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8551B1 - 표면 보호 필름 - Google Patents

표면 보호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8551B1
KR101628551B1 KR1020140170555A KR20140170555A KR101628551B1 KR 101628551 B1 KR101628551 B1 KR 101628551B1 KR 1020140170555 A KR1020140170555 A KR 1020140170555A KR 20140170555 A KR20140170555 A KR 20140170555A KR 101628551 B1 KR101628551 B1 KR 101628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pressure
film
protective film
bas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0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수
고세윤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 켐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 켐코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0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5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재 필름; 상기 기재 필름의 일측면 상에 3 차원 패턴으로 형성되는 점착제; 및 상기 점착제 상에 형성되는 이형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는 카르복실기 관능기를 가진 아크릴계 수지 및 에폭시계 가교제를 함유하되, 상기 카르복실기 관능기를 가진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를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표면 보호 필름{SURFACE PROTECTIVE FILM}
본 발명은 고광택 우드그레인용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2012년 한미 FTA(자유 무역협정)가 발효되어 동맹국간 보호 관세가 철폐된 이후 자동차 업계에선 수출 호재로 작용한 반면에 세계 유수의 자동차 메이커가 국내 시장 진출이 용이하게 되었고, 국내 자동차 메이커들은 외제 자동차와의 비교 경쟁력 우위를 점하기 위해 가격 경쟁력 및 디자인 고급화 등의 방안을 강구하였다. 그로 인해 국내 자동차 업계는 실내장재의 고급화 전략의 일환으로 자동차 실내장재 부품 중 기어박스나, 핸들, 데쉬보드, 암레스트 등의 무광이나 반광 코팅된 단조로운 부품에서 고광택 우드그레인 사출 부품으로 개선하여 내수 및 수출되는 자동차에 적용 및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우드그레인과 같은 부품은 고광택 표면을 얻기 위해 사출물 표면에 도장이나 코팅처리를 통하여 고광택 면이 구현되는데, 자동차 제조 공정이 빠르게 진행되는 특성상 도장이나 코팅 시 사용되는 도료 내 용제 및 첨가제 성분이 충분히 건조되지 않아 제품 표면 내 잔류된 상태로 머물게 되며, 제품의 표면으로 이행(migration)되어 굴곡진 면이나 입체형태의 부품 표면과 표면 보호 필름과의 밀착성을 저해하여 기포 없이 합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부품과 표면 보호 필름의 합지 과정 중 기포 내부로 미경화된 용제의 잔류 휘발성 가스가 침투하여 기포 계면부로 응력 집중이 이루어진다. 또한 이로 인해 우드그레인 부품의 고광택 면을 외부의 스크레치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부착한 표면 보호 필름의 제거 시에도 잔류 가스 흔적이 얼룩을 형성하고, 쉽게 제거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1은 이러한 기존 보호 필름에서 발생하는 기포 및 얼룩 발생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종래 이러한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하여, 일본특허공개 제2005-272763호에서는 시트 기재의 편면에 액상의 점착제를 깊이가 5 내지 500 ㎛의 홈부를 갖는 도공 롤을 이용하여 점착제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용 점착 시트에 관해 개시되어 있으나, 점착제 및 가교제에 따른 가교밀도에 차이로 점착제의 전사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일본특허공개 제2000-117864호에서는 그라비어 인쇄법에서 기재 시트 위에 점착제를 도포해, 기재 위에 다수의 독립한 볼록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시트의 제조 방법에 관해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점착제 및 가교제에 따른 가교밀도에 차이로 점착제의 전사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일본특허공개 제1995-033952호에서는 기재의 일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그 점착제층의 표면이 비수용성 점착제의 부분과 수용성 점착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점착제를 사용한 점착 테이프에 관해 개시되어 있으나, 내열 및 내한의 조건에서 점착력을 상실하거나 전사가 발생할 수 있고 가교밀도의 저하에 따른 전사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 외에도, 일본특허공개 제2010-094613호에서는 소정의 도공 패턴이 형성된 셀을 갖는 그라비어 롤을 이용하여 기재에 점착제를 도공하는 점착 테이프의 제조방법에 관해 개시되어 있으나, 점착제 및 가교제에 따른 가교밀도에 차이로 점착제의 전사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부품의 기재 표면과 표면 보호 필름간의 밀착성 저하로 기포가 발생하고, 기포 내부에 잔류 휘발성 용제 가스가 침투되어 기포 계면부 내부와 외부간의 응력 집중화로 다량의 얼룩을 유발시키는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방안이 필요하다.
일본특허공개 제2005-272763호 일본특허공개 제2000-117864호 일본특허공개 제1995-033952호 일본특허공개 제2010-094613호
본 발명의 목적은 기포 및 얼룩 발생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점착력이 향상된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기재 필름; 상기 기재 필름의 일측면 상에 3 차원 패턴으로 형성되는 점착제; 및 상기 점착제 상에 형성되는 이형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는 카르복실기 관능기를 가진 아크릴계 수지 및 에폭시계 가교제를 함유하되, 상기 카르복실기 관능기를 가진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를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재 필름은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마이드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은 두께가 10 내지 200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3 차원 패턴은 사각형, 원형, 삼각형, 또는 줄무늬 형인 것일 수 있다.
상기 3 차원 패턴은 30 ° 내지 60 °의 기울기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점착제는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의 일측면 상에 1 내지 60 중량%가 도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점착제는 두께가 10 내지 50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이형 필름은 실리콘, 불소 또는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으로 표면 처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이형 필름은 두께가 1 내지 100 ㎛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이 접착된 자동차 내장재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차 내장재는 우드그레인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필름 표면 상에 점착제를 기존의 평면 도포 대신 3 차원 패턴으로 도포함으로써, 기포 및 얼룩 발생을 방지하고, 필름 내 도포되는 점착제 양의 절감으로 원가 절감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의 함량이 기존 보호 필름 대비 현격히 낮아져 악취 발생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점착제에 에폭시 가교제를 첨가함으로써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화학적 안정성으로 필름 표면과의 점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기존 보호 필름에서 발생하는 기포 및 얼룩 발생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기재 필름의 일측면 상에 점착제의 도포 형태에 따라 평면형으로 도포된 기존 보호 필름(a)과 본 발명에 따른 원형(b), 사각형(c) 및 줄무늬형(d)의 3 차원 패턴으로 부분적으로 도포된 표면 보호 필름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점착제에 첨가되는 에폭시계(a), 우레탄계(b) 및 킬레이트계(c) 가교제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의 기포 발생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의 단면 구조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구현 예로써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기재 필름; 상기 기재 필름의 일측면 상에 3 차원 패턴으로 형성되는 점착제; 및 상기 점착제 상에 형성되는 이형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는 카르복실기 관능기를 가진 아크릴계 수지 및 에폭시계 가교제를 함유하되, 상기 카르복실기 관능기를 가진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를 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cross-linking)는 점착제의 제조 시 첨가되는 첨가제로서, 사슬 모양의 고분자 사이에서 가교 역할을 하며, 고분자 수지(樹脂)에 경도(硬度) 및 탄력성 등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고, 화학적 안정성을 부여하여 점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기재 필름은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마이드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은 신율 300 %이상의 특성을 가진 폴리올레핀(PO)계열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기재 필름은 두께가 10 내지 200 ㎛인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재 필름의 두께가 10 ㎛ 보다 얇으면 우수한 물성을 구현하는데 문제가 있을 수 있고, 반대로 200 ㎛ 보다 두꺼우면 제조 원가의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재 필름이 폴리에틸렌인 경우, 두께가 50 내지 100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기재 필름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경우, 두께가 12 내지 50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기재 필름의 일측면 상에 상기 점착제를 도포할 때, 입체 형태의 3 차원 패턴으로 도포되는데, 이때 상기 3 차원 패턴은 사각형, 원형, 삼각형, 또는 줄무늬형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는 기존의 평면 도포 방식에서 코팅기의 헤드 롤러를 3 차원 패턴형의 돌출부로 가공하여 기재 필름 표면에 입체적 형상을 구현한 것이다. 이로 인해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의 기본 물성이 발현 가능한 범위 내에서 부분적으로 도포함으로써 기존 필름 대비 상기 점착제의 함량을 절감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3 차원 패턴은 30 ° 내지 60 °의 기울기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3 차원 패턴의 각도가 30 ° 보다 작으면 절단성 및 외관 변형이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반대로 60 ° 보다 크면 권취성 및 절단성이 저하되고 외관 변형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도가 34 ° 내지 40 °의 기울기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점착제는 상기 기재 필름의 일측면 상에 1 내지 60 중량%가 도포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점착제의 함량이 1 중량% 보다 적으면 기재 필름과의 접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반대로 60 중량% 보다 많으면 패턴의 공극 사이에 잔류 휘발성 가스의 응력 발생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는 상기 기재 필름의 일측면 상에 폭이 10 ㎛ 내지 100 mm 이고, 두께가 10 내지 50 ㎛로 균일한 간격으로 부분 도포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점착제의 두께가 10 ㎛ 보다 얇으면 점착력이 약하여 떨어지거나 들뜨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반대로 50 ㎛ 보다 두꺼우면 응집력 저하 또는 점착력의 증가로 인한 전사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은 상기 기재 필름의 일측면 상에 코팅기의 헤드 롤러(head roller)를 밀착시킨 후 상기 점착제를 3 차원 패턴으로 도포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코팅기는 콤마 코팅기, 그라비아 코팅기 또는 마이크로 코팅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헤드 롤러는 상기 점착제의 입체적인 패턴형 구현이 가능하도록 폭이 5 ㎛ 내지 10 mm이고, 두께가 10 내지 50 ㎛인 돌출부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이형 필름은 실리콘, 불소 또는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으로 표면 처리된 폴리올레핀(PO)계열의 것일 수 있다. 상기 이형 필름은 기재 필름의 점착면에 접착되어 기재 필름의 표면을 보호하고 내열성이 우수하며, 사용 시 벗겨내어 쓸 수 있도록 표면 가공되어 작업성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상기 이형 필름은 두께가 1 내지 100 ㎛인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형 필름의 두께가 20 ㎛ 내지 80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이 접착된 자동차 내장재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차 내장재는 우드그레인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기재 필름의 일측면 상에 다양한 패턴 구현이 가능한 제작된 롤러를 코팅기 내에 부착하여 3 차원 패턴 형태로 점착제를 도포함으로써, 기존의 전체적으로 도포된 보호 필름에 비해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 내에 도포된 점착제 사이의 공극을 통해 잔류 휘발성 가스가 휘발되어 응력 발생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표면 보호 필름의 제거 시 시감된 잔류 용제 가스의 흔적 및 얼룩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80 ㎛ 두께의 폴리에틸렌 필름의 표면 상에 점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폭시 가교제 2 중량부가 함유된 아크릴계 점착제가 도포된 원형의 3차원 패턴으로 제작된 그라비아 코팅기의 헤드 롤러를 밀착시킨 후 30°의 기울기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도포하였다. 그런 다음 도포된 점착제 상에 75 ㎛ 두께의 이형 필름을 부착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제조하였다.
도 2는 기재 필름의 일측면 상에 점착제의 도포 형태에 따라 평면형으로 도포된 기존 보호 필름(a)과 본 발명에 따른 원형(b), 사각형(c) 및 줄무늬형(d)의 3 차원 패턴으로 부분적으로 도포된 표면 보호 필름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의 단면 구조도이다.
실시예 2~7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점착제가 도포된 그라비아 코팅기의 헤드 롤러를 하기 표 1과 같이 각각 다른 각도의 기울기 방향으로 도포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점착제가 도포된 그라비아 코팅기의 헤드 롤러를 하기 표 1과 같이 각각 다른 각도의 기울기 방향으로 도포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7 및 비교예 1~5에서 제조된 표면 보호 필름의 헤드 롤러의 기울기 방향에 따른 물성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SEM을 이용하여 권취성, 절단성 및 롤(Roll)의 변형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각도 10° 20° 30° 35° 40° 45° 50° 55° 60° 70° 80° 90°
권취성 X X X
절단성 X X X X

변형
X X X X
○ : 우수, △ : 보통, X : 취약
상기 표 1의 결과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 1~7에서 제조된 표면 보호 필름은 상기 비교예 1~5에 비하여 점착제가 도포된 헤드 롤러를 30° 내지 60°의 기울기 방향으로 도포하였을 때, 권취성, 절단성 및 롤(Roll)의 변형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점착제가 도포된 헤드 롤러를 35° 및 40°각도의 기울기로 도포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후 외관 변형 상태가 우수하였다.
실험예 2
본 발명의 점착제의 가교제 첨가에 따른 기포 발생 여부를 알아보고자,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에폭시계, 우레탄계(AK-75) 및 킬레이트계 가교제를 점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2 중량부를 첨가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제조한 후 기포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도 3은 점착제에 첨가되는 에폭시계(a), 우레탄계(b) 및 킬레이트계(c) 가교제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의 기포 발생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상기 도 3의 기포 발생 결과에 의하면, 에폭시계(a) 가교제를 첨가하였을 때 기포가 발생하지 않은 반면, 우레탄계(b) 및 킬레이트(c) 가교제의 경우 기포가 심하게 발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가 사슬 모양의 고분자 사이에서 가교하여 화학적 안정성을 부여하고, 점착 시 필름 표면과의 점착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기계적 강도 및 화학적 안정성으로 점착력을 향상시키고, 기포 및 얼룩 발생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기존 보호 필름의 점착제 양에 비해 필름 내 도포되는 점착제 양의 절감할 수 있다.
1 : 기재 필름
2 : 점착제
3 : 이형 필름

Claims (11)

  1. 기재 필름;
    상기 기재 필름의 일측면 상에 3 차원 패턴으로 형성되는 점착제; 및
    상기 점착제 상에 형성되는 이형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는 카르복실기 관능기를 가진 아크릴계 수지 및 에폭시계 가교제를 함유하되,
    상기 카르복실기 관능기를 가진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를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3 차원 패턴은 사각형, 원형, 삼각형, 또는 줄무늬 형으로 이루어지되, 30 ° 내지 60 °의 기울기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은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마이드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은 두께가 10 내지 2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는 두께가 10 내지 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필름은 실리콘, 불소 또는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으로 표면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필름은 두께가 1 내지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7항 내지 제 9 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표면 보호 필름이 접착된 자동차 내장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내장재는 우드그레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
KR1020140170555A 2014-12-02 2014-12-02 표면 보호 필름 KR101628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555A KR101628551B1 (ko) 2014-12-02 2014-12-02 표면 보호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555A KR101628551B1 (ko) 2014-12-02 2014-12-02 표면 보호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8551B1 true KR101628551B1 (ko) 2016-06-08

Family

ID=56194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0555A KR101628551B1 (ko) 2014-12-02 2014-12-02 표면 보호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85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423857A1 (pl) * 2017-12-12 2019-06-17 Opinion Strefa Druku Spółka Z Ograniczoną Odpowiedzialnością Sposób wytwarzania materiału samoprzylepnego i materiał samoprzylepny
KR20200087899A (ko) 2019-01-11 2020-07-22 (주)베스트룸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952A (ja) 1993-07-23 1995-02-03 Polyplastics Co ポリオキシメチレン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JP2000117864A (ja) 1998-10-15 2000-04-25 Bando Chem Ind Ltd 貼着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5272763A (ja) 2004-03-26 2005-10-06 J-Film Corp 貼着用粘着シート
KR100838461B1 (ko) * 2007-01-24 2008-06-16 율촌화학 주식회사 표면 보호 필름
JP2010094613A (ja) 2008-10-17 2010-04-30 Nitomuzu:Kk 粘着剤塗工用グラビアロールおよび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
JP2011167862A (ja) * 2010-02-16 2011-09-01 Kyodo Giken Kagaku Kk 表示装置の保護体
KR20120101041A (ko) * 2010-01-08 2012-09-12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점접착 시트 및 그것을 이용한 접착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952A (ja) 1993-07-23 1995-02-03 Polyplastics Co ポリオキシメチレン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JP2000117864A (ja) 1998-10-15 2000-04-25 Bando Chem Ind Ltd 貼着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5272763A (ja) 2004-03-26 2005-10-06 J-Film Corp 貼着用粘着シート
KR100838461B1 (ko) * 2007-01-24 2008-06-16 율촌화학 주식회사 표면 보호 필름
JP2010094613A (ja) 2008-10-17 2010-04-30 Nitomuzu:Kk 粘着剤塗工用グラビアロールおよび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
KR20120101041A (ko) * 2010-01-08 2012-09-12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점접착 시트 및 그것을 이용한 접착 방법
JP2011167862A (ja) * 2010-02-16 2011-09-01 Kyodo Giken Kagaku Kk 表示装置の保護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423857A1 (pl) * 2017-12-12 2019-06-17 Opinion Strefa Druku Spółka Z Ograniczoną Odpowiedzialnością Sposób wytwarzania materiału samoprzylepnego i materiał samoprzylepny
KR20200087899A (ko) 2019-01-11 2020-07-22 (주)베스트룸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0081B1 (ko) 2019-01-11 2020-09-28 (주)베스트룸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86876B1 (en) Transfer film for in-mold injection showing three-dimensional patter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10369770B2 (en) Molded article covered with film
EP3284596B1 (en) Decorative sheet
CA2840390A1 (en) Structure integrated by vacuum pressure forming or vacuum form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814178B1 (ko) 몰딩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몰딩재
KR101715688B1 (ko)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978158B1 (ko) 가교결합된 프라이머 조성물 및 열성형가능 필름에서의그의 용도
EP3281786B1 (en) Decorative sheet, molding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20110200808A1 (en) Masking Strip with a PVC Film
KR101628551B1 (ko) 표면 보호 필름
CN114571584A (zh) 混凝土装饰用压模材料
KR20190090334A (ko) 합성 피혁용 공정지 및 합성 피혁의 제조 방법
KR102063599B1 (ko) 데코시트용 코팅 조성물 및 데코시트
KR102153364B1 (ko) 장식 필름 및 장식 필름의 제조방법
KR102428656B1 (ko) 기능적 필름 적층물
KR100843612B1 (ko) 데코시트
KR101810731B1 (ko) 실리콘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이를 이용하는 인쇄용 블랭킷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블랭킷
JP2022167967A (ja) シリコーンゴム複合体及びそれを使用した成形体の製造方法
KR20130106012A (ko) 인몰드 사출용 전사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4629352B2 (ja) 接着層用水系塗工液、積層体および積層体の製造方法
KR101508686B1 (ko) 실리콘 필름층이 형성된 내열 레이저 가공용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
KR101166507B1 (ko) 폴리프로필렌 기재 합침용 필름, 그 필름이 합침된 폴리프로필렌 기재-필름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607713B1 (ko) 오염방지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25423B1 (ko) 커버레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H04198383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