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190B1 - 샌딩머신 - Google Patents

샌딩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190B1
KR101967190B1 KR1020180025787A KR20180025787A KR101967190B1 KR 101967190 B1 KR101967190 B1 KR 101967190B1 KR 1020180025787 A KR1020180025787 A KR 1020180025787A KR 20180025787 A KR20180025787 A KR 20180025787A KR 101967190 B1 KR101967190 B1 KR 101967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dust collector
sanding
sludg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엘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엘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엘티
Priority to KR1020180025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1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18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provided with means for moving workpieces into different working positions
    • B24C3/26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provided with means for moving workpieces into different working positions the work being supported by barrel cages, i.e. tumblers; Gimbal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11/00Selection of abrasive materials or additives for abrasive bla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9/00Appurtenances of 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e.g. working chambers, arrangements for handling used abrasive material
    • B24C9/006Treatment of used abras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배치된 샌딩건으로써 가공품을 연마하는 연마기; 상기 연마기와 연통되어 상기 연마기 내부의 모래와 슬러지가 유동되는 집진기; 샌딩건에 의해 분사되는 모래가 수용되며 상기 집진기로부터 필터링된 모래가 유입되는 모래수용부; 및 상기 연마기와 집진기 사이 또는 상기 집진기와 모래수용부 사이에 배치되어 공기, 모래 및 슬러지를 유동시키는 팬;을 포함하는 샌딩머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샌딩머신{SANDING MACHINE}
본 발명은 구조가 개선된 샌딩머신에 관한 것이다.
샌딩머신은 모래를 고압의 공기와 함께 피가공면에 분사하여 모래의 충돌에 의해 가공품의 표면을 연마하거나 청정화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종래의 샌딩머신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등록 제20-0210534호(고안의 명칭: 샌드블라스트기)가 있다.
종래의 샌딩머신은 연마대(100) 내부에 가공품을 집어넣고 투시창(104)으로 가공품을 보면서 샌딩건(20)을 이용하여 가공품의 표면을 샌딩하며, 샌딩 작업에 의한 모래와 슬러지가 호퍼(110)로 흘러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샌딩머신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일단, 종래의 샌딩머신은 가공품을 수용하기 위한 연마대가 다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샌딩건에 의해 분사되는 모래에 의해 마모될 수 있다.
이러한 연마대의 마모 현상은 특히, 작업에 따른 모래와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 유동장치가 상기 연마대에 배치될 경우에 모래 및 슬러지가 상기 다각형의 연마대 내부에 충돌횟수가 빈번하여 더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마대 내부에 가공품이 안치될 수 있는 테이블은 연마대에 용접 또는 볼트 결합 등으로 고정되어 마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테이블의 교체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종래의 샌딩머신은 가공에 사용된 모래를 슬러지와 동시에 배출시키므로 모래를 자주 샌딩건에 충진해줘야 하며, 이는 작업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샌딩머신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샌딩에 사용된 모래 중 재사용 가능한 모래를 회수하여 연마제 공급비용이 감소하고 작업능률이 향상될 수 있는 샌딩머신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내부에 배치된 샌딩건으로써 가공품을 연마하는 연마기; 상기 연마기와 연통되어 상기 연마기 내부의 모래와 슬러지가 유동되는 집진기; 샌딩건에 의해 분사되는 모래가 수용되며 상기 집진기로부터 필터링된 모래가 유입되는 모래수용부; 및 상기 연마기와 집진기 사이 또는 상기 집진기와 모래수용부 사이에 배치되어 공기, 모래 및 슬러지를 유동시키는 팬;을 포함하는 샌딩머신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마기는 가공품이 수용되어 샌딩건으로써 연마되는 공간인 원통형의 몸체; 상기 몸체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모래수용부와 연통되는 하측호퍼; 및 상기 몸체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집진기와 연통되는 상측호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개폐 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어; 및 상기 몸체 내부를 보기 위한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에는 상기 몸체 내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장갑을 장착하기 위한 한 쌍의 작업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내주면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와 하측호퍼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테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블은 반원형의 제1 반원부와 제2 반원부가 접철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도어는 가로 길이 또는 세로 길이가 상기 테이블의 반경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진기는 상기 상측호퍼와 연통되어 외부로 슬러지를 배출하는 배출파이프를 포함하는 집진기바디; 및 상기 집진기바디 하측에 배치되며 낙하된 모래를 상기 모래수용부에 유동시키기 위해 잔여 슬러지를 제거하는 제1 필터가 내장된 집진기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래수용부는 상기 집진기필터로부터 유입되는 모래에 포함된 잔여 슬러지를 제거하는 제2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마기의 몸체를 원형으로 형성하여 내부에서 유동되는 모래와 슬러지에 의한 마모를 최소화하여 연마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내부에 배치되는 테이블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마기, 집진기 및 모래수용부의 순환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연마에 사용된 모래의 재사용을 도모하여 전체적인 비용 및 가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샌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마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절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을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샌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마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절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샌딩머신(100)은 크게 연마기(110), 집진기(120), 모래수용부(130) 및 팬(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마기(110)는 내부에 배치된 샌딩건(미도시)으로써 가공품을 연마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가공품이 수용되어 샌딩건으로써 연마되는 공간인 원통형의 몸체(111)와, 상기 몸체(111)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모래수용부(130)와 연통되는 하측호퍼(112)와, 상기 몸체(111)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집진기(120)와 연통되는 상측호퍼(1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측호퍼(112)와 상측호퍼(113)는 원뿔 형상의 깔때기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측호퍼(112)의 형상에 의해, 미도시된 샌딩건에서 분사된 모래 중 가공품의 연마에 사용되지 아니한 모래는 자체 하중에 의해 후술할 모래수용부(130)로 용이하게 재유입될 수 있다.
상기 상측호퍼(113)의 형상에 의해, 미도시된 샌딩건에서 분사된 모래 중 가공품의 연마에 사용되어 잘게 부셔진 모래 및 가공품에서 떨어저나오는 슬러지는 집진기(120)로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11)는 원형의 내주면을 형성함으로써 샌딩건에서 분사된 모래가 후술할 팬(14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상측호퍼(113) 방향으로 유동될 때 상기 몸체(111)의 내주면에 충돌되는 횟수를 최소화하여 상기 연마기(110)의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11), 상측호퍼(113) 및 하측호퍼(112) 중 적어도 한 곳의 내부에는 나선형의 유동돌기(11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술한 모래의 상, 하 유동을 더욱 원활하게 도모하여 연마기(110) 내부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마기(110) 내부는 테프론, 우레탄 등의 코팅재를 코팅하여 연마기(110) 내부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몸체(111)는 개폐 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어(115)와, 상기 몸체(111) 내부를 보기 위한 윈도우(11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몸체(111)에는 상기 몸체(111) 내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장갑을 장착하기 위한 한 쌍의 작업홀(117)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도어(115)를 개폐하여 가공품을 상기 연마기(110) 내부로 집어넣고 상기 작업홀(117)을 통해 양손에 장갑을 끼우고 상기 윈도우(116)를 통해 가공품을 샌딩건을 통해 연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111)의 내주면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다수개의 통공(153)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111)와 하측호퍼(112)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테이블(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공(153)을 통해 미사용된 모래가 상기 하측호퍼(112)로 재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테이블(150)은 사용에 따른 마모로 인한 교체를 위해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테이블(150)은 반원형의 제1 반원부(151)와 제2 반원부(152)가 접철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도어(115)는 가로 길이 또는 세로 길이가 상기 테이블(150)의 반경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상기 테이블(150)이 접힌 상태로 상기 도어(115)를 통해 용이하게 연마기(110) 내부로 유입, 유출될 수 있으며, 상기 연마기(110) 내부에서 펼쳐지면 상기 몸체(111)와 하측호퍼(112)의 경계면에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집진기(120)는 상기 연마기(110)와 연통되어 상기 연마기(110) 내부의 모래와 슬러지가 유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집진기(120)는 상기 상측호퍼(113)와 연통되어 외부로 슬러지를 배출하는 배출파이프(122)를 포함하는 집진기바디(121)와, 상기 집진기바디(121) 하측에 배치되며 낙하된 모래를 상기 모래수용부(130)에 유동시키기 위해 잔여 슬러지를 제거하는 제1 필터가 내장된 집진기필터(12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연마기(110)의 상측호퍼(113)를 통해 유입된 모래와 슬러지 중 샌딩에 사용되지 아니한 모래는 하중이 무거워서 상기 집진기필터(123) 방향으로 낙하되고, 비교적 가벼운 모래와 슬러지와 같은 분진은 상기 집진기바디(121)의 배출파이프(12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모래수용부(130)는 샌딩건에 의해 분사되는 모래가 수용되며, 상기 집진기(120)로부터 필터링된 모래가 유입될 수 있다.
미도시된 샌딩건은 공지의 샌딩건으로서,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동에 의해 유압 또는 공압이 샌딩건에서 분사될 때 모래가 함께 분사될 수 있는 장치이며, 상기 모래수용부(130)는 샌딩건에 분사될 모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모래수용부(130)는 상기 집진기필터(123)로부터 유입되는 모래에 포함된 잔여 슬러지를 제거하는 제2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집진기필터(123)에 의해 1차적으로 필터링된 모래가 다시 상기 제2 필터를 통해 필터링되어 샌딩건에 유입될 모래의 연마성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 팬(140)은 상기 연마기(110)와 집진기(120) 사이 또는 상기 집진기(120)와 모래수용부(130) 사이에 배치되어 공기, 모래 및 슬러지를 유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팬(140)의 구동에 의해 연마기(110) 내부에서 모래와 슬러지가 집진기(120)로 유입되고, 상기 모래수용부(130)로 재순환될 수 있다.
여기서, 샌딩건에서 분사되는 모래 중 연마에 의해 파쇄된 비교적 작은 입자의 모래와 슬러지는 상기 집진기바디(121)의 배출파이프(122)를 통해 1차적으로 걸러지게 된다.
또한, 상기 샌딩건에서 분사되는 모래 중 파쇄되지 아니한 모래는 자체하중에 의해 1차적으로 상기 모래수용부(130)에 재수용되고, 상기 집진기(120) 방향으로 유입되는 일부의 모래는 다시 제1 필터 및 제2 필터를 통해 슬러지 등이 제거되어 상기 모래수용부(130)에 2차적으로 재수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샌딩머신(100)은 상술한 연마기(110), 집진기(120), 모래수용부(130) 및 팬(140)이 안치될 수 있는 하우징(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60)은 상기 연마기(110), 집진기(120), 모래수용부(130) 및 팬(140)이 안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16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61)의 상측에 배치되는 프레임(162)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61)의 바닥면에 배치되어 이동성을 제공하는 바퀴(16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마기(110)는 몸체(111) 또는 하측호퍼(112)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플랜지(11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162)에 상기 플랜지(118)를 안치시켜 배치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은 상기 연마기(110) 내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모래의 재사용을 가능케하는 구조를 포함하여 가공품의 연마를 위한 전체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0: 샌딩머신 110: 연마기
111: 몸체 112: 하측호퍼
113: 상측호퍼 115: 도어
116: 윈도우 117: 작업홀
118: 플랜지 120: 집진기
121: 집진기바디 122: 배출파이프
123: 집진기필터 130: 모래수용부
140: 팬 150: 테이블
151: 제1 반원부 152: 제2 반원부
153: 통공 160: 하우징
161: 베이스플레이트 162: 프레임
163: 바퀴

Claims (8)

  1. 내부에 배치된 샌딩건으로써 가공품을 연마하는 연마기;
    상기 연마기와 연통되어 상기 연마기 내부의 모래와 슬러지가 유동되는 집진기;
    샌딩건에 의해 분사되는 모래가 수용되며 상기 집진기로부터 필터링된 모래가 유입되는 모래수용부; 및
    상기 연마기와 집진기 사이 또는 상기 집진기와 모래수용부 사이에 배치되어 공기, 모래 및 슬러지를 유동시키는 팬;을 포함하며,
    상기 연마기는 개폐 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어가 형성되어 가공품이 연마되는 공간인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모래수용부와 연통되는 하측호퍼와, 상기 몸체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집진기와 연통되는 상측호퍼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 상측호퍼 및 하측호퍼 중 적어도 한 곳의 내부에는 나선형의 유동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내주면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와 하측호퍼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되, 반원형의 제1 반원부와 제2 반원부가 접철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형성되는 테이블을 더 포함하는 샌딩머신.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 내부를 보기 위한 윈도우를 더 포함하는 샌딩머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몸체 내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장갑을 장착하기 위한 한 쌍의 작업홀이 형성되는 샌딩머신.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가로 길이 또는 세로 길이가 상기 테이블의 반경보다 길게 형성되는 샌딩머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기는,
    상기 상측호퍼와 연통되어 외부로 슬러지를 배출하는 배출파이프를 포함하는 집진기바디; 및
    상기 집진기바디 하측에 배치되며 낙하된 모래를 상기 모래수용부에 유동시키기 위해 잔여 슬러지를 제거하는 제1 필터가 내장된 집진기필터;를 포함하는 샌딩머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수용부는 상기 집진기필터로부터 유입되는 모래에 포함된 잔여 슬러지를 제거하는 제2 필터를 더 포함하는 샌딩머신.
KR1020180025787A 2018-03-05 2018-03-05 샌딩머신 KR101967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787A KR101967190B1 (ko) 2018-03-05 2018-03-05 샌딩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787A KR101967190B1 (ko) 2018-03-05 2018-03-05 샌딩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7190B1 true KR101967190B1 (ko) 2019-04-09

Family

ID=66167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787A KR101967190B1 (ko) 2018-03-05 2018-03-05 샌딩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1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6945A (ko) 2021-09-30 2023-04-06 주식회사 명진기공 샌드 블라스팅 집진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2761A (ja) * 2000-02-03 2001-08-07 Yms:Kk エアレーション式ホッパー一体型ブラストガンおよび同ブラストガンを備えた縦型ブラスト加工装置
KR101102060B1 (ko) * 2011-07-19 2012-01-04 주식회사 나무공작소 샌드 블라스터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2761A (ja) * 2000-02-03 2001-08-07 Yms:Kk エアレーション式ホッパー一体型ブラストガンおよび同ブラストガンを備えた縦型ブラスト加工装置
KR101102060B1 (ko) * 2011-07-19 2012-01-04 주식회사 나무공작소 샌드 블라스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6945A (ko) 2021-09-30 2023-04-06 주식회사 명진기공 샌드 블라스팅 집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6351B1 (ko) 사출고무제품의 버 제거장치
KR101718442B1 (ko) 블라스트 가공장치
KR101967190B1 (ko) 샌딩머신
KR100318999B1 (ko) 가공물정밀연마가공방법 및 배럴정밀연마장치
CN111886111A (zh) 清洗装置及滚筒研磨系统
EP1974861A1 (en) Projector and blasting machine
KR101772289B1 (ko) 선박 작업용 스위핑 머신
US20070232206A1 (en) Device and method for extraction of dust from a grinder
CN101323134B (zh) 用于精加工产品尤其是半成品陶瓷产品的装置
TW201702002A (zh) 硏磨裝置
KR101305635B1 (ko) 연마재 재생장치
EP0584578B1 (en) A ground dust remo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grinding wheel
KR102005825B1 (ko) 플랫 그라인딩 오토 머신
JP2008023673A (ja) スポンジブラスト装置
US20010000165A1 (en) Methods for in-situ cleaning of abrasive belt/planer surfaces using dry ice and cleaning systems and device related thereto
CN216422038U (zh) 一种机械配件加工用打磨装置
KR101787875B1 (ko) 바렐 연마기의 교체식 라이너를 구비한 바렐
KR102092086B1 (ko) 에어 블라스트 머신
JPH07251377A (ja) サンドブラスト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ブラスト室拡張用カバー
KR20200008249A (ko) 블라스트머신 주행장치
CN218017958U (zh) 一种喷砂机
KR102502426B1 (ko) 재생용 휠 밸런스 웨이트의 친환경 재생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재생방법
CN212371959U (zh) 一种吸尘式砂光机
JPH0717462U (ja) サンドブラスト装置
JPH1034536A (ja) バレル研磨石のクリーニン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