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0242B1 - 레버 스위치 - Google Patents

레버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242B1
KR101630242B1 KR1020100101047A KR20100101047A KR101630242B1 KR 101630242 B1 KR101630242 B1 KR 101630242B1 KR 1020100101047 A KR1020100101047 A KR 1020100101047A KR 20100101047 A KR20100101047 A KR 20100101047A KR 101630242 B1 KR101630242 B1 KR 101630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ontact
lever
contacts
indivi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1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2021A (ko
Inventor
무네요시 미야타
신지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미크덴시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크덴시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크덴시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42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24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한방향으로의 레버의 경도 조작에 의해 처리 동작의 2단 전환(예를 들면 줌 속도의 2단 전환)을 가능하게 하기에 적합한 레버 스위치가 제공된다.
레버 스위치(LS)는 공통 접점(5)에서 개별 접점(61),(62)까지의 접점간 거리가 짧은 제1 스위치부(3A)와 그 접점간 거리가 긴 제2 스위치부(3B)를 구비하고, 레버(4)를 한방향으로 경도시키면, 처음에, 접점간 거리가 짧은 제1 스위치부(3A)에서의 한쪽 가동 접점(71)이 제1 스위치부(3A)의 한쪽 개별 접점(61)에 접촉(선행 접촉 동작)함으로써 그 개별 접점(61)이 제1 스위치부(3A)의 접점 브러시(7A)를 통해 공통 접점(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위치ON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보다 늦게, 접점간 거리가 긴 제2 스위치부(3B)에서의 한쪽 가동 접점(73)이 제2 스위치부(3B)의 한쪽 개별 접점(63)에 접촉(지연 접촉 동작)함으로써 그 개별 접점(63)이 제2 스위치부(3B)의 접점 브러시(7B)를 통해 공통 접점(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위치ON 상태가 된다.

Description

레버 스위치{Lever switch}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줌 조작 스위치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는 레버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방향으로의 레버의 경도(傾倒) 조작에 의해 처리 동작의 2단 전환(예를 들면 줌 속도의 2단 전환 등)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최근의 디지털 카메라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는 피사체를 확대하는 줌 기능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줌 기능에 기초한 피사체의 줌업이나 줌다운은 줌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줌 스위치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레버 스위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 레버 스위치는 상기 문헌의 도 7의 (a), (b)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공통 접점(3A)의 좌우에 하나씩 개별 접점(3B,3C)을 구비하고 있어, 레버(5)를 도 7의 (a)와 같이 왼쪽으로 넘어뜨리면, 오른쪽의 가동 접점(4A)이 공통 접점(3A)으로부터 벗어나 오른쪽의 개별 접점(3B)에 접촉함으로써, 오른쪽의 개별 접점(3B)이 스위치ON 상태가 된다. 이와는 반대로 레버(5)를 오른쪽으로 넘어뜨리면, 왼쪽의 가동 접점(4B)이 공통 접점(3A)으로부터 벗어나 왼쪽의 개별 접점(3C)에 접촉함으로써, 왼쪽의 개별 접점(3C)이 스위치ON이 된다는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레버 스위치로는, 예를 들면 오른쪽의 개별 접점(3B)이 스위치ON 상태가 되면 줌업을 행하고, 왼쪽의 개별 접점(3C)이 스위치ON 상태가 되면 줌다운을 행하는 등, 디지털 카메라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줌 조작을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레버 스위치에 의하면, 그 구조상 좌우 방향으로의 레버(5)의 경도에 의해 각각의 방향에서 1회씩의 ON/OFF상태 밖에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예를 들면 레버(5)를 왼쪽으로 조금 넘어뜨리면 저속도로 줌업하고, 동일 방향으로 더 깊게 상기 레버(5)를 넘어뜨리면 고속도로 줌업하는 등, 한방향으로의 레버의 경도 조작에 의해 줌 속도의 2단 전환을 행할 수 없어, 디지털 카메라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편의성 향상은 꾀할 수 없다.
이상의 설명에서 괄호 내의 부호는 특허문헌 1에서 사용되고 있는 부호이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제2008-277304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한방향으로의 레버의 경도 조작에 의해 처리 동작의 2단 전환(예를 들면 줌 속도의 2단 전환)을 가능하게 하기에 적합한 레버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오목부를 가지는 스위치 베이스와, 상기 오목부 상면에 설치한 상부 케이스와, 상기 오목부 안에 수용된 제1 및 제2 스위치부와, 상기 양 스위치부를 동시에 조작하기 위한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베이스는 그 오목부 안에 베어링 홈을 가지며, 상기 상부 케이스는 그 표리면(表裏面)을 관통하는 슬릿 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부는, 양 스위치부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공통 접점을 상기 오목부의 내저면(內底面)에 구비하여 이루어짐과 아울러, 각각의 스위치부마다 상기 슬릿 구멍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공통 접점의 양쪽에 하나씩 배치한 2개의 개별 접점과, 이들 접점상에 배치한 접점 브러시를 가지고 상기 공통 접점에서 개별 접점까지의 접점간 거리는 상기 제1 스위치부쪽이 짧고 상기 제2 스위치부쪽이 길게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부의 접점 브러시는, 스프링성이 있는 세장(細長)한 금속편을 대략 역삼각형상으로 절곡하고 그 역삼각형의 밑변부가 상기 슬릿 구멍의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이루어짐과 아울러, 그 역삼각형상의 다른 2변부가 상기 오목부의 내저면상에서 교차되고, 이 교차되는 2변부의 양단을 2개의 가동 접점으로 하는 것으로서, 상기 레버는, 그 레버 상단이 상기 상부 케이스의 슬릿 구멍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고, 그 레버 하단쪽에 상기 오목부 안의 베어링 홈에 의해 지지되는 축부와, 상기 각 스위치부의 접점 브러시의 밑변부에 접촉하는 압압 캠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축부를 지점(支點)으로 하여 상기 슬릿 구멍의 길이 방향으로 경도(傾倒)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버를 한쪽 방향으로 경도시키면 상기 양 스위치부에서의 접점 브러시의 밑변부 한쪽이 상기 레버의 압압 캠부에 의해 동시에 눌려 하강함과 아울러, 각 스위치부에서의 한쪽 가동 접점이 공통 접점으로부터 동시에 벗어나 각각의 스위치부에서의 한쪽 개별 접점을 향해 슬라이드되고, 처음에, 접점간 거리가 짧은 제1 스위치부에서의 한쪽 가동 접점이 상기 제1 스위치부의 한쪽 개별 접점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 스위치부에서의 한쪽 개별 접점이, 상기 제1 스위치부의 접점 브러시를 통해, 공통 접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위치ON 상태가 되고, 이보다 늦게, 접점간 거리가 긴 제2 스위치부에서의 한쪽 가동 접점이 제2 스위치부의 한쪽 개별 접점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2 스위치부에서의 한쪽 개별 접점이 상기 제2 스위치부의 접점 브러시를 통해 공통 접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위치ON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서, 상기 압압 캠부는 단면 반달 형상이며, 그 반달의 플랫부가 상기 접점 브러시의 밑변부에 접촉함과 아울러, 그 반달의 원호부와 플랫부의 경계의 숄더부에서 상기 접점 브러시의 밑변부 한쪽을 압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베어링 홈의 양쪽에 스토퍼 홈이 마련되고 상기 스토퍼 홈에 상기 압압 캠부의 숄더부가 접촉함으로써 상기 레버의 경도 각도가 제한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레버 스위치의 구체적 구성으로서, 공통 접점에서 개별 접점까지의 접점간 거리가 짧은 제1 스위치부와, 접점간 거리가 긴 제2 스위치부를 마련함과 아울러, 레버를 한방향으로 경도시키면, 처음에, 접점간 거리가 짧은 제1 스위치부에서의 한쪽 가동 접점이 제1 스위치부의 한쪽 개별 접점에 접촉(선행 접촉 동작)함으로써 제1 스위치부에서의 한쪽 개별 접점이 제1 스위치부의 접점 브러시를 통해 공통 접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위치ON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보다 늦게, 접점간 거리가 긴 제2 스위치부에서의 한쪽 가동 접점이 상기 제2 스위치부의 한쪽 개별 접점에 접촉(지연 접촉 동작)함으로써 상기 제2 스위치부에서의 한쪽 개별 접점이 상기 제2 스위치부의 접점 브러시를 통해 공통 접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위치ON 상태가 된다. 따라서 한방향으로의 레버의 경도에 의해 2회의 스위치ON 상태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한방향으로의 레버의 경도 조작에 의해 처리 동작의 2단 전환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관한 레버 스위치를 줌 기능부 디지털 카메라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서 채용한 경우에는 레버를 왼쪽으로 조금 넘어뜨리면 저속도로 줌업하고, 동일 방향으로 더욱 깊게 상기 레버를 넘어뜨리면 고속도로 줌업하는 등 한방향으로의 레버의 경도 조작에 의해 줌 속도의 2단 전환을 행할 수 있어 디지털 카메라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편의성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레버 스위치의 외관도로서, (a)는 레버 스위치의 정면 외관도, (b)는 레버 스위치의 측면 외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레버 스위치의 상세도로서, 동(同) 도면 중의 (a)는 상부 케이스를 분리한 레버 스위치의 평면도, (b)는 상부 케이스와 접점 브러시를 분리한 레버 스위치의 평면도, (c)는 (a)중의 A-A단면도, (d)는 (a)중의 B-B단면도이다.
도 3은 스위치 베이스의 상세도로서, 동 도면 중의 (a)는 스위치 베이스의 정면도, (b)는 그 평면도, (c)는 그 배면도, (d)는 그 측면도, (e)는 동 도면 (b)중의 B-B단면도, (f)는 동 도면 (b)중의 A-A단면도이다.
도 4는 스위치 베이스에 조립되기 전의 공통 접점 및 개별 접점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상부 케이스의 상세도로서, 동 도면 중의 (a)는 상부 케이스의 정면도, (b)는 그 평면도, (c)는 그 배면도, (d)는 그 측면도, (e)는 동 도면 (b)중의 B-B단면도, (f)는 동 도면 (b)중의 A-A단면도이다.
도 6은 레버의 설명도로서, 동 도면 중의 (a)는 레버의 정면도, (b)는 그 평면도, (c)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레버 스위치의 동작 설명도로서, 동 도면 중의 (a1)은 레버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제1 스위치부에서의 2개의 개별 접점이 모두 스위치OFF로 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a2)는 (a1)과 마찬가지의 경우에 있어서, 제2 스위치부에서의 2개의 개별 접점이 모두 스위치OFF로 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b1)은 레버를 왼쪽으로 소정 각도 기울인 경우에 있어서, 제1 스위치부에서의 한쪽 개별 접점이 스위치ON이 된 상태를 도시하고, (b2)는 (b1)과 마찬가지의 경우에 있어서, 제2 스위치부에서의 한쪽 개별 접점이 스위치OFF로 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c1)은 (b1)보다도 레버를 더 깊게 왼쪽으로 기울인 경우에 있어서, 제1 스위치부에서의 한쪽 개별 접점이 스위치ON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c2)는 (c1)과 마찬가지의 경우에 있어서, 처음 제2 스위치부에서의 한쪽 개별 접점이 스위치ON이 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레버 스위치의 동작 설명도로서, (d1)은 레버를 왼쪽으로 최대로 기울인 상태에 있어서, 제1 스위치부에서의 한쪽 개별 접점이 스위치ON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d2)는 (d1)과 마찬가지의 경우에 있어서, 제2 스위치부에서의 한쪽 개별 접점이 스위치ON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레버 스위치의 외관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레버 스위치의 상세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본 레버 스위치(LS)는, 도 2의 (c), (d)와 같이 오목부(1A)를 가지는 스위치 베이스(1)와, 오목부(1A) 상면에 설치한 상부 케이스(2)와, 오목부(1A) 내에 수용된 제1 및 제2 스위치부(3A),(3B)와, 양 스위치부(3A),(3B)를 동시에 조작하기 위한 레버(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스위치 베이스의 상세 구성>
도 3은 스위치 베이스의 상세도이다. 상기 스위치 베이스(1)는 도 3의 (e), (f)와 같이 오목부(1A) 내에 칸막이벽(1B)을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 칸막이벽(1B)의 상연(上緣) 중앙부에 베어링 홈(1C)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오목부(1A) 내에 베어링 홈(1C)이 마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베어링 홈(1C)의 양쪽에는 스토퍼 홈(1D)이 마련되어 있다. 이 스토퍼 홈(1D)은 후술하는 압압 캠부(41)의 숄더부(4C)(도 6 참조)의 형상에 맞춰 칸막이벽(1B)의 상연을 잘라내어 형성한 것으로서, 본 레버 스위치(LS)에서는 상기 스토퍼 홈(1D)에 후술하는 압압 캠부(41)의 숄더부(4C)가 접촉함으로써(도 8의 (d1), (d2) 참조), 레버(4)의 경도 각도를 제한하여, 상기 레버(4)의 과도한 경도에 의한 상부 케이스(2)의 파손 등을 방지하도록 구성하였다.
스위치 베이스(1)의 길이 방향 양쪽면에는, 도 3의 (a), (b), (c)와 같이 오목부(1A) 상면에 상부 케이스(2)를 설치하기 위한 걸어맞춤돌기(1E)를 형성하였다. 도 3의 (c), (d)와 같이 스위치 베이스(1)의 짧은변 방향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보스부(1F)는, 본 레버 스위치(LS)를 기판 등에 장착할 때에 그 기판 등의 장착 구멍에 압입되는 것이다.
<상부 케이스의 상세 구성>
도 5는 상부 케이스의 상세도이다. 상기 상부 케이스(2)는, 도 5의 (a)와 같이 상판부(201)과 그 좌우에 일체 형성된 한쌍의 측판부(202)로 이루어지고, 도 5의 (b), (c)와 같이 상판부(201)에 그 표리면을 관통하는 소정 길이의 슬릿 구멍(200)을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5의 (d), (e), (f)와 같이, 상부 케이스(2)의 양 측판부(202)에는 걸어맞춤구멍 (2A)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걸어맞춤구멍(2A)을 상기 스위치 베이스(1)의 걸어맞춤돌기(1E)에 끼워넣음으로서 상부 케이스(2)는 스위치 베이스(1)의 오목부(1A) 상면에 원터치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도 1 참조).
또 도 5의 (a), (f)와 같이, 상부 케이스(2)의 상판부(201) 배면쪽에는 반원호형의 캠 가이드(2B)가 마련되어 있다. 이 캠 가이드(2B)는 상부 케이스(2)의 상판부(201) 배면쪽에 형성된 볼록부(2C)의 끝단을 원호형으로 잘라내어 형성한 것으로서, 본 레버 스위치(LS)에서는 이 캠 가이드(2B)에 후술하는 단면 반달 형상의 압압 캠부(41)의 원호면이 슬라이드접촉함으로써 압압 캠부(41)의 회전 동작 및 레버(4)의 경도 동작을 안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제1 및 제2 스위치부의 상세 구성>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부(3A),(3B)는, 도 2의 (c), (d)에 도시한 것처럼 양 스위치부(3A),(3B)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공통 접점(5)(도 4 참조)을 상기 오목부(1A)의 내저면에 구비하고 있다.
또한 양 스위치부(3A),(3B)는 각각의 스위치부(3A),(3B)마다, 상기 상부 케이스(2)의 슬릿 구멍(200)(도 5의 (b) 참조)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공통 접점(5)의 양쪽에 하나씩 배치한 2개의 개별 접점(61),(62),(63),(64)(도 3의 (b) 및 도 4 참조)과, 도 2의 (c), (d)와 같이, 이들 접점(5),(61)∼(64) 위에 배치한 접점 브러시(7A),(7B)를 가지고 있다.
양 스위치부(3A),(3B)의 공통 접점(5)과 개별 접점(61)∼(64)은, 각각의 접점과 개별적으로 일체 성형된 배선부(8),(91),(92),(93),(94)(도 3의 (a), (c) 참조)를 통해 미도시된 외부 회로에 접속할 수 있다. 또 이들 접점(5),(61)∼(64)은 스위치 베이스(1)를 수지 성형할 때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오목부(1A)의 내저면에 설치할 수 있다.
양 스위치부(3A),(3B)의 접점 브러시(7A),(7B)는, 도 2의 (c), (d)와 같이 동일한 구조로서, 스프링성이 있는 세장한 금속편을 대략 역삼각형으로 절곡하고 그 역삼각형의 밑변부(700)가 상기 슬릿 구멍(200)의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이루어짐과 아울러, 그 역삼각형상의 다른 2변부(701)가 상기 오목부(1A)의 내저면상에서 교차되고, 이 교차되는 2변부(701)의 양단을 2개의 가동 접점(71),(72), (73),(74)으로 하는 것이다. 또 이들 가동 접점(71)∼(74)은 반원호형으로 둥글게 성형함으로써 공통 접점(5)이나 개별 접점(61)∼(64) 위를 쉽게 미끄러지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스위치부(3A),(3B)에서 공통 접점(5)에서 각각의 개별 접점(61)∼(64)까지의 접점간 거리(L1),(L2)는, 도 4와 같이 제1 스위치부(3A)의 접점간 거리(L1)쪽이 짧고, 제2 스위치부(3B)의 접점간 거리(L2)쪽이 길게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L1<L2).
이로써, 본 레버 스위치(LS)에서는, 각 스위치부(3A),(3B)에서의 한쪽 가동 접점(71),(73)이 공통 접점(5)으로부터 동시에 벗어나 각각의 스위치부(3A),(3B)에서의 한쪽 개별 접점(61),(63)을 향해 슬라이드했을 때에, 처음에, 접점간 거리(L1)가 짧은 제1 스위치부(3A)에서의 한쪽 가동 접점(71)이 제1 스위치부(3A)의 한쪽 개별 접점(61)에 접촉하고, 이보다 늦게, 접점간 거리(L2)가 긴 제2 스위치부(3B)에서의 한쪽 가동 접점(73)이 제2 스위치부(3B)의 한쪽 개별 접점(63)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각 스위치부(3A),(3B)에서의 다른 쪽 가동 접점(72),(74)이 공통 접점(5)으로부터 동시에 벗어나 각각의 스위치부(3A),(3B)에서의 다른 쪽 개별 접점(62),(64)을 향해 슬라이드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즉, 접점간 거리(L1)가 짧은 제1 스위치부(3A)에서의 다른 쪽 가동 접점(72)이 제1 스위치부(3A)의 다른 쪽 개별 접점(62)에 접촉하고, 이보다 늦게, 접점간 거리(L2)가 긴 제2 스위치부(3B)에서의 다른 쪽 가동 접점(74)이 제2 스위치부(3B)의 다른 쪽 개별 접점(64)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레버의 상세 구성>
도 6은 상기 레버(4)의 설명도이다. 레버(4)는, 그 레버 상단이 도 2의 (c), (d)와 같이 상부 케이스(2)의 슬릿 구멍(200)(도 5의 (b)를 참조)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고, 그 레버 하단쪽에 스위치 베이스(1)의 오목부(1A) 내의 베어링 홈(1C)에 의해 지지되는 축부(40)와, 각 스위치부(3A),(3B)의 접점 브러시(7A),(7B)의 밑변부(700)에 접촉하는 압압 캠부(41)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축부(40)를 지점으로 하여 상기 슬릿 구멍(200)의 길이 방향으로 경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레버(4)의 축부(40)는, 단면 반달 형상으로 압압 캠부(41)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어 그 반달의 원호면쪽이 상기 베어링 홈(1C)에 걸어맞춤되도록 되어 있다.
레버(4)의 압압 캠부(41)는 단면 반달 형상이며, 그 반달의 플랫부(4A)가 도 2의 (c), (d)와 같이 접점 브러시(7A),(7B)의 밑변부(400)에 접촉하고, 상기 반달의 원호부(4B)와 플랫부(4A)의 경계인 숄더부(4C)에 의해 접점 브러시(7A),(7B)의 밑변부(700) 한쪽을 압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레버 스위치의 동작 설명>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레버 스위치(LS)의 동작에 대해서 도 7과 도 8을 기초로 설명하기로 한다.
레버(4)를 경도시키는 방향의 외력(화살표(L) 또는 (R)로 나타내는 방향의 힘)이 상기 레버(4)에 작용하지 않을 때, 레버(4)는 도 7의 (a1), (a2)와 같이 기립한 자세로 되어 있다. 이 때, 레버(4)의 압압 캠부(41)은 어떤 방향으로도 기울어지지 않고 접점 브러시(7A),(7B)의 밑변부(700) 표면에 접촉되어 있으며, 또 접점 브러시(7A),(7B)는 탄성 변형되지 않고, 제1 및 제2 스위치부(3A),(3B)에서의 가동 접점(71)∼(74)은 모두 공통 접점(5)에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레버(4)가 기립한 자세에 있을 때 제1 내지 제2 스위치부(3A),(3B)에서의 개별 접점(61)∼(64)과 공통 접점(5)은 접점 브러시(7A),(7B)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제1 및 제2 스위치부(3A),(3B)에서의 개별 접점(61)∼(64)은 모두 스위치OFF(중립) 상태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기립한 자세에 있는 레버(4)에 대해, 화살표(L) 또는 (R)로 나타내는 방향의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레버(4)는 축부(40)를 지점으로 하여 그 방향으로 경도된다. 예를 들면, 화살표(L)로 나타내는 방향의 외력에 의해 상기 레버(4)를 왼쪽으로 넘어뜨리면, 그 경도 각도분만큼 레버(4)와 압압 캠부(41)는 도 7의 (b1), (b2)와 같이 레버(4)의 경도 방향(왼쪽)으로 기운다.
상기와 같은 왼쪽으로의 레버(4)의 경도에 의해, 제1 및 제2 스위치부(3A),(3B)에서의 접점 브러시(7A),(7B)의 밑변부(700) 한쪽은, 도 7의 (b1), (b2)와 같이 왼쪽으로 기우는 압압 캠부(41)의 왼쪽의 숄더부(4C)에 의해 동시에 압압되어 하강함과 아울러, 이 하강에 추종·연동하여 각 스위치부(3A),(3B)에서의 오른쪽 가동 접점(71),(73)은 공통 접점(5)으로부터 동시에 벗어나, 각각의 스위치부(3A),(3B)에서의 오른쪽 개별 접점(61),(63)을 향해 슬라이드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오른쪽의 가동 접점(71),(73)의 슬라이드에 의해, 처음에, 접점간 거리(L1)가 짧은 제1 스위치부(3A)에서의 오른쪽 가동 접점(71)이, 도 7의 (b1)과 같이 제1 스위치부(3A)의 오른쪽 개별 접점(61)에 접촉한다(선행 접촉 동작). 그리고 레버(4)를 더 왼쪽으로 넘어뜨림으로써, 상기 선행 접촉 동작보다 늦게, 접점간 거리(L2)가 긴 제2 스위치부(3B)에서의 오른쪽 가동 접점(73)이 도 7의 (c2)와 같이 제2 스위치부(3B)의 오른쪽 개별 접점(63)에 접촉한다(지연 접촉 동작).
상기와 같은 선행 접촉 동작에 의해, 제1 스위치부(3A)에서의 오른쪽 개별 접점(61)과 공통 접점(5)이 접점 브러시(7A)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스위치부(3A)에서의 오른쪽 개별 접점(61)이 스위치ON 상태가 된다(도 7의 (b1) 참조).
이 때, 제2 스위치부(3B)에서의 오른쪽 가동 접점(73)은 제2 스위치부(3B)에서의 오른쪽 개별 접점(63)에 접촉되지 않는다(도 7의 (b2) 참조). 따라서 선행 접촉 동작 단계에서는, 제2 스위치부(3B)에서의 오른쪽 개별 접점(63)과 공통 접점(5)은 접점 브러시(7B)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며, 제2 스위치부(3B)에서의 오른쪽 개별 접점(63)은 스위치OFF(중립) 상태이다. 또 제1 및 제2 스위치부(3A),(3B)에서의 왼쪽 개별 접점(62),(64)은 모두 공통 접점(5)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스위치OFF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지연 접촉 동작에 의해, 제2 스위치부(3B)에서의 오른쪽 개별 접점(63)과 공통 접점(5)이 접점 브러시(7B)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스위치부(3B)에서의 오른쪽 개별 접점(63)이 스위치ON 상태가 된다(도 7의 (c2) 참조).
이 때, 전술한 선행 접촉 동작 상태는 유지된다(도 7의 (c1) 참조). 따라서, 지연 접촉 동작의 단계에서는, 제1 스위치부(3A)에서의 오른쪽 개별 접점(61)과 제2 스위치부(3B)에서의 오른쪽 개별 접점(63)이 모두 스위치ON 상태가 된다(도 7의 (c1), (c2) 참조). 또 제1 및 제2 스위치부(3A),(3B)에서의 왼쪽 개별 접점(62),(64)은 모두 스위치OFF(중립) 상태이다.
도 7의 (b1)에서는, 레버(4)가 왼쪽으로 25도까지 기울었을 때 제1 스위치부(3A)에서의 오른쪽 개별 접점(61)이 스위치ON 상태가 되고, 도 7의 (c2)에서는 상기 레버(4)가 왼쪽으로 42도까지 기울었을 때 제2 스위치부(3B)에서의 오른쪽 개별 접점(63)이 스위치ON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그 레버(4)의 경도 각도는 25도나 42도로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 레버(4)는 도 8의 (d1), (d2)와 같이 왼쪽으로 최대로 65도까지 경도시킬 수 있고 오른쪽으로의 레버(4)의 경도도 마찬가지인데, 이와 같은 레버(4)의 최대 경도 각도도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레버(4)에 작용하고 있는 화살표(L) 방향의 힘이 해제되면, 각각의 접점 브러시(7A),(7B)의 스프링성에 기초한 복원력에 의해 그때까지 하강되었던 접점 브러시(7A),(7B)의 밑변부(700) 한쪽(왼쪽)이 원래 위치까지 상승한다. 그리고 이 상승에 추종·연동하여 양 스위치부(3A),(3B)에서의 오른쪽 가동 접점(71),(73)은 오른쪽 개별 접점(61),(63)으로부터 벗어나 공통 접점(5)에 접촉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오른쪽 가동 접점(71),(73)이 본래의 위치(공통 접점(5)의 위치)까지 되돌아옴으로써, 전술한 제1 및 제2 스위치부(3A),(3B)에서의 오른쪽 개별 접점(61),(63)과 공통 접점(5)의 전기적 연결은 단절되고 양 스위치부(3A),(3B)에서의 오른쪽 개별 접점(61),(63)은 스위치OFF(중립) 상태가 된다.
도 7의 (al), (a2)와 같이 기립한 자세에 있는 레버(4)를 화살표(R) 방향의 외력으로 오른쪽으로 넘어뜨린 경우에는, 전술한 것처럼 레버(4)가 왼쪽으로 넘어진 경우와 마찬가지의 동작에 의해, 처음에, 접점간 거리(L1)가 짧은 제1 스위치부(3A)에서의 왼쪽 가동 접점(72)이 제1 스위치부(3A)의 왼쪽 개별 접점(62)에 접촉(선행 접촉 동작)함으로써 스위치ON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보다 늦게, 접점간 거리(L2)가 긴 제2 스위치부(3B)에서의 왼쪽 가동 접점(74)이 제2 스위치부(3B)의 왼쪽 개별 접점(64)에 접촉(지연 접촉 동작)함으로써 스위치ON 상태가 된다. 또 상기와 같이 레버(4)에 작용하고 있는 화살표(R) 방향의 힘이 해제되면, 앞서 설명한 화살표(L) 방향의 힘이 해제된 경우와 마찬가지의 동작으로 스위치부(3A),(3B)에서의 왼쪽 개별 접점(62),(64)은 모두 스위치OFF(중립) 상태가 된다.
<레버 스위치의 이용예>
본 레버 스위치(LS)의 이용예로서는, 예를 들면 디지털 일안 반사식 카메라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줌 조작 스위치로서 이용하는 예가 고리될 수 있다.
상기 이용예에서는, 예를 들면 본 레버 스위치(LS)의 레버(4)를 왼쪽으로 조금 경도시킴으로써 제1 스위치부(3A)에서의 오른쪽 개별 접점(61)만 스위치ON이 되면, 그 ON신호에 기초하여 저속도로 줌업하고, 상기 레버(4)를 왼쪽으로 더욱 깊게 경도시킴으로써 제2 스위치부(3B)에서의 오른쪽 개별 접점(63)도 스위치ON이 되면, 그 ON신호에 기초하여 고속도로 줌업하는 등 왼쪽 방향으로의 레버(4)의 경도 조작에 의해 줌업 속도의 2단 전환을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레버(4)를 오른쪽으로 조금 경도시킴으로써 제1 스위치부(3A)에서의 왼쪽 개별 접점(62)만 스위치ON이 되면 그 ON신호에 기초하여 저속도로 줌다운하고, 상기 레버(4)를 오른쪽으로 더욱 깊게 경도시킴으로써 제2 스위치부(3B)에서의 왼쪽 개별 접점(64)도 스위치ON이 되면 그 ON신호에 기초하여 고속도로 줌 아웃하는 등, 오른쪽 방향으로 레버(4)의 경도 조작에 의해 줌다운 속도의 2단 전환을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의 레버 스위치(LS)에서는, 그 구체적 구성으로서, 공통 접점(5)에서 개별 접점(61),(62)까지의 접점간 거리(Ll)가 짧은 제1 스위치부(3A)와 그 접점간 거리(L2)가 긴 제2 스위치부(3B)를 마련함과 아울러, 레버(4)를 한방향으로 경도시키면, 처음에, 접점간 거리(Ll)가 짧은 제1 스위치부(3A)에서의 한쪽 가동 접점(71)이 제1 스위치부(3A)의 한쪽 개별 접점(61)에 접촉(선행 접촉 동작)함으로써 그 개별 접점(61)이 제1 스위치부(3A)의 접점 브러시(7A)를 통해 공통 접점(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위치ON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보다 늦게, 접점간 거리(L2)의 긴 제2 스위치부(3B)에서의 한쪽 가동 접점(73)이 제2 스위치부(3B)의 한쪽 개별 접점(63)에 접촉(지연 접촉 동작)함으로써 그 개별 접점(63)이 제2 스위치부(3B)의 접점 브러시(7B)를 통해 공통 접점(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위치ON 상태가 된다. 따라서 한방향으로의 레버(4)의 경도에 의해 2회의 스위치ON 상태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한방향으로의 레버(4)의 경도 조작에 의해 앞서 설명한 줌 속도 등 처리 동작의 2단 전환을 행할 수 있다.
1 스위치 베이스
1A 오목부
1B 칸막이벽
1C 베어링 홈
1D 스토퍼 홈
1E 걸어맞춤돌기
1F 보스부
2 상부 케이스
2A 걸어맞춤구멍
2B 캠 가이드
2C 상부 케이스의 볼록부
200 슬릿 구멍
201 상부 케이스의 상판부
202 상부 케이스의 측판부
3A 제1 스위치부
3B 제2 스위치부
4 레버
40 레버의 축부
41 레버의 압압 캠부
4A 압압 캠부의 플랫부
4B 압압 캠부의 원호부
4C 압압 캠부의 숄더부
5 공통 접점
61,62 제1 스위치부의 개별 접점
63,64 제2 스위치부의 개별 접점
7A 제1 스위치부의 접점 브러시
7B 제2 스위치부의 접점 브러시
700 접점 브러시의 밑변부
71,72 제1 스위치부의 가동 접점
73,74 제2 스위치부의 가동 접점
8,91,92,93,94 배선부
LS 레버 스위치
L1,L2 접점간 거리

Claims (3)

  1. 오목부를 가지는 스위치 베이스와,
    상기 오목부 상면에 설치한 상부 케이스와,
    상기 오목부 안에 수용된 제1 및 제2 스위치부와,
    상기 양 스위치부를 동시에 조작하기 위한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베이스는 그 오목부 안에 베어링 홈을 가지며,
    상기 상부 케이스는 그 표리면(表裏面)을 관통하는 슬릿 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부는, 양 스위치부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공통 접점을 상기 오목부의 내저면(內底面)에 구비하여 이루어짐과 아울러, 각각의 스위치부마다 상기 슬릿 구멍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공통 접점의 양쪽에 하나씩 배치한 2개의 개별 접점과, 이들 접점상에 배치한 접점 브러시를 가지며,
    상기 공통 접점에서 개별 접점까지의 접점간 거리는 상기 제1 스위치부쪽이 짧고 상기 제2 스위치부쪽이 길게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부의 접점 브러시는, 스프링성이 있는 세장(細長)한 금속편을 역삼각형상으로 절곡하고 그 역삼각형의 밑변부가 상기 슬릿 구멍의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이루어짐과 아울러, 그 역삼각형상의 다른 2변부가 상기 오목부의 내저면상에서 교차되고, 이 교차되는 2변부의 양단을 2개의 가동 접점으로 하는 것으로서,
    상기 레버는, 그 레버 상단이 상기 상부 케이스의 슬릿 구멍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고, 그 레버 하단쪽에, 상기 오목부 안의 베어링 홈에 의해 지지되는 축부와, 상기 각 스위치부의 접점 브러시의 밑변부에 접촉하는 압압 캠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축부를 지점(支點)으로 하여 상기 슬릿 구멍의 길이 방향으로 경도(傾倒)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버 하단쪽의 압압 캠부는 상기 레버의 양쪽에 각각 하나씩 마련되며, 이들 2개의 압압 캠부가 상기 제1, 제2 스위치부의 각 접점 브러시에 각각 하나씩 대응하며 또한 각각의 압압 캠부가 대응하는 상기 접점 브러시를 동시에 압압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케이스는, 그 배면쪽에 2개의 캠 가이드가 마련되어 있고, 이들 2개의 캠 가이드가 상기 제1, 제2 스위치부의 각 접점 브러시에 각각 하나씩 대응하며 또한 각각의 캠 가이드에 대하여 대응하는 상기 접점 브러시가 슬라이드접촉함으로써, 상기 압압 캠부의 회전 동작 및 상기 레버의 경도 동작의 안정화를 도모하고 있으며,
    상기 오목부 안의 베어링 홈은, 그 양쪽에 스토퍼 홈이 하나씩 마련되어 있고, 이들 2개의 스토퍼 홈이 상기 2개의 압압 캠부에 각각 하나씩 대응하며 또한 각각의 압압 캠부의 일부가 대응하는 상기 스토퍼 홈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레버의 경도 각도가 제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를 한쪽 방향으로 경도시키면,
    상기 양 스위치부에서의 접점 브러시의 밑변부 한쪽이 상기 레버의 압압 캠부에 의해 동시에 눌려 하강함과 아울러, 각 스위치부에서의 한쪽 가동 접점이 공통 접점으로부터 동시에 벗어나 각각의 스위치부에서의 한쪽 개별 접점을 향해 슬라이드되고,
    처음에, 접점간 거리가 짧은 제1 스위치부에서의 한쪽 가동 접점이 상기 제1 스위치부의 한쪽 개별 접점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 스위치부에서의 한쪽 개별 접점이 상기 제1 스위치부의 접점 브러시를 통해 공통 접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위치ON 상태가 되고,
    이보다 늦게, 접점간 거리가 긴 제2 스위치부에서의 한쪽 가동 접점이 상기 제2 스위치부의 한쪽 개별 접점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2 스위치부에서의 한쪽 개별 접점이 상기 제2 스위치부의 접점 브러시를 통해 공통 접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위치ON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 캠부는 단면 반달 형상이며, 그 반달의 플랫부가 상기 접점 브러시의 밑변부에 접촉함과 아울러, 그 반달의 원호부와 플랫부의 경계의 숄더부에 의해 상기 접점 브러시의 밑변부 한쪽을 압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치.
  3. 삭제
KR1020100101047A 2009-10-16 2010-10-15 레버 스위치 KR1016302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39532A JP5358391B2 (ja) 2009-10-16 2009-10-16 レバースイッチ
JPJP-P-2009-239532 2009-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021A KR20110042021A (ko) 2011-04-22
KR101630242B1 true KR101630242B1 (ko) 2016-06-14

Family

ID=43910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1047A KR101630242B1 (ko) 2009-10-16 2010-10-15 레버 스위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358391B2 (ko)
KR (1) KR101630242B1 (ko)
CN (1) CN1020443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015050A1 (de) * 2016-12-16 2018-06-21 Johnson Electric Germany GmbH & Co. KG Schalteinrichtung
JP6406376B2 (ja) * 2017-03-13 2018-10-17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7304A (ja) * 2008-06-03 2008-11-13 Mic Electron Co レバー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7218Y2 (ko) * 1985-09-26 1991-10-08
US4874911A (en) * 1988-03-28 1989-10-17 Eaton Corporation Electrical reversing switch
JP3628423B2 (ja) * 1996-03-01 2005-03-09 ナイルス株式会社 2段階操作スイッチ装置
JP3991577B2 (ja) * 2000-11-07 2007-10-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レバースイッチ
JP4099701B2 (ja) * 2002-07-03 2008-06-11 ミック電子工業株式会社 2方向レバースイッチ
JP2009134951A (ja) * 2007-11-29 2009-06-18 Mitsumi Electric Co Ltd 2段プッシュスイッチ付きスライド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7304A (ja) * 2008-06-03 2008-11-13 Mic Electron Co レバー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58391B2 (ja) 2013-12-04
CN102044370B (zh) 2014-08-20
JP2011086550A (ja) 2011-04-28
KR20110042021A (ko) 2011-04-22
CN102044370A (zh)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071078A (ja) キー構造及びその構造を具えるキーボード
JP2007250402A (ja) ジャック
US7851714B2 (en) Switch
JP2011159452A (ja) コネクタ
US6841750B2 (en) Switch device
KR101630242B1 (ko) 레버 스위치
JP2006244977A (ja) 押釦スイッチ
JP4735452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21068692A (ja) スイッチ機構
US7203330B2 (en) Switching unit for a microphone
EP3300093B1 (en) Switch
JP6575661B1 (ja) スイッチ
EP3300092B1 (en) Switch
KR100220332B1 (ko)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KR100583877B1 (ko) 미러 스위치 장치
RU2733209C2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переключатель
KR100298507B1 (ko) 스위치
JP3205644U (ja) 薄型スイッチ
EP2747112B1 (en) Switch
JP2004111261A (ja) スイッチ
JP2020149806A (ja) 導通切換機構
JP2005079041A (ja) スイッチ装置
JPH1153980A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JPH1186683A (ja) 揺動操作形スイッチ装置
JP2004258448A (ja) 押しボタンsw機能を有するスライドsw装置および該スライドsw装置を搭載した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