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990B1 - 와인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와인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990B1
KR101632990B1 KR1020150074859A KR20150074859A KR101632990B1 KR 101632990 B1 KR101632990 B1 KR 101632990B1 KR 1020150074859 A KR1020150074859 A KR 1020150074859A KR 20150074859 A KR20150074859 A KR 20150074859A KR 101632990 B1 KR101632990 B1 KR 101632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e
wine bottle
housing
connection port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4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준
손성권
Original Assignee
(주)에스이랩
손성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이랩, 손성권 filed Critical (주)에스이랩
Priority to KR1020150074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9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0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 container, e.g. bottle, cartridge, bag-in-box,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29Keg connection means
    • B67D1/0841Detail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질소 탱크와, 상기 질소 탱크와 배관 연결되고 와인병의 입구가 탈착 결합되는 연결 포트와, 상기 와인병으로부터 와인이 공급되는 배출 포트와, 상기 질소 탱크와 상기 연결 포트 사이에 배치되는 밸브 수단; 및 상기 밸브 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감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와인병으로부터 신선한 상태의 와인을 즉석에서 용이하게 일정량만큼 공급받아 음미할 수 있도록 한 와인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와인 디스펜서{WINE DISPENSER}
본 발명은 와인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인병으로부터 신선한 상태의 와인을 즉석에서 용이하게 일정량만큼 공급받아 음미할 수 있도록 한 와인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와인은 통상적으로 불투명한 재질의 와인병에 담겨져 입구를 코르크 마개로 밀봉 포장되어 판매되는 것이다.
이러한 와인을 즐기기 위해 마개를 개방하면 와인이 산소와 접촉되면서 산화가 발생되어 와인 본연의 맛이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점에서 발명된 것으로 등록특허 제10-1287909호의 "와인 디스펜서"(이하 '선행기술')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기존의 시판중인 와인병에 든 와인을 일일이 개봉하여 실린더에 주입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그리고, 선행기술은 와인이 배출되는 꼭지가 실린더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와인잔을 기울여 와인을 따르는 과정에서 흘러넘치는 등의 불상사가 발생할 우려도 다분하였다.
등록특허 제10-128790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와인병으로부터 신선한 상태의 와인을 즉석에서 용이하게 일정량만큼 공급받아 음미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인 디스펜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고 질소 가스가 충전된 질소 탱크;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질소 탱크와 배관 연결되고, 와인병의 입구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포트;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 포트와 배관 연결되고, 상기 와인병으로부터 와인이 공급되는 배출 포트; 상기 질소 탱크와 상기 연결 포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질소 탱크에 충전된 질소 가스가 상기 연결 포트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질소 탱크로부터 상기 와인병의 내부로 상기 질소 가스를 공급 또는 차단하며, 상기 연결 포트를 통하여 상기 와인병의 내부로부터 와인이 공급되도록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 수단; 및 상기 밸브 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와인병이 상기 연결 포트와 연결된 것을 감지하거나, 상기 배출 포트 부근에 와인잔이 근접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 디스펜서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 포트는, 상기 질소 탱크와 배관 연결되고, 상기 밸브 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와인병의 내부와 연통하는 질소 배출 노즐과, 상기 질소 배출 노즐과 별개로 구비되어 상기 와인병의 바닥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밸브 수단과 연결되며, 단부가 상기 와인병에 수용된 상기 와인에 잠기는 와인 흡입 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와인 디스펜서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와인병이 거치되는 면적을 제공하며, 상기 와인병이 상기 연결 포트측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하도록 장착되는 리프트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 유닛은, 저면이 개방되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승강하는 승강 본체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상기 승강 본체를 수용하는 수용 본체와, 상기 승강 본체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승강 통로를 통하여 상기 승강 본체의 상승 및 하강을 안내하는 이동자와, 상단부는 상기 승강 본체의 내측 상면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수용 본체의 내측 저면에 연결되어 신축 가능한 승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 통로는, 상기 수용 본체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수용 본체의 하단부측을 향하여 일정 길이로 절개되며, 상기 이동자가 승강하는 제1 승강로와, 상기 수용 본체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수용 본체의 하단부측을 향하여 일정 길이로 절개되고, 상기 제1 승강로와 상호 대면하며, 상기 이동자가 승강하는 제2 승강로와, 상기 제1 승강로의 하단부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승강로와 직교를 이루며, 일정 길이로 절개되어 상기 이동자가 왕복하는 제1 회전 통로와, 상기 제2 승강로의 하단부로부터 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승강로와 직교를 이루며, 일정 길이로 절개되어 상기 이동자가 왕복하는 제2 회전 통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와인 디스펜서는, 상기 승강 본체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와인병의 저면이 접촉되는 미끄럼 방지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밸브 수단은, 상기 질소 탱크와 상기 연결 포트를 연결하는 제1 연통 배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질소 탱크로부터 상기 질소 가스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마스터 밸브와, 상기 마스터 밸브와 상기 연결 포트 사이의 상기 제1 연통 배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질소 탱크로부터 상기 와인병의 내부로 상기 질소 가스를 공급되게 하거나 공급을 차단하는 질소 밸브와, 상기 연결 포트와 상기 배출 포트 사이의 제2 연통 배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와인병으로부터 상기 배출 포트측으로 상기 와인이 흐르는 것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와인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연결 포트에 구비되어 상기 와인병의 주둥이가 상기 연결 포트에 결합된 상태를 감지하는 병 접촉 감지 센서와, 상기 배출 포트 부근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와인잔의 근접 및 접촉을 감지하는 잔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와인 디스펜서는, 상기 감지 수단 및 상기 밸브 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와인잔이 접촉된 상태를 상기 감지 수단에 전달하는 접촉 감지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 감지편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레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된 연결 포트에 와인병을 개봉한 후 연결하는 것만으로도 감지 수단과 밸브 수단이 작동하여 질소 탱크로부터 와인 배출 압력을 와인병의 내부에 부여하면 배출 포트를 통하여 와인잔으로 와인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와인병으로부터 신선한 상태의 와인을 즉석에서 용이하게 일정량만큼만 정확하게 공급받아 음미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전체적으로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사용 및 와인 음용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 디스펜서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 디스펜서의 전체적인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 디스펜서에 구비된 리프트 유닛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 디스펜서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 디스펜서의 전체적인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 디스펜서에 구비된 리프트 유닛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에 질소 탱크(200)가 내장되고, 연결 포트(300)와 배출 포트(400)와 밸브 수단(500) 및 감지 수단(600)이 구비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하우징(100)은 후술할 질소 탱크(200)가 내장되고, 연결 포트(300)와 배출 포트(400)와 밸브 수단(500) 및 감지 수단(600)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질소 탱크(200)는 하우징(100)에 내장되고 질소 가스가 충전된 것으로, 질소 가스는 후술할 연결 포트(300)를 통하여 배출됨으로써 와인병(700)에 수용된 와인이 배출되도록 하는 와인 배출 압력을 생성하게 된다.
연결 포트(300)는 하우징(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질소 탱크(200)와 배관 연결되고, 와인병(700)의 입구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배출 포트(400)는 하우징(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연결 포트(300)와 배관 연결되고, 와인병(700)으로부터 와인이 공급되는 것이다.
밸브 수단(500)은 질소 탱크(200)와 연결 포트(300) 사이에 배치되어 질소 탱크(200)에 충전된 질소 가스가 연결 포트(300)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질소 탱크(200)로부터 와인병(700)의 내부로 질소 가스를 공급 또는 차단하며, 연결 포트(300)를 통하여 와인병(700)의 내부로부터 와인이 공급되도록 유로를 개폐하는 것이다.
감지 수단(600)은 밸브 수단(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우징(100)의 일측에 배치되고, 와인병(700)이 연결 포트(300)와 연결된 것을 감지하거나, 배출 포트(400) 부근에 와인잔(800)이 근접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와인병(700)으로부터 신선한 상태의 와인을 즉석에서 용이하게 일정량만큼만 정확하게 공급받아 음미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전체적으로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사용 및 와인 음용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우선, 하우징(100)은 크게 본체부(110)의 상, 하부에 각각 상부 연장편(120)과 하부 연장편(130)이 구비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질소 탱크(200)가 내장되는 공간이 형성된 것이다.
상부 연장편(120)은 본체부(110)의 상부로부터 연장되고, 저면에 연결 포트(300) 및 배출 포트(400)가 각각 배치되는 공간과 면적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부 연장편(130)은 본체부(110)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상부 연장편(120)과 상호 대면하는 것으로, 후술할 리프트 유닛(900)이 장착될 공간과 면적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하부 연장편(130)에 구비되어 연결 포트(300)와 대면하고 와인병(700)이 거치되는 면적을 제공하며, 와인병(700)을 연결 포트(300)측으로 상승시키도록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리프트 유닛(9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하부 연장편(130)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배출 포트(400)와 대면되게 배치되는 드레인 트레이(14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드레인 트레이(140)는 와인잔(800)으로 공급되고 남은 와인의 잔여 방울이 배출 포트(400)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받아내기 위한 것으로, 청소 및 세척 등의 관리상 편의를 위하여 하부 연장편(130)에 대하여 분리 탈착 가능한 구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우징(100)은 현재 장치 전체의 작동 상태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상부 연장편(120)의 전면에 구비되어 밸브 수단(500) 및 감지 수단(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배출 포트(400)로부터 와인이 와인잔(800)에 공급되는 동안 점등되는 램프부(15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램프부(150)는 저전력 고휘도 제품인 엘이디 칩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은 장치 전체의 작동 상태를 사용자가 시청각적으로 파악하고, 와인의 공급 완료 등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배출 포트(400)로부터 와인이 와인잔(800)에 공급되는 동안 점등되고, 와인이 와인잔(800)에 공급 완료되면, 소리나 빛으로 사용자에게 공급 완료를 알리는 알림 수단(이하 미도시)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결 포트(300)는 질소 탱크(200)와 배관 연결되고, 밸브 수단(500)과 연결되며, 와인병(700)이 연결 포트(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와인병(700) 내부로 질소 가스가 공급되도록 와인병(700)의 내부와 연통하는 질소 배출 노즐(31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포트(300)는 질소 배출 노즐(310)과 별개로 구비되어 와인병(700)의 바닥면측으로 연장되고, 밸브 수단(500)과 연결되며, 단부가 와인병(700)에 수용된 와인에 잠기는 와인 흡입 호스(32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와인 흡입 호스(320)의 단부는 상시 와인병(700)의 내부 바닥면에 접촉되게 배치되고, 와인은 질소 배출 노즐(310)로부터 배출되는 질소 가스에 의하여 와인의 표면을 향해 가해지는 와인 배출 압력만큼 와인 흡입 호스(320)를 거쳐 배출 포트(400)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밸브 수단(500)은 도 2를 참조하면, 마스터 밸브(510)와 질소 밸브(520)와 와인 밸브(530)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마스터 밸브(510)는 질소 탱크(200)와 연결 포트(300)를 연결하는 제1 연통 배관(P1) 상에 배치되어 질소 탱크(200)로부터 질소 가스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질소 밸브(520)는 마스터 밸브(510)와 연결 포트(300) 사이의 제1 연통 배관(P1) 상에 배치되어 질소 탱크(200)로부터 와인병(700)의 내부로 질소 가스를 공급되게 하거나 공급을 차단하는 것이다.
와인 밸브(530)는 연결 포트(300)와 배출 포트(400) 사이의 제2 연통 배관(P2) 상에 배치되고, 와인병(700)으로부터 배출 포트(400)측으로 와인이 흐르는 것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것이다.
한편, 감지 수단(6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포트(300)에 구비되어 와인병(700)의 주둥이가 연결 포트(300)에 결합된 상태를 감지하는 병 접촉 감지 센서(610)와, 배출 포트(400) 부근에 배치되어 하우징(100)에 장착되고, 와인잔(800)의 근접 및 접촉을 감지하는 잔 감지 센서(620)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병 접촉 감지 센서(610)에 의하여 와인병(700)이 연결 포트(300)와 분리된 것을 감지한 이상, 와인이 밸브 수단(500)에 의하여 와인잔(800)으로 공급되는 동작은 제한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감지 수단(600) 및 밸브 수단(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우징(100)의 일측에 장착되고, 와인잔(800)이 접촉된 상태를 감지 수단(600)에 전달하는 접촉 감지편(16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접촉 감지편(160)은 하우징(10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레버일 수도 있다.
한편, 리프트 유닛(9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인병(700)을 연결 포트(300)측으로 상승시키도록 한 것으로, 다시말해 와인병(700)을 거치하고 결합하기 위한 작업상의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며,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승강 본체(910)와 수용 본체(920)와 이동자(940)와 승강 수단(95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승강 본체(910)는 저면이 개방되어 하우징(100)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승강하는 것이다.
수용 본체(920)는 하우징(100)에 내장되어 승강 본체(910)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동자(940)는 승강 본체(910)의 하단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수용 본체(92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승강 통로(930)를 통하여 승강 본체(910)의 상승 및 하강을 안내하는 것이다.
승강 수단(950)은 상단부는 승강 본체(910)의 내측 상면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수용 본체(920)의 내측 저면에 연결되어 신축 가능하며, 승강 본체(910)를 수용 본체(920)로부터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승강 수단(9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 가능한 유체 실린더이거나,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승강 본체(910)는 와인병(700)이 수용 본체(920)의 상면에 거치된 상태에서 일정 각도만큼 제자리에서 정회전한 후 상승되거나, 와인병(700)이 승강 본체(910)의 상면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하강한 후 일정 각도만큼 제자리에서 역회전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동자(940)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승강 통로(930)는 제1 승강로(931)와 제2 승강로(932)와 제1 회전 통로(933)와 제2 회전 통로(934)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승강로(931)는 수용 본체(920)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수용 본체(920)의 하단부측을 향하여 일정 길이로 절개되며, 이동자(940)가 승강하는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승강로(932)는 수용 본체(920)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수용 본체(920)의 하단부측을 향하여 일정 길이로 절개되고, 제1 승강로(931)와 상호 대면하며, 이동자(940)가 승강하는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제1 회전 통로(933)는 제1 승강로(931)의 하단부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승강로(931)와 직교를 이루며, 일정 길이로 절개되어 이동자(940)가 왕복하는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제2 회전 통로(934)는 제2 승강로(932)의 하단부로부터 타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승강로(932)와 직교를 이루며, 일정 길이로 절개되어 이동자(940)가 왕복하는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승강 본체(910)는 와인병(700)이 수용 본체(920)의 상면에 거치된 상태에서 일정 각도만큼 제1 회전 통로(933) 및 제2 회전 통로(934)를 따라 제자리에서 정회전한 후 제1 승강로(931) 및 제2 승강로(932)를 따라 상승함으로써, 와인병(700)의 입구가 연결 포트(300)에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승강 본체(910)는 와인병(700)이 수용 본체(920)의 상면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제1 승강로(931) 및 제2 승강로(932)를 따라 하강한 후 일정 각도만큼 제1 회전 통로(933) 및 제2 회전 통로(934)를 따라 제자리에서 역회전함으로써, 초기 준비 상태, 즉 와인병(700)을 거치하고 연결 포트(300)측으로 이동시킬 공간을 확보한 상태가 구현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승강 본체(910)의 상면에 구비되어 와인병(700)의 저면이 접촉되며, 와인병(700)이 승강 본체(910)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찰 저항이 큰 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 패드(911)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 디스펜서의 작동 과정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최초에 와인병(700)이 리프트 유닛(900)의 상면에 거치되지 않은 경우, 리프트 유닛(900)의 승강 본체(910)는 하우징(100)의 하부 연장편(130)의 상면에 가깝게 하강된 상태에 있다.
이후, 사용자가 와인병(700)을 승강 본체(910)의 상면에 거치한 후, 승강 본체(910)를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면, 이동자(940)는 일정 각도만큼 제1 회전 통로(933) 및 제2 회전 통로(934)를 따라 제자리에서 정회전하게 된다.
다음으로, 승강 본체(910)의 이동자(940)는 승강 수단(950)의 신장 동작에 의하여 제1 승강로(931) 및 제2 승강로(932)를 따라 상승함으로써, 승강 본체(910) 또한 상승하게 되면서 와인병(700)의 입구가 연결 포트(300)에 결합된다.
이때, 병 접촉 감지 센서(610)가 와인병(700)의 입구가 연결 포트(300)에 결합된 것을 감지하면, 병 접촉 감지 센서(610)는 밸브 수단(500)들에 작동 준비 상태임을 알리는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와인잔(800)을 접촉 감지편(160)에 접촉시키면, 마스터 밸브(510)는 질소 탱크(200)와 연결 포트(300)의 질소 배출 노즐(310) 사이의 유로, 즉 제1 연통 배관(P1) 내부의 유로를 개방하게 되고, 순차적으로 질소 밸브(520)는 질소 배출 노즐(310)측으로 향하는 전술한 내부 유로를 개방함으로써, 질소 가스가 와인병(700)의 내부로 주입된다.
다음으로, 질소 가스가 와인병(700)의 내부로 주입된 만큼, 와인 배출 압력이 걸리면서, 와인병(700) 내부의 와인은 와인 흡입 호스(320)를 통하여 제2 연통 배관(P2)을 흐르게 되고, 와인 밸브(530)가 배출 포트(400)측으로 향하는 제2 연통 배관(P2)의 내부 유로를 개방하게 된다.
계속하여, 와인병(700) 내부의 와인은 전술한 와인 배출 압력이 걸린 양만큼 배출 포트(400)를 통하여 와인잔(800)에 채워진 다음, 와인 밸브(530)와 질소 밸브(520) 및 마스터 밸브(510)가 순차적으로 내부 유로를 차단함으로써, 장치 전체의 가동은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와인병으로부터 신선한 상태의 와인을 즉석에서 용이하게 일정량만큼 공급받아 음미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인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하우징
110...본체부
120...상부 연장편
130...하부 연장편
140...드레인 트레이
150...램프부
160...접촉 감지편
200...질소 탱크
300...연결 포트
310..질소 배출 노즐
320...와인 흡입 호스
400...배출 포트
500...밸브 수단
510...마스터 밸브
520...질소 밸브
530...와인 밸브
600...감지 수단
610...병 접촉 감지 센서
620...잔 감지 센서
700...와인병
800...와인잔
900...리프트 유닛
910...승강 본체
911...미끄럼 방지 패드
920...수용 본체
930...승강 통로
931...제1 승강로
932...제2 승강로
933...제1 회전 통로
934...제2 회전 통로
940...이동자
950...승강 수단
P1...제1 연통 배관
P2...제2 연통 배관

Claims (10)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고 질소 가스가 충전된 질소 탱크;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질소 탱크와 배관 연결되고, 와인병의 입구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포트;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 포트와 배관 연결되고, 상기 와인병으로부터 와인이 공급되는 배출 포트;
    상기 질소 탱크와 상기 연결 포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질소 탱크에 충전된 질소 가스가 상기 연결 포트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질소 탱크로부터 상기 와인병의 내부로 상기 질소 가스를 공급 또는 차단하며, 상기 연결 포트를 통하여 상기 와인병의 내부로부터 와인이 공급되도록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 수단; 및
    상기 밸브 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와인병이 상기 연결 포트와 연결된 것을 감지하거나, 상기 배출 포트 부근에 와인잔이 근접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연결 포트에 구비되어 상기 와인병의 주둥이가 상기 연결 포트에 결합된 상태를 감지하는 병 접촉 감지 센서와,
    상기 배출 포트 부근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와인잔의 근접 및 접촉을 감지하는 잔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와인 디스펜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포트는,
    상기 질소 탱크와 배관 연결되고, 상기 밸브 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와인병의 내부와 연통하는 질소 배출 노즐과,
    상기 질소 배출 노즐과 별개로 구비되어 상기 와인병의 바닥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밸브 수단과 연결되며, 단부가 상기 와인병에 수용된 상기 와인에 잠기는 와인 흡입 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 디스펜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인 디스펜서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와인병이 거치되는 면적을 제공하며, 상기 와인병이 상기 연결 포트측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하도록 장착되는 리프트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 디스펜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유닛은,
    저면이 개방되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승강하는 승강 본체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상기 승강 본체를 수용하는 수용 본체와,
    상기 승강 본체의 하단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수용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승강 통로를 통하여 상기 승강 본체의 상승 및 하강을 안내하는 이동자와,
    상단부는 상기 승강 본체의 내측 상면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수용 본체의 내측 저면에 연결되어 신축 가능한 승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 디스펜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승강 통로는,
    상기 수용 본체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수용 본체의 하단부측을 향하여 일정 길이로 절개되며, 상기 이동자가 승강하는 제1 승강로와,
    상기 수용 본체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수용 본체의 하단부측을 향하여 일정 길이로 절개되고, 상기 제1 승강로와 상호 대면하며, 상기 이동자가 승강하는 제2 승강로와,
    상기 제1 승강로의 하단부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승강로와 직교를 이루며, 일정 길이로 절개되어 상기 이동자가 왕복하는 제1 회전 통로와,
    상기 제2 승강로의 하단부로부터 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승강로와 직교를 이루며, 일정 길이로 절개되어 상기 이동자가 왕복하는 제2 회전 통로를 포함하는 와인 디스펜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와인 디스펜서는,
    상기 승강 본체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와인병의 저면이 접촉되는 미끄럼 방지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 디스펜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 수단은,
    상기 질소 탱크와 상기 연결 포트를 연결하는 제1 연통 배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질소 탱크로부터 상기 질소 가스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마스터 밸브와,
    상기 마스터 밸브와 상기 연결 포트 사이의 상기 제1 연통 배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질소 탱크로부터 상기 와인병의 내부로 상기 질소 가스를 공급되게 하거나 공급을 차단하는 질소 밸브와,
    상기 연결 포트와 상기 배출 포트 사이의 제2 연통 배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와인병으로부터 상기 배출 포트측으로 상기 와인이 흐르는 것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와인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 디스펜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인 디스펜서는,
    상기 감지 수단 및 상기 밸브 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와인잔이 접촉된 상태를 상기 감지 수단에 전달하는 접촉 감지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 디스펜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접촉 감지편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레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 디스펜서.
KR1020150074859A 2015-05-28 2015-05-28 와인 디스펜서 KR101632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859A KR101632990B1 (ko) 2015-05-28 2015-05-28 와인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859A KR101632990B1 (ko) 2015-05-28 2015-05-28 와인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990B1 true KR101632990B1 (ko) 2016-06-24

Family

ID=56343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4859A KR101632990B1 (ko) 2015-05-28 2015-05-28 와인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99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3483A (ko) * 2007-11-23 2009-05-27 차승호 음료량 측정형 액상음료 배출기
KR101174393B1 (ko) * 2010-07-01 2012-08-16 코리아콜드시스템(주) 와인디스펜서
KR101287909B1 (ko) 2009-04-30 2013-07-19 미쓰히로 가부시키가이샤 와인 디스펜서
JP5612200B2 (ja) * 2010-06-04 2014-10-22 ペプシ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PepsiCo Inc. 後混合式飲料ディスペンサの迅速な再構成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438428B1 (ko) * 2013-09-10 2014-11-03 (주)에스이랩 와인 디스펜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3483A (ko) * 2007-11-23 2009-05-27 차승호 음료량 측정형 액상음료 배출기
KR101287909B1 (ko) 2009-04-30 2013-07-19 미쓰히로 가부시키가이샤 와인 디스펜서
JP5612200B2 (ja) * 2010-06-04 2014-10-22 ペプシ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PepsiCo Inc. 後混合式飲料ディスペンサの迅速な再構成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174393B1 (ko) * 2010-07-01 2012-08-16 코리아콜드시스템(주) 와인디스펜서
KR101438428B1 (ko) * 2013-09-10 2014-11-03 (주)에스이랩 와인 디스펜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3726B2 (ja) 真空ポンプが具備されたクリームタイプ化粧品容器
TW200732044A (en) Liquid material discharge device
JP2006264716A (ja) ディスペンスヘッド、飲料通路洗浄装置
CN102083346B (zh) 饮料冲泡装置
KR101632990B1 (ko) 와인 디스펜서
CN102317198A (zh) 用于将液体特别是酒倒入玻璃器皿中的设备
JP2001278388A (ja) ロータリー式連続充填装置
CN106214002B (zh) 饮品装杯机
KR101310246B1 (ko) 노즐 출몰형 화장품 용기
CN202226186U (zh) 一种吸水瓶
KR101468162B1 (ko) 파우치 테스트 시스템
JP2013133933A (ja) 流路切換弁および昇降装置
JP4814642B2 (ja) 液体調合装置
JP2008050029A (ja) 充填装置
KR101207844B1 (ko) 진공 밸브
CN109807961B (zh) 切中药用裁切刀
JP2023050073A (ja) 液体加熱容器
KR101467198B1 (ko)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JP2007312977A (ja) 液体調合装置
JP6196529B2 (ja) ピストン式充填機
KR20160006959A (ko) 역류 방지 기능을 구비한 탄산수 공급용 밸브 어셈블리
JP5708394B2 (ja) 溶液充填機構
JP2007290743A (ja) 充填バルブ
JP2009190737A (ja) 二重構造ノズルによる充填時の液面揃え方法
KR200476950Y1 (ko) 파운데이션 화장품이 수용되는 내용기에 오일을 분사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