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0406B1 - 자동차의 상향등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상향등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30406B1 KR101630406B1 KR1020100046551A KR20100046551A KR101630406B1 KR 101630406 B1 KR101630406 B1 KR 101630406B1 KR 1020100046551 A KR1020100046551 A KR 1020100046551A KR 20100046551 A KR20100046551 A KR 20100046551A KR 101630406 B1 KR101630406 B1 KR 1016304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upward
- light amount
- uplink
- warn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Description
전조등 일반상태는 차량의 전면부로부터 소정의 거리까지 도로 방향으로 비추는 상태이고, 상향등은 차량의 전면부로부터 수평이상으로 빛을 비출 수 있도록 하는 상태이다.
따라서 일반상태의 경우에는 운행시에 중앙선을 사이에 두고 마주오는 차량의 운행에 방해를 주지 않지만 상향등을 켜고 운행할 경우에는 마주오는 차량의 시야를 방해하게 된다.
이에, 운전자들은 국도, 산길 등과 같은 어두운 상황에서 마주오는 차량의 존재 여부에 따라 상향등을 켜고 끄는 것을 반복하면서 운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향등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대 옆에 구성된 방향지시등, 전조등을 조작하기 위한 레버를 하향으로 밀어 동작시키게 되어 있다.
계기패널에 상향등 조작상태가 표시되긴 하지만 운전자들은 종종 전조등을 상향등으로 조작한 상태에서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체 운전하는 경우가 있어, 마주 오는 차량의 시야를 방해하여 대형사고의 위험성이 항상 존재한다.
또한 운전자는 필요에 따라서 상향등과 하향등을 계속적으로 조작하여 마주오는 운전자의 시야 방해를 하지 않는 것이 운전 에티켓이라 할 수 있는 데, 초보운전자의 경우 운전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상향등 선택 버튼을 포함하여 운전자에 의해 선택되는 상향등 선택 모듈;
상기 상향등 선택 버튼이 선택된 경우 미리 정해진 일정 광량의 상향등을 구동한 후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소정 시간이 경과된 경우 경고음 및 경고등 발생을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상향등 제어 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 신호에 따라 경고음 및 경고등을 발생하는 경고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향등 제어 모듈은,
상기 경고부의 경고음 및 경고등의 발생 중 운전자에 의해 상향등 선택 버튼이 조작되면, 상기 경고음 및 경고등의 발생을 정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향등 선택 모듈은,
상향등의 광량을 누름 조작 횟수에 따라 설정하기 위한 광량 선택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향등 제어 모듈은,
상기 상향등 선택 모듈의 광량 선택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광량 선택 버튼의 누름 조작 횟수에 따라 결정된 광량값으로 상향등의 광량을 결정하여 헤드 램프로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향등 제어 모듈은,
상기 광량 선택 버튼의 누름 조작 횟수에 의해 결정된 광량값이 최대 광량값다음인 경우 상향등의 광량값을 0으로 설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광량을 측정하는 광량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향등 선택 모듈은,
상향등의 작동 각도 및 광량을 자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상향등 자동 설정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향등 제어 모듈은,
상기 상향등 선택 모듈에서 상향등 자동 설정 버튼이 조작되는 경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차속 정보 및 핸들 조작 정보를 기반으로 상향등 광축의 각도를 설정하여 에이밍 장치로 공급하고,
상기 광량 센서에서 수신되는 광량에 기초하여 상향등의 광량값을 결정하여 헤드 램프로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자동차의 상향등 자동 제어 방법은,
운전자에 의해 상향등 선택 버튼이 조작되면 상향등 제어 모듈에서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소정 시간이 경과된 경우 경고음 및 경고등 발생을 실행하는 단계;
운전자에 의해 상향등 선택 버튼이 조작되면, 상기 경고음 및 경고등 발생을 정지하는 단계;
광량 선택 버튼이 조작되는 경우 상향등 제어 모듈에서 광량 선택 버튼의 누름 조작 횟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팅되는 광량 선택 버튼의 누름 조작 횟수에 대응되는 광량값으로 상향등의 광량값을 설정하고 설정된 광량값을 헤드 램프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카운팅된 광량 선택 버튼의 누름 조작 횟수에 대응되는 광량값이 미리 정해진 최대 광량값 다음인 경우 광량값을 0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상향등 제어 모듈에서, 상향등 선택 모듈의 상향등 자동 설정 버튼이 입력된 경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차속 정보 및 핸들 조작 정보 및 광량 센서의 광량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향등 제어 모듈에서, 상기 차속 정보 및 핸들 조작 정보에 따라 상향등의 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모터 구동 신호를 발생하여 에이밍 장치로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광량 센서의 광량으로부터 상향등의 광량값을 설정하여 헤드 램프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상향등 자동 제어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의 상향등 자동 제어 시스템은, 광량 센서(10), 상향등 선택 모듈(30), 상향등 제어 모듈(50), 경고부(70), 및 에이밍 장치를 포함하는 헤드램프(90)를 포함한다.
상기 광량 센서(10)는 마주오는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광량을 감지하여 광량값을 출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상향등 선택 모듈(30)은, 상향등 구동을 위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상향등 선택 버튼(31)과, 차속 및 핸들 조작 정보에 따라 상향등의 각도를 자동으로 조정하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상향등 자동 설정 버튼(33)과, 상향등의 광량을 누름 조작 횟수에 따라 설정하기 위한 광량 선택 버튼(35)을 포함한다.
상기 상향등 제어 모듈(50)은 상기 운전자에 의해 상기 상향등 선택 모듈(30)의 상향등 선택 버튼(31)이 선택된 경우 미리 정해진 일정 광량의 상향등이 점등된 채로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소정 시간이 경과된 경우 경고음 및 경고등을 발생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일정 광량 및 소정 시간은 다수의 실험을 통해 얻어진 결과값으로 최적의 상태로 상향등을 제어하기 위해 제조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되어 저장된 값이다.
상기 상향등 제어 모듈(50)은 상기 상향등 선택 모듈(30)에서 상향등 자동 설정 버튼(33)이 조작되는 경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차속 정보 및 핸들 조작 정보를 기반으로 상향등 광축의 각도를 설정하여 에이밍 장치(91)로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핸들 조작 정보에 따른 광축 각도가 룩업 테이블 값으로 상기 상향등 제어 모듈(50)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향등 제어 모듈(50)은, 상기 상향등 선택 모듈(30)의 광량 선택 버튼(35)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광량 선택 버튼의 누름 조작 횟수에 따라 결정된 광량값을 헤드 램프(93)로 제공한다. 여기서, 차속에 따른 광량은 룩 업 테이블값으로 미리 상향등 제어 모듈(50)에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향등 제어 모듈(50)은, 상기 광량 선택 버튼(35)의 누름 조작 횟수에 의해 결정된 광량값이 최대 광량값인 경우 상향등의 점등을 오프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상향등 제어 모듈(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경고음 및 경고등을 발생하는 경고부(7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운전자에 의해 상향등 선택 버튼(31)이 눌러지면, 상향등 제어 모듈(50)은 상향등의 점등 후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이 경과되는 경우 또는 일정 광량으로 소정 시간 동안 경과된 경우 경고음 및 경고등을 발생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현재 상향등이 점등되어 있음을 알림 제어한다.
한편, 상기 경고음 및 경고등의 발생 중 운전자에 의해 상향등 선택 버튼(31)이 누름 조작되고, 운전자에 의해 광량 선택 버튼(35)이 조작되면, 상기 상향등 제어 모듈(50)은 수신되는 광량 선택 버튼(35)의 누름 횟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누름 조작 횟수에 대응되는 광량값을 헤드 램프(93)로 제공한다.
이에 상기 헤드 램프(93)는 수신된 광량값을 가지는 광량으로 시동키가 오프될 때까지 조명된다. 그러나, 상기 상향등 제어 모듈(50)은 수신된 광량 선택 버튼(35)의 누름 횟수가 미리 정해진 최대 광량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향등의 광량값을 0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운전자에 의해 상향등 자동 설정 버튼(33)이 눌러지면, 상기 상향등 제어 모듈(50)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차속 및 핸들 조작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차속 및 핸들 조작 정보를 근거로 상향등의 광축 각도 및 광량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주행 도로가 회전반경이 큰 코너인 경우 핸들 조작 정보에 대응되는 상향등의 광축 각도를 룩업 테이블 값으로 읽은 후 상기 읽은 광축 각도를 에이밍 장치(91)로 제공하고 에이밍 장치는 수신된 광축 각도에 따라 상향등의 광축을 조절하여 조명 거리를 증가시킨다.
그리고, 또한 차속에 대응되는 룩업 테이블값으로 저장된 광량을 읽은 후 읽혀진 광량을 헤드 램프(93)로 제공하고 헤드 램프(93)는 수신된 광량에 의거하여 광량을 조절한다. 이때 차속과 광량은 대체적으로 비례 관계로 설정되므로, 차속 증가에 따라 광량 역시 증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속 및 핸들 조작 정보를 근거로 상향등의 광축 각도를 조정하는 자동차의 상향등 자동 제어 방법의 제어 흐름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 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우선, 상향등 제어 모듈(50)은 단계(101)를 통해 상향등 선택 모듈(30)의 상향등 선택 버튼(31)이 조작되어 상향등이 점등되게 하며, 단계(103)를 통해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103)에서 상기 상향등 점등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상향등 제어 모듈(50)은 단계(105)를 통해 경고음 및 경고등을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상향등 제어 모듈(50)은 단계(107)를 통해 상향등 선택 버튼(31)이 조작되면, 단계(109)에서 경고음 및 경고등의 발생을 정지한 후 단계(111)로 진행한다.
상기 상향등 제어 모듈(50)은 단계(111)에서 광량 선택 버튼(35)이 조작된 경우 단계(113)에서 현재 광량값이 최대 광량값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현재 광량값이 최대 광량값인 경우 광량값을 0으로 설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단계(113)에서 현재 광량값이 최대 광량값이 아닌 경우 상기 상향등 제어 모듈(50)은 단계(117)에서 광량 선택 버튼(35)의 누름 조작 횟수를 카운팅하고, 단계(119)에서 현재 누름 조작 횟수에 대응되는 광량값을 룩 업 테이블값에서 읽은 후 읽혀진 광량값을 상향등 광량값으로 설정하여 헤드 램프로 전송한다.
상기 단계(121)에서 시동키 스위치가 오프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시동키 스위치가 오프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상향등 제어 모듈(50)은 단계(123)를 통해 상기 상향등 자동 설정 버튼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단계(123)에서 상향등 자동 설정 버튼이 누름 조작된 경우 단계(125)로 진행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차속 및 핸들 조작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상향등 제어 모듈(50)은 단계(127)를 통해 수신된 차속 및 핸들 조작 정보를 기반으로 상향등 광축 각도를 설정하고 설정된 상향등 광축 각도는 에이밍 장치로 전송된다.
상기 상향등 제어 모듈(50)은 단계(129)를 통해 광량 센서로부터 공급되는 광량을 수신하고, 이어서 단계(131)를 통해 상기 수신된 광량을 기반으로 상향등 광량값을 설정한 후 설정된 광량값을 헤드 램프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단계(121)에서 시동키가 오프된 경우 본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에 의해 상향등 선택 버튼이 조작되어 상향등 점등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경고음 및 경고등을 점등하여 상향등의 점등을 운전자에게 알리고 이어 상향등 선택 버튼 및 광량 선택 버튼이 조작되면 경고음 및 경고등의 발생을 정지한 후 광량 선택 버튼의 누름 조작 횟수에 따라 광량값을 결정하여 시동키가 오프될 때까지 상향등을 점등하며, 운전자에 의해 상향등 자동 제어 모드가 설정되면 차속 및 핸들 조작 정보에 따라 상향등의 각도를 설정하며, 마주오는 차량으로부터 감지된 광량 센서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향등의 광량을 설정함에 따라 설정된 광축의 각도 및 광량으로 상향등을 정밀 제어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잦은 상향등의 조작에 따른 위험성 및 운전의 불편함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도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30 : 상향등 선택 모듈
31 : 상향등 선택 버튼
33 : 상향등 자동 설정 버튼
35 : 광량 선택 버튼
50 : 상향등 제어 모듈
70 : 경고부
91 : 에이밍 장치
93 : 헤드 램프
Claims (10)
- 상향등 선택 버튼을 포함하여 운전자에 의해 선택되는 상향등 선택 모듈;
상기 상향등 선택 버튼이 선택된 경우, 상향등이 켜진 상태가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된 경우 경고음 및 경고등 중 하나 이상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상향등 제어 모듈;
상기 상향등 제어 모듈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경고음 및 경고등 중 하나 이상을 발생하는 경고부; 및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광량을 측정하는 광량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상향등 선택 모듈은
상기 상향등의 광축 각도 및 상기 상향등의 광량을 자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상향등 자동 설정 버튼; 및
상기 상향등의 광량을 누름 조작 횟수에 따라 설정하기 위한 광량 선택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향등 제어 모듈은,
상기 상향등 선택 모듈의 광량 선택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광량 선택 버튼의 누름 조작 횟수에 따라 결정된 광량값으로 상향등의 광량을 결정하여 헤드 램프로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상향등 자동 제어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향등 제어 모듈은,
상기 경고부의 경고음 및 경고등 중 하나 이상의 발생 동안 운전자에 의해 상향등 선택 버튼이 조작되면, 상기 경고음 및 경고등 중 하나 이상의 발생을 정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상향등 자동 제어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향등 제어 모듈은,
상기 광량 선택 버튼의 누름 조작 시 현재 광량값이 최대 광량값인 경우 상향등의 광량값을 0으로 설정한 후 상기 광량 선택 버튼의 누름 조작 횟수를 카운팅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상향등 자동 제어 시스템. - 상향등 선택 버튼을 포함하여 운전자에 의해 선택되는 상향등 선택 모듈;
상기 상향등 선택 버튼이 선택된 경우, 상향등이 켜진 상태가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된 경우 경고음 및 경고등 중 하나 이상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상향등 제어 모듈;
상기 상향등 제어 모듈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경고음 및 경고등 중 하나 이상을 발생하는 경고부; 및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광량을 측정하는 광량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상향등 선택 모듈은
상기 상향등의 광축 각도 및 상기 상향등의 광량을 자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상향등 자동 설정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향등 제어 모듈은,
상기 상향등 선택 모듈의 상향등 자동 설정 버튼이 조작되는 경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차속 정보 및 핸들 조작 정보를 기반으로 상향등의 광축 각도를 설정하여 에이밍 장치로 공급하고,
상기 광량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외부 광량에 기초하여 상향등의 광량값을 결정하여 결정된 광량값을 헤드 램프로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상향등 자동 제어 시스템. - 운전자에 의해 상향등 선택 모듈의 상향등 선택 버튼이 선택된 경우 상향등이 구동된 상태가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되었는지를 상향등 제어 모듈이 판단하는 단계;
상기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된 경우 상기 상향등 제어 모듈이 출력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경고부가 경고음 및 경고등 중 하나 이상을 발생시키는 단계;
광량 센서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광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상향등 선택 모듈의 자동 설정 버튼이 선택된 경우 상기 상향등 제어 모듈은 상기 상향등의 광축 각도 및 상기 상향등의 광량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향등 선택 모듈의 광량 선택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광량 선택 버튼의 누름 조작 횟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광량 선택 버튼의 누름 조작 횟수에 따라 상기 상향등의 광량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광량값을 헤드 램프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상향등 자동 제어 방법.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경고음 및 경고등 중 하나 이상의 발생 동안 운전자에 의해 상기 상향등 선택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경고음 및 경고등 중 하나 이상의 발생을 정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상향등 자동 제어 방법.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광량 선택 버튼의 누름 조작 시 현재 광량값이 최대 광량값인 경우 상향등의 광량값을 0으로 설정한 후 상기 광량 선택 버튼의 누름 조작 횟수를 카운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상향등 자동 제어 방법. - 운전자에 의해 상향등 선택 모듈의 상향등 선택 버튼이 선택된 경우 상향등이 구동된 상태가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되었는지를 상향등 제어 모듈이 판단하는 단계;
상기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된 경우 상기 상향등 제어 모듈이 출력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경고부가 경고음 및 경고등 중 하나 이상을 발생시키는 단계;
광량 센서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광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상향등 선택 모듈의 자동 설정 버튼이 선택된 경우 상기 상향등 제어 모듈은 상기 상향등의 광축 각도 및 상기 상향등의 광량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향등의 광축 각도 및 상기 상향등의 광량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차속 정보 및 핸들 조작 정보를 기반으로 상향등의 광축 각도를 설정하여 에이밍 장치로 공급하는 것과 상기 광량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외부 광량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등의 광량값을 결정하여 헤드 램프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상향등 자동 제어 방법.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6551A KR101630406B1 (ko) | 2010-05-18 | 2010-05-18 | 자동차의 상향등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6551A KR101630406B1 (ko) | 2010-05-18 | 2010-05-18 | 자동차의 상향등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6972A KR20110126972A (ko) | 2011-11-24 |
KR101630406B1 true KR101630406B1 (ko) | 2016-06-14 |
Family
ID=45395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46551A KR101630406B1 (ko) | 2010-05-18 | 2010-05-18 | 자동차의 상향등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3040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3103Y1 (ko) * | 2019-06-16 | 2021-01-29 | 이수선 | 상향등 레버를 이용한 차량 제어장치 |
CN114932854B (zh) * | 2022-04-14 | 2024-09-20 |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低光线遇对向远光灯的应急系统与应急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30005848B1 (ko) * | 1991-05-20 | 1993-06-25 |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 차량용 램프 점멸장치 |
KR940003778A (ko) * | 1992-08-28 | 1994-03-12 | 이종수 | 자동차의 전조등 광량 자동 조절장치와 조절 제어방법 |
KR0167916B1 (ko) * | 1996-06-28 | 1998-12-15 | 김영귀 | 지능형 전조등 제어장치 및 방법 |
KR19980026651A (ko) * | 1996-10-10 | 1998-07-15 | 김영석 | 자동차의 상향전조등 점등식별 장치 |
-
2010
- 2010-05-18 KR KR1020100046551A patent/KR101630406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6972A (ko) | 2011-1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03147B1 (ko) | 밝기 조절 및 가시광 무선통신이 가능한 차량 후미등 제어 장치 및 방법 | |
JP4621994B2 (ja) | フォグランプ装置 | |
KR101630406B1 (ko) | 자동차의 상향등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
JP4661847B2 (ja) | 車両用ライト制御装置 | |
JP2009504492A (ja) | メインビームに自動的に切り換え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 |
JP7232088B2 (ja) | 走行車両 | |
KR101305353B1 (ko) | 차량용 클러스터의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 |
US20090237008A1 (en) | Left/right turn indicator for vehicle | |
US20220153374A1 (en) | Straddle vehicle and light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0461161Y1 (ko) | 차량 위치 알림 장치 | |
KR20110094641A (ko) | 차량의 브레이크등 장치 | |
KR20110005034A (ko) |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0667057B1 (ko) | 자동차 전조등 자동 조절장치 | |
KR100877973B1 (ko) | 아이엠에스를 이용한 오토라이트 점등시간 제어시스템 및방법 | |
KR20010009359A (ko) | 자동차에서의 헤드램프 밝기 자동 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200282037Y1 (ko) | 자동차의 상향등 제어장치 | |
JP2012153307A (ja) | 前照灯制御装置 | |
KR20050071092A (ko) | 주위 환경에 대응하는 자동차용 램프 시스템 | |
KR101605545B1 (ko) | 스마트 정션박스를 구비한 자동차 전방램프 및 그 제어방법 | |
KR101431200B1 (ko) | 유체 렌즈를 이용한 차량용 테일 램프 및 제어 방법 | |
KR20180013444A (ko) |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 | |
KR20050061176A (ko) | 차량용 전조등 작동 시스템 | |
KR20150072208A (ko) | 차량용 헤드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30044472A (ko) | 자동차용 클러스터의 조명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
KR20100027363A (ko) | 차량용 자동조명 시스템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1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1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5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6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