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6247B1 - 차량용 해저드 스위치 인디케이터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해저드 스위치 인디케이터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6247B1
KR102626247B1 KR1020160181221A KR20160181221A KR102626247B1 KR 102626247 B1 KR102626247 B1 KR 102626247B1 KR 1020160181221 A KR1020160181221 A KR 1020160181221A KR 20160181221 A KR20160181221 A KR 20160181221A KR 102626247 B1 KR102626247 B1 KR 102626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hazard
light source
indicato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1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6736A (ko
Inventor
권재민
김광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1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247B1/ko
Publication of KR20180076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60Q3/16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18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for varying the light int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조명 스위치 및 해저드 스위치의 입력조건에 따라 한 개의 LED 램프 만으로 구성된 해저드 스위치 인디케이터의 밝기를 가변적으로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해저드 스위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면서도 시인성이 개선된 차량용 해저드 스위치 인디케이터 및 그 인디케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해저드 스위치 인디케이터는, 차량의 실내조명 스위치가 야간 조명모드일 때 점등되며, 그의 조도가 리오스태트 스위치의 설정레벨에 따라 가변되는 광원; 광원의 점멸 또는 비점멸 상태를 선택하는 해저드 스위치; 및, 실내조명 스위치의 선택모드 및 해저드 스위치의 상태선택에 따라서 광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해저드 스위치가 점멸상태로 선택되었을 때, 리오스태트 스위치의 설정레벨과는 관계없이 최대밝기로 광원을 점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용 해저드 스위치 인디케이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해저드 스위치 인디케이터 및 그의 제어방법{HAZARD SWITCH INDICATOR FOR AN AUTOMOBI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해저드 스위치 인디케이터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조명 스위치 및 해저드 스위치의 입력조건에 따라 한 개의 LED 램프 만으로 구성된 해저드 스위치 인디케이터의 밝기를 가변적으로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해저드 스위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면서도 시인성이 개선된 차량용 해저드 스위치 인디케이터 및 그 해저드 스위치 인디케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에 관한 이하의 논의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는 것만을 의도하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는 언급된 사항들 중 어느 것도 본 발명의 출원 당시 이미 반포되었거나, 공지되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보유하는 통상적인 지식의 일부임을 확인하거나 또는 인정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여러 가지 조명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특히, 차량의 실내의 인테리어 조명에 있어서는 내부에 장착된 각종 전기 장비들, 예를 들어 오디오, 공조장치인 히터나 에어컨, 컨트롤러, 디지털 시계 등을 야간에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표시등 및, 차량의 상태를 운전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클러스터(Cluster)에 마련되는 속도계, 연료계 및 엔진 회전계와 기타 다른 성능 또는 정보를 나타내는 지시등을 포함한다. 통상 상기 표시등용으로는 전구가 적용되며, 상기 지시등으로서는 발광다이오드(LED)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아울러, 차량의 클러스터에는 각종 정보의 디스플레이 효율을 높이기 위해 액정디스플레이(LCD)를 이용한다.
또한, 차량의 센터 페시아에는 오디오, FATC(풀오토 에어컨 시스템) 및, 통상 비상등이라 불리우는 해저드 스위치와 같은 각종 스위치류가 배열되어 있다. 차량의 각종 조작을 위한 스위치들에는, 야간 주행 시 또는 주간이라도 어두운 곳을 주행할 때, 운전자가 이들 스위치를 용이하게 시인하기 위하여 인디케이터(indicator) 조명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운전자가 전방 시야를 주시하면서 차량의 모든 정보를 쉽게 볼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선명하게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종 스위치류에 사용되는 인디케이터용의 광원(LED)은 주간과 야간 조명모드로 구분하여 동작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주간에는 휘도의 변화없이 일정한 밝기를 유지하고, 야간이나, 주간이라도 어두운 환경에서는 조광기라고 불리우는 리오스태트(Rheostat: 가감저항기)에 연동되어 밝기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리오스태트 스위치는 그의 고정 주파수에서 듀티(Duty) 가변값을 입력받아 동일한 비율로 광원(LED)에 출력함으로써 그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흔히 운전석의 클러스터 하부에 장착되며, 상하 또는 좌우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절되는 리오스태트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MOSFET 트랜지스터 등을 통한 듀티(Duty)비 제어에 의해 감광량이 조절되는 것이다.
시동 키를 온(ON)하게 되면 배터리로부터 9V 정전압이 인가되고, 리오스태트 스위치의 조절 및 듀티비 제어에 의해 클러스터, FATC, 오디오, 각종 스위치 등에 내장된 광원의 밝기가 조절된다.
한편, 해저드 스위치는 차량이 노상에서 긴급 정차하고 있을 때 다른 자동차의 추돌을 피하기 위하여, 또는 전방에서의 긴급상황 발생시에, 전후좌우의 방향 지시등과 보조 방향 지시등이 동시에 점멸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리오스태트에 의해 클러스트의 조명과 연동되어 다른 스위치류의 인디케이터용 조명의 밝기와 마찬가지로 운전자가 그 밝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해저드 스위치는, 그 기능의 중요성을 감안할 때 비상시에는 신속하게 작동시키고 다시 해제시켜야만 함에도 불구하고, 일단 스위칭 온되면 해저드 스위치 인디케이터용 광원인 발광 다이오드가 점등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야간에는 운전석에 설치되어 있는 다른 조작 스위치류와의 식별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해저드 스위치에 대한 야간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최근에는 해저드 인디케이터용의 광원으로서, 해저드 스위치를 누르면 점멸되는 인디케이터용 광원와, 스위치를 누르지 않았을 때라도 야간 등에 해저드 스위치를 인식하도록 조명하기 위한 스위치 조명용 광원으로 2개 LED를 사용하여 해저드 스위치 인디게이터를 구현함으로써, 운전석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구동 스위치와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도 1은 이와 같은 종래의 해저드 인디케이터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리오스태트 스위치(100)로부터의 조광레벨이 클러스터(200:Cluster)로 입력되고, 클러스터(200)는 이 조광레벨을 차량 내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에 의하여 ICU (300: Integrated Control Unit)로 인가한다. 한편, 야간 등에 해저드 스위치(400)를 인식시키기 위하여, 스위치 조명용으로 별도의 광원(LED)을 추가로 구성하였으며, 이 스위치 조명용 광원은 실내조명이 켜지면 ON 상태로 되고, 실내조명이 꺼지면 OFF 상태로 된다.
비상상황이 발생하여 해저드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해저드 인디케이터용 광원이 점멸상태로 되면, ICU(300)는 리오스태트 스위치(100)로부터의 조광레벨에 따라서 듀티비 제어에 의해 점멸하고 있는 해저드 인디케이터용의 광원의 밝기를 제어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인디케이터용 광원 및 조명용 광원을 한 개의 해저드 스위치(400) 내에 구성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첫째로, 하나의 스위치에 2개의 광원을 사용해야만 하며, 조명용 광원을 위한 별도의 회로부가 필요하므로, 차량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된다.
둘째로, 야간 또는 어두운 곳에서 해저드 스위치를 스위칭 온할 때에는 이미 실내조명용 광원이 ON되어 있기 때문에, 인디케이터용으로 점멸하고 있는 광원의 점멸상태가 조명용 광원이 스위칭 오프된 상태에 비하여 시인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된다.
즉, 인디케이터가 스위칭 온되어 있는 상태에 대한 시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인디케이터용 광원을 점멸시켜도, 이미 스위칭 온되어 있는 조명용 광원의 존재로 인하여 해저드 스위치 인디케이터용 광원의 시인성이 또 다시 떨어지게 되며, 이러한 문제는 해저드 스위치에 있어서 인디케이터용 광원과 조명용 광원을 개별적으로 채택하였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는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해저드 인디케이터의 밝기와 실내조명 및 해저드 스위치의 선택상태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운전자가 컴비네이션 스위치를 조작하여 미등상태로 하는 경우, 실내조명이 ON으로 되어 인디케이터용 광원도 ON 이지만 해저드 스위치가 OFF인 상태(즉, 비점멸 상태가 선택된 경우)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리오스태트로부터의 조광레벨에 따라서 듀티비 제어에 의해 해저드 인디케이터용의 광원의 밝기를 제어하게 되므로, 야간에 실내조명의 밝기를 최대로 하지 않은 경우에는 리오스태트의 조광레벨대로 인디케이터용 광원의 밝기도 제어된다.
한편, 실내조명이 OFF (즉, 주간 등)인 상태에서는 리오스태트로부터의 조광레벨이 반영되지 않으므로, 인디케이터용 광원의 밝기는 최대로 된다.
그러나, 실내조명이 ON 이고, 해저드 스위치도 ON 인 경우, 이미 스위치 조명용 광원이 ON 되어 있기 때문에, 실내조명이 OFF 상태이고 최대밝기로 인디케이터가 점멸되는 경우에 비해서 현저하게 시인성이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내 조명 스위치 및 해저드 스위치의 ON/OFF 입력조건에 따라 한 개의 LED램프 만으로 구성된 해저드 인디케이터의 밝기를 가변적으로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종래의 해저드 스위치 내에서 인디케이터용 광원 및 조명용 광원이 별도로 구성되어 있던 것을 하나의 광원만을 사용하여 구현함으로써, 해저드 스위치 인디케이터를 종래에 비하여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차량용 해저드 스위치 인디케이터 및 그 인디케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이 야간 또는 어두운 곳을 운행할 때에, 종래의 해저드 스위치 내의 인디케이터용 광원의 시인성이 개선될 수 있는 차량용 해저드 스위치 인디케이터 및 그 인디케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해저드 스위치 인디케이터는, 차량의 실내조명 스위치가 야간 조명모드일 때 점등되며, 그의 조도가 리오스태트 스위치의 설정레벨에 따라 가변되는 광원; 상기 광원의 점멸 또는 비점멸 상태를 선택하는 해저드 스위치; 및, 상기 실내조명 스위치의 선택모드 및 상기 해저드 스위치의 상태 선택에 따라서 상기 광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저드 스위치가 점멸상태로 선택되었을 때, 상기 리오스태트 스위치의 설정레벨과는 관계없이 최대밝기로 광원을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저드 스위치가 비점멸 상태로 선택되었을 때, 상기 광원이 상기 리오스태트 스위치의 설정레벨을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리오스태트 스위치의 설정 레벨은 상기 제어부에서 PWM 제어신호의 듀티비를 조절하여 광원으로 인가되며, 듀티비가 조절된 PWM 제어신호는 클러스터를 통하여 제어부로 인가되고, 상기 클러스터는 상기 PWM 제어신호를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에 의하여 제어부에 인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저드 스위치가 점멸상태로 선택되었을 때, 상기 제어부는 해저드 램프의 ON 타임에는 PWM 듀티비를 100%로 하여 출력하고 OFF 타임에는 10%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실내조명 스위치가 야간 조명모드일 때 점등되고, 그의 조도가 리오스태트 스위치의 설정레벨에 따라 가변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의 점멸 또는 비점멸 상태를 선택하는 해저드 스위치를 포함하는 해저드 인디케이터의 제어방법으로서, (i) 상기 실내조명 스위치의 조명모드 및 상기 해저드 스위치의 선택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ii) 상기 (i) 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실내조명 스위치가 야간모드이고, 해저드 스위치가 비점멸 상태이면, 상기 리오스태트 스위치의 설정레벨과 동일하게 광원의 조도를 제어하고, 실내조명 스위치의 모드와는 관계없이, 해저드 스위치가 점멸 상태이면, 해저드 램프가 ON 타임인지 또는 OFF 타임인지 판단하는 단계; (iii) 상기 (ii) 단계에서의 판단결과, 해저드 램프가 ON 타임인 경우에는, 광원을 최대조도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해저드 인디케이터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오스태트 스위치의 설정레벨은 PWM 제어신호의 듀티비를 조절하여 광원으로 인가되며, 상기 광원의 최대조도는 PWM 듀티비를 100%로 하여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iii) 상기 (ii) 단계에서의 판단결과, 해저드 램프가 OFF 타임인 경우에는, PWM 듀티비를 10%로 하여 출력한다.
또한, 상기 (i) 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실내조명 스위치가 주간모드이고, 해저드 스위치가 비점멸 상태이면, (ii) 단계로 가지 아니하고 PWM 듀티비를 10%로 하여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차량의 해저드 인디케이터 및 그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종래기술에 있어서 해저드 스위치내에 2개의 LED소자를 사용하였던 것을, 기능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도, 종래 기술에서 문제되었던 조명용 광원을 위한 별도의 회로부가 필요없게 되므로, 가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해저드 스위치 조명용 광원을 없애고, 인디케이터용의 하나의 LED만을 사용함으로써, 조명용 광원이 스위칭 온되어 있음으로 인한 인디케이터용 광원의 점멸상태에 대한 시인성이 현저하게 개선된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해저드 인디케이터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해저드 인디케이터의 밝기와 실내조명 및 해저드 스위치의 선택상태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해저드 인디케이터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해저드 스위치 인디케이터 밝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해저드 인디케이터의 밝기와 실내조명 및 해저드 스위치의 선택상태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그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하였을 때에는,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 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는 없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해저드 스위치 인디케이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해저드 인디케이터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의한 해저드 인디케이터 표시장치와는 달리,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해저드 스위치 조명용 광원을 없애고, 인디케이터용으로 한 개의 LED만을 사용하여 인디케이터의 기능과 함께 해저드 스위치 조명용 광원을 겸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해저드 인디케이터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리오스태트 스위치(100)로부터의 조광레벨이 클러스터(200:Cluster)로 입력되고, 클러스터(200)는 이 조광레벨을 차량내 CAN 통신에 의하여 ICU (300)로 인가하는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해저드 스위치용 인디케이터에 있어서와 동일하며, 비상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해저드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해저드 인디케이터용 광원이 점멸상태로 되는 것도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실내조명 스위치의 조명모드 및 해저드 스위치의 선택상태에 따라서, ICU(300)가 점멸하고 있는 해저드 인디케이터용의 광원의 밝기를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해저드 스위치 인디케이터에 사용되는 광원(LED)은, 통상 스티어링 휠축의 좌측에 설치되는 컴비네이션 스위치를 스위치의 축방향으로 1단계로 회동시킴으로써 차량의 실내조명 스위치가 야간 조명모드를 선택하였을 때 점등되며, 이 상태를 ON, 원위치로 복귀하여 실내조명이 꺼지는 상태를 OFF 상태로 한다.
이 광원은, 그의 조도가 리오스태트 스위치의 설정레벨에 따라 가변될 수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리오스태트 스위치(100)로부터의 조광레벨은 클러스터(200)로 입력되고, 클러스터(200)는 이 조광레벨을 차량내 CAN 통신에 의하여 제어부인 ICU(300)로 인가된다.
또한, 상기 리오스태트 스위치의 설정레벨은 ICU(300)에서 PWM 제어신호의 듀티비를 조절하여 광원으로 인가된다.
한편, 상기 광원의 점멸 또는 비점멸 상태를 선택하는 해저드 스위치는 비상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그 해저드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상기 광원을 점멸상태로 되도록 선택할 수 있으며, 비상상황이 해제되었을 때 다시 해저드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비점멸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또한 ICU(300)는, 리오스태트 스위치(100)로부터의 조광레벨에 따라서 듀티비 제어에 의해 해저드 인디케이터용의 광원의 밝기를 제어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인 실내조명 스위치의 선택모드 및 상기 해저드 스위치의 상태선택에 따라서 해저스 스위치 인디케이터 광원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로직에 대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인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인 ICU는 실내조명 스위치의 조명모드 및 해저드 스위치의 선택상태를 판단하며, 이들 스위치의 선택 상태에 따라서 밝기제어의 각 스텝은 다음과 같은 4개의 경우로 나누어지게 된다.
① 실내조명SW=OFF & 해저드SW=OFF (S101),
② 실내조명SW=ON & 해저드SW=OFF (S102),
③ 실내조명SW=ON & 해저드SW=ON (S103),
④ 실내조명SW=OFF & 해저드SW=ON (S104).
상기 실내조명 스위치의 조명모드 및 해저드 스위치의 선택상태에 대한 판단결과, ① 실내조명SW=OFF 이고, 해저드SW=OFF 인 경우(S101), 즉 실내조명 스위치가 주간모드이고, 해저드 스위치도 비점멸 상태인 통상의 주간 주행중인 경우에는, 광원이 켜지지 않은 상태이므로, ICU(300)는 PWM 듀티비를 10%로 출력하게 되며, 이는 통상 전원이 OFF된 상태로 간주되는 듀티비이다(S201). 따라서, 실내조명 및 해저드 스위치의 선택상태와 해저드 인디케이터의 밝기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 5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의 밝기는 0으로 된다.
다음으로, ② 실내조명SW=ON 이고 해저드SW=OFF 인 경우 (S102), 즉 실내조명 스위치를 야간모드로 선택하고, 해저드 스위치가 눌러지지 않은 통상의 야간주행 상태에서는, ICU(300)가 PWM 듀티비가 리오스테트 레벨값과 동일하게 되도록 출력값을 제어하게 되며(S202), 도 5에서와 같이 리오스테트에서 설정된 조도에 따라서 인디케이터의 밝기가 유지된다.
한편, 본 발명의 로직에 있어서 특징적인 부분으로서, ③ 실내조명SW=ON 이고 해저드SW=ON 인 경우 및 ④ 실내조명SW=OFF & 해저드SW=ON 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두 경우는 실내조명 스위치의 모드와는 관계없이, 즉, 주간이건 야간이건상관 없이 운전자가 비상상태를 표시하기 위하여 해저드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해저드 스위치도 점멸 상태로 되는 경우들로서, 이들에 대해서 ICU(300)는 다음 단계로 해저드 램프의 주기가 ON 타임인지 또는 OFF 타임인지 판단한다(S203).
어느 경우이건 해저드 램프의 한 주기 중 ON 타임인 경우, ICU(300)는 광원을 최대조도로, 즉 PWM 듀티비를 100%로 하여 출력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ICU(300)는 상기 해저드 스위치가 점멸상태로 선택되었을 때, 상기 리오스태트 스위치의 설정레벨과는 관계없이 최대밝기로 광원을 점등하도록 제어하게 되는 것으로서, 도 5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실내조명 스위치의 ON/OFF 상태와는 관계없이 인디케이터의 밝기는 100% 와 0%의 상태를 반복하게 된다.
여기에서, ④ 실내조명SW=OFF & 해저드SW=ON 인 경우 (S104)는, 실내조명을 켜지 않고 해저드 스위치만 눌러진 상태로서, 주간에 해저드 스위치를 눌러 비상상황을 나타내고자 하는 경우이므로, 결국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ICU(300)는 해저드 램프의 ON 타임에는 PWM 듀티비를 100%로 하여 출력하고 OFF 타임에는 10%로 출력하게 되고,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의 밝기는 100% 와 0%의 상태를 반복하게 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1)

  1. 차량의 실내조명 스위치가 야간 조명모드일 때 점등되며, 그의 조도가 리오스태트 스위치의 설정레벨에 따라 가변되는 광원;
    상기 광원의 점멸 또는 비점멸 상태를 선택하는 해저드 스위치; 및,
    상기 실내조명 스위치의 선택모드 및 상기 해저드 스위치의 상태선택에 따라서 상기 광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저드 스위치가 점멸상태로 선택되었을 때, 상기 리오스태트 스위치의 설정레벨과는 관계없이 최대밝기로 광원을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의 해저드 인디케이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저드 스위치가 비점멸 상태로 선택되었을 때, 상기 광원이 상기 리오스태트 스위치의 설정레벨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의 해저드 인디케이터.
  3.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오스태트 스위치의 설정레벨은 제어부에서 PWM 제어신호의 듀티비를 조절하여 광원으로 인가되는, 차량의 해저드 인디케이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듀티비가 조절된 PWM 제어신호는 클러스터를 통하여 제어부로 인가되는 것인, 차량의 해저드 인디케이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는 상기 PWM 제어신호를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에 의하여 제어부에 인가하는, 차량의 해저드 인디케이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해저드 스위치가 점멸상태로 선택되었을 때, 상기 제어부는 해저드 램프의 ON 타임에는 PWM 듀티비를 100%로 하여 출력하고 OFF 타임에는 10%로 출력하는, 차량의 해저드 인디케이터.
  7. 차량의 실내조명 스위치가 야간 조명모드일 때 점등되고, 그의 조도가 리오스태트 스위치의 설정레벨에 따라 가변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의 점멸 또는 비점멸 상태를 선택하는 해저드 스위치를 포함하는 해저드 인디케이터의 제어방법으로서,
    (i) 상기 실내조명 스위치의 조명모드 및 상기 해저드 스위치의 선택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ii) 상기 (i) 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실내조명 스위치가 야간모드이고, 해저드 스위치가 비점멸 상태이면, 상기 리오스태트 스위치의 설정레벨과 동일하게 광원의 조도를 제어하고,
    실내조명 스위치의 모드와는 관계없이, 해저드 스위치가 점멸 상태이면, 해저드 램프가 ON 타임인지 또는 OFF 타임인지 판단하는 단계;
    (iii) 상기 (ii) 단계에서의 판단결과,
    해저드 램프가 ON 타임인 경우에는, 광원을 최대조도로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해저드 인디케이터의 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리오스태트 스위치의 설정레벨은 PWM 제어신호의 듀티비를 조절하여 광원으로 인가되는 것인, 차량의 해저드 인디케이터의 제어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최대조도는 PWM 듀티비를 100%로 하여 출력하는 것인, 차량의 해저드 인디케이터의 제어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iii) 상기 (ii) 단계에서의 판단결과,
    해저드 램프가 OFF 타임인 경우에는, PWM 듀티비를 10%로 하여 출력하는 것인, 차량의 해저드 인디케이터의 제어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i) 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실내조명 스위치가 주간모드이고, 해저드 스위치가 비점멸 상태이면, (ii) 단계로 가지 아니하고 PWM 듀티비를 10%로 하여 출력하는 것인, 차량의 해저드 인디케이터의 제어방법.
KR1020160181221A 2016-12-28 2016-12-28 차량용 해저드 스위치 인디케이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626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221A KR102626247B1 (ko) 2016-12-28 2016-12-28 차량용 해저드 스위치 인디케이터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221A KR102626247B1 (ko) 2016-12-28 2016-12-28 차량용 해저드 스위치 인디케이터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736A KR20180076736A (ko) 2018-07-06
KR102626247B1 true KR102626247B1 (ko) 2024-01-17

Family

ID=62921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1221A KR102626247B1 (ko) 2016-12-28 2016-12-28 차량용 해저드 스위치 인디케이터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2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737B1 (ko) 2007-07-18 2008-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아이엠에스를 이용한 클러스터 조명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0042732A (ja) 2008-08-11 2010-02-25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周囲状況提示装置
JP4491755B2 (ja) 2008-02-26 2010-06-30 株式会社デンソー インジケータ駆動装置
KR101405584B1 (ko) 2008-04-25 2014-06-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조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977B1 (ko) * 2003-06-18 2010-10-20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계기판의 조명 제어방법
KR101047263B1 (ko) * 2008-12-18 2011-07-0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미등 감광 해제 기능을 갖는 레오스타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737B1 (ko) 2007-07-18 2008-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아이엠에스를 이용한 클러스터 조명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4491755B2 (ja) 2008-02-26 2010-06-30 株式会社デンソー インジケータ駆動装置
KR101405584B1 (ko) 2008-04-25 2014-06-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조명 장치
JP2010042732A (ja) 2008-08-11 2010-02-25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周囲状況提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736A (ko) 201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8451B2 (en) Ambient light based illumination control
KR102370464B1 (ko) 차량 비상 시스템의 강화
CN102209412A (zh) 随车速控制骑乘车辆照明亮度的控制电路
JP2016520478A (ja) 自動車の車内照明システム
JP4491755B2 (ja) インジケータ駆動装置
JP2019531965A (ja) 車両ハザード・ランプ用改良通信システム
JP3205778U (ja) ヘッドランプの色温度制御モジュール
EP3233571B1 (en) Two stage indicator dimming circuit controlled by pwm backlighting back feed and backlight control
TWI496705B (zh) 具智慧型頭燈控制系統之車體
US20110241545A1 (en) Vehicle headlight alert system and method
CN113650554B (zh) 一种雾灯控制方法、系统、可读存储介质及车辆
KR102626247B1 (ko) 차량용 해저드 스위치 인디케이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644447B1 (ko) 자동차용 실내조명 감광 제어 장치 및 방법
JPH1059066A (ja) 照明調光回路
KR101047263B1 (ko) 미등 감광 해제 기능을 갖는 레오스타트
KR20230029373A (ko) 단일 채널 기반 다기능 led 램프 구동 시스템
JP2012144165A (ja) 調光制御システム
JP2011105280A (ja) 自動車用電力制御装置
KR100505872B1 (ko) 차량의 후진등 밝기 조절장치
KR20090106246A (ko) 차량 내부 조명 밝기 조절 시스템
KR20110005034A (ko)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26410B1 (ko) 차량의 클러스터 조명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S6326971Y2 (ko)
KR200359670Y1 (ko) 자동차 조명회로
RU140519U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лампами дальнего света в режиме дневных ходовых огн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2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12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08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