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5601A - 차량용 조명장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조명장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5601A
KR20130115601A KR1020120038049A KR20120038049A KR20130115601A KR 20130115601 A KR20130115601 A KR 20130115601A KR 1020120038049 A KR1020120038049 A KR 1020120038049A KR 20120038049 A KR20120038049 A KR 20120038049A KR 20130115601 A KR20130115601 A KR 20130115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vehicle
illuminance
rainfall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3349B1 (ko
Inventor
방명극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8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349B1/ko
Priority to CN201310093650.0A priority patent/CN103373271B/zh
Publication of KR20130115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15Dimming circuits
    • B60Q1/142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 B60Q1/14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combined with another condition, e.g. using vehicle recognition from camera images or activation of wi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3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vehicle environment
    • B60Q2300/31Atmospheric conditions
    • B60Q2300/312Adverse wea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3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vehicle environment
    • B60Q2300/31Atmospheric conditions
    • B60Q2300/314Ambien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 제어방법은, 차량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감지된 조도가 기설정된 조도범위에 포함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조도범위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광도의 빛을 제1램프가 조사하는 제2단계, 차량 외부의 안개를 감지하는 제3단계, 안개가 감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제2램프를 점등하는 제4단계, 차량의 브레이킹 시스템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제5단계 및 상기 브레이킹 시스템이 작동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단계에서 감지된 조도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광도의 빛을 제3램프가 조사하는 제6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조명장치 제어방법 {METHOD FOR CONTROLING HEADLAMP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용 조명장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외부의 조도, 기상상태 등을 고려하여서 조명장치의 광도를 조절할 수 있는 차량용 조명장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자체 엔진에서 동력을 생산해 바퀴에 전달하여 도로 상에서 승객이나 화물을 운반하는 교통 수단이다. 자동차는 크게 외관을 형성하는 차체(body)와 각종 장치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섀시(chassis)로 나눌 수 있다. 섀시는 주행의 원동력이 되는 자동차 엔진을 비롯하여 동력전달 장치, 조향 장치, 현가 장치, 제동 장치 등 주요 장치를 포함한다.
엔진은 자동차를 달리게 하는 원동력이다. 대부분의 자동차 엔진은 4행정 내연기관이다. 4행정 내연기관은 흡입, 압축, 폭발, 배기의 4행정에 의해 한 주기를 끝내는 내연기관으로 왕복운동 엔진의 가장 일반적인 예이다. 주로 휘발성 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은 연료를 공기 중의 산소와 완전연소가 이루어지도록 잘 혼합된 상태에서 압축을 한 다음 연소를 시킬 때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직접 이용해 운동에너지를 얻는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주행 중 주위의 조도가 낮을 경우에 운전자의 시계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거나 차량의 주행 상태를 다른 차량에게 알리기 위한 조명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차량용 조명 장치는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는 헤드램프와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는 리어램프(후미램프)를 포함한다. 헤드램프는 전방을 조명하여 야간 운행 중에 전방을 비추는 램프이다. 리어 램프는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조작할 때에 점등되는 브레이크 등과 차량의 진행방향을 알리는 방향지시등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차량용 램프 장치는 운전자의 안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사람의 눈은 선천적으로 낮은 광량(야간)는 낮은 광도의 빛에도 민감하게 반응하고, 높은 광량(주간)에는 높은 광도의 빛에도 둔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차량이 조명장치가 주간 및 야간에 동일한 광도로 작동되는 경우 야간에는 눈의 피로감을 유발하고 주간에는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 외부의 조도 및 기상상황에 따라 광도가 가변되는 차량용 조명장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 제어방법은, 차량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감지된 조도가 기설정된 조도범위에 포함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조도범위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광도의 빛을 제1램프가 조사하는 제2단계, 차량 외부의 안개를 감지하는 제3단계, 안개가 감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제2램프를 점등하는 제4단계, 차량의 브레이킹 시스템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제5단계 및 상기 브레이킹 시스템이 작동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단계에서 감지된 조도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광도의 빛을 제3램프가 조사하는 제6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차량 외부의 조도 및 기상상황에 따라 차량의 후방 조명의 밝기를 조절함으로써, 후방 차량 운전자의 눈의 피로감을 감소시키고,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후미 안개램프의 광도는 매우 높아서 실수로 켜질 경우 후방 운전자에게 심각한 운전방해를 할 수 있는데 실시예는 후미 안개램프가 실수로 켜지는 것을 방지하여서, 후방 운전자의 시인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조도 및 기상상황에 따라 다른 광도로 가변되는 조명을 사용하면 다른 운전자에게 언제나 정확한 차량의 시그널을 전파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야간, 주간, 일출, 일몰, 우천, 안개 등의 상황에 따라 조명장치를 조작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성과, 조작으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의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의 제어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서 자동차의 조명장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자동차를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의 조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는 차량(1)에 장착되고, 차량용 램프 장치의 램프들(50, 60, 70)은 차량(1)의 후방에 에 장착되어서, 후행하는 차에게 선행 차량의 정보를 알려주거나, 후행 차량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램프들(50, 60, 70)은 후미램프, 브레이크램프 및 안개램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램프들(50, 60, 70)은 후미램프와 브레이크램프의 기능을 일체로 가질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의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조명장치는 조도감지센서부(10), 강우감지센서부(20), 안개감지센서부(30), 브레이킹센서부(40), 제1램프(50), 제2램프(60), 제3램프(70) 및 컨트롤러(80)를 포함한다.
조도감지센서부(10)는 차량(1) 외부의 조도를 감지한다. 조도감지센서부(10)는 감지한 조도 정보를 컨트롤러(80)에 입력한다. 여기서, 조도는 눈의 감도를 기준으로 하여 측정한 광사 속(광속이라 한다)의 밀도를 의미한다. 또한, 조도감지센서부(10)는 오토라이트 시스템(Auto light system)과 공유될 수 있다.
강우감지센서부(20)는 차량(1) 외부의 강우유무 및 강우 정도를 감지한다. 강우감지센서부(20)는 감지한 강우유무 및 강우 정도에 대한 정보를 컨트롤러(80)에 입력한다. 강우감지센서부(20)는 예를 들면, 차량(1)의 와이퍼 이동을 감지하거나, 차량(1) 유리창에 뭍은 물로 인해 광의 굴절여부를 통해서 강우를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강우감지센서부(20)는 구성될 수 있다.
안개감지센서부(30)는 차량(1) 외부의 안개를 감지한다. 안개감지센서부(30) 는 감지한 안개 정보를 컨트롤러(80)에 입력한다.
브레이킹센서부(40)는 차량(1)의 브레이킹 시스템의 작동여부를 감지한다. 즉, 브레이킹센서부(40)는 차량(1)의 브레이크, 차세제어장치 등의 작동여부를 감지한다. 브레이킹센서부(40)는 감지한 브레이킹 시스템 작동여부에 대한 정보를 컨트롤러(80)에 입력한다.
제1램프(50), 제2램프(60) 및 제3램프(70)는 컨트롤러(80)에서 입력된 명령 정보에 의해 빛을 조사한다. 제1램프(50), 제2램프(60) 및 제3램프(70))는 복수의 스팟 램프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복수개의 스팟 램프는 빛을 조사할 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 제1램프(50), 제2램프(60) 및 제3램프(70)는 컨트롤러(80)에서 입력된 명령 정보에 의해 빛의 광도를 달리할 수 있는데, 이는 제1램프(50), 제2램프(60) 및 제3램프(70)에 연결된 저항수치를 조정하거나, 각 램프(50, 60, 70)를 구성하는 서브램프의 온/오프를 조정해서 구현할 수 있다.
제1램프(50), 제2램프(60) 및 제3램프(70)는 차량(1)의 후방에 장착되어서 후행하는 차량에 선행 차량의 정보를 전달하고, 야간 운전 시에 후행 차량의 시인성을 향상시킨다. 제1램프(50), 제2램프(60) 및 제3램프(70)는 개별적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램프(50) 및 제2램프(60)는 동일 광원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제1램프(50), 제2램프(60) 및 제3램프(70)의 광원은 전력소모가 작으면서 발광력이 뛰어난 뛰어난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광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램프(50), 제2램프(60) 및 제3램프(70)의 광원으로써 할로겐 램프와 고전압방출(HID) 램프 등의 다양한 종류의 램프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제1램프(50), 제2램프(60) 및 제3램프(70)는 개별 점등되는 엘이디 광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트롤러(80)는 각 센서들(10,20,30,40)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바탕으로 연산하며, 제1램프(50), 제2램프(60) 및 제3램프(7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컨트롤러(80)는 각 센서들(10,20,30,40)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각 센서들(10,20,30,40)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컨트롤러(80)는 센서들(10,20,30,40), 램프들(50,60,70)과 유선 또는 무선통신방법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80)와 각 구성요소들은 블루투스(Bluetooth),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와이파이, 와이맥스,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RF통신, CAN통신 및 NFC(근거리 무선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가 변경 가능한 모든 유무선 통신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러(80)는 조도감지센서부(10)에서 감지된 조도가 기설정된 조도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하여서 상기 조도범위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광도의 빛을 제1램프(50)가 조사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1램프(50)는 후미램프일 수 있다. 즉, 컨트롤러(80)는 조도감지센서부(10)에서 감지된 조도범위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1램프(50)에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기설정된 조도범위 및 기설정된 광도는 컨트롤러(80)의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값일 수 있다. 기설정된 조도범위는 주간, 야간 및 일출/일몰 시의 조도범위를 입력하고, 기설정된 광도는 주간, 야간 및 일출/일몰 시에 인간의 눈에 가장 적당한 시인성을 갖는 광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람의 눈은 선천적으로 낮은 광량(야간)는 낮은 광도의 빛에도 민감하게 반응하고, 높은 광량(주간)에는 높은 광도의 빛에도 둔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기설정된 광도는 기설정된 조도범위가 높을수록 높게 설정된다.
또한, 컨트롤러(80)는 안개감지센서부(30)에서 안개를 감지하였다고 판단되면, 제2램프(60)를 점등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2램프(60)는 안개램프일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80)는 브레이킹센서부(40)에서 차량의 브레이킹 시스템의 작동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브레이킹 시스템이 작동한다고 판단되면, 조도감지센서부(10)에서 감지된 조도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광도의 빛을 제3램프(70)가 조사하도록 제3램프(7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3램프(70)는 브레이크램프일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80)는 강우감지센서부(20)에서 감지된 강우범위가 기설정된 강우범위에 포함된다고 판단되면, 제2램프(60)를 점등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2램프(60)는 안개램프일 수 있다. 즉, 강우의 정도가 심한 경우 제2램프(60)(안개램프)을 점등하여서 후방 운행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80)는 브레이킹센서부(40)에서 차량의 브레이킹 시스템의 작동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브레이킹 시스템이 작동한다고 판단되면, 강우감지센서부(20)에서 감지된 강우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광도의 빛을 제3램프(70)가 조사하도록 제3램프(7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3램프(70)는 브레이크램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명장치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실시예의 차량용 조명장치 제어방법은 조도감지센서부(10)는 차량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조도정보를 컨트롤러(80)에 입력한다(S10).
컨트롤러(80)는 상기 조도감지센서부(10)에서 감지된 조도가 기설정된 조도범위에 포함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조도범위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광도의 빛을 제1램프(50)가 조사하도록 한다(S20). 여기서, 기설정된 조도범위 및 기설정된 광도는 컨트롤러(80)의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값일 수 있다. 기설정된 조도범위는 주간, 야간 및 일출/일몰 시의 조도범위를 입력하고, 기설정된 광도는 주간, 야간 및 일출/일몰 시에 인간의 눈에 가장 적당한 시인성을 갖는 광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람의 눈은 선천적으로 낮은 광량(야간)는 낮은 광도의 빛에도 민감하게 반응하고, 높은 광량(주간)에는 높은 광도의 빛에도 둔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기설정된 광도는 기설정된 조도범위가 높을수록 높게 설정된다. 따라서, 차량 외부에 조도에 따라 차량의 후방 조명의 밝기를 조절함으로써, 후방 차량 운전자의 눈의 피로감을 감소시키고,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안개감지센서부(30)는 차량 외부의 안개를 감지하고, 감지된 안개정보를 컨트롤러(80)에 입력한다(S30).
컨트롤러(80)는 안개감지센서부(30)에서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안개가 감지되었다고 판단되면(S41), 제2램프(60)를 점등할 수 있다(S42). 제2램프(60)는 후미 안개램프일 수 있는데, 후미 안개램프의 광도는 매우 높아서 실수로 켜질 경우 후방 운전자에게 심각한 운전방해를 할 수 있다. 실시예는 후미 안개램프가 실수로 켜지는 것을 방지하여서, 후방 운전자의 시인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브레이킹센서부(40)는 차량의 브레이킹 시스템의 작동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브레이킹 시스템의 작동정보를 컨트롤러(80)에 입력한다(S50).
컨트롤러(80)는 브레이킹센서부(40)에서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브레이킹 시스템의 작동여부를 판단하고(S61), 상기 브레이킹 시스템이 작동한다고 판단되면, 조도감지센서부(10)에서 감지된 조도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광도의 빛을 제3램프(70)가 조사하도록 한다(S62). 즉, 차량 외부의 조도에 따라 제3램프(70)(브레이크램프)의 광도를 조절하여서, 후방 운전자의 피로감을 줄이고,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강우감지센서부(20)는 차량 외부의 강우를 감지하고, 감지한 강우정보를 컨트롤러(80)에 입력한다(S70).
컨트롤러(80)는 강우감지센서부(20)에서 감지된 강우범위가 기설정된 강우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하고(S81), 감지된 강우범위가 기설정된 강우범위에 포함되면, 제2램프(60)를 점등하는 신호를 출력하여서 제2램프(60)를 점등한다(S82). 여기서, 제2램프(60)는 안개램프일 수 있다. 즉, 강우의 정도가 심한 경우 제2램프(60)(안개램프)을 점등하여서 후방 운행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80)는 브레이킹센서부(40)에서 차량의 브레이킹 시스템의 작동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브레이킹 시스템이 작동한다고 판단되면(S91), 강우감지센서부(20)에서 감지된 강우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광도의 빛을 제3램프(70)가 조사하도록 제3램프(7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92). 여기서, 제3램프(70)는 브레이크램프일 수 있다.
컨트롤러(80)는 사용자가 수동모드로 설정한 경우 제3램프(70)는 고정된 광도로 작동하도록 신호를 출력한다(S200). 또는 사용자가 수동모드로 설정한 경우 차량용 조명장치 제어를 종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6)

  1. 차량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감지된 조도가 기설정된 조도범위에 포함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조도범위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광도의 빛을 제1램프가 조사하는 제2단계;
    차량 외부의 안개를 감지하는 제3단계;
    안개가 감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제2램프를 점등하는 제4단계;
    차량의 브레이킹 시스템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제5단계; 및
    상기 브레이킹 시스템이 작동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단계에서 감지된 조도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광도의 빛을 제3램프가 조사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차량 외부의 강우를 감지하는 제7단계;
    상기 제7단계에서 감지된 강우가 기설정된 강우범위에 포함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2램프를 점등하는 제8단계; 및
    상기 브레이킹 시스템이 작동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7단계에서 감지된 강우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광도의 빛을 제3램프가 조사하는 제9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램프는 일체로 형성되는 차량용 조명장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램프는 자동차의 후방에 위치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램프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수동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3램프는 고정된 광도로 작동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조명장치 제어방법.
KR1020120038049A 2012-04-12 2012-04-12 차량용 조명장치 제어방법 KR101393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049A KR101393349B1 (ko) 2012-04-12 2012-04-12 차량용 조명장치 제어방법
CN201310093650.0A CN103373271B (zh) 2012-04-12 2013-03-22 车辆照明装置的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049A KR101393349B1 (ko) 2012-04-12 2012-04-12 차량용 조명장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601A true KR20130115601A (ko) 2013-10-22
KR101393349B1 KR101393349B1 (ko) 2014-05-09

Family

ID=49459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049A KR101393349B1 (ko) 2012-04-12 2012-04-12 차량용 조명장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93349B1 (ko)
CN (1) CN1033732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43281A (zh) * 2016-07-24 2016-11-23 安徽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汽车雨雾模式控制装置
CN107310465B (zh) * 2017-06-22 2020-02-21 京东方光科技有限公司 刹车灯及其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车辆
KR20220021322A (ko) 2020-08-13 2022-0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조명 장치 및 그의 조명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24796A1 (de) * 1987-07-27 1989-02-16 Doerr Klaus Anwendungs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fuer kfz-nebelschlussleuchten
JP2002347511A (ja) * 2001-05-29 2002-12-04 Nissan Motor Co Ltd 制動灯制御装置
GB2377561A (en) * 2001-07-11 2003-01-15 Stephen Williamson Severe deceleration warning with sequential flashing of rear lights
JP4621994B2 (ja) * 2007-03-02 2011-02-02 株式会社デンソー フォグランプ装置
CN201251068Y (zh) * 2008-07-15 2009-06-03 郭晶亮 Led汽车尾灯
CN202174984U (zh) * 2011-06-23 2012-03-28 蔡淑华 复合式的第三刹车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73271B (zh) 2017-05-24
CN103373271A (zh) 2013-10-30
KR101393349B1 (ko) 201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0720B1 (ko) 차량용 조명장치 제어방법
JP5731144B2 (ja) ヘッドランプへの電力供給を制御する装置
KR102023525B1 (ko) 헤드 라이트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TWI555654B (zh) 頭燈控制系統
US20130188374A1 (en) Motor vehicle headlamp
CN106585484B (zh) 车辆后部照明系统
KR20040041800A (ko) 차량의 전조등 제어장치 및 방법과 그를 위한 다기능구조를 갖는 전조등 램프
CN105751958A (zh) 一种自适应车用照明装置
CN105235581A (zh) 一种多模式切换的自适应调节汽车灯
CN109808584B (zh) 一种车灯光照强度控制方法及装置
JP3205778U (ja) ヘッドランプの色温度制御モジュール
EP3254537B1 (en) Road lighting
KR101393349B1 (ko) 차량용 조명장치 제어방법
JP2009012553A (ja) 車両用灯具
JP2020032803A (ja) 車両のヘッドライト装置
US20180345848A1 (en) Active headlight system and method
CN205395908U (zh) 一种自适应车用照明装置
CN207527487U (zh) 一种汽车照明灯
KR101842804B1 (ko) 자동 배광가변형 조명 및 제어 시스템
KR101349469B1 (ko) 헤드 램프 및 이의 제어 방법
TW202033056A (zh) 車燈系統及其控制方法
KR101393345B1 (ko) 차량용 램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54675B1 (ko)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 시스템
CN207711898U (zh) 一种乘用车灯控制装置
KR20170010581A (ko) 환경정보를 이용한 전조등 및 이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