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2577B1 - 화상형성장치, 인쇄 과금 시스템 및 인쇄 과금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인쇄 과금 시스템 및 인쇄 과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2577B1
KR101622577B1 KR1020100000888A KR20100000888A KR101622577B1 KR 101622577 B1 KR101622577 B1 KR 101622577B1 KR 1020100000888 A KR1020100000888 A KR 1020100000888A KR 20100000888 A KR20100000888 A KR 20100000888A KR 101622577 B1 KR101622577 B1 KR 101622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user
quota information
forming apparatus
j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0581A (ko
Inventor
이내석
최환준
이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0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577B1/ko
Priority to US12/923,670 priority patent/US8823966B2/en
Priority to EP10196336A priority patent/EP2343639A3/en
Priority to CN2010106095469A priority patent/CN102123220A/zh
Publication of KR20110080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0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4Tools and structures for managing or administering access control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6Protecting data by securing the transmission between two devices or processes
    • G06F21/608Secure 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39Restricting the usage of resources, e.g. usage or user levels, credit limit, consumables, special fo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Job scheduling, e.g. queuing, determine appropriate device
    • G06F3/1261Job scheduling, e.g. queuing, determine appropriate device by using alternate 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1Pool of printer devices: self-managing printing devices in a network, e.g. without a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et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와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타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정보 및 타 화상형성장치와 공유하는 사용자별 쿼타(quota)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잡 수행 명령이 입력되면, 잡 수행 명령에서 요청되는 작업 매수가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충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잡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잡을 수행하는 기능부, 잡 수행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갱신하는 쿼타 정보 관리부, 및, 갱신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인쇄 과금 시스템 및 인쇄 과금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PRINTING CHARGING SYSTEM AND METHOD OF CHARGING FOR PRINTING}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인쇄 과금 시스템 및 인쇄 과금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화상형성장치를 그룹화하고, 그룹화된 화상형성장치 간에 쿼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인쇄 과금 시스템 및 인쇄 과금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기록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 Function Peripheral: MFP) 등을 들 수 있다.
최근에 관공서, 대학, 또는 기업체는 수많은 화상형성장치를 용이하게 관리하기 위하여 관리 서버를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관리 서버는 개인별 잡 어카운팅(job accounting)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의 잡 어카운팅 방법은, 사용자의 쿼타 정보를 관리 서버가 보유하고, 화상형성장치는 잡을 수행할 때마다 관리 서버에 쿼타 정보를 요청하거나, 관리 서버로부터 출력 진행 여부를 확인받는 형태로 수행되었다는 점에서, 관리 서버에 연결된 화상형성장치의 개수가 증가할 때마다 화상형성장치와 관리 서버 간에 트래픽이 가중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에 쿼타 정보를 저장하여 잡 어카운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자신의 쿼타 정보가 저장된 화상형성장치에서만 인쇄 잡을 수행할 수밖에 없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관리 서버와 화상형성장치 간에 트래픽 부하를 경감하고, 다수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용이하게 인쇄 잡을 수행할 수 있는 잡 어카운팅 방법에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그룹화된 화상형성장치 간에 쿼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인쇄 과금 시스템 및 인쇄 과금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타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와 공유하는 사용자별 쿼타(quota)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잡 수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잡 수행 명령에서 요청되는 작업 매수가 상기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충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잡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잡을 수행하는 기능부, 상기 잡 수행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갱신하는 쿼타 정보 관리부, 및, 상기 갱신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잡 수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잡 수행 명령을 요청한 사용자에 대한 쿼타 정보를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에 요청하여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쿼타 정보 관리부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에 대한 쿼타 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갱신 또는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모든 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쿼타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잡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잡 수행 명령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이 수행된 잡 수행 명령에 대해서만 상기 잡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저장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타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와 공유하는 사용자별 쿼타(quota) 정보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기설정된 시점에 상기 갱신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잡 수행 명령에 요청되는 작업 매수가 상기 사용자별 쿼타 정보에 충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잡 수행을 수행할 수 없음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갱신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화상형성장치에 상기 갱신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반복적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 과금 시스템은, 복수의 화상형성장치, 및, 상기 복수의 화상형성장치를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 그룹으로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화상형성장치 그룹 각각에 대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생성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타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생성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쿼타 정보를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포함된 화상형성장치 그룹 내의 타 화상형성장치와 공유하고, 공유된 쿼타 정보에 따라 잡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수신된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타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에 요청하여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수신된 쿼타 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갱신 또는 유지하는 쿼타 정보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잡 수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잡 수행 명령에 요청되는 작업 매수가 상기 사용자별 쿼타 정보에 충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인쇄 작업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잡을 수행하는 기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쿼타 정보 관리부는, 상기 잡 수행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갱신하고, 갱신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가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에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과금 방법은, 잡 수행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잡 수행 명령에서 요청되는 작업 매수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기저장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충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잡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잡 수행 여부에 따라, 잡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잡 수행에 따라 상기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본 인쇄 과금 방법은, 상기 잡 수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잡 수행 명령을 요청한 사용자에 대한 쿼타 정보를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에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인쇄 과금 방법은, 상기 수신된 사용자에 대한 쿼타 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잡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모든 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쿼타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잡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인쇄 과금 방법은, 상기 잡 수행 명령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잡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이 수행된 잡 수행 명령에 대해서만 상기 잡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인쇄 과금 방법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타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와 공유하는 사용자별 쿼타(quota) 정보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타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기저장하는 단계, 및 기설정된 시점에 상기 갱신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인쇄 과금 방법은, 상기 잡 수행 명령에 요청되는 작업 매수가 상기 사용자별 쿼타 정보에 충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잡을 수행할 수 없음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갱신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갱신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화상형성장치에 상기 갱신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반복적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장치는 복수의 화상형성장치를 그룹화하고, 그룹별로 쿼타 정보를 관리하는바, 쿼타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그룹 내의 타 화상형성장치와 쿼타 정보를 공유하여 저장하는바, 관리 서버와 화상형성장치 간의 트래픽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동일한 그룹 내의 화상형성장치에 대해서 별도의 설정 없이도 자신에게 부여된 쿼타를 이용하여 잡을 수행할 수 있는바,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쇄 과금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관리 서버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복수의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그룹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관리 서버(100)에 저장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가 화상형성장치 그룹에 전달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2의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인쇄 잡을 수행한 화상형성장치에서 타 화상형성장치에 전달되는 갱신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과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쇄 과금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쇄 과금 시스템(1000)은 관리 서버(100) 및 복수의 화상형성장치(200-1, 200-2, 200-3, …, 200-n)을 포함한다.
관리 서버(100)는 복수의 화상형성장치를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 그룹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화상형성장치 그룹 각각에 대한 사용자별 쿼타(quota) 정보를 생성한다. 관리 서버(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2를 참고하여 후술한다.
복수의 화상형성장치(200-1, 200-2, 200-3, …, 200-n)는 관리 서버(100)와 연결되며, 관리 서버(100)로부터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타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정보' 및 '생성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쿼타 정보를 같은 그룹 내의 타 화상형성장치와 공유하고, 공유된 쿼타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요청한 잡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은 도 3을 참고하여 후술한다.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4대의 화상형성장치(200-1, 200-2, 200-3, …, 200-n)가 관리 서버(100)에 직접 연결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4 대 이상의 화상형성장치가 관리 서버(1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직접 연결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라우터 및 다른 관리 서버 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관리 서버(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관리 서버(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저장부(130), 관리부(140) 및 제어부(150)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복수의 화상형성장치(200-1, 200-2, 200-3, …, 200-n)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관리 서버(100)를 외부 장치와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고,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복수의 화상형성장치(200-1, 200-2, 200-3, …, 200-n)에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도 1에는 화상형성장치(200-1, 200-2, 200-3, …, 200-n)와 관리 서버(100)가 직접 연결되는 형태에 대해서만 도시되어 있지만, 구현시에는 다른 서버 또는 라우터 등을 통하여 연결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타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정보'(이하, 그룹 정보), '생성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복수의 화상형성장치(200-1, 200-2, 200-3, …, 200-n) 각각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후술할 관리부(140)에서 생성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 및 '그룹 정보'를 각각의 화상형성장치(200-1, 200-2, 200-3, …, 200-n)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200-1, 200-2, 200-3, …, 200-n)는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화상형성장치 그룹 내에서 공유하는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그룹별로 하나의 화상형성장치에만 생성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전달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쿼타 정보는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여 잡을 수행할 수 있는 권한과 관련된 정보로, 프린터 가능 매수, 복사 가능 매수, 팩스 가능 매수, 스캔 가능 매수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쿼타 정보는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금액 정보일 수도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각각의 화상형성장치(200-1, 200-2, 200-3, …, 200-n)로부터 갱신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각각의 화상형성장치(200-1, 200-2, 200-3, …, 200-n)에 현재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여 수신하거나, 기설정된 시점(매일 정오 12:00 또는 4시간 간격 등)에 각각의 화상형성장치(200-1, 200-2, 200-3, …, 200-n)로부터 쿼타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화상형성장치에서 잡이 수행될 때마다 관리 서버와 화상형성장치 간에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네트워크 상에 트래픽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관리 서버(1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하며, 관리 서버(100)에서 제공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터치패드 등과 같이 입력과 출력이 동시에 구현되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마우스 및 모니터의 결합을 통한 장치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관리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창을 이용하여 관리 서버(100)와 연결된 복수의 화상형성장치를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이용하여, 분리될 그룹에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할 사용자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하여 각각의 사용자별 쿼타(quota)를 할당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화상형성장치 그룹 정보 및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또는 관리부(140)를 통하여 설정된 그룹 정보(예를 들어, 동일한 그룹에 포함된 화상형성장치의 IP 주소 등) 및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수신된 각각의 화상형성장치(200-1, 200-2, 200-3, …, 200-4)로부터 수신된 쿼타 정보(갱신된 쿼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30)는 관리 서버(100) 내의 저장매체 및 외부 저장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네트워크를 통한 웹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관리부(140)는 복수의 화상형성장치(200-1, 200-2, 200-3, …, 200-n)에 대한 정보를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관리부(140)는 관리 서버(100)와 연결된 복수의 화상형성장치(200-1, 200-2, 200-3, …, 200-n)에 대한 IP 주소, 모델명 등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부(140)는 복수의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 그룹으로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부(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설정받은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관리 서버(100)와 연결된 복수의 화상형성장치를 그룹화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부(140)는 분리된 화상형성장치 그룹에 해당하는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부(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하여 입력받은 정보 또는 기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각각의 그룹에 대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그룹별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관리 서버(100) 내의 각 구성에 대해서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적 정보, 권한 정보 등을 수신하면, 사용자 각각에 대한 쿼타 정보가 생성되도록 관리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하여 각각의 사용자가 사용할 화상형성장치 그룹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으면, 각각의 화상형성장치 그룹에 해당하는 사용자별 쿼타 정보가 생성되도록 관리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생성된 그룹별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해당 그룹의 화상형성장치에 전송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각각의 화상형성장치로부터 갱신된 쿼타 정보를 수신하면, 갱신된 쿼타 정보를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2를 설명함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하여 그룹 정보 및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설정받는 실시예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관리 서버(100)와 연결된 단말장치(미도시)를 통하여 그룹 정보 및 사용자별 쿼타 정보는 설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장치(100)는 복수의 화상형성장치를 그룹화하고, 그룹별로 쿼타 정보를 관리하는바, 쿼타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2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화상형성장치(2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 저장부(230), 쿼타 정보 관리부(240), 인증부(250), 기능부(260) 및 제어부(270)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화상형성장치(200)를 관리 서버(100)와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타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인쇄 제어 단말장치(1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관리 서버(100)로부터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타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정보,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관리 서버(100)로부터 화상형성장치(200)가 속하는 그룹에 해당하는 타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정보 및 해당 그룹에 대응하는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잡 수행을 요청받으면,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타 화상형성장치에 쿼타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고, 요청에 대응하여 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쿼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현시에는 별도의 요청이 없더라도 주기적으로 쿼타 정보를 수신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갱신된 쿼타 정보를 그룹 내의 타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잡 수행에 따라 쿼타 정보가 변경된 경우, 갱신된 쿼타 정보가 그룹 내의 타 화상형성장치에도 반영될 수 있도록, 갱신된 쿼타 정보를 그룹 내의 타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갱신된 쿼타 정보를 전달하는 내용만을 설명하였지만, 도 8에 도시된 정보(화상형성장치에서 수행된 잡의 내용)을 타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관리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기설정된 시점, 예를 들어, 기설정된 시간 또는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화상형성장치(200)가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관리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별 쿼타 정보는 그룹 내에서 공유된다는 점에서, 구현시에는 그룹 내의 대표 화상형성장치 하나만 관리 서버(100)에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전달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인쇄 제어 단말장치(10)로부터 잡 수행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10)로부터 스캔 잡, 인쇄 잡, 팩스 잡 등의 잡 수행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요청된 잡 결과를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 인쇄 제어 단말장치(1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10)의 잡의 수행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예를 들어, 인쇄 잡을 요청한 사용자가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인 경우, 또는 해당 인쇄 잡을 수행하기에 해당 사용자의 쿼타가 부족한 경우)에는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 인쇄 제어 단말장치(10)에 에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제공되는 각종 정보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터치패드 등과 같이 입력과 출력이 동시에 구현되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마우스, 키보드 등과 같은 입력 장치 및 CRT 모니터, LCD 모니터, LED 등과 같은 표시 장치를 결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잡 수행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잡 수행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으며,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통하여 잡 수행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잡 수행 명령을 입력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입력받은 잡 수행 명령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 잡 수행을 수행할 수 없음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후술할 제어부(270)의 판단에 따라 요청된 잡의 작업 매수가 사용자별 쿼타 정보에 충족하지 않은 경우나,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로부터 잡 수행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잡 수행을 수행할 수 없음을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타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정보 및 타 화상형성장치와 공유하는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2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하여 관리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타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정보 저장하고,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quota ID'(710), '사용자'(720), 'quota'(730), '그룹'(740) 항목을 갖는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저장된 쿼타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230)는 후술할 쿼타 정보 관리부(24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된 쿼타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230)는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수행된 잡의 이력을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저장부(230)는 화상형성장치(200) 내의 저장매체 및 외부 저장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호스트(Host)에 연결된 저장매체, 네트워크를 통한 웹 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쿼타 정보 관리부(240)는 수신된 사용자에 대한 쿼타 정보와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갱신 또는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200)는 다른 화상형성장치로부터 갱신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예를 들어, 전원 오프 상태이거나, 에러가 발생된 상태에서 갱신 정보를 수신한 경우)가 있다. 따라서, 쿼타 정보 관리부(240)는 주기적으로 또는 잡 수행 명령이 수신될 때, 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수신된 쿼타 정보와 저장부(230)에 저장된 쿼타 정보를 비교하여, 그룹 내의 쿼타 정보를 갱신 또는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쿼타 정보 관리부(240)는 잡 수행에 따라 소모된 쿼타가 반영되도록 그룹내 쿼타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잡 수행에 따라 소모된 쿼타가 반영되도록 저장부(230)에 저장된 쿼타 정보를 갱신하고, 그룹 내의 타 화상형성장치에 저장된 쿼타 정보도 갱신되도록 갱신 쿼타 정보가 전송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인증부(250)는 잡 수행 명령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하여 잡 수행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인증부(250)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인증 정보를 입력받으면, 인증부(250)는 입력받은 인증 정보와 기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하여 인쇄 제어 단말장치(10)로부터 잡 수행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인증부(250)는 인쇄 잡을 요청한 인쇄 제어 단말장치의 정보와 기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인쇄 제어 단말장치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기능부(260)는 화상형성장치(200)가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화상 형성 잡을 수행하는 화상형성부, 스캔 잡을 수행하는 스캔부, 팩스 잡을 수행하는 팩스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화상형성장치(200)에 포함된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7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하여 관리 서버(100)로부터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타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정보를 저장부(23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하여 잡 수행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70)는 그룹 내의 타 화상형성장치에 사용자별 쿼타 정보의 전송이 요청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요청에 따라 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쿼타 정보를 수신하면, 제어부(270)는 현재 저장부(230)에 저장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가 적정한 것인지 판단하도록 쿼타 정보 관리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저장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와 수신된 쿼타 정보가 상이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70)는 그룹 내의 쿼타 정보 중 최신의 쿼타 정보가 어떠한 쿼타 정보인지 판별하고, 최신의 정보로 판별된 쿼타 정보로 그룹 내의 쿼타 정보가 갱신되도록 쿼타 정보 관리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잡 수행 명령에서 요청되는 작업 매수가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충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잡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사용자가 작업할 수 있는 인쇄 작업이 10매인데 반해, 요청된 인쇄 작업이 20매인 경우, 제어부(270)는 요청된 인쇄 작업이 수행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구현시에는 일부 작업, 예를 들어, 10매에 대한 인쇄 요청만을 인쇄 작업이 수행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270)는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모든 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쿼타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만 잡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한편, 잡 수행 명령에서 요청되는 작업 매수가 사용자별 쿼타 정보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제어부(270)는 인쇄 작업이 수행될 수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를 제어하거나, 인쇄 작업이 수행될 수 없음을 알리는 에러 패킷이 잡 수행 명령을 전송한 인쇄 제어 단말장치(10)에 전송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잡 수행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쿼타 정보 및 그룹 내의 타 화상형성장치에 저장된 쿼타 정보가 갱신되도록 쿼타 정보 관리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은 요청된 잡이 수행되기 이전에 수행될 수 있으며, 요청된 잡이 완료된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다만, 쿼타 정보의 갱신이 수행된 이후에, 잡이 수행되는 경우, 제어부(270)는 인쇄 과정에서 발생한 에러(용지 부족 등과 같은 에러에 의하여 잡을 수행하지 못한 경우)에 대응하여 추가적으로 저장부에 저장된 쿼타 정보 및 그룹 내의 타 화상형성장치에 저장된 쿼타 정보가 다시 갱신되도록 쿼타 정보 관리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사용자별 쿼타 정보가 갱신된 경우, 갱신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관리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70)는 기설정된 시점(예를 들어, 오후 12:00) 또는 기설정된 주기로 갱신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가 관리 서버(100)에 전송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200)는 그룹 내의 타 화상형성장치와 쿼타 정보를 공유하여 저장하는바, 관리 서버(100)와 화상형성장치(200) 간의 트래픽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동일한 그룹 내의 화상형성장치에 대해서 별도의 설정 없이도 자신에게 부여된 쿼타를 이용하여 잡을 수행할 수 있는바,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4는 복수의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그룹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10대의 화상형성장치가 두 그룹으로 분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그룹 내의 화상형성장치는 건물 1층에 위치하는 화상형성장치일 수 있으며, B 그룹 내의 화상형성장치는 건물 2층에 위치하는 화상형성장치일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모든 화상형성장치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화상형성장치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각각의 화상형성장치의 기능 및 외향은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두 개의 그룹으로 복수의 화상형성장치를 그룹화하였으나,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복수의 화상형성장치를 그룹화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4를 설명함에 있어서, 복수의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그룹화를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설정을 통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각각의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IP 정보, 위치 정보 등을 이용하여 관리 서버(100)가 자동적으로 그룹화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관리 서버(100)에 저장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가 화상형성장치 그룹에 전달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관리 서버(100)는 3 명의 사용자에 대한 쿼타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사용자 1 및 2는 도 4에 도시된 A 그룹 내의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이고 사용자 3은 도 4에 도시된 B 그룹 내의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인 경우, 관리 서버(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1 및 2에 대한 쿼타 정보를 화상형성장치(200-1, 200-2, 200-3, 200-4, 200-5)에 전달하고, 사용자 3에 대한 쿼타 정보를 화상형성장치(200-6, 200-7, 200-8, 200-9)에 전달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복수의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버에 등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가 관리할 화상형성장치를 설정받으며(S910), 각각의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버에 등록할 수 있다(S920).
그리고, 모든 사용자에 대한 쿼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할 사용자를 설정받고(S930),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직급, 부서 등의 정보를 설정받아서(S940), 각각의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950).
그리고, 각각의 화상형성장치 그룹에 전송될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최대 화상형성장치를 설정받거나(S960), 사용자가 사용할 화상형성장치를 설정받음으로써(S970), 사용자별 화상형성장치 그룹을 생성하고(S980), 생성된 화상형성장치 그룹에 전송될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그룹별 쿼타 정보를 각각의 그룹에 해당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S990).
도 9와 같은 사용자별 쿼타 정보 생성 방법은, 도 2의 구성을 가지는 관리 서버 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다른 구성을 가지는 관리 서버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과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로부터 잡 수행 명령을 입력받으면(S1005), 잡 수행 명령을 입력한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1010). 구현시에는 이와 같은 인증 단계는 다른 단계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잡 수행 명령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그룹 내의 타 화상형성장치에 해당 사용자에 대한 쿼타 정보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S1015). 그리고, 상술한 요청에 대응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쿼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20). 한편, 구현시에는 그룹 태의 타 화상형성장치에 저장된 모든 사용자에 대한 쿼타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잡 수행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쿼타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주기적으로 쿼타 정보가 수신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S1015, S1020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그룹 내의 모든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쿼타 정보가 수신된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S1025). 만일 일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쿼타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해당 화상형성장치에 쿼타 정보의 전송 요청을 재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은 기설정된 횟수만큼 수행될 수 있으며, 기설정된 횟수만큼 재송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쿼타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인쇄 작업을 종료할 수도 있다.
그리고, 그룹 내의 모든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쿼타 정보가 수신된 경우, 화상형성장치 그룹 내의 쿼타 정보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1030). 화상형성장치 그룹 내에 쿼타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최신의 쿼타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쿼타 정보를 이용하거나, 가장 많은 화상형성장치가 동일하게 갖고 있는 쿼타 정보를 기준으로 그룹 내의 쿼타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S1035).
그리고, 그룹 내의 쿼타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요청된 잡 수행이 가능한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S1040). 예를 들어, 요청된 잡 수행이 20매의 인쇄 출력인데 반해, 해당 사용자의 인쇄 쿼타가 10매에 불과한 경우, 요청된 잡 수행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요청된 잡 수행이 불가능한 경우, 잡 수행을 할 수 없음을 표시하거나, 잡 수행을 요청한 단말장치에 에러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S1065).
한편, 요청된 잡 수행이 가능한 경우, 요청된 잡 수행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쿼타의 감소를 반영하여 그룹 내의 쿼타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S1045). 구체적으로, 저장하고 있는 쿼타 정보를 갱신하고, 갱신된 쿼타 정보를 그룹 내의 타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요청된 잡을 수행할 수 있다(S1050). 한편, 요청된 잡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S1055)에는 인쇄 작업을 종료하고, 요청된 잡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쿼타의 감소를 원상태로 복귀하기 위하여, 쿼타 정보의 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S1060).
따라서, 본 인쇄 과금 방법은, 화상형성장치 그룹 내의 타 화상형성장치와 쿼타 정보를 공유하여 저장하는바, 관리 서버(100)와 화상형성장치(200) 간의 트래픽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에게 할당된 쿼타를 이용하여 그룹 내의 여러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여 인쇄 잡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0과 인쇄 과금 방법은, 도 3의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다른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식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개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0: 인쇄 과금 시스템 100: 관리 서버
110: 통신 인터페이스부 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30: 저장부 140: 관리부
150: 제어부 200: 화상형성장치
210: 통신 인터페이스부 2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30: 저장부 240: 쿼타 관리부
250: 인증부 260: 기능부
270: 제어부

Claims (20)

  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타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와 공유하는 사용자별 쿼타(quota)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잡 수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잡 수행 명령에서 요청되는 작업 매수가 상기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충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잡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잡을 수행하는 기능부;
    상기 잡 수행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갱신하는 쿼타 정보 관리부; 및,
    상기 갱신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잡 수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잡 수행 명령을 요청한 사용자에 대한 쿼타 정보를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에 요청하여 수신하며,
    상기 쿼타 정보 관리부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에 대한 쿼타 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갱신 또는 유지하는 화상형성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모든 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쿼타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잡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잡 수행 명령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이 수행된 잡 수행 명령에 대해서만 상기 잡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타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와 공유하는 사용자별 쿼타(quota) 정보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기설정된 시점에 상기 갱신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잡 수행 명령에 요청되는 작업 매수가 상기 사용자별 쿼타 정보에 충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잡 수행을 수행할 수 없음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갱신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화상형성장치에 상기 갱신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반복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인쇄 과금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화상형성장치; 및
    상기 복수의 화상형성장치를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 그룹으로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화상형성장치 그룹 각각에 대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생성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타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생성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쿼타 정보를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포함된 화상형성장치 그룹 내의 타 화상형성장치와 공유하고, 공유된 쿼타 정보에 따라 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과금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수신된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타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에 요청하여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수신된 쿼타 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갱신 또는 유지하는 쿼타 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과금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잡 수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잡 수행 명령에 요청되는 작업 매수가 상기 사용자별 쿼타 정보에 충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인쇄 작업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잡을 수행하는 기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과금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쿼타 정보 관리부는,
    상기 잡의 수행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갱신하고, 갱신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가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에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과금 시스템.
  13.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과금 방법에 있어서,
    잡 수행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잡 수행 명령에서 요청되는 작업 매수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기저장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충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잡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잡 수행 여부에 따라 잡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잡 수행에 따라 상기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잡 수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잡 수행 명령을 요청한 사용자에 대한 쿼타 정보를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에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사용자에 대한 쿼타 정보와 기저장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쇄 과금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잡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모든 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쿼타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잡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과금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잡 수행 명령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잡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이 수행된 잡 수행 명령에 대해서만 상기 잡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과금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타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타 화상형성장치와 공유하는 사용자별 쿼타(quota) 정보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타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기저장하는 단계; 및
    기설정된 시점에 상기 갱신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과금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잡 수행 명령에 요청되는 작업 매수가 상기 사용자별 쿼타 정보에 충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잡을 수행할 수 없음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과금 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갱신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화상형성장치에 상기 갱신된 사용자별 쿼타 정보를 반복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과금 방법.
KR1020100000888A 2010-01-06 2010-01-06 화상형성장치, 인쇄 과금 시스템 및 인쇄 과금 방법 KR101622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888A KR101622577B1 (ko) 2010-01-06 2010-01-06 화상형성장치, 인쇄 과금 시스템 및 인쇄 과금 방법
US12/923,670 US8823966B2 (en) 2010-01-06 2010-10-01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for printing
EP10196336A EP2343639A3 (en) 2010-01-06 2010-12-21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for printing
CN2010106095469A CN102123220A (zh) 2010-01-06 2010-12-28 图像形成装置和系统以及用于打印计费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888A KR101622577B1 (ko) 2010-01-06 2010-01-06 화상형성장치, 인쇄 과금 시스템 및 인쇄 과금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581A KR20110080581A (ko) 2011-07-13
KR101622577B1 true KR101622577B1 (ko) 2016-05-31

Family

ID=43573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888A KR101622577B1 (ko) 2010-01-06 2010-01-06 화상형성장치, 인쇄 과금 시스템 및 인쇄 과금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23966B2 (ko)
EP (1) EP2343639A3 (ko)
KR (1) KR101622577B1 (ko)
CN (1) CN10212322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27807A (zh) 2011-07-29 2014-05-28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打印机
JP5811712B2 (ja) * 2011-09-07 2015-11-11 株式会社リコー 機器連携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機能提供方法
JP6225960B2 (ja) * 2015-08-18 2017-11-0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負荷抑制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負荷抑制制御方法
US10264068B2 (en) 2015-08-31 2019-04-16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hat sets synchronization destination of setting informatio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synchroniz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70150003A1 (en) * 2015-11-19 2017-05-25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sharing setting inform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8495A (ja) * 2006-01-10 2007-07-26 Toshiba Corp 文書処理環境における使用管理項目を監視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8165725A (ja) * 2006-12-06 2008-07-17 Ricoh Co Ltd 画像形成制限制御システム、画像形成制限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0688A (en) * 1993-11-05 1997-03-11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illegal use prevention
JP3665827B2 (ja) * 1997-06-27 2005-06-29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量管理装置
US7027169B1 (en) * 1999-03-31 2006-04-11 Minolta Co., Ltd. System for efficiently distributing print jobs
US20020030840A1 (en) * 2000-09-12 2002-03-14 Fuji Xerox Co., Ltd. Image output system, and device and method applicable to the same
JP4095279B2 (ja) 2001-11-09 2008-06-04 キヤノン株式会社 ジョブ実行装置、ジョブ管理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2005141556A (ja) 2003-11-07 2005-06-02 Canon Inc ジョブ管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ジョブ管理方法、ジョブ管理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6116744A (ja) * 2004-10-19 2006-05-11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デバイス管理装置
JP2008065534A (ja) * 2006-09-06 2008-03-21 Sharp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
US8130396B2 (en) 2006-10-05 2012-03-06 Ricoh Company, Ltd. Image formation management system, image 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storage medium
JP4923998B2 (ja) * 2006-12-11 2012-04-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印刷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923368B1 (ko) 2007-04-09 2009-10-23 이인제 네트워크 프린터 시스템의 프린터 사용관리장치 및 그 방법
JP2009025859A (ja) 2007-07-17 2009-02-05 Kyocera Mita Corp 部門管理システム、部門管理プログラム、及び部門管理方法
JP4801759B2 (ja) * 2009-06-30 2011-10-26 シャープ株式会社 複合機、認証サーバ、及び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8495A (ja) * 2006-01-10 2007-07-26 Toshiba Corp 文書処理環境における使用管理項目を監視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8165725A (ja) * 2006-12-06 2008-07-17 Ricoh Co Ltd 画像形成制限制御システム、画像形成制限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64270A1 (en) 2011-07-07
US8823966B2 (en) 2014-09-02
KR20110080581A (ko) 2011-07-13
EP2343639A3 (en) 2013-03-06
CN102123220A (zh) 2011-07-13
EP2343639A2 (en) 201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263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int control system
US7865933B2 (en) Authentication agent apparatus, authentication method, and program product therefor
US9374272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data processing system
JP2007042015A (ja) 周辺電子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機能制限制御プログラム
KR20150125526A (ko) 클라우드 서버, 화상형성장치 및 인쇄 제어 방법
KR101622577B1 (ko) 화상형성장치, 인쇄 과금 시스템 및 인쇄 과금 방법
JP3787434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画像入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9295080A (ja) 印刷処理システム
GB2487389A (en) Transfer of print jobs between print servers
JP6743586B2 (ja) 画像形成装置、印刷制御システム、印刷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872994B2 (ja) 印刷システムおよび印刷要求装置および印刷制限プログラム
US9047023B2 (en) Host device, managing ser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formation thereof
JP4830824B2 (ja) 画像形成装置管理サーバ、画像形成装置使用制限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337900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サーバ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及び同制御プログラム
JP6024204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分散処理方法
JP2014072770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WO2004021163A1 (en) Notify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JP2020074097A (ja) プリンタ、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4011006B2 (ja) 課金管理システム及び課金管理方法
KR20170074837A (ko) 호스트 장치, 관리 서버 및 그들의 화상 형성 제어 방법
JP2023162558A (ja) 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H10154122A (ja) 機器作動管理方法及び装置
JP2005078527A (ja) 画像管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20210049376A (ko) 복수의 화상형성장치 각각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기화
US20210318842A1 (en) Security printing using group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4