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672B1 - 축전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축전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672B1
KR101625672B1 KR1020090007959A KR20090007959A KR101625672B1 KR 101625672 B1 KR101625672 B1 KR 101625672B1 KR 1020090007959 A KR1020090007959 A KR 1020090007959A KR 20090007959 A KR20090007959 A KR 20090007959A KR 101625672 B1 KR101625672 B1 KR 101625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hium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positive electrode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6153A (ko
Inventor
구니오 나카자토
미츠루 나가이
노부오 안도
Original Assignee
후지 주코교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주코교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후지 주코교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6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6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04Hybrid capacitors
    • H01G11/06Hybrid capacitors with one of the electrodes allowing ions to be reversibly doped thereinto, e.g. lithium ion capacitors [L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10Multiple hybrid or EDL capacitors, e.g. arrays or modules
    • H01G11/12Stacked hybrid or EDL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26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e.g. multi-layered, porosity or surface features
    • H01G11/28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e.g. multi-layered, porosity or surface features arranged or disposed on a current collector; Layers or phases between electrodes and current collectors, e.g. adhes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66Current collectors
    • H01G11/70Current collector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66Current collectors
    • H01G11/72Current collectors specially adapted for integration in multiple or stacked hybrid or EDL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4Terminals, e.g. extensions of current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84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hybrid or EDL capacitors, or components thereof
    • H01G11/86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hybrid or EDL capacitors, or components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01M4/72Grids
    • H01M4/74Meshes or woven material; Expanded metal
    • H01M4/742Meshes or woven material; Expanded metal perforated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온 공급원을 구비하는 축전 디바이스의 제조 작업의 간소화를 달성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축전 디바이스는, 양극(14)과 음극(15)을 적층한 전극 적층 유닛(12)을 구비하고, 전극 적층 유닛(12)의 최외부에는 리튬극(16)이 설치된다. 양극(14)은 양극 집전체(20)와 양극 합재층(21)을 구비하고, 음극(15)은 음극 집전체(22)와 음극 합재층(23)을 구비한다. 리튬극(16)은 음극 집전체(22)에 용접되는 리튬극 집전체(26)와, 리튬극 집전체(26)와 음극(15)과의 사이에 끼워지는 리튬 유닛(27)을 구비한다. 리튬 유닛(27)은 리튬극 집전체(26)에 접촉하는 리튬 유지판(27a)과, 이것에 설치되는 리튬 이온 공급원(27b)에 의해 구성된다. 리튬극 집전체(26)에 리튬 이온 공급원(27b)을 설치하지 않고, 리튬극 집전체(26)를 단체(單體)로 적층하여 용접했기 때문에, 리튬 이온 공급원(27b)의 손상을 회피하여 제조 작업의 간소화가 도모된다.

Description

축전 디바이스{ELECTRICAL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이온 공급원을 포함한 축전 디바이스에 적용하기에 유효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에 탑재되는 축전 디바이스로서, 리튬 이온 커패시터나 리튬 이온 2차 전지 등이 있다. 또한, 이들 축전 디바이스의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축전 디바이스 내에 이온 공급원으로서의 금속 리튬박을 포함하고, 음극과 금속 리튬박을 전기 화학적으로 접촉시키도록 한 축전 디바이스가 제안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금속 리튬박으로부터 음극에 대해 리튬 이온을 도핑할 수 있다. 따라서, 음극 전위를 저하시켜, 셀 전압을 인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축전 디바이스의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축전 디바이스 내에 금속 리튬박을 포함했을 때에는, 금속 리튬박을 소정 형상으로 절단한 후에, 이것을 리튬극 집전체에 대해 접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유연하고 얇은 금속 리튬박을 단체(單體)로 절단하는 것은 매우 곤란했다. 그래서, 금속 리튬박의 절단 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하기 위해, 롤(roll)로부 터 풀려나오는 리튬극 집전체와 금속 리튬박을 일체로 압착한 후에, 리튬극 집전체와 금속 리튬박을 함께 절단하도록 한 제조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86919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73615호 공보
그러나, 축전 디바이스 내에 금속 리튬박을 포함하기 위해서는, 절단한 금속 리튬박을 리튬극 집전체에 접착하는 작업뿐만 아니라, 또한, 금속 리튬박이 접착된 리튬극 집전체를, 음극 집전체에 대해 용접하는 작업도 필요하다. 이 용접 작업에서는 얇고 유연한 금속 리튬박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것은, 축전 디바이스의 비용을 높게 하는 요인이 된다. 또한, 금속 리튬박은 수분과 반응하기 쉽다. 따라서, 리튬극 집전체를 음극 집전체에 대해 용접하는 작업에서는, 드라이룸이나 아르곤 박스 내에서의 작업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용접 작업이 번잡해진다. 이것도 축전 디바이스의 비용을 높게 하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온 공급원을 구비하는 축전 디바이스의 제조 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함으로써, 축전 디바이스의 저비용화를 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축전 디바이스는, 양극 집전체와 이것에 설치되는 양극 합재층을 구비하는 양극과, 음극 집전체와 이것에 설치되는 음극 합재층을 구비하는 음극을 포함하는 축전 디바이스로서, 상기 양극 집전체 또는 상기 음극 집전체에 접속되는 제1 도전체와, 상기 제1 도전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온 공급원을 유지하는 제2 도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양극 집전체 또는 상기 음극 집전체에 상기 제1 도전체를 먼저 접속시키고, 이어서 상기 제1 도전체를 통해 상기 제2 도전체를 접속시키며, 상기 이온 공급원으로부터의 이온을 상기 양극 합재층 또는 상기 음극 합재층에 도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축전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체는 상기 제1 도전체와 이것에 대향하는 상기 양극 또는 상기 음극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축전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양극 집전체와 상기 음극 집전체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축전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이온 공급원은 금속 리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축전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체와 상기 제2 도전체는 동질의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축전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체와 상기 제2 도전체는 이온이 도핑되는 상기 양극 또는 상기 음극의 상기 집전체와 동질의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축전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체는 표면에 요철을 갖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축전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체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축전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을 단락시켰을 때의 양극 전위는 2.0 V(Li/Li+ 쌍)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축전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음극 합재층에 포함되는 음극 활물질은 상기 양극 합재층에 포함되는 양극 활물질에 비해 단위 중량당 정전 용량이 3배 이상이며, 양극 활물질 중량이 음극 활물질 중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양극 집전체 또는 음극 집전체에 접속되는 제1 도전체와, 제1 도전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이온 공급원을 유지하는 제2 도전체를 설치하여, 상기 제1 도전체를 통해 상기 제2 도전체를 접속시키고, 상기 이온 공급원으로부터의 이온을 상기 양극 합재층 또는 상기 음극 합재층에 도핑시키도록 했다. 이에 따라, 리튬극 집전체의 용접 작업과, 리튬 공급원의 배치 작업을 분리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축전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이온 공급원의 취급이 용이해지고, 축전 디바이스의 제조 비용을 인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축전 디바이스(1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축전 디바이스(10)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전 디바이스(10)의 외장 용기인 라미네이트 필름(11) 내에는 전극 적층 유닛(12)이 수용되어 있다. 이 전극 적층 유닛(12)은 세퍼레이터(13)를 사이에 두고 교대로 적층되는 양극(14)과 음극(1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극 적층 유닛(12)의 최외부에는 리튬극(16)이 세퍼레이터(13)를 사이에 두고 음극(15)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전극 적층 유닛(12)과 리튬극(16)에 의해 3극 적층 유닛(17)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라미네이트 필름(11) 내에는, 리튬염을 포함하는 비프로톤성 유기 용매로 이루어지는 전해액이 주입되어 있다.
도 3은 축전 디바이스(10)의 내부 구조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극(14)은 다수의 관통홀(20a)이 형성되는 양극 집전체(20)와, 이 양극 집전체(20)에 도공되는 양극 합재층(2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음극(15)은 다수의 관통홀(22a)이 형성되는 음극 집전체(22)와, 이 음극 집전체(22)에 도공되는 음극 합재층(23)을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양극 집전체(20)는 서로 접속되어 양극 단자(24)에 접속된다. 양극 단자(24)는 라미네이트 필름(11)으로부터 외부에 돌출된다. 복수의 음극 집전체(22)는 서로 접속되어 음극 단자(25)에 접속된다. 음극 단자(25)는 라미네이트 필름(11)으로부터 외부에 돌출된다. 또한, 전극 적층 유닛(12)의 최외부에 배치되는 리튬극(16)은 음극 집전체(22)에 대해 접속되는 제1 도전체로서의 리튬극 집전체(26)와, 이것에 접촉하는 리튬 유닛(27)을 구비하고 있다. 이 리튬 유닛(27)은 리튬극 집전체(26)에 접촉하는 제2 도전체로서의 리튬 유지판(27a)과, 이것에 접착되는 리튬 이온 공급원(이온 공급원)(27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리튬 이온 공급원(27b)에는, 금속 리튬을 얇게 연장시킨 금속 리튬박이 이용되고 있다.
양극(14)의 양극 합재층(21)에는, 리튬 이온이나 음이온을 가역적으로 도핑·탈도핑할 수 있는 양극 활물질로서, 활성탄이 포함되어 있다. 음극(15)의 음극 합재층(23)에는,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도핑·탈도핑할 수 있는 음극 활물질로서, 폴리아센계 유기 반도체(PAS)가 포함되어 있다. 음극(15)에는, 리튬극(16)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전해액의 주입에 따라 리튬극(16)으로부터 음극(15)에 대해 리튬 이온이 도핑되도록 되어 있다. 이 도핑에 의해, 음극 전위를 저하시키고 셀 전압을 확대할 수 있으므로, 축전 디바이스(10)의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양극 집전체(20)나 음극 집전체(22)에는 다수의 관통홀(20a, 22a)이 형성된다. 이 관통홀(20a, 22a)을 통해, 리튬 이온을 적층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적층되는 모든 음극(15)에 대해 원활하게 리튬 이온을 도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도핑(도프)이란, 흡장, 담지, 흡착, 삽입 등을 의미하고, 양극 활물질이나 음극 활물질에 대해 리튬 이온 등이 들어가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탈도핑(탈도핑)이란, 방출, 이탈 등을 의미하고, 양극 활물질이나 음극 활물질로부터 리튬 이온 등이 나오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축전 디바이스(10)의 고용량화를 도모하는 관점에서, 양극(14)과 음극(15)을 단락시킨 후의 양극 전위가 2.0 V(Li/Li+ 쌍) 이하가 되도록, 음극(15)에 대한 리튬 이온의 도핑량이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리튬 이온의 도핑량을 설정함으로써, 양극 전위가 3 V 이하가 되는 영역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축전 디바이스(10)의 고용량화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종래의 전기 2중층 커패시터에서는, 방전 시에 양극 전위가 3 V까지 저하했을 때에는 음극 전위도 3 V까지 상승하기 때문에, 양극 전위가 3 V까지 저하한 시점에서 방전이 종료되게 된다. 그러나, 음극(15)에 대해 리튬 이온을 도핑함으로써, 양극 전위가 2 V 이하가 되는 영 역까지 방전을 계속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양극 전위가 3 V보다 높은 영역에서는, 양극(14)에 대한 음이온의 도핑·탈도핑에 의해 전위가 변화하게 된다. 또한, 양극 전위가 3 V 이하인 영역에서는, 양극(14)에 대한 리튬 이온의 도핑·탈도핑에 의해 전위가 변화하게 된다.
또한, 축전 디바이스(10)의 고용량화를 도모하는 관점에서, 음극 활물질의 단위 중량당 정전 용량이 양극 활물질의 단위 중량당 정전 용량의 3배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양극 활물질 중량이 음극 활물질 중량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즉, 음극 활물질의 단위 중량당 정전 용량을 양극 활물질에 비해 크게 설정함으로써, 충방전 시의 음극(15)의 전위 변화량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양극(14)의 전위 변화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음극 활물질의 단위 중량당 정전 용량이 크기 때문에, 양극 활물질 중량을 증가시키면서 음극 활물질 중량을 저감할 수 있다. 즉, 축전 디바이스(10)의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축전 디바이스(10)의 정전 용량 및 셀 용량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계속해서, 리튬극(16)을 포함한 축전 디바이스(10)의 제조 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축전 디바이스(10)의 제조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계 S100에서는, 양극 집전체(20)에 대해 활성탄 등을 포함하는 양극용 슬러리를 도공한다. 이에 따라, 양극 집전체(20)의 표면 상에, 양극 합재층(21)을 형성한 양극(14)이 준비된다. 마찬가지로, 단계 S110에서는, 음극 집전체(22)에 대해 PAS 등을 포함하는 음극용 슬러리를 도공한다. 이에 따라, 음극 집전체(22)의 표면 상에 음극 합재층(23)을 형성한 음극(15)이 준비된다. 또 한, 단계 S120에서는, 구리박 재료를 소정 형상으로 절출한다. 이에 따라, 리튬극(16)을 구성하는 리튬극 집전체(26)가 준비된다. 여기서, 도 5는 리튬극 집전체(26)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절단 장치를 이용하여 구리박 재료(A)로부터 리튬극 집전체(26)가 절출된다. 리튬극 집전체(26)는 직사각형의 접촉부(26a) 및 이 접촉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용접부(26b)를 구비하는 볼록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용접부(26b)의 폭 치수는 음극 단자(25)의 폭 치수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양극 집전체(20)나 음극 집전체(22)에 대해서도, 리튬극 집전체(26)와 동일한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 S130에서는, 전극 적층 처리가 실행된다. 여기서는, 양극 집전체(20)의 용접부(20b)와, 음극 집전체(22)의 용접부(22b)가 각각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세퍼레이터(13)를 사이에 두고 양극(14)과 음극(15)을 적층시킨다. 또한, 이 전극 적층 처리에 있어서는, 최외부에 배치되는 음극(15)에 대향하도록, 세퍼레이터(13)를 사이에 두고 리튬극 집전체(26)가 적층된다. 계속해서, 단계 S140에서는, 복수매의 양극 집전체(20)를 서로 접속하도록, 양극 집전체(20)의 용접부(20b)에 대해 저항 용접 처리가 실시된다. 복수매의 음극 집전체(22)와 리튬극 집전체(26)를 서로 접속하도록, 음극 집전체(22)의 용접부(22b)와, 리튬극 집전체(26)의 용접부(26b)에 대해 저항 용접 처리가 실시된다.
또한, 단계 S150에서는, 구리박 재료(A)와 금속 리튬박 재료(B)를 겹쳐 절단한다. 이에 따라, 리튬 유지판(27a)과, 이것에 접착되는 리튬 이온 공급원(27b)을 구비한 리튬 유닛(27)이 준비된다. 여기서, 도 6은 리튬 유닛(27)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튬 유지판(27a)을 형성하기 위한 구리박 재료(A) 상에, 리튬 이온 공급원(27b)을 형성하기 위한 금속 리튬박 재료(B)를 겹쳐 롤 프레스 등으로 압착한다. 압착된 구리박 재료(A)와 금속 리튬박 재료(B)를 함께 직사각형으로 절단한다. 이에 따라, 리튬 유닛(27)이 제작된다. 이와 같이, 구리박 재료(A)와 금속 리튬박 재료(B)를 겹친 후에 절단함으로써, 구리박 재료(A)와 금속 리튬박 재료(B)를 동시에 절단할 수 있고, 아울러 유연한 금속 리튬박 재료(B)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리튬 유닛(27)의 가공 비용을 인하하는 것이 가능하다.
계속해서, 단계 S160에서는, 전극 적층 유닛(12)에 대해 리튬 유닛(27)이 삽입된다. 여기서, 도 7∼도 8은 전극 적층 유닛(12)에 리튬 유닛(27)을 삽입할 때의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4에 나타내는 단계 S140, S160의 순서를 도시하는 것이다. 우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 적층 유닛(12)의 최외부에 위치하는 음극(15)에 대향하도록 리튬극 집전체(26)를 배치한다. 다음으로, 겹쳐지는 음극 집전체(22)의 용접부와 리튬극 집전체(26)의 용접부에 대해,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하여 저항 용접이 실시된다. 계속해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극 집전체(22)에 일단이 용접된 리튬극 집전체(26)를 위로 젖히고, 리튬극 집전체(26)와 리튬 유지판(27a)을 대향시키도록 리튬 유닛(27)을 음극(15)과 리튬극 집전체(26) 사이에 삽입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젖혀진 리튬극 집전체(26)를 리튬 유지판(27a)에 접촉하도록 되돌린다. 이에 따라, 리튬 유닛(27)이 리튬극 집전체(26)와 음극(15)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리튬 유 닛(27)을 끼워 넣음으로써, 리튬 유지판(27a) 및 리튬극 집전체(26)를 통해, 리튬 이온 공급원(27b)과 음극(15)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전해액을 주입하여 리튬 이온 공급원(27b)으로부터 음극(15)에 대해 리튬 이온이 도핑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음극 집전체(22)에 대해 저항 용접되는 리튬극 집전체(26)와, 리튬 이온 공급원(27b)을 유지하는 리튬 유지판(27a)을 별개로 설치했다. 이 때문에, 축전 디바이스(10)에 포함되는 리튬 이온 공급원(27b)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축전 디바이스(10)의 제조 비용을 인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종래의 축전 디바이스에 있어서는, 리튬극 집전체에 리튬 이온 공급원을 접착한 후에, 이 리튬극 집전체를 전극 적층 유닛에 겹쳐서 저항 용접하는 구성이다. 이 때문에, 리튬 이온 공급원의 손상에 주의하면서 리튬극 집전체를 취급해야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축전 디바이스(10)에 있어서는, 리튬극 집전체(26)에 대해 리튬 이온 공급원(27b)를 접착하지 않는다. 따라서, 리튬 이온 공급원(27b)의 손상을 고려하지 않고, 리튬극 집전체(26)를 간단히 취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수분과 반응할 우려가 있는 리튬 이온 공급원(27b)을 나중에 끼워 넣는 구성이다. 이 때문에, 도 4에 일점 쇄선으로 표시하는 리튬극 집전체(26)의 적층 공정이나 용접 공정 등을 통상 분위기 하에서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라이룸이나 아르곤박스에서의 작업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한층 더 제조 비용을 인하할 수 있다. 또한, 제조 과정에서 리튬 이온 공급원(27b)의 손상이나 열화를 초래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축전 디바이스(10)의 품질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리튬극 집전체와 리튬 유지판을 별개로 설치하도록 하 고 있다. 이 때문에, 리튬극 집전체와 리튬 유지판의 형상을 직사각형 등의 간단한 형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인 축전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리튬 유닛(3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부재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튬극 집전체(31)는 음극 집전체(22)에 대해 접속 가능한 형상인 것이 좋다. 또한, 리튬 유지판(27a)은 리튬 이온 공급원(27b)을 유지할 수 있는 형상인 것이 좋다. 그 때문에, 각각을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절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복잡한 절단 장치가 불필요하다. 아울러, 재료로부터 효율적으로 리튬극 집전체(31)나 리튬 유지판(27a)을 절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리튬극 집전체(31)나 리튬 유지판(27a)의 제조 비용을 인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리튬 유지판(27a)은 리튬극 집전체(26)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리튬극 집전체(26)와 리튬 유지판(27a)은 서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접촉된 상태이다. 그러나, 3극 적층 유닛(17)은 라미네이트 필름(11) 내에 진공 상태로 봉입되기 때문에, 리튬극 집전체(26)와 리튬 유지판(27a)이 대기압에 의해 서로 가압되어, 리튬극 집전체(26)와 리튬 유지판(27a)과의 통전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리튬극 집전체(26)와 리튬 유지판(27a)은 용접 등을 행하지 않고, 단순히 접촉된 구성이기 때문에, 제조 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전술한 축전 디바이스의 구성 요소에 대해 하기의 순서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A] 양극, [B] 음극, [C] 음극 집전체 및 양극 집전체, [D] 세퍼레이터, [E] 리튬극, [F] 전해액, [G] 외장 용기.
[A] 양극
양극은 양극 집전체와, 이것에 도공되어 이루어지는 양극 합재층을 갖고 있다. 양극 합재층에는 양극 활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양극 활물질로서는, 이온을 가역적으로 도핑·탈도핑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활성탄, 천이금속 산화물, 도전성 고분자, 폴리아센계 물질 등이다.
예컨대, 활성탄은, 알칼리 부활(賦活) 처리되고, 또한 비(比)표면적 600 ㎡/g 이상을 갖는 활성탄 입자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탄의 원료로서는, 페놀수지, 석유 피치, 석유 코크스, 야자껍질, 석탄계 코크스 등이 사용된다. 페놀수지, 석탄계 코크스가 비표면적을 높게 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 적합하다. 이들 활성탄의 알칼리 부활 처리에 사용되는 알칼리 활성화제는, 리튬, 나트륨, 칼륨 등의 금속 이온의 염류 또는 수산화물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수산화칼륨이 적합하다. 알칼리 부활 방법은, 예컨대 탄화물과 활성제를 혼합한 후, 불활성 가스 기류 속에서 가열함으로써 행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활성탄의 원재료에 미리 활성화제를 담지시킨 후 가열하여, 탄화 및 부활 공정을 행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탄화물을 수증기 등의 가스 부활법으로 부활한 후, 알칼리 활성화제로 표면 처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알칼리 부활 처리가 실시된 활성탄은, 볼밀 등의 기지의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된다. 활성탄의 입도(粒度)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넓은 범위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D50가 2 ㎛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50 ㎛이며, 특히 2∼20 ㎛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평균 세공 직경이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고, 비표면적이 바람직하게는 600∼3000 ㎡/g인 활성탄이 적합하다. 그 중에서도, 800 ㎡/g 이상, 특히 1300∼2500 ㎡/g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양극 합재층의 고용량화를 도모하기 위해, 양극 활물질로서 5산화 바나듐(V2O5)이나 코발트산리튬(LiCoO2)을 이용하여도 좋다. 이 밖에도, LixCoO2, LixNiO2, LixMnO2, LixFeO2 등의 LixMyOz(x, y, z는 양수, M은 금속, 2종 이상의 금속이라도 좋다)의 일반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 리튬함유금속 산화물, 혹은 코발트, 망간, 바나듐, 티탄, 니켈 등의 천이금속 산화물 또는 황화물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고전압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금속 리튬에 대해 4 V 이상의 전위를 갖는 리튬함유 산화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리튬함유코발트 산화물, 리튬함유니켈 산화물, 혹은 리튬함유코발트-니켈복합 산화물이 특히 적합하다.
전술한 활성탄 등의 양극 활물질은, 분말형, 입자형, 단섬유형 등으로 형성된다. 이 양극 활물질을 바인더와 혼합하여 슬러리를 형성한다. 그리고, 양극 활물질을 함유하는 슬러리를 양극 집전체에 도공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양극 집전체 상에 양극 합재층을 형성한다. 또한, 양극 활물질과 혼합되는 바인더로서는, 예컨대 SBR 등의 고무계 바인더나 폴리4불화에틸렌, 폴리불화비닐리덴 등의 함불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아크릴레이트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양극 합재층에 대해, 아세틸렌 블랙, 그래파이트, 금속 분말 등의 도전성 재료를 적절하게 부가하여도 좋다.
[B] 음극
음극은 음극 집전체와, 이것에 일체가 되는 음극 합재층을 갖고 있다. 음극 합재층에는 음극 활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이 음극 활물질로서는, 이온을 가역적으로 도핑·탈도핑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그래파이트, 여러가지 탄소 재료, 폴리아센계 물질, 주석 산화물, 규소 산화물 등이다. 그래파이트(흑연)나 하드카본(난흑연화성 탄소)은 고용량화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음극 활물질로서 바람직하다. 방향족계 축합 폴리머의 열처리물로서, 수소 원자/탄소 원자의 원자수비(H/C)가 0.05 이상, 0.50 이하인 폴리아센계 골격 구조를 갖는 폴리아센계 유기 반도체(PAS)는 고용량화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음극 활물질로서 적합하다. 이 PAS의 H/C는 0.05 이상, 0.5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PAS의 H/C가 0.50을 넘은 경우에는, 방향족계 다환 구조가 충분히 발달하지 않기 때문에, 리튬 이온의 도핑·탈도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축전 디바이스(10)의 충방전 효율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PAS의 H/C가 0.05 미만인 경우에는, 축전 디바이스의 용량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전술한 PAS 등의 음극 활물질은 분말형, 입자형, 단섬유형 등으로 형성된다. 이 음극 활물질을 바인더와 혼합하여 슬러리를 형성한다. 그리고, 음극 활물질을 함유하는 슬러리를 음극 집전체에 도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음극 집전체 상에 음극 합재층을 형성한다. 또한, 음극 활물질과 혼합되는 바인더로서는, 예컨대 폴리4불화에틸렌, 폴리불화비닐리덴 등의 함불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아크릴레이트 등의 열가소성 수지, 스티렌부타디엔고무(SBR) 등의 고무계 바인더 를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불소계 바인더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불소계 바인더로서는, 예컨대 폴리불화비닐리덴, 불화비닐리덴-3불화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4불화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4불화에틸렌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음극 합재층에 대해, 아세틸렌 블랙, 그래파이트, 금속 분말 등의 도전성 재료를 적절하게 부가하여도 좋다.
[C]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로서는, 표리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이 적합하고, 예컨대, 익스펜디드 메탈, 펀칭 메탈, 에칭박, 망, 발포체 등을 들 수 있다. 관통홀의 형상이나 개수 등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음이온이나 리튬 이온의 이동을 저해하지 않는 것이면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의 재료로서는, 일반적으로 전지나 커패시터로 제안되어 있는 여러 가지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양극 집전체의 재료로서,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음극 집전체의 재료로서, 스테인리스강, 구리, 니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D] 리튬극
리튬극 집전체나 리튬 유지판의 재료로서는, 일반적으로 전지나 커패시터의 집전체로서 제안되어 있는 여러 가지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재료로서는, 스테인리스강, 구리, 니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서로 접촉시켜 사용되는 리튬극 집전체와 리튬 유지판은 전위차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동질의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접속처의 음극 집전체나 양극 집전체의 재 료와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튬극 집전체나 리튬 유지판으로서, 익스펜디드 메탈, 펀칭 메탈, 에칭박, 망, 발포체 등의 표리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특히, 리튬극 집전체에 익스펜디드 메탈 등의 표면에 요철을 갖는 형상을 사용한 경우에는, 접촉 시에, 표면의 볼록부가 리튬 유지판에 걸리기 쉽고, 접속 상태(도전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리튬 유지판에 접착되는 리튬 이온 공급원의 재료로서는 리튬 이온을 방출할 수 있는 재료인 것이 좋다. 금속 리튬을 이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리튬-알루미늄 합금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E] 세퍼레이터
세퍼레이터로서는, 전해액, 양극 활물질, 음극 활물질 등에 대해 내구성이 있고, 연통 기공을 갖는 전자 전도성이 없는 다공질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통상은, 종이(셀룰로오스), 유리 섬유, 폴리에틸렌 혹은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이루어지는 천, 부직포 혹은 다공체가 이용된다.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전지의 내부 저항을 작게 하기 위해 얇은 쪽이 바람직하다. 전해액의 유지량이나 세퍼레이터의 강도 등을 감안하여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F] 전해액
전해액으로서는, 고전압에서도 전기 분해를 일으키지 않는다는 점, 리튬 이온이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리튬염을 포함하는 비프로톤성 유기 용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프로톤성 유기 용매로서는, 예컨대 에틸렌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γ-부티로락 톤, 아세토니트릴, 디메톡시에탄,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솔란, 염화메틸렌, 설포란 등을 단독 혹은 혼합한 용매를 들 수 있다. 또한, 리튬염으로서는, 예컨대, LiClO4, LiAsF6, LiBF4, LiPF6, LiN(C2F5SO2)2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전해액 중의 전해질 농도는, 전해액에 의한 내부 저항을 작게 하기 위해서, 적어도 0.1 몰/L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5∼1.5 몰/L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G] 외장 용기
외장 용기로서는, 일반적으로 전지에 이용되고 있는 여러 가지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철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 수지막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외장 용기의 형상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원통형이나 각형 등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축전 디바이스의 소형화나 경량화의 관점에서는, 알루미늄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한 필름형 외장 용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는, 외측에 나일론 필름, 중심에 알루미늄박, 내측에 변성 폴리프로필렌 등의 접착층을 갖는 3층 라미네이트 필름이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컨대, 전술한 설명에서는, 음극에 대해 리튬 이온을 도핑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리튬극 집전체를 양극 집전체에 대해 용접함으로써, 양극에 대해 리튬 이온을 도핑하여도 좋다. 또한, 음극 집전체에 용접되는 리튬극 집전체와, 양극 집전체에 용접되는 리튬극 집전체를 설 치함으로써, 양극과 음극 양쪽에 대해 리튬 이온을 도핑하여도 좋다. 또한, 도시하는 경우에는, 적층형 축전 디바이스에 대해 본 발명을 적용하였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권회형(捲回型) 축전 디바이스에 대해 본 발명을 적용하여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축전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축전 디바이스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축전 디바이스의 내부 구조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축전 디바이스의 제조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리튬극 집전체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리튬 유닛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전극 적층 유닛에 리튬 유닛을 삽입할 때의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전극 적층 유닛에 리튬 유닛을 삽입할 때의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전극 적층 유닛에 리튬 유닛을 삽입할 때의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인 축전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리튬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축전 디바이스 14: 양극
15: 음극 20: 양극 집전체
20a: 관통홀 21: 양극 합재층
22: 음극 집전체 22a: 관통홀
23: 음극 합재층 26: 리튬극 집전체(제1 도전체)
27a: 리튬 유지판(제2 도전체)
27b: 리튬 이온 공급원(이온 공급원, 금속 리튬)
31: 리튬극 집전체(제1 도전체)

Claims (10)

  1. 양극 집전체와 이것에 설치되는 양극 합재층을 구비하는 양극과, 음극 집전체와 이것에 설치되는 음극 합재층을 구비하는 음극을 포함하는 축전 디바이스로서,
    상기 양극 집전체 또는 상기 음극 집전체에 접속되는 제1 도전체와,
    상기 제1 도전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온 공급원을 유지하는 제2 도전체
    를 포함하며,
    상기 양극 집전체 또는 상기 음극 집전체에 상기 제1 도전체를 먼저 접속시키고, 이어서 상기 제1 도전체를 통해 상기 제2 도전체를 접속시키며, 상기 이온 공급원으로부터의 이온을 상기 양극 합재층 또는 상기 음극 합재층에 도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체는 상기 제1 도전체와 이것에 대향하는 상기 양극 또는 상기 음극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 디바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집전체와 상기 음극 집전체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 디바이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공급원은 금속 리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 디바이스.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체와 상기 제2 도전체는 동질의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 디바이스.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체와 상기 제2 도전체는 이온이 도핑되는 상기 양극 또는 상기 음극의 상기 집전체와 동질의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 디바이스.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체는 표면에 요철을 갖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 디바이스.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체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 디바이스.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을 단락시켰을 때의 양극 전위는 2.0 V(Li/Li+ 쌍)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 디바이스.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합재층에 포함되는 음극 활물질은, 상기 양극 합재층에 포함되는 양극 활물질에 비해 활물질의 단위 중량당 정전 용량이 3배 이상이며, 양극 활물질 중량이 음극 활물질 중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 디바이스.
KR1020090007959A 2008-02-06 2009-02-02 축전 디바이스 KR1016256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25820 2008-02-06
JP2008025820A JP4934607B2 (ja) 2008-02-06 2008-02-06 蓄電デバイ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6153A KR20090086153A (ko) 2009-08-11
KR101625672B1 true KR101625672B1 (ko) 2016-05-30

Family

ID=40637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959A KR101625672B1 (ko) 2008-02-06 2009-02-02 축전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63258B2 (ko)
EP (1) EP2088637B1 (ko)
JP (1) JP4934607B2 (ko)
KR (1) KR101625672B1 (ko)
CN (1) CN1015048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70380A9 (en) * 2009-05-07 2014-12-18 Yi Cui Core-shell high capacity nanowires for battery electrodes
US20100285358A1 (en) 2009-05-07 2010-11-11 Amprius, Inc. Electrode Including Nanostructures for Rechargeable Cells
US8450012B2 (en) 2009-05-27 2013-05-28 Amprius, Inc. Interconnected hollow nanostructures containing high capacity active materials for use in rechargeable batteries
US20100330419A1 (en) * 2009-06-02 2010-12-30 Yi Cui Electrospinning to fabricate battery electrodes
US9172088B2 (en) 2010-05-24 2015-10-27 Amprius, Inc. Multidimensional electrochemically active structures for battery electrodes
US9780365B2 (en) 2010-03-03 2017-10-03 Amprius, Inc. High-capacity electrodes with active material coatings on multilayered nanostructured templates
KR20130012021A (ko) * 2010-03-22 2013-01-30 암프리우스, 인코포레이티드 전기화학적 활물질 나노구조체 상호연결
JP5604982B2 (ja) * 2010-05-26 2014-10-1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用負極材料、その製造方法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
JP2011249507A (ja) * 2010-05-26 2011-12-08 Aisin Seiki Co Ltd 高性能キャパシタおよび高性能キャパシタ用負極材料のドープ方法
KR101139426B1 (ko) 2010-09-28 2012-04-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리튬 이온 커패시터
WO2012067943A1 (en) 2010-11-15 2012-05-24 Amprius, Inc. Electrolytes for rechargeable batteries
JP6184421B2 (ja) 2011-12-21 2017-08-23 ザ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カリフォルニア 相互接続された波状炭素系網状体
KR20130085572A (ko) * 2011-12-22 2013-07-30 삼성전기주식회사 캐패시터 및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02231070B1 (ko) 2012-03-05 2021-03-23 더 리전트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상호 연결된 파형 카본-기반 네트워크로 만들어진 전극을 갖는 커패시터
JP6134108B2 (ja) * 2012-08-28 2017-05-24 シャープ株式会社 金属空気電池
US9620808B2 (en) * 2013-03-11 2017-04-11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Method and device for dendrite research and discovery in batteries
US9923201B2 (en) 2014-05-12 2018-03-20 Amprius, Inc. Structurally controlled deposition of silicon onto nanowires
WO2015195700A1 (en) 2014-06-16 2015-12-2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Hybrid electrochemical cell
JP2018501644A (ja) 2014-11-18 2018-01-18 ザ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カリフォルニア 多孔性の相互接続された波状カーボンベースネットワーク(iccn)複合材料
JP6871676B2 (ja) * 2015-11-26 2021-05-12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蓄電デバイス及び蓄電デバイスの製造方法
CN108431918B (zh) 2015-12-22 2020-12-29 加利福尼亚大学董事会 蜂窝状石墨烯膜
IL260398B (en) 2016-01-22 2022-08-01 Univ California high voltage devices
JP6401197B2 (ja) * 2016-02-15 2018-10-03 太陽誘電株式会社 電気化学デバイス及び電気化学デバイスの製造方法
KR102361374B1 (ko) 2016-03-23 2022-02-09 나노테크 에너지, 인크. 고전압 및 태양 응용분야를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KR102378286B1 (ko) 2016-04-01 2022-03-23 더 리전트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가요성이고 고성능인 슈퍼커패시터를 위한 탄소 클로쓰 상에서의 폴리아닐린 나노튜브의 직접 성장
US11097951B2 (en) 2016-06-24 2021-08-2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roduction of carbon-based oxide and reduced carbon-based oxide on a large scale
MX2019001891A (es) 2016-08-31 2019-07-08 Univ California Dispositivos que comprenden material a base de carbono y fabricación de estos.
TW201826607A (zh) * 2016-09-08 2018-07-16 日商麥克賽爾控股股份有限公司 鋰離子二次電池及其製造方法
CN110291661B (zh) * 2017-02-22 2022-06-17 远景Aesc日本有限公司 锂离子电池
KR102563188B1 (ko) 2017-07-14 2023-08-02 더 리전트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슈퍼 커패시터 적용을 위한 탄소 나노 입자로부터 고전도성의 다공성 그래핀으로의 단순 루트
US10938032B1 (en) 2019-09-27 2021-03-0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omposite graphene energy storage methods, devices, and system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6919A (ja) 2005-03-31 2006-10-19 Fuji Heavy Ind Ltd 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
JP2007173615A (ja) * 2005-12-22 2007-07-05 Fuji Heavy Ind Ltd 電池又はキャパシタ用リチウム金属箔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2372A (en) * 1979-03-15 1980-09-20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Production of storage battery
US6168885B1 (en) * 1998-08-21 2001-01-02 Sri International Fabrication of electrodes and devices containing electrodes
JP2001244152A (ja) * 2000-03-01 2001-09-07 Meidensha Corp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の製造方法
EP1326295A3 (en) * 2002-01-02 2005-08-24 Wilson Greatbatch Technologies, Inc. Dual chemistry electrode design
AU2003292781A1 (en) * 2002-12-26 2004-07-22 Fuji Jukogyo Kabushiki Kaisha Electrical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ical storage device
JP4894129B2 (ja) * 2003-10-10 2012-03-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薄型電池及び組電池
JP4731967B2 (ja) * 2005-03-31 2011-07-27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6919A (ja) 2005-03-31 2006-10-19 Fuji Heavy Ind Ltd 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
JP2007173615A (ja) * 2005-12-22 2007-07-05 Fuji Heavy Ind Ltd 電池又はキャパシタ用リチウム金属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97171A1 (en) 2009-08-06
US8263258B2 (en) 2012-09-11
CN101504888B (zh) 2012-07-04
KR20090086153A (ko) 2009-08-11
EP2088637A2 (en) 2009-08-12
JP2009188140A (ja) 2009-08-20
EP2088637A3 (en) 2010-01-06
CN101504888A (zh) 2009-08-12
EP2088637B1 (en) 2012-03-14
JP4934607B2 (ja) 201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672B1 (ko) 축전 디바이스
KR101596496B1 (ko) 축전 디바이스
JP5076464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US8232009B2 (en) Electric storage device
KR101578562B1 (ko) 축전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US7697264B2 (en) Lithium ion capacitor
KR101530094B1 (ko) 전극의 제조 방법
US8148002B2 (en) Electric storage device
US8247115B2 (en) Wound-type electric storage device including electrode sheets
KR20090029624A (ko) 축전 디바이스
KR20090049023A (ko) 축전 디바이스
KR20090029625A (ko) 축전 디바이스
JP2009200302A (ja) 蓄電デバイスの製造方法および蓄電デバイス
JP5214172B2 (ja) 電極の製造方法、および蓄電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2009188141A (ja) 蓄電デバイス
JP2009076249A (ja) 蓄電デバイス
KR101157500B1 (ko) 리튬이온 커패시터 셀 및 그 제조방법
JP2010123357A (ja) 蓄電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