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3444A -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3444A
KR20180013444A KR1020160097197A KR20160097197A KR20180013444A KR 20180013444 A KR20180013444 A KR 20180013444A KR 1020160097197 A KR1020160097197 A KR 1020160097197A KR 20160097197 A KR20160097197 A KR 20160097197A KR 20180013444 A KR20180013444 A KR 20180013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ing
vehicle
illumin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호
이여경
강지훈
임미리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7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3444A/ko
Publication of KR20180013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4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83Steering wheels; Gear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B60Q3/62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using light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20Multi-color single source or LED matrix, e.g. yellow blinker and red brake lamp generated by single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21Y2115/15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는, 차량 상태를 감지하는 상태 감지부, 노브에 구비되며, 복수의 점등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점등 방식으로 광이 발생되는 조명부, 및 상기 감지된 차량 상태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점등 방식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점등 방식은, 상기 조명부의 조명 영역이 동시에 점등되는 제1 점등 방식 및 상기 조명부의 조명 영역이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제2 점등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Lighting device for shift lever}
본 발명은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차량 속도, 엔진 RPM, 연료량, 주행 거리, 냉각수 온도 등을 같은 차량의 주행 상태나 기타 차량 부속 장치들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계기판이 대시 보드에 구비되어 있고, 운전자는 램프의 점멸이나 지침의 위치 변화를 통해 차량 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계기판은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 운행을 유도하고, 사전 정비 및 점검이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최근에는 차량의 외관뿐만 아니라 실내 디자인에 운전자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음에도, 계기판은 차량이 출고된 상태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디자인의 변경의 여지가 없거나 극히 제한된다.
따라서,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 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다양한 실내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93242호 (2010.08.25.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변속 레버에 구비되는 조명 장치를 통하여 차량 상태를 알릴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가 차량 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변속 레버에 구비되는 조명 장치의 점등 방식에 따라 다양한 실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는, 차량 상태를 감지하는 상태 감지부, 노브에 구비되며, 복수의 점등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점등 방식으로 광이 발생되는 조명부, 및 상기 감지된 차량 상태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점등 방식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점등 방식은, 상기 조명부의 조명 영역이 동시에 점등되는 제1 점등 방식 및 상기 조명부의 조명 영역이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제2 점등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차량 상태에 따라 변속 레버의 노브에 구비된 조명부의 점등 방식을 서로 다르게 하여 운전자가 차량 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명부의 점등 방식에 따라 다양한 실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의 취향에 맞는 실내 분위기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가 도시된 블럭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에 구비된 조명부가 도시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의 발광 영역이 도시된 개략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의 점등 방식이 도시된 개략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조명부의 점등 방식이 도시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도시된 개략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광부가 도시된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도시된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의 위치에 따른 발광 영역이 도시된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도시된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의 동작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가 도시된 블럭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에 구비된 조명부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1)는 상태 감지부(100), 조명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 감지부(100)는 차량 상태를 감지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태 감지부(100)는 변속 모드, 변속단, 차량 속도, 엔진 RPM(Revolution Per Minute), 도어 개폐, 및 램프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태 감지부(100)는 변속 모드를 감지하는 변속 모드 감지부(110), 변속단을 감지하는 변속단 감지부(120), 차량 속도를 감지하는 차량 속도 감지부(130), 엔진 RPM을 감지하는 RPM 감지부(140), 도어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 개폐 감지부(150) 및 램프 동작을 감지하는 램프 감지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태 감지부(100)가 변속 모드 감지부(110), 변속단 감지부(120), 차량 속도 감지부(130), RPM 감지부(140), 도어 개폐 감지부(150) 및 램프 감지부(10)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태 감지부(100)가 상태를 감지하는 대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변속 모드 감지부(110)는 자동 변속 모드, 수동 변속 모드 및 스포츠 변속 모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자동 변속 모드는 운전자가 D단을 선택할 때 차량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변속단이 전환되는 모드이고, 수동 변속 모드는 운전자가 변속단을 전환하는 모드이며, 스포츠 변속 모드는 기본적으로 자동 변속을 수행하면서 운전자가 기어의 단수를 높이거나 낮추어 수동 변속을 하는 모드이다.
변속 모드 감지부(110)는 변속 레버의 위치나 운전자의 스위치 조작 등을 통해 변속 모드를 감지할 수 있다.
변속단 감지부(120)는 변속 레버의 위치를 감지하여 변속 레버의 위치에 따른 변속단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속단 감지부(120)는 변속 레버의 위치에 따른 투과광을 감지하는 포토 센서나 마그넷에 의한 자력 변화를 감지하는 홀 센서 등을 통해 변속 레버의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된 변속 레버의 위치에 따라 P(주차), R(후진), N(중립), D(주행)단 등과 같은 변속단을 감지할 수 있다.
차량 속도 감지부(130)는 속도 센서나 가속도 센서 등을 통해 차량의 주행 속도를 감지할 수 있고, RPM 감지부(140)는 엔진의 회전수를 감지할 수 있는 RPM 센서 등을 통해 엔진 RPM을 감지할 수 있으며, 도어 개폐 감지부(150)는 도어에 구비된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센서 등으로부터 도어 열림을 감지할 수 있다.
램프 감지부(160)는 차량에 설치된 복수의 램프 중 적어도 하나의 램프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램프 감지부(160)는 차량에 설치되는 헤드 램프, 브레이크 램프, 턴 시그널 램프, 포지션 램프, 주간 주행 램프, 백업 램프 등과 같은 복수의 램프 중 적어도 하나의 램프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램프 감지부(160)는 둘 이상의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램프의 경우 각 기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선 변경을 알리는 기능과 더불어 비상 상황을 알리는 비상등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턴 시그널 램프의 경우 각 기능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램프 감지부(160)는 턴 시그널 램프가 비상 상황을 알리는 비상등 기능으로 수행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조명부(200)는 상태 감지부(100)에 의해 감지된 차량 상태를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점등 방식으로 광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점등 방식이 서로 다르다는 것은 광의 색상 및 점등 순서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조명부(200)의 점등 방식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조명부(200)가 도 2 및 도 3과 같이 변속 레버(400)의 손잡이 역할을 하는 노브(410)에 구비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이는 차량을 운행할 때 운전자가 상대적으로 많이 접하게 되는 노브(410)에 조명부(200)를 구비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조명부(200)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조명부(200)는 노브(410)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구성되어 서로 조립될 수도 있다.
조명부(200)는 차량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이나 서로 다른 점등 순서로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조명부(200)의 점등 순서가 다르다는 것은 조명부(200)의 조명 영역을 복수의 발광 영역으로 구분할 때 복수의 발광 영역 각각의 점등 순서가 다르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복수의 발광 영역 각각의 점등 순서에 따라 조명부(200)는 조명 영역이 전체적으로 동시에 점등 및 소등될 수도 있고, 복수의 발광 영역 각각이 소정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등 및 소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조명부(200)의 조명 영역이 전체적으로 동시에 점등되는 것을 제1 점등 방식이라 칭하고, 조명 영역을 구분하는 복수의 발광 영역 각각이 소정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것을 제2 점등 방식이라 칭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조명부(200)의 조명 영역(A)이 제1 내지 제5 발광 영역(A1~A5)으로 구분된다고 가정할 때, 조명부(200)는 제1 점등 방식으로서 제1 내지 제5 발광 영역(A1~A5)이 동시에 점등 및 소등될 수도 있고, 제2 점등 방식으로서 제1 내지 제5 발광 영역(A1~A5) 각각이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순차적으로 점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제1 발광 영역(A1)으로부터 제5 발광 영역(A5)까지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경우의 일 예이고, 도 7 및 도 8은 제3 발광 영역(A3)으로부터 제1 발광 영역(A1) 및 제5 발광 영역(A5)까지 각각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경우의 일 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조명부(200)의 조명 영역(A)이 제1 내지 제5 발광 영역(A1~A5)과 같이 5개의 발광 영역으로 구분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조명부(200)의 조명 영역(A)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5 발광 영역(A1~A5)의 점등 순서는 전술한 도 5 내지 도 8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내지 제5 발광 영역(A1~A5) 각각의 점등 순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제1 내지 제5 발광 영역(A1~A5)이 모두 점등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주기로 가정할 때 각 주기 별로 제1 내지 제5 발광 영역(A1~A5) 각각의 점등 순서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전술한 도 5 내지 도 8에서는 제1 내지 제5 발광 영역(A1~A5) 각각이 소정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등된 후 점등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내지 제5 발광 영역(A1~A5) 각각은 점등된 후 일정 시간 경과 후 소등되어 조명부(200)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방향성을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조명부(200)는 조명 영역(A)이 제1 점등 방식으로서 조명 영역(A)이 전체적으로 동시에 점등 및 소등되는 경우 광의 색상을 달리하여 차량 상태를 알릴 수도 있고, 이와 마찬가지로 조명부(200)는 조명 영역(A)이 제2 점등 방식으로서 복수의 발광 영역(A1~A5) 각각이 소정 순서에 따라 순차 점등되는 경우에도 광의 색상을 달리하여 차량 상태를 알릴 수도 있으며, 이들의 조합을 통해서도 차량 상태를 알릴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조명부(200)가 다양한 점등 방식으로 광을 발생시켜 운전자가 차량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조명부(200)는 일반적인 상황, 즉 차량 상태를 알릴 필요가 없는 상황에서는 실내 조명의 역할을 하여 다양한 실내 분위기 연출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으며, 조명부(200)가 실내 조명의 역할을 하는 경우 조명부(200)는 기본 설정된 점등 방식으로 광이 발생될 수도 있고, 운전자에 의해 선택된 점등 방식으로 광이 발생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211) 및 도광부(2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조명부(200)의 조명 영역은 도광부(212)로부터 광이 출사되는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도 9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211)이 도광부(212)로부터 광이 출사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측방에 위치하는 도광부(212)의 양단 부근에 각각 배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원의 개수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광원(211)은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차량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광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도광부(212)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211)이 온될 때 적어도 하나의 광원(211)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안내하여 출사시킬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광원(211)이 오프될 때 광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조명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211)이 온될 때 제1 점등 방식으로서 조명 영역(A)이 전체적으로 점등되고, 적어도 하나의 광원(211)이 오프될 때 조명 영역(A)이 전체적으로 소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광원(211)이 설정된 밝기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따라 조명부(200)는 서서히 점등되거나 소등될 수도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광원(211)이 설정된 밝기까지 도달한다는 것은 최고 밝기까지 도달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소등을 포함한 최저 밝기까지 도달하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광원(211)의 밝기나 설정된 밝기까지 도달하는 시간 등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211)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도광부(212)에서 광이 출사되는 면은 도 10과 같이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도 11과 같이 출사되는 광을 확산 및 산란시키는 광학 패턴(21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11과 같이 도광부(212)에서 광이 출사되는 면에 광학 패턴(212a)이 형성되는 경우 도광부(212)로부터 광이 출사되는 형성되는 이미지의 밝기를 균일하게 할 수 있고, 광학 패턴(212a)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1에서는 도광부(212)로부터 광이 출사되는 면에만 광학 패턴(212a)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학 패턴(212a)은 도광부(212)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200)는 복수의 광원(221a~221e) 및 도광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221a~221g) 각각은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차량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광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광원(221a~221e)은 도광부(222)로부터 광이 출사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반대측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광원(221a~221e)은 도광부(222)에서 광이 출사되는 면을 전면이라 가정할 때 도광부(222)의 후면 부근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복수의 광원(221a~221e) 각각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도광부(222)의 서로 다른 영역을 통해 출사되기 때문에 전술한 도 4와 같은 복수의 발광 영역(A1~A5)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3과 같이 도광부(222)의 후면에 배치하는 복수의 광원(221a~221e)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되며, 이로 인해 복수의 광원(221a~221e) 각각으로부터 발생된 광은 도광부(222)의 서로 다른 영역을 통해 출사되어 서로 다른 발광 영역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13에서는 복수의 광원(221a~221e) 각각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출사되는 영역이 분리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광원(221a~221e) 각각으로부터 발생된 출사되는 영역이 일부 중첩되도록 하여 보다 다양한 이미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도 13은 복수의 광원(221a~221e) 중 일부의 광원(221a, 221b)과 그에 따른 조명 영역(A) 내의 발광 영역(A1, A2)가 도시된 경우의 일 예로서, 나머지 광원 및 그에 따른 발광 영역도 위치에서 일부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광원(221a~221e)이 점등되는 순서에 따라 조명부(200)의 조명 영역(A) 내의 복수의 발광 영역(A1~A5) 각각이 순차적으로 점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부(200)의 조명 영역(A)의 일측에 위치한 광원으로부터 타측에 위치한 광원의 순서로 광원이 점등될 때에는 전술한 도 5 및 도 6과 같이 제1 발광 영역(A1)으로부터 제5 발광 영역(A5)까지 순차적으로 점등될 수 있으며, 조명부(200)의 조명 영역(A)의 중간 위치에 광원으로부터 양측에 위치한 광원의 순서로 광원이 점등될 때에는 전술한 도 7 및 도 8과 같이 조명부(200)의 조명 영역(A)의 중간 위치로부터 양측으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점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조명부(200)는 복수의 광원(221a~221g)이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시에 점등 및 소등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광원(221a~221g)이 동시에 점등될 때는 제1 점등 방식으로서 조명 영역(A)이 전체적으로 동시에 점등 및 소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도 9 및 도 12에서는 조명부(200)의 조명 영역(A)이 동시에 점등되는 경우와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경우를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4와 같이 조명부(200)는 조명 영역(A)의 동시 점등과 순차 점등이 모두 가능하도록 동시 점등을 위한 광원(231) 및 순차 점등을 위한 광원(241a~241e)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점등되는 광원에 따라 도광부(250)로부터 광이 출사되는 영역이 달라지게 되어 조명부(200)는 전술한 제1 점등 방식 및 제2 점등 방식 중 어느 하나로 점등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조명부(200)가 광원(211, 221a~221e, 231, 241a~241e) 및 도광부(212, 222, 250)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조명부(20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조명부(200)가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되는 경우 다양한 점등 방식으로 광이 발생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태 감지부(200)에 의해 감지되는 차량 상태에 따라 전술한 다양한 점등 방식 중 조명부(200)의 점등 방식을 결정할 수 있으며, 운전자가 감지되는 차량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조명부(200)를 통해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어부(300)는 차량 상태별 점등 방식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본 발명의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1)에 내장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고, 외부 저장 매체로부터 입력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300)가 조명부(200)를 통해 알리게 되는 차량 상태는 상태 감지부(100)에 감지되는 복수의 차량 상태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고, 상태 감지부(100)에 감지되는 복수의 차량 상태 중 둘 이상의 차량 상태의 조합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차량 상태일 수도 있다.
이하, 제어부(300)가 감지되는 차량 상태에 따라 조명부(200)로부터 광을 발생시키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제어부(300)는 변속단, 차량 속도, 엔진 RPM, 및 도어 개폐에 따라 조명부(200)로부터 광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변속단이 P단이고, 차량 속도 및 엔진 RPM이 0일 때 도어가 열린 경우 운전자가 차량 운행을 위하여 차량에 탑승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웰컴 기능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조명부(200)로부터 광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일 예로 제어부(300)는 웰컴 기능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조명 영역(A)이 전체적으로 소정 색상의 광이 발생되도록 조명부(200)를 동시 또는 순차 점등시키거나 소정 주기로 점멸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조명부(200)가 웰컴 기능의 역할을 하는 경우, 도어가 열릴 때 조명 영역(A)이 동시 점등되되, 광의 세기가 소정 크기까지 점차적으로 커진 다음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변화할 수 있으며,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여 시동이 켜진 경우에는 조명 영역(A)이 소정 색상(예를 들어, 적색이나 녹색 등)으로 동시 점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웰컴 기능의 역할을 하는 점등 방식이나 시동이 켜질 때의 점등 방식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변속단에 따라 조명부(200)로부터 광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변속 레버(400)에 의해 선택 가능한 변속단이 전술한 P, R, N 및 D단이고, R, N 및 D단 중 어느 하나로부터 P단이 선택될 때 운전자가 차량이 주차 상태라는 것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조명 영역(A)이 소정 색상(예를 들어, 적색)으로 순차 점등되도록 하거나 광의 세기가 소정 크기까지 점차적으로 커졌다가 다시 작아지도록 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P단이 선택되는 경우 조명부(200)로부터 광이 발생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P단 이외에도 R, N 및 D단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에도 조명 영역(A)이 소정 색상으로 동시 또는 순차 점등되거나 광의 세기가 변화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P단이 선택될 때 조명부(200)로부터 광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은 운전자의 변속 습관 등으로 인하여 비주차단을 주차단으로 오인하거나 경사가 있는 도로에서 주차시 N단을 선택하는 것과 같은 오동작을 방지하여 차량 사고 발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어부(300)는 변속단, 차량 속도 및 엔진 RPM에 따라 변속단의 전환 시점에 조명부(200)로부터 광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수동 변속 모드에서 현재 변속단으로부터 차량 속도 및 엔진 RPM에 따라 기어의 단수를 높이거나 내려야 하는 시점에 조명부(200)로부터 광이 발생되도록 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변속단 전환 시점을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으며, 일 예로 제어부(300)는 변속단 전환 시점에 조명부(200)로부터 경고의 의미가 있는 색상(예를 들어, 적색)의 광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어부(300)가 수동 변속 모드에서 1단부터 6단까지 기어의 단수를 선택할 수 있는 경우, 단수를 높여야 하는 시점에 조명 영역(A)이 소정 색상으로 순차 점등되도록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순차 점등 뿐만 아니라 동시 점등이나 광의 세기가 변화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변속 조작에 미숙한 운전자라 할지라도 조명부(200)를 통해 변속단 전환 시점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300)는 변속단 및 엔진 RPM에 따라 조명부(100)로부터 광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D단에서 RPM에 따라 연비를 판단할 수 있으며, 연비에 따라 서로 다른 점등 방식으로 광이 발생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게 운전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되며, 일 예로 제어부(300)는 연비가 좋은 상황에서는 녹색의 광이 발생되도록 하고, 연비가 나쁜 상황에서는 적색의 광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어부(300)가 연비에 따라 조명부(200)로부터 광이 발생되도록 할 때 엔진 RPM이 3000RPM 이전까지는 조명 영역(A)이 녹색으로 동시 점등되도록 하고, 엔진 RPM이 3000RPM보다 클 때 조명 영역(A)이 적색으로 순차 점등되도록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RPM이 달라지더라도 동시 또는 순차 점등을 유지하되 광의 색상이 달라질 수도 있다.
제어부(300)는 엔진 RPM에 따라 서로 다른 점등 방식으로 광이 발생되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보다 역동적인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스포츠 변속 모드에서 엔진 RPM이 높아짐에 따라 특정 색상의 광이 점차적으로 진해지도록 공급되는 전류를 증가시켜 광의 세기가 커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어부(300)가 스포츠 변속 모드에서 엔진 RPM이 3000RPM 이전까지는 조명 영역(A)이 사전에 지정된 기본 세기의 광으로 동시 점등되도록 하고, 엔진 RPM이 3000RPM 보다 클 때 조명 영역(A)의 광의 세기가 커지도록 하고 순차 점등되도록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RPM이 달라짐에 따라 동시 또는 순차 점등을 유지하되 광의 색상이 달라질 수도 있다.
제어부(300)는 램프 동작시 조명부(200)가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램프 감지부(150)가 비상등이 동작하는 것으로 감지하는 경우 조명부(200)도 비상등과 연동되어 특정 색상의 광이 주기적으로 점멸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하차할 때 비상등을 오프시키는 것을 잊지 않도록 하여 차후 차량 운행시 문제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어부(300)가 차량 상태에 따라 조명부(200)의 조명 영역(A)이 동시에 점등시키되 광의 색상이 달라지도록 하거나 조명 영역(A)이 동시에 점멸되도록 하는 것과 같이 조명부(200)가 제1 점등 방식으로 점등되도록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어부(300)는 차량 상태에 따라 제2 점등 방식으로 점등되도록 하되 광의 색상이 달라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어부(300)가 각각의 차량 상태를 조명부(200)를 통해 알리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둘 이상의 차량 상태를 알릴 필요가 있는 경우 사전에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차량 상태를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변속단의 전환 시점과 비상등 동작을 알릴 필요가 있고, 비상등의 우선 순위가 높은 경우 조명부(200)를 통해 비상등을 알릴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조명부(200)가 복수의 차량 상태 중 어느 하나를 알릴 수 있도록 광을 발생시키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도 4와 같이 조명부(200)의 조명 영역(A)이 제1 내지 제5 발광 영역(A1~A5)으로 구분되는 경우, 제1 내지 발광 제5 영역(A1~A5) 중 서로 다른 일부가 서로 다른 점등 방식으로 광이 발생되도록 하여 서로 다른 차량 상태를 동시에 알릴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어부(300)가 조명부(200)를 통해 차량 상태를 알리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어부(300)는 조명부(200)와 더불어 청각적 수단이나 촉각적 수단을 통해 차량 상태를 알릴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조명부(200)를 통해 차량 상태를 알릴 때 사전에 설정된 음향이나 진동 등을 함께 제공하여 운전자가 차량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의 동작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태 감지부(100)가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게 된다(S110). 즉, 상태 감지부(100)는 전술한 상태 감지부(100)가 변속 모드 감지부(110), 변속단 감지부(120), 차량 속도 감지부(130), RPM 감지부(140), 개폐 감지부(150) 및 램프 감지부(160) 등을 통해 차량의 각종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감지된 차량 상태에 따라 복수의 점등 방식 중 어느 하나의 점등 방식을 결정하게 된다(S120).
이때, 감지된 차량 상태가 둘 이상인 경우, 사전에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차량 상태에 따른 점등 방식으로 결정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의 차량 상태를 동시에 알릴 수 있는 경우 각각의 차량 상태에 따른 점등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점등 방식으로 변속 레버(400)에 구비된 조명부(200)로부터 광이 발생되도록 한다(S130).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시각적 수단을 통해 차량 상태를 알리기 때문에 운전자의 용이한 인지가 가능하면서도 감성적인 차량 실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상태 감지부
200: 조명부
300: 제어부
400: 변속 레버
410: 노브

Claims (20)

  1. 차량 상태를 감지하는 상태 감지부;
    노브에 구비되며, 복수의 점등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점등 방식으로 광이 발생되는 조명부; 및
    상기 감지된 차량 상태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점등 방식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점등 방식은,
    상기 조명부의 조명 영역이 동시에 점등되는 제1 점등 방식 및 상기 조명부의 조명 영역이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제2 점등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감지부는,
    변속 모드, 변속단, 차량 속도, 엔진 RPM, 도어 개폐 및 램프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등 방식 및 상기 제2 점등 방식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차량 상태에 따라 광의 색상이 달라지는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출사시켜 상기 조명 영역을 형성하는 도광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는,
    광이 출사되는 면이 평평한 형상을 가지는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는,
    적어도 광이 출사되는 면에 형성되어 광을 확산 및 산란시키는 광학 패턴을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은,
    상기 도광부의 적어도 일단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조명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이 온될 때 동시에 점등되는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은,
    상기 도광부로부터 광이 출사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반대측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광원은,
    소정 순서에 따라 순차 점등되는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 각각으로부터 발생된 광은,
    상기 도광부의 서로 다른 영역을 통해 출사되어 상기 조명 영역을 복수의 발광 영역으로 구분하며,
    상기 조명 영역은,
    상기 복수의 광원의 점등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발광 영역이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은,
    상기 조명부가 상기 제1 점등 방식으로 점등되도록 하는 광원; 및
    상기 조명부가 상기 제2 점등 방식으로 점등되도록 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도어가 열린 경우 상기 조명부로부터 광이 발생되도록 하는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변속단이 주차단이고, 차량 속도 및 엔진 RPM이 0일 때, 상기 차량의 도어가 열린 경우 상기 조명부로부터 웰컴 기능에 대응되는 점등 방식으로 광이 발생되도록 하는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에 설치된 복수의 램프 중 적어도 하나의 램프가 동작할 때 상기 조명부가 연동되도록 하는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비상등이 동작할 때 상기 조명부가 상기 비상등과 함께 점멸되도록 하는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엔진 RPM에 따라 서로 다른 점등 방식으로 광이 발생되도록 하는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스포츠 변속 모드에서 상기 엔진 RPM에 높아질수록 광의 세기가 커지도록 하는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변속단, 차량 속도 및 엔진 RPM에 따른 변속단 전환 시점에 상기 조명부로부터 광이 발생되도록 하는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동 변속 모드에서 상기 변속단 전환 시점에 상기 조명부로부터 광이 발생되도록 하는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변속단 및 엔진 RPM에 따른 연비에 따라 서로 다른 점등 방식으로 광이 발생되도록 하는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
KR1020160097197A 2016-07-29 2016-07-29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 KR201800134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197A KR20180013444A (ko) 2016-07-29 2016-07-29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197A KR20180013444A (ko) 2016-07-29 2016-07-29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444A true KR20180013444A (ko) 2018-02-07

Family

ID=61204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197A KR20180013444A (ko) 2016-07-29 2016-07-29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34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2320B1 (ko) * 2021-12-16 2022-07-18 최승일 차량 내부 액션 조명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2320B1 (ko) * 2021-12-16 2022-07-18 최승일 차량 내부 액션 조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6812B2 (en) Light emission structure for indication symbol in interior space of vehicle
CN107084351B (zh) 车辆用照明控制装置
WO2012056799A1 (ja) 自動車用照明装置
US9355793B2 (en) User interface of a vehicle
US11685305B2 (en) Vehicular light switch and vehicular light system
US5854537A (en) Head lamp device for vehicle including light distribution control of an auxiliary light source
JP2018002118A (ja) 車両用照明装置
US20150239390A1 (en) Illuminated Emblem
JP5577191B2 (ja) 表示装置
CN107795685B (zh) 用于车辆的线控换挡模块照明策略
KR101740590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US20120001747A1 (en) Electronic drive selector assembly systems and methods
JP2010143265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の表示部の表示方法、車両用空気調和装置の表示部、および、車両用空気調和装置
US20110241545A1 (en) Vehicle headlight alert system and method
JP5866978B2 (ja) 車両のシフト操作装置
KR20180013444A (ko) 차량용 변속 레버의 조명 장치
JP2008074326A (ja) 車両用インスツルメントパネルの照明制御装置
CN102164442B (zh) 用于车辆的照明控制装置
GB2478617A (en) A ligh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JP4361853B2 (ja) 車両用表示装置
KR101616110B1 (ko) 차량의 클러스터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9255646A (ja) 変速操作装置
JP4556762B2 (ja) 車両の運転状態表示装置
JP5062124B2 (ja) 車両用表示装置
CN116923242A (zh) 车辆换档器的发光控制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