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7255B1 - 연삭유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연삭유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255B1
KR102277255B1 KR1020190056949A KR20190056949A KR102277255B1 KR 102277255 B1 KR102277255 B1 KR 102277255B1 KR 1020190056949 A KR1020190056949 A KR 1020190056949A KR 20190056949 A KR20190056949 A KR 20190056949A KR 102277255 B1 KR102277255 B1 KR 102277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lange
door
cover
inn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2081A (ko
Inventor
송영호
Original Assignee
송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호 filed Critical 송영호
Priority to KR1020190056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255B1/ko
Publication of KR20200132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1/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 B24B31/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rotary barrels
    • B24B31/02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rotary barrels for descaling wires travelling through the rotating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12Devices for exhausting mist of oil or coolant; Devices for collecting or recovering materials resulting from grinding or polishing, e.g. of precious metals, precious stones, diamond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삭유 분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외측조; 외주면이 메쉬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내부로 연삭유가 포함된 슬러지가 유입되고, 상부에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조에 대해 상대회전하는 내측조; 상기 내측조의 상기 플랜지를 따라 구비되는 플랜지 커버; 상기 외측조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측조가 안착되는 서포트 바디;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 상기 내측조가 탈부착되고,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내측조를 회전시키는 구동전달부; 및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폐쇄 시 상기 플랜지 커버를 지지하는 도어;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삭유 분리장치{apparatus for separating machining fluids from sludge}
본 발명은 연삭유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삭기에서 배출되는 슬러지로부터 연삭유를 용이하게 분리하고, 슬러지를 원활하게 제거시킬 수 있는 연삭유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삭기(grinding machine)는 연삭숫돌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공작물이나 공구를 연삭하는 기계로써, 원통 연삭기, 내면 연삭기, 평면 연삭기 등 다양한 종류의 연삭기가 출시되어 있다.
연삭기에서 수행되는 연삭가공(grinding work)은 공작물이 고속회전되는 연삭숫돌과 접촉되어 수행되고, 가공 시 연삭유가 연삭유 노즐에서 분사되어 연삭공정을 보조하는데, 여기서, 연삭유(machining fluids)는 마찰을 줄이고 가공표면의 특성을 향상시키며 마찰열을 제거하여 열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1에는 이러한 연삭공정을 수행하는 연삭기의 한 종류인 평면 연삭기(200)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연삭기(200)는 공작물을 연삭하는 연삭숫돌(210), 연삭숫돌(210)에 연삭유를 분사하는 노즐(220), 노즐(220)에 연삭유를 공급하는 연삭유 공급관(250), 연삭공정 후 연삭유가 혼합된 슬러지가 낙하하는 테이블(230), 테이블(230)로부터 슬러지를 배출하는 슬러지 배출관(2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연삭유는 연삭숫돌에서 이탈된 입자 및 연삭된 공작물에서 분리된 금속분말 등으로 구성된 슬러지에 혼합되어 배출되는데, 이러한 연삭유는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슬러지로부터 연삭유를 분리하여 연삭기로 재공급하는 장치들이 개발되어 있다.
슬러지로부터 연삭유를 분리하는 종래의 연삭유 분리장치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금속재질의 슬러지를 전자석 부재에 흡착하고, 연삭유를 슬러지로부터 흘러내리도록 구성하여 연삭유를 분리시키는 장치로, 슬러지가 전자석 부재에 축적됨에 따라 전자석 부재의 자기력이 약해지는 부분에서 슬러지가 흡착되지 못하고 연삭유와 함께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슬러지를 거르기 위한 별도의 거름망을 설치해야 하기도 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전자석 부재에 축적된 슬러지 및 거름망에 축척된 슬러지를 별도로 제거해야 하는데, 전자석 부재가 연삭유 분리장치로터 분리되지 않으므로 구석까지 슬러지를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슬러지로부터 연삭유의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슬러지를 연삭유 분리장치로부터 원활하게 제거시킬 수 있는 연삭유 분리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연삭기에서 배출되는 슬러지로부터 연삭유를 용이하게 분리하고, 슬러지를 원활하게 제거시킬 수 있는 연삭유 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삭유 분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외측조; 외주면이 메쉬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내부로 연삭유가 포함된 슬러지가 유입되고, 상부에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조에 대해 상대회전하는 내측조; 상기 내측조의 상기 플랜지를 따라 구비되는 플랜지 커버; 상기 외측조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측조가 안착되는 서포트 바디;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 상기 내측조가 탈부착되고,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내측조를 회전시키는 구동전달부; 및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폐쇄 시 상기 플랜지 커버를 지지하는 도어;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케이스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 커버; 상기 도어 커버에 관통되게 구비되고, 상기 슬러지가 유입되는 유입관; 상기 도어 커버의 내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 커버가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할 때 상기 플랜지 커버를 지지하는 플랜지 서포터; 상기 플랜지 서포터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플랜지 커버의 상면에 접촉되는 제1지지베어링; 및 상기 도어 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도어락;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 커버가 안착되는 플랜지 커버 안착부; 상기 플랜지 커버 안착부에 구비되어, 상기 플랜지 커버의 하면에 접촉되는 제2지지베어링; 및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락이 결합되는 도어락 결합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조가 상기 서포트 바디에 안착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하면, 상기 제1지지베어링 및 상기 제2지지베어링은 상기 플랜지 커버의 상면 및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락은, 상기 도어 커버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를 지지하여 상기 버튼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락 결합부의 후크홈에 탈부착되는 후크 링크; 상기 버튼부와 상기 후크 링크를 연결하는 연결 링크; 및 상기 후크 링크의 상기 돌기부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 링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 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삭유 분리장치에 따르면, 내측조(30)에 슬러지(S)가 일정 무게 이상 축적될 경우, 내측조(30)를 서포트 바디(40)에서 간단하게 탈거하여 슬러지(S)를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자기력을 이용한 연삭유 분리장치 대비 슬러지(S)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연삭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삭유 분리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삭유 분리장치(100)의 내부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조(30) 및 서포트 바디(40)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70) 및 케이스(10) 상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조(30)가 수용공간에 탈부착되는 것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750) 및 도어락 결합부(150)의 동작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조작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삭유 분리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삭유 분리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삭유 분리장치(100)의 내부구조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조(30) 및 서포트 바디(40)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70) 및 케이스(10) 상부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삭유 분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외측조(20), 외주면이 메쉬로 형성되고, 수용공간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내부로 연삭유가 포함된 슬러지(S)가 유입되고, 상부에 플랜지(35)가 형성되며, 외측조(20)에 대해 상대회전하는 내측조(30), 내측조(30)의 플랜지(35)를 따라 구비되는 플랜지 커버(37), 외측조(20)의 하부에 구비되어, 내측조(30)가 안착되는 서포트 바디(40), 케이스(10)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50), 내측조(30)가 탈부착되고, 구동부(50)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내측조(30)를 회전시키는 구동전달부(60), 및 케이스(10)의 상부에 구비되고, 수용공간의 폐쇄 시 플랜지 커버(37)를 지지하는 도어(70)를 포함한다.
케이스(10)는 외관을 형성한다. 케이스(10)의 상부에는 도어(70)가 구비될 수 있다. 도어(70)는 케이스(10)에 힌지결합 될 수 있다. 도어(70)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케이스(10)의 일면에는 디스플레이(12)부가 구비된다. 디스플레이(12)부는 연삭유 분리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는 입력신호를 사용자가 입력시킬 수 있는 입력부 및/또는 연삭유 분리장치(100)의 상태가 표시되는 표시부로 기능할 수 있다.
케이스(10)에는 알람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알람부는 소리를 생성하여, 사용자가 연삭유 분리장치(100)의 상태에 대한 인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케이스(10)의 일측에는 회수배관(80)이 구비될 수 있다. 회수배관(80)은 후술하는 것과 같이 슬러지(S)로부터 분리된 연삭유를 회수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이 경우, 회수배관(80)은 연삭유 공급관(25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회수배관(80)에는 회수배관(80)을 개폐하는 개폐밸브(V)가 구비될 수 있다.
외측조(20)는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된다. 외측조(2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수용공간에는 후술하는 내측조(30)가 배치될 수 있다.
외측조(20)는 케이스(10)에 지지될 수 있다. 외측조(20)는 케이스(10)에 고정될 수 있다. 외측조(20)와 케이스(10)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외측 댐퍼(17)가 구비될 수 있다. 외측 댐퍼(17)는 후술하는 구동부(50)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진동이 외측조(20)에서 케이스(1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내측조(30)는 외측조(20)가 형성하는 수용공간에 배치된다. 내측조(30)는 수용공간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내측조(30)는 입구가 상부를 향해 배치되도록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내측조(30)에는 연삭유가 포함된 슬러지(S)가 유입된다. 이 경우, 내측조(30)에는 슬러지(S)를 수용하는 슬러지 수용부(C1)가 공동부(cavity)로 형성될 수 있다. 슬러지(S)는 도어(70)를 통해 내측조(30)로 유입될 수 있다. 도어(70)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내측조(30)의 외주면은 메쉬(mesh)로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것과 같이, 내측조(30)가 회전되면, 슬러지(S)에 포함된 연삭유가 원심력에 의해 슬러지(S)로부터 분리되어 내측조(30)의 외주면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메쉬의 공극 크기는 슬러지(S)는 배출되지 않고 연삭유만 배출되는 미세 공극을 갖는 크기로 실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측조(30)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는 필터부재(미도시)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필터부재는 내측조(30)의 메쉬의 공극 크기를 제어하여, 슬러지(S)가 내측조(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크기로 실시될 수 있다.
내측조(30)는 상부에 플랜지(35)가 형성된다. 플랜지(35)는 외주면에 "ㄱ"자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35)는 내측조(30)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 커버(37)는 내측조(30)의 플랜지(35)를 따라 구비된다. 플랜지 커버(37)는 플랜지(35)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플랜지 커버(37)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상면 및 하면에 함몰된 홈(39)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함몰된 홈(39)은 "U"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 바디(40)는 외측조(20)의 하부에 구비된다. 서포트 바디(40)는 외측조(20)의 하부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서포트 바디(40)의 하부에는 서포트 바디(40)와 외측조(20)의 틈새가 밀봉되도록 실링부(47)가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 바디(40)에는 내측조(30)가 안착된다. 내측조(30)는 서포트 바디(4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서포트 바디(40)에는 내측조(30)에 접촉되는 제3구동베어링(43)이 구비될 수 있다. 제3구동베어링(43)은 내측조(30)의 회전 시 내측조(30)가 서포트 바디(40)에 상대회전되도록 한다.
케이스(10)에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50)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51), 구동모터(51)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풀리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바디(40)에는 구동전달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전달부(60)는 구동부(50)에 연결된다. 이 경우, 구동전달부(60)는 풀리부(53)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전달부(60)는 구동부(5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이때, 구동전달부(60)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구동전달부(60)에는 내측조(30)가 탈부착 될 수 있다. 즉, 내측조(30)가 구동전달부(60)에 결합 또는 탈거되어, 구동부(50)에 연결되거나 구동부(5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전달부(60)는 구동부(50)에 연결되는 구동샤프트(61) 및 구동샤프트(61)의 일단에 구비되고 내측조(30)가 탈부착되는 구동판(63)을 포함한다.
구동샤프트(61)는 구동부(50)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이 경우, 구동샤프트(61)는 풀리부(53)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샤프트(61)의 타단은 케이스(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브라켓(9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지지브라켓(90)과 구동샤프트(61)의 타단의 사이에는 제1구동베어링(91)이 구비될 수 있다. 제1구동베어링(91)은 구동샤프트(61)가 지지브라켓(90)에 상대회전되도록 한다.
구동판(63)은 서포트 바디(40)에 안착된다. 구동판(63)은 구동샤프트(61)의 일단에 구비된다. 구동판(63)은 구동샤프트(61)의 일단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구동샤프트(61)가 회전되면 구동판(63)도 함께 회전된다.
서포트 바디(40)와 구동판(63) 사이에는 제2구동베어링(45)이 구비될 수 있다. 제2구동베어링(45)은 구동판(63)이 서포트 바디(40)에 상대회전되도록 한다.
내측조(30)의 하면에는 구동판(63)에 탈부착되는 브릿지부(31)가 형성될 수 있다. 브릿지부(31)는 내측조(3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브릿지부(31)의 단부에는 결합돌기(33)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구동판(63)의 상면에는 결합홈(65)이 함몰되게 형성되어, 결합돌기(33)가 결합홈(65)에 탈부착 될 수 있다. 결합돌기(33) 및 결합홈(65)은 "+"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브릿지부(31)와 서포트 바디(40) 사이에는 제3구동베어링(43)이 구비될 수 있다. 제3구동베어링(43)은 브릿지부(31)가 서포트 바디(40)에 상대회전되도록 한다.
서포트 바디(40)와 외측조(20) 사이에는 분리공간(C2)이 형성된다. 내측조(30)가 회전되어 슬러지(S)에 포함된 연삭유가 내측조(30)의 외주면을 통해 배출되면, 분리공간(C2)은 연삭유(O)를 수용한다. 이 경우, 분리공간(C2)은 회수배관(80)에 연결될 수 있다.
서포트 바디(40)의 상면에는 로드셀(41)(load cell)이 구비될 수 있다. 로드셀(41)은 내측조(30)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로드셀(41)은 슬러지(S)를 포함하는 내측조(30)의 무게를 감지한다. 로드셀(41)은 내측조(30)의 무게를 감지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도어(70)는 케이스(10)의 상부에 구비된다. 도어(70)는 케이스(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도어(70)는 수용공간을 개폐시킬 수 있다. 도어(70)는 수용공간의 폐쇄 시 내측조(30)의 플랜지 커버(37)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70)는 케이스(10)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 커버(71), 도어 커버(71)에 관통되게 구비되고, 슬러지(S)가 유입되는 유입관(73), 도어 커버(71)의 내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수용공간의 폐쇄 시 플랜지 커버(37)를 지지하는 플랜지 서포터(77), 플랜지 서포터(77)의 단부에 구비되어, 플랜지 커버(37)의 상면에 접촉되는 제1지지베어링(79), 및 도어 커버(71)에 구비되어, 케이스(10)에 결합되는 도어락(750)을 포함한다.
도어 커버(71)는 외관을 형성한다. 도어 커버(71)는 케이스(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도어 커버(71)는 수용공간을 폐쇄 또는 개방한다. 도어 커버(71)의 상면에는 손잡이(H)가 구비될 수 있다.
유입관(73)은 도어 커버(71)에 구비된다. 유입관(73)은 도어 커버(71)에 관통되게 구비될 수 있다. 유입관(73)의 일단은 내측조(30)를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유입관(73)의 타단은 연삭기(200)의 슬러지 배출관(24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연삭기(200)에서 배출되는 슬러지(S)가 유입관(73)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삭기(200)에서 배출되는 연삭유가 포함된 슬러지(S)가 유입관(73)을 통해 내측조(30)로 유입될 수 있다.
플랜지 서포터(77)는 도어 커버(71)의 내측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플랜지 서포터(77)는 도 3을 기준으로 플랜지 커버(37)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플랜지 서포터(77)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 서포터(77)는 도어 커버(71)가 수용공간을 폐쇄할 때, 플랜지 커버(37)를 지지한다. 도 3과 같이, 내측조(30)가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서포트 바디(40)에 안착된 후 도어 커버(71)가 수용공간을 폐쇄하면, 플랜지 서포터(77)가 플랜지 커버(37)를 지지한다.
후술하는 것과 같이, 내측조(30)는 서포트 바디(40)에 탈부착되는 구조를 갖으므로, 내측조(30)가 회전되면 원심력에 의해 서포트 바디(40)에서 내측조(30)가 이탈될 수도 있는데, 플랜지 서포터(77)가 후술하는 플랜지 커버 안착부(11)와 함께 내측조(30)의 플랜지 커버(37)를 지지하여, 내측조(30)가 서포트 바디(40)에서 이탈되지 않게 한다.
제1지지베어링(79)은 플랜지 서포터(77)의 단부에 구비된다. 제1지지베어링(79)은 플랜지 서포터(77)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도어 커버(71)가 수용공간을 폐쇄하면, 제1지지베어링(79)은 플랜지 커버(37)의 상면에 접촉되어, 플랜지 커버(37)의 상면을 지지할 수 있다.
즉, 내측조(30)의 회전 시 플랜지 커버(37)가 플랜지 서포터(77)에 지지된 상태로 상대회전될 수 있도록, 제1지지베어링(79)은 플랜지 커버(37)가 슬라이딩되도록 지지한다. 이 경우, 플랜지 커버(37)의 상면에는 제1지지베어링(79) 홈이 "U"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락(750)은 도어 커버(71)에 구비된다. 도어락(750)은 후술하는 도어락 결합부(150)에 결합될 수 있다. 도어락(750)이 도어락 결합부(150)에 결합되면, 내측조(30)의 회전 시 내측조(30)의 진동에 의해 도어(70)가 강제로 개방되는 것이 방지되며, 플랜지 서포터(77)가 플랜지 커버(37)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플랜지 커버(37)는 케이스(10)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0)는, 케이스(10)의 상부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플랜지 커버(37)가 안착되는 플랜지 커버 안착부(11), 플랜지 커버 안착부(11)에 구비되어, 플랜지 커버(37)의 하면에 접촉되는 제2지지베어링(13), 및 케이스(10)의 상부에 형성되어, 도어락(750)이 결합되는 도어락 결합부(150)를 포함한다.
플랜지 커버 안착부(11)는 케이스(10)의 상부에 형성된다. 플랜지 커버 안착부(11)는 케이스(10)의 입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 커버 안착부(11)는 플랜지 커버(37)가 안착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어 플랜지 커버(37)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베어링(13)은 플랜지 커버 안착부(11)에 구비될 수 있다. 제2지지베어링(13)은 플랜지 커버 안착부(11)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내측조(30)가 수용공간에 배치되면, 제2지지베어링(13)은 플랜지 커버(37)의 하면에 접촉되어 플랜지 커버(37)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즉, 내측조(30)의 회전 시 플랜지 커버(37)가 플랜지 커버 안착부(11)에 안착된 상태로 상대회전될 수 있도록, 제2지지베어링(13)은 플랜지 커버(37)가 슬라이딩되도록 지지한다. 이 경우, 플랜지 커버(37)의 하면에는 제2지지베어링(13) 홈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 커버 안착부(11)와 외측조(20)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내측 댐퍼(21)가 구비될 수 있다. 내측 댐퍼(21)는 내측조(30)의 회전 시 내측조(30)를 통해 외측조(20)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도어락 결합부(150)는 케이스(10)의 상부에 형성된다. 도어락 결합부(150)는 케이스(10)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어락 결합부(150)에는 도어락(750)이 결합된다. 도어락(750)의 결합구조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이하,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삭유 분리장치(1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조(30)가 수용공간에 탈부착되는 것이 도시된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내측조(30)가 수용공간에 배치된다. 이 경우, 내측조(30)가 서포트 바디(40)에 안착된다. 이때, 상술한 것과 같이 브릿지부(31)는 구동판(63)에 결합된다.
이후, 내측조(30)의 슬러지 수용부(C1)에 슬러지(S)가 유입된다. 슬러지(S)는 도어(70)를 통해 내측조(3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도어(70)는 수용공간을 폐쇄하고, 도어락(750)은 도어락 결합부(15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내측조(30)가 서포트 바디(40)에 안착되고 도어(70)가 수용공간을 폐쇄하면, 제1지지베어링(79) 및 제2지지베어링(13)은 플랜지 커버(37)의 상면 및 하면을 지지한다. 즉, 도어(70)가 완전히 닫혀 도어락(750)이 도어락 결합부(150)에 결합되면, 플랜지 서포터(77) 및 플랜지 커버 안착부(11)가 플랜지 커버(37)를 가압하며, 제1지지베어링(79) 및 제2지지베어링(13)은 플랜지 커버(37)의 상면 및 하면을 지지한다.
이후, 구동부(50)가 작동되면, 내측조(30)는 외측조(20)에 대해 상대회전한다. 즉, 구동모터(51)가 작동하여 풀리부(53)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하면, 구동전달부(60)가 회전된다. 이때, 구동판(63)에 결합된 브릿지부(31)가 회전되어 내측조(30)가 회전된다. 이 경우, 외측조(20)는 케이스(10)에 고정되고 내측조(30)는 회전되므로, 내측조(30)는 외측조(20)에 대해 상대회전 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것과 같이, 내측조(30)가 회전 시 제1지지베어링(79) 및 제2지지베어링(13)에 의해 플랜지 커버(37)가 지지된 상태로 상대 회전되어, 원심력에 의해 서포트 바디(40)에서 내측조(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내측조(30)가 회전되면, 슬러지(S)가 원심력에 의해 내측조(30)의 외주면방향으로 축적된다. 슬러지(S)에 함유된 연삭유는 외주면의 메쉬를 통해 이탈되고, 슬러지(S)만 내측조(30)의 슬러지 수용부(C1)에 잔존한다.
메쉬를 통해 이탈된 연삭유는 분리공간(C2)으로 낙하한다. 분리공간(C2)에 축적된 연삭유(O)는 회수배관(80)을 통해 연삭유 분리장치(100)에서 배출된다. 회수배관(80)이 연삭유 공급관(250)에 연결된 경우, 회수배관(80)을 통해 배출된 연삭유는 연삭유 공급관(250)에 공급되어 다시 연삭기(200)의 노즐(220)로 공급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은 연삭기(200)의 구동 중에 연속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삭기(200)를 구동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삭유 분리장치(100)를 구동하게 되면, 연삭유를 지속적으로 회수하여 연삭기(200)에 공급하므로, 연삭유의 재사용이 가능하면서도 연삭유 분리장치(100)의 정지 없이 전체 연삭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연삭공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삭유 분리장치(100)가 장시간 작동하여 슬러지(S)가 내측조(30)에 다량 축적될 수 있다.
여기서, 로드셀(41)은 내측조(30)의 무게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송한다. 이 경우, 로드셀(41)은 축적된 슬러지(S)의 무게가 포함된 내측조(30)의 무게를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는 로드셀(41)에서 감지된 내측조(30)의 무게가 일정 무게 이상일 경우, 구동부(50)의 구동을 중지하거나 중지 신호를 사용자에게 표시 또는 알람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디스플레이(12)부 또는 알람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슬러지(S)가 일정 무게 이상 축적된 것을 표시 또는 알람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도어락(750)을 개방하여, 내측조(30)를 서포트 바디(40)에서 탈거시켜 구동전달부(6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내측조(30)에 축전된 슬러지(S)는 연삭유가 분리된 슬러지(S)로써 사용자는 슬러지(S)를 폐기시킨 후 내측조(30)를 다시 서포트 바디(40)에 안착시켜 내측조(30)가 구동전달부(60)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내측조(30)에 슬러지(S)가 일정 무게 이상 축적될 경우, 내측조(30)를 서포트 바디(40)에서 탈거하여 슬러지(S)를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자기력을 이용한 연삭유 분리장치 대비 슬러지(S)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750) 및 도어락 결합부(150)의 동작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750)은 도어 커버(71)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버튼부(751), 버튼부(751)를 지지하여 버튼부(75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752), 돌기부(756)가 형성되고, 도어락 결합부(150)의 후크홈(151)에 탈부착되는 후크 링크(754), 버튼부(751)와 후크 링크(754)를 연결하는 연결 링크(753), 및 후크 링크(754)의 돌기부(756)에 구비되어 후크 링크(754)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757)을 포함한다.
먼저, 도어락 결합부(150)에는 후크홈(151)이 함몰되어 형성된다. 후크홈(151)에는 후크 링크(754)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도어락 결합부(150)에는 후크 링크(754)가 접촉 또는 분리되는 단차부(153)가 형성된다.
버튼부(751)는 도어 커버(71)에 돌출되게 구비된다. 이 경우, 도어 커버(71)에는 버튼부(751)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버튼부(751)는 도어 커버(71)에 대해 상하로 회동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스프링(752)은 버튼부(751)를 지지한다. 제1스프링(752)은 버튼부(751)가 도어 커버(71)로 돌출되도록 버튼부(751)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제1스프링(752)은 버튼부(751)의 하부에 구비되고, 도어 커버(71)에 삽입되게 구비될 수 있다.
후크 링크(754)는 도어락 결합부(150)의 후크홈(151)에 삽입된다. 후크 링크(754)는 단차부(153)에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다.
후크 링크(754)는 회동축(755)에 의해 중앙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회동축(755)을 중심으로 후크 링크(754)가 회동되어, 후크 링크(754)가 단차부(153)에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연결 링크(753)는 버튼부(751)와 후크 링크(754)를 연결한다. 연결 링크(753)의 일단은 버튼부(75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연결 링크(753)의 타단은 후크 링크(754)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버튼부(751)가 눌러지면, 도 7의 (a)에서 도 7의 (b)와 같이 연결 링크(753)가 회동된다. 이 경우, 연결 링크(753)는 후크 링크(754)를 회동시킨다. 후크 링크(754)가 회전되면 회동축(755)을 중심으로 후크 링크(754)가 회동되어, 단차부(153)에 후크 링크(754)가 분리된다. 이에 따라, 도어락(750)이 도어락 결합부(150)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도니다.
후크 링크(754)에는 돌기부(756)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756)에는 제2스프링(757)이 구비된다. 도 7의 (b)와 같이 후크 링크(754)가 단차부(153)로부터 분리되면, 제2스프링(757)은 후크 링크(754)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후크 링크(754)가 도 7의 (a)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한다.
도어락(750)이 도어락 결합부(150)에 견고하게 결합됨에 따라, 내측조(30)의 회전 시 플랜지 커버(37)가 제1지지베어링(79) 및 제2지지베어링(13)에 견고하게 지지되면서 슬라이딩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케이스 20 : 외측조
30 : 내측조 40 : 서포트 바디

Claims (5)

  1.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외측조; 외주면이 메쉬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내부로 연삭유가 포함된 슬러지가 유입되고, 상부에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조에 대해 상대회전하는 내측조; 상기 내측조의 상기 플랜지를 따라 구비되는 플랜지 커버; 상기 외측조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측조가 안착되는 서포트 바디;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 상기 내측조가 탈부착되고,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내측조를 회전시키는 구동전달부; 및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폐쇄 시 상기 플랜지 커버를 지지하는 도어; 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케이스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 커버; 상기 도어 커버의 내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 커버가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할 때 상기 플랜지 커버를 지지하는 플랜지 서포터; 및 상기 플랜지 서포터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플랜지 커버의 상면에 접촉되는 제1지지베어링; 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 커버가 안착되는 플랜지 커버 안착부; 및 상기 플랜지 커버 안착부에 구비되어, 상기 플랜지 커버의 하면에 접촉되는 제2지지베어링; 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조가 상기 서포트 바디에 안착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하면, 상기 제1지지베어링 및 상기 제2지지베어링은 상기 플랜지 커버가 슬라이딩되도록 지지하는 연삭유 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 커버에 관통되게 구비되고, 상기 슬러지가 유입되는 유입관; 및
    상기 도어 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도어락;
    을 포함하는 연삭유 분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락이 결합되는 도어락 결합부를 포함하는 연삭유 분리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90056949A 2019-05-15 2019-05-15 연삭유 분리장치 KR102277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949A KR102277255B1 (ko) 2019-05-15 2019-05-15 연삭유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949A KR102277255B1 (ko) 2019-05-15 2019-05-15 연삭유 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081A KR20200132081A (ko) 2020-11-25
KR102277255B1 true KR102277255B1 (ko) 2021-07-13

Family

ID=73645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949A KR102277255B1 (ko) 2019-05-15 2019-05-15 연삭유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2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156B1 (ko) * 2010-10-11 2011-04-05 이동석 절삭칩,오일 원심 분리기
KR101626351B1 (ko) 2015-12-24 2016-06-01 김기후 사출고무제품의 버 제거장치
WO2017116056A1 (ko) * 2015-12-31 2017-07-06 김점두리 대용량 착즙기
JP6424829B2 (ja) * 2013-10-30 2018-11-21 新東工業株式会社 遠心バレル機用のバレル槽、その製造方法、及び遠心バレル研磨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156B1 (ko) * 2010-10-11 2011-04-05 이동석 절삭칩,오일 원심 분리기
JP6424829B2 (ja) * 2013-10-30 2018-11-21 新東工業株式会社 遠心バレル機用のバレル槽、その製造方法、及び遠心バレル研磨機
KR101626351B1 (ko) 2015-12-24 2016-06-01 김기후 사출고무제품의 버 제거장치
WO2017116056A1 (ko) * 2015-12-31 2017-07-06 김점두리 대용량 착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081A (ko) 202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2991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bration polishing vehicle wheel
KR101718442B1 (ko) 블라스트 가공장치
US20210205944A1 (en) Rotating apparatus
CN106737446A (zh) 手持式工具及其夹紧装置
JP2002254174A (ja) 電極チップ整形装置
US20130183890A1 (en) Processing apparatus
CN101152705A (zh) 磨床的冷却液供给装置
CN201231445Y (zh) 封闭式螺旋振动研磨机
CN110497302B (zh) 一种滚动去毛刺设备及其去毛刺方法
KR102277255B1 (ko) 연삭유 분리장치
CN108697953A (zh) 具有带握把的排出销的液体滤清器组件
KR101433210B1 (ko) 가공기기용 스크랩 배출장치
TW201511890A (zh) 拋丸裝置
CN110369759A (zh) 用于笔记本电脑模具的开孔结构
CN211302330U (zh) 一种磨床用磨削油过滤装置
CN209076809U (zh) 摆振式球磨机
CN203863474U (zh) 一种砂带抛光机的外罩
KR20170102620A (ko) 바렐 연마기의 교체식 라이너를 구비한 바렐
JP5904403B2 (ja) 流動式バレル研磨装置
CN210476499U (zh) 一种抛光机
JP6776466B1 (ja) フィルタ装置
CN108940447A (zh) 一种化工物料用高效破碎筛选装置
KR200495429Y1 (ko) 연마장치용 배럴
JPS5882671A (ja) 自動的に仕上げ媒体が復帰する縦型自己分離性遠心仕上げ装置
US8814481B2 (en) Oil supply device for hole cut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