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9109B1 - 시트 리클라이너의 회전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시트 리클라이너의 회전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9109B1
KR101629109B1 KR1020140192939A KR20140192939A KR101629109B1 KR 101629109 B1 KR101629109 B1 KR 101629109B1 KR 1020140192939 A KR1020140192939 A KR 1020140192939A KR 20140192939 A KR20140192939 A KR 20140192939A KR 101629109 B1 KR101629109 B1 KR 101629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bracket
side bracket
sector gea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2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40192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1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002/2204Adjustable back-rest height or l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리클라이너의 회전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시트백 프레임에 고정결합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관통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싱면을 구비한 사이드 브라켓, 사이드 브라켓의 관통홀을 통해 섹터기어의 결합보스가 삽입되어 용접되는 결합공을 구비한 홀더 브라켓, 시트쿠션 프레임에 고정된 마운팅 브라켓에 고정결합되고 사이드 브라켓과 마주보는 접촉면을 구비하며 홀더 브라켓의 결합공에 삽입되어 용접되는 결합보스를 구비한 섹터기어, 및 사이드 브라켓의 부싱면과 섹터기어의 접촉면에 접촉되게 구비되는 제1부쉬를 포함하여, 사이드 브라켓과 섹터기어 및 홀더 브라켓 간에 발생하는 유격을 최소화하고 접촉면의 불균일한 분포에 의한 악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시트 리클라이너의 회전지지구조{ A STRUCTURE FOR SUPPORTING ROTATION OF A SEAT RECLINER }
본 발명은 시트 리클라이너의 회전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쿠션에 대하여 시트백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시트 리클라이너의 회전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시트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편안한 자세로 앉아 있도록 함으로써 장거리 여행시에도 피로를 느끼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실내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시트쿠션과, 시트쿠션에 대하여 일정경사를 가지고 설치되어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시트에는 탑승자의 편안함을 위하여 여러 가지 편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일례로,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시트를 앞,뒤로 밀고 당겨서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딩 기능과, 시트쿠션에 대하여 시트백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리클라이너 기능과, 3도어 차량에서 뒷좌석으로 탑승을 편리하게 위하여 조수석의 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위크인 기능 등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워크인 기능을 갖는 차량용 시트는 리클라이닝 기능을 이용하여 시트백의 경사각을 조절한 후에 고정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워크인 기능시 리클라이너는 록킹된 상태에서 시트백을 폴딩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탑승자가 탑승하기 위하여 시트백을 록킹하기 위한 록킹장치가 구성된다.
종래 워크인 기능을 갖는 차량용 리클라이너 장치의 일 예가 공개특허 제10-2009-0109680호와, 공개특허 제10-2013-0072018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리클라이너는, 마운팅 브라켓(100), 사이드 브라켓(200), 리클라이닝 유닛(300), 리클라이너 레버(400), 록킹부(500), 록킹 작용부(6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워크인 작용시 시트백이 최전방으로 폴딩되었을 때 리클라이너 레버(400)의 작동을 방지하는 레버 조작방지수단(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시트백은 시트백 프레임(도면 미도시)에 고정결합되고, 시트쿠션은 시트쿠션 프레임(도면 미도시)에 고정된다. 시트쿠션 프레임에 마운팅 브라켓(100)의 하부가 고정결합되고, 이 마운팅 브라켓(100)의 상부 일측에 리클라이닝 유닛(300)이 고정결합되며, 이 리클라이닝 유닛(300)에 시트백을 고정하기 위한 사이드 브라켓(200)이 고정결합된다. 마운팅 브라켓(100)의 상부 타측에는 리클라이닝 유닛(300)을 작동시키기 위한 리클라이너 레버(40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탑승자가 리클라이너 레버(400)를 당겨서 회동시키면, 리클라이닝 유닛(300)이 언록킹 되면서 시트백의 경사각이 조절된다.
사이드 브라켓(200)은 리클라이닝 유닛(300)과 홀더 브라켓(550) 사이에 설치되어 워크인 작용시에는 단독으로 회동되고, 리클라이닝 작용시에는 리클라이닝 유닛(300)의 섹터기어(310)가 회동될 때 홀더 브라켓(550)과 함께 회동하게 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 브라켓(200)에는 관통홀(2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엠보(230)가 3개소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데, 종래에는 엠보(230)가 섹터기어(310)의 접촉면(311)과 국소적인 접촉을 하게 되어 섹터기어(310)의 접촉면(311)의 산포도가 높았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 브라켓(550)은 사이드 브라켓(200)의 관통홀(210)을 통해 섹터기어(310)에 용접 고정된다. 홀더 브라켓(550)에는 용접을 위한 결합공(551)이 형성되고, 사이드 브라켓(200)에 홀더 브라켓(550)의 결합공(551)에 끼워져 용접되는 결합돌기부(312)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홀더 브라켓(550)의 결합공(551)에 섹터기어(310)에 결합부(311)가 용접되어 고정되는데, 용접시 용접부위(555)에 인접한 홀더 브라켓(550)의 선단부가 열변형에 의해 휨이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해 홀더 브라켓(550)과 사이드 브라켓(200) 사이에 유격이 커지게 된다.
또한, 상기 사이드 브라켓(200)의 관통홀(210) 내측벽과 상기 홀더 브라켓(550)의 외주면 사이에 조립을 위한 유격(d)을 두게 되는데, 가공공차로 인해 유격이 크게 제조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사이드 브라켓(200)과 섹터기어(310) 및 홀더 브라켓(550) 간에 유격이 크게 형성되면 리클라이너의 내구성을 급격하게 저하시키고 작동범위에도 오차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작동시 이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시트 리클라이너의 회전지지구조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사이드 브라켓과 섹터기어 및 홀더 브라켓 간에 발생하는 유격을 최소화하고 접촉면의 불균일한 분포에 의한 악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시트 리클라이너의 회전지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시트 리클라이너의 회전지지구조는, 시트백 프레임에 고정결합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싱면을 구비한 사이드 브라켓, 상기 사이드 브라켓의 관통홀을 통해 섹터기어의 결합보스가 삽입되어 용접되는 결합공을 구비한 홀더 브라켓, 시트쿠션 프레임에 고정된 마운팅 브라켓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브라켓과 마주보는 접촉면을 구비하며 상기 홀더 브라켓의 결합공에 삽입되어 용접되는 결합보스를 구비한 섹터기어, 및 상기 사이드 브라켓의 부싱면과 상기 섹터기어의 접촉면에 접촉되게 구비되는 제1부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리클라이너의 회전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부쉬는 상기 사이드 브라켓의 부싱면을 따라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부쉬몸체부, 및 상기 부쉬몸체부의 일측에 상기 사이드 브라켓의 부싱면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웨이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리클라이너의 회전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부쉬는 상기 부쉬몸체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단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리클라이너의 회전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브라켓의 일측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부쉬에 상기 사이드 브라켓의 결합홈에 억지끼움되어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리클라이너의 회전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부쉬의 일측에 상기 사이드 브라켓의 부싱면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브라켓의 관통홀 내측벽과 상기 홀더 브라켓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제2부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리클라이너의 회전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2부쉬는 상기 제1부쉬의 일측에 상기 사이드 브라켓의 관통홀의 원주방향을 따라 원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리클라이너의 회전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부쉬 및 제2부쉬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리클라이너의 회전지지구조에 의하면, 가공공차나 조립공차 및 용접시의 열변형에 의해 사이드 브라켓과 섹터기어 및 홀더 브라켓 간에 발생하는 유격을 최소화하고 접촉면의 불균일한 분포에 의한 악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시트 리클라이너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트 리클라이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시트 리클라이너의 회전지지구조를 나타낸 부분 결합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시트 리클라이너의 회전지지구조의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리클라이너의 회전지지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부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내지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시트 리클라이너의 회전지지구조의 부분 결합사시도,
도 9는 도 8의 일측면도,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시트 리클라이너의 회전지지구조의 결합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리클라이너의 회전지지구조는, 시트백 프레임에 고정결합되는 사이드 브라켓(10), 상기 섹터기어(30)의 결합보스(32)가 삽입되어 용접되는 결합공(22)을 구비한 홀더 브라켓(20), 상기 홀더 브라켓(20)의 결합공(22)에 삽입되어 용접되는 결합보스(32)를 구비한 섹터기어(30), 상기 사이드 브라켓(10)과 섹터기어(30)의 사이에 끼워지는 부쉬를 포함한다.
상기 사이드 브라켓(10)은 양쪽에 구비되는 섹터기어(30)와 홀더 브라켓(20)의 결합을 위한 관통홀(1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관통홀(11)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싱면(12)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더 브라켓(20)은 상기 사이드 브라켓(10)의 부싱면(12) 반대쪽면에 접촉되어 구비되고, 상기 사이드 브라켓(10)의 관통홀(11)로 돌출되는 회전부(2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회전부(21)에는 다수개의 결합공(22)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섹터기어(30)는 시트쿠션 프레임에 고정된 마운팅 브라켓(60)에 고정결합되고, 사이드 브라켓(10)과 마주보는 접촉면(31)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홀더 브라켓(20)의 결합공(22)에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결합보스(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쉬는 사이드 브라켓(10)의 부싱면(12)과 상기 섹터기어(30)의 접촉면(31)에 접촉되게 구비되는 제1부쉬(40), 및 상기 제1부쉬(40)의 일측에 상기 사이드 브라켓(10)의 부싱면(12)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부쉬(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부쉬(40)는 상기 사이드 브라켓(10)의 부싱면(12)을 따라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부쉬몸체부(41), 상기 부쉬몸체부(41)의 일측에 상기 사이드 브라켓(10)의 부싱면(12)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웨이브부(42), 및 상기 부쉬몸체부(41)의 일측 가장자리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단차부(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부쉬몸체부(41)는 상기 사이드 브라켓(10)의 부싱면(12)이나 상기 섹터기어(30)의 접촉면(31)과 면접촉할 수 있는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웨이브부(42)는 상기 부쉬몸체부(41)의 링형상을 따라 상기 사이드 브라켓(10)의 부싱면(12)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부쉬몸체부(41)에 대하여 상기 사이드 브라켓(10)의 부싱면(12)이나 상기 섹터기어(30)의 접촉면(31) 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부쉬몸체부(41)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웨이브부(42)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부쉬몸체부(41)와 웨이브부(42)가 전체적으로 입체적인 링형상을 이루게 되어 상기 사이드 브라켓(10)의 부싱면(12)이나 상기 섹터기어(30)의 접촉면(31)과 평행을 이루지 않게 된다.
상기 부쉬몸체부(41)와 웨이브부(42)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 브라켓(10)의 부싱면(12)과 상기 섹터기어(30)의 접촉면(31)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1부쉬(40)는 웨이브형상으로 인해 상기 사이드 브라켓(10)의 부싱면(12)이나 상기 섹터기어(30)의 접촉면(31)에 탄성적으로 구름접촉 내지 부분적으로 면접촉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제1부쉬(40)가 상기 사이드 브라켓(10)의 부싱면(12)이나 상기 섹터기어(30)의 접촉면(31) 사이의 유격공간에 끼워지게 되면, 상기 사이드 브라켓(10)의 부싱면(12) 쪽으로 휘어진 웨이브부(42)는 상기 사이드 브라켓(10)의 부싱면(12)에 마찰접촉하게 되고 반대로 상기 부쉬몸체부(41)는 상기 섹터기어(30)의 접촉면(31)에 마찰접촉하게 된다. 상기 부쉬몸체부(41)와 웨이브부(42)는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사이드 브라켓(10)의 부싱면(12)에 대하여 상기 섹터기어(30)의 접촉면(31)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상기 섹터기어(30)의 접촉면(31)에 대하여 상기 사이드 브라켓(10)의 부싱면(12)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부쉬(40)로 인해 상기 사이드 브라켓(10)의 부싱면(12)과 상기 섹터기어(30)의 접촉면(31)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사이드 브라켓(10)의 일측에 결합홈(13)이 형성되고, 상기 제1부쉬(40)에 상기 사이드 브라켓(10)의 결합홈(13)에 억지끼움되어 결합되는 결합돌기(4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돌기(44)는 그 단면이 세레이션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이드 브라켓(10)의 결합홈(13)의 내측벽에 마찰력을 극대화하면서 억지끼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단차부(43)는 상기 부쉬몸체부(41)의 일측 가장자리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사이드 브라켓(10)의 부싱면(12)에 안착된다. 종래 상기 사이드 브라켓(10)의 관통홀(11)과 부싱면(12)은 정원을 이루지 않고 일측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에 맞게 상기 단차부(43)의 형상도 상기 부쉬몸체부(41)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부쉬(50)는 상기 제1부쉬(40)의 일측에 상기 사이드 브라켓(10)의 관통홀(11)의 원주방향을 따라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부쉬(50)는 상기 사이드 브라켓(10)의 관통홀(11) 및 홀더 브라켓(20)의 회전부(21)와 동일한 곡률의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 브라켓(10)의 관통홀(11)의 내주면과 홀더 브라켓(20)의 회전부(21) 외주면에 접촉할 수 있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부쉬(50)는 상기 사이드 브라켓(10)의 관통홀(11) 내측벽과 상기 홀더 브라켓(20)의 회전부(21) 외주면 사이의 공간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 브라켓(10)과 홀더 브라켓(20)의 회전부(21)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부쉬(40) 및 제2부쉬(50)는 연성(flexible)의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플라스틱 소재로는 내구성과 내마모성, 유리전이온도가 높은 PA66, PC, PET 등의 열가소성 수지가 사용되고, 유리섬유를 혼합하여 강성과 유리전이온도를 높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연성의 플라스틱 소재로 인해 제1부쉬(40) 및 제2부쉬(50)가 접촉되는 사이드 브라켓(10)과 섹터기어(30) 및 홀더 브라켓(20)의 접촉면의 불균일한 분포를 더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사이드 브라켓
11 : 관통홀
12 : 부싱면
13 : 결합홈
20 : 홀더 브라켓
21 : 회전부
22 : 결합공
30 : 섹터기어
31 : 접촉면
32 : 결합보스
40 : 제1부쉬
41 : 부쉬몸체부
42 : 웨이브부
43 : 단차부
44 : 결합돌기
50 : 제2부쉬
60 : 마운팅 브라켓

Claims (7)

  1. 시트백 프레임에 고정결합되는 관통홀(11)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홀(11)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싱면(12)을 구비한 사이드 브라켓(10);
    섹터기어(30)의 결합보스(32)가 삽입되어 용접되는 결합공(22)을 구비한 홀더 브라켓(20);
    시트쿠션 프레임에 고정된 마운팅 브라켓(60)에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브라켓(10)과 마주보는 접촉면(31)을 구비하며, 상기 홀더 브라켓(20)의 결합공(22)에 삽입되어 용접되는 결합보스(32)를 구비한 섹터기어(30);
    상기 사이드 브라켓(10)의 부싱면(12)과 상기 섹터기어(30)의 접촉면(31)에 접촉되게 구비되는 제1부쉬(40); 및
    상기 제1부쉬(40)의 일측에 상기 사이드 브라켓(10)의 부싱면(12)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브라켓(10)의 관통홀(11) 내측벽과 상기 홀더 브라켓(20)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제2부쉬(50);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쉬(40)는,
    상기 사이드 브라켓(10)의 부싱면(12)을 따라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부쉬몸체부(41);
    상기 부쉬몸체부(41)의 일측에 상기 사이드 브라켓(10)의 부싱면(12)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웨이브부(42); 및
    상기 부쉬몸체부(41)의 일측 가장자리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단차부(43);
    를 포함하는 시트 리클라이너의 회전지지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브라켓(10)의 일측에 결합홈(13)이 형성되고,
    상기 제1부쉬(40)에 상기 사이드 브라켓(10)의 결합홈(13)에 억지끼움되어 결합되는 결합돌기(4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리클라이너의 회전지지구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쉬(50)는,
    상기 제1부쉬(40)의 일측에 상기 사이드 브라켓(10)의 관통홀(11)의 원주방향을 따라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리클라이너의 회전지지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쉬(40) 및 제2부쉬(50)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리클라이너의 회전지지구조.
KR1020140192939A 2014-12-30 2014-12-30 시트 리클라이너의 회전지지구조 KR101629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939A KR101629109B1 (ko) 2014-12-30 2014-12-30 시트 리클라이너의 회전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939A KR101629109B1 (ko) 2014-12-30 2014-12-30 시트 리클라이너의 회전지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9109B1 true KR101629109B1 (ko) 2016-06-10

Family

ID=56190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939A KR101629109B1 (ko) 2014-12-30 2014-12-30 시트 리클라이너의 회전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91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79195A (zh) * 2021-09-27 2021-11-23 恺博座椅机械部件有限公司 改善旋转座椅机构后撞强度的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8615A (ja) * 1999-12-07 2001-06-22 Nippon Antenna Co Ltd アンテナ取付ナット
KR20110124425A (ko) * 2010-05-11 2011-11-17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20130013356A (ko) * 2011-07-28 2013-02-06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워크인 시트의 시트백 록킹 장치
WO2014084600A1 (ko) * 2012-11-28 2014-06-05 현대다이모스(주) 리어시트백 어셈블리의 조립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8615A (ja) * 1999-12-07 2001-06-22 Nippon Antenna Co Ltd アンテナ取付ナット
KR20110124425A (ko) * 2010-05-11 2011-11-17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20130013356A (ko) * 2011-07-28 2013-02-06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워크인 시트의 시트백 록킹 장치
WO2014084600A1 (ko) * 2012-11-28 2014-06-05 현대다이모스(주) 리어시트백 어셈블리의 조립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79195A (zh) * 2021-09-27 2021-11-23 恺博座椅机械部件有限公司 改善旋转座椅机构后撞强度的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2260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US9085248B2 (en) Seat recliner with coaxial easy entry release
RU146964U1 (ru) Сиденье мотор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мотор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US9821685B2 (en) Pumping device for vehicle seat
US20120223564A1 (en) Armrest Mounting Assembly and Misalignment Indicator
KR101793440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629109B1 (ko) 시트 리클라이너의 회전지지구조
US8814270B2 (en) Folding headrest closeout member
KR101608069B1 (ko)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WO2010010748A1 (ja) ヘッドレスト
JP2018069777A (ja) 乗物用シート
KR101885306B1 (ko) 자동차용 시트 쿠션의 틸팅장치
US10864829B2 (en) Rotary vehicle seat facilitating boarding and deboarding
JP2019199158A (ja) ウォークインユニット
JP3636614B2 (ja) シートのシートバック緩衝構造
KR20130072018A (ko) 워크인 기능을 갖는 차량용 리클라이너 장치
JP2013067281A (ja) 車両用衝撃吸収シート
KR101976002B1 (ko) 각도 조절 팔걸이를 구비하는 보조 등받이
KR102332908B1 (ko)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JP6772902B2 (ja) 乗物用シート
KR101723101B1 (ko) 세미 록킹 구조를 갖는 차량용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닝 장치
JP2007290454A (ja) 車両用シート
JP7265190B2 (ja) 乗物用シート及び乗物用シートセット
US20230356633A1 (en) Motor driven child seat for vehicle
CN109789817B (zh) 车辆座椅,特别是机动车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