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298B1 - 정보 관리 장치, 단말기 및 정보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보 관리 장치, 단말기 및 정보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298B1
KR101625298B1 KR1020140144983A KR20140144983A KR101625298B1 KR 101625298 B1 KR101625298 B1 KR 101625298B1 KR 1020140144983 A KR1020140144983 A KR 1020140144983A KR 20140144983 A KR20140144983 A KR 20140144983A KR 101625298 B1 KR101625298 B1 KR 101625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pplication
tick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4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5546A (ko
Inventor
다이라 시마
노부따까 야먀모또
다다히꼬 사또
에이지 이또우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55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5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2Protecting executable software
    • G06F21/121Restricting unauthorised execution of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9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features or functions of an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가능한 식별 정보를 정당한 휴대 단말기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센터 서버(2)는 휴대 단말기(1)와의 통신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1)에 설정된 어플리케이션(10)에 식별 정보를 할당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생성부(31)와, 어플리케이션(10) 경유로 전자 정보의 취득 요구를 접수하는 QR 표시부(33)와, 전자 정보의 식별 정보와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대응지은 대응 정보를 생성하는 티켓 표시부(32)와, 취득 요구에 있어서 취득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및 대응 정보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에 대응지어진 전자 정보를 송신하는 QR 표시부(33)를 갖는다.

Description

정보 관리 장치, 단말기 및 정보 관리 시스템{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TERMINAL, AN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정보 관리 장치, 단말기 및 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콘서트나 이벤트 등의 입장 티켓으로서, 전자 기기의 표시부에 표시되어 인증에 사용되는 가시 정보가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입장 티켓의 티켓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가, 입장 티켓으로서 휴대 단말기에 QR 코드(등록 상표)를 표시한다.
서버가 휴대 단말기에 QR 코드를 표시할 때, 서버는 일례로서, QR 코드의 표시에 필요한 정보를 휴대 단말기에 메일로 통지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메일로 통지된 정보에 따라서 서버에 액세스하여, 서버에 QR 코드를 표시시킨다.
그런데, 메일로 통지되는 정보는 메일을 수신한 휴대 단말기로부터 다른 휴대 단말기에 전송될 우려가 있다. 즉, 메일로 통지되는 정보의 전송이, 통지된 휴대 단말기 이용자의 범위 내인지, 범위 밖(즉, 타인)인지 구별이 되지 않는다. 서버는 메일의 전송을 불가능하게 할 수도 없다. 이로 인해, 전송처의 휴대 단말기는, 전송된 메일로 통지된 정보에 따라서 서버에 액세스하고, 서버에 QR 코드를 표시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QR 코드를 정당한 휴대 단말기에 표시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 기술로서 서버는 휴대 단말기의 단말기 ID를 이용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술에서는, 서버는 휴대 단말기에 의해 수신된 티켓 정보 표시 어플리케이션에 기록되는 단말기 ID와, 당해 티켓 정보 표시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한 휴대 단말기의 단말기 ID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대조한다. 그리고 서버는 단말기 ID가 일치한 경우에, 티켓 정보를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2-73890호 공보
그러나 서버는 티켓 정보를 정당한 휴대 단말기에 송신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ID는 휴대 단말기에 일의적으로 생성되어 있지만, 개인 정보 등의 강화에 의해 단말기 ID가 이용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기 ID를 서버측에서 이용할 수 없어, 서버는 티켓 정보를 정당한 휴대 단말기에 송신할 수 없다.
또한, 서버는 휴대 단말기의 단말기 ID 대신 쿠키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런데 쿠키는 자유롭게 생성할 수 있는 반면, 어떤 계기로 사라져 버리거나, 재기입하게 되거나 하여 불안정하다. 따라서, 단말기 ID와 마찬가지로, 서버는 티켓 정보를 정당한 휴대 단말기에 송신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과제는 티켓 정보에 한하지 않고, 휴대 단말기에 표시 가능한 식별 정보라면, 마찬가지로 발생하는 과제이다.
일 측면에서는, 표시 가능한 식별 정보를 정당한 휴대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나의 안으로는, 정보 관리 장치는 단말기와의 통신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에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에 식별 정보를 할당하는 할당부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경유로 전자 정보의 취득 요구를 접수하는 접수부와, 상기 전자 정보의 식별 정보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대응지은 대응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취득 요구에 있어서 취득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대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에 대응지어진 전자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갖는다.
일 형태에 의하면, 티켓 정보를 정당한 휴대 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관한 티켓 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실시예 1에 관한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DB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실시예 1에 관한 티켓 정보 DB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실시예 1에 관한 유저 정보 DB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실시예 1에 관한 어플리케이션 초회 기동 처리의 시퀀스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실시예 1에 관한 QR 표시 처리의 시퀀스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실시예 1에 관한 어플리케이션 초회 기동 처리의 데이터 천이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실시예 1에 관한 QR 표시 처리의 데이터 천이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실시예 2에 관한 티켓 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실시예 2에 관한 대상 유저 정보 DB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실시예 2에 관한 QR 표시 처리의 시퀀스를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실시예 2에 관한 QR 표시 처리의 데이터 천이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 본원이 개시하는 정보 관리 장치, 단말기 및 정보 관리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티켓 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실시예 1에 관한 티켓 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티켓 정보 관리 시스템(9)은 콘서트나 이벤트 등의 입장 티켓의 티켓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며, 휴대 단말기(1)와, 센터 서버(2)를 갖는다. 센터 서버(2)는 복수의 휴대 단말기(1)와, 예를 들어 인터넷 망을 나타내는 네트워크(3)로 접속되어 있다.
휴대 단말기(1)에는 어플리케이션(10)이 설정된다. 어플리케이션(10)은 티켓이나 QR 코드를 표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다. QR 코드는 입장 시 인증에 사용되는 가시 정보이다. 어플리케이션(10)은, 예를 들어, 티켓을 구입한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된다. 티켓을 구입하는 사이트는 센터 서버(2)여도 좋다. 다운로드된 직후의 어플리케이션(10)에는, 어플리케이션(10)을 식별하는 식별 번호인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 이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후술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저장부(11)에 의해 어플리케이션(10)에 설정되면, 티켓을 구입하는 휴대 단말기(1)에 다운로드되는 어플리케이션(10)끼리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어플리케이션(10)은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저장부(11), 티켓 표시 요구부(12) 및 QR 표시 요구부(13)를 갖는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저장부(11)는 취득부 및 저장부의 일례이다. QR 표시 요구부(13)는 요구부의 일례이다.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저장부(11)는 센터 서버(2)와의 통신에 의해, 휴대 단말기(1)에 설정된 어플리케이션(10)을 식별하는 식별 번호인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취득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저장부(11)는 취득한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어플리케이션(10)의 기억 영역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저장부(11)는 어플리케이션(10)을 다운로드 후 초회의 기동 시에, 어플리케이션(10)의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의 취득 요구를 센터 서버(2)에 송신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저장부(11)는 센터 서버(2)로부터 반환된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어플리케이션(10)의 저장 영역에 저장한다. 즉,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저장부(11)는 어플리케이션(10)의 구동 시에, 센터 서버(2)에 액세스해서 어플리케이션(10)의 식별 번호를 채번시킴으로써, 센터 서버(2)에 어플리케이션(10)끼리를 식별시킬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저장부(11)는 휴대 단말기(1)의 식별 번호나 쿠키를 사용하지 않고도, 센터 서버(2)에 어플리케이션(10)끼리를 식별시킬 수 있다.
티켓 표시 요구부(12)는 로그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센터 서버(2)에 송신하고, 로그인 인증을 문의한다.
또한, 티켓 표시 요구부(12)는 로그인 인증에 성공한 경우, 현재 유지하고 있는 티켓의 일람을 센터 서버(2)에 의해 표시시킨다. 예를 들어, 티켓 표시 요구부(12)는 로그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티켓 일람의 표시 요구를 센터 서버(2)에 송신한다. 티켓 표시 요구부(12)는 로그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와 일치하는 티켓의 일람을 센터 서버(2)에 의해 표시시킨다. 여기서 로그인 정보에는, 예를 들어 유저의 식별 ID(Identification)인 유저 ID 등이 포함된다. 티켓의 일람 정보에는, 예를 들어 티켓이 콘서트 입장 티켓일 경우, 자리의 종류의 명칭(자리 종류명)이나 자리의 층수나 자리의 번호가 포함된다. 또한, 휴대 단말기(1)가 다른 휴대 단말기(1)와 같은 로그인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의 표시 요구를 송신해도, 로그인 정보와 일치하는 QR 코드는 표시되지 않는다. 각 휴대 단말기(1)에 설정된 어플리케이션(10)의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상이하기 때문이다.
QR 표시 요구부(13)는 현재 보유하고 있는 티켓의 QR 코드를 센터 서버(2)에 의해 표시시킨다. 예를 들어, QR 표시 요구부(13)는 티켓 표시 요구부(12)에 의해 표시된 티켓 일람 중에서 선택된 티켓의 정보, 로그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QR 코드의 표시 요구를 센터 서버(2)에 송신한다. QR 표시 요구부(13)는 로그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와 일치하는 QR 코드를 센터 서버(2)에 의해 표시시킨다. 또한, 휴대 단말기(1)가 다른 휴대 단말기(1)와 같은 로그인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의 표시 요구를 송신해도, 로그인 정보와 일치하는 QR 코드는 표시되지 않는다. 각 휴대 단말기(1)에 설정된 어플리케이션(10)의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상이하기 때문이다.
센터 서버(2)는 기억부(20) 및 제어부(30)를 갖는다. 기억부(2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나 FRAM(등록 상표)(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불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나 자기 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에 대응한다. 그리고, 기억부(20)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DB(Data Base)(21), 티켓 정보 DB(22) 및 유저 정보 DB(23)를 갖는다.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DB(21)는, 휴대 단말기(1)에 설정되는 어플리케이션(10)마다의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기억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는, 어플리케이션(10)을 식별하는 식별 번호(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인데, 식별 번호에 한정되지 않고, 식별 가능한 식별자이면 된다. 티켓 정보 DB(22)는 QR 코드를 포함하는 티켓 정보를 관리한다. 유저 정보 DB(23)는 유저와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대응지은 유저 정보를 기억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DB(21), 티켓 정보 DB(22) 및 유저 정보 DB(23)의 각각의 데이터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어부(30)는 각종 처리 수순을 규정한 프로그램이나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내부 메모리를 갖고, 이들에 의해 다양한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예를 들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이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집적 회로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MPU(Micro Processing Unit) 등의 전자 회로에 대응한다. 또한, 제어부(30)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생성부(31)와, 티켓 표시부(32)와, QR 표시부(33)를 갖는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생성부(31)는 할당부 및 식별 정보 송신부의 일례이다. 티켓 표시부(32)는 생성부의 일례이다. QR 표시부(33)는 송신부, 판정부 및 전자 정보 송신부의 일례이다.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생성부(31)는 휴대 단말기(1)에 설정된 어플리케이션(10)과의 통신에 의해, 어플리케이션(10)에 의해 입력된 입력 정보가 제1번째를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 당해 어플리케이션(10)을 식별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생성한다. 제1번째를 나타내는 정보는, 일례로서 널(null)이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생성부(31)는 휴대 단말기(1)의 어플리케이션(10)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의 취득 요구를 수신한 경우, 다른 휴대 단말기(1)에 설정된 어플리케이션(10)과 식별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채번한다.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생성부(31)는 채번한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DB(21)에 저장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생성부(31)는 채번한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요구원(要求元)의 휴대 단말기(1)의 어플리케이션(10)에 반환한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DB(21)의 데이터 구조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실시예 1에 관한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DB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DB(21)는 회사 코드(21a)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21b)를 대응지어서 기억한다. 회사 코드(21a)는 회사를 식별하는 코드이다.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21b)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생성부(31)에 의해 생성된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이다. 일례로서, 회사 코드(21a)가 「10101」인 경우,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21b)로서 「T0000000001」이라고 기억하고 있다.
도 1로 되돌아가서, 티켓 표시부(32)는 어플리케이션(10)과의 통신에 의해, 어플리케이션(10)에 의해 입력된 입력 정보에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당해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티켓 정보를 통신원의 어플리케이션(10)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티켓 표시부(32)는 어플리케이션(10)으로부터 로그인 인증의 문의를 수신한 경우, 로그인 인증을 행한다. 일례로서, 티켓 표시부(32)는 문의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 및 로그인 정보를 키로 하여,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DB(21) 및 유저 정보 DB(23)를 사용해서 로그인 인증을 행한다. 티켓 표시부(32)는 로그인 인증이 성공한 경우, 유저 정보 DB(23)의 유저 정보의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갱신한다. 이에 더하여, 티켓 표시부(32)는 로그인 정보를 키로 하여, 티켓 정보 DB(22)를 검색하고, 검색된 티켓 정보로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갱신한다. 즉, 티켓 표시부(32)는 티켓 정보 DB(22)로부터 검색된 티켓 정보와,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결부짓는다.
또한, 티켓 표시부(32)는 어플리케이션(10)으로부터 티켓 일람의 표시 요구를 수신한 경우, 어플리케이션(10)의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티켓의 일람을, 어플리케이션(10)이 설정된 휴대 단말기(1)의 모니터에 표시한다. 일례로서, 티켓 표시부(32)는 티켓 일람의 표시 요구에 포함되는 로그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티켓 정보 DB(22)에 기억된 어느 하나의 티켓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티켓 표시부(32)는 로그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티켓 정보 DB(22)에 기억된 어느 하나의 티켓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일치한 티켓 정보를 요구원의 휴대 단말기(1)의 모니터에 표시한다. 한편, 티켓 표시부(32)는 로그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티켓 정보 DB(22)에 기억된 어느 하나의 티켓 정보와도 일치하지 않는 경우, 티켓 정보를 요구원의 휴대 단말기(1)의 모니터에 표시하지 않는다. 즉, 티켓 표시부(32)는 로그인 정보(유저 ID)와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일치한 티켓 정보만을, 당해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의 어플리케이션(10)이 설정된 휴대 단말기(1)에 표시한다. 다시 말해, 티켓 표시부(32)는 로그인 정보(유저 ID)가 동일해도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상이한 휴대 단말기(1)에, 로그인 정보와 일치한 티켓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다. 각 휴대 단말기(1)에 설정된 어플리케이션(10)의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상이하기 때문이다.
QR 표시부(33)는 어플리케이션(10)과의 통신에 의해, 어플리케이션(10)에 의해 입력된 입력 정보에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당해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티켓 정보의 QR 코드를 통신원의 어플리케이션(10)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QR 표시부(33)는 어플리케이션(10)으로부터, 선택된 티켓에 있어서의 QR 코드의 표시 요구를 수신한 경우, 어플리케이션(10)의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티켓 정보의 QR 코드를 요구원의 휴대 단말기(1)의 모니터에 표시한다. 일례로서, QR 표시부(33)는, QR 코드의 표시 요구에 포함되는 로그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티켓 정보 DB(22)에 기억된 티켓 정보 중 선택된 티켓의 티켓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QR 표시부(33)는, 로그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티켓 정보 DB(22)에 기억된 티켓 정보 중 선택된 티켓의 티켓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일치한 티켓 정보의 QR 코드를 요구원의 휴대 단말기(1)의 모니터에 표시한다. 한편, QR 표시부(33)는, 로그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티켓 정보 DB(22)에 기억된 티켓 정보 중 선택된 티켓의 티켓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티켓 정보의 QR 코드를 요구원의 휴대 단말기(1)의 모니터에 표시하지 않는다. 즉, QR 표시부(33)는, 로그인 정보(유저 ID)와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일치한 티켓 정보의 QR 코드만을, 당해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의 어플리케이션(10)이 설정된 휴대 단말기(1)에 표시한다. 다시 말해, QR 표시부(33)는 로그인 정보(유저 ID)가 동일해도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상이한 휴대 단말기(1)에, 로그인 정보와 일치한 티켓 정보의 QR 코드를 표시하지 않는다. 각 휴대 단말기(1)에 설정된 어플리케이션(10)의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상이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티켓 정보 DB(22)의 데이터 구조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실시예 1에 관한 티켓 정보 DB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티켓 정보 DB(22)는 회사 코드(22a),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22b), 유저 ID(22c) 및 QR 번호(22d)를 대응지어서 기억한다. 또한, 티켓 정보 DB(22)는 자리 종류 코드(22e), 자리 종류명(22f), 층(22g), 열(22h), 자리 번호(22i), 블록(22j), 게이트(22k), 예약 번호(22l) 및 QR 화상 파일명(22m)을 대응지어서 기억한다.
회사 코드(22a)는 회사를 식별하는 코드이다.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22b)는 티켓 표시부(32)에 의해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이다. 유저 ID(22c)는 유저를 식별하는 ID이다. QR 번호(22d)는 종이의 티켓 대신에 티켓에 대응하는 QR 코드의 번호를 나타낸다. 자리 종류 코드(22e)는 좌석의 종류를 표시하는 코드를 나타낸다. 자리 종류명(22f)은 좌석 종류의 명칭을 나타낸다. 층(22g)은 좌석이 있는 층수를 나타낸다. 열(22h)은 좌석이 있는 열수를 나타낸다. 자리 번호(22i)는 좌석의 번호를 나타낸다. 블록(22j)은 좌석을 블록으로 그룹화했을 경우의 좌석이 존재하는 블록의 번호를 나타낸다. 게이트(22k)는 입장 게이트를 나타낸다. 예약 번호(22l)는 티켓을 구입했을 때의 예약 번호를 나타낸다. QR 화상 파일명(22m)은 QR 화상을 기억한 파일의 명칭을 나타낸다. 또한, 티켓 정보 DB(22)에는, 유저가 티켓을 구입했을 때,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22b) 이외의 티켓 정보가 설정된다.
일례로서, 자리 종류 코드(22e)가 「100」, 자리 종류명(22f)이 「아레나석」, 층(22g)이 「1층」, 열(22h)이 「I열」, 자리 번호(22i)가 「184번」일 경우,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22b)로서 「T0000000001」이라고 기억하고 있다. 회사 코드(22a)로서 「10101」, 유저 ID(22c)로서 「99990001」, QR 번호(22d)로서 「F15300」, QR 화상 파일명(22m)으로서 「F15300.jpeg」라고 기억하고 있다.
이어서, 유저 정보 DB(23)의 데이터 구조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실시예 1에 관한 유저 정보 DB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저 정보 DB(23)는 회사 코드(23a),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23b), 유저 ID(23c) 및 개인 정보(23d)를 대응지어서 기억한다. 회사 코드(23a)는 회사를 식별하는 코드이다.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23b)는 티켓 표시부(32)에 의해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이다. 유저 ID(23c)는, 유저를 식별하는 ID이다. 개인 정보(23d)는 유저 ID(23c)에 대응하는 유저의 개인 정보이다. 또한, 유저 정보 DB(23)에는, 유저가 티켓을 구입했을 때,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23b) 이외의 유저 정보가 설정된다.
일례로서, 유저 ID(23c)가 「99990001」일 경우, 회사 코드(23a)로서 「10101」,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23b)로서 「T0000000001」이라고 기억하고 있다.
[어플리케이션 초회 기동 처리의 시퀀스]
이어서, 어플리케이션 초회 기동 처리의 시퀀스를, 적절히 각종 DB 내의 데이터의 내용을 사용하면서 설명한다. 도 5는 실시예 1에 관한 어플리케이션 초회 기동 처리의 시퀀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휴대 단말기(1)는 티켓 및 QR 코드를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10)을 다운로드한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도 7에 나타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DB(21)에 기억되는 레코드를 적절히 사용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휴대 단말기(1)는 어플리케이션(10)을 다운로드한 후, 어플리케이션(10)이 초회 기동된다. 그러면, 어플리케이션(10)의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저장부(11)는 어플리케이션(10)을 식별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의 취득 요구를 센터 서버(2)에 송신한다(스텝 S11).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의 취득 요구의 입력 정보에는, 예를 들어 기동이 제1번째인 것을 나타내는 널 및 회사 코드가 설정된다.
센터 서버(2)에서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생성부(31)가 휴대 단말기(1)의 어플리케이션(10)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의 취득 요구를 수신하면, 초회 기동된 어플리케이션(10)의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채번한다.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는 다른 휴대 단말기(1)에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10)과 식별하는 식별 번호이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생성부(31)는 채번한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DB(21)에 저장한다(스텝 S12). 여기에서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DB(21)의 레코드에는 회사 코드(21a)로서 「10101」,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21b)로서 「T0000000001」이 설정되어 있다(도 7, No.1 참조).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생성부(31)는 채번한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요구원의 휴대 단말기(1)의 어플리케이션(10)에 반환한다(스텝 S13).
휴대 단말기(1)에서는, 어플리케이션(10)의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저장부(11)는, 반환된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어플리케이션(10)의 저장 영역에 저장한다(스텝 S14). 이후, 휴대 단말기(1)의 어플리케이션(10)에서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바뀌는 일은 없다. 이에 의해, 휴대 단말기(1)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사용해서 센터 서버(2)와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센터 서버(2)에 어플리케이션(10)끼리를 식별시킬 수 있다.
[QR 표시 처리의 시퀀스]
이어서, QR 표시 처리의 시퀀스를 적절히 각종 DB 내의 데이터의 내용을 사용하면서 설명한다. 도 6은 실시예 1에 관한 QR 표시 처리의 시퀀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도 8에 나타나는 티켓 정보 DB(22),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DB(21) 및 유저 정보 DB(23)에 기억되는 각 레코드를 적절히 사용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휴대 단말기(1)로 티켓을 구입한 유저의 유저 ID는 「99990001」이며, 당해 티켓을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10)의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는 「T0000000001」이라고 한다. 어플리케이션(10)의 기억 영역에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설정되어 있다.
먼저, 센터 서버(2)에서는 센터 서버(2)와 상이한 사이트에서 유저가 구입한 티켓의 티켓 정보를 티켓 정보 DB(22)에 등록한다(스텝 S21). 여기에서는, 티켓 정보 DB(22)에 등록된 티켓 정보에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a1)가 아직 설정되어 있지 않다(도 8, No.2 참조). 또한, 센터 서버(2)는 티켓을 구입한 유저의 정보를 유저 정보 DB(23)(도시하지 않음)에 등록한다.
먼저, 휴대 단말기(1)에서는 어플리케이션(10)이 기동된다. 그러면, 어플리케이션(10)은 저장 영역을 참조하여,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의 유무를 확인하고,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는다(스텝 S22). 여기에서는, 어플리케이션(10)은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는다. 이때, 센터 서버(2)의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DB(21)에는, 이미 어플리케이션(10)의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21b)가 설정되어 있다(도 8, No.3).
계속해서, 휴대 단말기(1)에서는 로그인 정보가 입력되면, 티켓 표시 요구부(12)가, 입력된 로그인 정보 및 저장 영역에 기억된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센터 서버(2)에 송신하고, 로그인 인증을 문의한다(스텝 S23). 로그인 정보에는, 예를 들어 유저 ID가 포함된다.
센터 서버(2)에서는, 티켓 표시부(32)가 로그인 인증의 문의를 수신하면, 로그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사용해서 로그인 인증을 행한다. 그리고, 티켓 표시부(32)는 로그인 인증에 성공하면, 유저 정보 DB(23)의 해당하는 유저 ID에 대응하는 유저 정보의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갱신한다. 이에 더하여, 티켓 표시부(32)는 로그인 정보를 바탕으로 티켓 정보 DB(22)를 검색하고, 검색된 티켓 정보와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결부짓는다(스텝 S24). 여기에서는, 유저 정보 DB(23)에 대해서, 유저 ID(23c)가 「99990001」인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23b)에, 「T0000000001」이 설정되어 있다(도 8, No.4). 티켓 정보 DB(22)에 대해서, 유저 ID(22c)가 「99990001」인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22b)에 「T0000000001」이 설정되어 있다(도 8, No.4).
계속해서, 휴대 단말기(1)에서는, 티켓 표시 요구부(12)는 로그인 인증이 성공한 것을 수신하면, 현재 보유하고 있는 티켓의 일람을 표시하기 위해, 티켓 일람의 표시 요구를 송신한다(스텝 S25). 티켓 일람의 표시 요구에는 로그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포함된다.
센터 서버(2)에서는, 티켓 표시부(32)가 티켓 일람의 표시 요구를 수신하면, 요구에 포함된 로그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티켓 정보 DB(22)에 기억된 어느 하나의 티켓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6). 로그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티켓 정보 DB(22)에 기억된 어느 하나의 티켓 정보와 일치한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26; "예"), 티켓 표시부(32)는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즉, 티켓 표시부(32)는 로그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와 일치한 티켓 정보를 휴대 단말기(1)에 되돌린다(스텝 S27).
한편, 로그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티켓 정보 DB(22)에 기억된 어느 하나의 티켓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26; "아니오"), 티켓 표시부(32)는 티켓 일람의 검색에 실패했다고 판단하고(스텝 S28), 티켓 정보를 휴대 단말기(1)에 되돌리지 않는다.
여기에서는 도 8의 No.5를 참조한다. 로그인 정보에 포함되는 유저 ID가 「99990001」이며,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T0000000001」이므로, 티켓 표시부(32)는 자리 번호(22i)가 「184번」과 「183번」의 2개의 티켓 정보를 일치한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티켓 표시부(32)는 일치한 티켓 정보를 요구원의 휴대 단말기(1)에 되돌린다. 즉, 티켓 표시부(32)는 일치한 티켓 정보의 일람을 요구원의 휴대 단말기(1)의 모니터에 표시한다.
계속해서, 휴대 단말기(1)에서는, 모니터에 표시된 티켓 정보의 일람 중에서 티켓 정보가 선택되면, QR 표시 요구부(13)는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티켓 정보의 QR 코드를 표시하기 위해, QR 코드의 표시 요구를 송신한다(스텝 S29). QR 코드의 표시 요구에는, 로그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에 더하여, 선택된 티켓 정보가 포함된다.
센터 서버(2)에서는 QR 표시부(33)가 QR 코드의 표시 요구를 수신한다. 그러면, QR 표시부(33)는 요구에 포함된 로그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티켓 정보 DB(22)에 기억된, 선택된 티켓 정보의 로그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0). 로그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티켓 정보 DB(22)에 기억된, 선택된 티켓 정보와 일치한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30; "예"), QR 표시부(33)는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즉, QR 표시부(33)는 선택된 티켓 정보의 QR 화상을 휴대 단말기(1)에 되돌린다(스텝 S31).
한편, 로그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티켓 정보 DB(22)에 기억된, 선택된 티켓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30; "아니오"), QR 표시부(33)는 QR 표시에 실패했다고 판단하고(스텝 S32), QR 화상을 휴대 단말기(1)에 되돌리지 않는다.
여기에서는 도 8의 No.5를 참조한다. 선택된 티켓 정보의 자리 번호가 「183번」이라고 하면, QR 표시부(33)는 자리 번호(22i)에 대응하는 QR 화상 파일명(22m) 「F15301.jpeg」의 QR 화상을 요구원의 휴대 단말기(1)에 되돌린다. 즉, QR 표시부(33)는 선택된 티켓 정보의 QR 화상을 요구원의 휴대 단말기(1)의 모니터에 표시한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10)에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10)에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여도 좋다. 예를 들어, 티켓을 구입하는 사이트가 센터 서버(2)일 경우, 센터 서버(2)가,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설정된 어플리케이션(10)을 휴대 단말기(1)에 다운로드하면 된다. 일례로서, 센터 서버(2)의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생성부(31)가 휴대 단말기(1)로부터 티켓의 구입 요구가 되었을 때, 티켓 및 QR 코드를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10)의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채번하고, 채번한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매립한 어플리케이션(10)을 휴대 단말기(1)에 다운로드한다. 이에 더하여,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생성부(31)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DB(21)에, 채번된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추가한다.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생성부(31)는 티켓 정보 DB(22)에 대해서, 구입된 티켓의 티켓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22b)에, 채번된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저장한다.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생성부(31)는 유저 정보 DB(23)에 대해서, 티켓을 구입한 유저의 유저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23b)에, 채번된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저장한다.
[실시예 1의 효과]
상기 실시예 1에 의하면, 센터 서버(2)는 휴대 단말기(1)와의 통신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1)에 설정된 어플리케이션(10)에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할당한다. 센터 서버(2)는 어플리케이션(10) 경유로 전자 티켓의 표시 요구를 접수한다. 센터 서버(2)는 전자 티켓의 식별 정보와 어플리케이션(10)의 식별 번호를 대응지은 대응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센터 서버(2)는 표시 요구에 있어서 취득한 어플리케이션(10)의 식별 번호 및 대응 정보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10)의 식별 번호에 대응지어진 전자 티켓을 송신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센터 서버(2)는 휴대 단말기(1)에 설정된 어플리케이션(10)에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할당하는 것으로 하였다. 따라서, 센터 서버(2)는, 휴대 단말기(1)로부터 어플리케이션(10) 경유로 접수한 전자 티켓의 표시 요구에 대하여,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사용해서 해당하는 전자 티켓을 송신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센터 서버(2)는 어플리케이션(10)이 설정된 휴대 단말기(1)의 정당성을 확인한 다음, 전자 티켓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에 의하면, 센터 서버(2)는 전자 티켓의 표시 요구에 있어서 취득한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티켓과 전자 티켓의 표시 요구에 있어서 취득한 어플리케이션(10)의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대응지은 대응 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센터 서버(2)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사용함으로써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티켓과 어플리케이션(10), 즉 어플리케이션(10)이 설정된 휴대 단말기(1)를 대응지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에 의하면, 센터 서버(2)는 전자 티켓의 표시 요구에 있어서 취득한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대응 정보에 대응지어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센터 서버(2)는 판정의 결과,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대응 정보에 대응지어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일치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에 대응지어진 전자 티켓을, 어플리케이션(10)이 설정된 휴대 단말기(1)에 송신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센터 서버(2)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사용해서 요구원의 어플리케이션(10)을 식별할 수 있으므로,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에 대응지어진 전자 티켓을, 정당한 어플리케이션(10)에 송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센터 서버(2)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사용해서 요구원의 어플리케이션(10)이 설정된 휴대 단말기(1)를 식별할 수 있으므로,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에 대응지어진 전자 티켓을 정당한 휴대 단말기(1)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에 의하면, 센터 서버(2)는 전자 티켓의 표시 요구에 있어서 취득한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대응 정보에 대응지어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와도 일치하지 않는 경우, 표시 요구의 송신원의 휴대 단말기(1)에 어느 하나의 전자 티켓도 송신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센터 서버(2)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사용해서 요구원의 어플리케이션(10)을 식별할 수 있으므로, 전자 티켓을 부당한 어플리케이션(10)에 송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센터 서버(2)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사용해서 요구원의 어플리케이션(10)이 설정된 휴대 단말기(1)를 식별할 수 있으므로, 전자 티켓을 부당한 휴대 단말기(1)에 송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에 의하면, 센터 서버(2)는 할당된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어플리케이션(10)이 설정된 휴대 단말기(1)에 송신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센터 서버(2)는 송신한 후의 휴대 단말기(1)로부터의 액세스 요구를,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사용해서 행하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센터 서버(2)는 휴대 단말기(1)로부터의 액세스 요구에 대하여 정당한 휴대 단말기(1)로부터의 액세스 요구인 것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2]
그런데, 실시예 1에 관한 티켓 정보 관리 시스템(9)에서는, 이용자가 티켓을 구입했을 경우에, 구입한 티켓의 이용자가 구입한 티켓의 QR 코드를 표시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티켓 정보 관리 시스템(9)에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과거에 티켓을 구입한 이용자 중으로부터 초대받은 이용자가, 선착순으로 미리 정해진 인원수까지 티켓을 수취하고, 수취한 티켓의 QR 코드를 표시하는 경우여도 좋다.
따라서, 실시예 2의 티켓 정보 관리 시스템(9)에서는, 과거에 티켓을 구입한 이용자 중으로부터 초대받은 이용자가, 선착순으로 미리 정해진 인원수까지 티켓을 수취하고, 수취한 티켓의 QR 코드를 표시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2에 관한 티켓 정보 관리 시스템]
도 9는 실시예 2에 관한 티켓 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티켓 정보 관리 시스템(9)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그 중복되는 구성 및 동작의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실시예 1과 실시예 2가 상이한 점은, 휴대 단말기(1)의 어플리케이션(10)에, 티켓 수취부(13A)를 추가한 점이다. 실시예 1과 실시예 2가 상이한 점은, 휴대 단말기(1)의 어플리케이션(10)의 QR 표시 요구부(13)를 QR 표시 요구부(13B)로 변경한 점에 있다. 실시예 1과 실시예 2가 상이한 점은, 센터 서버(2)의 기억부(20)에 대상 유저 정보 DB(51)를 추가한 점이다. 실시예 1과 실시예 2가 상이한 점은, 센터 서버(2)의 제어부(30)에 티켓 정보 갱신부(32B)를 추가한 점이다. 실시예 1과 실시예 2가 상이한 점은, 센터 서버(2)의 제어부(30)의 티켓 표시부(32)를 티켓 표시부(32A)로 변경한 점이다. 또한, 티켓 정보 갱신부(32B)는 갱신부의 일례이다.
티켓 수취부(13A)는 수취 대상의 티켓을 수취한다. 예를 들어, 티켓 수취부(13A)는, 티켓 표시 요구부(12)에 의해 표시된 티켓 일람 중에서 선택된 티켓의 정보, 로그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티켓의 수취 요구를 센터 서버(2)에 송신한다. 또한, 티켓 수취부(13A)는, 선택된 티켓에 대해서 표시된 스테이터스를 미수취 상태로부터 수취 완료 상태로, 센터 서버(2)에 변경시킨다.
QR 표시 요구부(13B)는, 티켓 수취부(13A)에 의해 수취 완료 상태로 표시된 티켓의 정보, 로그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QR 코드의 표시 요구를 센터 서버(2)에 송신한다. QR 표시 요구부(13B)는, 로그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와 일치하는 QR 코드를 센터 서버(2)에 의해 표시시킨다. 또한, 휴대 단말기(1)가 별도의 휴대 단말기(1)와 같은 로그인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의 표시 요구를 송신해도, 로그인 정보와 일치하는 QR 코드는 표시되지 않는다. 각 휴대 단말기(1)에 설정된 어플리케이션(10)의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상이하기 때문이다.
대상 유저 정보 DB(51)는 티켓을 수취하는 것이 가능한 대상 유저의 정보를 기억한다. 여기서, 대상 유저 정보 DB(51)의 데이터 구조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실시예 2에 관한 대상 유저 정보 DB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대상 유저 정보 DB(51)는 회사 코드(51a), 초대 번호(51b), 유저 ID(51c)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51d)를 대응지어서 기억한다. 회사 코드(51a)는 회사를 식별하는 코드이다. 초대 번호(51b)는, 과거에 티켓을 구입한 유저 중으로부터 초대받은 유저에 대응하는 번호이다. 유저 ID(51c)는 유저를 식별하는 ID이다.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51d)는 유저 ID(51c)에 대응하는 유저가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1)에 설정된 어플리케이션(10)을 식별하는 식별 번호이다. 즉, 과거에 티켓을 구입한 유저가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1)에는, 티켓 및 티켓의 QR 코드를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10)이 설정되고, 어플리케이션(10)의 기억 영역에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저장되어 있다.
일례로서, 회사 코드(51a)가 「10101」일 경우, 초대 번호(51b)로서 「S0000001」, 유저 ID(51c)로서 「99990001」,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51d)로서 「T0000000001」라고 기억하고 있다.
티켓 표시부(32A)는 어플리케이션(10)으로부터 로그인 인증 문의를 수신한 경우, 로그인 인증을 행한다. 일례로서, 티켓 표시부(32A)는 문의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 및 로그인 정보를 키로 하여,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DB(21) 및 유저 정보 DB(23)를 사용하여 로그인 인증을 행한다.
또한, 티켓 표시부(32A)는 어플리케이션(10)으로부터 수취 가능한 티켓 일람의 표시 요구를 수신한 경우, 어플리케이션(10)의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수취 가능한 티켓의 일람을, 어플리케이션(10)이 설정된 휴대 단말기(1)의 모니터에 표시한다. 일례로서, 티켓 표시부(32A)는 수취 가능한 티켓 일람의 표시 요구에 포함되는 로그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대상 유저 정보 DB(51)에 기억된 어느 하나의 대상 유저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티켓 표시부(32A)는, 로그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대상 유저 정보 DB(51)에 기억된 어느 하나의 대상 유저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즉, 티켓 표시부(32A)는 초대용으로 사전에 등록된 티켓 정보 중에서 미수취된 티켓 정보가 있는 경우, 당해 티켓 정보를 요구원의 휴대 단말기(1)의 모니터에 표시한다. 한편, 티켓 표시부(32A)는 로그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대상 유저 정보 DB(51)에 기억된 어느 하나의 대상 유저 정보와도 일치하지 않는 경우, 티켓 정보를 요구원의 휴대 단말기(1)의 모니터에 표시하지 않는다. 즉, 티켓 표시부(32A)는, 로그인 정보(유저 ID)와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일치한 티켓 정보만을, 당해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의 어플리케이션(10)이 설정된 휴대 단말기(1)에 표시한다. 다시 말해, 티켓 표시부(32A)는 로그인 정보(유저 ID)가 동일해도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상이한 휴대 단말기(1)에, 로그인 정보와 일치한 티켓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다. 각 휴대 단말기(1)에 설정된 어플리케이션(10)의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상이하기 때문이다.
티켓 정보 갱신부(32B)는, 어플리케이션(10)으로부터 티켓의 수취 요구를 수신한 경우, 티켓 정보 DB(22)에 대해서, 수취 요구가 있었던 티켓의 티켓 정보의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 및 유저 ID를 갱신한다. 티켓의 수취 요구에는, 로그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포함된다. 또한, 티켓 정보 갱신부(32B)는, 수취 요구가 있었던 티켓에 대해서, 휴대 단말기(1)의 모니터에 표시된 스테이터스를 미수취 상태로부터 수취 완료 상태로 변경한다.
[QR 표시 처리의 시퀀스]
이어서, QR 표시 처리의 시퀀스를, 적절히 각종 DB 내의 데이터의 내용을 사용하면서 설명한다. 도 11은 실시예 2에 관한 QR 표시 처리의 시퀀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도 12에 나타나는 티켓 정보 DB(22),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DB(21), 유저 정보 DB(23) 및 대상 유저 정보 DB(51)에 기억되는 각 레코드를 적절히 사용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센터 서버(2)에서는 미리 초대수만큼의 티켓 정보를 작성하여, 티켓 정보 DB(22)에 등록한다(스텝 S41). 그리고, 센터 서버(2)에서는, 티켓 취득의 권리를 갖는 대상자를 유저 정보 DB(23)에 등록한다. 대상자는, 이미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가지고 있는 유저가 대상이다(스텝 S42). 여기에서는, 티켓 정보 DB(22)에 등록된 티켓 정보에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 및 유저 ID(b1)가 아직 설정되어 있지 않다(도 12, No.6 참조). 또한, 대상 유저 정보 DB(51)에는 티켓을 취득 가능한 유저가 등록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시퀀스에서는 유저 ID가 「99990001」인 유저의 QR 표시에 대해서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유저가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1)에 설정된 어플리케이션(10)의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는 「T0000000001」인 것으로 한다.
이러한 상황 하, 휴대 단말기(1)에서는 어플리케이션(10)이 기동된다. 그러면, 어플리케이션(10)은 저장 영역을 참조하여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의 유무를 확인하고,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는다(스텝 S43). 여기에서는, 어플리케이션(10)은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는다. 이때, 센터 서버(2)의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DB(21)에는, 이미 어플리케이션(10)의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21b)가 설정되어 있다(도 12, No.7).
계속해서, 휴대 단말기(1)에서는 로그인 정보가 입력되면, 티켓 표시 요구부(12)가, 입력된 로그인 정보 및 저장 영역에 기억된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센터 서버(2)에 송신하고, 로그인 인증을 문의한다(스텝 S44). 로그인 정보에는, 예를 들어 유저 ID가 포함된다.
센터 서버(2)에서는 티켓 표시부(32A)가, 로그인 인증 문의를 수신하면, 로그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사용해서 로그인 인증을 실시한다(스텝 S45). 여기에서는, 유저 정보 DB(23)에 유저 ID(23c)로서 「99990001」,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23b)로서 「T0000000001」이 설정되어 있다(도 12, No.8). 따라서, 티켓 표시부(32A)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및 로그인 정보를 키로 하여, 유저 정보 DB(23)를 사용해서 로그인 인증을 실시하고, 로그인 인증이 성공한다.
계속해서, 휴대 단말기(1)에서는, 티켓 표시 요구부(12)는 로그인 인증이 성공한 것을 수신하면, 수취 가능한 티켓의 일람을 표시하기 위해, 수취 가능한 티켓 일람의 표시 요구를 송신한다(스텝 S46). 수취 가능한 티켓 일람의 표시 요구에는, 로그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포함된다.
센터 서버(2)에서는 티켓 표시부(32A)가, 수취 가능한 티켓 일람의 표시 요구를 수신한다. 그러면, 티켓 표시부(32A)는 요구에 포함된 로그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대상 유저 정보 DB(51)에 기억된 어느 하나의 대상 유저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47). 로그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대상 유저 정보 DB(51)에 기억된 어느 하나의 대상 유저 정보와 일치한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47; "예"), 티켓 표시부(32A)는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즉, 티켓 표시부(32A)는, 사전에 등록된 티켓 정보 DB(22)에 기억된 티켓 정보에 미수취된 티켓 정보가 있으면, 당해 티켓 정보를 휴대 단말기(1)에 되돌린다(스텝 S48).
한편, 로그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대상 유저 정보 DB(51)에 기억된 어느 하나의 대상 유저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47; "아니오"), 티켓 표시부(32A)는 티켓 일람의 검색에 실패했다고 판단한다(스텝 S49). 그리고, 티켓 표시부(32A)는 티켓 정보를 휴대 단말기(1)에 되돌리지 않는다.
여기에서는 도 12의 No.9를 참조한다. 티켓 정보 DB(22)에는 자리 번호(22i) 「184번」과 「183번」의 2개의 티켓 정보가 아직 수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티켓 표시부(32A)는 미수취된 티켓 정보를 요구원의 휴대 단말기(1)에 되돌린다. 즉, 티켓 표시부(32A)는 미수취된 티켓 정보의 일람을 요구원의 휴대 단말기(1)의 모니터에 표시한다.
계속해서, 휴대 단말기(1)에서는, 모니터에 표시된 티켓 정보의 일람 중에서 티켓 정보가 이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티켓 수취부(13A)는 선택된 티켓 정보의 티켓을 수취하기 위해, 티켓의 수취 요구를 송신한다(스텝 S50). 티켓의 수취 요구에는 로그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에 더하여 선택된 티켓 정보가 포함된다.
센터 서버(2)에서는, 티켓 정보 갱신부(32B)가 어플리케이션(10)으로부터 티켓의 수취 요구를 수신하면, 티켓 정보 DB(22)에 대해서, 수취 요구가 있었던 티켓의 티켓 정보로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 및 유저 ID를 갱신한다. 그리고, 티켓 정보 갱신부(32B)는 수취 요구가 있었던 티켓에 대해서, 휴대 단말기(1)의 모니터에 표시된 스테이터스를 미수취 상태로부터 수취 완료 상태로 변경한다(스텝 S51). 여기에서는 도 12의 No.10을 참조한다. 어플리케이션(10)으로부터 수취 요구가 있었던 티켓의 자리 번호가 「184번」이라고 하면, 티켓 정보 DB(22)의 자리 번호(22i)가 「184번」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22b)가 「T0000000001」로 설정된다. 티켓 정보 DB(22)의 자리 번호(22i)가 「184번」에 대응하는 유저 ID(22c)가 「99990001」로 설정된다.
계속해서, 휴대 단말기(1)에서는 수취 요구의 티켓을 수취하면, QR 표시 요구부(13B)는 수취한 티켓의 QR 코드를 표시하기 위해, QR 코드의 표시 요구를 송신한다(스텝 S52). QR 코드의 표시 요구에는 로그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에 더하여, 수취한 티켓의 티켓 정보가 포함된다.
센터 서버(2)에서는 QR 표시부(33)가 QR 코드의 표시 요구를 수신한다. 그러면, QR 표시부(33)는 요구에 포함된 로그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티켓 정보 DB(22)에 기억된, 수취한 티켓의 티켓 정보의 로그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53). 로그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티켓 정보 DB(22)에 기억된, 수취한 티켓의 티켓 정보와 일치 한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53; "예"), QR 표시부(33)는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즉, QR 표시부(33)는 수취한 티켓의 티켓 정보의 QR 화상을 휴대 단말기(1)에 되돌린다(스텝 S54).
한편, 로그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티켓 정보 DB(22)에 기억된, 수취한 티켓의 티켓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53; "아니오"), QR 표시부(33)는 QR 표시에 실패했다고 판단하고(스텝 S55), QR 화상을 휴대 단말기(1)에 되돌리지 않는다.
여기에서는 도 12의 No.11을 참조한다. 수취한 티켓의 티켓 정보의 자리 번호가 「184번」이라고 하면, QR 표시부(33)는 자리 번호(22i)에 대응하는 QR 화상 파일명(22m) 「F15300.jpeg」의 QR 화상을 요구원의 휴대 단말기(1)에 되돌린다. 즉, QR 표시부(33)는 수취한 티켓의 티켓 정보의 QR 화상을 요구원의 휴대 단말기(1)의 모니터에 표시한다.
[실시예 2의 효과]
상기 실시예 2에 의하면, 센터 서버(2)는 휴대 단말기(1)에 설정된 어플리케이션(10)의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와 티켓 정보를 대응짓는 대응 정보를 티켓 정보 DB(22)에 기억한다. 그리고, 센터 서버(2)는 복수의 티켓 정보를 복수의 상이한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에 대응지을 경우,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즉, 센터 서버(2)는 어플리케이션(10)으로부터의 요구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10)에 의해 입력된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티켓 정보 중 아직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대응지어져 있지 않은 티켓 정보와 대응지어서 티켓 정보 DB(22)에 갱신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센터 서버(2)는 요구가 있었던 어플리케이션(10)의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티켓 정보와 대응지어서 티켓 정보 DB(22)에 갱신하므로, 어플리케이션(10)이 티켓 정보와 대응지어지게 되고, 어플리케이션(10)끼리를 식별할 수 있다. 이 결과, 휴대 단말기(1)에 설정된 어플리케이션(10)에 대응지어진 티켓 정보는 다른 휴대 단말기에 누설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예 2에 의하면, 센터 서버(2)는 전자 티켓의 표시 요구에 있어서 취득한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대응 정보에 대응지어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센터 서버(2)는 판정의 결과,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대응 정보에 대응지어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일치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에 대응지어진 전자 티켓을, 어플리케이션(10)이 설정된 휴대 단말기(1)에 송신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센터 서버(2)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사용해서 요구원의 어플리케이션(10)을 식별할 수 있으므로,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에 대응지어진 전자 티켓을, 정당한 어플리케이션(10)에 송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센터 서버(2)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사용해서 요구원의 어플리케이션(10)이 설정된 휴대 단말기(1)를 식별할 수 있으므로,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에 대응지어진 전자 티켓을, 정당한 휴대 단말기(1)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2에 의하면, 센터 서버(2)는 전자 티켓의 표시 요구에 있어서 취득한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가, 대응 정보에 대응지어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와도 일치하지 않는 경우, 표시 요구의 송신원의 휴대 단말기(1)에 어느 하나의 전자 티켓도 송신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센터 서버(2)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사용해서 요구원의 어플리케이션(10)을 식별할 수 있으므로, 전자 티켓을 부당한 어플리케이션(10)에 송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센터 서버(2)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사용해서 요구원의 어플리케이션(10)이 설정된 휴대 단말기(1)를 식별할 수 있으므로, 전자 티켓을 부당한 휴대 단말기(1)에 송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센터 서버(2)는 기지의 퍼스널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등의 정보 처리 장치에 상기한 제어부(30)와, 기억부(20) 등의 각 기능을 탑재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입장 시 인증에 사용되는 코드를 QR 코드라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입장 시 인증에 사용되는 코드는 QR 코드에 한정되지 않고, 1차원의 바코드여도 좋다. 또한, 2차원의 바코드여도 좋고, 전자적으로 이용자의 휴대 단말기(1)에 표시할 수 있는 가시 정보이면 된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10)은 휴대 단말기(1)에 표시할 수 있는 티켓이나 가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면 된다.
또한, 도시한 각 장치의 각 구성 요소는, 반드시 물리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각 장치의 분산·통합의 구체적인 형태는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전부 또는 일부를 각종 부하 및 사용 상황 등에 따라, 임의의 단위로 기능적 또는 물리적으로 분산·통합해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티켓 표시 요구부(12)와 QR 표시 요구부(13)를 하나의 요구부로서 통합해도 좋다. 한편,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생성부(31)를,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생성한 어플리케이션 식별 번호를 반환하는 반환부로 분산해도 좋다. 또한, 티켓 정보 DB(22) 등의 기억부(20)를 센터 서버(2)의 외부 장치로서 네트워크 경유로 접속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에 관하여, 추가로 이하의 부기를 개시한다.
(부기 1) 단말기와의 통신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에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에 식별 정보를 할당하는 할당부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경유로 전자 정보의 취득 요구를 접수하는 접수부와,
상기 전자 정보의 식별 정보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대응지은 대응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취득 요구에 있어서 취득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대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에 대응지어진 전자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관리 장치.
(부기 2) 부기 1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취득 요구에 있어서 취득한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정보의 식별 정보와 상기 취득 요구에 있어서 취득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대응지은 대응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관리 장치.
(부기 3) 부기 2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미리 정해진 복수의 전자 정보를 각각 상이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에 대응지을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경유로 이용자의 인증 요구를 접수하여 이용자 인증이 되면, 상기 인증 요구에 있어서 취득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상기 복수의 전자 정보 중 아직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와 대응지어져 있지 않은 전자 정보와 대응지은 대응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관리 장치.
(부기 4) 부기 1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취득 요구에 있어서 취득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가, 상기 대응 정보에 대응지어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부에 의한 판정의 결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가 상기 대응 정보에 대응지어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일치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에 대응지어진 전자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정된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전자 정보 송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관리 장치.
(부기 5) 부기 4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정보 송신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가, 상기 대응 정보에 대응지어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와도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정된 상기 단말기에 어느 하나의 전자 정보도 송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관리 장치.
(부기 6) 부기 1에 있어서, 상기 할당부에 의해 할당된 식별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정된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식별 정보 송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관리 장치.
(부기 7) 정보 관리 장치와의 통신에 의해, 단말기에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에 할당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는 이용자에 대응하는 전자 정보의 취득을 요구하는 요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부기 8) 부기 7에 있어서,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의 기억 영역에 저장하는 저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부기 9) 복수의 단말기와 정보 관리 장치를 갖는 정보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정보 관리 장치와의 통신에 의해, 자 단말기에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에 할당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는 이용자에 대응하는 전자 정보의 취득을 요구하는 요구부를 갖고,
상기 정보 관리 장치는,
상기 단말기와의 통신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에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에 식별 정보를 할당하는 할당부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경유로 전자 정보의 취득 요구를 접수하는 접수부와,
상기 전자 정보의 식별 정보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대응지은 대응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취득 요구에 있어서 취득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대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에 대응지어진 전자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관리 시스템.
1: 휴대 단말기
10: 어플리케이션
11: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저장부
12: 티켓 표시 요구부
13, 13B: QR 표시 요구부
13A: 티켓 수취부
2: 센터 서버
20: 기억부
21: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DB
22: 티켓 정보 DB
23: 유저 정보 DB
3: 네트워크
30: 제어부
31: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생성부
32, 32A: 티켓 표시부
32B: 티켓 정보 갱신부
33: QR 표시부
51: 대상 유저 정보 DB
9: 티켓 정보 관리 시스템

Claims (8)

  1. 단말기와의 통신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에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에 식별 정보를 할당하는 할당부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경유로 전자 정보의 취득 요구를 접수하는 접수부와,
    상기 취득 요구에 있어서 취득한 이용자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전자 정보의 식별 정보와 상기 취득 요구에 있어서 취득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대응지은 대응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취득 요구에 있어서 취득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대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에 대응지어진 상기 전자 정보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취득 요구에 있어서 취득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가, 상기 대응 정보에 대응지어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부에 의한 판정의 결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가 상기 대응 정보에 대응지어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일치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에 대응지어진 상기 전자 정보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정된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전자 정보 송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정보 송신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가, 상기 대응 정보에 대응지어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와도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정된 상기 단말기에 어느 하나의 전자 정보도 송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관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부에 의해 할당된 식별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정된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식별 정보 송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대응하는 전자 정보의 식별 정보 일람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관리 장치.
  6. 복수의 단말기와 정보 관리 장치를 갖는 정보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정보 관리 장치와의 통신에 의해, 자 단말기에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에 할당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는 이용자에 대응하는 전자 정보의 취득을 요구하는 요구부를 갖고,
    상기 정보 관리 장치는,
    상기 단말기와의 통신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에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에 식별 정보를 할당하는 할당부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경유로 전자 정보의 취득 요구를 접수하는 접수부와,
    상기 취득 요구에 있어서 취득한 이용자의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전자 정보의 식별 정보와 상기 취득 요구에 있어서 취득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대응지은 대응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취득 요구에 있어서 취득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대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에 대응지어진 상기 전자 정보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관리 시스템.
  7. 삭제
  8. 삭제
KR1020140144983A 2013-11-11 2014-10-24 정보 관리 장치, 단말기 및 정보 관리 시스템 KR1016252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33526 2013-11-11
JP2013233526A JP2015095057A (ja) 2013-11-11 2013-11-11 情報管理サーバ、端末および情報管理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546A KR20150055546A (ko) 2015-05-21
KR101625298B1 true KR101625298B1 (ko) 2016-05-30

Family

ID=53044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4983A KR101625298B1 (ko) 2013-11-11 2014-10-24 정보 관리 장치, 단말기 및 정보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134376A1 (ko)
JP (1) JP2015095057A (ko)
KR (1) KR101625298B1 (ko)
CN (1) CN1046370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94967A1 (en) * 2015-03-31 2016-10-06 Toshiba Global Commerce Solutions Holdings Corporation Discoverable and shareable device brokers in pos system
KR102408649B1 (ko) * 2016-02-19 2022-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경 설정 방법 및 장치
CN105740959A (zh) * 2016-03-31 2016-07-06 中山艾华企业管理咨询有限公司 一种车队预约管理方法及系统
IT202100017576A1 (it) * 2021-07-02 2023-01-02 Gianluca Bizzoni “sistema di automazione delle procedure di prenotazione e attesa presso i locali di ristorazione, somministrazione bevande ed organizzazione eventi, mediante modalita’ di prenotazione e generazione del titolo di accesso in tempo reale, per il tramite di una rete di telecomunicazioni dedicat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2281A (ja) 2004-09-24 2006-04-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認証機能を備えたセキュリティデバイス
JP2012073890A (ja) 2010-09-29 2012-04-12 Dainippon Printing Co Ltd サーバ装置、チケット情報表示プログラム、及び電子チケット提供方法等
JP2013020599A (ja) * 2011-07-08 2013-01-31 Tikyu Net Com Co Ltd 電子チケットの販売、利用及び入場管理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5928B2 (ja) * 2000-09-29 2011-03-09 ヤマハ株式会社 入場許可認証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3308299A (ja) * 2002-04-17 2003-10-31 Patent One Kk アクセス権限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アクセス権限情報管理装置、携帯電話機、情報提供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4053503B2 (ja) * 2004-01-28 2008-02-27 日立情報通信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サーバ装置、入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入場管理方法
JP2005332257A (ja) * 2004-05-20 2005-12-02 Nec Corp 顧客サービス提供/商品動向把握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039728A (ja) * 2004-07-23 2006-02-09 Nec Corp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US8015116B2 (en) * 2005-01-21 2011-09-06 Newport Scientific Research Llc Methods for authentication
CN1648950A (zh) * 2005-02-17 2005-08-03 中华电信股份有限公司 电子票券服务系统
JP4742698B2 (ja) * 2005-05-30 2011-08-10 株式会社ジード クーポンを利用した店舗の販売促進システム
US8401009B1 (en) * 2007-07-23 2013-03-19 Twitter, Inc. Device independent message distribution platform
US9037513B2 (en) * 2008-09-30 2015-05-19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 event tickets
US8870089B2 (en) * 2008-12-01 2014-10-28 Stubhub, Inc. System and methods for variable distribution and access control for purchased event tickets
US8296323B2 (en) * 2009-01-20 2012-10-23 Titanium Fire Ltd. Personal data subscriber systems and methods
JP2010211294A (ja) * 2009-03-06 2010-09-24 Toshiba Corp ユーザ認証システムおよびユーザ認証方法
CA2823733C (en) * 2011-01-14 2019-06-11 Flash Seats, Llc Mobile application bar code identification method and system
US20120296826A1 (en) * 2011-05-18 2012-11-22 Bytemark,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electronic tickets with visual display
JP5396433B2 (ja) * 2011-05-30 2014-01-22 ヤフー株式会社 情報配信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3168815A1 (ja) * 2012-05-10 2013-11-14 株式会社 東京メカトロニクス 携帯端末を利用して認証および決済を行う方法およびシステム
TWI591554B (zh) * 2012-05-28 2017-07-11 Chunghwa Telecom Co Ltd Electronic ticket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10108909B2 (en) * 2013-07-11 2018-10-23 Metropolitan Life Insurance Co. System for authentication and tracking of event ticke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2281A (ja) 2004-09-24 2006-04-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認証機能を備えたセキュリティデバイス
JP2012073890A (ja) 2010-09-29 2012-04-12 Dainippon Printing Co Ltd サーバ装置、チケット情報表示プログラム、及び電子チケット提供方法等
JP2013020599A (ja) * 2011-07-08 2013-01-31 Tikyu Net Com Co Ltd 電子チケットの販売、利用及び入場管理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546A (ko) 2015-05-21
CN104637093A (zh) 2015-05-20
US20150134376A1 (en) 2015-05-14
CN104637093B (zh) 2017-10-31
JP2015095057A (ja) 2015-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75153B2 (ja) 処理サーバおよび譲渡管理方法
CN109509287B (zh) 电子投票系统以及控制方法
KR101625298B1 (ko) 정보 관리 장치, 단말기 및 정보 관리 시스템
CN108701177A (zh) 设备启用的身份认证
CN111832938A (zh) 基于订单的配对方法和配对设备
CN103959706A (zh) 朝向内容消费者迁移经过认证的内容
JP2015148891A (ja) 特典付与システム、特典付与方法、携帯端末、レジ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692405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202295B1 (ko) 고유키 값을 이용한 간편 결제 방법 및 그 장치
CN111279341B (zh) 访问确认用的系统、移动终端装置、服务器、程序和方法
JP6476601B2 (ja) 物体画像情報管理サーバ、物体関連情報管理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JP2007148471A (ja) サービス通知システム
JP2006191384A (ja) 移動機及びコンテンツ送信方法
US20140157433A1 (en) Management apparatus, membership managing method,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mbership managing system
GB2436446A (en) Multiple ticket reservation system
TW202213136A (zh) 認證系統、認證方法及程式產品
JP2017107440A (ja) サーバ装置及び電子チケットシステム
US20170344810A1 (en) Facilitating monitoring of users
US20190236632A1 (en) System and method of safely distributing high demand products
CN113472781B (zh) 一种服务获取方法、服务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09301211A (ja) 販売促進費動的管理システム、トークン管理サーバ、携帯端末及び販売促進費動的管理方法
KR20170010054A (ko) 물품배송처리서버
JP701826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159782B2 (ja) 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端末の制御方法および端末制御プログラム
WO2024080288A1 (ja) 部屋付け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