종 센서(106, 107, 108, 109), 그 외 자동 대변을 본 후 처리에 필요한 전기부재 등을 배설한 후, 우레탄 등의 케이스 소재를 분출 발포시키는 방법 등으로 커버링 되어 그 외관구성이 형성된다. 덧붙여 와변기케이스(A)에 의해 커버링 된 각종 노즐(104, 105, 202, 203)이나 각종 센서(106, 107, 108, 109) 등은 와변기케이스(A)내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각종 센서류(106, 107, 108, 109)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는 후술 하는 것으로 하고, 우선 각종 노즐(104, 105, 202, 203)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나 있듯이, 와변기케이스(A)는 전면 요(凹)부(113) 저면의 하단부에 배설된 항문용 노즐(203)과 전면요(凹)부(113) 저면의 항문용 노즐(203)보다 위쪽 위치에 배설된 비데용 노즐(202)을 가지고 있다. 또 와변기케이스(A)는 오물유로(101)의 배출부(102)와 반대 측의 단부에 배설된 대변용 노즐(105)과 오물유로(101)의 배출부(102)와 반대 측 단부에 걸리는 대변용 노즐(105)보다 위쪽 위치에 배설된 둔부세정용 노즐(104)을 가지고 있다. 도 1에 나타나 있듯이 각종 노즐(104, 105, 202, 203)에는, 각각 둔부세정 노즐관(604), 대변용 노즐관(605), 비데용 노즐관(602), 항문용 노즐관(603)이 접속되어 있다. 각종 노즐(104, 105, 202, 203)에는, 각각 각 노즐관(604, 602, 603, 605)을 개재시켜 본체부(C)로부터 세정수가 공급되는 구성을 이루고 있다.
도 10에 나타나 있듯이, 둔부세정 노즐(104)은 분사 범위로서 환자의 엉덩이 부분에 부착한 배설물을 세정수에 의해 세정하기 위한 노즐이다. 둔부세정 노즐(104)은 둔부세정용 분사구멍(104 a)을 그 분사 방향이 환자의 둔부를 향하도록 복수로 갖고 있어, 보다 광범위의 세정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둔부의 곡면에 대응해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모양으로 배설되고 있다. 둔부세정용 분사구멍(104 a)은 가장 대변이 부착하는 환자의 둔부 중앙부에 분사되는 세정수의 분사압을 최대화하기 위해서 중앙으로 향해 분사구멍 지름을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둔부세정 노즐(104)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의 유량은 4. 68l/min, 평균 유속은, 0. 012m/s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대변용 노즐(105)은 주로 세정수의 분사 수압에 의해 대변을 세세하게 분쇄하면서 대변을 오물유로(101)로 부터 배출부(102)에 향하여 흘러가게 하는 처리(이하, '대변분쇄처리'라고 한다.)를 행하기 위한 노즐이다. 대변용 노즐(105)은, 둔부용 노즐(104)의 하부 오물유로(101)의 저면 측에 배설되고 있다. 대변용 노즐(105)은, 대변 분쇄용 분사구멍(105a)을 그 분사 방향이 오물유로(101)의 저면으로, 한편 대변이 가장 모이기 쉬운 인체의 항문 직하에 향하도록 복수로 갖고 있다. 대변 분쇄용 분사구멍(105a)은 그 분사범위로서 대변이 가장 모이기 쉬운 개소인 오물유로(101) 중앙으로 향해 분사되는 세정수의 분사압을 최대화하기 위해서, 중앙으로 향해 분사 구멍 지름을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관련구성으로, 오물유로(101) 중앙에 퇴적하는 대변이 가장 먼저 분쇄되어 세정수가 배출부(102)로 향해 흐르는 유로가 확보되게 된다. 따라서 대변용 노즐(105)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하기 시작하는 초기 단계에서 높이 쌓인 대변이 세정수의 흐름을 막아 이로 인해 세정수가 오물유로(101)로부터 흘러넘치는 불편을 방지할 수 있다. 대변용 노즐(105)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의 유량은 4.8l/min, 평균 유속은, 0.013m/s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대변용 노즐(105)은 후술하는 가압펌프(600)에 연통되고, 온수 탱크(501)로부터의 온수를 대변용 노즐(105)로부터 매분 3 L, 수압 1 kgf/㎠ 의 세정수로서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대변용 노즐(105)은 대변 분쇄용 분사구멍(105a)의 위쪽에서, 둔부세정 분사구멍(104a)의 하부에 센서 세정용 구멍(105b)을 마련하고 있다. 센서 세정용 구멍(105b)은 도 4에 나타나 있듯이 그 분사 방향이 배출부(102) 근방에 배설된 후술 하는 적외선 센서의 수광부(107)에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관계구성에 의해, 센서 세정용 구멍(105b)은, 대변 분쇄 처리에 가세하고 대변 분쇄 처리를 끝낸 후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수광부(107)에 세정수를 분사해 그 표면을 세정하여 적외선 센서의 오동작을 막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1에 나타내는 비데용 노즐(202)은, 주된 분사 범위로서 인체의 음부에 묻는 배설물을 세정하기 위한 노즐이며, 남녀의 구별이나 체형의 차이에 상관없이 음부를 세정할 수가 있도록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비데용 노즐(202)은 비데용 분사구멍(202a)을 그 분사 방향이 환자의 음부를 향하도록 복수로 갖고 있다. 비데용 분사구멍(202a)은 둔부세정 노즐(104)의 둔부세정용 분사구멍(104a) 및 대변용 노즐(105)의 대변 분쇄용 분사구멍(105a)과 비교해 구멍 지름을 작게 하고 구멍 수를 많이 구성하고 있다. 관계 구성으로, 광범위의 세정을 하면서 세정수의 분사압을 적당히 억제할 수가 있어, 인체, 그 중에서 특히 섬세한 음부에 대해서 부드럽게 세정이 가능해진다. 비데용 노즐(202)은 와변기케이스(A) 내부에 비산하는 소변의 세정을 실시하기 위해서, 그 측부 전체를 둘러싸도록 복수의 소변 처리 분사구멍(202b)을 갖고 있다. 비데용 노즐(202)로부터 분사되는 세정 수의 유량은 4.68l/min, 평균 유속은, 0.010m/s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나 있듯이, 항문용 노즐(203)은 분사 범위로서 환자의 항문 및 항문 주변에 부착하는 배설물을 세정하기 위한 노즐이며, 그 중앙에 배설된 복수의 항문 중앙 분사구멍(203a)로 항문중앙 분사구멍(203a)의 양측 측면으로 배설된 복수의 항문주변 분사구멍(203b)을 가지고 있다. 항문중앙 분사구멍(203a)은 그 분사 방향이 환자의 항문으로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항문주변 분사구멍(203b)은 그 분사 방향이 항문의 주변으로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항문 중앙 분사구멍(203a)의 구멍 지름은 항문 주변 분사구멍(203b)과 비교해 크고, 한편, 대변 분쇄용 분사구멍(105a) 및 둔부세정용 분사구멍(104a)의 구멍 지름과 거의 동일한 구멍 지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관계구성으로 항문 중앙 분사구멍(203a)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의 분사압을 크게 하여 인체의 항문의 깊게까지 세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항문 주변 분사구멍(203b)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의 분사압을 적당히 억제해 인체 그 중에서 특히 섬세한 항문 주위에 대해서 부드럽게 세정이 가능해진다. 항문용 노즐(203)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의 유량은 4. 8l/min, 평균 유속은, 0. 019m/s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덧붙여, 보다 효과적인 세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대변 분쇄용 분사구멍(105a)나 항문 중앙 분사구멍(203a)에 대해서는 오리피스 구조를 채용해도 좋다. 오리피스구조로 하는 것으로 세정수의 분사 범위를 넓힐 수가 있고 세정수의 수량을 억제하면서 광범위한 인체부위를 세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각종 노즐(104, 105, 202, 203)에는 본체부(C)보다 각종 노즐 관(602, 603, 604, 605)을 개입시켜 세정수 뿐 만 아니라 공기가 공급되는 구성을 이루고 있다. 즉, 세정수에 의해 환자의 각 부위를 세정한 후, 공기를 내뿜는 것으로 건조시키게 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나 있듯이 각종 노즐(104, 105, 202, 203)로부터 와변기케이스(A)내에 공기가 공급될 때에, 이 공기를 와변기케이스(A)내로부터 바깥 공기로 보내기 위해 통기공(112)이 들림부(200)의 소정 개소에 뚫려져 있다.
각종 센서(106, 107, 108, 109)의 구성에 대해 상술한다. 도 4에 나타나 있듯이 와변기케이스(A)에는 오물유로(101) 배출부(102) 와 반대 측의 끝 부분에 적외선 센서의 발광부(106)가 배설되어, 배출부(102)의 전 가장자리 위쪽에는 적외선 센서의 수광부(107)가 배설됨과 동시에, 발광부(106)에 인접해 적외선 센서의 수신부(108)가 배설되고 있다. 이것들 발광부(106), 수광부(107), 및 수신부(108)는, 오물유로(101)에 있어서의 대변을 검지하는 대변 검지 센서(G)로서 기능한다. 와변기케이스(A)에는 그 밖에 오물저장공간(s)저면에 소변을 검지하는 소변검지센서(H)가 배설되고 있다.
대변 검지 센서(G)는 발광부(106)에 의해 발신된 적외선이 대향하는 수광부(107)로 수신되었는지 아닌지에 근거하여 발광부(106)로 수광부(107)의 사이, 즉 오물유로(101)에 대변이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검지하고, 수광부(107)는 적외선 이외의 주위의 빛에 의해 오작동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주위의 빛이 닿기 어려운 배출부(102)의 상부에 배설되어 있다.
여기서, 환자가 와변기케이스(A)를 쿠션성의 높은 침대 상에서 사용하는 경 우에는 환자의 자중에 의해 압박되는 것으로 와변기케이스(A)가 패여, 오물유로(101)에 기울어짐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와변기케이스(A) 내에서의 세정, 배설물의 흡인이 불충분하게 되어 발광부(106)가 오물유로(101)내에 남은 세정 수중에 가라앉아 적외선이 수광부(107)까지 도달하지 않는 상태가 되고 그 결과 대변 검지센서(G)가 대변을 검지했을 경우와 같은 상태가 되므로, 와변기케이스(A)가 오작동을 일으키게 된다.
이에 따른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대변 검지 센서(G)는, 도 10에 나타내듯이 와변기케이스(A)의 기울기를 검지하기 위한 수신부(108)를 발광부(106)의 근방에 갖추고 있다. 수신부(108)는 발광부(106)에 서로 이웃이 되도록 배설되고 있어 발광부(106)로부터 측방에 발신되는 적외선을 검지 가능하나, 발광부(106) 및 수신부(108)기 수몰된 경우에는 적외선을 검지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따라서 대변 검지 센서(G)는 발광부(106)가 오물유로(101) 내에 남은 세정수 중에 가라앉아, 수광부(107) 및 수신부(108)의 모두가 적외선을 수신하지 않는 경우, 와변기케이스(A)에 기울기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검지할 수 있는 구성을 이루게 된다. 대변 검지 센서(G)는 와변기케이스(A)에 기울기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검지했을 경우, 본체부(C)에 배설된 도시하지 않는 표시부에 대해 에러 표시를 나타내고 본체부(C)는 모든 기능을 정지한다. 덧붙여 와변기케이스(A)가 기우는 상황이 발생할 수 없는 경우 등에는 수신부(108)를 마련하지 않고 발광부(106) 및 수광부(107)만으로 대변 검지를 실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듯이 소변 검지 센서(H)는 전후에 서로 이웃이 되도록 배설된 한 벌의 전극 핀(109)을 갖추고 있다. 또한, 전극 핀(109)은 본체부(C)와 도시하지 않는 도전선을 개입시켜 접속되고 있어 본체부(C)로부터 어느 쪽이든 한편의 전극 핀(109)에 미약한 전류를 흘리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소변 검지 센서(H)는 전극 핀(109)간이 걸리는 미약한 전류에 의해 세정수 또는 소변을 도체로서 흐르게 했을 때의 전류치를 검지하는 구성이 되고 있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세정수와 소변과는 염도의 차이가 존재하기 위해서 전기 전도율의 차이가 있어 소변 검지센서(H)가 검지하는 전류치는 세정수와 소변이 다른 값이 된다. 도 13(a)는 소변 검지 센서(H)를 이용하여 세정수로서 사용 가능한 각종의 물에 대해 전류치를 측정한 실험 결과이며, 도 13(b)는 임의로 선택한 피험자(A)~(E)의 소변에 대해 전류치를 측정한 실험 결과이다. 덧붙여 소변센서 수치는 A/D컨버터를 이용해 전압치로 변환한 전류치이다. 또 예를 들면 도 13(b)에 대해 「소변(A)」는 피험자(A)의 뇨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으로부터 분명하게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소변은 물과 비교해 염도가 높고, 이 염도의 차이에 대응해 양자의 뇨 센서 수치에 큰 차이가 있는 것이 확인된다. 따라서, 소변 검지 센서(H)에 의해 전극 핀(109)간의 전류치를 검지하고 예를 들면 소변센서 수치에 대해서 2.0 V의 한계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세정수와 소변을 확실히 판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덧붙여 전극 핀(109)은 부식방지를 위해 표면을 금도금하고 상술한 한편의 전극 핀(109)에 인가전압의 +극과 -극을 교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관계 구성에 의해 어느 쪽이든 한편의 전극 핀(109)만이 산화해 부식하는 것이나 이물질이 부착 하는 것으로 검지 정밀도가 저하하는 불편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환자가 대변을 보거나 또는 배뇨를 하면, 와변기케이스(A)는 대변센서(G) 및/또는 소변 센서(H)에 의해 대변 및/또는 소변을 검지해 그 검출 신호를 본체부(C)로 송신하고, 검출 신호를 수신한 본체부(C)는 각종 노즐관(602, 603, 604, 605)에 세정수를 공급하고 각종 노즐(104, 105, 202, 203)의 각각으로 부터 세정수가 와변기케이스(A)내에 분사된다. 이것에 의해 환자의 둔부, 음부 및 항문이 세정되는 한편, 대변 및/또는 소변이 배출부(102)에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환자의 각 부위와 와변기케이스(A) 내부를 세정하는 세정 공정을 끝낸 후에, 본체부(C)는 각종 노즐관(602, 603, 604, 605) 내부에 잔류하는 세정수를 흡인하여 물기를 없애고 각종 노즐관(602, 603, 604, 605)에 공기를 공급하여 환자의 엉덩이, 음부 및 항문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건조 공정이 실행된다.
본체부(C)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나 있듯이 본체부(C)는 와변기케이스(A)의 오물을 수용하는 배설물 수용부(D)와 와변기케이스(A)로부터의 대변을 보거나 또는 배뇨의 검출 신호를 수신하고 그 후의 세정 동작 등의 각종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 제어부(F)와 와변기케이스(A)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부(E)를 갖고 있다.
배설물 수용부(D)는 오물수용탱크(300)를 갖고 있어 오물수용탱크(300)는 오물 유입관(103)을 개입시켜 와변기케이스(A)의 배출부(102)로 접속되어 있다. 오물 수용 탱크(300)는 그 내부의 오물을 버리려면 본체부(C)로부터 제외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4 또는 도 15에 나타나 있듯이 오물수용탱크(300)의 저부 부근 에는 오물수용탱크(300) 내에 저장된 오물의 중량을 검출하는 중량 센서(302)가 배설되고 있고, 이 중량 센서(302)는 오물수용탱크(300) 내에 소정중량(예를 들면, 8 kg정도의 중량)의 오물이 모이면 교환 시기를 알리기 위한 신호를 장치제어부(F)에 송신해 장치제어부(F)의 소정의 개소에 배설된 도시하지 않는 표시부에 오물수용탱크(300) 내의 오물을 버리는 교환 시기를 알리는 취지가 표시되게 되어 있다.
중량센서(302)는 도 14에 나타내듯이 본체부(C)의 도시하지 않는 케이스에 중량센서(302)가 노출하도록 고정된 고정몸체(302e)상에 포트리플렉터(302e)를 재치하고 그 위로부터 고정 캡(302c)을 씌운 다음 고정몸체(302e)에 스프링(302b)을 삽입해서 센서 커버(302a)로 커버링 시켜 조립할 수 있다. 중량 센서(302)는 오물수용 탱크(300)의 중량에 감응하여 스프링(302b)이 신축하는 것으로 센서 커버(302a)가 고정몸체(302e)에 대해서 상하 움직이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량 센서(302)는 도 15에 나타내듯이 오물수용탱크(300) 저부에 배설된 센서용 요(凹)부(300a)를 센서커버(302a)에 감합시킨 상태로 오물수용탱크(300)가 센서커버(302a)위로 재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센서용 요(凹)부(300a)와 센서커버(302a)를 오물수용탱크(300)가 본체부(C)의 도시하지 않는 케이스 내에 있어 소정의 방향 위치를 차지할 때만 감합하도록 되어 있다.
포트 리플렉터(302d)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가져 수광부가 검지한 빛의 강도에 근거해, 센서커버(302a)의 이면까지의 거리를 검지하고 중량 센서(302)는 포트 리플렉터(302d)가 검지한 센서커버(302a)까지의 거리에 근거해 오물수용탱크(300)의 중량을 검지하게 된다.
도 16 내지 도 17에 나타나 있듯이, 오물수용탱크(300)의 상부 출구에는 오물수용탱크(300)의 밀폐상태를 확보하기 위한 탱크덮개(304)가 나사결합에 의해 착탈 자유롭게 배설되어 있다. 탱크덮개(304)는 후술하듯이 개폐되는 도시하지 않는 타원형의 개구부를 갖고 있다. 탱크 덮개(304)에는 오물수용탱크(300)로 오물유입관(103)을 접속하고, 한편 탱크덮개(304)의 개구부에 연계되어 오물수용탱크(300)의 마개의 역할도 감당하며, 개구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타원상의 호스연결부(303)가 착탈 자유롭게 배설되어 있다. 오물수용탱크(300)와 도시하지 않는 본체부(C)의 케이스, 탱크 덮개(304)의 개구부와 호스 연결부(303)는, 각각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접속에 소정의 방향성을 갖고 있어, 이들의 소정 방향성을 만족시킨 후 접속되지 않으면 이것들이 양호하게 결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것들이 양호하게 결합하지 않는 경우에는 탱크덮개(304)가 오물수용탱크(300)에 대해서 느슨해진 상태가 되는 것 등에 의해 오물수용탱크(300) 내의 밀폐상태가 확보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탱크덮개(304)의 상부에는 호스연결부(303)를 탱크덮개(304)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쇠장식(310)이 배설되어 있다. 고정쇠장식(310)의 양단은 탱크덮개(304)상에서 회동 자유롭게 배설되어 있어 호스연결부(303)를 탱크덮개(304)에 접속한 상태로 고정 쇠장식(310)을 일으켜 호스연결부(303)의 상부를 탱크덮개(304)에 눌러지는 것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호스연결부(303)의 상부에는 도 18에 나타나듯이 케이스(307)가 배설되고, 이 케이스(307)에는 한 벌의 전극 핀(308)이 소정의 간격을 두어 고정 지지를 받고 있다. 전극 핀(308)은 한 벌의 신호선(309)에 접속되고 있어 이 신호선(309)은 본체부(C) 내의 도시하지 않는 제어회로에 접속되고 있어 이 제어회로로부터 신호선(309)의 어느 쪽이든 한편에 전류를 흘리도록 설정되어 있다. 전극 핀(308)은 오물수용탱크(300)에 탱크덮개(304)를 장착하고 탱크덮개(304)에 호스연결부(303)를 장착하고, 고정쇠장식(310)을 일으키는 고정쇠장식(310)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이 상태에서는 전극핀(308) 사이에 고정쇠장식(310)을 개입시켜 전기를 흐르게 하고 이 통전에 의한 전류를 본체부(C) 내의 제어회로가 검지하는 것으로 탱크덮개(304)와 호스연결부(303)와 접속되고 있는 것을 검지한다. 탱크덮개(304)와 호스연결부(303)와의 접속 상황이 나쁘고, 오물수용탱크(300) 내의 밀폐상태가 확보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기재한 통전이 검지되지 않고 본체부(C)는 모든 기능을 정지하고 본체부(C)의 도시하지 않는 표시부에 에러 표시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오물수용탱크(300)가 배설물 수용부(D)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로 본체부(C)가 오동작 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도 16에 나타나 있듯이, 탱크덮개(304)의 오물수용탱크(300) 내부 측에는 한 벌의 내부 뚜껑체(305)를 갖출 수 있고, 이 한 벌의 내부 뚜껑체(305)는 호스 연결부(303)가 탱크덮개(304)로부터 이탈했을 때에 탱크덮개(304)의 개구부를 오물수용탱크(300) 내부 측으로부터 자동적으로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도 16에 나타나듯이 내부 뚜껑체(305)는 스프링(306)에 의해 닫히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힘이 주어지고, 호스 연결부(303)를 떼어낸 상태에서는 내부 뚜껑체(305)는 스프링(306)의 밀어주는 힘에 의해 탱크덮개(304)의 개구부를 오물수용 탱크(300) 내부로부터 닫혀 진다. 한편, 도 17에 나타나듯이 호스 연결부(303)를 탱크덮개(304)에 삽입하여 접속된 상태에서는 내부 뚜껑체(305)는 하부 수직상태로 열린 형태로 되어 있다. 관계구성에 의하면, 본체부(C)로부터 오물수용탱크(300)를 떼어내 안의 오물을 버릴 때, 호스 연결부(303)를 오물수용탱크(300)로부터 떼어내도 탱크덮개(304)의 개구부의 내부 뚜껑체(305)에 의해 자동적으로 닫히게 되므로, 오물수용탱크(300)내의 오물의 냄새나 오물 자체가 외부에 유출되지 않고, 오물수용 탱크(300)를 안전하게 운반할 수가 있다. 오물수용탱크(300)를 소정의 장소까지 옮긴 후 탱크덮개(304)를 떼어내 오물수용탱크(300)의 상부의 출구로부터 오물을 버리게 되도록 한다.
또한, 도 18에 나타나듯이, 호스 연결부(303)에는 오물유입관(103)과 서로 이웃이 되도록 흡입기관(401a)이 접속되고 있다. 도 1에 나타나듯이 오물수용탱크(300)는 흡입기관(401a)을 개입시켜 장치 제어부(F)에 접속되고 있다. 오물수용탱크(300)의 내부는 후술하는 장치제어부(F)에 있어서 흡입펌프(400)의 작동에 의해 흡입기관(401a)을 개입시켜 공기가 흡입되고 부압상태가 형성되어 오물 유입관(103)을 개입시켜 오물을 와변기케이스(A)로부터 흡인할 수가 있게 된다.
세정수 공급부(E)는 도 1에 나타나듯이 세정수로서의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 탱크(500)와 와변기케이스(A)내에 공급하는 세정수를 소정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온수탱크(501)와, 원수 탱크(500)로부터 온수탱크(501)에의 급수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503)를 갖추고 있다. 온수탱크(501)는 원수탱크(500)로부터 솔레노이드 밸브(503)를 개입시켜 공급된 원수를 가열하는 관 히터(502)와, 수위를 감지하 는 수위 센서(505)와, 수온을 감지하는 온도센서(506)를 갖추고 있다.
세정수 공급부(E)는 수위센서(505)로 온수탱크(501) 내의 수위가 급수를 필요로 하는 상태인 것을 검지하면 솔레노이드 밸브(503)를 열어 원수 탱크(500)로부터 온수탱크(501)에 소정량의 원수를 공급하고, 수위센서(505)로 온수탱크(501)내가 원수로 채워져 소정의 수위에 도달한 것을 검지하면 수위 센서(505)의 검지 신호에 근거해 솔레노이드 밸브(503)를 닫아 원수 공급을 차단한다.
세정수 공급부(E)는 온수 탱크(501)내의 원수의 온도를 온도센서(506)로 검지하고, 환자가 도시하지 않는 온도제어회로를 개입시켜 설정한 온도로 유지되도록 관계 원수를 관 히터(502)로 가열해 온수로 한다. 온수탱크(501) 중의 온수를 세정수로 와변기케이스(A) 내에 송수하는 세정공정을 실행하면 환자에게는 항상 적정온도의 세정수가 공급되므로 환자는 양호한 사용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온수탱크(501)의 저부 측면으로 배설된 출구는 송수관(504a)을 개입시켜 장치 제어부(F)에 접속되고 이 송수관(504a)을 개입시켜 온수탱크(501) 내에서 가열된 세정수가 장치 제어부(F)에 공급된다. 덧붙여 솔레노이드 밸브(503)대신에 플로트 밸브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인 동작에 의해 원수탱크(500)로부터 온수탱크(501)에의 원수공급을 조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장치 제어부(F)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설물 수용부(D)와 흡입기관(401a)을 개입시켜 접속되고 있고, 또한 세정수 공급부(E)와 송수관(504a)을 개입시켜 접속된다. 장치 제어부(F)내에 있어 흡입기관(401a)은 밸브로서의 흡기 밸브(409), 감압부로서의 진공 탱크(408), 흡입기관(401b), 1차 악취 제거 필 터(407a), 압력 스위치(413), 흡입기관(401c), 솔레노이드 밸브 6의 NO포트, 솔레노이드 밸브 6의 COM 포트, 흡입기관(401d)을 거쳐 흡입 펌프(400)의 흡기구(402)에 접속되고 있다. 또한, 흡입 펌프(400)의 배기구(405)는 솔레노이드 밸브 5의 COM 포트에 접속되며, 솔레노이드 밸브 5의 NO포트는 에어 배출관(414)을 개입시켜 2차 악취 제거 필터(407b)에 접속되어 있다.
세정 공정에 대하여 살펴보면, 각종 센서(G, H)에 의해 오물을 검지한 후, 와변기케이스(A) 내의 오물에 의한 악취를 제거하는 공정을 수행하는바, 구체적으로는 오물수용탱크(300) 내에는 흡입펌프(400)의 작동에 의해 공기가 흡인되고 부압이 유지되어 와변기케이스(A) 내로부터 오물유입관(103), 오물수용탱크(300), 흡입펌프(400)로 향해 공기가 흐르며, 이 공기는 와변기케이스(A) 내 오물의 악취를 수반하는 공기이지만 오물수용탱크(300)로 흡입 펌프(400)와의 사이에 대비한 1차 악취 제거필터(407a)에 의해 악취가 제거된다. 1차 악취제거필터(407a)에 의해 악취가 제거되는 것과 동시에 부식성이 있는 가스도 제거되므로 흡입펌프(400)의 부식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흡입펌프(400)의 배기구(405)에서 2차 악취제거필터(407b)로 향해 흐른 공기는 2차 악취제거필터(407b)로 더욱 악취를 제거한 후에 외부로 배출된다. 외부에 공기를 배출할 때에, 2차 악취제거필터(407b)를 갖춰 악취의 외부 유출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1차 악취제거필터(407a)만을 갖추었을 때보다 악취제거 효과를 장기에 걸쳐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송수관(504a)은 필터(507), 송수관(504b), 가압펌프(600), 송수 관(504c), T자 파이프(412), 노즐관(601), 각종 솔레노이드 밸브 1, 2, 3, 4, 각종 노즐관(602, 603, 604, 605)을 거쳐, 와변기케이스(A) 내의 각종 노즐(104, 105, 202, 203)에 접속되고 있다. 즉, 세정수 공급부(E)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를 가압 펌프(600)에 의해 가압하는 것으로 세정수를 각종 노즐(104, 105, 202, 203)로부터 와변기케이스(A) 내에 분사할 수 있는 구성이 된다. 필터(507)는, 가압펌프(600)에 이물이 유입하지 않도록 세정수 중에 혼입하는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세정 공정에 대해서는, 와변기케이스(A) 내의 오물에 의한 악취를 제거하는 공정을 실행한 후에, 상술한 대변 분쇄처리가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흡입 펌프(400)를 동작해 와변기케이스(A) 내의 흡인을 유지하면서 솔레노이드 밸브 4를 열어, 가압 펌프(600)를 동작시키는 것으로 대변용 노즐(105) 에 의해 세정수를 분사해 대변 분쇄처리가 수행된다. 대변 분쇄처리에 의해 분쇄된 대변은 세정수와 함께 배출부(102)에 향하여 밀려나 그 일부가 오물유입관(103)을 개입시켜 오물수용탱크(300)내에 흡인, 수용된다.
그러나, 흡입 펌프(400)의 흡인력만으로는 와변기케이스(A) 내의 오물을 오물 수용탱크(300) 내에 완전하게 흡인 수용하는 것은 곤란하므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입 펌프(400)로 오물 수용 탱크(300)와의 사이에 흡입펌프(400)의 흡인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진공탱크(408)를 배치하고 진공 탱크(408) 내에 진공 상태를 형성하는 것으로 보다 강한 부압을 발생시켜 와변기케이스(A) 내의 오물을 효율 좋게 흡인할 수 있는 구성을 이룬다.
구체적으로 흡입펌프(400)를 동작한 상태로 흡기밸브(409)를 닫아 와변기케 이스(A)로부터 오물수용탱크(300)에의 오물의 흡인을 정지하고 흡입펌프(400)의 흡인을 계속 실시하는 것으로 진공탱크(408) 내에 진공 상태를 형성한다. 그 사이, 와변기케이스(A)내에서 대변 분쇄 처리에 의해 세세하게 분쇄된 대변은 세정수의 수압에 의해 오물저장공간(s)로 밀려나지만, 흡기밸브(409)가 닫혀져 있기 때문에 배출부(102)로부터 오물유입관(103)으로 흡인될 것은 없다. 따라서, 오물저장공간(s)에 대해 대변을 포함한 세정수의 흐름이 막혀 대변을 포함한 세정수가 상하에 선회하는 것 같은 소용돌이의 흐름을 일으킨다(이하, '와류현상'이라고 한다.). 와류현상에 의해 대변이 한층 세세하게 분쇄되어 세정수와 충분히 혼합되는 것과 동시에 와변기케이스(A) 내에서 특히 오물이 부착하기 쉬운 배출부(102) 부근이 충분히 세정된다.
그 후, 진공탱크(408)의 내부압력을 흡입펌프(400)로 진공탱크(408)의 사이에 배치된 압력스위치(413)로 검지해, 내부압력이 최대 진공압에 도달하는 순간에, 흡기 밸브(409)를 연다. 이 순간, 진공탱크(408)에 형성된 최대 진공압에 의해, 와류현상으로 세정수와 충분히 혼합된 대변은 배출부(102)로부터 오물유입관(103)을 거쳐 오물수용탱크(300)로 단번에 흡입 수용되게 된다. 덧붙여 장시간의 사용에 의해 진공탱크(408) 내에 수분이 모이기 때문에 진공탱크(408)의 하부에는, 도시하지 않는 마개를 배치하고 이 마개를 뽑는 것으로 진공 탱크(408)내의 배수를 할 수 있는 구조로 하고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세정공정 종료 후에 각종 노즐(104, 105, 202, 203)로부터 공기를 분사해 인체를 건조하는 구성이 되고 있 다. 구체적으로 흡입펌프(400)의 배기구(405)는 솔레노이드 밸브 5의 COM 포트에 접속되며, 솔레노이드 밸브 5의 NC포트는 에어공급관(410b), 역지밸브(411), 에어공급관(410c), T자 파이프(412), 노즐관(601), 각종 솔레노이드 밸브 1, 2, 3, 4, 각종 노즐관(602, 603, 604, 605)을 거쳐 와변기케이스(A)내의 각종 노즐(104, 105, 202, 203)에 접속되고 있다.
한편, 흡입 펌프(400)의 흡기구(402) 측에는, 외부에어공급필터(404)를 갖출 수 있고, 외부 에어공급필터(404)는 외부 에어공급관(415)을 개입시켜 솔레노이드 밸브 6의 NC포토에 접속되며, 솔레노이드 밸브 6의 COM 포토는 흡기구(402)에 접속되고 있다.
건조 공정에 대해서는 솔레노이드 밸브 2, 3, 솔레노이드 밸브 5, 6의 NC포토 및 역지밸브(411)를 연 상태로 흡입펌프(400)를 가동하는 것에 의해 외부 에어공급필터(404)로부터 공기를 끌어들여 걸러준 공기를 건조공기로서 와변기케이스(A)내에 배송한다. 따라서 외부 에어공급필터(404)로부터 받아들여진 공기를 건조공기로서 둔부세정용 노즐(104) 및 항문용 노즐(203)로부터 송출하고 인체 및 와변기케이스(A)내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와변기케이스(A)내에 배송되어진 공기는 환기통(112)로부터 와변기케이스(A) 외부에 배기된다. 또한, 역지밸브(411)는 세정공정 시에는 닫혀져 있으므로 흡입 펌프(400)에 세정수가 역류하지 않는다.
덧붙여 장치 제어부(F)에 대해서, 각종 솔레노이드 밸브 1, 2, 3, 4는 1개로 유니트화 되어 1개의 유입구와 4개의 유출구에서 관로를 형성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유니트(606)를 구성하고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 유니트(606)는 4개의 유출구를 도시하지 않는 제어 회로를 개입시켜 선택적으로 차례차례 개폐 동작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관계되는 구성에 의해 관로 구성을 간소화해 부품 의수를 줄일 수가 있고 또한, 조립성을 향상할 수가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 밸브 5, 6, 외부 에어공급필터(404), 1차 악취제거필터(407a), 2차 악취제거필터(407b), 압력 스위치(413)는 1개로 유니트화 되어 필터 어셈블리(607)를 구성하고 있다. 관계되는 구성에 의해 관로 형성을 간략화하여 부품수를 줄일 수가 있고, 또 조립성을 향상할 수가 있는 것 외에 각종 필터(404, 407a, 407b)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이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 실제로 사용하는 경우의 순서 및 기능의 플로우를 설명한다.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대변, 소변을 각종 센서(G, H)의 검지에 의해 판별해, 각 세정 공정을 자동적으로 실시하는 자동 배변처리 모드와 환자의 조작 지시가 있는 경우에 실시하는 수동 배변처리 모드를 갖고 있다.
도 21은 자동 배변처리 모드 시의 배설물 자동세정기(K)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도 21에 나타나 있듯이,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도시하지 않는 전원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본체의 전원이 투입되면 소변 검지 센서(H)의 검출치에 근거해 오물유로(101)에 소변이 존재하는지 않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a1).
이 판단의 결과 소변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스텝 Sa1:NO) 배설물 자동세정 기(K)는 대변 검지 센서(G)의 검출치에 근거해 오물유로(101)에 대변이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a2). 이 판단의 결과 대변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스텝 Sa2:NO)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재차 소변이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처리 순서를 스텝 Sa1에 되돌린다. 한편 대변이 존재하는 경우(스텝 Sa2:YES), 즉, 오물 유로(101)에 대변만이 존재하는 경우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대변 세정 공정을 실행한다(스텝 Sa4).
또한, 스텝 Sa1에 대해 소변이 존재하는 경우(스텝 Sa1:YES),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오물유로(101)에 대변이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a3). 이 판단의 결과 대변이 존재하는 경우(스텝 Sa3:YES), 즉, 오물 유로(101)에 소변 및 대변이 존재하는 경우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대변을 처리하는 대변 세정 공정을 실행한다(스텝 Sa4).
한편,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대변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스텝 Sa3:NO), 즉, 오물유로(101)에 소변만이 존재하는 경우 소변을 처리하는 소변세정공정을 실행한다(스텝 Sa5).
대변세정공정(스텝 Sa4) 또는 소변세정공정(스텝 Sa5)을 종료 후,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인체 및 와변기케이스(A)내의 건조를 하기 위한 건조 공정을 실행한다(스텝 Sa6).
도 22는 대변세정공정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flow chart)인 바,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초기 상태에 대해 각종 솔레노이드 밸브 1, 2, 3, 4로 솔레노이드 밸브 5, 6의 NC포토와 흡기 밸브(409)와 역지 밸브(411)를 닫고 있다. 또 한,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초기 상태에 대해 솔레노이드 밸브 5, 6의 NO포트를 열고 있다. 도 22에 나타나듯이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우선 흡기 밸브(409)를 열고(스텝 Sb1), 흡입 펌프(400)를 시동(스텝 Sb2)한다. 이것에 의해, 와변기케이스(A) 내부의 대변에 의한 악취 또는 대변의 일부가 오물수용탱크(300)에 흡인된다. 동시에 와변기케이스(A) 내의 악취를 포함한 공기는 오물유입관(103), 오물수용탱크(300), 흡입펌프(400)로 향해 흘러 흡기구(402) 앞의 1차 악취제거필터(407a) 및 배기구(405) 뒤의 2차 악취제거필터(407b)를 거쳐 악취가 제거되고 나서 외부에 방출된다.
계속해서 솔레노이드 밸브 4를 연 후에(스텝 Sb3), 가압 펌프(600)를 소정 시간만 가동한다(스텝 Sb4). 이것에 의해 온수 탱크(501)내의 온수가 대변용 노즐관(605)에 송수되어 대변용 노즐(105)로부터 세정수로서 분사되어 대변 분쇄 처리를 실행한다. 대변 분쇄 처리에 의해 분쇄되어 오물유로(101) 방향으로 밀린 대변은, 오물 저장 공간(s)로 와류현상에 의해 세정수와 충분히 혼합된다(이하, '와류현상에 의한 혼합 동작'이라고 한다).
다음에,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진공 탱크(408) 내를 진공상태로 하기 위해서 흡기밸브(409)를 닫아 진공형성을 개시한다(스텝 Sb5). 압력스위치(413)에 근거하는 내부 압력의 검출치가 최대 진공압(예를 들면, 600 mmHg)에 도달할 때까지 기다린 후(스텝 Sb6:YES)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압력 스위치(413)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근거해 도시하지 않는 제어장치를 개입시켜 가압펌프(600)를 가동해(스텝 Sb7), 흡기밸브(409)를 연다(스텝 Sb8). 이 순간 진공 탱크(408)에 형성된 최대 진 공압에 의해 와류현상에 의한 혼합동작 후의 대변은 배출부(102)로부터 오물 유입관(103)을 개입시켜 오물수용탱크(300)에 단번에 흡입 수용된다(이하, '진공 흡입 동작'이라고 한다).
그리고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가압펌프(600)를 정지하고(스텝 Sb9), 다시 대변검지센서(G)의 검출치에 근거해, 오물유로(101)내에 잔변이 있는가 없는가를 판단한다(스텝 Sb10). 이 판단의 결과, 잔변이 존재하는 경우(스텝 Sb10:YES),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재차 와류현상에 의한 혼합동작 및 진공흡입동작을 반복할 수 있도록 처리순서를 스텝 Sb5에 되돌린다. 그리고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와류현상에 의한 혼합동작 및 진공흡입동작을 대변 검지센서(G)가 대변을 검지하는 것이 없어질 때까지 반복한다.
다음에, 오물유로(101)내에 잔변이 검지되지 않게 되면(스텝 Sb10:NO),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솔레노이드 밸브 4를 닫고(스텝 Sb11), 그 다음에 솔레노이드 밸브 3을 열고(스텝 Sb12), 가압 펌프(600)를 소정의 시간만 가동한다(스텝 Sb13). 이것에 의해 온수 탱크(501)로부터 온수가 둔부세정 노즐관(604)에 송수되어 둔부세정노즐(104)로부터 세정수로서 분사되어 환자의 엉덩이 부근에 부착한 대변을 세정한다(이하, '둔부의 세정 동작'이라고 한다).
다음에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솔레노이드 밸브 3을 닫고(스텝 Sb14), 그 다음에 솔레노이드 밸브 2를 열고(스텝 Sb15), 가압펌프(600)를 소정의 시간만 가동한다(스텝 Sb16). 이것에 의해 온수탱크(501)로부터 온수가 항문용 노즐관(603)에 송수되어 항문용 노즐(203)로부터 세정수로 분사되어 환자의 항문 부근에 부착 한 대변을 세정한다(이하, '항문의 세정 동작'이라고 한다). 게다가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엉덩이의 세정동작 및 항문의 세정동작을 세정회수가 3회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한다(스텝 Sb18:YES). 이것에 의해 환자의 엉덩이 및 항문 부근의 세정을 완벽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세정회수가 3회에 도달하면(스텝 Sb18:NO),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솔레노이드 밸브 1을 열고(스텝 Sb19), 가압펌프(600)를 소정 시간만 가동한다(스텝 Sb20). 이것에 의해 온수탱크(501)로부터 온수가 비데용 노즐관(602)에 송수 되어 비데용 노즐(202)로부터 세정수로서 분사되어 환자의 음부 부근에 부착한 대변을 세정한다(이하, '비데의 세정 동작'이라고 한다).).
다음에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솔레노이드 밸브 1을 닫고(스텝 Sb21), 흡입 펌프(400)를 정지하고(스텝 Sb22), 그 다음에 각종 솔레노이드 밸브 1, 2, 3, 4, 솔레노이드 밸브 5, 6의 NC포트 및 역지 밸브(411)를 열고(스텝 Sb23), 흡입 펌프(400)를 소정의 시간만 가동한다(스텝 Sb24). 이것에 의해 후술의 건조공정(스텝 Sa6)이 진행되기 전에 흡입 펌프(400)를 가동하여 비데용 노즐관(602), 항문용 노즐관(603), 둔부용 노즐관 (604), 대변용 노즐관(605)의 각 노즐 관내에 외부 에어공급필터(404)로부터 수중에 넣은 공기를 송풍시켜 수분을 제거한다(이하, 노즐 관내의 수분 제거 동작이라고 한다).
그리고,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각종 솔레노이드 밸브 1, 2, 3, 4, 솔레노이드 밸브 5, 6의 NC포트 및 역지 밸브(411)를 닫고(스텝 Sb25), 대변 세정 공정을 종료한다.
도 23은 소변 세정공정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도 23에 나타나 있듯이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우선 흡기 밸브(409)를 열어(스텝 Sc1) 흡입펌프(400)를 시동하고(스텝 Sc2) 그 다음에 솔레노이드 밸브 1, 3을 연 후(스텝 Sc3) 가압펌프(600)를 소정 시간만 가동한다(스텝 Sc4). 이것에 의해, 소변이 오물수용탱크(300)에 흡인됨과 동시에 엉덩이의 세정동작 및 비데의 세정동작이 실행된다.
다음에,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솔레노이드 밸브 1, 3을 닫고(스텝 Sc5), 솔레노이드 밸브 4를 열고(스텝 Sc6), 그 다음에 흡기 밸브(409)를 닫은 후(스텝 Sc7), 흡입 펌프(400)를 가동한다(스텝 Sc8). 이것에 의해, 진공 탱크(408)내의 진공 형성을 개시한다.
그리고, 소정 시간 경과 후에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가압 펌프(600)를 가동하여, 원수탱크(500)중의 온수탱크(501)로부터 송수된 온수를 대변용 노즐관(605)을 개입시켜 대변용 노즐(105)로부터 세정수로 분사하고, 소변을 오물유로(101) 방향으로 밀어 낸다(스텝 Sc9). 그리고, 거의 동시에 흡기밸브(409)를 연다(스텝 Sc10). 이 순간 진공탱크(408)에 형성된 최대진공압에 의해 소변은 배출부(102)로부터 오물 유입관(103)을 개입시켜 오물수용탱크(300)에 단번에 흡입 수용된다.
그 후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가압펌프(600)를 정지하고(스텝 Sc11), 그 다음에 흡입펌프(400)를 정지한 후(스텝 Sc12), 솔레노이드 밸브 4를 닫고(스텝 Sc13), 흡기밸브(409)를 폐쇄한 후(스텝 Sc14) 소변 세정공정을 종료한다.
덧붙여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상술의 대변 세정공정 및 소변 세정공정에 대해 1차 악취제거필터(407a), 및 2차 악취제거필터(407b)를 개입시켜 오물수용탱크(300)에 흡입 수용되는 오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가 가급적으로 흡입펌프(400) 외에 배출되지 않게 하고 있다.
도 24는 건조공정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도 24에 나타나 있듯이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우선 솔레노이드 밸브 4를 열고(스텝 Sd1), 그 다음에 흡기밸브(409)를 닫은 후(스텝 Sd2), 흡입펌프(400)를 가동하고, 진공 탱크(408)내의 진공형성을 개시한다(스텝 Sd3). 그리고 소정시간 경과 후에,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가압펌프(600)를 가동해, 원수탱크(500) 중의 온수탱크(501)로부터 송수된 온수를 대변용 노즐관(605)에 개입시켜 대변용 노즐(105)로부터 분사한다(스텝 Sd4).
관련되는 분사는 대변용 노즐관(605)로부터 대변용 노즐(105)의 사이에 세정수를 충전하고 다음번의 세정 공정 시에 대변용 노즐(105)로부터 즉석에서 세정수를 분사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동작(이하, '충전 동작'이라고 한다. )이다.
다음에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흡기밸브(409)를 열고(스텝 Sd5), 그 순간에 진공탱크(408)에 형성된 최대진공압에 의해, 충전 동작에 의해 분사된 온수는 배출부(102)로부터 오물 유입관(103)을 개입시켜 오물수용탱크(300)에 단번에 흡입 수용된다.
다음에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가압펌프(600)를 정지하고(스텝 Sd6), 그 다 음에 흡입펌프(400)를 정지한 후에(스텝 Sd7), 솔레노이드 밸브 4를 닫는다(스텝 Sd8). 그 후 흡기 밸브(409)를 닫고(스텝 Sd9), 그 다음에 솔레노이드 밸브 2, 3, 솔레노이드 밸브 5, 6의 NC포트 및 역지 밸브(411)를 연 후(스텝 Sd10), 흡입 펌프(400)를 가동한다(스텝 Sd11). 흡입 펌프(400)를 소정 시간만 가동하고 솔레노이드 밸브 2, 3, 5, 6과 NC포트 및 역지밸브(411)를 모두 폐쇄(스텝 Sd12)하여 건조 공정을 종료한다. 이것에 의해 외부 에어공급필터(404)로부터 받아들여진 공기를 건조공기로서 둔부용 노즐(104) 및 항문용 노즐(203)로부터 배송하고 인체 및 와변기케이스(A)내의 건조를 실시한다.
그리고 도 21에 나타나 있듯이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일련의 처리에 의해 인체 및 와변기케이스(A)내의 세정공정(스텝 Sa2 또는 스텝 Sa3) 및 건조공정(스텝 Sa6)을 종료하면 재차 대변 및 소변의 검지를 실행하기 위하여 처리 순서를 스텝 Sa1에 되돌린다.
그런데 상술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의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동작 모드로서 자동 대변처리 모드 외에 환자의 조작 지시가 있었을 경우에 실시하는 수동 대변처리 모드를 갖는다. 이 수동 대변처리 모드에 대해서는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대변 검지센서 및 소변 검지센서에 의한 센싱을 실시하지 않고, 환자가 대변 세정 공정 및 소변 세정공정의 어느 쪽이든 한편을 행하기 위한 조작 지시를 받아들였을 경우에 대변 처리를 실행한다. 덧붙여 환자는 배설물 자동세정기(K)의 소정의 장소에 배치된 조작 패널이나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해 조작지시를 실시한다. 이하 이 수동 대변처리 모드 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5는 수동 대변처리 모드 시의 배설물 자동세정기(K)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도 25에 나타나 있듯이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소변 세정지시가 있었을 경우에는(스텝 Sf1:YES), 상술한 자동 대변처리 모드의 소변 세정공정과 같은 순서에서 소변 세정공정을 실행한다(스텝 Sf4). 또 소변 세정 지시가 없고(스텝 Sf1:NO), 대변 세정지시가 있었을 경우에는(스텝 Sf2:YES), 상술한 자동 대변처리 모드의 대변 세정공정과 같은 순서에서 대변 세정공정을 실행한다(스텝 Sf3). 한편 소변 세정지시가 없고(스텝 Sf1:NO), 대변 세정 지시도 없는 경우에는(스텝 Sf1:NO), 지시가 있을 때까지 대기한다.
그리고, 대변 세정공정(스텝 Sf3) 또는 소변 세정공정(스텝 Sf4)을 종료 후, 배설물 자동세정기(K)는 와변기케이스(A)내의 건조를 하기 위해서 상술한 자동 대변처리 모드의 건조공정과 같은 순서에서 건조공정을 실행하고(스텝 Sf5), 수동 대변처리 모드를 종료한다.
이상, 본 발명 실시형태의 몇 개를 도면에 근거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것들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발명에 명시된 기재의 모양을 근거로 해서 당업자의 지식에 근거해 여러 가지의 변형, 개량을 베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면, 도 26에 나타나 있듯이 자동 고정장치(205)의 눌림부(205c)의 표면에 인체의 복부를 마사지하기 위한 마사지기(204)를 배치해도 좋다. 마사지기(204)는 표면을 실리콘 패드로 형성하고 저주파 출력에 의해 장(腸)에 자극을 줘 대변을 재촉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도시하지 않는 저주파 발생기로부터 유도되 는 플레이트상의 치료유도자로 이루어지는 마사지기(204)를 눌림부(205c)의 표면에 붙이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마사지기(204)로 인체 복부를 마사지 하는 것으로써, 장이 자극되고 대변을 봄을 재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자동 고정장치(205) 대신에 도 27에 나타내는 안전벨트(206)를 적용하여 인체와 와변기케이스(A)를 고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각 안전벨트(206)는 그 일단을 지지플레이트부(100)의 양 측면에 장착시켜 인체의 요부를 양측으로부터 둘러싸도록 장착되어 그 외단이 들림부(200)의 전면에서 버클(206a)로 고정된다. 버클(206a)은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안전벨트(206)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자동 고정장치(205) 대신에 도 28에 나타내는 복대(207), 매직테이프(207a, 207b), 커버(207c)를 이용하여, 인체와 와변기케이스(A)를 고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커버(207c)는 인체 복부 측 및 요부 측에 매직테이프(207a, 207b)를 갖고 와변기케이스(A)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복대(207)를 허리좌석부에 장착한 상태로 와변기케이스(A)를 장착하고, 매직테이프(207a, 207b)로 복대(207)를 고정하는 것으로 인체와 와변기케이스(A)가 고정된다.
또한, 자동 고정장치(205) 대신에 도 29에 나타나 있듯이 서스펜더(208)를 적용하여 인체와 와변기케이스(A)를 고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서스펜더(208)는 그 양단에 열린 형상의 훅(208a, 208b)을 갖추어 선단부 (200a)의 외측에 배설된 고정부(208c)와 지지플레이트부(100)의 외측에 배설된 고정부(208c)와 같은 형상의 도시하지 않는 고정부와 훅(208a, 208b)을 각각 걸어두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 다. 환자가 와변기케이스(A)를 장착할 때는 우선 와변기케이스(A)를 신체에 착용하고 양견부에 서스펜더(208)를 건 후에 고정부(208c)와 고정부(208d)와 훅(208a, 208b)을 각각 걸어두기 하는 것으로 인체와 와변기케이스(A)가 고정된다.
또한, 자동 고정 장치(205) 대신에 도 30 및 도 31에 나타나 있듯이 중공형상의 튜브인 전면튜브(210) 및 후면튜브(211)를 적용하여 인체와 와변기케이스(A)를 고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전면튜브(210)는 인체의 복부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선단부 (200a)의 안쪽에 전면 요(凹)부(113)의 상부에 배설되고, 후면튜브(211)는 인체의 허리좌석부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플레이트부(100)의 안쪽 표면에 배설된다.
전면튜브(210)는 한편의 측면으로 배설된 공기압입구(210a)와 공기압 입구(210a)의 반대측 측면으로 배설된 공기배출구(210b)를 갖추고 있어 후면튜브(211)와 같은 모양으로 공기압입구(211a)와 공기배출구(211b)를 갖추고 있다. 또 공기압입구(210a 및 211a)는 도 32에 나타나듯이 솔레노이드 밸브 유니트(606)에 증설된 솔레노이드 밸브 7, 8에 각각 접속되고 있다.
관계되는 구성 하에서 솔레노이드 밸브 5, 6의 각각의 NC포트, 역지 밸브(411), 솔레노이드 밸브 7, 8을 연 상태로 흡입펌프(400)를 가동하는 것으로 외부 에어공급필터(404)로부터 공기를 받는다. 관계되는 공기는 솔레노이드 밸브 7, 8을 개입시켜 각각 공기압 입구(210a, 211a)에 공급되고 전면튜브(210) 및 후면튜브(211)가 팽창한다. 따라서 팽창한 전면튜브(210) 및 후면 튜브(211)가 각각 복부와 요부에 밀착되어 인체와 와변기케이스(A)와의 고정이 가능해진다.
인체로부터 와변기케이스(A)를 떼어내려면 공기 배출구(210b, 211b)에 장착된 도시하지 않는 밸브를 개방해 배기하고, 전면튜브(210) 및 후면밸브(211)를 수축시킨다. 덧붙여 전면튜브(210) 또는 후면튜브(211) 중 어느 쪽이든 한편만을 배설하여 인체와 와변기케이스(A)와의 고정을 실시하는 구조로 해도 좋다.
또한, 도 33에 나타나 있듯이 와변기케이스(A)에 자동고정장치(205)를 장착하지 않고, 들림부(200)의 내부에 도시하지 않는 탄성재를 안에 삽입하여 선단부 (200a)가 미리 내측으로 굽어 있도록 구성해도 좋다. 관계 구성에 의해 환자가 와변기케이스(A)를 착용하려면 선단부 (200a)를 Z방향으로 열면 들림부(200) 내의 도시하지 않는 탄성재의 탄성력에 의해 선단부 (200a)가 복부를 눌러주어 인체와 와변기케이스(A)와의 고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34 및 도 35에 나타나듯이 와변기케이스(A)는 지지플레이트부(100)와 들림부(200)를 분리시킨 구성의 것이나, 인체와 와변기케이스(A)를 고정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와변기케이스(A)는 지지플레이트부(100)와 지지플레이트부(100)의 후단에 배설된 경첩부(120)와 경첩부(120) 회전에 의해 회동이 자유자재 되도록 배설된 들림부(200)를 갖고 있다.
경첩부(120)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는 나사 체결부를 갖출 수 있어 경첩부(120)를 오른쪽 나사 방향으로 돌리는 것으로 들림부(200)의 위치의 고정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지플레이트부(100)에 배설된 오물유로(101)는 들림부(200)의 전면요(凹)부(113)로 분리되어 있어, 오물유로(101)는 대변을 처리하고 전면 요(凹)부(113)는 소변을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면요(凹)부(113)의 소 정의 개소에는 소변을 배출하는 소변 배출용 호스(121)가 접속되어 이 소변 배출용 호스(121)는 오물유로(101)로 소정의 개소에 접속되고 있다.
관계 구성 하에서 환자가 와변기케이스(A)를 착용하려면, 경첩부(120)를 느슨하게 하고 나서 지지플레이트부(100)에 허리좌석부를 재치한 상태로 들림부(200)를 경첩부(120) 주위로 회동시켜 복부와 밀착시킨 후, 경첩부(120)를 오른쪽 나사 방향으로 돌려 고정하는 것으로 인체와 와변기케이스(A)와의 고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대변 검지 센서(G) 소변 검지 센서(H)로 각각 대변 소변을 검지하도록 구성하는 대신에 도 36에 나타나 있듯이 대변과 소변의 검지를 동시에 실행 할 수 있는 대소변 검지 센서(I)를 채용해도 좋다. 도 36은 대소변 검지 센서(I)의 개략도이다. 대소변 검지 센서(I)는 한 벌의 센서유니트(114)를 갖고, 센서 유니트(114)는 소정의 간격을 두어 절연체(119)에 의해 고정 지지를 받고 있다.
각 센서 유니트(114)는 도 37에 나타나 있듯이 한 벌의 리드 선(118)을 갖는 온도센서(116)와 온도센서(116)의 외부 주위를 감싸는 도전체(115)를 갖고, 도전체(115)는 한 개의 리드 선(117)을 갖고 있다. 온도 센서(116)로서는 예를 들면 서미스터 등이 이용되고 도전체(115)로서는 예를 들면 도전성 페인트, 탄소고무, 스텐레스 등이 이용된다. 도전체(115)는 온도센서(116)의 측정 정밀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정도의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 리드선(118)과 리드선(117)과는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대소변 검지센서(I)는 도 32에 나타나 있듯이 두 벌의 리드선(118)과 한 벌의 리드선(117)을 갖고 있다.
리드 선(118)은 도시하지 않는 본체부(C)와 접속되고 있어 본체부(C)로부터 전류를 흘리도록 설정되어 있다. 온도센서(116)의 저항값은 온도 변화에 수반해 변동하므로 본체부(C)는 온도센서(116)의 저항값의 변화에 수반하는 전류치의 변화에 근거해 온도를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리드선(117)은 각각 도시하지 않는 본체부(C)와 접속되고 있어 본체부(C)로부터 어느 쪽이든 한편에만 전류를 흘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대소변 검지센서(I)는 도전체(115)의 사이가 세정수 또는 소변에 의해 흐르게 했을 때의 전류치에 근거해 수분을 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세정수와 소변과의 구별은 상술한 소변 검지센서(H)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 한다.
관계 구성에서 대소변 검지 센서(I)는 온도센서(116)가 온도를 검지하고, 한편 도전체(115)가 수분을 검지했을 경우 소변이 검지 된 취지의 검출신호를 도시하지 않는 본체부(C)에 송신한다. 한편 대소변 검지센서(I)는 온도센서(116) 만이 반응하여 온도를 검지했을 경우 대변이 검지된 취지의 검출신호를 도시하지 않는 본체부(C)에 송신한다.
대소변 검지센서(I)는 와변기케이스(A)내에 있어 도 4에 나타나는 상술한 소변 검지센서(H)와 같은 위치에 배설된다. 따라서 대소변 검지센서(I)는, 대변과 소변을 확실히 구별하고 판단할 수가 있으므로 대변센서(G)와 소변센서(H)를 병용 할 필요가 없어 조립성을 향상할 수가 있고 또 전기 배선을 간소화 할 수가 있다.
도 38 및 도 39에 나타나 있듯이 원수탱크(500) 내에서는 원수(W)의 수위 센싱과 함께 살균처리를 실시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도 38 및 도 39는 원수탱크(500)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원수탱크(500)는 그 내벽면 상부의 소정 개소에 배설된 자외선 LED(508)과 자외선 LED(508)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설된 포트트랜지스터(509)를 갖추고 있다. 또한, 원수탱크(500)의 상부에는 원수(W)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500a)를 갖출 수 있어 원수탱크(500) 하부에는 출수구(500b)가 갖춰져 있다. 주입구(500a)는 도시하지 않는 전자 밸브를 개입시켜 수도의 수도꼭지에 접속되고 있어 포트트랜지스터(509)에 검지에 감응하여 전자밸브의 개폐를 실시하는 것으로 수도로부터의 주수가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출수구(500b)는 도 1에 나타낸 솔레노이드 밸브(503)로 접속되고 있다.
원수탱크(500)는 자외선 LED(508)로부터 소정 시간간격으로 자외선(UV)을 발신하여 대향하는 포트트랜지스터(509)로 자외선(UV)을 수신하는 것으로 수위를 체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8에 나타나 있듯이 원수탱크(500) 내의 원수(W)가 소정의 수위에 못 미치는 경우 포트트랜지스터(509)는 수신한 자외선(UV)에 근거하는 소정의 전압치(예를 들면 4.1 V이상)를 검지하고 이 상태에 대해 전자 밸브가 열려 원수 탱크(500)내에 주입구(500a)로부터 원수(W)가 공급된다. 원수탱크(500) 내의 원수(W)가 소정의 수위에 도달했을 경우 도 39에 나타나듯이 자외선 LED(508)와 자외선(UV)은 원수(W)중에서 난 반사하므로 포트트랜지스터(509)가 검지하는 전압치가 감소한다(예를 들면, 3.4 V이하). 원수탱크(500)내의 원수가 소정의 수위에 도달했을 경우 상술의 전압치의 변화에 근거해 원수(W)의 공급을 정지함과 동시에 자외선 LED(508)로부터 연속적으로 자외선(UV)을 발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원수(W)의 살균 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도 40에 나타나듯이 와변기케이스(A)의 사용 시에 와변기케이스(A)와 세트를 이룬 침상용 매트(11)를 이용해도 좋다. 침상용 매트(11)는 와변기케이 스(A)를 장시간 착용할 때의 허리의 피로를 막기 위한 것으로 환자가 좌석부를 지지플레이트부(100)상에 재치하여 모로 누웠을 때에 환자의 요부보다 상반신 측을 지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침상용 매트 (11)는 지지플레이트부(100)와 거의 동일한 두께를 가져 측면으로 지지플레이트부(100)의 표면형상에 따라 형성된 요(凹)부(11a)와 요(凹)부(11a)가 형성된 옆의 단부에 대해 요(凹)부(11a)의 양측으로, 그 각 단부와 고정되는 벨트(11b)를 갖추고 있다. 침상용 매트(11)는 요(凹)부(11a)에 지지플레이트부(100)를 감합시킨 다음 벨트(11b)를 들림부(200)의 배면 측에 거는 방식으로 와변기케이스(A)에 고정될 수 있다.
침상용 매트(11)의 재질은 환자의 허리부에 의해 상반신의 부담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기 위해서 저 반발성의 소재 예를 들면 라텍스 등이 이용된다. 침상용 매트(11)의 표면의 소정 개소에는 도시하지 않는 환기용 구멍이 수 개소 뚫어지고 있어 환기성을 향상시켜 습진, 욕창 등의 각종피부 트러블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와변기케이스(A)와 인체가 접촉하는 부분의 촉감 및 흡습성을 향상하기 위해서 와변기케이스(A)의 외부 표면을 섬유재로 만든 커버로 피복해도 좋다.
상술의 본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외부 에어공급 필터(404)로부터 끌어들인 상온의 공기를 건조공기로 하여 각종 노즐(104, 105, 202, 203)로 분사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가열된 공기를 분사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각종 노즐관(602, 603, 604, 605)에 도시하지 않는 일정한 온도 히터를 밀착시켜 일정한 온도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각종 노즐(104, 105, 202, 203)로 분사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추가하여 가열된 건조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유로를 별도 구성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와변기케이스(A)는 도 41에 나타나듯이 가열된 건조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건조공기용 노즐관(201)을 갖춘 구성이라고 해도 좋다. 건조공기용 노즐관(201)의 한편의 단부는 환기통(112)에 접속되어 있고 한편의 단부는 외관 처리호스(111) 내에 삽통하고 있다. 또 외관 처리호스(111)는 도시하지 않는 관 히터부 유로를 개입시켜 흡입 펌프(400)(도 1 참조)의 배기구(405)에 접속되고 있다. 흡입펌프(40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는 도시하지 않는 관 히터부 유로를 개입시켜 가열된 후 외관 처리호스(111), 건조공기용 노즐관(201)을 거쳐 환기통(112)로부터 와변기케이스(A)내에 건조공기로서 송풍 된다. 건조공기로서 송풍 된 공기는 와변기케이스(A)의 임의의 개소에 배설된 환기통(122)에 의해 바깥 공기로 방출된다. 관계 구성에 의해 와변기케이스(A)내에 가열된 건조공기를 송풍 할 수가 있으므로 와변기케이스(A)내의 건조 효과를 향상할 수가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원발명의 효과는 각 청구항을 가짐으로 인한 효과를 기술하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으로 판단되어 각 청구항에 따른 효과를 기재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청구항 1에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본원의 자동 배변처리장치의 와변기케이스는 둔부를 재치하는 지지플레이트부와 전기 지지플레이트부의 후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들림부를 갖고, 지지플레이트부는 배설된 대변을 받을 수 있도록 요(凹)부 로 형성되는 오물유로와 오물유로 내의 배설물을 와변기케이스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를 갖고, 들림부는 오물유로에 연하여 설치되고 배설된 소변을 받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전면요(凹)부와, 전면요(凹)부보다 선단측에 위치하여 인체와 와변기케이스와의 위치를 정해 주기 위한 고정수단을 가지며, 고정수단은 인체의 복부와 접하는 당접부와 당접부가 인체의 복부를 향해 밀착시키도록 하기 위한 밀착부재를 갖게 됨으로 환자가 와변기케이싱을 착용하려면 , 당접부를 밀착부재에 의해 인체에 자동적으로 압압 됨으로 인체의 체형차이에 상관없이 와변기케이싱과 인체와의 자동 고정이 가능하고 와변기 케이싱과 인체와의 이탈을 방지할 수가 있다.
청구항 2에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지지플레이트부의 적어도 표면부분 만이라도 유연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함으로, 좌석부를 재치할 때에 요부에의 부담이 경감되어 환자가 와변기케이싱을 장기간 착용하는 경우에서도 피로를 억제할 수가 있다.
청구항 3에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들림부가 유연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시킴으로, 들림부의 상부가, 전방으로 경사각을 자유롭게 하여 들림부를 전방으로 기울이고 대퇴부로부터 엉덩이부에 걸쳐 윗쪽에서 감사는 상태로 고정 수단에 의해 인체와 와변기케이싱과의 자리 잡음을 양호하게 실시할 수가 있어 환자가 지지 플레이트부에 앉은 자세나 누운 상태로 대변을 봄 등을 실시할 때를 포함한 어떠한 경우에서도 와변기케이싱과 인체와의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를 한층 향상할 수가 있다.
청구항 4에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고정수단은 들림부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부착부재를 갖고, 부착부재가 와변기케이스에 고정수단을 부착시키도록 구성됨으로, 고정수단과 와변기케이싱이 용이하게 착탈이 자유롭게 되고, 조립성, 유지관리를 편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들림부는 전면요(凹)부보다 선단 측에 위치하여 하부로 개구되는 요(凹)부를 갖고, 상기 고정수단은 전기요(凹)부에 결합하는 부착부재를 가져, 부착부재가 전기요(凹)부에 결합됨으로 고정수단이 와변기케이스에 부착되므로, 와변기케이싱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가 있고 또, 인체 고정 시에 당접부가 요(凹)부에 가까워지도록 변위됨으로 고정수단이 쉽게 보이지 않게 되어 와변기케이싱의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인체의 배설부위를 감싸도록 장착되는 와변기케이스를 갖는 자동 대변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변기케이스는 둔부를 재치하는 지지플레이트부와 전기 지지플레이트부의 후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들림부를 갖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부는 배설된 대변을 받을 수 있도록 요(凹)부로 형성되는 오물유로와 오물유로 내의 배설물을 와변기케이스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를 갖고,
    상기 들림부는 오물유로에 연하여 설치되고 배설된 소변을 받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전면요(凹)부와, 전면요(凹)부보다 선단측에 위치하여 인체와 와변기케이스와의 위치를 정해 주기 위한 고정수단을 가지며,
    상기 고정수단은 인체의 복부와 접하는 당접부와 당접부가 인체의 복부를 향해 밀착시키도록 하기 위한 밀착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변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부의 표면부분은 유연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변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들림부는 유연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변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들림부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부착부재를 갖고, 부착부재가 와변기케이스에 고정수단을 부착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변처리장치.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들림부는 전면요(凹)부보다 선단 측에 위치하여 하부로 개구되는 요(凹)부를 갖고, 상기 고정수단은 전기요(凹)부에 결합하는 부착부재를 가져, 부착부재가 전기요(凹)부에 결합됨으로 전기 고정수단이 와변기케이스에 부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변처리장치.
KR1020060058856A 2006-06-28 2006-06-28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100829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8856A KR100829524B1 (ko) 2006-06-28 2006-06-28 자동 배변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8856A KR100829524B1 (ko) 2006-06-28 2006-06-28 자동 배변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940A true KR20080000940A (ko) 2008-01-03
KR100829524B1 KR100829524B1 (ko) 2008-05-16

Family

ID=39213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8856A KR100829524B1 (ko) 2006-06-28 2006-06-28 자동 배변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95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170B1 (ko) * 2012-06-12 2014-08-12 주식회사 이노메카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및 그 배설물 수집 기저귀
KR102096628B1 (ko) * 2018-09-28 2020-04-03 대한민국 배설 지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024B1 (ko) * 2010-06-21 2011-07-27 육근용 대소변 배출기
KR102047781B1 (ko) * 2017-02-08 2019-11-22 최명근 환자용 배변처리기 및 그 이용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7083B2 (ja) * 1995-05-30 2000-08-14 ナイルス部品株式会社 排泄物処理装置
JP2001112806A (ja) * 1999-10-18 2001-04-24 Niles Parts Co Ltd 排泄物処理装置
JP3749097B2 (ja) 2000-08-18 2006-02-22 今本 彰二 自動排泄物処理装置
WO2006046532A1 (ja) 2004-10-29 2006-05-04 Manabu Ise 排泄物処理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170B1 (ko) * 2012-06-12 2014-08-12 주식회사 이노메카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및 그 배설물 수집 기저귀
KR102096628B1 (ko) * 2018-09-28 2020-04-03 대한민국 배설 지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9524B1 (ko) 200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65002B2 (ja) 自動排便処理装置
KR100709961B1 (ko) 배설물 자동세정기
KR100797578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JP4643523B2 (ja) 自動排便処理装置
JP4119462B2 (ja) 自動排便処理装置
JP4567757B2 (ja) 自動排尿便処理装置
JP4116652B2 (ja) 自動排便処理装置
JP3749097B2 (ja) 自動排泄物処理装置
JP2016523170A (ja) 自動排便処理装置
KR20080000414A (ko)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
KR101575140B1 (ko)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장치
KR100905529B1 (ko) 자동배설물 처리장치 및 자동배설물 처리방법
KR100795149B1 (ko)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KR100829524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100829525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JPWO2005041829A1 (ja) 排泄物処理装置
KR101544566B1 (ko) 밀착부재를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KR100905530B1 (ko) 자동배설물 처리장치
JP4167278B2 (ja) 自動排便処理装置
JP4699959B2 (ja) 自動排便処理装置
JP2008029759A (ja) 自動排便処理装置
KR101292812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JP2008043500A (ja) 自動排便処理装置
CN220938352U (zh) 大小便不能自理患者自动护理床
KR20190092186A (ko) 자동 대소변 채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