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857B1 - 백라이트 유닛 전용 접착 테이프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유닛 전용 접착 테이프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857B1
KR101295857B1 KR1020120094302A KR20120094302A KR101295857B1 KR 101295857 B1 KR101295857 B1 KR 101295857B1 KR 1020120094302 A KR1020120094302 A KR 1020120094302A KR 20120094302 A KR20120094302 A KR 20120094302A KR 101295857 B1 KR101295857 B1 KR 101295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light unit
tape
reflective layer
light guide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4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연
이승열
최병호
Original Assignee
최병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연 filed Critical 최병연
Priority to KR1020120094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8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2Antistatic materia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에서 프레임과 도광판 간의 뛰어난 접착성을 유지하면서도, 불규칙한 광량이나 빛샘 현상 모두를 개선할 수 있고, 백라이트 유닛의 전반적인 광 특성과 광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유해전자파의 차폐와 정전기 방지 등의 전기적 특성 및 열전도 효과에 의한 방열 특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조립용 접착 테이프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테이프 베이스 기재; 상기 테이프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반사층 부재; 상기 테이프 베이스 기재의 타면과 반사층 부재의 노출면에 각각 형성되는 투명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의 양면에 각각 형성되는 보호 이형지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조립용 접착 테이프를 제공하며, 테이프 베이스 기재를 마련하고; 상기 테이프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반사층을 형성하고; 상기 테이프 베이스 기재의 타면과 반사층 부재의 노출면의 적어도 일면에 투명 접착층을 형성하며; 상기 투명 접착층의 적어도 일면에 보호 이형지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조립용 접착 테이프의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 전용 접착 테이프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 INCLUDING AN ATTACHMENT TAPE FOR ASSEMBLING BACK LIGHT UNIT TO LCD}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의 부품 간을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접착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백라이트 유닛에서 프레임과 도광판 간의 뛰어난 접착성을 유지하면서도, 불규칙한 광량이나 빛샘 현상 모두를 개선할 수 있고, 백라이트 유닛의 전반적인 광 특성과 광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유해전자파의 차폐와 정전기 방지 등의 전기적 특성 및 열전도 효과에 의한 방열 특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조립용 접착 테이프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 장치는 액정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을 말하는 것으로, 특정한 온도 영역에서 액체와 고체의 중간적인 성질을 가지는 액정으로 이루어진 얇은 막이 두 장의 편광 유리 사이에 끼어있고 전선 격자에 의하여 미세한 사각형들로 분할되어 있으며, 각 사각형이 하나의 화소를 이룬다. 이곳에 전압을 가하게 되면 액정의 분자 배열 방향이 달라져서 빛의 통과율이 달라지는 성질을 이용하여 정보를 표시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손목시계, 전자계산기, 휴대용 컴퓨터의 화면표시장치, 각종 기계의 제어판(control panel) 등에 널리 사용된다. 대개 액정은 자체로 빛을 내지는 않으며 단지 뒤쪽의 배광판(BLU: Back Light Unit)에 의해 빛을 투과할 때 전압이 가해진 부분은 액정이 불투명하게 되어 반사되지 않으므로 그것으로 명암을 구별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의 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 모듈은 전면의 2겹 액정유리로 구성된 액정표시장치 패널(이하, 'LCD 패널'이라 함)(10)과 배면의 발광을 위한 백라이트 유닛(BLU: Back Light Unit)(20)으로 구성된다.
발광을 위한 상기 백라이트 유닛(20)은 전체 구조를 지지하는 몰드프레임, 빛을 발하는 예를 들면 냉음극관(CCFL), 엘이디(LED) 등의 광원인 램프부, 빛을 끌어내는 도광판(LGP:Light Guide Panel), 상기 도광판의 후면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빛을 발하는 반사판, 상기 도광판의 전면에 배치되어 전방으로 빛을 발하는 확산판, 상기 확산판의 전면으로 배치되는 프리즘시트, 상기 프리즘시트의 전면으로 코팅되는 보호시트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최근에는 상기 도광판의 일면에 수직 또는 수평 삼각형의 프리즘 동기구조를 형성한 투명 아크릴 또는 기타 고분자 재질의 프리즘 도광판(Prism LGP)이 출시되어, 수직 또는 수평형 프리즘 중 하나를 도광판과 일체화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이고 일정 두께와 경도를 갖게 함으로써 광원의 열에 의해 반사판 또는 확산판에 휨이 발생하는 빈도를 줄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상기 도광판은 절연성 고분자 재질의 내부 윈도우 프레임에 탑재되도록 설계되며 프레임의 윗변 가장자리를 따라 양면테이프로 직접 접착시켜 시트의 유동에 의한 스크래치, 비틀림 및 쏠림현상이 방지되도록 조립된다.
도 2는 액정표시장치의 일반적인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양면테이프를 통해 도광판과 기본 프레임의 접착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 도광판과 기본 프레임의 접착 구성에서 미세기포나 들뜸 부위가 발생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명도이고, 도 5는 도 4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 검정색 접착 테이프에 의한 접착 구성에서 휘도저하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도 7은 종래 백색 또는 투명 테이프에 의한 접착 구성에서 빛샘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광판(프리즘 도광판)(21)은 양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접착테이프(22)를 이용하여 기본 프레임(23)에 접착된다.
그러나 종래의 접착테이프(22)를 이용하여 도광판(21)과 기본 프레임(23)을 접착하는데 있어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피착면은 편평하고 딱딱한 물성 때문에 피착면과 접착테이프 사이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미세한 공기층이나 들뜸 부위(도 3 내지 5에서 타원 부분)(A)가 무작위로 존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이 미세한 크기의 공기층이 있는 구간이나 이물질이 삽입되어 존재하는 부위에서 빛이 튀거나 새어나오는 일명 '빛샘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공기층의 크기가 크거나 유격이 발생할 경우에는 그 부위를 통과하는 광 입사각과 반사각이 불규칙하게 되어 공기층 부위의 빛이 불규칙한 반사 또는 광량의 변화를 유발하게 되어 백라이트 유닛 전면의 광 특성이 불균일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정의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접착하는 경우, 미세한 공기층이나 들뜸 부위가 발생하는 영역에서 휘도저하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색 또는 투명의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접착하는 경우, 미세한 공기층이나 들뜸 부위가 발생하는 영역에서 빛샘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의 애로 사항을 극복하기 위하여 여러 방안을 구상하고 거듭 연구한 결과, 백라이트 유닛에서 프레임과 도광판 간의 뛰어난 접착성을 유지하면서도, 불규칙한 광량이나 빛샘 현상 모두를 개선할 수 있고, 백라이트 유닛의 전반적인 광 특성과 광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조립용 접착 테이프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증착된 금속층에 의하여 유해전자파의 차폐와 정전기 방지 등의 전기적 특성과 함께, 금속층의 열전도 효과에 의한 방열 특성을 동시에 갖는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조립용 접착 테이프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르면, 테이프 베이스 기재; 상기 테이프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반사층 부재; 상기 테이프 베이스 기재의 타면과 반사층 부재의 노출면에 각각 형성되는 투명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의 양면에 각각 형성되는 보호 이형지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조립용 접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베이스 기재는 인공 고무류나 합성 고무류 또는 고분자 수지류 중 어느 하나의 필름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 부재는 알루미늄을 포함한 금속 박막을 접착시키거나,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을 증착하여 도포시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 부재는 프라이머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르면, 테이프 베이스 기재를 마련하고; 상기 테이프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반사층을 형성하고; 상기 테이프 베이스 기재의 타면과 반사층 부재의 노출면에 각각 투명 접착층을 형성하며; 상기 투명 접착층의 양면에 각각 보호 이형지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조립용 접착 테이프의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는 금속 증착을 통해 금속 층이 도포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있어서, 상기 금속 층은 알루미늄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는 알루미늄 박막을 접착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 부재를 형성한 다음, 프라이머 처리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조립용 접착 테이프 및 그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에서 프레임과 도광판 간의 뛰어난 접착성을 유지하면서도, 불규칙한 광량이나 빛샘 현상 모두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의 전반적인 광 특성과 광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액정표시패널의 제품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증착된 금속층에 의하여 유해전자파의 차폐와 정전기 방지 등의 전기적 특성과 함께, 금속층의 열전도 효과에 의한 방열 특성을 동시에 갖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증착되는 금속층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어 종래의 전자파 차폐용 테이프, 대전 방지용 테이프 및 방열 테이프 등을 대체할 수 있고, 이는 별도의 금속박을 양면 테이프에 합지하여 사용하던 종래 방식에 비해 취급 물성과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소요되는 자재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의 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액정표시장치의 일반적인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양면테이프를 통해 도광판과 기본 프레임의 접착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 도광판과 기본 프레임의 접착 구성에서 미세기포나 들뜸 부위가 발생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명도이다.
도 5는 도 4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 검정색 접착 테이프에 의한 접착 구성에서 휘도저하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종래 백색 또는 투명 테이프에 의한 접착 구성에서 빛샘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조립용 접착 테이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조립용 접착 테이프에 의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조립용 접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조립용 접착 테이프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조립용 접착 테이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조립용 접착 테이프에 의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조립용 접착 테이프는, 테이프 베이스 기재(100); 상기 테이프 베이스 기재(100)의 일면에 형성되는 반사층 부재(200); 상기 테이프 베이스 기재(100)의 타면과 반사층 부재(200)의 노출면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투명 접착층(300); 및 상기 접착층(300)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보호 이형지(400)를 포함한다.
상기 테이프 베이스 기재(100)는 통상의 PET 필름 기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프 베이스 기재(100)는 인공 고무류나 합성 고무류 또는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와 같은 고분자 수지류로 이루어진 필름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테이프 베이스 기재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0㎛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층 부재(200)는 그 표면이 거울처럼 빛을 반사하는 특성을 갖는 부재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 예로 금속(예를 들면, 알루미늄(aluminum)) 층을 도포하거나 반사형 금속 박막을 접착시켜 반사층 부재를 형성한다.
상기 반사층 부재(200)에 있어, 금속(즉, 알루미늄) 층을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기상 증착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테이프 베이스 기재의 두께가 100㎛인 경우, 상기 반사층 부재(200)의 두께는 예를 들면 0.0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 증착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금속 증착층의 두께는 5-40마이크로미터가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반사층 부재(200)가 금속 증착(알루미늄 증착) 또는 금속 박막 접착을 통해 형성될 때, 반사층 부재 위에 프라이머 처리를 하여 이후 도포되는 접착층이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한다.
상기 접착층(300)은 그 상하면의 접착층이 각각 도광판과 기본 프레임에 접착되기 위한 층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층(300)은 주원료로서 예를 들면 부틸계, 에틸계 등의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고, 개시제로서 벤조일퍼옥사이드(Bensoyl Peroxide(BPO)) 등이 사용되고, 용제는 에틸아세테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300)의 두께는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 이형지(400)는 상하 접착층(300)을 커버하여 보호하는 보호 필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조립용 접착 테이프는 반사층 부재(200)를 통해 입사된 빛이 반사되는 기능을 가짐으로써 접착면 사이에서 기포가 있는 부분이나 접착이 되어있는 부분을 구분하지 않고 주변의 모든 빛을 테이프 표면에서 인위적으로 반사하도록 함으로써, 접착 여부에 따라 불규칙했던 광량이나 빛샘 현상을 모두 개선하고, 백라이트 유닛의 전반적인 광 특성과 광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층 부재(200)는 금속 재질 고유의 특성에 따라 유해전자파를 차폐하고 정전기를 방지하는 등 전기적 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열전도 효과에 의한 방열 특성을 동시에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반사층 부재(200)는 그 두께를 조절할 수 있어 종래의 전자파 차폐용, 대전 방지용 테이프 및 방열 테이프 등을 모두 대체할 수 있고, 이는 별도의 금속박을 양면 테이프에 합지하여 사용하던 종래의 방식에 비해 취급 물성과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소요되는 자재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조립용 접착 테이프의 제작 방법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조립용 접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조립용 접착 테이프의 제작 방법은, 먼저 테이프 베이스 기재를 마련하고(S100); 상기 테이프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반사층을 형성하고(S200); 상기 테이프 베이스 기재의 타면과 반사층 부재의 노출면에 각각 투명 접착층을 형성하며(S300); 상기 투명 접착층의 양면에 각각 보호 이형지를 형성하는 것(S400)을 포함한다.
상기 테이프 베이스 기재를 마련하는 단계에서 테이프 베이스 기재는 통상의 PET 필름 기재이며, 다른 예로 인공 고무나 합성 고무의 고무류 또는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PE)이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와 같은 고분자 수지류로 이루어진 필름 시트로부터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반사층 부재는 그 표면이 거울처럼 빛을 반사하는 특성을 갖는 부재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 예로 알루미늄(aluminum) 층과 같은 금속 층을 형성하도록 금속 증착(알루미늄 증착)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 박막(알루미늄 박막)을 접착시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상기 반사층 부재가 금속(알루미늄) 증착이나 금속 박막을 통해 형성된 다음, 프라이머 처리하는 단계(S500)를 더 포함하여 이후 접착층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접착층은 주원료로서 예를 들면 부틸계, 에틸계 등의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고, 개시제로서 벤조일퍼옥사이드(Bensoyl Peroxide(BPO)) 등이 사용되고, 용제는 에틸아세테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조립용 접착 테이프 및 그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백라이트 유닛에서 프레임과 도광판 간의 뛰어난 접착성을 유지하면서도, 불규칙한 광량이나 빛샘 현상 모두를 개선할 수 있고, 백라이트 유닛의 전반적인 광 특성과 광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증착된 금속층에 의하여 유해전자파의 차폐와 정전기 방지 등의 전기적 특성과 함께, 금속층의 열전도 효과에 의한 방열 특성을 동시에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증착되는 금속층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어 종래의 전자파 차폐용 테이프, 대전 방지용 테이프 및 방열 테이프 등을 대체할 수 있고, 이는 별도의 금속박을 양면 테이프에 합지하여 사용하던 종래 방식에 비해 취급 물성과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소요되는 자재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테이프 베이스 기재
200: 반사층 부재
300: 접착층
400: 보호 이형지
S100: 테이프 베이스 기재 마련 단계
S200: 반사층 형성 단계
S300: 투명 접착층 형성 단계
S400: 보호 이형지 부착 단계
S500: 프라이머 처리 단계

Claims (9)

  1.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에 있어서,
    도광판;
    상기 도광판에 조립되는 프레임;
    상기 도광판과 프레임의 모서리부에 구비되며, 고분자 수지류의 필름 시트로 이루어지는 테이프 베이스 기재;
    상기 테이프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형성되며, 프라이머 처리된 반사층 부재; 및
    상기 테이프 베이스 기재의 타면과 반사층 부재의 노출면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투명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층 부재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을 증착하여 도포시켜 형성되며,
    상기 금속을 증착하여 도포시켜 형성된 층인 금속 증착층의 두께는 5-40마이크로미터인
    백라이트 유닛 전용 접착 테이프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20094302A 2012-08-28 2012-08-28 백라이트 유닛 전용 접착 테이프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KR101295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302A KR101295857B1 (ko) 2012-08-28 2012-08-28 백라이트 유닛 전용 접착 테이프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302A KR101295857B1 (ko) 2012-08-28 2012-08-28 백라이트 유닛 전용 접착 테이프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5857B1 true KR101295857B1 (ko) 2013-08-12

Family

ID=49220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302A KR101295857B1 (ko) 2012-08-28 2012-08-28 백라이트 유닛 전용 접착 테이프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8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69556A (ja) * 2017-03-30 2018-11-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表示装置形成用基板、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10021694A (zh) * 2019-04-01 2019-07-16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背光模组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7097A (ja) 1999-10-22 2001-04-27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JP2005250269A (ja) * 2004-03-05 2005-09-15 Kawaguchiko Seimitsu Co Ltd 液晶表示装置のバックライト構造
JP2005263994A (ja) 2004-03-18 2005-09-29 Soken Chem & Eng Co Ltd 光拡散反射遮光性粘着テープ及びそれを用いるフラットパネル型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6010931A (ja) * 2004-06-24 2006-01-12 Dainippon Ink & Chem Inc 両面粘着テープと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モジュール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7097A (ja) 1999-10-22 2001-04-27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JP2005250269A (ja) * 2004-03-05 2005-09-15 Kawaguchiko Seimitsu Co Ltd 液晶表示装置のバックライト構造
JP2005263994A (ja) 2004-03-18 2005-09-29 Soken Chem & Eng Co Ltd 光拡散反射遮光性粘着テープ及びそれを用いるフラットパネル型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6010931A (ja) * 2004-06-24 2006-01-12 Dainippon Ink & Chem Inc 両面粘着テープと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モジュールユニッ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69556A (ja) * 2017-03-30 2018-11-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表示装置形成用基板、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10021694A (zh) * 2019-04-01 2019-07-16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背光模组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211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80218954A1 (en) Display device
US10795200B2 (en) Display device
KR101900932B1 (ko) 광학 필름 및 그 제조방법, 액정 표시장치
JP2010146784A (ja) 平面発光装置
KR100945392B1 (ko) 광학 시트,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US20090322988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9021474A (ja)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JP2022013630A (ja) 表示モジュール及び表示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20110042478A (ko) 백라이트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
JP5356801B2 (ja) 液晶表示装置
JP2014119672A (ja) 液晶表示装置
KR101326736B1 (ko) 휘도 개선을 위한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조립용 특수 테이프와 그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결합된 액정표시장치
KR101295857B1 (ko) 백라이트 유닛 전용 접착 테이프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JP2005321586A (ja) 面光源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974608B1 (ko)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TWI390302B (zh) 背光模組及包含其之光電裝置
KR20110052071A (ko) 액정표시장치
KR100989046B1 (ko) 광학 시트,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KR101719156B1 (ko) 액정표시장치
US778707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CN205028004U (zh) 背光模组与显示装置
KR10239943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WO2020248422A1 (zh) 背光模组及显示装置
KR20170033478A (ko) 양면 표시장치 및 그를 위한 백라이트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