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848B1 - 차량용 램프 점멸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점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848B1
KR930005848B1 KR1019910008193A KR910008193A KR930005848B1 KR 930005848 B1 KR930005848 B1 KR 930005848B1 KR 1019910008193 A KR1019910008193 A KR 1019910008193A KR 910008193 A KR910008193 A KR 910008193A KR 930005848 B1 KR930005848 B1 KR 930005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witch
counter
switch
unit
trig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8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1371A (ko
Inventor
임승섭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08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5848B1/ko
Publication of KR920021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1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8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점멸장치
제1도는 종래의 차량용 전기장치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회로도.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점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동을 끈후 램프가 커졌을 경우 이를 체크하여 통전상태를 경보하고, 사용자의 부재로 경보를 듣지 못한 경우 일정시간 경과후 램프를 자동점멸하고, 사용자가 다시 시동을 걸때에는 다시 경보음을 울려줌과 동시에 라이트 스위치를 점등상태로 복귀시켜, 사용자가 라이트 스위치를 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전기장치는 엘터네이터에 의해 발전된 전압이 배터리에 충전되고,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됨에 따라 시동부가 작동되어 시동이 걸리며, 이그니션 스위치를 통하여 배터리의 전압이 시동부에 제공될 때 레귤레이터에 의하여 엘터네이터의 발전전압이 조정되며, 배터리의 전압이 라이트 스위치를 통하여 동화장치부에 제공되어 각종 동화장치(전조등, 정지등…)가 켜지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도에서와 같이 앨터네이터(11), 레귤레이터(12) 및 배터리(13)로 이루어지는 충전부(10)에서, 엘터네이터(11)는 배터리(13)에 충전시키도록 발전되어 레귤레이터(12)에 의하여 전압이 조절되며, 배터리(13)에는 이그니션 스위치(SW1)와 라이트 스위치(SW2)가 병렬로 접속되며, 앨터네이터(11)와 레귤레이터(12) 사이에는 이그니션 스위치(SW1)가 위치된다. 라이트스위치(SW2)는 등화장치부(20)와 배터리(13)가 상호 온, 오프되도록 그 사이에 접속된다. 이는 앨터네이터(11)에 의하며 발전된 전압이 정류되어 배터리(13)에 충전되며, 레귤레이터(12)에 의하여 전압이 조절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충전된 배터리(13)의 전압은 이그니션 스위치(SW1)의 온, 오프에 의하여 시동부(30)에 제공됨으로 차량의 시동을 걸어주며, 또한 라이트 스위치(SW2)를 통하여 전조등, 정지등…의 등화장치부(20)의 각종 램프를 점멸(온,오프)시키도록 사용된다. 이때 등화장치부(20)를 작동시키는 라이트 스위치(SW2)와, 시동을 걸기 위하여 배터리(13)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이그니션 스위치(SW1)는 각각 배터리(13)와 병렬접속되어, 제각기 온 또는 오프시켜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현행 자동차 법규상 자동차키(이그니션 스위치(SW)를 오프하여도 자동차 정지등의 램프는 점등되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동차의 라이트 스위치(SW2)를 온 시킨 상태에서 이그니션스위치(SW1)만을 오프시기고 차에서 내리는 경우에는 배터리(13) 전원이 라이트 스위치(SW2)를 통하여 등화장치부(20)의 램프에서 계속 소모되므로, 장시간 방치될 때에는 배터리(13)의 전원이 거의 소모되어버리는 경우도 생기게 된다. 이경우, 만약 다시 시동을 걸려고 할 때에는 배터리(13)가 소모되어 시동이 걸리지 않게 되어, 근처에서 배터리(13) 충전이 불가능할 경우나 시동을 걸기위한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경우에는 매우 어려운 처지에 높이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기존의 램프점멸장치를 대신하되 새로운 방식으로 작동되도록 발명한 것으로, 시동만 끄고 라이트 스위치를 켜놓았을 대 일정시간 후 설정시간 동안 부자를 울려 경보해주고, 부가가 울려도 라이트 스위치를 끄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램프를 끄며, 재시동시에는 다시 경보를 울려주고 램프를 다시 켜서 사용자로 하여금 라이트 스위치를 끄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라이트 스위치와 이그니션 스위치의 온, 오프에 따라 출력레벨이 변하는 센서부와, 센서부의 레벨에 따라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트리거와, 제1트리거에 의하여 작동되는 타이머와 타이머의 작동에 따라 카운트가 스타트되는 카운터로 이루어지는 제1제어부와 카운터의 작동에 따라 제어되는 경보부와, 이그니션 스위치가 다시 온 될때 카운터를 리세트 시켜주는 쉬미트 트리거인 제2트리거와, 카운터가 리세트될 때 릴레이를 통전시키도록 하는 제2제어부와, 사용자가 라이트 스위치만 온 하고자 할 때 경보작동을 오프시키는 제3제어부와, 등화장치부를 제어하는 릴레이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2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앨터네이터(11), 레귤레이터(12) 및 배터리(13)로 이루어지는 충전부(10)에 이그니션 스위치(SW1)와 라이트 스위치(SW2)가 병렬접속되어, 시동부(30)와 등화장치부(20)를 구동시키는 차량용 전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라이트스위치(SW2)와 이그니션 스위치(SW1)의 온, 오프를 감지하도록 게이트들로 이루어진 센서부(40)와, 센서부(40) 작동에 따라 원슛 트리거신호를 타이머(61)로 제공하는 제1트리거(50)와, 제1트리거(50)에 의하여 제어되며 타이머(61)와 카운터(62)에 의하여 일정시간 지연후 카운트하는 제1제어부(60)와, 카운터(62)의 카운터에 의하여 작동되는 경보부(70)와, 이그니션 스위치(SW1)의 온, 오프에 따라 슈미트 트리거가카운터(62) 및 경보부(70)를 또한 제어토록 하는 제2트리거(75)와, 카운터(62)의출력과 라이트 스위치(SW2)의 온, 오프에 따라 릴레이(90)의 코일을 구성하는 제2제어부(80)와, 상기 라이트 스위치(SW2)와 센서부(40)의 출력에 병렬로 위치되어 최초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제3제어부(85)와, 라이트 스위치(SW2)와 등화장치부(20)를 연결하며 노머리 온 상태인 릴레이(90)로 구성된다. 상기 센서부(40)는 이그니션 스위치(SW1)와 접속되는 낸드게이트(41)와, 낸드게이트(41) 출력과 라이트 스위치(SW2)출력을 받는 노어게이트(42)와, 노어게이트(42) 출력을 반전시키는 인버터(43)로 이루어진다. 카운터(62)는 S단자에서 스타트 신호를 받으면 카운트하여 카운트되는 출력펄스가 Q,단자로 출력되고, R단자는 리세트 신호를 받으나 내부에서 인버팅시켜 스타트 신호때와 동일한 출력펄스가 Q,단자로 출력되게 한다. 경보부(70)는 카운터(62)의 Q출력과 제2트리거(75)의 출력이 오어게이트(71)를 통하여 부저(72)를 작동하도록 된다.
제2제어부(80)는 카운터(62)의출력을 받는 낸드게이트(81)와, 낸드게이트(81)출력과 라이트 스위치(SW2)에 의한 전원출력을 제공받는 낸드게이트(82)와, 낸드게이트(82)출력에 의하여 릴레이(90)를 구동시키는 구동트랜지스터(83)로 이루어진다. 제3제어부(85)는 센서부(40) 출력과 병렬접속되는 인버터(86)와, 라이트 스위치(SW2)와 인버터(86)사이에 접속되는 스위치(87)로 구성된다. 릴레이(90)는 그 코일이 라이트 스위치(SW2) 및 제2제어부(80)출력단에 접속되고, 그 접점이 등화장치부(20)와 라이트 스위치(SW2)에 접속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차량에 설치하여 사용할 때에는, 기존의 라이트 스위치(SW2)와 이그니션 스위치(SW1)의 단자에 본 발명을 각각 병렬로 연결하되, 전조등, 정지등 같은 기존의 등화장치부(20)에는 라이트 스위치(SW2)와 등화장치부(20) 사이에 기존의 장치대신 본원 발명의 장치를 접속시켜 사용한다.
이와같이 설치된 본 발명은 야간이나 비상시등에 라이트 스위치(SW2)를 온 시킨 상태(켠 상태) 로 이그니션 스위치(SW1)를 오프시키면(시동을 끄면), 이러한 최초상태에는 라이트 스위치(SW2)가 온이므로 노머리 온 상태의 릴레리(90) 접점에 의하여 등화장치부(20)가 온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이그니션 스위치(SW1)는 오프되므로 시동부(30)는 작동치 않게 된다. 이때 라이트 스위치(SW2)가 온 상태이므로 센서부(40)의 노어게이트(42) 일단에 하이레벨이 제공된다. 한편 이그니션 스위치(SW1)는 오프 상태이므로 낸드게이트(41)에 로레벨이 제공되어 상기 노어게이트(42)의 타단에는 하이레벨이 제공된다. 따라서 노어게이트(42) 및 인버터(43)를 통하여 센서부(40)의 출력단은 하이레벨을 제1트리거(50)에 제공한다. 제1트리거(50)는 원슛트리거 이므로 트리거 신호에 의하여 제1제어부(60)의 타이머(61)가 작동된다. 타이머(61)는 설정된 시간동안 카운터(62)를 지연작동시킨다음, 카운터(62)의 S단자(스타트단자)를 통하여 스타트 명령을 하고, 카운터(62)에서는 일정시간 동안 카운트 하게 된다. 이때 카운터(62)의 카운프펄스느 오어게이트(71)를 통하여 부저(72)를 펄스주기로 작동시킴으로써 경보부(70)에서 경보를 울리게 하고, 이에따라 등화장치부(20)의 통전상태를 알려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카운터(62)의 카운트가 끝나면 Q출력이 로레벨로 되어 경부부(70)의 작동을 멈추게 함과 동시에출력은 하이레벨로 되어 제2제어부(80)의 낸드게이트(81)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낸드게이트(81)는 출력이 로레벨로 바꿔져서 낸드게이트(82) 일입력으로 제공되고, 역시 라이트 스위치(SW2)의 온에 따른 하이레벨이 역시 낸드게이트(82)의 다른 입력으로 제공되므로, 낸드게이트(82) 출력은 하이레벨이 되고 이는 저항(R)을 통하여 구동트랜지스터(83)의 베이스에 제공된다. 따라서 구동트랜지스터(83)가 온 되어 릴레이(90)의 코일이 자화됨과 동시에 노머리 온 상태의 릴레이(90) 접점을 오프시키므로 등화장치부(20)가 오프된다. 즉, 램프가 자동으로 꺼지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운전자가 다시 차량의 시동을 걸기 위하여 이그니션 스위치(SW1)를 온 시키면 (물론 라이트 스위치(SW2)는 온 상태이다), 쉬미트 크리거인 제2트리거(75)가 하이레벨로 되어 카운터(62)를 리세트 시키게 된다.
이대 카운터(62)의 R단자(리세트 단자)를 통해 제공받는 하이레벨은 내부에 수장된 인버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단자에는 하이레벨이, Q단자에는 로레벨이 제공된다. 다라서 카운터(62)가 리세트될 때 그 Q출력이 로레벨에서 하이레벨로 되는 시간동안 경보가 울리면서 통전상태를 알려주게 됨과 동시에, 낸드게이트(81)에 로레벨이 인가되어 제2제어부(80)의 구동트랜지스터(83)를 오프시키고, 이에따라 릴레이(90)의 코일이 구동치 않게 되어 그 접점이 노머리 온 상태로 복귀하므로 등화장치부(20)가 온되어 램프(도시하지 않음)가 점등된다. 즉, 재시동을 걸때 경보가 울리고 동시에 램프도 원래대로 켜지게 되어 운전자로 하여금 라이트 스위치(SW2)가 온상태임을 확인시켜 준다. 따라서 운전자로 하여금 라이트 스위치(SW2)를 오프시키도를 알려 주게 되는 것이다.
만약 이그니션 스위치(SW1)를 오프시키고(시동을 끄고) 라이트 스위치(SW2)를 온시켜 등화장치부(20)만을 켜고 싶을 때에는 제3제어부(85)의 스위치(87)를 온시키면 되다. 이는 제3제어부(85)의 스위치(87)를 온시키면, 인버터(86)를 통하여 센서부(40)의 출력부위가 로레벨로 되므로 제1트리거(50)가 작동치 않게 되어 제1제어부(60) 및 경보부(70)가 작동치 않게 된다.
따라서 라이트 스위치(SW2)에 의한 배터리(13)의 전원이 노머리 온상태의 릴레이(90) 접점을 통하여 등화장치부(20)에 제공되므로 램프가 점등되어 최초상태를 유지시켜 준다. 즉, 단지 등화장치부(20)의 램프만을 켜고 싶을 때에는 제3제어부(85)의 스위치(97)를 온시켜서 경보기능을 차단시켜 준다.
본원 발명에서의 제1제어부(60)의 타이머(61) 및 카운터(62)의 카운터시작이 지연되고 카운터(62)가 카운트하는 동안 부저(72)를 울리도록 하여, 타이머(61)는 카운터(62)의 카운터시작을 지연하도록 작동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대로 타이머(61)가 카운터(62)의 카운트시간과 카운트가 끝났을 때 작동되는 부저(72)의 경보시간을 포함한 시간동안을 한정하도록 하여, 카운터(62)가 작동되는 시간동안 경보가 울리지 않다가 카운트가 끝나면 타이머(61) 작동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부저(72)가 울리도록 하여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원 발명은 시동을 끄고 라이트 스위치를 켜놓았을 때 일정 시간이 지나면 경보를 울려주어 라이트 스위치가 켜졌음을 알려주고, 특정시간동안 경보가 울려도 라이트 스위치를 끄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등화장치부의 작동을 멈추게 하여 배터리의 소모를 막아주며, 재시동시에는 다시 경보를 울려주어 라이트 스위치를 끄도록 하여주며, 라이트 스위치만 켜고 램프를 켜고자 할 때에는 별도의 스위치를 작동시켜 경보작동없이 램프를 켤수도 있게 한 차량용 램프 점멸장치이다.

Claims (1)

  1. 앨터네이토(11), 레귤레이터(12) 및 배터리(13)로 이루어지는 충전부(10)에, 이그니션 스위치(SW1)와 라이트 스위치(SW2)가 병렬접속되어, 시동부(30)와 등화장치부(20)를 구동시키는 차량용 전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라이트스위치(SW2)와 이그니션 스위치(SW1)의 온, 오프를 감지하도록 게이트들로 이루어진 센서부(40)와, 센서부(40) 작동에 따라 원슛 트리거 신호를 타이머(61)로 제공하는 제1트리거(50)와, 제1트리거(50)에 의하여 제어되며 타이머(61)와 카운터(62)에 의하여 일정시간 지연후 카운트하는 제1제어부(60)와, 카운터(62)의 카운터에 의하여 작동되는 경보부(70)와, 이그니션 스위치(SW1)의 온, 오프에 따라 슈미트 트리거가 카운터(62) 및 경보부(70)를 또한 제어토록 하는 제2트리거(75)와, 카운터(62)의 Q출력과 라이트 스위치(SW2)의 온, 오프에 따라 릴레이(90)의 코일을 구성하는 제2제어부(80)와, 상기 라이트 스위치(SW2)와 센서부(40)의 출력에 병렬로 위치되어 최초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제3제어부(85)와, 라이트 스위치(SW2)와 등화장치부(20)를 연결하며 노머리 온 상태인 릴레이(90)로 구성되어, 시동만 끄고 라이트 스위치를 켠 상태를 경보하여 주고, 재시동에도 이를 역시 경보하여 라이트 스위치를 오프시키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점멸장치.
KR1019910008193A 1991-05-20 1991-05-20 차량용 램프 점멸장치 KR930005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8193A KR930005848B1 (ko) 1991-05-20 1991-05-20 차량용 램프 점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8193A KR930005848B1 (ko) 1991-05-20 1991-05-20 차량용 램프 점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371A KR920021371A (ko) 1992-12-18
KR930005848B1 true KR930005848B1 (ko) 1993-06-25

Family

ID=19314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8193A KR930005848B1 (ko) 1991-05-20 1991-05-20 차량용 램프 점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58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6972A (ko) * 2010-05-18 2011-11-24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의 상향등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6972A (ko) * 2010-05-18 2011-11-24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의 상향등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371A (ko) 199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82405A (en) Transistor oscillator system for flashing brake lights
US3693151A (en) Initially intermittently flashing brake lamp circuit
KR930005848B1 (ko) 차량용 램프 점멸장치
US3476975A (en) Head lamp lighting circuit with a time delay shut off and a switch position warning indicator
US4692736A (en) Vehicle flasher
GB2065344A (en) Warning circuit
US4104613A (en) Vehicle headlight alarm
US3749931A (en) Safety device for automobile vehicles and the like
JPH09290684A (ja) 小型車両のヘッドランプ点灯制御装置
KR0174184B1 (ko)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제어회로
JP3003685U (ja) 車両等の補助停止合図灯の制御装置
KR200195825Y1 (ko) 후미동 자동 소등 시스템
KR0129715B1 (ko) 자동차의 제동램프 제어장치
KR0137733Y1 (ko) 자동차 조명등 점소등 경보장치
JPS6341240Y2 (ko)
KR200152746Y1 (ko) 자동차의 비상등을 이용한 후진 등화장치
KR0124539Y1 (ko) 자동차의 배터리 전원차단 회로
SU1411183A1 (ru) Устройство сигнализации дл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S6348430Y2 (ko)
JPH0474220B2 (ko)
JPH058598Y2 (ko)
GB2083718A (en) Car lights on indicator
KR950015898A (ko) 충전지 방전방지 전조등 전원 자동차단 장치
KR970038013A (ko) 자동차 헤드램프 자동오프 장치
JPS59175211A (ja) フラツシヤ用発振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