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351B1 - 사출고무제품의 버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사출고무제품의 버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351B1
KR101626351B1 KR1020150185553A KR20150185553A KR101626351B1 KR 101626351 B1 KR101626351 B1 KR 101626351B1 KR 1020150185553 A KR1020150185553 A KR 1020150185553A KR 20150185553 A KR20150185553 A KR 20150185553A KR 101626351 B1 KR101626351 B1 KR 101626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product
polishing
unit
rotary
injection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후
박인덕
Original Assignee
김기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후 filed Critical 김기후
Priority to KR1020150185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3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1/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 B24B31/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rotary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33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a surface for cleaning purposes, e.g. for descaling or for grinding off flaws in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1/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 B24B31/1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other means for tumbling of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2Equipment for cooling the grinding surfaces, e.g. devices for feeding coo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2Deburring or defla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버 제거를 위한 작업효율이 향상되면서 사출고무제품의 품질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버 부분을 포함하는 예비사출고무제품이 투입되도록 상단부에 투입부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배출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연마본체부의 내주면 측면부와 바닥면에 각각 방사형으로 돌설된 복수개의 연마돌출부가 구비되며, 외측 하단부에는 상기 연마본체부의 중심방향과 대응되도록 수직으로 연장된 회전축이 체결된 회전연마부; 상기 회전연마부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연마본체부의 내측을 향하여 배치된 분사부를 통해 분사되는 완충유체가 저장된 저장탱크와, 상기 연마본체부의 하측과 연통된 배수라인을 통해 배출된 상기 완충유체가 회수되는 회수탱크와, 상기 회수탱크에 저장된 상기 완충유체를 상기 저장탱크로 재공급하는 펌프가 포함된 완충유체 순환부; 및 상기 연마본체부에 수용된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이 상기 연마돌출부와 회전 마찰되도록 상기 회전축의 단부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사출고무제품의 버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출고무제품의 버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burr of molding rubber product}
본 발명은 사출고무제품의 버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 제거를 위한 작업효율이 향상되면서 사출고무제품의 품질이 개선된 사출고무제품의 버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분자 탄성체에 해당되는 고무는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되어 산업 소재로 사용되며, 예컨대 롤러 소재, 패킹 소재, 신발 소재, 타이어 소재 및 부싱 소재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고무를 이용한 고무제품은 고체상태의 칩이나 펠렛 상으로 되어있는 원료를 호퍼에 투입하여 실린더에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의 외부에 있는 밴드히터와 스크루의 마찰열에 의하여 상기 원료가 용융되며, 용융된 액체상태의 원료는 소정의 형상을 가진 금형의 내부에 사출된다. 이어서, 냉각과정을 거치면 상기 소정의 형상으로 고형화된 사출고무제품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융된 원료가 냉각되는 과정에서 수축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냉각시 용적수축율을 감안하여 사출기의 압력으로 여분의 원료를 더욱 주입해주어야 하며, 냉각된 이후에는 상기 금형으로부터 상기 제품을 신속하게 분리해주어야 한다.
한편, 신축성을 가진 사출고무제품은 성형 조건상 버(burr) 부분이 발생되며, 상기 버 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버 제거작업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종래의 버 제거작업은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하여 칼 내지 연마기로 상기 버 부분을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상기 버 제거작업이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게 되므로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아울러 제품 품질의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 사출고무제품을 회전 및 급냉시키고 연마제를 분사하여 자동으로 상기 버 부분을 제거하는 장치도 일부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버 제거장치는 사출고무제품을 급냉시킴으로 인해 상기 고무제품이 탄성력이 저하된 상태에서 회전됨에 따라 충격에 의한 제품의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사출고무제품을 급냉시키기 위한 냉각원료 및 냉각구조가 고가이고, 한번 사용된 냉각원료는 실질적으로 재사용이 어려우므로 경제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967432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버 제거를 위한 작업효율이 향상되면서 사출고무제품의 품질이 개선된 사출고무제품의 버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버 부분을 포함하는 예비사출고무제품이 투입되도록 상단부에 투입부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커버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배출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연마본체부의 내주면 측면부와 바닥면에 각각 방사형으로 돌설된 복수개의 연마돌출부가 구비되며, 외측 하단부에는 상기 연마본체부의 중심방향과 대응되도록 수직으로 연장된 회전축이 체결된 회전연마부; 상기 회전연마부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연마본체부의 내측을 향하여 배치된 분사부를 통해 분사되는 완충유체가 저장된 저장탱크와, 상기 연마본체부의 하측과 연통된 배수라인을 통해 배출된 상기 완충유체가 회수되는 회수탱크와, 상기 회수탱크에 저장된 상기 완충유체를 상기 저장탱크로 재공급하는 펌프가 포함된 완충유체 순환부; 및 상기 연마본체부에 수용된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이 상기 연마돌출부와 회전 마찰되도록 상기 회전축의 단부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되, 구동이 중지되더라도 상기 회전축이 관성에 의해 일정시간 회전운동이 유지되도록 구비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마본체부는 내주면 측면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개의 연마돌출부가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고 바닥면에 방사형으로 구배진 경사배수로가 형성되되 상기 경사배수로의 구배진 하단부 일측에 상기 배수라인이 연결되는 배수부가 형성된 외통부와, 상기 외통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수용되되, 상면부에 상기 복수개의 연마돌출부가 방사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로부터 전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단부가 상기 회전축과 직결되는 회전플레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의 개방시 상기 연마본체부가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상기 배출부를 통하여 예비사출고무제품이 자동으로 회전 배출되는 경로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배출부의 외측에는 하면부가 단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배출터널이 구비되며, 상기 배출터널은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연마본체부의 외주면 접선방향으로 연장되며, 단부 상측에는 배출가이드단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고무제품의 버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연마돌출부에 회전 마찰되어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으로부터 분리된 버 파편과 상기 완충유체가 분리되도록 상기 배수라인에는 여과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배출터널의 하단부측에는 상기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된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이 수용되는 수집함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마돌출부는 외면부에 다수개의 연마돌기가 요철형상으로 반복적으로 돌설되되, 상기 연마돌기의 각 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출고무제품의 버 제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버 부분이 포함된 예비사출고무제품이 투입된 상기 연마본체부가 회전되면 내주면 측면부와 바닥면에 돌설된 연마돌출부에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이 탄발적으로 회전 충돌되어 마찰됨에 의해 상기 버 부분이 마모되어 자동으로 탈락되어 작업효율이 향상되면서도, 내측으로 분사되는 완충유체에 의해 마찰시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에 흠집이 발생하는 것이 최소화되므로 불량률이 감소되는 시너지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둘째, 상기 완충유체는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의 외면에 잔존하는 이물질 및 버의 파편을 세척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상기 연마본체부의 하단부에 형성된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된 후 완충유체 순환부를 순환하면서 여과되어 재사용되므로 연마공정이 단축되고 경제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연마공정이 완료된 후 구동부의 회전력 공급이 중지되더라도 회전관성에 의해 구동축 및 이와 연결된 회전축의 회전운동이 유지되므로, 배출부의 커버가 개방되면 원심력에 의해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이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연마본체부의 외주면 접선방향으로 연장된 배출터널을 통해 자동으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출고무제품의 버 제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연마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유체 순환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연마부를 상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연마부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출고무제품의 버 제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출고무제품의 버 제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연마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유체 순환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연마부를 상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출고무제품의 버 제거장치(100)는 회전연마부(10), 완충유체 순환부(20) 및 구동부(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한편, 상기 사출고무제품 버 제거장치(100)는 고무제품을 사출성형한 후 발생하는 버 부분을 자동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세히, 고무와 같은 고탄성의 원료를 사용하여 사출고무제품을 제조시에는 냉각과정 중의 용적수축률을 고려하여 사출금형장치에 여분의 원료를 더 가압 주입한다. 그리고, 이러한 공정과정상 상기 사출금형장치로부터 분리된 예비사출고무제품(1)의 외면에는 불균일하게 돌설된 버 부분(1a)이 형성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사출고무제품의 버 제거장치(100)는 회전력 및 이에 따른 마찰력에 의해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으로부터 버 부분(1a)이 자동으로 탈락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세히, 상기 회전연마부(10)는 연마본체부(11)와 회전축(15)을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마본체부(11)는 상단부가 개구되되, 바닥면은 상기 사출고무제품 버 제거장치(100)가 설치되는 대상면과 대응되고 측면은 단면형상이 원형인 원통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마본체부(11)는 상단부와 하단부 직경이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연장될 수도 있고, 상기 상단부 또는 상기 하단부 중 어느 일측으로 직경이 확장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연마본체부(11)는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직경이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 직경보다 크거나 작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한편, 상기 연마본체부(11)의 개구된 상단부에는 상기 버 부분(1a)을 포함하는 예비사출고무제품(1)이 투입되는 투입부(16)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투입부(16)는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을 투입한 후 개폐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밀폐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투입부(16)는 상기 연마본체부(11)의 상측으로 연장되되 내부에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이 상기 연마본체부(11)에 투입되기 전 임시로 수용되는 수용함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투입부(16)와 상기 연마본체부(11) 사이에는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개폐수단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연마본체부(11)의 일측에는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배출부(17)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배출부(17)는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을 연마시에는 폐쇄되며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의 연마작업이 완료되면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상기 버 부분(1a)이 제거된 예비사출고무제품(1)이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연마작업이라 함은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에 형성된 상기 버 부분(1a)을 제거하는 작업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배출부(17)를 선택적으로 폐쇄 또는 개방시키도록 커버수단(17a)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투입부(16)를 통하여 연마작업이 완료된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을 꺼내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연마본체부(11)의 외측 하단부에는 상기 회전축(15)이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15)은 원통형상의 상기 연마본체부(11)의 중심방향과 대응되도록 수직으로 연장되되, 일단부는 상기 연마본체부(11)의 중앙부와 체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구동부(30)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마본체부(11)에 수용된 예비사출고무제품(1)이 상기 연마본체부(11) 내측에 돌설된 연마돌출부(19)와 회전 마찰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구동부(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30)의 일단에는 구동축(31)이 돌설되며 상기 구동축(31)과 상기 회전축(15)의 단부는 상호 연동되는 구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구동축(31)과 상기 회전축(15)의 단부에 각각 회전풀리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풀리를 연결하도록 구동벨트(32)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30)가 가동됨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구동축(31)의 회전력이 상기 구동벨트(32)를 통하여 상기 회전축(15)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5)이 회전되면 상기 연마본체부(11)가 회전되며 내측에 수용된 예비사출고무제품(1)이 회전 마찰됨에 따라 상기 버 부분(1a)이 자동으로 탈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벨트(32)는 벨트, 와이어, 체인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회전축(15) 및 구동축(31)의 단부에는 스프로킷 등과 같은 기어가 구비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구동축(31)과 상기 회전축(15)의 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기어는 별도의 체인 연결구조 없이 직접 맞물려 회전함에 의해 상기 연마본체부(11)가 회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연마부(10) 및 상기 구동부(30)를 커버하는 케이스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부는 중공형 내측에 상기 회전연마부(10) 및 상기 구동부(30)가 수용되며, 하측에는 이동용 바퀴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사출고무제품의 버 제거장치(100)는 각 부품이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의 충격 내지 이물질로부터 상기 각 부품을 보호하므로 안정성 및 유지보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로 인해 상기 구동부(30)의 구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도 있으므로 작업환경이 현저히 개선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연마본체부(11)는 외통부(12)와 회전플레이트(13)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통부(12)의 내주면 측면부(12a)와 상기 회전플레이트(13)의 상면(13a)에는 복수개의 상기 연마돌출부(19s,19f)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마본체부(11)의 바닥면은 실질적으로 상기 회전플레이트(13)의 상면(13a)과 대응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외통부(12)는 개구된 상측이 선택적으로 커버되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내주면 측면부(12a)의 원주방향으로 따라 상기 복수개의 연마돌출부(19s)가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외통부(12)의 내주면 측면부(12a)에 구비되는 상기 연마돌출부(19s)는 종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며, 경우에 따라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외통부(12)의 바닥면(12b)에는 중심부로부터 방사형으로 구배진 경사배수로(18)가 형성되되, 상기 경사배수로(18)의 구배진 하단부 일측에는 배수부(18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외통부(12)의 바닥면 중앙부에는 상기 회전축(15)의 단부가 관통되는 관통부(12d)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경사배수로(18)는 하향 구배지는 방향은 제한을 두지 않으나, 상기 관통부(12d)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외통부(12)의 바닥면(12b) 외측테두리를 향하여 하향 구배짐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되는 완충유체가 상기 관통부(12d) 내측에 구비된 상기 회전축(15) 측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더불어, 상기 관통부(12d)와 상기 경사배수로(18) 사이에는 상기 완충유체의 상기 회전축(15) 측으로 누수를 차단하는 실링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플레이트(13)는 원판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외통부(12)의 바닥면(12b)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수용되되, 상면(13a)에는 상기 복수개의 연마돌출부(19s)가 방사형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회전플레이트(13)의 상면(13a)에 구비되는 상기 연마돌출부(19f)는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14)의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곡선형상으로 연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외통부(12)의 내주면 측면부(12a)에 종방향으로 구비되는 상기 연마돌출부(19s)와 상기 회전플레이트(13)의 상면(13a)에 횡방향으로 구비되는 상기 연마돌출부(19f)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동일한 형상의 상기 연마돌출부(19)를 상기 외통부(12)의 내주면 측면부(12a)에는 상기 외통부의 원통형상의 길이방향으로 배치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13)의 상면(13a)에는 원판형상의 반경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플레이트(13)에는 상기 외통부(12)의 바닥면(12b) 중앙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부(12d)를 관통한 상기 회전축(15)의 단부가 직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구동부(30)가 구동되면 상기 구동축(31)과 연동되는 상기 회전축(15)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플레이트(13)가 상기 외통부(12) 내측에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플레이트(13)는 상기 회전축(15)과 별도로 구비되되, 상기 회전플레이트(13)에 형성된 체결부(13b)에 체결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상기 회전축(15)의 단부에 상기 회전플레이트(13)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여기서, 상기 연마돌출부(19)는 상기 연마본체부(11)의 내주면 측면부와 바닥면,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통부(12)의 내주면 측면부(12a)와 상기 회전플레이트(13)의 상면(13a)에 각각 방사형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외통부(12)의 내주면 측면부(12a)에는 상기 연마돌출부(19s)가 종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13)의 상면(13a)에는 상기 연마돌출부(19f)가 횡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통부(12)는 상기 구동부(30)의 구동시 상기 회전축(15)이 회전되더라도 실질적으로 고정된 상태이며, 상기 회전플레이트(13)는 상기 회전축(15)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외통부(12)의 내주면 측면부(12a)에 구비된 상기 종방향의 연마돌출부(19s)는 실질적으로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회전플레이트(13)에 구비된 상기 횡방향의 연마돌출부(19f)는 상기 회전축(15)의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마본체부(11) 내측에 상기 버 부분(1a)을 포함하는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을 투입한 후 상기 구동부(30)를 가동시키면 상기 회전플레이트(13)가 회전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이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은 상기 회전플레이트(1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마본체부(11)의 내측을 회전하면서 상기 횡방향의 연마돌출부(19f)에 부딪혀 상기 외통부(12)의 내주면 측면부(12a)에 고정된 상기 종방향의 연마돌출부(19s)에도 충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은 상기 각 연마돌출부(19s,19f)와 충돌되면서 각 제품이 자전되고 또 각 제품끼리 충돌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충돌에 의해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이 상기 연마돌출부(19)에 마찰됨에 따라 상기 버 부분(1a)이 마모되어 자동으로 탈락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의 탄성에 의해 상기 연마본체부(11) 내측에서 상기 연마돌출부(19)와의 충돌 및 마찰이 탄발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연마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연마돌출부(19)는 외면부에 다수개의 연마돌기(19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마돌출부(19)의 외면에 요철형상의 상기 연마돌기(19a)가 형성됨에 따라 마찰력이 더욱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의 외면에 형성된 상기 버 부분(1a)이 마찰 및 절삭되어 더욱 효과적인 연마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연마돌기(19a)의 단부(19b)는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이 상기 연마돌출부(19)에 마찰되어 상기 버 부분(1a)이 제거되면서도 마찰에 의한 흠집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버 부분(1a)의 제거과정이 완료된 고무제품의 파손 및 불량률이 최소화되므로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마돌기(19a)는 돌설된 높이가 일정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도면에서와 같이 이웃하는 돌기 간의 돌설된 높이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여기서, 상기 연마돌출부(19)는 상기 연마본체부(11)의 내주면 측면부와 바닥면에 각각 방사형으로 구비되되, 바람직하게는 각각 3개 이상 돌설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연마돌출부(19)가 각각 3개 미만으로 돌설되면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이 충돌 및 마찰되는 돌출부가 적어 회전 및 마찰에 의하여 상기 버 부분(1a)이 탈락되는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어 사용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연마돌출부(19)가 3개 이상으로 돌설되면 상기 연마돌출부(19)의 외면과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 간의 마찰되는 돌출부 및 면적이 증가하므로 마찰에 따른 버 부분(1a) 제거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마돌출부(19)는 상기 외통부(12)의 내주측면 내지 상기 회전플레이트(13)의 상면에 별도로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일체로 돌설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회전플레이트(13)는 중심부로부터 방사형으로 분할된 돌출부와 함몰부가 지그재그로 형성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한편, 상기 회전연마부(10)의 일측에는 상기 완충유체 순환부(2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완충유체 순환부(20)는 상기 완충유체를 상기 연마본체부(11) 내측에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며 분사부(21), 저장탱크(22), 회수탱크(24) 및 펌프(25)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버 부분(1a)을 포함하는 예비사출고무제품(1)이 투입된 상기 연마본체부(11)가 회전되면 상기 연마본체부(11) 내부에서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이 상기 연마돌출부(19)에 회전 마찰됨에 따라 상기 버 부분(1a)이 탈락된다.
이대, 상기 연마본체부(11)의 내측으로 상기 완충유체가 분사되면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의 외면에 완충막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이 상기 연마돌출부(19)와 충돌 및 마찰되더라도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의 외면에 과도한 흠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의 불량률이 감소되므로 생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유체에 의해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으로부터 탈락된 상기 버의 파편 및 이물질의 세척이 상기 연마과정에서 동시에 진행될 수 있으므로 작업공정이 현저히 단축될 수 있다. 더욱이, 완충유체가 분사됨에 따라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과 상기 연마돌출부(19)의 마찰시 분진이 발생하더라도 작업환경 외측으로 비산되는 것이 최소화되므로 작업환경의 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연마본체부(11)의 내측에 분사되어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의 연마작업에 사용되는 상기 완충유체가 회수되어 재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완충유체 순환부(2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회전연마부(10)의 일측에는 상기 연마본체부(11)의 내측을 향하여 상기 완충유체를 분사시키는 분사부(21)가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분사부(21)는 상기 완충유체를 저장하는 저장탱크(22)와 연결되며, 상기 저장탱크(22)와 상기 분사부(21) 사이에 연결된 밸브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에 따라 상기 연마본체부(11)에 상기 완충유체가 분사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완충유체는 상기 연마본체부(11)에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이 투입되고 상기 구동부가 가동되기 전에 분사될 수도 있고,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플레이트(13)의 회전이 진행중인 상태에서 분사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밸브는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되어 분사량 및 분사간격이 조절될 수도 있고,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분사부(21)는 상기 연마본체부(11)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분사부(21)를 통해 상기 저장탱크(22)에 저장된 상기 완충유체가 상기 연마본체부(11)의 내측으로 분사된다. 이때, 상기 완충유체가 분사되는 양은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이 회전 충돌시 외면에 흠집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완충막이 형성될 정도로 분사될 수 있다.
즉, 상기 완충유체는 상기 연마본체부(11)의 내측에 투입된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이 잠길 정도의 많은 양을 필요로 하지 않고 단지 외면을 보호할 수 있는 완충막이 형성될 정도로만 분사되면 되므로 경제적이다. 이때, 상기 완충막이 형성되었다 함은 실질적으로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에 상기 완충유체가 분사되어 외면이 적셔진 상태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완충유체가 분사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30)가 구동되어 상기 회전플레이트(13)가 회전되면 상기 버 부분(1a)이 탈락되되, 원심력에 의해 상기 탈락된 버의 파편과 상기 완충유체가 상기 외통부(12)의 내주면 측면부(12a) 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외통부(12)의 내주면 측면부(12a) 측으로 이동된 완충유체와 버의 파편은 자중에 의해 상기 외통부(12)의 바닥면(12b)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통부(12)의 내주면 측면부(12a) 하단부측에는 상기 외통부(12)의 내주면 측면부(12a)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단차진 단턱부(12c)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플레이트(13)의 외주테두리가 상기 단턱부(12c)에 삽입되되, 상기 단턱부(12c)의 내측면부와 상기 회전플레이트(13)의 외주테두리(13c)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부(c)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완충유체가 상기 단턱부의 내측면부(12c)와 상기 회전플레이트(13)의 외주테두리(13c) 사이의 간극부(c)를 통하여 상기 외통부(12)의 바닥면(12b)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플레이트(13)에는 상기 완충유체가 배출되는 타공부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타공부를 통하여 배출된 상기 완충유체를 상기 배수부(18a)측으로 유도하는 상기 경사배수로(18)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배수로(18)는 상기 연마본체부(11), 특히 상기 외통부(12)의 바닥면(12b)에 방사형으로 구배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배수로(18)는 상기 외통부(12)의 바닥면 중앙부 즉, 상기 관통부(12d)측으로 하향 경사질 수도 있으나, 상기 회전축(15) 측으로 상기 완충유체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바닥면(12b) 중앙부로부터 외주테두리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배수로(18)의 구배진 하단부에는 상기 배수부(18a)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부(18a)에는 상기 배수라인(23)이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연마본체부(11)의 내측으로 분사된 상기 완충유체는 상기 간극부(c) 내지 상기 타공부를 통하여 상기 외통부(12)의 바닥면(12b)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배수구(18a)에 연결된 상기 배수라인(23)을 통해 상기 회수탱크(24)로 회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수탱크(24)에는 상기 완충유체를 상기 저장탱크(22)측으로 재공급하는 펌프(25)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완충유체는 상기 저장탱크(22)에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분사부(21)를 통하여 상기 연마본체부(11) 내측으로 분사되되, 상기 배수구(18a)에 연결된 상기 배수라인(23)과 회수탱크(24)를 거쳐 상기 저장탱크(22)로 재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완충유체를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이때, 상기 완충유체는 실온 범위의 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사출고무제품 버 제거장치(10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물을 완충유체로 이용하므로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의 버 제거시 소요되는 비용이 현저히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은 실온 범위의 온도로 사용되므로 별도의 냉각 내지 가열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사출고무제품 버 제거장치(100)를 제조 및 설치하는 설비비용 및 설비공정이 현저히 감소되므로 경제적이다.
한편, 상기 연마돌출부(19)에 회전 마찰되어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버의 파편이 상기 완충유체와 함께 상기 배수라인(23)을 통해 배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수라인(23)에는 상기 완충유체와 상기 버의 파편이 분리되도록 여과부(27)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여과부(27)는 상기 배수라인(23)을 가로지르는 거름망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완충유체는 상기 여과부(27)가 구비된 상기 배수라인(23)을 통과하면서 자연스럽게 상기 버의 파편이 걸러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여과부(27)는 상기 배수라인(23)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여과부(27)에서 걸러진 상기 버의 파편을 분리해내기 용이하므로 상기 사출고무제품 버 제거장치(100)의 유지보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사출고무제품 버 제거장치(100)는 상기 완충유체가 상기 완충유체 순환부(20)를 순환하면서 반복적으로 재사용될 수 있으므로 경제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부(27)를 통해 상기 완충유체와 상기 버의 파편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여과부(27)에는 필터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배수라인(23)을 통과하는 상기 완충유체는 상기 거름망을 통과하면서 상기 탈락된 버의 파편이 1차로 걸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거름망에서 걸러지지 않은 파편 잔여물 내지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의 외면으로부터 씻겨진 이물질들이 2차로 걸러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수탱크(24)에서 상기 저장탱크(22)로 재공급되는 상기 완충유체가 실질적으로 초기 상태로 정화되어 공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완충유체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더라도 상기 버의 파편 내지 이물질에 의해 상기 사출고무제품 버 제거장치(100)의 고장 등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배출부(17)의 외측에는 배출터널(14)이 구비되고, 상기 배출터널(14)의 하단부측에는 상기 배출부(17)를 통하여 배출된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이 수용되는 수집함(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터널(14)은 상기 회전축(15)의 회전방향(R)에 대응하는 상기 연마본체부(11)의 외주면 접선방향(t)으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4에서 e는 상기 회전축(15)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원심력방향(e)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구동부(30)가 구동되면 상기 회전축(15)이 약 3000rpm의 속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연마본체부(11) 내측에 직결된 상기 회전플레이트(13)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회전플레이트(13)가 회전되면, 상기 연마본체부(11)에 투입된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이 회전력에 의해 상기 연마본체부(11)의 내측에서 상기 회전축(15)의 회전방향(R)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이 회전됨과 함께 내주면에 돌설된 상기 연마돌출부(19)에 회전 마찰되면서 상기 버 부분(1a)이 탈락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30)의 구동이 중지되더라도 상기 구동축(31) 및 이와 연결된 상기 회전축(15)은 관성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회전운동이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운동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외통부(12)의 배출부(17)를 커버하는 커버(17a)가 개방되면 원심력에 의해 상기 연마본체부(11) 내측에서 수용된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이 상기 배출부(17)를 통해 자동으로 회전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부(17)의 외측에는 상기 회전축(15)의 회전방향(R)에 대응하는 상기 연마본체부(11)의 외주면 접선방향(t)으로 상기 배출터널(14)이 구비됨으로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의 배출경로를 자연스럽게 가이드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배출터널(14)의 하면부(14a)가 하향 경사짐에 따라 상기 배출터널(14)의 하단부측에 구비된 상기 수집함(40)에 상기 버 부분(1a)이 제거된 예비사출고무제품(1)이 더욱 안정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배출터널(14)의 단부 상측에는 배출가이드단턱(14b)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플레이트(13)의 원심력 및 상기 연마돌출부(19)와의 충돌에 의해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이 상측 방향으로 튕겨지더라도 상기 배출가이드단턱(14b)에 충돌되어 상기 배출터널(14)의 하향 경사진 하면부(14a)로 가이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연마돌출부(11)에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을 투입하기만 하면 상기 연마작업 및 배출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30)의 구동신호 및 정지신호를 발신하고, 발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배출부(17)를 커버하는 커버의 개방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구동부(30)가 구동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부는 상기 배출부(17)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정지신호가 인가된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부가 상기 배출부(17)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배출부(17)가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30)에 정지신호가 인가되더라도 상기 구동축(31)은 관성에 의해 일정시간 회전이 유지되며, 상기 구동축(31)과 연동되는 상기 회전축(15)과 상기 회전축(15)에 직결된 상기 회전플레이트(13)도 일정시간 회전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플레이트(13)가 회전시 상기 외통부(12)에 투입된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이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회전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터널(14)은 상기 회전축(15)의 회전방향과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에 가해지는 원심력의 연장방향에 대응되는 상기 외통부(12)의 접성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배출부(17)를 통해 회전 배출되는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의 배출경로가 상기 배출터널(14)의 연장방향에 따라 자연스럽게 상기 수집함(40) 측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배출터널(14)의 단부 상측에 배출가이드단턱(14b)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이 상측으로 튕겨나가듯이 회전배출되더라도 상기 배출가이드단턱(14b)에 부딪혀 자연스럽게 상기 수집함 쪽으로 배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사출고무제품 버 제거장치(100)는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의 외면에 형성된 상기 버 부분(1a)을 회전 마찰력에 의해 자동으로 분리되면서도 상기 회전력에 의한 원심력으로 상기 버 부분(1a)이 분리된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이 배출되는 과정 역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마본체부(11)에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을 투입한 후 상기 구동부(30)의 구동상태에 따라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의 연마 및 배출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연마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연마부(210)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연마부(210)에는 연마본체부(211)가 포함되되, 상기 연마본체부(211)는 외통부(212)와 회전내통부(213)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외통부(212)는 바닥면(212b)에 방사형으로 구배진 경사배수로(218)와, 상기 경사배수로(218)의 구배진 하단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완충유체가 선택적으로 배수되는 배수부(218a)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외통부(212)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내통부(213)가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내통부(213)는 상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며 내주면 측면부(213a)와 바닥면(213b)에 상기 연마돌출부(219s,219f)가 각각 복수개로 돌설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로부터 전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단부가 상기 회전축(215)과 직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내통부(213)의 내주면 측면부(213a)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연마돌출부(219s)가 상기 내주면 측면부(213a)의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내통부(213)의 바닥면(213b)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연마돌출부(219f)가 상기 바닥면(213b)의 중앙부로부터 방사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종방향으로 구비된 연마돌출부(219s)와 상기 횡방향으로 구비된 연마돌출부(219f)는 상기 회전내통부(213)의 내주면 측면부(213a)와 바닥면에 교번 돌설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내통부(213)의 내주면 측면부(213a)에 상호 이웃하도록 돌설된 상기 종방향의 연마돌출부(219s)의 사이와 대응되는 상기 바닥면(213b)에 상기 횡방향의 연마돌출부(219f)가 돌설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마돌출부(219s,219f)가 최소한으로 구비되면서도 마찰 및 충돌되는 효율은 실질적으로 유지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회전내통부(213)의 내주면 측면부(213a)와 바닥면(213b)에는 다수개의 관통공(213c)이 타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본체부(211) 내측으로 분사된 상기 완충유체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관통공(213c)을 통해 상기 외통부(212)의 바닥면(212b) 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213c)을 통해 배출된 상기 완충유체는 상기 경사배수로(218)를 따라 상기 배출부(218a)로 배출되되 상기 완충유체 순환부(20)의 순환경로를 따라 상기 저장탱크(도 3의 22)로 재공급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사출고무제품의 버 제거장치(100)는 상기 버 부분(1a)이 포함된 예비사출고무제품(1)이 투입된 상기 연마본체부(11)가 회전되면 내주면 측면부와 바닥면에 돌설된 연마돌출부(19)에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이 탄발적으로 회전 충돌되어 마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버 부분(1a)이 마모되어 자동으로 탈락되어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연마본체부(11)의 내측으로 분사되는 완충유체에 의해 마찰시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에 흠집이 발생하는 것이 최소화되므로 불량률이 감소되는 시너지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연마돌출부(19)의 외면에는 다수개의 연마돌기(19a)가 돌설되되, 상기 연마돌기(19a)의 단부(19b)는 라운드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이 상기 연마돌출부(19)에 마찰되어 상기 버 부분(1a)이 제거되더라도 마찰에 의한 흠집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버 부분(1a)의 제거과정이 완료된 사출고무제품의 파손 및 불량률이 최소화되므로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유체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의 외면에 잔존하는 이물질 및 버의 파편을 세척하면서 상기 연마본체부(11)의 하단부에 형성된 배출부를 통해 배출된 후 완충유체 순환부(20)를 순환하면서 여과되어 재사용되므로 연마공정이 단축되고 경제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연마작업 완료 후 구동부(30)의 구동이 중지되더라도 관성에 의해 상기 구동축(31) 및 이와 연결된 회전축(15)은 관성에 의해 회전운동이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마본체부(11)에 형성된 배출부(17)의 커버(17a)가 개방되면 원심력에 의해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이 상기 회전축(15)의 회전방향(R)에 대응하는 상기 연마본체부(11)의 외주면 접선방향(t)으로 연장된 배출터널(14)을 통해 자동으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배출터널(14)의 하면부(14a)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배출터널(14)의 단부측에 구비된 상기 수집함(40) 측으로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이 안정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터널(14)의 단부 상측에 상기 배출가이드단턱(14b)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1)이 상측으로 튕겨나가듯이 회전 배출되더라도 상기 배출가이드단턱(14b)에 부딪혀 자연스럽게 상기 수집함 쪽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회전연마부 11 : 연마본체부
15 : 회전축 19 : 연마돌출부
20 : 완충유체 순환부 21 : 분사부
30 : 구동부 31 : 구동축
100 : 사출고무제품 버 제거장치

Claims (5)

  1. 버 부분을 포함하는 예비사출고무제품이 투입되도록 상단부에 투입부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커버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배출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연마본체부의 내주면 측면부와 바닥면에 각각 방사형으로 돌설된 복수개의 연마돌출부가 구비되며, 외측 하단부에는 상기 연마본체부의 중심방향과 대응되도록 수직으로 연장된 회전축이 체결된 회전연마부;
    상기 회전연마부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연마본체부의 내측을 향하여 배치된 분사부를 통해 분사되는 완충유체가 저장된 저장탱크와, 상기 연마본체부의 하측과 연통된 배수라인을 통해 배출된 상기 완충유체가 회수되는 회수탱크와, 상기 회수탱크에 저장된 상기 완충유체를 상기 저장탱크로 재공급하는 펌프가 포함된 완충유체 순환부; 및
    상기 연마본체부에 수용된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이 상기 연마돌출부와 회전 마찰되도록 상기 회전축의 단부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되, 구동이 중지되더라도 상기 회전축이 관성에 의해 일정시간 회전운동이 유지되도록 구비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마본체부는 내주면 측면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개의 연마돌출부가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고 바닥면에 방사형으로 구배진 경사배수로가 형성되되 상기 경사배수로의 구배진 하단부 일측에 상기 배수라인이 연결되는 배수부가 형성된 외통부와, 상기 외통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수용되되, 상면부에 상기 복수개의 연마돌출부가 방사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로부터 전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단부가 상기 회전축과 직결되는 회전플레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의 개방시 상기 연마본체부가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상기 배출부를 통하여 예비사출고무제품이 자동으로 회전 배출되는 경로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배출부의 외측에는 하면부가 단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배출터널이 구비되며, 상기 배출터널은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연마본체부의 외주면 접선방향으로 연장되며, 단부 상측에는 배출가이드단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고무제품의 버 제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돌출부에 회전 마찰되어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으로부터 분리된 버 파편과 상기 완충유체가 분리되도록 상기 배수라인에는 여과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고무제품의 버 제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터널의 하단부측에는 상기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된 상기 예비사출고무제품이 수용되는 수집함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고무제품의 버 제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돌출부는 외면부에 다수개의 연마돌기가 요철형상으로 반복적으로 돌설되되,
    상기 연마돌기의 각 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고무제품의 버 제거장치.
KR1020150185553A 2015-12-24 2015-12-24 사출고무제품의 버 제거장치 KR101626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553A KR101626351B1 (ko) 2015-12-24 2015-12-24 사출고무제품의 버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553A KR101626351B1 (ko) 2015-12-24 2015-12-24 사출고무제품의 버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6351B1 true KR101626351B1 (ko) 2016-06-01

Family

ID=56138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553A KR101626351B1 (ko) 2015-12-24 2015-12-24 사출고무제품의 버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351B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9531A (ko) * 2016-01-27 2017-08-04 박병완 고무 사상기
KR20180003255A (ko) * 2016-06-30 2018-01-09 박병완 미스트 분무기가 구비된 고무 사상기
KR101897030B1 (ko) 2017-04-11 2018-09-12 (주)유니폴리 오링 자동 분리 장치
CN108673317A (zh) * 2018-05-02 2018-10-19 杭州富阳富宝仪表机床厂 一种新型环保用盘条去氧化层打磨机
KR101904346B1 (ko) * 2016-06-30 2018-11-30 박병완 틈새 끼임 방지용 링이 구비된 고무 사상기
CN109093500A (zh) * 2018-09-07 2018-12-28 曾金玉 一种机械零件加工用除锈装置
CN109605204A (zh) * 2018-12-28 2019-04-12 陈岩 一种管材表面处理工艺
CN109648456A (zh) * 2018-12-28 2019-04-19 陈岩 一种管材表面氧化皮清理设备
CN110421762A (zh) * 2019-06-18 2019-11-08 南京宏匡硅材料有限公司 一种橡胶制品边缘处理装置
KR102110712B1 (ko) 2019-06-14 2020-05-13 김진완 사출품의 버 제거장치
KR20200132081A (ko) * 2019-05-15 2020-11-25 송영호 연삭유 분리장치
CN112605876A (zh) * 2021-01-13 2021-04-06 四川吉康银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过滤杂质的除锈机
CN113290819A (zh) * 2021-05-21 2021-08-24 温州市鸿旭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热塑性弹性体颗粒原料高利用率生产系统
CN113798975A (zh) * 2021-10-20 2021-12-17 湖南生物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智能抛光机
CN115447057A (zh) * 2022-08-11 2022-12-09 无锡铃派科技有限公司 一种异形塑件一体化注塑设备
CN116423359A (zh) * 2023-03-29 2023-07-14 扬州景如源电镀设备配件有限公司 一种高效节能的电镀滚筒智能化除胶设备及其使用方法
KR102558088B1 (ko) * 2022-11-28 2023-07-24 대한민국 미니존데 발사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9762A (ja) * 1981-10-06 1983-04-08 Toyota Motor Corp メデイアかす除去装置付流動バレル装置
JPS58136254U (ja) * 1982-03-08 1983-09-13 新東ブレ−タ−株式会社 バレル研摩装置
JP2643909B2 (ja) * 1994-10-20 1997-08-25 新東ブレーター株式会社 乾式バレル研摩法および乾式バレル研摩におけるメディアの再生法
JP2002292554A (ja) * 2001-03-30 2002-10-08 Mitsubishi Materials Corp バレル研磨装置
KR100967432B1 (ko) 2008-03-21 2010-07-01 주식회사 월드브라스트 고무사출품의 냉각 및 버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9762A (ja) * 1981-10-06 1983-04-08 Toyota Motor Corp メデイアかす除去装置付流動バレル装置
JPS58136254U (ja) * 1982-03-08 1983-09-13 新東ブレ−タ−株式会社 バレル研摩装置
JP2643909B2 (ja) * 1994-10-20 1997-08-25 新東ブレーター株式会社 乾式バレル研摩法および乾式バレル研摩におけるメディアの再生法
JP2002292554A (ja) * 2001-03-30 2002-10-08 Mitsubishi Materials Corp バレル研磨装置
KR100967432B1 (ko) 2008-03-21 2010-07-01 주식회사 월드브라스트 고무사출품의 냉각 및 버 제거 장치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9531A (ko) * 2016-01-27 2017-08-04 박병완 고무 사상기
KR101904345B1 (ko) 2016-01-27 2018-10-05 박병완 고무 사상기
KR101904346B1 (ko) * 2016-06-30 2018-11-30 박병완 틈새 끼임 방지용 링이 구비된 고무 사상기
KR20180003255A (ko) * 2016-06-30 2018-01-09 박병완 미스트 분무기가 구비된 고무 사상기
KR101868364B1 (ko) * 2016-06-30 2018-06-18 박병완 미스트 분무기가 구비된 고무 사상기
KR101897030B1 (ko) 2017-04-11 2018-09-12 (주)유니폴리 오링 자동 분리 장치
CN108673317A (zh) * 2018-05-02 2018-10-19 杭州富阳富宝仪表机床厂 一种新型环保用盘条去氧化层打磨机
CN108673317B (zh) * 2018-05-02 2019-09-10 杭州富阳富宝仪表机床厂 一种新型环保用盘条去氧化层打磨机
CN109093500A (zh) * 2018-09-07 2018-12-28 曾金玉 一种机械零件加工用除锈装置
CN109605204A (zh) * 2018-12-28 2019-04-12 陈岩 一种管材表面处理工艺
CN109648456A (zh) * 2018-12-28 2019-04-19 陈岩 一种管材表面氧化皮清理设备
KR102277255B1 (ko) 2019-05-15 2021-07-13 송영호 연삭유 분리장치
KR20200132081A (ko) * 2019-05-15 2020-11-25 송영호 연삭유 분리장치
KR102110712B1 (ko) 2019-06-14 2020-05-13 김진완 사출품의 버 제거장치
CN110421762A (zh) * 2019-06-18 2019-11-08 南京宏匡硅材料有限公司 一种橡胶制品边缘处理装置
CN112605876A (zh) * 2021-01-13 2021-04-06 四川吉康银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过滤杂质的除锈机
CN112605876B (zh) * 2021-01-13 2023-03-31 芜湖合晟机械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过滤杂质的除锈机
CN113290819A (zh) * 2021-05-21 2021-08-24 温州市鸿旭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热塑性弹性体颗粒原料高利用率生产系统
CN113798975A (zh) * 2021-10-20 2021-12-17 湖南生物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智能抛光机
CN113798975B (zh) * 2021-10-20 2022-03-25 湖南生物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抛光机
CN115447057A (zh) * 2022-08-11 2022-12-09 无锡铃派科技有限公司 一种异形塑件一体化注塑设备
CN115447057B (zh) * 2022-08-11 2024-03-26 无锡铃派科技有限公司 一种异形塑件一体化注塑设备
KR102558088B1 (ko) * 2022-11-28 2023-07-24 대한민국 미니존데 발사체
CN116423359A (zh) * 2023-03-29 2023-07-14 扬州景如源电镀设备配件有限公司 一种高效节能的电镀滚筒智能化除胶设备及其使用方法
CN116423359B (zh) * 2023-03-29 2023-11-14 扬州景如源电镀设备配件有限公司 一种高效节能的电镀滚筒智能化除胶设备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6351B1 (ko) 사출고무제품의 버 제거장치
US6821191B2 (en) Ball finishing process
JP2013086245A (ja) ショットブラスト装置
JPH01317855A (ja) 車輪洗浄装置
CN210938558U (zh) 一种金属件打磨装置
CN103826784A (zh) 带有油密封的工作池的珩磨机
CN107520754A (zh) 一种研磨机清洗机构
KR101449242B1 (ko)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된 사출물의 버어 및 단차 제거장치
KR101286451B1 (ko) 원주 회전식 이송구조를 갖는 연속식 쇼트 피닝 장치
KR20160143263A (ko) 벨트형 오일스키머
KR102245474B1 (ko) 연마성능을 극대화한 대용량 고속 원심연마기
KR100655650B1 (ko) 드라이아이스 펠렛을 이용한 블라스팅 장치
CN208467970U (zh) 打磨和抛光两用装置
KR102100434B1 (ko) 원심 분리형 절삭유 여과 장치
US3570183A (en) Bowl construction for rotary finishing machine
KR101967190B1 (ko) 샌딩머신
CN208744585U (zh) 一种振动抛光机
KR100991059B1 (ko) 다이캐스팅 제품의 표면 연마장치 및 그 방법
KR200405824Y1 (ko) 드라이아이스 펠렛을 이용한 블라스팅 장치
CN207206138U (zh) 一种牙套自动化抛光装置
KR100523165B1 (ko) 건설 폐기물의 골재 세척용 콘베이어 구조
CN207372842U (zh) 一种钢管抛光装置
KR20110138942A (ko) 작업성 향상 기능을 갖는 바렐 겸용 세척장치
CN206185710U (zh) 一种高效的叶轮清砂设备
KR101640422B1 (ko) 화강암 표면 가공장치, 가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가공된 화강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