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7899A -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7899A
KR20200087899A KR1020190003637A KR20190003637A KR20200087899A KR 20200087899 A KR20200087899 A KR 20200087899A KR 1020190003637 A KR1020190003637 A KR 1020190003637A KR 20190003637 A KR20190003637 A KR 20190003637A KR 20200087899 A KR20200087899 A KR 20200087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window
transparent substrate
adhesive layer
pattern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0081B1 (ko
Inventor
이광석
Original Assignee
(주)베스트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베스트룸 filed Critical (주)베스트룸
Priority to KR1020190003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081B1/ko
Publication of KR20200087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431Specific parts for the modulation of light incorporated into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467Variable transmission
    • B32B17/10495Variable transmission optoelectronic, i.e. optical valve
    • B32B17/10504Liquid crystal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32B7/14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applied in spaced arrangements, e.g. in strip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55Liquid cryst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면에 폴리머 분산 액정(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PDLC) 필름이 적층되는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로서, 상기 폴리머 분산 액정 필름과 상기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 사이에 점착제 층이 개재(介在)되되, 상기 점착제 층은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점착제 층이 개재되더라도 영상의 산란 또는 투과율 손실로 인한 해상도 저감을 억제할 수 있고, 점착제 층이 개재될 때 발생하는 이물질에 의한 기공이 형성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 및 이의 제조방법.{Transparent Substrate for Smart Window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머 분산 액정 필름과 투명 기재 사이에 패턴화된 점착층이 개재된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리산업에서는 에너지 저감 효과와 친환경 재료의 사용을 바탕으로 기존 유리의 특성을 변화시킨 다양한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특히, 인위적으로 가시광에 대한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는 유리로서 스마트 윈도우가 주목받고 있다.
스마트 윈도우는 다양한 박막 재료의 개발과 함께 액정 물질에 대한 연구를 통해 완성된 것이며, 재료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제품이 개발되어 있다. 특히 대형화를 위하여 폴리머 분산 액정(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PDLC)을 이용하여 빛의 투과도를 조절하는 것이 스마트 윈도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PDLC 방식의 스마트 윈도우는 PDLC 필름이 유리와 같은 투명 기판에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PDLC 필름에 포함되는 액정 고분자의 산란특성을 이용하여 후면 투사 방식의 스마트 윈도우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국제 공개특허공보 2016-01018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109927호 참조).
이 경우 상기 PDLC 필름과 유리 기판의 결합을 위하여 필름의 일면에 점착제 층이 형성되어 있는데, 영상을 확산/투과시킬 때 투명 기판과 PDLC 필름이 접합된 상태에서 영상의 산란이 발생할 수 있고 투과율이 저하되어 해상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점착제 층은 필름의 일측 전면에 형성되며 기판 전체에 부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공정 중 미세 먼지가 필름 면에 붙어 기공을 형성하는 불량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공정 제어가 쉽지 않다. 또한, 부착의 균일성이 낮으며 부착 공정에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스마트 윈도우에 관한 기술은 아니나,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기술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28551호에서는 기재 필름의 일측면 상에 3차원 패턴으로 점착제 층을 형성함으로써 기포 및 얼룩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자동차 내장재용 표면 보호 필름에 적용하기 위한 기술이나 점착제 층을 패턴화하여 형성하는 기술을 스마트 윈도우 투명 기재에 적용한다면 상기와 같은 필름 접합시에 발생하는 스마트 윈도우 투명 기재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제 공개특허공보 2016-01018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10992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2855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점착제 층이 개재되더라도 영상의 산란 또는 투과율 손실로 인한 해상도 저감을 억제할 수 있는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점착제 층이 개재됨으로써 이물질에 의한 기공이 형성되는 문제점을 해소한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점착제 층을 패턴화하여 일정한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단열 특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점착제 층의 패턴화를 통해 스마트 윈도우 상에 특정한 문양이나 글자 등을 표시할 수 있는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점착제 층을 패턴화하여 폴리머 분산 액정 필름과 유리 기판 사이에 개재하는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는 일면에 폴리머 분산 액정(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PDLC) 필름이 적층되는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로서, 상기 폴리머 분산 액정 필름과 상기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 사이에 두께가 5 내지 2,000㎛인 점착제 층의 패턴이 개재(介在)되되, 상기 패턴은 하나의 패턴과 이웃하는 패턴 사이의 거리가 10 내지 100㎜이며, 상기 패턴의 폭이 1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의 제조방법은 폴리머 분산 액정 필름의 일면에 점착제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점착제 층이 형성된 상기 일면을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의 표면에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의 일면에 점착제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점착제 층이 형성된 상기 일면을 폴리머 분산 액정 필름의 표면에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는 점착제 층이 개재되더라도 영상의 산란 또는 투과율 손실로 인한 해상도 저감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점착제 층이 패턴화되어 개재됨으로써 이물질에 의한 기공이 형성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 층을 패턴화하여 일정한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단열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 층의 패턴화를 통해 스마트 윈도우 상에 특정한 문양이나 글자 등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스마트 윈도우에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 층을 패턴화하여 폴리머 분산 액정 필름과 투명 기재 사이에 개재하는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의 제조방법을 통해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의 공정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 투명 기재의 단면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스마트 윈도우 각 시료에 따른 수평방향 측정 휘도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스마트 윈도우 각 시료에 따른 수직방향 측정 휘도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열관류율 측정을 위한 모델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분산 액정 필름이 접착된 스마트 윈도우 유리 기판의 전원 인가 전(a) 및 전원 인가 후(b)를 나타낸 시제품의 사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기재(100)의 일면에 폴리머 분산 액정(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PDLC) 필름(300)이 적층되어 스마트 윈도우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투명 기재(100)와 폴리머 분산 액정 필름(300) 사이에 점착제 층(200)이 개재되는 것이며, 프로젝터(400)에서 조사되는 화상 데이터가 상기 투명 기재(100) 및 폴리머 분산 액정 필름(300)을 투과하여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방식으로 구동된다. 즉, 본 발명의 스마트 윈도우에 적용되는 기술은 폴리머 분산 액정을 이용한 것이다.
폴리머 분산 액정의 경우, 상기 폴리머 분산 액정 필름에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이 부가되거나 전원부가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최근에는 경량화의 추세에 따라 태양전지, 태양전지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구동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 구동 전원의 인가 여부에 따라 광 투과도가 변경되는 폴리머 분산 액정부, 전원 변환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및 입력신호에 따라 구동 전원을 상기 PDLC부로 인가하도록 전원 변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96724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스마트 윈도우 투명 기재(100)의 일면에 점착제 층(200)이 형성되고 상기 점착제 층(200) 상에 폴리머 분산 액정 필름(300)이 적층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폴리머 분산 액정 필름(3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리머 분산 액정 혼합물(340)을 중심으로 양면에 ITO PET 필름(330)이 적층되되, 점착제 층(200)과 상기 ITO PET 필름(330)이 직접 접착되지 않고, PET 필름(310)을 개재하여 접착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리머 분산 액정 혼합물(340)을 중심으로 양면에 ITO PET 필름(330)이 적층되되, 점착제 층(200)과 상기 ITO PET 필름(330)이 직접 접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폴리머 분산 액정 필름(200)과 투명 기재(100)가 접합되는 점착제 층(200)에서 빛의 산란, 투과도 저하, 점착층의 기공 발생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통상의 폴리머 분산 액정 필름이 결합되는 스마트 윈도우의 필름 접합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스마트 윈도우 시스템의 해상도를 확보하고 불량률을 저감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점착제 층이 개재된 결합 구조와는 달리 폴리머 분산 액정 필름과 투명 기재 사이에 개재되는 점착제 층을 패턴화하고 있다.
이러한 패턴화된 점착제 층은 다양한 이점을 가지고 있는데, 우선, 후면 투사 방식의 스마트 윈도우 시스템에서 유리 기재와 폴리머 분산 액정 필름이 점착제에 의해 접합될 때 나타나는 영상의 산란 및 투과율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폴리머 분산 액정 필름을 투명 기재에 접착하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불순물로 인한 기공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고 접착 공정의 시간이나 불량률 면에서도 크게 향상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투명 기재는 유리 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등의 다양한 고분자 수지로 제조될 수 있는데, 이러한 유리 또는 고분자 소재의 투명 기재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재의 종류에 따라 점착제의 조성을 달리하거나 접합 공정 조건을 최적화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점착제 층의 패턴화를 통해 이러한 문제를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패턴화된 점착제 층은 단순히 투명 기재 또는 필름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는 것으로 얻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며, 패턴의 특성, 패턴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층의 균일성이 스마트 윈도우 시스템의 구동 시 특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되므로 이를 위한 최적화가 반드시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패턴화된 점착제 층을 구성하는 패턴은 원형, 사각형, 삼각형, 육각형, 직선형 줄무늬, 곡선형 줄무늬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패턴의 형태를 다양화하는 이유는 상기 점착제 층을 통해 투명 기재와 필름을 단순히 접착시키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패턴을 통해 생성되는 공기층을 이용하여 단열 특성을 부여하며, 상기 점착제 층의 패턴을 통해 투광에 의한 스마트 윈도우에 일정한 글자, 문양, 로고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패턴은 하나의 패턴과 이웃하는 패턴 사이의 거리가 1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패턴의 최대 폭은 1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턴을 통해 형성되는 상기 점착제 층의 두께는 5 내지 2,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특성을 만족함으로써 상기 패턴을 통해 형성되는 점착제 층이 투명 기판과 폴리머 분산 액정 필름 사이에 개재되더라도 스마트 윈도우의 광학 특성이 저감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의 제조방법은 점착제 층이 일면에 설치된 하나의 기재를 다른 기재에 접합하는 것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점착제 층은 폴리머 분산 액정 필름의 일면에 설치될 수도 있고, 투명 기재의 일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폴리머 분산 액정 필름의 일면에 상기 점착제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점착제 층이 형성된 상기 일면을 상기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의 표면에 접착하는 단계를 통해 접합될 수도 있고, 이와는 반대로,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의 일면에 상기 점착제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점착제 층이 형성된 상기 일면을 상기 폴리머 분산 액정 필름의 표면에 접착하는 단계를 통해 접합될 수도 있다.
점착제 층의 패턴화는 기재의 표면에 점착제 층을 도포한 후 일정 부분에 레이저를 조사하거나 타발 공정을 이용하여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 다른 방법으로는 실크 인쇄를 통해 기재의 표면에 점착제의 패턴을 직접 인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패턴의 형성 시 패턴의 폭, 패턴 사이의 간격을 최적화해야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점착제 층을 형성할 때 점착제가 퍼져 상기 폭과 패턴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점착제는 아크릴 수지와 가교제를 포함하는 통상의 아크릴계 점착제에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란 화합물을 추가함으로써 패턴 인쇄 시 충분한 점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이때,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6 내지 10이며 R은 메틸기, 에틸기, 이소프로필기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실란 화합물은 우레탄과 피리딘의 관능기를 포함하여 유리의 표면에 대한 초기 접착력이 낮아지게 되어 점착제가 퍼지거나 패턴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않으며, 부착 후에는 고온 또는 고온고습 조건에서 시간이 경과하면서 접착력이 증가되도록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n이 6 내지 10인 비교적 장쇄의 알킬기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실란 화합물이 아크릴계 점착제 내에서 상용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특히, n이 6 미만인 경우에는 분자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져 아크릴계 점착제 내에서 상용성이 있더라도 초기 접착력을 너무 많이 낮추어 패턴 형성 공정 시 불량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른 패턴화된 점착제 층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패턴화된 점착제 층을 제조하고 이를 적용한 스마트 윈도우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점착제로는 통상의 아크릴 점착제를 사용하였으며, 시료 1 내지 13의 점착제 층은 아래 표 1과 같다.
패턴간 거리(㎜) 패턴의 최대폭(㎜) 점착제 층 두께(㎛)
시료 1 20 10 0
시료 2 20 10 10
시료 3 20 10 50
시료 4 20 10 100
시료 5 20 10 500
시료 6 20 10 1,000
시료 7 20 10 2,000
시료 8 5 10 1,000
시료 9 80 10 1,000
시료 10 110 10 1,000
시료 11 20 0.5 1,000
시료 12 20 15 1,000
시료 13 20 25 1,000
각각의 스마트 윈도우 시료에 대하여 휘도(gain)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서 휘도는 스크린 원단에 빛을 투사했을 때 반사되는 밝기, 각도 등의 고유의 성질을 수치화한 특성값으로서 스크린에 직각으로 빛을 투사하고 휘도계를 중앙부에서 원형으로 좌우 5°간격으로 위치를 변경하면서 반사 수치를 계측하여 측정한다. 이때 투사된 빛과 동일한 밝기로 반사하는 경우가 10 gain이며, 이는 스크린이 반사할 수 있는 가장 밝은 수치인 피크게인(P.G.)이다. 또한, 측정 각도에 따라 휘도 값이 달라지는데 피크게인에서 1/2 밝기의 하프게인 지점의 각도를 시야각으로 표시한다.
본 발명에서 휘도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정의된다.
[수학식 1]
G = Is/Ilaser
상기 식에서 Is는 스크린에 반사된 레이저 빔의 세기이며, Ilaser는 입사 직전의 레이저 빔의 세기이다.
상기 식에 의해 정의되는 휘도를 이용하여 스마트 윈도우의 시야각을 정의할 수 있다. 즉, 전면에서 측정된 휘도(GF)를 기준으로 각 각도에서 측정된 휘도(GS)를 비교하여 GS = 0.5GF의 조건을 만족하는 각도를 반시야각으로 정의하고 시야각은 반시야각의 두 배로 결정한다. 상기 휘도 측정에서 광원은 543.5㎚와 632.8㎚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를 이용하였다.
각 시료에 대하여 측정된 휘도는 표 2와 같다. 또한, 수평방향 측정 휘도 및 수직방향 측정 휘도는 도 4 및 도 5에서 그래프로 표시하였다.
수평방향 측정 휘도 수직방향 측정 휘도
543.5㎚ 632.8㎚ 543.5㎚ 632.8㎚
시료 1 6 6 6 6.1
시료 2 7.5 7.5 7.7 7.7
시료 3 8.1 8.1 8.0 8
시료 4 8.1 8.1 8.1 8.1
시료 5 8.0 8.1 8 8
시료 6 7.9 7.9 8 8
시료 7 7.5 7.5 7.8 7.8
시료 8 6.1 6.1 6.1 6.1
시료 9 7.8 7.9 7.9 8
시료 10 8 8.1 8 8.1
시료 11 8 8.1 8.1 8.2
시료 12 8 8 8 8.1
시료 13 7.5 7.6 7.5 7.5
표 2의 결과를 살펴보면, 점착제 층 두께가 10㎛ 이상에서부터 휘도 값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20㎛ 이상에서부터 최적의 휘도 값을 얻을 수 있고, 그 이상의 두께에서는 차이가 없으나, 2,000㎛ 이상에서는 휘도 값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패턴 사이의 거리가 10 내지 100㎜, 패턴의 최대 폭은 1 내지 20㎜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지 못하는 시료 8, 10, 11, 13은 점착제 층의 두께를 최적화하더라도 휘도 값이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를 도 4 및 도 5의 그래프로 비교해보면, 점착층의 두께, 패턴 사이의 거리, 패턴의 폭에 따른 측정 휘도의 차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실험 결과로부터 상기 패턴은 패턴 사이의 거리가 10 내지 100㎜, 패턴의 최대 폭은 1 내지 20㎜, 상기 패턴을 통해 형성되는 상기 점착제 층의 두께는 5 내지 2,000㎛인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단열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열관류율을 측정하였다. 열관류율 측정을 위하여 도 6과 같이 투명 기재를 유리로 하였을 때를 상정하여 계산하였으며, 하기 식에 의해 계산되었다. 도 6에서 측정 모델은 각각 프레임(1), 간격재(2), 유리(3)를 나타낸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식에서 U W 는 유리의 열관류율이며, A g 는 유리의 면적(도 6의 3 부분), A f 는 프레임의 면적(도 6의 1 및 2 부분), U g 는 유리의 열관류율(도 6의 3 부분), U f 는 프레임의 열관류율(도 6의 1 및 2 부분), l g 는 유리 가장자리의 길이(도 6의 3과 2가 만나는 가장자리의 길이), Ψg는 유리, 프레임, 간격재의 복합적인 선형 열관류율이다.
상기 식에 따라 스마트 윈도우 시료 1 내지 7에 대하여 38℃를 기준으로 표면 온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3과 같다.
열관율(W/㎡K) 온도(℃)
시료 1 4 37
시료 2 3.5 36.5
시료 3 3.5 36.4
시료 4 3.4 36.4
시료 5 3.1 35.2
시료 6 2.9 35
시료 7 2.7 34
상기 표 3에서 시료 2의 경우, 약간의 공기층이 부여되는 것만으로도 열관율과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공기층(점착제 층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열관율과 온도가 더욱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패턴화된 점착제 층이 적용되는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는 그 표면에 폴리머 분산 액정 필름을 접합하는 공정의 속도가 향상되고 이물질에 의한 기포나 얼룩 발생이 현저히 감소하기 때문에 공정 불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분산 액정 필름과 투명 기재가 접합된 스마트 윈도우의 운전 상태를 도 7에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살펴보아도 유리 기재 상에 폴리머 분산 액정 필름이 접착된 상태에서 이물질에 의한 기포나 얼룩의 발생이 전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전원 인가 전에 불투명한 상태(도 7의 a)에서 전원 인가에 의해 투명한 상태로 변하면서 동시에 점착제 패턴에 의한 패턴 무늬가 스마트 윈도우 전면에 나타나게 되는데(도 7의 b), 이러한 점착제 패턴을 통해 다양한 문자, 로고, 문양 등을 상기 스마트 윈도우에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유리 기재를 적용한 스마트 윈도우는 스마트 윈도우로서 작동함과 동시에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폴리머 분산 액정 필름과 투명 기재 사이에 개재되는 점착제 층의 패턴화 및 상기 패턴의 간격, 크기, 높이를 최적화함으로써 스마트 윈도우의 광학 특성 저감을 방지하면서도 단열 효과 및 기포나 얼룩 발생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 언급된 실시예로서 설명되었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청구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한다.
100 : 투명 기재 200 : 점착제 층
300 : 폴리머 분산 액정 필름
310 : PET 필름 320 : 아크릴 점착제 층
330 : ITO PET 필름 340 : 폴리머 분산형 액정 혼합물
400 : 프로젝터

Claims (3)

  1. 일면에 폴리머 분산 액정(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PDLC) 필름이 적층되는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분산 액정 필름과 상기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 사이에 두께가 5 내지 2,000㎛인 점착제 층의 패턴이 개재(介在)되되,
    상기 패턴은 하나의 패턴과 이웃하는 패턴 사이의 거리가 10 내지 100㎜이며, 상기 패턴의 폭이 1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
  2. 청구항 1의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분산 액정 필름의 일면에 상기 점착제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점착제 층이 형성된 상기 일면을 상기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의 표면에 접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의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의 일면에 상기 점착제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점착제 층이 형성된 상기 일면을 상기 폴리머 분산 액정 필름의 표면에 접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의 제조방법.
KR1020190003637A 2019-01-11 2019-01-11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0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637A KR102160081B1 (ko) 2019-01-11 2019-01-11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637A KR102160081B1 (ko) 2019-01-11 2019-01-11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899A true KR20200087899A (ko) 2020-07-22
KR102160081B1 KR102160081B1 (ko) 2020-09-28

Family

ID=71892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637A KR102160081B1 (ko) 2019-01-11 2019-01-11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0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054B1 (ko) * 2021-12-16 2023-04-18 (주)프리즘 창의 스크린 글래스
KR102666959B1 (ko) 2023-06-27 2024-05-17 주식회사 스탠다드에이치 색 전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가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8714U (ja) * 1995-05-29 1995-11-28 株式会社コスモテック 微弱粘着フィルム
JP2007500117A (ja) * 2003-07-30 2007-01-11 グラヴルベル ガラス張りパネル
KR20090109927A (ko) 2008-04-17 2009-10-21 한화폴리드리머 주식회사 탈·부착이 가능한 스마트 윈도우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10186A (ko) 2014-07-18 2016-01-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유두종바이러스 e7 절단된 펩타이드의 자궁경부암 진단 및 치료 용도
KR101628551B1 (ko) 2014-12-02 2016-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표면 보호 필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8714U (ja) * 1995-05-29 1995-11-28 株式会社コスモテック 微弱粘着フィルム
JP2007500117A (ja) * 2003-07-30 2007-01-11 グラヴルベル ガラス張りパネル
KR20090109927A (ko) 2008-04-17 2009-10-21 한화폴리드리머 주식회사 탈·부착이 가능한 스마트 윈도우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10186A (ko) 2014-07-18 2016-01-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유두종바이러스 e7 절단된 펩타이드의 자궁경부암 진단 및 치료 용도
KR101628551B1 (ko) 2014-12-02 2016-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표면 보호 필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054B1 (ko) * 2021-12-16 2023-04-18 (주)프리즘 창의 스크린 글래스
KR102666959B1 (ko) 2023-06-27 2024-05-17 주식회사 스탠다드에이치 색 전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0081B1 (ko) 2020-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31811B (zh) 影像螢幕保護玻璃照明
EP3151063B1 (en) Video projection structure, video projection method, and video projection window
CN108713163B (zh) 具有方向性的漫反射的透明层状元件
KR101745599B1 (ko) 양자점 광학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60040017A1 (en) Composite optical reflective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US20170261807A1 (en) Polarizer shee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of polarizer sheet
BR112014028445B1 (pt) Vidraça e método de projeção ou retroprojeção
KR102160081B1 (ko)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기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7021297A (ja) 量子ドットシート、バックライト及び液晶表示装置
JP6862814B2 (ja) 量子ドットシート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及び該バックライト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CN105164358B (zh) 复合透明发光装置
CN105137526A (zh) 一种背光模组、背光模组的制造工艺及显示装置
JP2017016925A (ja) バックライト及び液晶表示装置
KR100676633B1 (ko) 접합 영상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1868453B1 (ko) 투명 스마트 oled 조명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3068872A (ja) レンズシート、及びel発光装置
KR20110107685A (ko) Led광원 백라이트유니트용 반사시트
CN108227302A (zh) 显示屏
CN112904660A (zh) 一种高增益宽视角超短焦激光投影屏结构
JP7279062B2 (ja) 異方性光学フィルムを用いた導光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用面状照明装置
KR101295857B1 (ko) 백라이트 유닛 전용 접착 테이프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KR102155405B1 (ko) 도광판 유닛,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KR20140002223A (ko) 집광형 광학시트
CN118112805B (zh) 具有增亮和红外截止功能的显示模组、抬头显示设备
JP2583880Y2 (ja) 着色ガラ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