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034A -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034A
KR20110005034A KR1020090062526A KR20090062526A KR20110005034A KR 20110005034 A KR20110005034 A KR 20110005034A KR 1020090062526 A KR1020090062526 A KR 1020090062526A KR 20090062526 A KR20090062526 A KR 20090062526A KR 20110005034 A KR20110005034 A KR 20110005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rightness
vehicle speed
headligh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훈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2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5034A/ko
Publication of KR20110005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0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15Dimming circuits
    • B60Q1/142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 B60Q1/14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combined with another condition, e.g. using vehicle recognition from camera images or activation of wi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1Linear movements of the vehicle
    • B60Q2300/112Vehicl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3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vehicle environment
    • B60Q2300/31Atmospheric conditions
    • B60Q2300/314Ambient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전조등을 자동모드로 설정할 경우 주변 조도에 따라 점소등 될 뿐만 아니라 차속에 따라 밝기가 조절되도록 하여 야간 시내 주행시 전방 차량 및 반대편 차량 운전자의 눈부심을 억제하여 안전 운전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조등 램프의 내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전조등, 조도, 차속, 밝기, 눈부심, 램프, 수명

Description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HEAD LAMP CONTROL APPARATUS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전조등을 자동모드로 설정할 경우 주변 조도에 따라 점소등 될 뿐만 아니라 차속에 따라 밝기가 조절되도록 하는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차량의 기하 급수적인 보급에 비례하여 차량의 안전사고 비율 또한 높아지고 있는데, 그러한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한 일련의 방안으로 차량의 전조등 및 미등을 적절하게 조작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차량의 전조등 및 미등 조작은 차량 주행 중 전방 시야를 확보하고 상대방 차량에 대한 자차(自車)의 존재를 확인시켜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라이트 켜는 것에 익숙하지 못한 대부분의 운전자들의 인식과 습관으로 인해 잘 시행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즉,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일몰 일출 시점에 전조등 뿐만 아니라 미등 조차 켜는 것에 인색하거나 운전자의 조작 불이행으로 인하여 안전운전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운전자가 전방 시야를 확실하게 판단할 수 없는 시간대(예컨대, 해가 넘어가는 일몰이나 일출 시간대) 및 터널 등에 진입하는 순간에 있어서는 순간적인 시력 저하로 사물 판단이 어렵게 되어 안전 운행에 방해가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근래에는 차량이 주행할 때 주변 조도를 감지하고 전조등과 미등이 작동되도록 하는 방법이 제공되기도 한다.
위에서 설명한 기술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위와 같이 주변 조도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전조등이 점등되는 경우 차속과는 무관하기 때문에 야간에 시내를 주행할 경우 잦은 신호대기 등과 같이 정지한 상태에서도 계속해서 최대 밝기로 점등됨에 따라 전방 차량 및 반대편 차량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경우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전조등이 최대 밝기로 점등되어 램프의 내구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전조등을 자동모드로 설정할 경우 주변 조도에 따라 점소등 될 뿐만 아니라 차속에 따라 밝기가 조절되도록 하는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는 주위의 밝기를 측정하기 위한 조도센서; 전조등의 점소등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선택스위치;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차속센서; 및 조도센서와 차속센서의 값을 입력받아 선택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전조등의 밝기를 조절하여 점소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어부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표시부는 전조등의 밝기가 조절될 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방법은 선택스위치가 자동모드로 선택된 경우 조도센서를 통해 주변 밝기를 측정하는 단계; 주변 밝기를 측정한 조도값과 설정값을 비교하는 단계; 비교결과 조도값이 설정값 이상일 경우 전조등을 소등시키는 단계; 비교결과 조도값이 설정값 미만일 경우 차속센서를 통해 차속을 측정하는 단계; 및 차속에 따라 밝기를 조절하여 전조등을 점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차속이 설정속도 이하일 경우 밝기를 감소시켜 전조등을 점등시 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전조등의 밝기를 조절하여 점등시킬 때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조등을 자동모드로 설정할 경우 주변 조도에 따라 점소등 될 뿐만 아니라 차속에 따라 밝기가 조절되도록 하여 야간 시내 주행시 전방 차량 및 반대편 차량 운전자의 눈부심을 억제하여 안전 운전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조등 램프의 내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 치는 조도센서(10), 선택스위치(20), 차속센서(30), 제어부(40) 및 표시부(60)를 포함한다.
조도센서(10)는 주위의 밝기를 측정하여 조도값을 제어부(40)로 출력한다.
선택스위치(20)는 전조등(50)의 점소등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자동모드나 수동모드를 선택한다.
차속센서(30)를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여 차속값을 제어부(40)로 출력한다.
제어부(40)는 조도센서(10)로부터 입력되는 조도값과 차속센서(30)로부터 입력되는 차속값을 입력받아 선택스위치(20)의 상태가 자동모드로 선택된 경우 전조등(50)의 밝기를 조절하여 점소등시킨다.
표시부(60)는 제어부(4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써 전조등(50)의 밝기가 조절될 경우 인스트루먼트 패널(미도시) 상에 전조등(50)의 밝기가 조절되어 점등된 상태를 표시한다.
따라서, 선택스위치(20)가 자동모드로 선택된 경우 조도센서(10)를 통해 감지된 조도값이 설정값 이상일 경우에는 전조등(50)을 소등시키며, 설정값 미만일 경우에는 전조등(50)을 점등시키되 차속센서(30)를 통해 측정된 차속값이 설정속도 이하일 경우 전조등(50)의 밝기를 조절하여 점등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방 법은 먼저, 선택스위치(20)의 상태를 파악하여 자동모드로 선택된 경우 조도센서(10)를 통해 주변 밝기를 측정한 조도값을 입력받는다.
이렇게 입력된 조도값을 자동으로 전조등(50)을 점등시키기 위해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한다(S10).
이때 조도값이 설정값 이상일 경우에는 전조등(50)을 소등시킨다(S50).
그러나 조도값이 설정값 미만일 경우에는 차속센서(30)를 통해 차량의 속도를 측정한 차속값을 입력받는다.
이렇게 입력된 차속값을 전조등(50)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해 설정한 차량의 설정속도와 비교한다(S20).
이는 차량의 정지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써 차속값이 1 km/h 이하일 경우 정지상태로 판단하여 전조등(50)의 밝기를 50% 감소시켜 점등시킨다(S30).
이때 전조등(50)의 밝기가 감소되어 점등된 경우에는 표시부(60)를 통해 밝기가 조절되어 점등된 상태를 표시한다.
그러나, 차속값이 1 km/h를 초과할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전조등(50)을 최대 밝기로 점등시킨다(S40).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조도센서 20 : 선택스위치
30 : 차속센서 40 : 제어부
50 : 전조등 60 : 표시부

Claims (6)

  1. 주위의 밝기를 측정하기 위한 조도센서;
    전조등의 점소등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선택스위치;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차속센서; 및
    상기 조도센서와 상기 차속센서의 값을 입력받아 상기 선택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전조등의 밝기를 조절하여 점소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밝기가 조절될 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4. 선택스위치가 자동모드로 선택된 경우 조도센서를 통해 주변 밝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주변 밝기를 측정한 조도값과 설정값을 비교하는 단계;
    비교결과 상기 조도값이 상기 설정값 이상일 경우 전조등을 소등시키는 단계;
    비교결과 상기 조도값이 상기 설정값 미만일 경우 차속센서를 통해 차속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차속에 따라 밝기를 조절하여 상기 전조등을 점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차속이 설정속도 이하일 경우 밝기를 감소시켜 상기 전조등을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조등의 밝기를 조절하여 점등시킬 때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방법.
KR1020090062526A 2009-07-09 2009-07-09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050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526A KR20110005034A (ko) 2009-07-09 2009-07-09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526A KR20110005034A (ko) 2009-07-09 2009-07-09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034A true KR20110005034A (ko) 2011-01-17

Family

ID=43612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526A KR20110005034A (ko) 2009-07-09 2009-07-09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50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3296A (ko) * 2012-12-06 2014-06-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 전조등 점등 자동 제어 장치
US9013211B2 (en) 2011-11-11 2015-04-21 Hyundai Motor Company Head lamp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3211B2 (en) 2011-11-11 2015-04-21 Hyundai Motor Company Head lamp system
KR20140073296A (ko) * 2012-12-06 2014-06-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 전조등 점등 자동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2304B2 (en) Vehicle lighting control system
KR20040041800A (ko) 차량의 전조등 제어장치 및 방법과 그를 위한 다기능구조를 갖는 전조등 램프
KR20130115598A (ko) 차량용 조명장치 제어방법
JP2007106341A (ja) 前照灯装置
JP2010265731A5 (ko)
US20110241545A1 (en) Vehicle headlight alert system and method
JP2020152177A (ja) 走行車両
KR20110005034A (ko)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70104738A (ko) 주변 밝기 및 차간 거리에 따른 전조등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30115601A (ko) 차량용 조명장치 제어방법
JP2012153307A (ja) 前照灯制御装置
KR20090097686A (ko) 자동 조명 밝기 조절 장치 및 방법
JP6508081B2 (ja) 車両用前照灯システム
KR100667057B1 (ko) 자동차 전조등 자동 조절장치
KR20110073960A (ko) 차량의 안개등 제어 방법
WO2013094012A1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表示装置、及び制御方法
KR101630406B1 (ko) 자동차의 상향등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40101814A (ko) 차량용 라이트의 자동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75283A (ko) 자동차의 후미등 디밍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626410B1 (ko) 차량의 클러스터 조명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605545B1 (ko) 스마트 정션박스를 구비한 자동차 전방램프 및 그 제어방법
KR102626247B1 (ko) 차량용 해저드 스위치 인디케이터 및 그의 제어방법
JP2005199860A (ja) 車両用照明灯制御装置
KR20130044472A (ko) 자동차용 클러스터의 조명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40912A (ko) 차속에 따른 led 헤드램프 조도 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