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223A - 집광형 광학시트 - Google Patents

집광형 광학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223A
KR20140002223A KR1020120070160A KR20120070160A KR20140002223A KR 20140002223 A KR20140002223 A KR 20140002223A KR 1020120070160 A KR1020120070160 A KR 1020120070160A KR 20120070160 A KR20120070160 A KR 20120070160A KR 20140002223 A KR20140002223 A KR 20140002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heet
layer
light
lower layer
refractive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0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원
박동원
김경화
김태경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0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2223A/ko
Publication of KR20140002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2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02B5/045Prism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광형 광학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며, 다수의 구조물이 배열된 구조층을 포함하는 집광형 광학시트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하부층 및 상기 하부층의 상면에 형성된 상부층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층의 굴절율은 하부층의 굴절율보다 큰 것임을 특징으로 하며, 높은 집광 성능을 구현하고, 넓은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는 집광형 광학시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집광형 광학시트 {Condensing Type Optical Sheet}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되는 집광형 광학시트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의 산업 사회가 고도의 정보화 시대로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매체로 전자 디스플레이의 중요성은 나날이 증대되고 있고, 이에 LCD, PDP 및 유기EL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평판 디스플레이 산업이 날로 팽창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평판 디스플레이 산업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는 LCD의 경우 액정과 반도체 기술이 복합된 기술 집약적 품목으로 얇고, 가벼우며 소비 전력이 낮은 장점으로 인해 여타 다른 표시소자가 넘보기 힘든 강점이 있어 노트북, 모니터, 소형 가전(PDA 및 휴대폰)뿐 아니라 기존의 브라운관 방식인 CRT의 고유 영역처럼 여겨 왔던 TV시장까지 진출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대명사였던 브라운관 방식을 대체할 새로운 디스플레이로 각광받고 있다.
LCD 장치는 액정 자체가 발광의 역할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장치의 후면에 별도의 광원의 설치하여 액정을 통해 방출되는 빛을 디스플레이로 형상화한다. 발광장치는 흔히 백라이트 유닛(BLU)으로 불리우며, 보통 냉음극형광램프(CCFL)를 광원으로 사용하고 이 광원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도광판(LGP), 광확산판, 프리즘시트라 불리우는 보조장치를 사용한다. 이때 도광판은 CCFL에서 방출되는 불규칙한 선형의 광원을 실제적으로 정면으로 변환시키며, 광확산 필름 또는 시트는 정면으로 유도된 광을 면광으로 확산시키며, 확산된 광은 프리즘 필름 또는 시트에 의해 화면의 수직한 방향으로 집광함으로써 화면의 정면에서의 휘도를 증가시켜 보다 밝고 선명한 화상을 구현하게 한다.
즉, 램프에서 사방으로 나오는 빛은 광 손실을 초래하므로 이를 화상의 정면으로 유도하기 위한 도광판(light guide plate)을 사용하며, 화상의 뒷면으로 손실되는 빛을 재이용하기 위해 반사필름 또는 시트(이하 반사판)를 사용한다. 그러나 반사판과 도광판을 통해 정면으로 유도되는 빛은 전체 면에 대해 불균일한 휘도를 가지므로 광확산필름 또는 시트를 이용하여 이를 균일한 면광으로 유도한다. 또한 광확산 필름 또는 시트를 통과한 빛은 다시 확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앞쪽면으로의 휘도는 저하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의 주로 직각방향에서 화상을 볼 경우 정면 휘도 저하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에 화면 정면으로의 광 투과량을 증가시켜 정면 휘도를 높여 주기 위해 프리즘 구조를 이용한 필름 또는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화면의 정면 휘도를 높이게 되었고, 이러한 프리즘 구조의 필름은 단품 사용시보다 두 장을 직교 혹은 일정 각으로 배열하여 사용하므로써 정면 집광 효율이 높음이 증명되어 현재에는 프리즘 구조의 필름 한 장 혹은 두 장을 직교배열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필름은 폴리에스터 및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투명 필름 위에 투명한 경화형 수지를 이용하여 프리즘 구조가 형성된 롤 또는 대면적 시트로 제조되고, 실제 장치에 장착하여 사용할 때 필요한 크기 및 모양으로 절단하여, 이를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유니트 프레임에 한 장 혹은 두 장을 직교되게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프리즘 필름의 하단에는 도광판 혹은 확산판에서 올라오는 빛을 고르게 확산시키기 위한 광확산 필름을 사용하고, 프리즘 필름의 상단에는 마찰에 의한 프리즘의 꼭지점 손상과 백라이트 상단에 위치하게 되는 액정 모듈 하단의 편광필름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광확산성 보호필름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로 제조된 장치는 제조 공정 중 서로 다른 광학 필름 3종을 사용하게 되어 그 비용이나 효율면에서 손실을 가져오게 되고, 백라이트의 광학필름류를 조립하는 공정상 보호필름과 프리즘 필름의 불량으로 전체 재료의 사용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보다 높은 집광 성능을 구현하고, 보다 넓은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는 광학시트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높은 집광성능 및 넓은 시야각을 가지는 집광형 광학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바람직한 제1구현예로서,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며, 다수의 구조물이 배열된 구조층을 포함하는 집광형 광학시트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하부층 및 상기 하부층의 상면에 형성된 상부층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층의 굴절율은 하부층의 굴절율보다 큰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형 광학시트를 제공한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하부층은 구조물의 밑면을 기준으로 구조물 전체 높이의 5~95%인 부분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구조물은 그 단면이 삼각형, 반원통형, 렌티큘러 및 렌즈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상부층의 굴절율과 하부층의 굴절율은 그 차이가 0.02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상부층은 플루오렌 유도체 디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비스페놀 유도체 디아크릴레이트 단량체, thiol 기를 가지는 디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이들의 올리고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아크릴레이트 광경화형 수지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하부층은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플루오렌 유도체 디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비스페놀 유도체 디아크릴레이트 단량체, thiol 기를 가지는 디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이들의 올리고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아크릴레이트 광경화형 수지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구조물은 그 피치가 45~55㎛이고, 그 높이가 20~30㎛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상부층은 그 폭이 5~15㎛이고, 그 높이가 3~8㎛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집광형 광학시트는 높은 집광성능 및 넓은 시야각을 나타낼 수 있어, 종래 집광형 광학시트에 비해 광학효율이 향상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광형 광학시트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라 측정한 집광형 광학시트의 시야각 분포((a) 좌우시야 분포, (b) 상하시야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기재층(10) 및 상기 기재층(10)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며, 다수의 구조물(21)이 배열된 구조층(20)을 포함하는 집광형 광학시트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21)은 하부층 및 상기 하부층의 상면에 형성된 상부층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층의 굴절율은 하부층의 굴절율보다 큰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형 광학시트에 관한 것이다 (도 1).
본 발명에 있어서, 하부층과 상부층은 구조층에 형성된 구조물을 2개의 층으로 나누었을 때, 각각 하부 및 상부에 위치한 층을 지칭하는 용어이며,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층은 구조물의 밑면을 기준으로 구조물 전체 높이의 5~95%인 부분이며, 상부층은 구조물 중 상기 하부층 상면에 형성된 부분일 수 있다. 하부층이 프리즘 전체 높이의 5% 미만 또는 95% 초과이면 집광 및 확산 효과를 구현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 집광형 광학시트에 포함된 구조층에 형성된 구조물은 단일 굴절율을 나타내는 수지로 이루어져, 그 기능이 집광으로만 한정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집광형 광학시트는 서로 다른 굴절율을 나타내는 2개의 층을 포함하는 구조물이 형성된 구조층을 포함함으로써, 집광의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2개의 층 중 상대적으로 낮은 굴절율을 가지는 층에서는 상대적으로 집광 기능을 완화시켜 확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굴절율이 서로 다른 2개의 층 중 상대적으로 고굴절인 상부층을 통하여 집광 기능을 나타내고 상대적으로 저굴절인 하부층을 통하여 확산 기능을 나타내어, 종래 집광형 광학시트보다 넓은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집광형 광학시트는 그 자체로 집광 기능과 확산 기능을 동시에 나타내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집광형 광학시트에 있어서, 상부층의 굴절율은 하부층의 굴절율보다 크되, 그 차이가 0.02 이상, 바람직하게는 0.02~0.15인 것일 수 있다. 상부층과 하부층의 굴절율 차이가 0.02미만이면 상대적인 휘도 차이가 실측상 충분하지 않아 집광 및 확산 효과를 동시에 나타낼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0.15초과이면 원료가격이 높아지므로 제품 단가 상승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층은 플루오렌 유도체 디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비스페놀 유도체 디아크릴레이트 단량체, thiol 기를 가지는 디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이들의 올리고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아크릴레이트 광경화형 수지로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층은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플루오렌 유도체 디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비스페놀 유도체 디아크릴레이트 단량체, thiol 기를 가지는 디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이들의 올리고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아크릴레이트 광경화형 수지로 된 것일 수 있다.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물질 자체의 특성상 1.50 이상의 굴절률을 달성하도록 조정하기가 어려우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굴절률 특성을 요구하는 하부층에만 사용되는 것이 집광성능을 하락시키지 않기 위하여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부층과 하부층의 굴절율 차이는 그 절대적인 기준이 있는 것이 아니라, 상부층과 하부층 간 굴절율 차이에 그 특징이 있는 것으로, 상부층과 하부층을 형성하기 위한 재질이 상기한 바와 같이 아크릴레이트 광경화형 수지일 수 있으며, 그 굴절율은 1.49~1.70일 수 있다.
한편, 구조층에 형성된 구조물은 그 단면이 삼각형, 반원통형, 렌티큘러 및 렌즈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그 단면이 삼각형인 구조물은 프리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물은 집광 및 확산 효과를 고려하여, 그 피치가 45~55㎛이고, 그 높이가 20~30㎛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부층 역시 집광 및 확산 효과를 고려하여, 그 폭이 5~15㎛이고, 그 높이가 3~8㎛일 수 있다.
기재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또는 폴리에폭시 필름 등과 같은 투명 필름이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기재의 두께는 10~100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400㎛일 수 있다. 기재층의 두께가 10㎛미만이면 기계적 강도 및 열안정성이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고, 1000㎛ 초과인 경우 필름의 유연성이 저하되고 투과광의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집광형 광학시트는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지는 수지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지는 2개의 층을 가지도록, 상대 공압출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또한 기재 필름 위에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지는 광 경화형 수지층을 형성한 후, 레이저 가공 공정을 통해 제조 될 수 있다. 또한 원통형 금형 몰드를 이용하여하부층과 상부층을 형성한후, 패턴 금형 몰드로 최종 가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집광형 광학시트는 높은 집광성능 및 넓은 시야각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형태로 집광형 광학시트를 제조하였다.
기재층으로 188±2㎛의 초투명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Astroll(코오롱)을 사용하였고,
구조층에는 구조물로서 프리즘을 형성하며, 프리즘의 상부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로서, 9,9-비스[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70중량%,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10중량%,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3중량%,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10중량%, 2,4,6-트리메틸벤조일 디페놀포스핀옥사이드 3중량%, 2(2-하이드록시-5-t-옥톡시벤조트리아졸) 2중량%,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2중량%를 혼합하여 상부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프리즘의 하부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로서, 9,9-비스[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50중량%,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15중량%,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15중량%,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13중량%, 2,4,6-트리메틸벤조일 디페놀포스핀옥사이드 3중량%, 2(2-하이드록시-5-t-옥톡시벤조트리아졸) 2중량%,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2중량%를 혼합하여 하부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위에, 패턴이 성형되지 않은 원통 금형 몰드를 이용하여 하부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먼저 코팅하여 반경화 혹은 경화 시키지 않은 상태로, 다시 하부층 상부면에 상부층 형성용 수지층을 코팅한다. 마지막으로는, 원통 금형 몰드에 프리즘 패턴이 인각되어 있는 롤을 사용하여, 프리즘 패턴을 형성시켜 최종 경화시켜 하부층 및 상부층을 포함하는 집광형 광학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구조층에는 구조물로서 프리즘을 형성하며, 프리즘의 상부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로서 9,9-비스[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70중량%,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10중량%,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3중량%,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10중량%, 2,4,6-트리메틸벤조일 디페놀포스핀옥사이드 3중량%, 2(2-하이드록시-5-t-옥톡시벤조트리아졸) 2중량%,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2중량%를 혼합하여 상부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하부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로서, 9,9-비스[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60중량%,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10중량%,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3중량%,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20중량%, 2,4,6-트리메틸벤조일 디페놀포스핀옥사이드 3중량%, 2(2-하이드록시-5-t-옥톡시벤조트리아졸) 2중량%,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2중량%를 혼합하여 하부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집광형 광학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구조층에는 구조물로서 프리즘을 형성하며, 프리즘의 상부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로서, 9,9-비스[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70중량%,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10중량%,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3중량%,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10중량%, 2,4,6-트리메틸벤조일 디페놀포스핀옥사이드 3중량%, 2(2-하이드록시-5-t-옥톡시벤조트리아졸) 2중량%,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2중량%를 혼합하여 상부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하부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로서, 9,9-비스[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65중량%,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10중량%,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8중량%,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10중량%, 2,4,6-트리메틸벤조일 디페놀포스핀옥사이드 3중량%, 2(2-하이드록시-5-t-옥톡시벤조트리아졸) 2중량%,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2중량%를 혼합하여 하부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집광형 광학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3M사의 BEFII를 준비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2에서 하부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로 사용된 수지 조성물로 상부층을 형성하고, 상부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로 사용된 수지 조성물로 하부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집광형 광학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부층의 높이를 20㎛로 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집광형 광학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집광형 광학시트에 대하여, 휘도 및 시야각을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LightTools ver 7.3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은 조건 하에 휘도 및 시야각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여, 비교예 1의 3M사 BEF II의 휘도 및 시야각에 대한 상대적인 물성치로 실시예의 집광형 광학시트에 대한 휘도 및 시야각을 측정하였다.
시뮬레이션된 모든 값은 3M BEFII를 기준으로 하여 각 mesh에 모이는 luminance value의 peak 값을 상대 비교 하였고, viewing angle은 luminance intensity peak value의 10 %에 해당되는 각도로 정의하였다.
광원 설정 : 4.9 mm x 4.9 mm 램버시안 광원(확산시트를 통과한 광원)으로 설정, 오직 film (5 mm x 5 mm) 의 성능만을 비교 분석
광원 파장 : 550 nm 파장을 사용
매질의 굴절률: PET - 1.49로 설정
각 모델의 필름 층에 관한 굴절율은 다음의 자료를 바탕으로 진행함
프리즘 하부층 상부층
피치
(㎛)
높이
(㎛)
굴절율 높이
(㎛)
굴절율
(㎛)
높이
(㎛)
실시예1 50 25 1.52 20 1.57 10 5
실시예2 50 25 1.54 20 1.57 10 5
실시예3 50 25 1.56 20 1.57 10 5
비교예1 3M사 BEFII
비교예2 50 25 1.57 20 1.54 10 5
비교예3 50 25 1.54 5 1.57 40 20
휘도 상하시야각
(V, degree)
좌우시야각
(H, degree)
실시예1 1.0502 83.19 114.85
실시예2 1.0513 82.73 113.92
실시예3 1.0531 81.05 111.38
비교예1 1.00 79.62 110.89
비교예2 1.0217 84.21 115.11
비교예3 1.0113 78.91 109.98

물성측정결과, 표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일 수지로 형성된 프리즘을 포함하는 비교예 1의 3M사 BEF II에 비해, 실시예1의 집광형 광학시트는 정면 휘도가 5% 정도 상승하고, 시야각은 상하 및 좌우 시야각이 각각 4.3도 및 4.0도 넓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시예 2,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저굴절률층의 굴절률이 높아질수록, 전체적인 휘도는 소폭 증가하나 그에 따라 시야각은 좁아짐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비교예2 및 3에서 볼 수 있듯이, 저굴절률층이 상부층으로 올라갈 경우, 시야각은 좀더 넓어지나 전체적인 휘도 상승율은 감소함을 알 수 있으며, 상부층이 차지하는 비율이 늘어나면, 저굴절률 층의 효과는 미비함을 알 수 있다.
10: 기재층,
20: 구조층, 21: 구조물(프리즘), 22: 하부층, 23: 상부층

Claims (8)

  1.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며, 다수의 구조물이 배열된 구조층을 포함하는 집광형 광학시트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하부층 및 상기 하부층의 상면에 형성된 상부층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층의 굴절율은 하부층의 굴절율보다 큰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형 광학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층은 구조물의 밑면을 기준으로 구조물 전체 높이의 5~95%인 부분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형 광학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그 단면이 삼각형, 반원통형, 렌티큘러 및 렌즈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형 광학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부층의 굴절율과 하부층의 굴절율은 그 차이가 0.02 이상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형 광학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층은 플루오렌 유도체 디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비스페놀 유도체 디아크릴레이트 단량체, thiol 기를 가지는 디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이들의 올리고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아크릴레이트 광경화형 수지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형 광학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층은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플루오렌 유도체 디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비스페놀 유도체 디아크릴레이트 단량체, thiol 기를 가지는 디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이들의 올리고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아크릴레이트 광경화형 수지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형 광학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그 피치가 45~55㎛이고, 그 높이가 20~30㎛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형 광학시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층은 그 폭이 5~15㎛이고, 그 높이가 3~8㎛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형 광학시트.
KR1020120070160A 2012-06-28 2012-06-28 집광형 광학시트 KR201400022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160A KR20140002223A (ko) 2012-06-28 2012-06-28 집광형 광학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160A KR20140002223A (ko) 2012-06-28 2012-06-28 집광형 광학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223A true KR20140002223A (ko) 2014-01-08

Family

ID=50139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0160A KR20140002223A (ko) 2012-06-28 2012-06-28 집광형 광학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22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65045A (zh) * 2018-04-12 2018-08-03 善仁(浙江)新材料科技有限公司 用于光伏组件串间距、片间距及焊带的多级增强增益膜
CN108538950A (zh) * 2018-04-12 2018-09-14 善仁(浙江)新材料科技有限公司 用于光伏组件串间距、片间距及焊带的多级增强增益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65045A (zh) * 2018-04-12 2018-08-03 善仁(浙江)新材料科技有限公司 用于光伏组件串间距、片间距及焊带的多级增强增益膜
CN108538950A (zh) * 2018-04-12 2018-09-14 善仁(浙江)新材料科技有限公司 用于光伏组件串间距、片间距及焊带的多级增强增益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9241B1 (ko) 시인성 개선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US10317610B2 (en) Illumin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KR20080019541A (ko) 광학 필름
KR20070102424A (ko) 광학 시트, 백라이트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160081784A (ko) 액정표시장치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2010210882A (ja) 光学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481181B1 (ko) 집광형 광학 시트
KR100932606B1 (ko)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유닛
KR20120076816A (ko) 광학 시트, 광학 장치 및 광학 시트의 제조방법
US20100055409A1 (en) Optical composi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23165732A (ja) 光拡散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液晶表示装置、情報機器、及び光拡散シートの製造方法
KR20140002223A (ko) 집광형 광학시트
JP2013068872A (ja) レンズシート、及びel発光装置
JP5741121B2 (ja) 照明光路制御用光学レンズシートの製造用金型及び前記金型を用いて製造する前記シートおよび前記金型を用いて前記シートを製造する方法並びに液晶表示装置並びにディスプレイ
KR101244550B1 (ko) 광확산 부재
JP5256723B2 (ja) 光拡散板、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544518B1 (ko) 광손실을 최소화한 프리즘 필름
KR100936713B1 (ko) 광학 시트,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KR20140036379A (ko) 집광형 광학시트
KR101175748B1 (ko) 색보정 기능을 갖는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34551A (ko) 집광형 광학시트
WO2023228684A1 (ja) 光拡散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液晶表示装置、及び情報機器
JP7368430B2 (ja) 光拡散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液晶表示装置、情報機器、及び光拡散シートの製造方法
KR100936063B1 (ko) 광확산 부재
KR101370167B1 (ko) 백라이트 유닛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